KR101053663B1 - Skin Imaging Device - Google Patents

Skin Imag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663B1
KR101053663B1 KR1020080093984A KR20080093984A KR101053663B1 KR 101053663 B1 KR101053663 B1 KR 101053663B1 KR 1020080093984 A KR1020080093984 A KR 1020080093984A KR 20080093984 A KR20080093984 A KR 20080093984A KR 101053663 B1 KR101053663 B1 KR 101053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kin
mounting bracket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4807A (en
Inventor
정병삼
Original Assignee
(주) 옵토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옵토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 옵토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080093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663B1/en
Publication of KR2010003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8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61B5/0064Body surface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를 촬영하여 분석하여 피부질환 부분을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이력을 관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황에 적합한 여러 가지 필터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imaging apparatus, which is developed to easily select and photograph various filters suitable for a situation in order to manage skin by analyzing and photographing the skin to more precise and systematic history;

신체의 안면 부위의 피부를 정밀 촬영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부에 카메라가 내장되며, 전면에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모니터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안면이 일부를 넣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The camera is built inside the body to check the skin condition by precisely photographing the skin of the facial part of the body, and a monitor for viewing the imag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skin allows the part of the face to be photographed in the rear. An imaging apparatus;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안면을 넣었을 때 각기 턱 부분과 이마 부분을 받쳐주도록 형성되는 턱받침대와 이마받침대가 각각 구비되고;The rear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hin and forehead support each formed to support the chin and forehead respectively when the face is put;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을 구분하고, 카메라의 렌즈부분이 통과하는 렌즈홀과, 후레쉬의 빛이 통과하는 후레쉬홀이 형성되는 격벽과;A partition wall in which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re respective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 lens hole through which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passes, and a flash hole through which light of the flash passes;

상기 격벽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 개의 UV램프와;Several UV lamps form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의 전방 상기 후레쉬홀의 상부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방 상단에는 렉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와 평행편광필터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가 수평이동에 따라 각각 상기 후레쉬홀과 후레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필터장착 브라켓과,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과 맞물리는 피니언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로 이루어지는 필터스테이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cross-polarizing filter and the parallel polarizing filter and the filter are not formed without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sh hole in front of the partition, and the upper e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lock is horizontally moved. The filter mounting bracket is positioned between the flash hole and the flash, respectively, and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its shaft extends to the upper end to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body. It relates to a ski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lter stage consisting of a control handle to be rotatable.

피부, 영상, 촬영 Skin, images, shoot

Description

피부영상 촬영장치{The photographing instrument for skin image}The photographing instrument for skin image}

본 발명은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피부의 일부분을 정밀 촬영하도록 하되 피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교차편광영상이나 평행편광영상 등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skin, and in more detail, to precisely photograph a part of the ski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photograph by using a cross-polarized image or a parallel polarized image to easily grasp the state of the sk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imaging apparatus.

미(美)에 관한 관심은 과거보다 현재에 이르러서 보다 폭넓은 계층으로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보다 세밀한 부분에 이르기까지 높아지고 있다.Attention to beauty is increasing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o a more detailed level, without dividing men and women into broader classes.

최근에는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흔한 여드름이나 주름살에서 부터 모공의 상태나 피부의 수화도 등에까지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Recently, as the interest in the skin increases, more and more people manage with interest from the common acne or wrinkles to the condition of the pores and the degree of hydration of the skin.

하지만 단순한 일반 광원에 의한 촬영으로 다양한 피부의 문제를 바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고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광원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보다 문제점 또는 보고자하는 피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However, a simple general light source can not easily identify various skin problems, and images captured by light sourc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easily identify a problem or a condition of the skin.

도 11은 교차 편광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피부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교차 편광 영상은 광원에 장착되는 필터 단과 카메라에 설치된 편광 단을 90도로 교차시 킴으로 나타나는 영상이다.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skin photographed by a cross-polarized image. The cross-polarized image is an image displayed by crossing 90 degrees between a filter stage mounted on a light source and a polarization stage installed on a camera.

이러한 기법은 표피와 진피 층 사이를 관찰하는데 적합하며 관찰하고자하는 부분의 피부질환의 분포도를 선택적으로 측정하고자 할 때 필요한 영상화 기법이다.This technique is suitable for the observation between the epidermis and the dermal layer, and is an imaging technique that is needed to selectively measure the distribution of skin diseases in the area to be observed.

