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625B1 -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625B1
KR101050625B1 KR1020040097131A KR20040097131A KR101050625B1 KR 101050625 B1 KR101050625 B1 KR 101050625B1 KR 1020040097131 A KR1020040097131 A KR 1020040097131A KR 20040097131 A KR20040097131 A KR 20040097131A KR 101050625 B1 KR101050625 B1 KR 10105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signal
receiver
antenna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7933A (ko
Inventor
최희찬
박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625B1/ko
Priority to US11/286,171 priority patent/US7450906B2/en
Publication of KR2006005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04B1/525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with means for reducing leakage of transmitter signal in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송수신기의 CM(Cross Modulation)노이즈 제거 방법은,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기로 제공되는 송신신호의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다수번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이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대해 소수번 필터링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송수신기의 CM노이즈 제거장치는, 베이스밴드 형태의 송신신호를 제공받아 무선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하여 제1안테나를 통해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 형태의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1수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로 제공하고, 상기 제 1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상기 제1수신기로 제공하는 듀플렉서와, 제2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 형태의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2수신기와, 상기 제2안테나와 상기 제2수신기 사이에 연결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경로상에 다수의 필터를 연결하거나 소수의 필터를 연결하는 필터부와, 상기 송신신호의 존재여부 및 송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경로상의 필터수를 제어하는 모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송수신기, 다이버시티, CM 노이즈 제거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ELIMINATING CM NOISE FOR TRANSMITTER AND RECEIVER OF WIRELESS}
도 1은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생성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수신기의 필터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수신기의 필터제어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데이터를 무선신호로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며,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수신성능을 상승시키기 위해 이중화된 수 신기를 구비하는 다이버시티(Diversity)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송수신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감도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CM(Cross Modulation Noise) 노이즈이며, 상기 CM 노이즈는 액티브 소자를 지나면서 발생되는 비선형 성분 중 하나로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LNA(Low Noise Amplifier)와 믹서(Mixer)에서 주로 발생된다.
상기 CM 노이즈를 도 1을 참조하여 좀더 설명한다. 송신기로부터의 송신신호는 안테나를 통해 전송됨과 동시에 듀플렉서(Duplexer)를 타고 수신기로 인입되며, 도 1의 (a)와 같이 수신신호에는 수신신호의 주파수 밴드와 송신신호의 주파수밴드에 각각 수신신호와 송신신호가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신호에 인입된 송신신호는 BPF(Band Pass Filter) 또는 듀플렉서 아이솔레이션(duplexer isolation) 등을 통해 제거된다. 상기 송신신호가 제거된 수신신호를 도시한 도 1의 (b)를 참조하면, 송신신호의 주파수 밴드에 위치하는 송신신호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그런데 상기 수신신호에 여전히 잔존하는 송신신호는 LNA 및 믹서 등을 통과하면서 인밴드(In Band)내의 싱글 톤 재머(Single Tone Jammer)와 변조되며 이 변조결과가 도 1의 (c)에 도시한 CM 노이즈이다.
종래에는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신호로 유입되는 송신신호는 듀플렉서의 아이숄레이션과 제2 BPF 때문에 제거가 되어서 CM 노이지가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중화된 수신기를 구비하는 경우 듀플렉스와 BPF가 없기 때문에 CM 노이즈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따라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에서 C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된 수신기를 구비하는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에서 C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브 수신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C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은,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기로 제공되는 송신신호의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다수번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이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대해 소수번 필터링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장치는, 베이스밴드 형태의 송신신호를 제공받아 무선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하여 제1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 형태의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1수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로 제공하고,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상기 제1수신기로 제공하는 듀플렉서와, 제2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 형태의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2수신기와, 상기 제2안테나와 상기 제2수신기 사이에 연결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경로상에 다수의 필터를 연결하거나 소수의 필터를 연결하는 필터부와, 상기 송신신호의 존재여부 및 송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경로상의 필터수를 제어하는 모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의 서브 안테나와 서브 수신기 사이에 두개의 BPF를 설치함으로써, 서브 수신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송신신호가 수신신호로 유입됨에 따른 CM 노이즈의 발생을 제한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두개의 BPF를 송신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두개의 BPF를 직렬 연결하거나 하나의 BPF만을 연결함으로써, 송신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수신신호가 불필요하게 두개의 BPF를 거치면서 감도가 저하되던 문제를 해소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크게 송신기(100)와 듀플렉서(110), 메인 수신기인 제 1수신기(114), 서브 수신기인 제2수신기(132), BPF부(124)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10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제공받아 AGC(Auto Gain Control) 처리하는 제1AGC(106)와, AGC처리된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소정 주파수와 믹싱하여 출력하는 제1믹서(102)와, 상기 제1믹서(104)의 출력을 제공받아 송신신호의 주파수밴드에 대해서만 패스하여 출력하는 제1BPF(104)와, 상기 제1BPF(104)의 출력을 제공받아 전력 증폭하여 상기 듀플렉서(110)로 제공하는 PA(Power Amplifier)(108)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수신기인 제1수신기(114)는 상기 듀플렉서(110)를 통해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는 제1LNA(116)와, 상기 제1LNA(116)의 출력을 제공받아 수신신호의 주파수밴드에 대해서만 패스하여 출력하는 제2BPF(118)와, 상기 제2BPF(118)의 출력을 제공받아 소정 주파수와 믹싱하여 베이스밴드의 제1수신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믹서(120)로 구성된다.
