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325B1 -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325B1
KR101047325B1 KR1020090080638A KR20090080638A KR101047325B1 KR 101047325 B1 KR101047325 B1 KR 101047325B1 KR 1020090080638 A KR1020090080638 A KR 1020090080638A KR 20090080638 A KR20090080638 A KR 20090080638A KR 101047325 B1 KR101047325 B1 KR 10104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equipment
facility
operating
s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3050A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25B1/en
Priority to PCT/KR2010/005772 priority patent/WO2011025293A2/en
Publication of KR2011002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25B1/en
Priority to KR1020110086230A priority patent/KR101233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건축물 및 각종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대설비 및 각종 플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속 설비(이하 함께 설명할 경우에는 ‘설비’라 함) 각각의 운영상태를 그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반지름의 크기, 색상의 종류 및 농도를 사용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표시하는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 및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200)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200)가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평가하고 판별하는 상태 판단부(300), 그리고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각 섹터에 반지름과 색상의 종류 및 농도의 변화를 이용한 부채꼴 그래프를 이용하여 해당설비의 운영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관리자의 입력을 받아들여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로서, 설비의 운영상태가 정상상태에서 벗어날수록 상기 부채꼴 그래프의 반지름이 더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운영상태를 한 개의 동심원과 동심원내의 섹터들로 일시에 신속 정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절감이 가능하고, 감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large-scale buildings and various plant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rality of subsidiary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subsidiary facilities constituting various plants (hereinafter, together with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 and plant facilities in which each operational state is represented by a fan-shaped graph using the size of the radius, the type of color, and the concentration in the corresponding concentric sector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for collecting data and information for evalu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nd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to evaluate and determin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ies.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nd a sector graph using a change in the radius, color, and concentration of each sector on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are used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and to accept the input of the manager. A facility operation state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user interface unit 400 for processing, the greater the radius of the fan-shaped graph a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is out of the normal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observe the operating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quipment to one concentric circle and sectors in the concentric circle at a time and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power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monitoring quality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설비 운영상태감시, 건축물설비, 플랜트설비, 동심원 표시, 부채꼴 그래프 Equipment operation status monitoring, building equipment, plant equipment, concentric circles, fan graph

Description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for architecture and plant facilities}Apparatus and method of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for architecture and plant facilitie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부대설비 및 각종 플랜트의 부속설비들의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대설비 및 각종 플랜트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속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그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반지름의 크기, 색상의 종류 및 농도를 사용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표시하는 건축물 및 플랜트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ng conditions of auxiliary facilities of a building and various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rating state of each of a plurality of auxiliary facilitie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facilities constituting various pla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building and plant operating state, which is represented by a sector graph using the size of a radius, the type of color, and the concentration of a sector in a concentric circle.

대형빌딩, 대규모 공공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형 건축물에는 예컨대 기계설비, 전기설비,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소방설비, 방송통신설비, 엘리베이터설비, 주차관제설비, 출입관리설비, 조명제어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부대설비(Supporting Facility)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대설비들은 각각 매우 다양하고 수많은 부속기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들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대설비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야 한다.Large buildings such as large buildings, large public facilities, residential complexes, and large apartment complexes include, for example, mechanical equipment, electrical equipment, air conditioning equipment, water supply and drainage equipment, fire fighting equipmen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equipment, elevator equipment, parking control equipment, and access control equipment. Various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lighting control facilities are installed. Each of these accessories is very diverse and consists of numerous accessories.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buildings optimally,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whether the auxiliary facilities are operating normally.

또한 발전소, 화학공정 플랜트, 각종 제조공장과 같은 플랜트들은 통상 다수 의 부속설비(Subsystem)들로 구성되고 이들 부속설비들은 다시 다수의 상세 부속설비나 단위기기들로 구성된다. In addition, plants such as power plants, chemical process plants, and various manufacturing plants are usually composed of a number of subsystems, which in turn are composed of a number of detailed accessories or unit equipment.

예컨대 발전소의 경우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 발전기 및 보조기기 시스템, 보일러 및 보조기기 시스템, 주 급수 시스템, 응축수 시스템, 연료공급 시스템, 냉각수 시스템, 순환수 시스템, 보조증기 시스템과 같은 부속설비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작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플랜트가 목적하는 제품을 원하는 품질 수준과 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플랜트를 구성하는 상기 부속설비들의 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최적의 운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power plants, accessories such as turbine and auxiliary system, generator and auxiliary system, boiler and auxiliary system, main water supply system, condensate system, fuel supply system, cooling water system, circulating water system and auxiliary steam system are mutually organic. Work in conjunction to produce electricity. Therefore, in order to produce the desired product at the desired quality level and cost, the plant must continuously monitor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bove-mentioned equipments in real time and maintain optimal operation.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대형빌딩, 대규모 공공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형 건축물들에 부속하는 다양한 부대설비와 상술한 발전소 및 화학공정 플랜트를 비롯한 각종 플랜트를 구성하는 모든 부속설비에 대하여 편의상 '설비' 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various auxiliary facilities attached to large buildings such as large buildings, large public facilities, residential complexes, and large apartment complexes, and all auxiliary facilities constituting various plant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power plants and chemical process plants are described. For convenience, the term 'equipment' will be described.

종래의 설비 감시 시스템은 주로 각 설비의 공급회사가 제공하는 감시 모니터 또는 설비의 축소모형(mimic) 감시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운영상태 정보를 제공하였다. 주로 상기 설비의 구성도(structural diagram) 또는 흐름도(functional flow diagram)를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고,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설비 부분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깜빡임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부수적으로 상황을 설명하는 간단한 텍스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The conventional facility monitoring system mainly provides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 monitoring monitor provided by a supplier of each facility or a mimic monitoring panel of the facility. Mainly, the structural diagram or functional flow diagram of the facility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and when an abnormality occur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part is changed or displayed using blinking, and the situation is briefly explained. The method of outputting text on the screen has been mainly us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니터 또는 감시반을 동시에 감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감시자가 필요하므로 안정적인 설비 운영을 위해서는 많은 감시 인력이 요구되고 감시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a plurality of monitors are required to simultaneously monitor a plurality of different monitors or monitor panels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a large number of monitoring personnel are required for stable facility operation and monitor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또한 특정설비가 점차 비정상상태 또는 고장상황으로 접근해 가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요 파라미터들이 설정해 놓은 한계값(Limit Value)을 초과하여야만 비로소 경보를 울리고 감시자에게 통보하는 경보체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감시자가 이상상황을 미리 발견하여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a specific facility gradually approaches abnormal or malfunctioning conditions, the alarm system is used to alarm and notify the monitor only when the critical parameters exceed the set limit valu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find in advance.