이러한 상기 교차 편광 영상(CPI)의 경우 여드름 흉터, 화염상 모반, 홍반, 진피층 사이에 있는 멜라닌의 분포도 등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cross-polarized image (CPI), acne scars, flaming nevus, erythema, and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dermis are mainly used.

도 12는 평행 편광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피부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교차 편광 영상은 광원에 장착되는 필터 단과 카메라에 설치된 편광 단을 0도로 평행하게 하여 나타나는 영상이다.FIG. 12 is a photograph showing skin photographed by a parallel polarized image, wherein a cross polarized image is an image obtained by parallelly arranging a filter stage mounted on a light source and a polarization stage installed on a camera at 0 degrees.

이러한 영상의 경우 표피층과 피부 표면을 관찰하는데 적합하며, 관찰하고자 하는 부분의 표피와 피부 표면상의 정보만 선택적으로 측정하고자 할 때 필요한 영상화 기겁이다.Such an image is suitable for observing the epidermal layer and the skin surface, and is an imaging ambition necessary when selectively measuring only the information on the epidermis and the skin surface of the part to be observed.

이러한 평행 편광 영상(PPI)의 경우 주름살, 흉터자국, 표피층에 있는 멜라닌의 분포도 등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PPI is mainly used to analyze wrinkles, scar marks, and the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epidermal layer.

도 13은 UV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피부를 나타낸 사진으로서, UV-A 광원에 의한 형광현상으로 가시광선으로 관찰할 수 없었던 피부의 분자구조가 각기 다른 색의 파장으로 나타나게 된다.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skin photographed by a UV image, in which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skin, which could not be observed by visible light due to fluorescence by a UV-A light source, is represented by a wavelength of different colors.

예를 들면 적색피지의 경우 포르피린에 의한 형광현상이며, 백색피지의 경우 염증화 되었거나 폐쇄된 모공의 상태를 나타내며, 백색의 하얀 덩어리진 점상은 색소 저하에 의한 백반증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시광선의 영역에서 쉽게 발견할 수 없는 세균성 또는 색소성 질환을 정밀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red sebum, porphyrin fluorescence is observed, in the case of white sebum, it is inflamed or closed pores, and white white lumpy spots show vitiligo due to pigmentation and are easily found in the visible region. It is effective for precise measurement of bacterial or pigmentary diseases that cannot be done.

이러한 UV영상의 경우 모공의 상태, 백반증, 피부의 수화도, 색소 과다, 각질화 등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다.Such UV images are suitable for observing the condition of pores, vitiligo, hydration of the skin, excessive pigmentation, keratinization, and the like.

이렇게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광원에 의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면 피부 질환의 경우 치료가 보다 용이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하나의 장비로 다른 광원을 얻기 위하여 필터를 교체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게 된다.As described through the drawings, if the condition of the skin is confirmed by various light sources,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may be easier and more systematic. However,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filter to obtain another light source is complicated. It takes time.

즉 치료의 목적뿐만 아니라 피부관리의 개념에서는 다양한 광원에 의하여 피부를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의 장비에 의하여 촬영하거나 하나의 장비에서 수동으로 필터를 교체하여 촬영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not only the purpose of treatment, but also the concept of skin care, it is desirable to periodically photograph and manage the skin by various light sources, but it was inconvenient to photograph by separate equipment or to replace the filter manually in one equipment. will b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필터가 전환되도록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skin imaging apparatus for switching the filter so as to capture a desired image with a simple operation.

또한, UV 광원의 선택도 필터의 선택과 동일한 과정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UV light source is to be made as part of the same process as the selection of the filter.

또, 턱이나 얼굴을 찍고자하는 부분에 따라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를 개발하는데 있다.In addition, to develop a skin imag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fixed according to the part to take the chin or f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체의 안면 부위의 피부를 정밀 촬영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몸체의 내부에 카메라가 내장되며, 전면에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모니터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안면이 일부를 넣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mera built into the body to check the state of the skin by precisely photographing the skin of the face of the body, the front of the monitor to view the image is formed, the rear In the skin imag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y putting a part of the face;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안면을 넣었을 때 각기 턱 부분과 이마 부분을 받쳐주도록 형성되는 턱받침대와 이마받침대가 각각 구비되고;The rear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hin and forehead support each formed to support the chin and forehead respectively when the face is put;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을 구분하고, 카메라의 렌즈부분이 통과하는 렌즈홀과, 후레쉬의 빛이 통과하는 후레쉬홀이 형성되는 격벽과;A partition wall in which the front and rear portions are respective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a lens hole through which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passes, and a flash hole through which light of the flash passes;