상기 듀플렉서(110)는 상기 송신기(100)로부터의 신호를 제1안테나(112)를 통해 무선 송신하거나, 상기 제1안테나(112)를 통해 무선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1수신기(114)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수신기인 제2수신기(132)는 BPF부(124)를 통해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는 제2LNA(134)와, 상기 제2LNA(134)의 출력을 제공받아 소정 주파수이상에 대해서만 통과하여 출력하는 HPF(136)와, 상기 HPF(136)의 출력을 제공받아 소정 주파수와 믹싱하여 베이스밴드의 제2수신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믹서(138)로 구성된다.
상기 BPF부(124)는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BPF(126,130)와 하나의 스위치(128)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128)는 상기 제3BPF(126)의 양단과 연결되며 모뎀(140)의 제어부(142)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28)가 오프되면 상기 제2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는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BPF(126,130)를 통해 상기 제2수신기(132)로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128)가 온되면 상기 제2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는 상기 제4BPF(130)를 통해서 제2수신기(132)로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128)는 모뎀(14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모뎀(140)은 제어부(142), 신호 안정화부(146), AGC 제어부(144)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142)는 송신신호의 AGC를 제어하는 AGC 제어부(114)로부터 송신신호에 대한 AGC 제어신호를 토대로 송신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그 송신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스위치(128)를 제어한다.
상기 AGC 제어부(144)는 송신신호의 AGC를 제어하기 위한 AGC 제어신호를 송신기(100)의 제1 AGC(106)에 제공하며, 상기 AGC 제어부(144)로부터 출력되는 AGC 제어신호는 신호 안정화부(146)에 의해 안정화되어 송신기(100)의 제1 AGC(106) 및 제어부(142)에 제공된다.
이제 상기한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모뎀(140)의 제어부(142)는 전원 온 등의 이유로 초기화가 이행되면, 메인 수신기인 제1수신기(114)만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하는 모드인 단일수신기 모드로 설정한다(200단계).
상기 제어부(142)는 단일수신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대기하거나 상기 송신기(100) 및 제1수신기(114)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을 이행한다(202단계).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42)는 사용자의 요청 또는 무선 송수신 매체의 변경 등을 이유로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드로의 진입이 요청되는지를 체크한다(204단계). 여기서 상기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드란 서브 수신기인 제2수신기(132)를 사용하여 무선 송수신을 이행하는 모드를 일컫는다.
상기 다이버시티 수신기 모드로의 진입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142)는 송신신호의 유무를 통해 송신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제어부(142)는 송신신호가 없으면 BPF부(124)의 스위치(128)를 온하여 제2안테나(12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제4 BPF(130)만을 거쳐 제2수신부(132)로 제공되도록 한다(212단계).
이와달리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42)는 AGC 제어부(144)가 출력하는 송신기(100)의 AGC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그 AGC 제어신호가 소정기준값 이상이면 송신신호에 의한 노이즈 발생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AGC 제어신호가 소정기준값 이하이면 송신신호에 의한 노이즈 발생이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기준값은 다수번의 테스트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AGC 제어신호가 소정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BPF부(124)의 스위치(128)를 온하여 제2안테나(12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제4BPF(130)만을 거쳐 제2수신부(132)로 제공되도록 한다(212단계).
이와달리 상기 AGC 제어신호가 소정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12)는 BPF부(124)의 스위치(128)를 오프하여 제2안테나(128)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제3BPF(126) 및 제4BPF(130)를 거쳐 제2수신부(132)로 제공되도록 한다(210단계).