그리고 하나의 설비가 오작동함에 따라 고장이 파급되어 다른 설비들도 비정상상태로 작동하게 되는 경우, 비 정상상태로 작동하는 모든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단순히 평면적으로 나타냄으로써 고장발생의 선후관계(Sequence of Event)의 규명이 어렵고 따라서 적정시간 내에 고장의 근본원인을 발견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못함으로써 대형사고 또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개연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when one equipment malfunctions, the failure spreads and other equipments operate abnormally.Sequence of Event by simply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all the equipments operating in abnormal status flatly. )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causing a major accident or enormous economic loss by not discovering the root cause of failure and taking necessary measures within a reasonable ti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니터 또는 감시반을 대신하여 전체 설비들의 이상 유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한 종합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quickly and easily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entire facilities in place of a plurality of different monitors or monitors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It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equipment operation statu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비정상상태로 접근해 가는 경우, 기 설정된 한계값을 초과하기 이전에도 사용자가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비정상상태로의 접근 상황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a facility capable of displaying an access situation to an abnormal state so that the user can cope with it in advance even if the operating state of each facility gradually approaches an abnormal state, even before exceeding a preset limit value. It is to provide a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설비나 기기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른 설비나 기기들도 연쇄적으로 이상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황이 벌어진 선후관계를 신속히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원인의 조기 발견과 조치가 가능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d the cause of the failure early by quickly tra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tuation, even if the failure of one equipment or equipment is spread and other equipment or equipment also enter the abnormal state in a chain It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a facility that can be overhaul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설비의 상태판단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판단부, 상태 판단 결과를 동심원 상의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섹터(sector)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동심원의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설비의 운영상태가 비정상 상태임을 나타낸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status determination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nd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 facility including a status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a user interface unit for performing and displaying a calculation in a sector graph on a sector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on the concentric circle. In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the graph indicates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is abnormal as it mov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그리고 상기 동심원은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섹터로 구분되고, 상기 각 설비의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에 부채꼴의 형태로 표시된다.The concentric circle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and a graph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facilities is displayed in a sector shape in a sector corresponding to the facilities.

이때,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 상기 부채꼴그래프의 반지름의 길이에 따라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그리고 비상정지상태로 구분되고, 추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한 상태 파악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 상기 그래프는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색상과 색상의 농도로도 구분된다. 특히 정상정지 상태는 반지름이 0인 경우에 해당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is divided into normal stop state, normal operation state, boundary operation state, emergency operation state, and emergency stop stat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fan-shaped graph, and further prompts the user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state. In order to enable the graph, the graph is also divided into colors and concentrations of color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In particular, the normal stop state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radius is zero.

그리고 상기 동심원은 운영상태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주 동심원과 주 동심원 사이에 주 동심원이 나타내는 운영상태 내에서의 운영상태의 양호나 불량 정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세부 동심원들로 구성된다. The concentric circles are composed of a main concentric circle representing a boundary between operating states and a detailed concentric circle for representing in detail the degree of good or bad operation in the operating state represented by the main concentric circle between the main concentric circles.

또한 상기 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비정상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부채꼴의 원주 가장자리로 갈수록 해당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의 기준농도보다 색농도가 점차 진해지도록 표시되고,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색농도가 점차 연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aph is displayed such that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gradually changes to an abnormal state, the color concentration becomes gradually darker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of the col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toward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fan shape. The concentration may be indicated to gradually soften.

그리고 상기 그래프는 그래프의 전체 길이를 결정짓는 요인이 되는 주요 상태 파라미터 외에도 점차 정상값에서 벗어나고 있는 주요 파라미터가 추가로 존재 하는 경우 해당 파라미터로 판정되는 부채꼴 경계를 그래프 내부에 추가로 가질 수 있고 상기 내부 그래프도 중심에서 해당 내부 경계로 갈수록 점차 색 농도가 높아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The graph may additionally have a fan-shaped boundary determined by the parameter when there are additional main parameters that are gradually deviating from the normal values in addition to the main state parameters that determine the overall length of the graph. The graph may also be displayed such that the color intensity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corresponding inner boundary.

또한, 상기 그래프는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경우, 진동범위에 해당되는 두 동심원 섹터들 구간의 색농도가 동일한 농도로 진하게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vibrates unstable, the graph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concentration of the color concentration of the two concentric sector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range.

이때, 상기 운영상태 감시장치는 감시할 설비의 종류 및 설비의 상세 구성내용,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의 기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의 입력방법 및 주기, 동심원의 수 및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의 위치와 중심각, 색농도 표시 기준값, 부채꼴 그래프의 디스플레이 및 여타 상태 정보 입출력 방법을 DB, 지식기반(Knowledge-base)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그래프를 포함한 운영상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orresponds to the type of equipment to be monitored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equipmen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us of each equipment, the method and period for inputting the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status determination, the number of concentric circles and the equipment. The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graph, receives input from DB, knowledge base or user with the location and center angle of the sector, the reference value of color concentration, the display of sector graph and other status information input / output metho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ore.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한 두 설비 고장의 여파로 다수의 설비들의 운영상황이 이상 상황으로 바뀌는 경우 이상 상황의 원인을 추적하기 위하여 지나간 시간의 상기 동심원 그래프들을 작은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may simultaneously display the concentric graphs of time passed in small time intervals in order to track the cause of the abnormal situation whe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s changed to an abnormal situation in the aftermath of one or two facility failures.

또한 상기 운영상태 관련정보는 필요시 상태판단과 관련된 주요 계측값들의 현재값, 현재값의 추이 정상상태에서의 계측값의 범위, 해당 계측값을 사용하여 경보를 내거나 트립을 시키기 위해 세팅된 상하한 값들을 표시하는 계측값 띠(measurement stripe)를 포함하는 계측값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related information is the upper and lower limits set to alert or trip using the present value of the main measured values related to the status determination, the range of measured values in the normal state of the current value, the corresponding measured value if necessary And a measurement table including a measurement stripe indicating the values.

한편, 본 발명은 데이터 수집부, 상태 판단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에서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 단계와, (b)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판단 단계와, (c)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상태 판단 결과를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a facility in a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data collection unit, a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a user interface unit (a)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a data collection step for collecting data; and (b) a status determination step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data in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c) at the user interface unit.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for displaying a result of the state determination in a sector graph on a concentric secto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facility oper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복수 개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운영상태를 동시에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을 절감하고, 감시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since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operating stat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manpower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and improve the monitoring efficiency.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각 설비가 점차 비정상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점차 정상상태로 회복하는 경우, 그리고 상태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경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관리자가 변화하는 상황도 신속히 인지하고 미리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case in which each equipment gradually changes to an abnormal state, gradually recovers to a normal state, and a case in which the state vibrates unstable. It is also possible to quickly recognize and respond to changing circumstanc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설비의 운영상태 변화를 짧은 시간 간격으로 역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수의 이상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상황 발생의 선후관계와 고장 원인의 추적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형사고 또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ce back the change in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at short time intervals, so that even when one failure is spread out and a plurality of abnormal situations occur simultaneously, The cause of the failure can be trac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 large accident or a huge economic loss.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building and pla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는 복수 개의 설비(110,120,130,140,150,160,170)의 운영상태를 동시에 감시한다. 상기 복수 개의 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변전설비(110), 공조설비(120), 급배수설비(130), 급배기설비(140), 엘리베이터 설비(150), 소방설비(160), 그리고 통신설비(170)를 포함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형빌딩, 대규모 공공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형 건축물들에 부속하는 기계설비, 전기설비, 공조설비, 위생설비, 소방설비, 방송통신설비, 엘리베이터설비, 주차관제설비, 출입관리설비, 조명제어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설비는 각종 발전소 및 각종 플랜트를 구성하는 다양한 설비들을 포함하는 용어이다.As shown in Figure 1,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110,120,130,140,150,160,170). As shown in FIG. 1,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nclude a water substation facility 110, an air conditioning facility 120, a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y 130, an air supply and exhaust facility 140, an elevator facility 150, and a fire fighting facility 160. And a communication facility 17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echanical, electrical, air-conditioning, sanitary, fire-fighting,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and elevators are attached to large buildings such as large buildings, large public facilities, residential complexes, and large apartment complexes. It may include various equipment such as equipment, parking control equipment, access control equipment, lighting control equipment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s a term including various facilities constituting various power plants and various plants.

