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544B1 -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544B1
KR101047544B1 KR1020100006455A KR20100006455A KR101047544B1 KR 101047544 B1 KR101047544 B1 KR 101047544B1 KR 1020100006455 A KR1020100006455 A KR 1020100006455A KR 20100006455 A KR20100006455 A KR 20100006455A KR 101047544 B1 KR101047544 B1 KR 10104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black
unit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익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휴대형 장치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의 해상도 또는 설정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클리핑/스케일링부; 및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출력 신호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최대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임계값 미만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최소값으로 변경하는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개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문자의 크기가 작거나 또렷하지 않은 문서 이미지가 사용자가 판독하기 쉽도록 개선 처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휴대형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형 장치의 일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이 점점 다양화되면서, 단순한 전화통화를 위한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 통신 및 사진 촬영 등이 가능한 다기능 멀티미디어 장치로 진화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예를 들어, 카메라로 2차원 바코드를 촬영 및 판독하여 지정된 무선 인터넷 공간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등의 카메라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기능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의 경우 물리적으로 임의의 대상을 촬영하여 이를 확대하는 기능은 구비하고 있으나, 촬영한 이미지의 확대는 전체적인 화면의 선명도를 감소시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특히 문자 판독을 위한 촬영의 경우 사용자가 그 내용을 정확히 판독할 수 있는 정도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문자의 크기가 작거나 또렷하지 않은 문서를 사용자가 판독하기 쉽도록 임의의 배율로 확대하고 이러한 확대된 문자에 대해 이미지 개선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판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이 낮은 상태 또는/및 초점이 정확히 맞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인 경우에도 또렷한 문자 인식이 가능한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경화면과 문자와의 이미지 대비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가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은 문자나 흐릿한 문자의 판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단순한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문자 판독이 가능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제품 개발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의 해상도 또는 설정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클리핑/스케일링부; 및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출력 신호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최대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임계값 미만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최소값으로 변경하는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개선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미지 개선부는, 상기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값 변환에 의해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개선부는, 출력 신호 크기가 최대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문자 색상으로 처리하고, 출력 신호 크기가 최소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배경 색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클리핑/스케일링부로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개선 처리 방법으로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의 해상도 또는 설정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출력 신호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최대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임계값 미만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최소값으로 변경하는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개선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미지 개선 처리 방법은, 상기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흑백 영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 흑백 영상 데이터로의 변환을 위해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값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개선 처리 방법은, 출력 신호 크기가 최대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문자 색상으로 처리하고, 출력 신호 크기가 최소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배경 색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색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개선 처리 방법은,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선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 중 선택 정보가 입력된 임의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의 크기가 작거나 또렷하지 않은 문서를 사용자가 판독하기 쉽도록 임의의 배율로 확대하고 이러한 확대된 문자에 대해 이미지 개선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판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이 낮은 상태 또는/및 초점이 정확히 맞지 않은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인 경우에도 또렷한 문자 인식이 가능한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배경화면과 문자와의 이미지 대비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가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은 문자나 흐릿한 문자의 판독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매우 단순한 이미지 처리 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문자 판독이 가능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제품 개발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클리핑(clipping)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선명화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변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될 수 있는 "…부", "…기",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클리핑(clipping)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형 장치는 제어부(10), RF부(21), 모뎀(23), 오디오 처리부(25), 키패드(27), 메모리(29), 카메라부(50), 이미지 처리부(60) 및 표시부(70)을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부(60)는 신호 처리부(60a), 클리핑/스케일링부(60b) 및 영상 코덱부(60c)를 포함한다.
RF부(21)는 휴대형 장치가 외부 매체와 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23)은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모뎀(23)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모뎀(23)은 제어부(10)의 일 구성 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모뎀(23)을 통해 송신되도록 한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기능키에는 예를 들어 메뉴키, 확인키, 카메라 기능 키, 포토 앨범모드 키, 돋보기 모드 설정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형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돋보기 모드 설정여부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scaling)하지 않고, 클리핑하여 표시부(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돋보기 모드 환경설정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카메라 촬영모드 또는 돋보기 모드 설정여부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클리핑하거나 스케일링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해당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데이터 메모리에 일시 저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10)는 휴대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는 키패드(27)를 이용한 돋보기 모드 설정키 입력시,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지 않고 클리핑하여 표시하도록 포토 앨범모드 환경을 설정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는 포토 앨범 모드 실행시, 돋보기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클리핑하여 영상 데이터의 일정 영역이 확대된 영상을 표시부(70)를 통해 출력하거나, 스케일링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의 전체 영상을 표시부(70)를 통해 출력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카메라(50)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부(60a)는 카메라(5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클리핑/스케일링부(60b)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신호 처리부(60a)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돋보기 모드 설정 여부에 따라 클리핑하거나 스케일링한다. 클리핑/스케일링부(60b)는 처리를 위해 영상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코덱부(60c)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인코딩하고, 포토 앨범 모드인 경우 메모리(2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표시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고, 카메라 촬영시 이미지 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70)는 돋보기 모드 설정시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29)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클리핑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며, 방향키의 움직임에 따라 그 일정 영역을 이동하며 표시한다. 이때, 클리핑에 의해 실제 영상 데이터의 일정 영역만이 표시부(70)에 표시됨으로써, 확대된 것처럼 보이게 된다.