상기 제어부(142)는 다이버시티 수신모드의 해제가 요청될 때까지 상기 송신신호의 유무 및 송신기의 AGC 제어신호의 레벨변화에 따른 상기 스위치(128)의 온/오프 제어를 계속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된 수신기를 구비하는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에서 C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수신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C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신호의 존재여부나 송신신호의 레벨변화에 연동되게 수신경로상의 필터경유정도를 조정함으로써, 레벨이 높은 송신신호가 존재할 때에는 그 송신신호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송신신호의 레벨이 낮을 때에 수신신호의 감도가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송신기로 제공되는 송신신호의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이 소정치 이상이면,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다수번 필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신호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이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무선 송수신기의 수신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에 대해 소수번 필터링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은 상기 송신기의 AGC 제어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소정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다이버시티 구조의 무선 송수신기의 서브 수신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방법.
  4.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형태의 송신신호를 제공받아 무선 송신하기 위한 형태로 변형하여 제1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 형태의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1수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상기 제1안테나로 제공하고, 상기 제1안테나로부터의 수신신호를 상기 제1수신기로 제공하는 듀플렉서와,
    제2안테나를 통해 무선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제공받아 베이스밴드 형태의 수신신호로 변환하는 제2수신기와,
    상기 제2안테나와 상기 제2수신기 사이에 연결되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수신경로 상에 필터 수를 조절하여 연결하는 필터부와,
    상기 송신신호의 존재여부 및 송신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수신경로 상의 필터 수를 제어하는 모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은 상기 송신기의 AGC 제어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소정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수의 필터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신호의 레벨은 상기 송신기의 AGC 제어신호의 레벨이 소정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 소정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소수의 필터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노이즈 제거장치.
KR1020040097131A 2004-11-24 2004-11-24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KR10105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131A KR101050625B1 (ko) 2004-11-24 2004-11-24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US11/286,171 US7450906B2 (en) 2004-11-24 2005-11-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ross modulation noise in a wireless trans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131A KR101050625B1 (ko) 2004-11-24 2004-11-24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933A KR20060057933A (ko) 2006-05-29
KR101050625B1 true KR101050625B1 (ko) 2011-07-19

Family

ID=3646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131A KR101050625B1 (ko) 2004-11-24 2004-11-24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50906B2 (ko)
KR (1) KR1010506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775B1 (ko) * 2004-12-07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 수신기 다이버시티 구조에서 잡음 제거 장치
US10181872B1 (en) 2017-07-21 2019-01-15 Synaptics Incorporated Impulse response filtering of code division multiplexed signals in a capacitive sens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387A (ko)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의 신호 절환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6575A (en) * 1982-12-13 1984-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o transceiver
ZA965340B (en) * 1995-06-30 1997-01-27 Interdigital Tech Corp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5862461A (en) * 1995-08-31 1999-01-19 Sony Corpora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of received signal
US6819938B2 (en) * 2001-06-26 2004-11-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calib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I20012598A (fi) * 2001-12-31 2003-07-01 Nokia Corp Menetelmä vastaanottimen toiminnan varmistamiseksi ja radiola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387A (ko) * 2003-05-09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의 신호 절환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50906B2 (en) 2008-11-11
US20060111132A1 (en) 2006-05-25
KR20060057933A (ko) 200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4311B2 (en) Multimod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7221758A (ja) 電話信号除去回路、デジタル放送受信回路及び携帯用デジタル放送受信器
CN114270713A (zh) 具有衰减混频器的阻塞器的接收机电路
KR20060082444A (ko) 무선 송수신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213760B (zh) 用于无线收发器的输入三阶截止点控制的设备和方法
KR101050625B1 (ko) 무선 송수신기의 cm 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KR20130065485A (ko) 저잡음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수신장치 및 이의 입력 신호 처리 방법
KR10169142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 장치
KR100728293B1 (ko) 감쇠 기능을 갖는 튜너 및 그 제어방법
KR100329262B1 (ko) 중계기에서 고주파 수동소자 상호변조 왜곡신호의 제거회로
JP2926574B1 (ja) 高周波折り返し送受信回路と該回路を含む送受信無線装置
KR1003017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장치의 스퓨리어스 제거방법
JP3922099B2 (ja) 無線通信装置
JP2940583B2 (ja) 無線送受信装置
CN110809332A (zh) 一种基站及基站的通信方法
KR10030378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파우어 부스터 회로
JPH10107683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2007266811A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93866Y1 (ko) 주파수 대역 편파 감쇄기
JP2003008468A (ja) デジタル無線機
KR2000006752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수신 트랜시버 제밍 제거장치
KR19990085914A (ko)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 수신기
JP2009303101A (ja) 無線通信装置
KR200405277Y1 (ko) 기지국의 송신전력 검출 장치
KR20070031161A (ko) 수신신호 세기에 따른 수신경로 선택기능을 가진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