상기 복수 개의 설비(110,120,130,140,150,160,170)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정보와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200)가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는 상태판단부(300)에 전달된다. 상기 상태판 단부(3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110,120,130,140,150,160,170)의 운영상태를 판단한다. Information and data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110, 120, 130, 140, 150, 160, 170) is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And the information and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300. The status plate end 300 determin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110, 120, 130, 140, 150, 160, 170)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00)는 상기 상태판단부(300)로부터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 결과를 통보받아 상기 설비(110,120,130,140,150,160,170)의 운영상태를 각 설비에 해당하는 동심원 상의 섹터에 부채꼴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낸다.The user interface unit 400 is notified of the operation state determination result of each facility from the state determination unit 300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ies 110, 120, 130, 140, 150, 160 and 170 in a sector-like graph on a sector on a concentric circle corresponding to each facility.

여기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부채꼴 섹터 그래프를 포함하는 동심원 차트(chart)는 계층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계층구조는 건축물 또는 플랜트 전체의 주요 설비들의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최상위 계층의 동심원 차트와, 다시 상기 각 주요 설비들을 구성하는 상세 부속 설비나 기기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차상위 계층의 동심원 차트로 구성되며, 필요시 더욱 세분하여 내려가며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주요 설비(110,120,130,140,150,160,170) 중 수변전설비(110)를 구성하는 세부 설비로서 MOF설비, 주차단기설비, 전등동력1설비, 전등동력2설비, 일반동력설비, 비상동력설비, 냉동기동력설비, 비상발전기설비 등을 지정할 수 있고, 화력발전소의 경우에는 최상위 계층의 주요 설비로서 터빈 및 보조기기시스템, 발전기 및 보조기기시스템, 보일러 및 보조기기시스템, 주급수시스템, 응축수시스템, 냉각수시스템, 순환수시스템, 보조증기 시스템 및 전기시스템등을 지정할 수 있고, 다음에 주요설비 중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의 차상위 세부 구성 설비로서 고압터빈, 중압터빈, 저압터빈, 복수기, 수증기 제어 밸브 계통, 조속기 계통, 윤활유 계통, 터닝기어 계통, 밀봉증기 계통, 추기 차단 밸브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설비나 기기별로 더욱 상세하게 세분하며 하위계층으로 내려갈 수 있다.Here, a concentric chart including a sector sector graph indicating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composed of a concentric circle chart of the highest tier represen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ain facilities of the building or the entire plant, and a concentric circle chart of the next higher tier represen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tailed subsidiary facilities or devices constituting the main facilities. If necessary, it is further subdivided. For example, among the main facilities (110, 120, 130, 140, 150, 160, 170) as a detailed equipment constituting the water substation (110), MOF facilities, parking short-term equipment, light power 1 equipment, light power 2 equipment, general power equipment, emergency power equipment, refrigeration power equipment, Emergency generator facilities can be designated, and in the case of thermal power plants, the main facilities of the highest level are turbines and auxiliary equipment systems, generators and auxiliary equipment systems, boilers and auxiliary equipment systems, main water supply systems, condensate systems, cooling water systems, and circulating water. System, auxiliary steam system and electric system can be designated.The next high-level detailed construction equipment of turbine and auxiliary equipment system among the main equipment is high pressure turbine, medium pressure turbine, low pressure turbine, condenser, steam control valve system, governor system, lubricating oil. The system, turning gear system, sealed steam system, bleed-off valve, etc. can be specified. It can be subdivided in more detail and descended into lower layers.

이하 특히 건축물의 부대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차트를 지칭할 경우에는 FAST(Facility Availability Status Tracking)차트, 그리고 플랜트의 부속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 차트를 지칭할 경우에는 POST(Plant Operating State Tracking)차트라 각각 부르기로 한다. Hereinafter, in the case of referring to a concentric circle chart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xiliary facilities of the building, a facility availability state tracking (FAST) chart and a plant operating state tracking in the case of referring to the concentric chart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ccessory facilities of the plant Let's call each chart.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계측값들의 상태를 나타낸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able showing the state of the measurement values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계측값의 테이블은 계측값의 태그 번호, 계측값의 명칭, 현재의 계측값, 계측값의 단위, 계측값의 유효성(Validity) 여부, 계측 띠(Measurement Value Stripe), 증감 속도값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계측 띠에는 주요 계측값들의 전체계측 범위, 현재값, 현재값의 추이, 정상상태에서의 계측값의 범위, 해당 계측값을 사용하여 경보를 내거나 트립을 시키기 위해 세팅된 상하한 값들이 표시된다. 이러한 계측값 테이블은 운영상태 표시 부채꼴 그래프에 대한 상세 설명을 위해 관련 계측값을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을 경우 나타낸다.As shown in FIG. 2, the table of measured values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g number of a measured value, a name of a measured value, a current measured value, a unit of a measured value, and a measured value. It is composed of the validity (Validity),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ment Value Stripe), the increase and decrease rate valu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band displays the total measurement range, present value, trend of the present value, range of measured values in the normal state, and upper and lower values set to alert or trip using the corresponding measured values. do. This measurement table is shown 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the relevant measurement values fo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al state display sector graph.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설비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건축물 B의 FAST차트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of the FAST chart of the building B showing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설비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FAST차트는 동심원으로 표시된다. 상기 동심원은 부채꼴 모양의 복수 개의 섹터로 구분되는데, 각 섹터는 동심원이 나타내는 건축물의 각 주요 설비에 대응된다. 각 주요설비는 다시 해당 설비를 구성하는 세부설비나 기기들로 세분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세부설비나 기기들은 현 동심원 차트상에서 해당 주요 설비를 나타내는 섹터를 세분하여 세부섹터로 나타내거나 해당설비를 나타내는 하위의 FAST 차트를 생성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AST chart showing the facility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concentric circles. The concentric circle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ors of a fan shape, and each sector corresponds to each major facility of the building represented by the concentric circles. Each major facility can be subdivided into detailed facilities or devices that make up the facility.In this case, the detailed facilities or devices can be subdivided into sectors representing the major facility on the current concentric chart and represented as detailed sectors or represent the facility. You can also create and display a lower FAST chart.

상기 각 섹터에 해당하는 설비의 운영상태는 섹터 내부에 부채꼴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내며 운영상태가 정상 상태에서 점차 벗어날수록 그래프의 반경이 점차 커지게 되며 반경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음과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corresponding to each sector is represented by a fan-shaped graph inside the sector, and the radius of the graph gradually increases as the operating state deviates from the normal state, and means the following stat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adius. .