상기 격벽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 개의 UV램프와;Several UV lamps form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wall;

상기 격벽의 전방 상기 후레쉬홀의 상부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방 상단에는 렉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와 평행편광필터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가 수평이동에 따라 각각 상기 후레쉬홀과 후레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필터장착 브라켓과,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과 맞물리는 피니언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로 이루어지는 필터스테이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polarizing filter and the parallel polarizing filter and the filter are not formed without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which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sh hole in front of the partition, and the upper e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block is horizontally moved. The filter mounting bracket is positioned between the flash hole and the flash, respectively, and a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is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and its shaft extends to the upper end to penetrate the upper part of the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lter stage made of a control handle to be rotatable.

아울러, 상기 필터스테이지는 상기 후레쉬홀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면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지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후레쉬홀과 연결되는 관통홀을 구비한 가이드 브라켓과;In addition, the filter stage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flash hole, the upper surface has a rectangular plane and has a through hole which penetrat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connected to the flash hole;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면에 상응하는 저면을 가지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90°굴절되며, 그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와, 평행편광필터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가 수평 이동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상단에 렉이 형성되는 필터장착 브라켓과;Cross-polarized filter having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extending forward and bent 90 ° to the bottom,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below, and a blocking portion blocked without parallel polarizing filter and the filter is horizontal A filter mounting bracket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moving direction and having a rack formed at a front upper end thereof;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과 맞물리는 피니언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이 형성되는 필터스테이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ion engaging with the rack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is formed at the lower end and its axi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lter stage is formed to adjust the handle to be rotatable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의 상면에는 걸림홈이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에 형성된 교차편광필터와, 평행편광필터 및 차단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 고;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the engaging groove is form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terval between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the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and the b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filter mounting bracket;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의 저면에는 볼 모양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볼스크류가 장착되어, 상기 교차편광필터와, 평행편광필터 및 차단부가 각각 관통홀과 연결될 때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 ball screw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to protrude a ball-shaped end, and the cross polarizing filter, the parallel polarizing filter, and the blocking unit ar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when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respectively.

아울러,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의 상기 차단부가 형성된 상면은 리미트스위치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UV램프를 켜는 리미트스위치가 장착되되 스위치 하단에 형성되어 온/오프 시키는 작동편은 하강할 때 온의 위치로 되어 상기 차단부가 관통홀에 위치할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 작동홈에 삽입 하강함으로 UV램프가 켜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is formed with a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is formed, the partition wall is equipped with a limit switch for turning on the UV lamp, but the operating pie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witch to turn on / off when the lower When the blocking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through-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V lamp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by lowering the insertion into the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또한, 상기 턱받침대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과;In addition, the jaw butt has a first convex arc shape of the front guide rai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제1 걸림홈에 볼 모양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볼스크류가 장착되는 제1 가이드뭉치와;A first guide bundle moving along the first guide rail and having a ball screw mounted therein so that a ball-shaped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상면에는 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뭉치와 일체로 형성되는 턱받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space to put the chi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jaw support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guide bundle.

아울러, 상기 이마 받침대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레일과;In addition, the forehead supporter has a shape of a circular arc convex forward and a second guide rail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locking groove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제2 걸림홈에 볼 모양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볼스크류가 장착되고 배면에는 더브테일 형식의 수직가이드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끝단이 돌출된 볼스크류가 장착되는 제2 가이드뭉치와;A ball screw is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a ball screw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and a vertical guide of a dovetail type is formed on the rear side, and a ball screw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is mounted. A second guide bundle being made;

배면에는 이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뭉치의 수직가이드와 결합하여 수직운동하되 상기 볼스크류에 상응하는 제3 걸림홈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 고정되는 이마받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ar surface is formed with a space for placing the forehead and coupled with the vertical guide of the second guide bundle vertical move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orehead support portion is adjusted by fixed position by the third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ll screw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절핸들을 돌리는 동작만으로 한 장치에서 교차 편광 영상과 평행 편광 영상 및 UV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하여 신속하고도 체계적인 피부관리 체계를 확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stablishing a rapid and systematic skin care system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cross-polarized image, the parallel-polarized image, and the UV image in one device by only turning the adjusting handle.