도 2에는 클리핑(clipping)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돋보기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0)는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되거나 메모리(29)에 저장된 (a)와 같은 영상 데이터(즉, 원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70)의 해상도에 맞게 클리핑하도록 이미지 처리부(60)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b) 또는 (c)와 같은 영상 데이터(즉, 처리 영상 데이터)가 표시부(70)를 통해 출력된다. 이 경우, 작은 해상도(예를 들어, 320 x 240)의 표시부(70)에서는 카메라(50)를 통해 촬상되는 큰 크기(예를 들어, 1280 x 960)의 원시 영상 데이터가 한꺼번에 표시될 수 없으므로, 이미지 처리부(60)를 통한 클리핑에 의해 큰 크기의 원시 영상 데이터 중 일부가 잘라져 표시되어지며, 이로써 해당 영상이 확대된 것처럼 표시부(70)에 표시된다. 그러나, 돋보기 모드가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0)는 이미지 처리부(60)를 제어하여 카메라(50)에 의해 촬영되는 큰 크기의 원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70)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한 작은 크기의 처리 영상 데이터가 표시부(70)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는 메모리(29)에 저장된 이미지를 단순히 확대하여 표시부(70)에 표시하거나, 실제로 촬영되는 영상의 일부분을 표시부(70)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촬영시 조도가 어둡거나 초점이 정확히 맞지 않는 경우 문자의 판독이 불가능하거나 문자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선명화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변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형 장치는 카메라부(310), 이미지 처리 유닛(320), 표시부(330), 제어부(340), 메모리(350) 및 입력부(36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신호 처리부(322), 클리핑/스케일링부(324) 및 이미지 개선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휴대형 장치는 오디오 처리부, 마이크, 스피커 등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형 장치가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모뎀 등의 구성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카메라부(310)는 실시간 프리뷰(preview) 영상을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하거나 영상 데이터 전자파일을 생성하여 메모리(350)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한다. 카메라부(310)는 피사체를 촬영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카메라부(310)는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문자 판독 기능 실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오토 포커스(auto focus) 기능 및 해당 기능의 수행을 위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개선부(326)에 의한 이미지 개선 처리시 영상 데이터를 흑백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되므로, 카메라부(310)는 고가의 컬러 이미지 센서 대신 저가의 흑백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 개선부(326)는 영상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영상 데이터 변환부라 칭해질 수도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개선 처리를 수행하며, 신호 처리부(322), 클리핑/스케일링부(324) 및 이미지 개선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영상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버퍼 메모리, 카메라부(310)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의 인코딩 및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코덱부 등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322)는 카메라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예를 들어 비트맵(bitmap) 등과 같은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클리핑/스케일링부(324)는 신호 처리부(322)에 의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30)의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잘라내거나 사용자가 요구하거나 미리 설정된 배율로 확대/축소 처리한다. 예를 들어, 클리핑/스케일링부(324)는 문자 판독 기능이 실행된 경우 카메라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전술한 돋보기 모드 수행 방식과 유사하게 확대된 듯한 효과가 부여되도록 클리핑하여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거나, 해당 영상이 사용자가 요구한 배율로 확대되어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은 문자 이미지가 카메라부(310)를 통해 입력된 경우, 클리핑/스케일링부(324)는 해당 문자 이미지를 지정된 배율로 확대 처리하여 (b)와 같은 문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개선부(326)는 클리핑/스케일링부(324)에 의해 클리핑되거나 확대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다양한 원인(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의 해상도 제약, 이미지 확대시 추가/삭제되는 영상 정보의 왜곡 등)에 의한 선명도 하락 현상을 후처리를 통해 선명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문자 판독이 곤란한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의 문자 판독이 용이한 선명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선명한 영상 데이터로의 변환을 위해, 이미지 개선부(326)는 먼저 컬러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변환을 통해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도 5의 (c)는 (b)와 같은 컬러 문자 이미지가 흑백 문자 이미지로 변환한 경우를 예시한다. 만일 카메라부(310)가 흑백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라면, 이미지 개선부(326)에 의한 흑백 영상 데이터로의 변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컬러 영상 데이터를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하기 수학식 1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컬러 영상 데이터를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다양한 수학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수학식 1]
그레이 스케일 값(grey scale값) = (Red + Green + Blue) / 3
전술한 수학식 1에 의해 변환된 흑백 영상 데이터는 도 4의 (a)와 같이 연속적인 형태의 신호 세기(즉, 진하기 정도)를 가진다.