즉, 최 내측의 동심원인 제1동심원(510)의 내부는 설비가 정상으로 운영되는 상태인 정상운영상태(Normal Operating State)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동심원(510)의 외측에 도시되는 제2동심원(520)은 설비의 운영상태가 주의를 요하는 상태인 경계운영상태(Alert Operating State)의 경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2동심원(520)의 외측에 도시되는 제3동심원(530)까지는 설비의 주요 운영 파라미터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설정한 한계값을 초과하여 경보가 울리는 상태인 비상운영상태(Emergency Operating State)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3동심원(530)의 외측에 도시되는 제4동심원(540)은 설비가 비정상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나타내며 다시 그래프를 표시하는 색상에 따라 자체원인으로 정지되는 고장정지상태(Emergency Trip State)와 파급원인으로 정지되는 비상정지상태(Emergency Stop State)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최외측에 도시되는 제5동심원(550)은 설비의 가동여부를 나타낸다.That is, the inside of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which are innermost concentric circles means a normal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equipment is normally operated. Next,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shown outside of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indicate a boundary of an alert operating state in which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requires attention. In addition, an emergency operating state in which an alarm sounds to a third concentric circle 530 shown outside of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520 exceeds a limit set by some or all of the main operating parameters of the facility. Means. Next, the fourth concentric circles 540 shown on the outer side of the third concentric circles 530 indicate an abnormally stopped state of the equipment and are stopped by their cause according to the color displaying the graph again. ) And Emergency Stop State, which are stopped due to ripple causes. Finally, the fifth concentric circles 550 shown on the outermost side indicate whether the equipment is in operation.

상기 제5동심원(550)은, 더욱 세분하여 현재 정지중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리보수상태(Maintenance and Repair State)와 기동대기상태(Stand-by State)로 구분된다. 그리고 현재 가동중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다시 기동진행상태(Start-up State), 전체가동상태(Full Operation State), 부분가동상태(Partial Operation State), 그리고 정지진행상태(Shut-down State)로 구분된다.The fifth concentric circles 550 are further divided into maintenance and repair states and stand-by states when indicating that they are currently stopped. In case of indicating that it is in operation, it is divided into Start-up State, Full Operation State, Partial Operation State, and Shut-down State. .

여기서 상술한 운영상태의 구분은 설비의 특성에 따라 달리하거나 증감할 수 있다.The division of the operation state described above may vary or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또한 상기 동심원은 상술한 운영상태의 경계를 나타내는 주 동심원 외에 상기 주 동심원의 사이에서 각 운영상태를 더욱 세분하여 나타낼 수 있는 세부 동심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주 동심원 및 세부 동심원의 개수는 건축물 또는 플랜트의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entric circles are configured to include detailed concentric circles that can further represent each operating state among the main concentric circles in addition to the main concentric circles indicating the boundary of the operation state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main concentric circles and the detailed concentric circles described above may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or the plant.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동심원(510)의 내측에 정상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한 색상의 기본농도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변전설비(610)의 제1 세부설비인 MOF설비(611)가 정상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수변전설비(610)에 대응하는 제1 섹터의 제1 세부섹터내의 부채꼴 그래프는 제1동심원(510)의 내측에 정상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정한 색상인 녹색의 기본농도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1동심원(510)의 내측에는 정상상태를 더욱 세분하여 극히 정상, 대체로 정상, 경계상황에 근접한 정상 등의 세부 동심원이 표시되고, 정상상태의 정도에 따라 해당 세부동심원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부채꼴 그래프로 더욱 상세한 운영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is normal, it is displayed as the basic concentration of the color selected to indicate the normal state inside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MOF facility 611 which is the first detailed facility of the water substation facility 610 is in a normal state, the first sector of the first sector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bstation facility 610 is detected. The sector-shaped graph in one detailed sector is displayed as a basic concentration of green, which is a color arbitrarily selected to represent a steady state inside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first concentric circle 510 is further subdivided into a normal state, and a detailed concentric circle such as a normal state, a normal state, a normal state close to a boundary state, etc. is displayed, and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the corresponding detailed concentric circ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normal state. A more detailed operational state can be displayed with a sector graph.

운영상태가 경계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정상상태를 나타내는 제1동심 원(510)과 경계상태를 나타내는 제2동심원(520)의 사이에 현재의 운영상태에 해당하는 반지름의 부채꼴 그래프 전체가 경계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선정한 색상의 기본농도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수설비(630)가 경계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급배수설비(630)에 대응하는 제3 섹터내에 제1동심원(510)과 제2동심원(520)의 사이에 현재의 운영상태에 해당하는 세부동심원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부채꼴 그래프가 경계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정한 색상인 노란색의 기본농도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1동심원(510)과 제2동심원(520)의 사이는 세부 동심원으로 세분되어 더욱 상세한 운영상태가 표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perating state is a boundary state, the entire sectoral graph of the radiu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s between the first concentric circle 510 indicating the steady state and the second concentric circle 520 indicating the boundary state. It is indicated by the default concentration of the color selected to indic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y 630 is in a boundary state,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and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in the third sector corresponding to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facility 630. The fan-shaped graph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detailed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s indicated by the basic concentration of yellow, which is a color selected arbitrarily to indicate the boundary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and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is divided into detailed concentric circles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more detailed operating state.

운영상태가 비상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경계상태를 나타내는 제2동심원(520)과 비상상태를 나타내는 제3동심원(530)의 사이에 비상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의 기본농도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설비(640)가 비상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급배기설비(640)에 대응하는 제4 섹터내의 제2동심원(520)과 제3동심원(530)의 사이에 비상상태의 정도에 따라 선택된 반지름에 해당하는 부채꼴 그래프가 비상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정한 색상인 적색으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2동심원(520)과 제3동심원(530) 사이는 세부 동심원으로 세분되어 더욱 상세한 운영상태가 표시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perating state is an emergency state, a basic concentration of color indicating an emergency state is displayed between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indicating the alert state and the third concentric circles 530 indicating the emergency st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ir supply / exhaust system 640 is in an emergency state,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and the third concentric circles 530 in the fourth sector corresponding to the air supply / exhaust system 640. The fan-shaped graph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adiu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mergency is displayed in red, which is a color randomly selected to represent the emergency. At this time,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and the third concentric circles 530 is divided into detailed concentric circles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played more detailed operating state.

운영상태가 고장 또는 비상정지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고장 또는 비상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제4동심원(540)의 내측의 부채꼴 전체가 고장정지상태 또는 비상정지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선정한 색상의 기본농도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3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수변전설비(610)의 제7 세부설비인 냉동기 동력설비(617)가 고장정지상태인 것으로 감지된 경우, 냉동기 동력설비에 해당하는 섹터 1의 제7 세부섹터내의 제4동심원(54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전체가 고장정지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정한 색상인 자주색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기 동력설비의 고장정지로 인한 여파로 공조설비(620)는 전력 공급을 받지 못해 정지되게 되므로 공조설비(620)에 해당하는 제2 섹터의 제4동심원(540)의 내측에 해당하는 부채꼴의 전체가 비상정지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택한 색상인 적색으로 표시된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operating state is a fault or emergency stop state, the entire fan shape inside the fourth concentric circle 540 indicating the fault or emergency stop state is indicated by the basic concentration of the color selected to indicate the fault stop state or emergency stop state. d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efrigerator power plant 617, which is the seventh detailed facility of the water substation facility 610, is in the faulty stop state, the seventh detailed sector of sector 1 corresponding to the refrigerator power facility. The whole of the fan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ourth concentric circles 540 in the inside is displayed in purple, which is a color arbitrarily selected to indicate the fault stop state. In addition, since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620 is stopped due to the breakdown of the refrigerator power equipment, the fan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fourth concentric circles 540 of the second sector corresponding to the air conditioning equipment 620 is stopped. The whole of is shown in red, the color chosen at random to indicate the emergency stop status.