또한, 턱받침대와 이마받침대가 자유롭게 회전 고정되도록 하여 원하는 곳의 촬영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ib support and forehead support is freely rotated to have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shoot where you want.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스테이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스테이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filter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피부영상 촬영장치는 신체의 안면 부위의 피부를 정밀 촬영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몸체(1)의 내부에 카메라(2)가 내장되며, 전면에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모니터(11)가 형성되고, 후방으로 안면이 일부를 넣어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The skin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mera (2) is built in the interior of the body (1) 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skin by precisely photographing the skin of the face of the body, the monitor that can see the image on the front ( 11) is formed, the skin imaging apparatus for allowing a part of the face to be photographed in the rear;

상기 몸체(1)의 후방에는 안면을 넣었을 때 각기 턱 부분과 이마 부분을 받쳐주도록 형성되는 턱받침대(3)와 이마받침대(4)가 각각 구비되고;The rear of the body (1) is provided with a chin support (3) and forehead support (4) formed to support the chin and forehead, respectively, when the face is put;

상기 몸체(1)의 내부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을 구분하고, 카메라(2)의 렌즈부분이 통과하는 렌즈홀(51)과, 후레쉬(21)의 빛이 통과하는 후레쉬홀(52)이 형성되는 격벽(5)과;Inside the body 1,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lens hole 51 through which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2 passes, and the flash hole 52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flash 21 is formed is formed. Partition wall 5;

상기 격벽(5)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 개의 UV램프(6)와;Several UV lamps 6 form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5;

상기 격벽(5)의 전방 상기 후레쉬홀(52)의 상부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방 상단에는 렉(7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714)가 수평이동에 따라 각각 상기 후레쉬홀(52)과 후레쉬(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필터장착 브라켓(71)과,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711)과 맞물리는 피니언(721)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722)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72)로 이루어지는 필터스테이지(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of the partition 5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sh hole 52, the rack 711 is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parallel polarization with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712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low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and the filter 713 and the filter 713 and the filter block 714 which are not formed without the filter are positioned between the flash hole 52 and the flash 21 as the horizontal movement is performed. A pinion 721 engaged with the rack 711 formed at the top of the mounting bracket 71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shaft 722 extends to the top to be adjust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top of the body 1.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ilter stage (7) consisting of a handle (72).

이러한 촬영장치의 경우 안면의 촬영을 위한 것으로서,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그리고 UV램프(6)에 의하여 각각 교차 편광 영상, 팽행 편광 영상, UV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case of such a photographing device for the face of the face,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712,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713 and the UV lamp (6) to obtain a cross-polarized image, a collapsing polarized image, and a UV image, respectively .

개념상의 작동은 조절핸들(72)을 돌리면 피니언(721)과 랙(711)의 맞물림에 의하여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이 수평이동하면서 필요한 필터가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The conceptual operation is to rotate the control handle 72 so that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is horizontally moved by engaging the pinion 721 and the rack 711 so that the necessary filter is positioned.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스테이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필터스테이지(7)는 상기 후레쉬홀(52)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면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지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후레쉬홀(52)과 연결되는 관통홀(731)을 구비한 가이드 브라켓(73)과;5A to 5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lter stage 7 is mounted at the front of the fresh hole 52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has a rectangular flat surface. A guide bracket (73) having a through hole (731) penetrating rearward and connected to the fresh hole (52);

상기 가이드 브라켓(73)의 상면에 상응하는 저면을 가지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90°굴절되며, 그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714)가 수평 이동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상단에 렉(711)이 형성되는 필터장착 브라켓(71)과;Cross polarization filter 712,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713 and the filter having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73, extending forward and bent downward by 90 °,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under A filter mounting bracket 71 in which a blocking portion 714 is not formed and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horizontal moving direction, and a rack 711 is formed at a front upper end thereof;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711)과 맞물리는 피니언(721)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722)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72)로 상기 필터스테이지(7)가 구성된다.A pinion 721 engaged with the rack 7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the shaft 722 extends to the upper en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body 1. The filter stage 7 is constituted by an adjusting handle 72.