이어서, 이미지 개선부(326)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예를 들어 실험적, 통계적으로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미지 개선부(326)는 임계값에 의한 필터링 방식의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위해 임계값 이상인 출력 신호 크기를 가지는 픽셀인 경우 출력 신호 크기를 최대값으로 변경 적용하고, 임계값 미만인 출력 신호 크기를 가지는 픽셀인 경우 출력 신호 크기를 최소값(예를 들어, 0)으로 변경 적용한다. 이러한 이미지 선명화 처리에 의해, 희미한 경계 부분을 중심으로 배경색에 가까운 부분과 글자색에 가까운 부분의 차이가 명확해질 수 있다. 도 5의 (d)는 (c)와 같은 흑백 문자 이미지를 선명화 처리한 문자 이미지를 예시한다.
마지막으로, 이미지 개선부(326)는 미리 지정된 글자 표시 방식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글자 표시 방식에 의해 설정된 글자 색상(예를 들어, 검정색)과 배경 색상(예를 들어, 흰색)에 따라 표현되도록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표시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전술한 이미지 개선 처리에 의해, 조명이 낮은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문자 이미지)이거나 초점이 덜 맞은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도 배경색과 글자색에 대한 출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배경과 글자 영역을 구분할 수 있고, 해당 영역별로 구분하여 강조함으로써 또렷하게 문자 인식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이미지 개선부(326)는 문자 판독 기능이 실행된 경우에만 이미지 개선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통상의 영상 데이터 확대나 축소 등의 스케일링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등에서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 개선 처리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부(33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메시지, 이미지 처리 유닛(320)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제어부(340)는 휴대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판독 기능 실행 여부, 임계값, 확대/축소 설정(예를 들어, 배율 등), 배경/문자 색상 지정 등 중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이미지 개선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미지 처리 유닛(3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3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독립된 메모리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형 장치의 동작 수행에 필요하거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판독 기능의 실행 여부에 따른 처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각 프로그램들의 수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50)에는 설정된 임계값, 확대/축소를 위한 디폴트 배율 설정, 배경/문자 색상 지정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입력부(360)는 숫자 및/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기능키에는 예를 들어 메뉴키, 확인키, 카메라 기능 키, 포토 앨범모드 키, 돋보기 모드 설정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360)는 하드웨어 구조의 키패드 및/또는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되고 터치 감응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순서도는 문자 판독 기능 실행에 의해 카메라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부(330)에 출력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메모리(350)에 이미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유사한 과정을 통해 이미지 개선 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자명해질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카메라부(3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 620에서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330)의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잘라내거나 사용자가 요구하거나 미리 설정된 배율로 확대/축소 처리한다.
이어서,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미지 처리 유닛(320)에 의해 처리될 영상 데이터가 카메라부(310)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라면, 제어부(340)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이미지 센서의 특성을 참조하여 흑백 영상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당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350)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도 제어부(340)는 해당 영상 데이터의 특성(예를 들어, 데이터 크기 등)을 이용하여 흑백 영상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340)의 판단 결과에 따른 제어에 의해, 단계 640 또는 단계 650으로 진행될 것이다.
만일, 해당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640으로 진행하여,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변환 처리를 통해 해당 영상 데이터를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러나 만일 해당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인 경우 또는 그레이 스케일 변환 처리에 의해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 경우라면 단계 650으로 진행한다.