건축물 또는 플랜트 전체 해당하는 섹터번호 0인 중심 섹터의 경우 부대설비 중 운영상태가 가장 심각한 설비의 상태표시 부채꼴 그래프와 동일하게 나타낸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변전설비(610)의 제7 세부설비인 냉동기 동력설비(617)와 엘리베이터설비(650)의 제2 세부설비인 엘리베이터 B 설비(652)가 현재 고장정지상태이므로 건축물 B를 나타내는 섹터 0에 나타내는 부채꼴 그래프를 고장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제4동심원(540)까지 고장정지를 나타내기 위해 선정한 자주색으로 채워지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center sector with sector number 0 corresponding to the entire building or plan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auxiliary equip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an with the most serious status of the equipmen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refrigerator power facility 617, which is the seventh detailed facility of the water substation facility 610, and the elevator B facility 652, which is the second detailed facility of the elevator facility 650, are currently in a state of failure, The sector-shaped graph shown in sector 0 representing the building B is filled with purple selected to indicate the failure stop to the fourth concentric circles 540 indicating the failure stop state.

최외곽의 동심원인 제5동심원(550)과 고장 또는 비상정지상태를 나타내는 제4동심원(540)으로 둘러싸인 원띠(circle stripe) 부분은 각 섹터 별로 해당 설비의 현재 가동 여부를 나타낸다. 먼저, 해당 설비가 현재 정지상태인 경우에는 수리보수상태(Maintenance and Repair State)를 나타내는 경우와 가동가능상태(Stand-by State)를 나타내는 경우로 나뉘어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해당 설비가 현재 가동상태인 경우에는 기동진행상태, 전체가동상태, 부분가동상태, 정지진행상태로 구분하고, 다시 기동진행상태는 진행 정도에 비례하여 가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선정한 색상으로 상기 원띠를 채워나간다. 즉, 해당 설비가 전체가동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원띠 부분을 가동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모두 채우고, 해당 설비가 부분가동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원띠 부분을 가동 비율에 비례하는 면적만큼 시계방향으로 가동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채워 나간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변전설비(610)의 제1 세부설비인 MOF 설비(611)는 현재 가동되고 있으므로 제1 섹터의 제1 세부섹터에 해당하는 최외곽 원띠는 가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정한 청색으로 채워진다. 마찬가지로 급배수설비(630)도 현재 가동중이므로 역시 청색으로 채워진다. 수변전설비(610)의 제7 세부설비인 냉동기 동력설비(617)와 엘리베이터설비(650)의 제2 세부설비인 엘리베이터 B 설비(652)는 현재 고장정지상태이므로 수리가 필요한 상태이고 따라서 최외곽 원띠가 수리 및 보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선정한 황색으로 채워진다.A circle stripe portion surrounded by the fifth concentric circle 550, which is the outermost concentric circle, and the fourth concentric circle 540 indicating a faulty or emergency stop state indicates whether a corresponding facility is currently operating for each sector. First, when the equipment is currently in a stopped state, it is divided into a case of indicating a maintenance and repair state and a case of a stand-by state. And if the equipment is in the current operating state, it is divided into the starting progress state, the total operation state, the partial operation state, and the stop progress state, and again the start progress state is selected by the color selected to indicate the operation state in proportion to the progress. Fill in. That is, when the equipment is in a fully operated state, the circle part is filled with colors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and when the equipment is in the partially operated state, the circle part is moved clockwise by an area proportional to the operation ratio. Fill it with the color you indica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since the MOF facility 611, which is the first detailed facility of the water substation facility 610, is currently in operation, the outermost circ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ailed sector of the first sector indicates an operating state. It is filled with randomly selected blue. Similarly, since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630 is currently in operation, it is also filled in blue. The refrigeration power plant 617, which is the seventh detailed facility of the water substation facility 610, and the elevator B facility 652, which is the second detailed facility of the elevator facility 650, are in a state of failure and are therefore in need of repair and thus the outermost part. The band is filled with a randomly selected yellow color to indicate repair and maintenance status.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부채꼴 그래프의 표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하게 변화해가는 경우도 표시할 수 있다. 즉, 특정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해가고 있으면,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를 표시하는 부채꼴그래프의 색상을 동심원의 중심으로부터 원주에 다가갈수록 색농도를 기본농도보다 점차 높아지도록 표시한다. 반면에, 특정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중이면,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를 표시하는 부채꼴 그래프의 색상을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농도가 기본농도보다 점차 낮아지게 표시한다. 예컨대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급배기설비(640)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부채꼴 그래프의 반지름은 현재 제2동심원(520)과 제3동심원(530) 사이에 있으므로 현재 비상상태에 있고 원주로 갈수록 점차 색상의 농도가 진해 지므로 현재 상태가 점점 더 심각해 지고 있어 고장정지가 임박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method of the fan-shaped graph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case where the operating state of a particular equipment gradually changes unstable. That is, if the operation status of a particular equipment is gradually changing to an unstable state, the color of the sector graph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is displayed so that the color concentration becomes higher than the basic concentration as it approaches the circumference from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status of a particular equipment is gradually changing to a good condition, the color of the fan-shaped graph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equipment is displayed as the color concentration becomes lower than the basic concentration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radius of the fan-shaped graph represen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upply / exhaust facility 640 is currently between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and the third concentric circles 530, and thus is in an emergency state and gradually becomes color toward the circumference. As the concentration of is increased, the current state becomes more and more serious, indic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mergency stop is imminent.