보다 상세한 추가 구성으로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73)의 상면에는 걸림홈(732)이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에 형성된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차단부(71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In a further detailed configuration, a cross polarization filter 712, a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713, and a blocking unit 7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73 with a locking groove 732 formed on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At intervals equal to the interval of;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저면에는 볼 모양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볼스크 류(8)가 장착되어, 상기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차단부(714)가 각각 관통홀(731)과 연결될 때 상기 걸림홈(732)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로 제시하였다.On the bottom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a ball screw 8 is mounted to protrude a ball-shaped end, and the cross polarizing filter 712, the parallel polarizing filter 713, and the blocking part 714 are respectively. When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731 has been further proposed a configuration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732.

상기 볼스크류(8)는 정확한 위치에 필터가 위치했을 때 걸림홈(732)에 삽입되도록 하여 작동의 편리함을 주었다.The ball screw 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732 when the filter is located in the correct position ga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이때 상기 차단부(714)가 위치했을 때 장치의 작동은 도 6a 내지 도 6b의 설명에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when the blocking unit 714 is positioned is performed in the description of FIGS. 6A to 6B.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상기 차단부(714)가 형성된 상면은 리미트스위치 작동홈(71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5)에는 상기 UV램프(6)를 켜는 리미트스위치(74)가 장착되되 스위치 하단에 형성되어 온/오프 시키는 작동편(741)은 하강할 때 온의 위치로 되어 상기 차단부(714)가 관통홀(731)에 위치할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 작동홈(715)에 삽입 하강함으로 UV램프(6)가 켜지도록 구성됨을 나타내었다.6A to 6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limit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in which the blocking unit 714 is formed has a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715. It is formed, the partition 5 is equipped with a limit switch 74 for turning on the UV lamp 6, the operating piece 74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witch to turn on / off when the descending to the on position when the blocking When the part 714 is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731, the UV lamp 6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by inserting and lowering the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715.

즉 상기 교차편광필터(712)나 평행편광필터(713)에 의한 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는 UV램프(6)는 꺼진 상태이어야 한다.That is, when capturing an image by the cross polarization filter 712 or the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713, the UV lamp 6 should be turned off.

반대로 UV 영상을 위해서는 UV램프(6)는 켜지고 후레쉬(21)에 의한 빛은 차단되어야하기 때문에 상기 차단부(714)가 필요한 것이다.On the contrary, since the UV lamp 6 is turned on and the light by the flash 21 must be blocked for the UV image, the blocking part 714 is necessar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마받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마받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ㅅ실시 예에 따른 턱받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re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fore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jaw 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피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것이기에 얼굴은 흔들림이 없이 고정되어야 효과적인 촬영을 할 수 있게 되므로 턱받침대(3)와 이마받침대(7)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필요성이 있다.Referring to FIG. 2, since a part of the skin is taken to be enlarged, the face must be fixed without shaking so that effective photographing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face of the skin needs to be fixed by the chin 3 and the forehead 7.

이때 정면만 촬영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턱받침대(3)와 이마받침대(7)가 회전을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At this time, not only to photograph the front side, but also to shoot the side of the bib support (3) and forehead support (7) is required to rotate the configuration.

따라서 상기 턱받침대(3)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걸림홈(311)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31)과;Therefore, the jaw buttress 3 has a first convex arc-shaped shape and a first guide rail 31 having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grooves 31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 front surface thereof;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제1 걸림홈(311)에 볼 모양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볼스크류(8)가 장착되는 제1 가이드뭉치(32)와;A first guide bundle 32 which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31 and is provided with a ball screw 8 for inserting a ball-shaped en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311;

상면에는 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뭉치(32)와 일체로 형성되는 턱받침부(33)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하였다.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space to put the chin and composed of the jaw support portion 33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guide bundle 32 to be easily rotated.

또한 이마받침대(4)의 경우에는 이러한 회전기능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이동하여 얼굴형이 큰사람 혹은 작은 사람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마 받침대(4)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걸림홈(411)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레일(41)과;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rehead support (4), the forehead support (4) has a shape of a convex arc forward, so that the forehead support (4) can be vertically moved to adjust to a large person or a small person as well as such a rotation function. A second guide rail 41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locking grooves 411 at intervals;