단계 650에서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이용하여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수행한다. 이미지 선명화 처리를 위해,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예를 들어 임계값 이상인 출력 신호 크기를 가지는 픽셀인 경우 출력 신호 크기를 최대값으로 변경 적용하고, 임계값 미만인 출력 신호 크기를 가지는 픽셀인 경우 출력 신호 크기를 최소값(예를 들어, 0)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은 예를 들어 실험적, 통계적으로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단계 660에서 이미지 처리 유닛(320)은 이미지 선명화 처리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배경/문자 색상 처리를 수행하고,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되도록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 크기가 최대값으로 변경 적용된 픽셀에 대해서는 문자 색상으로 처리될 수 있고, 출력 신호 크기가 최소값으로 변경 적용된 픽셀에 대해서는 배경 색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문자 색상과 배경 색상의 설정은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정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이미지 개선 처리에 의해, 조명이 낮은 상태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문자 이미지)이거나 초점이 덜 맞은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도 배경과 글자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로 식별되도록 강조됨으로써 또렷하게 문자 인식이 가능한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이미지 처리 방법은 휴대형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10 : 카메라부
320 : 이미지 처리 유닛
322 : 신호 처리부
324 : 클리핑/스케일링부
326 : 이미지 개선부
330 : 표시부
340 : 제어부
350 : 메모리
360 : 입력부

Claims (11)

  1. 휴대형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의 해상도 또는 설정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클리핑/스케일링부; 및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출력 신호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컬러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 처리되어 가지는 값들 중 최대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임계값 미만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컬러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 처리되어 가지는 값들 중 최소값으로 변경하는 영상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값 변환에 의해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변환부는, 출력 신호 크기가 최대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문자 색상으로 처리하고, 출력 신호 크기가 최소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배경 색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클리핑/스케일링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6. 휴대형 장치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으로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의 해상도 또는 설정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출력 신호 크기가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컬러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 처리되어 가지는 값들 중 최대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임계값 미만인 픽셀의 출력 신호 크기를 컬러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로 변환 처리되어 가지는 값들 중 최소값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정된 영상 데이터가 흑백 영상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흑백 영상 데이터가 아닌 경우, 흑백 영상 데이터로의 변환을 위해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값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출력 신호 크기가 최대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문자 색상으로 처리하고, 출력 신호 크기가 최소값으로 변경된 픽셀에 대해서는 설정된 배경 색상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색상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선행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 중 선택 정보가 입력된 임의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미지 변환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00006455A 2010-01-25 2010-0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04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55A KR101047544B1 (ko) 2010-01-25 2010-0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455A KR101047544B1 (ko) 2010-01-25 2010-0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544B1 true KR101047544B1 (ko) 2011-07-07

Family

ID=4492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455A KR101047544B1 (ko) 2010-01-25 2010-01-25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192A (ko) * 2022-01-19 2023-07-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장치에서 물방울 인식을 이용한 수액 투여 속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78B1 (ko) 2001-09-29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내의 오브젝트 영역 추출방법
KR20060118524A (ko) * 2003-12-05 2006-11-23 톰슨 라이센싱 필름 그레인 패턴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필름 그레인시뮬레이션 기법
KR20070074742A (ko) * 2006-01-10 2007-07-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배율 변환 디지털 영상 처리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배율 변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678B1 (ko) 2001-09-29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내의 오브젝트 영역 추출방법
KR20060118524A (ko) * 2003-12-05 2006-11-23 톰슨 라이센싱 필름 그레인 패턴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필름 그레인시뮬레이션 기법
KR20070074742A (ko) * 2006-01-10 2007-07-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배율 변환 디지털 영상 처리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배율 변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192A (ko) * 2022-01-19 2023-07-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장치에서 물방울 인식을 이용한 수액 투여 속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920B1 (ko) * 2022-01-19 2023-12-2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장치에서 물방울 인식을 이용한 수액 투여 속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597B1 (ko) 광학 촬영 방법 및 장치
JP4718950B2 (ja)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97849A1 (en) Methods,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cessing images using multiple image buffers
KR102558385B1 (ko) 비디오 증강 제어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EP17223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iz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US20070162878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JP200631151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112269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image compression
EP17250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special effects in image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00028315A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JP2007088959A (ja)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047544B1 (ko)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장치 및 그 이미지 처리 방법
WO2019061185A1 (zh) 对图片进行数字签名的方法及终端
CN115205164B (zh) 图像处理模型的训练方法、视频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1447360A (zh) 应用程序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JP4251643B2 (ja) 画像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3836072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07201935A (ja) 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841728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10162268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20130048730A1 (en) Terminal device
CN116703701B (zh) 一种图片裁剪方法及电子设备
US201702017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6668773B (zh) 增强视频画质的方法与电子设备
CN116723416B (zh)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