또한, 특정설비의 현재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부채꼴 그래프의 반지름을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주요 상태변수 외에도 가까운 시간 내에 해당설비의 운영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로 변하고 있는 또 다른 주요 상태 변수 당하는 부채꼴 그래프를 본래 그래프의 내부에 추가로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급배기설비(640)는 현재 비상상태에 있고 점차 운영상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그에 더하여 제1동심원(510)과 제2동심원(520) 사이에도 색상의 농도가 진해지는 내부 부채꼴이 있으므로 현재는 경계상태에 해당되나 점차 상태가 나빠지는 또 다른 요인이 있어 주의를 요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의 운영상태 판단에 주로 영향을 미친 주요 상태 변수값이나 요인 외에도 가까운 시간 내에 설비의 운영상태 변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큰 또 다른 상태변수나 요인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e main state variables that have had a decisive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radius of the sector graph indicat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a particular plant, another major state variable that is changing enough to affect the operational status changes of the facility in the near term. Display the graph further inside the original graph.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supply / exhaust system 640 is currently in an emergency state, and its operating state is becoming more serious. In addition, an internal fan shape in which the density of colors increases between the first concentric circles 510 and the second concentric circles 520 is increased. Therefore, the current state of alertness, but there is another factor that gradually worsens, indicating a situation that requires attention. Therefor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main state variable values or factors mainly affecting the current operation state determination, there are other state variables or factors that are likely to affect the operation state change of the facility in a short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dicate.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FAST차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계층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최상위 계층의 FAST차트는 건축물 B 전체의 주요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부채꼴 섹터 그래프들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최상위 FAST차트의 상단 정 중앙의 섹터는 섹터번호 0을 부여하고 건축물 B 전체설비에 대응한다. 섹터 0에 표시되는 부채꼴 그래프는 건축물 B의 설비 전체의 운영상태를 취합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운영상태가 가장 심각한 설비 두 세 개를 선택하여 상술한 그래프의 길이와 색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최상위 계층을 구성하는 주요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섹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섹터에 대응하는 설비의 상세 구성 설비나 기기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하위의 FAST차트가 보조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하위 FAST차트의 섹터 0은 상위 차트에서 선택된 설비에 대응하고 다시 하위 FAST차트의 각 섹터는 선택된 설비의 상세 구성 설비나 기기들에 대응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섹터에 대응하는 설비의 운영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욱 상세하게 제공하기 위해 해당 섹터와 관련된 텍스트 설명, 해당 설비의 구성도 또는 흐름도를 이용한 상태표현 또는 전술한 계측값 테이블을 하위 FAST차트와 함께 보조화면 또는 윈도우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 chart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top-level FAST chart includes sector sector graphs represen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main facilities of the entire building B. At this time, the sector at the top center of the uppermost FAST chart is assigned sector number 0 and corresponds to the entire building B facility. The sector graph shown in sector 0 shows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entire building B facility. For example, a graph may be displayed using a method of selecting two or three of the most severe operating states and displaying the length and color of the graph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lects and clicks any one of the secto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ajor facilities constituting the highest hierarchy, the lower FAST chart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equipment or device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ctor is assist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Sector 0 of the lower FAST chart corresponds to the equipment selected in the upper chart, and again, each sector of the lower FAST chart corresponds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equipment or devices of the selected equipment. 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ctor, a text description related to the sector, a state expression using a configuration diagram or a flowchart of the equipment, or the above-described measured value table in the lower FAST chart. In addition, it can be displayed on the sub screen or window.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GUI에 따르면, 각 섹터내의 부채꼴 그래프에 의해 표시된 설비의 운영상태에 대하여 하위의 동심원 차트와 텍스트설명, 설비의 구성도 또는 흐름도 및 주요 계측값 정보를 통해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설비의 정확한 운영 상태 판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GUI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quipment represented by the sector graph in each sector is more detailed through the lower concentricity chart and text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diagram or flowchart of the equipment, and the main measured value information. Since th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rect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method for monitoring facility oper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 랜트 운영상태 감시방법은 건축물 및 플랜트의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고 GUI로 나타내기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입력받는 기본정보에는 설비구성 정보,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을 위한 주요 상태 변수의 종류와 변수값의 수집 방법 및 주기, 감시서버가 따로 있는 설비의 경우 해당 서버와의 통신 프로토콜 및 교환가능 정보내용, 각 설비별 상태판단기준,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의 계층구조 및 각 차트의 섹터 구성내용,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결과를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상의 해당 부채꼴 그래프의 길이 및 색상의 농도로 변환하는 기준, 디스플레이 윈도우 구성 및 입출력 내용과 방법,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주기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building and pla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from the step of receiving the bas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facility of the building and plant and indicate by GUI It becomes (S100). The basic information that is input includes the equip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type and method of collecting the main status variables and the variable values for judg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facility,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exchangeable information with the relevant server in the case of a separate monitoring server. To convert the results of the status judgment of each facility,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FAST chart or POST chart, the sector composition of each chart, and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to the length and color density of the corresponding fan graph on the FAST chart or POST chart. It includes criteria, display window composition, input / output contents and method, and operation status judgment cycle for each facility.

다음으로,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설비운영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한다.(S110). 운영 정보와 데이터는 현장에 설치된 센서와 계측기들로부터 수집하며 감시서버를 따로 가지고 있는 설비의 경우에는 해당 감시 서버를 통하여도 수집한다. Next, real-time facility operation information and data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is collected (S110). Operational information and data are collected from sensors and instruments installed in the field, and in the case of a facility that has a separate monitoring server, the monitoring server is also collected.

이어서, 제 110 단계에서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정보로 입력받은 상태판단 기준에 따라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한다(S120). 상태판단은 간단한 경우에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은 경우나 수시로 판단 방법이 변동될 수 있을 경우에는 지식기반 시스템(Knowledge-based system)을 구성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운영상태 판단결과는 FAST차트나 POST차트상에 나타내는 해당설비의 부채꼴 그래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운전상태가 유동적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프 색상의 농도 표시가 가능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Subsequently,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data collected in step 110,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atus determination criteria input as basic information (S120). In the simple case, the judgment is made by using an algorithm, and when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or the judgment method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a knowledge-based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and judged. The operation status judgment result includ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length of the fan-shaped graph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displayed on the FAST chart or the POST chart, and additionally includes information capable of displaying the density of the graph col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status is fluid. do.

여기서 각 설비별 운영 정보와 데이터의 수집 및 운영상태의 판단은 처리할 정보의 양과 긴급성에 따라 필요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병렬 분산처리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적으로는 전체 운영상태 감시 태스크를 관장하는 중앙서버와 각 설비 또는 설비의 그룹을 담당하는 복수의 설비서버가 계층구조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이 구성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는 각 설비별로 운영상태 판단을 위한 소프트웨어 지능 에이전트를 프로세스(process)나 쓰레드(thread)의 형태로 생성하여 태스크를 분담시킬 수 있다.Here, the collection and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s operation information and data can be determined by hardware and software in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amount and urgency of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other words, hardware consists of a central server that manages the entire operation status monitoring task and a plurality of facility servers that are in charge of each facility or group of devices in a hierarchical structure. Tasks can be shared by creating software intelligence agents for processes in the form of processes or threads.

다음으로,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결과를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상의 해당 섹터내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낸다(S130). 이때 사용자 또는 설비 관리자의 신속 정확한 상황판단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시 보조화면이나 윈도우를 이용하여 텍스트 설명, 하위 상세 차트, 해당 설비의 구성도나 흐름도 또는 전술한 계측값 테이블을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status determination result for each facility is shown as a sector graph in the corresponding sector on the FAST chart or the POST chart (S130). In this case, in order to support a quick and accurate situation determination of a user or a facility manager, a text description, a lower detailed chart, a configuration diagram or a flow chart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or the above-described measured value table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by using an auxiliary screen or a window if necessary.