상기 제2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제2 걸림홈(411)에 볼 모양 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볼스크류(8)가 장착되고 배면에는 더브테일 형식의 수직가이드(421)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끝단이 돌출된 볼스크류(8)가 장착되는 제2 가이드뭉치(42)와;A ball screw 8 is mounted to mov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41 to allow the ball-shaped en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411, and a vertical guide 421 having a dovetail typ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thereof. A second guide bundle 42 formed with a ball screw 8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thereof;

배면에는 이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뭉치(42)의 수직가이드(421)와 결합하여 수직운동하되 상기 볼스크류(8)에 상응하는 제3 걸림홈(431)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 고정되는 이마받침부(43)로 구성한 것이다.The rear surface is formed with a space for placing the forehead and is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421 of the second guide bundle 42 to move vertically by a third locking groove 431 corresponding to the ball screw (8) It is composed of the forehead support portion 43 is fixed in posi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안면을 흔들림없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정밀한 촬영이 용이해지는 것이다.By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face without shaking, thereby facilitating precise shoo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스테이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스테이지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filter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스테이지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5a to 5c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lter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미트스위치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6A to 6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limit swit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마받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re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마받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Figure 9 is a rear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re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마받침대의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reh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교차 편광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피부를 나타낸 사진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kin taken by the cross-polarized image

도 12는 평행 편광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피부를 나타낸 사진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kin taken by the parallel polarization image

도 13은 UV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피부를 나타낸 사진Figure 1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kin taken by the UV image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몸체1: body

11 : 모니터     11: monitor

2 : 카메라2: camera

21 : 후레쉬     21: Fresh

3 : 턱받침대3: bib

31 : 제1 가이드레일     31: 1st guide rail

311 : 제1 걸림홈          311: first locking groove

32 : 제1 가이드뭉치 33 : 턱받침부     32: first bundle of guides 33: the support base

4 : 이마받침대4: forehead support

41 : 제2 가이드레일     41: second guide rail

411 : 제2 걸림홈          411: second locking groove

42 : 제2 가이드뭉치     42: second guide bundle

421 : 수직가이드          421: Vertical guide

43 : 이마받침부     43: forehead support part

431 : 제3 걸림홈          431: third locking groove

5 : 격벽5: bulkhead

51 : 렌즈홀 52 : 후레쉬홀     51: Lens Hole 52: Fresh Hole

6 : UV램프6: UV lamp

7 : 필터스테이지7: filter stage

71 : 필터장착 브라켓     71: filter mounting bracket

711 : 렉 712 : 교차편광필터          711: lek 712: cross polarization filter

713 : 평행편광필터 714 : 차단부          713: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714: cutoff

715 : 리미트스위치 작동홈          715: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72 : 조절핸들     72: adjusting handle

721 : 피니언 722 : 축          721: pinion 722: axis

73 : 가이드 브라켓     73: guide bracket

731 : 관통홀 732 : 걸림홈          731: through hole 732: locking groove

74 : 리미트 스위치     74: limit switch

741 : 작동편          741: working piece

8 : 볼스크류8: Ball screw

Claims (6)

