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8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모드 동안에 배터리 절감을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모드 동안에 배터리 절감을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83B1
KR101045483B1 KR1020087027989A KR20087027989A KR101045483B1 KR 101045483 B1 KR101045483 B1 KR 101045483B1 KR 1020087027989 A KR1020087027989 A KR 1020087027989A KR 20087027989 A KR20087027989 A KR 20087027989A KR 101045483 B1 KR101045483 B1 KR 10104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escriptor
transmission
uplink channel
downlink chann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350A (ko
Inventor
비자이 지. 수브라마니안
아난드 에스. 베데카르
스타브로스 자비다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크.
Publication of KR20090008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104)에 의한 수신을 위해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 방법은 DCD 및/또는 UCD에 대한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인터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사이의 시간에 송신된다. 송신 시간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DCD 및 UCD 중 적어도 하나를 탐색하는 시간 인터벌을 감소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DCD 정보 및/또는 UCD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특정 선택된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104)에 송신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배터리 절감, 포인터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모드 동안에 배터리 절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TERY SAVING DURING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절감하기 위한 네트워크 절차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과거 수년에 걸쳐 크게 발전되어 왔다.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스트리밍 비디오 및 오디오와 같은 광대역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지칭되는 액세스 포인트로 구성된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은 통상 "셀"로 지칭된다. 무선 디바이스들은 이동하여 다른 기지국들에 접속함에 따라 다른 셀들로 로밍한다. 통상, 기지국들은 네트워크, 그 구조 및 그 성능 뿐만 아니라 특정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규칙적으로 송신한다. 이들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어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또한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적절한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대부분의 무선 통신 표준 및 기술 에서,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분명히 크고 네트워크에 의해 연속적으로는 송신되지 않는다. 대신에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는 각 기지국이 오버헤드 및 무선 리소스의 이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의하는 일부 시간 스케줄에 따라 송신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통상 제한된 수명을 가지는 배터리 상에서 동작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배터리 리소스를 보존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그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동작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현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추가적인 동작 모드, 통상 "유휴상태 모드(idle mode)"라 불리는 동작 모드를 도입하는 것이다. 정상 동작 동안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각 액티브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을 기지국 레벨까지 추적하고, 즉 각 모바일 디바이스가 임의의 주어진 시각에 어느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 지를 항상 알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와의 일부 종류의 통신에는 액티브하게 관여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 레벨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훨씬 조잡한 레벨로 추적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라디오 수신기 및 송신기를 스위치 오프할 수 있고 따라서 배터리 리소스를 보존한다. 이것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휴상태 모드로 들어가도록 허용함으로써 수행된다. 통상, 유휴상태 모드에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은 통상 "페이징 그룹"이라 불리는 기지국 그룹의 레벨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추적된다.
유휴상태로 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라디오 및 다른 기능들을 스위치 오프 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의한 모든 송신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유휴상태로 된 무선 디바이스는 통상 "페이징 청취 인터벌"이라 불리는 짧은 시간 동안에 주기적으로 웨이크 업(wake up)되어 네트워크의 송신을 여전히 모니터링한다. 이것은 네트워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임의의 인커밍 트래픽을 통지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무선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sleep mode)에 있는 경우, 우리는 통상 "슬리핑 기간"에 있는 것으로 말한다. 슬리핑 대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스케줄 및 상대 지속기간은 각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상이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가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에 머물고 있는 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무선 디바이스에는, 유휴상태 모드에 들어가는 경우에, 기지국에 의해 특정 슬리핑 및 페이징 인터벌 스케줄이 주어진다. 청취/페이징 인터벌 스케줄은 통상 각 유휴상태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되는 파라미터 세트를 통해 정의된다. 이들 파라미터들은 통상 페이징 주파수 및 페이징 오프셋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조합하여 무선 디바이스가 얼마나 자주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 및 트래픽 통지에 대해 가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정의한다. 통상, 다른 가용성 레벨에 대해, 각 페이징 그룹에서 다수의 스케줄들이 구성되고, 무선 디바이스는 유휴상태 모드로 들어가는 경우에 가용한 스케줄들 중 하나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자신이 다른 기지국의 영역에 이동하였는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담당하지만, 다른 페이징 그룹의 영역으로 로밍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 단지 통지만하면 된다.