다음으로 사용자가 FAST차트나 POST차트의 특정 섹터위치를 click하거나 여타 입력 예를 들면 메뉴버튼이나 텍스트 입력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40). 입력이 없으면 다시 단계 110으로 돌아가 루프를 반복한다.Next, it is checked whether the user clicks a specific sector position of the FAST chart or the POST chart or performs other input, for example, a menu button or text input (S140). If no input, go back to step 110 and repeat the loop.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처리한다(S150). 먼저 FAST차트나 POST차트상에서 특정 섹터 위치를 선택하여 클릭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섹터에 대응하는 설비의 하위 차트가 있을 경우 해당 하위차트가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별도로 해당설비의 운영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 도움이 될 경우 운영상태에 대한 텍스트 설명과 해당설비의 구성도, 흐름도 또는 계측값 테이블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하나의 설비나 기기 고장의 여파로 여러 설비나 기기의 운영상태가 이상상태로 진전될 경우 상황발생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상에 마련하는 SOE(Sequence Of Event) 메뉴 button을 클릭하면 지나간 시간을 고장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편리한 시간간격(time slice)으로 나누어 해당시각의 차트들을 보조화면에 축소된 크기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각 차트별로 직전의 차트와 비교하여 변화된 상태와 상태변화 요인을 텍스트로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된 축소 차트 중 임의의 차트를 클릭할 경우 해당 차트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If there is a user input, it processes it (S150). First, when selecting and clicking a specific sector location on the FAST or POST chart, if there is a sub chart of the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ctor, the sub chart is displayed on the sub-screen, 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is displayed in detail. If this is helpful, a textual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status and the schematic, flow chart or measurement table of the installa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Time passed when clicking the SOE (Sequence Of Event) menu button on the interface to identify the pros and cons of the situation when the operation status of several equipment or equipment is abnormally developed due to the failure of one equipment or equipment. The charts are divided into time slices, which are convenient to identify the prognostic relationship between failures, and the charts of the corresponding time are shown in a reduced size on the sub-screen sequentially and compared to the previous chart for each chart. Also shown. In addition, when any chart is clicked among the displayed reduced charts, the corresponding chart is enlarged and display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동시에 신속 정확히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절감이 가능하고, 감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설비나 기기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수의 설비나 기기 운영상태가 이상상황으로 진전되는 경우에도 상황발생의 선후관계규명이 용이하여 신속한 고장 원인 추적과 대처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observe the operating status of each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power for monitor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facility, and to improve the monitoring quality. In case of failure of a single equipment or equipment, and a large number of equipment or equipment operation statuses are developed in an abnormal situ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and cope with the cause of failure by identifying the prognostic relationship of the situation.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and plant 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계측값들의 상태를 기록한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table recording the state of the measured values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설비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 차트를 도시한 예시도.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centric chart showing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onitoring facility oper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도 1:Figure 1:

110: 수변전설비 120: 공조설비110: water substation equipment 120: air conditioning equipment

130: 급배수설비 140: 급배기설비130: water supply and drainage equipment 140: air supply and drainage equipment

150: 엘리베이터설비 160: 소방설비150: elevator equipment 160: fire fighting equipment

170: 통신설비 170: communication equipment

200: 데이터 수집부 300: 상태 판단부200: data collection unit 300: state determination unit

4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400: user interface unit

도 3:Figure 3:

510: 제1동심원 520: 제2동심원510: first concentric circles 520: second concentric circles

530: 제3동심원 540: 제4동심원530: third concentric circle 540: fourth concentric circle

550: 제5동심원550: fifth concentric circles

610: 수변전설비 610: water substation equipment

611: MOF설비 612: 주차단기설비611: MOF facility 612: Parking short-term facility

613: 전등전력1설비 614: 전등전력2설비613: lamp power 1 facility 614: lamp power 2 facility

615: 일반동력설비 616: 비상동력설비615: general power plant 616: emergency power plant

617: 냉동기동력설비 618: 비상발전기설비617: Refrigerator power plant 618: Emergency generator plant

620: 공조설비 630: 급배수설비620: air conditioning equipment 630: water supply and drainage equipment

640: 급배기설비640: air supply and exhaust equipment

650: 엘리베이터설비650: elevator equipment

651: 엘리베이터 A 652: 엘리베이터 B651: elevator A 652: elevator B

653: 엘리베이터 C653: elevator C

660: 소방설비 670: 통신설비660: fire fighting equipment 670: communication equipment

680: 주차관제설비 690: 출입관리설비680: parking control system 690: access control equipment

Claims (16)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부와;A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그리고A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operation state of the facility by using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unit; And 상기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에 있어서,In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for a building and a plant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in which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f the facilities in the concentric secto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i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as an origin. 상기 그래프는 길이가 짧을수록 대응하는 설비의 운영상태가 양호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The graph is a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er the length indicates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equipment is in a goo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상기 그래프의 길이에 따라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그리고 비상정지상태로 구분되고: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graph, it is divided into normal stop state, normal operation state, alert operation state, emergency operation state, and emergency stop state: 상기 그래프는,The graph,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색상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그래프는,The graph,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농도가 점차 높아지도록 표시되고,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농도가 점차 낮아지도록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is gradually changed to an unstable state, the color concentration is displayed to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s, and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is gradually changed to a good state, the color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s Equipment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entration is displayed to gradually decreas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그래프는,The graph,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한 진동을 반복하는 경우, 진동하는 상태의 구간에 해당하는 동심원 사이의 색농도가 진하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repeats the unstable vibration, the equipment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concentration between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of the vibrating state is displayed dark.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동심원은,The concentric circles, 상기 설비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주 동심원들과, 주 동심원들 사이에 보다 상세한 운영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세부 동심원들로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로 구분되며, 각 설비의 운영상태는 대응하는 섹터내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고, 다시 각 섹터는 해당 설비를 구성하는 상세설비에 대응하는 세부 섹터로 나뉘는 동심원차트(char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It is composed of the main concentric circles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quipment and the detailed concentric circles for showing a more detailed operating status between the main concentric circles, at the same time divided into secto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equipment,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equipment A sector operating apparatus, wherein each sector is composed of concentric charts divided into sub-sector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equipment constituting the equipment.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동심원차트는,The concentric circle chart, 동심원상의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내의 임의의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다시 해당설비가 전체 차트에 해당되는 하위의 동심원차트를 나타내어 해당설비를 구성하는 세부 설비나 기기들의 상세 운영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계층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If you click on any position in the sector corresponding to each equipment on the concentric circle with the mouse, the equipment again shows the lower concentric chart corresponding to the whole chart, so that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detailed equipment or devices that constitute the equipment can be displayed.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ierarchical structur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상세 운영상태는,The detailed operation state, 하나의 설비 고장의 여파로 복수개의 설비의 운영상태가 이상 상황으로 진전되는 경우, 지나간 시간의 동심원 차트들을 작은 시간 간격(time slice)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내어 고장의 파급상황과 전체 이상상황의 원인 추적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When the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progresses to an abnormal situation in the aftermath of a single facility failure, the concentricity charts of past time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small time slices to track down the ripple situation and the cause of the overall abnormal situation.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facilitat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설비의 상세 운영상태 표시에 있어서,In displaying the detailed operating status of the equipment, 상태 판단과 관련된 주요 계측값들의 전체계측범위, 현재값, 현재값의 추이, 정상상태에서의 계측값의 범위, 해당 계측값을 사용하여 경보를 내거나 트립을 시키기 위해 세팅된 상하한 값들을 표시하는 계측값 띠(measurement stripe)를 포함하는 계측값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Displays the total measurement range, present value, trend of the present value, range of measured values in the normal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limits set to alert or trip using the measured value. And a measurement value table including a measurement stripe. 데이터 수집부, 상태 판단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장치에서,In the facility operating state monitoring device including a data collection unit, a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a user interface unit, (a)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a) collecting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data collection unit; (b) 상기 상태 판단부에서 상기 수집된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b) determining, by the state determining unit,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by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data; And (c)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동심원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and (c) displaying, by the user interface unit, an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in a sector graph on a concentric circ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acilities in a sector graph. 상기 설비 운영상태가 양호할수록 대응하는 그래프의 길이를 짧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The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corresponding graph is displayed as the facility operating status is bett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상기 그래프의 길이에 따라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그리고 비상정지상태로 구분되고: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graph, it is divided into normal stop state, normal operation state, alert operation state, emergency operation state, and emergency stop state: 상기 그래프는,The graph,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색상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 영상태 감시방법.Color monitoring method of th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acility.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게 표시하고: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가 점차 낮아지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gradually changes to an unstable state, the intensity of the color is gradually displayed towar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entric circle.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concentration of gradually decrease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한 진동을 반복하는 경우, 진동하는 상태의 구간에 해당하는 동심원 사이의 색상농도를 진하게 표시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If the operating state of the equipment repeats the unstable vibration, the equipment operating status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out to display the color concentration between the concentric circles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of the vibrating stat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설비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주 동심원들과, 주 동심원들 사이에 보다 상세한 운영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세부 동심원들로 나타내고, 동시에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로 구분하며, 각 설비의 운영상태는 대응하는 섹터내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고, 다시 각 섹터는 해당 설비를 구성하는 상세설비에 대응하는 세부 섹터로 나누어 동심원차트(chart)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The main concentric circles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facility and the detailed concentric circles for more detailed operation status between the main concentric circles are shown, and at the same time divided into secto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facilities,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facility The sector operating method of the equipment operation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or is represented by a sector chart, and each sector is divided into detailed sector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equipment constituting the equipment.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동심원차트는,The concentric circle chart, 동심원상의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내의 임의의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다시 해당설비가 전체 차트에 해당되는 하위의 동심원차트를 나타내어 해당설비를 구성하는 세부 설비나 기기들의 상세 운영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계층구조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If you click on any position in the sector corresponding to each equipment on the concentric circle with the mouse, the equipment again shows the lower concentric chart corresponding to the whole chart to show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detailed equipment or equipment that constitutes the equipment.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상세 운영상태는,The detailed operation state, 하나의 설비 고장의 여파로 복수개의 설비의 운영상태가 이상 상황으로 진전되는 경우, 지나간 시간의 동심원 차트들을 작은 시간 간격(time slice)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내어 고장의 파급상황과 전체 이상상황의 원인 추적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When the operation status of a plurality of facilities progresses to an abnormal situation in the aftermath of a single facility failure, the concentricity charts of past time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small time slices to track down the ripple situation and the cause of the overall abnormal situation. Facility operating status monito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facilitat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설비의 상세 운영상태 표시에 있어서,In displaying the detailed operating status of the equipment, 상태 판단과 관련된 주요 계측값들의 전체계측범위, 현재값, 현재값의 추이, 정상상태에서의 계측값의 범위, 해당 계측값을 사용하여 경보를 내거나 트립을 시키기 위해 세팅된 상하한 값들을 표시하는 계측값 띠(measurement stripe)를 포함하는 계측값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Displays the total measurement range, present value, trend of the present value, range of measured values in the normal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limits set to alert or trip using the measured value.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facility, characterized by using a measurement table comprising a measurement stripe.
KR1020090080638A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KR1010473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en)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PCT/KR2010/005772 WO2011025293A2 (en) 2009-08-28 2010-08-27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es of facilities on the basis of graphical sector representation
KR1020110086230A KR101233264B1 (en) 2009-08-28 2011-08-29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en)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50A KR20110023050A (en) 2011-03-08
KR101047325B1 true KR101047325B1 (en) 2011-07-07