신체의 안면 부위의 피부를 정밀 촬영하여 피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몸체(1)의 내부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을 구분하고 카메라(2)의 렌즈부분이 통과하는 렌즈홀(51)과 후레쉬(21)의 빛이 통과하는 후레쉬홀(52)이 형성되는 격벽(5) 및 이 격벽(5)의 후방에 형성되는 수 개의 UV램프(6)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모니터(1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안면을 넣었을 때 각기 턱 부분과 이마 부분을 받쳐주도록 형성되는 턱받침대(3)와 이마받침대(4)가 구비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skin by precisely photographing the skin of the face part of the body, the inside of the body 1 respectively distinguishes the front and the rear, and the lens hole 51 and the flash 21 through which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2 passes. The barrier rib 5 in which the flash hole 52 through which light passes is formed, and several UV lamps 6 formed at the rear of the barrier rib 5 are provided. In the skin imaging apparatus having a bib support (3) and forehead support (4) is formed to support the chin and forehead respectively when the face is put in the rear; 상기 격벽(5)의 전방 상기 후레쉬홀(52)의 상부에 인접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전방 상단에는 렉(7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714)가 수평이동에 따라 각각 상기 후레쉬홀(52)과 후레쉬(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필터장착 브라켓(71)과,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711)과 맞물리는 피니언(721)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722)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72)로 이루어지는 필터스테이지(7)을 포함하며,The front of the partition 5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sh hole 52, the rack 711 is formed at the front upper end, parallel polarization with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712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low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and the filter 713 and the filter 713 and the filter block 714 which are not formed without the filter are positioned between the flash hole 52 and the flash 21 as the horizontal movement is performed. A pinion 721 engaged with the rack 711 formed at the top of the mounting bracket 71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shaft 722 extends to the top to be adjust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top of the body 1. A filter stage (7) consisting of a handle (72), 상기 필터스테이지(7)는 상기 후레쉬홀(52)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면은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지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후레쉬홀(52)과 연결되는 관통홀(731)을 구비한 가이드 브라켓(73) 및 상기 가이드 브라켓(73)의 상면에 상응하는 저면을 가지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로 90°굴절되며, 그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차단된 차단부(714)가 수평 이동방향으로 일정 간격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상단에 렉(711)이 형성되는 필터장착 브라켓(71) 및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상단에 형성되는 렉(711)과 맞물리는 피니언(721)이 하단에 형성되고 그 축(722)은 상단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1)의 상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조절핸들(72)이 마련되며;The filter stage 7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flash hole 52, the upper surface has a rectangular plane and penetrat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rough a guide bracket having a through hole 731 connected to the flash hole 52 A cross polarization filter 712 having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73 and a front side of the guide bracket 73 is bent 90 degrees downward,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under, and a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 713 and the filter blocking bracket 714, which is not formed without a filter,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moving direction, and the rack mounting bracket 71 and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are formed with a rack 711 at the front upper end. The pinion 721 is engaged with the rack 71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722 is extended to the upper end of the adjustment handle 72 to be rotatable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 Prepared; 상기 가이드 브라켓(73)의 상면에는 걸림홈(732)이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에 형성된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차단부(71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저면에는 볼 모양의 끝단이 돌출되도록 볼스크류(8)가 장착되어, 상기 교차편광필터(712)와, 평행편광필터(713) 및 차단부(714)가 각각 관통홀(731)과 연결될 때 상기 걸림홈(73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73 has a locking groove 732 at the same interval as the interval between the cross-polarization filter 712 formed in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the parallel polarization filter 713 and the blocking portion 714. The ball screw 8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so that the ball-shaped end protrudes. The cross polarizing filter 712, the parallel polarizing filter 713, and the blocking part 714 are formed. When each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731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732, 상기 필터장착 브라켓(71)의 상기 차단부(714)가 형성된 상면은 리미트스위치 작동홈(715)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5)에는 상기 UV램프(6)를 키는 리미트스위치(74)가 장착되되 스위치 하단에 형성되어 온/오프 시키는 작동편(741)은 하강할 때 온의 위치로 되어 상기 차단부(714)가 관통홀(731)에 위치할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 작동홈(715)에 삽입 하강함으로 UV램프(6)가 켜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mounting bracket 71 formed with the blocking portion 714 is formed with a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715, the partition 5 has a limit switch 74 for turning on the UV lamp 6 Mounted but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witch to turn on / off the operating piece 741 is in the on position when the lowering when the blocking portion 714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731 in the limit switch operating groove 715 Skin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turn on the UV lamp (6) by lowering the inse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대(3)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걸림홈(311)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레일(31)과;According to claim 1, The biscuit (3) has a first convex circular arc shape of the front guide rail 3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grooves (311)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제1 걸림홈(311)에 볼 모양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볼스크류(8)가 장착되는 제1 가이드뭉치(32)와;A first guide bundle 32 which moves along the first guide rail 31 and is provided with a ball screw 8 for inserting a ball-shaped end into the first locking groove 311; 상면에는 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뭉치(32)와 일체로 형성되는 턱받침부(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Skin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with a space to put the chin and the jaw support portion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guide bundle (3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마 받침대(4)는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전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걸림홈(411)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레일(41)과;According to claim 1, The forehead support (4) has a shape of a circular arc convex forward and a second guide rail (41)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engaging grooves (4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상기 제2 가이드레일(41)을 따라 움직이되 상기 제2 걸림홈(411)에 볼 모양의 끝단이 삽입되도록 하는 볼스크류(8)가 장착되고 배면에는 더브테일 형식의 수직가이드(421)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끝단이 돌출된 볼스크류(8)가 장착되는 제2 가이드뭉치(42)와;The ball screw 8 is mounted to mov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41 but to insert the ball-shaped end into the second locking groove 411, and a vertical guide 421 having a dovetail type is formed at the rear side. A second guide bundle 42 formed with a ball screw 8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thereof; 배면에는 이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뭉치(42)의 수직가이드(421)와 결합하여 수직운동하되 상기 볼스크류(8)에 상응하는 제3 걸림홈(431)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 고정되는 이마받침부(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영상 촬영장치.The rear surface is formed with a space for placing the forehead and is coupled to the vertical guide 421 of the second guide bundle 42 to move vertically by a third locking groove 431 corresponding to the ball screw (8) Skin image photograp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configured for adjustment fixed forehead support portion (43).
KR1020080093984A 2008-09-25 2008-09-25 Skin Imaging Device KR101053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984A KR101053663B1 (en) 2008-09-25 2008-09-25 Skin Ima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984A KR101053663B1 (en) 2008-09-25 2008-09-25 Skin Imag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807A KR20100034807A (en) 2010-04-02
KR101053663B1 true KR101053663B1 (en) 2011-08-03