Family

ID=43628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en) 2009-08-28 2009-08-2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KR1020110086230A KR101233264B1 (en) 2009-08-28 2011-08-29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30A KR101233264B1 (en) 2009-08-28 2011-08-29 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047325B1 (en)
WO (1) WO201102529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25B1 (en)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EP2817687B1 (en) 2012-02-23 2016-05-11 ABB Research Ltd. A navigation tool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KR101420769B1 (en) * 2012-11-19 2014-07-21 (주)나다에스앤브이 Factory State Management System Using Factory Management Index
JP2014167765A (en) * 2013-02-28 2014-09-11 Seung-Chul Lee Operation state monitoring device for center graph base facility and method thereof
KR101442754B1 (en) * 2013-04-12 2014-09-25 한국동서발전(주) Alarm system for providing consolidated information
WO2015171600A1 (en) * 2014-05-06 2015-11-12 Brewer Science Inc. User interfa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data
KR102338489B1 (en) * 2014-10-31 2021-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Control problem notify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6901840B2 (en) * 2016-10-14 2021-07-14 三菱パワー株式会社 Guidance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guidanc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949197B1 (en) * 2017-11-20 2019-02-18 이장묵 Insecticidal Chamber Remote Monitering And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30A (en)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왓츠웹 Plant guard equipment and method with network
KR20070095820A (en) * 2006-03-22 2007-10-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Integrated supervision and diagnosis apparatus
KR20080026231A (en) * 2006-09-20 2008-03-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An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system based on digital graphic
KR20090001509A (en) * 2007-04-20 2009-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3859B2 (en) * 1995-02-17 2006-04-05 株式会社東芝 Plant monitoring device
KR100395265B1 (en) * 2000-08-22 2003-08-21 (주)유니엔텍 An integrated operating method for infrastructure and therefor process system
KR101047325B1 (en)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30A (en)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왓츠웹 Plant guard equipment and method with network
KR20070095820A (en) * 2006-03-22 2007-10-0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Integrated supervision and diagnosis apparatus
KR20080026231A (en) * 2006-09-20 2008-03-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An electric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system based on digital graphic
KR20090001509A (en) * 2007-04-20 2009-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264B1 (en) 2013-02-14
KR20110023050A (en) 2011-03-08
KR20120021231A (en) 2012-03-08
WO2011025293A3 (en) 2011-07-21
WO2011025293A2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us of buildings and plants
RU2636095C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status of plant group
JP2014167765A (en) Operation state monitoring device for center graph base facility and method thereof
CN109065135B (en) Hospital logistics equipment full-life-cycle management cloud platform, method and system
JP2018503344A (en) Integrated hazard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system
CN102436226A (en) Online monitoring and condition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CN101649757B (en) Start-stop monitoring system of steam turbine generator unit
JP2014032672A (en) Systems and methods to monitor asset in operating process unit
JPH0626672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isplaying diagnosis
KR102063702B1 (en) Motor state monitor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diagnosis system and diagnosis method thereof using monitoring result
CN206948490U (en) Video monitoring running status real-time online visualizing monitor emergency system
CN108918781A (en) A kind of hydrogen sulfide gas on-line monitoring system
CN117409526A (en) Electrical fire extremely early warning and monitoring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Jharko et al. Diagnostic tasks in human-machine control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s
CN201397465Y (en) Toggle monitoring system of steamer generator set
CN108120475A (en) The data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of a kind of piping lane
JP2021521548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electromechanical machines and predicting failures
KR101896442B1 (en) System, Server and Method for monitoring wind plant with ICT fusion
CN115393142A (en) Intelligent park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latform
KR20160126609A (en) Building energy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2300924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Monitoring of State of Nuclear Power Plant
CN109690693A (en) Make the method and its system of the large-scale multiple reactors of integrated monitoring screen integrated monitoring
KR102512805B1 (e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and method thereof
JP2010025497A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program
JP2004240746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iagnosis of distributed power sourc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