Family

ID=4221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984A KR101053663B1 (en) 2008-09-25 2008-09-25 Skin Imag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6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135B1 (en) * 2011-10-31 2013-05-29 김종율 A Skin Picturing Device
KR101348709B1 (en) * 2012-08-20 2014-01-08 주식회사 뷰토피아 Face imaging device having hair and head measuring camera
KR101749906B1 (en) * 2017-01-23 2017-06-22 이상석 Photography booth onlyy for face
CN107260130A (en) * 2017-06-23 2017-10-20 深圳微美薇健康美容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evice of detection head fur hole plug situation
GB201815799D0 (en) * 2018-09-27 2018-11-14 Iiaa Ltd Skin analysis device
KR102180920B1 (en) * 2018-11-20 2020-11-19 주식회사 룰루랩 Multiple image acquisition module for skin condition analysis
CN110013227A (en) * 2019-05-14 2019-07-16 深圳德技创新实业有限公司 A kind of facial skin detector
KR102297555B1 (en) * 2019-09-08 2021-09-03 신현정 A measuring instrument of muscular strength
KR102468844B1 (en) * 2020-10-13 2022-11-17 이승우 Functional c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243A (en) * 2007-03-23 2008-10-09 Shiseido Co Ltd Method of classifying pigmented spot by using ultraviolet ray
KR100866552B1 (en) * 2007-01-24 2008-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al digital ski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analysis method
JP2009022745A (en) * 2007-06-19 2009-02-05 Astron Clinica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tissue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52B1 (en) * 2007-01-24 2008-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al digital ski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analysis method
JP2008237243A (en) * 2007-03-23 2008-10-09 Shiseido Co Ltd Method of classifying pigmented spot by using ultraviolet ray
JP2009022745A (en) * 2007-06-19 2009-02-05 Astron Clinica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tissue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807A (en) 201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663B1 (en) Skin Imaging Device
US10652481B2 (en) Compact light sensor
US9526427B2 (en) Compact light sensors with symmetrical lighting
JP7012740B2 (en) Skin condition measuring device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CA2894133C (en) Surgical imaging systems
US20190069824A1 (en) Compact light sensors for surgical applications and shock detection
US10542928B2 (en) Medical imaging device including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having different light emission directions
CN109008985A (en) Multispectral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its method
WO2014094173A1 (en) Handheld venipuncture-assisting device
Ebner et al. Intraoperative hyperspectral label-free imaging: from system design to first-in-patient translation
US11405561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WO2021107677A1 (en) Facial skin diagnosis device and facial skin diagnosis method using same
KR101260288B1 (en) Multi-functional skin imaging apparatus based on stereoscope adapter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
KR1025781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skins
KR100576095B1 (en) Digital Photography Imaging System
KR102578122B1 (en) Facial skin diagnostic apparatus and facial skin diagnostic method using the same
Wisotzky et al. From multispectral-stereo to intraoperative hyperspectral imaging: a feasibility study
US11800237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US20240181157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Visualization of Near Surface Vascular Structures
CN213850640U (en) Electronic wood lens camera device
US11684248B2 (en) Endoscopy/stereo colposcopy medical instrument
KR20180039949A (en) Skin monitoring apparatus using multiple light source
JP7336094B2 (en) Imaging device
JP3132195U (en) Skin imaging device
WO2018055061A1 (en) Hyperspectral tissue im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