현대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상 그 영역(그 셀) 내에서 무선 송신을 통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것은 통상 기지국에 의해 다음 시간 유닛 동 안에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스케줄이 그 셀 내의 모든 무선 디바이스에 주기적으로 통신되는 일부 슬롯팅된 시간 구조를 강제함으로써 수행된다. 하나의 셀에서 송신을 통제하는데 이용되는 시간 유닛은 통상 "프레임"으로 지칭된다. 각 프레임의 시작시에, 기지국은 최소량의 식별 정보를 송신하여 각 무선 디바이스가 통신된 스케줄의 발원지를 알도록 한다. 이러한 정보는 증가된 주파수 송신으로 인해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프레임 크기는 5msec 또는 심지어 1msec의 수준이다. 각 프레임의 시작시에 대량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오버헤드를 증가시키고 시스템 리소스를 허비한다. 기지국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 및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채널의 구조에 관한 다른 세부사항과 같은 정보 및 현재 이용 중인 세팅이, 훨씬 덜 자주 발생하는 더 큰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위해 예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유휴상태의 무선 디바이스는 다른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 기지국의 영역으로 로밍하는 경우에,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로밍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적절한 액션(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는 다른 페이징 그룹으로 로밍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 통지해야 한다)을 결정하기 위해,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송신, DCD/UCD를 기다려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DCD/UCD 송신의 스케줄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무선 디바이스는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정보가 나타날때까지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모든 후속 프레임을 모니터링해야 하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불필요하게 소모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설명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극복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을 위해,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또는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에 대한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인터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사이의 시간에 송신된다. 송신 시간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탐색하는 시간 인터벌을 감소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 및/또는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의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인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한다. 방법은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이 발생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송신 시간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을 모니터링한다.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사이의 새로운 시간 인터벌을 결정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을 통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정보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선택하고, 그리고나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한다.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슬리핑 및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타이밍 스케줄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으로부터 로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용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타이밍을 이용한다. 이러한 정보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또는 현재 셀의 브로드캐스트 제어 포인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상이한 페이징 그룹에 속할 수 있는 인접하는 셀들의 DCD/UC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현재 기지국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들)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인접하는 셀의 DCD/UC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의 장점은 시분할 듀플렉싱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이 연장된다는 점이다. 브로드캐스트 제어 포인터("BCP") 정보 요소는 DCD/UCD의 송신 사이에 송신된다. BCP는 무선 디바이스에 UCD/DCD가 송신되는 프레임을 통지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DCD/UCD 정보를 수신하는데, 모든 프레임에 비교할 때 그 지정된 프레임만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킨다.
추가적으로, 페이징 그룹의 각 셀은 그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주파수 및 오프셋을 결정한다.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청취 인터벌 동안에, 페이징 그룹의 하나 이상의 셀은 BCP를 송신한다. 이것은 페이징 그룹으로 들어가고 있는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면, 새로운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파라미터가 없는 무선 디바이스)가 BCP에 의해 표시된 프레임만을 모니터링하여 DCD/UC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
최종적으로, 기지국은 이러한 기지국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인접하는 셀의 DCD/UCD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이웃 광고 "MNA"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 현재 이러한 기지국의 셀 내의 임의의 유휴상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들이 이 영역에 로밍하기 이전에도 인접하는 셀의 DCD/UCD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고 이들이 인접하는 셀들 중 하나에 로밍하는 경우에, 새로운 셀이 상이한 페이징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 및 추가 액션이 필요한 지 여부를 이미 알고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연장된 기간 동안에 깨어있는 상태로 유지될 필요없이, 그 정상적인 웨이킹 스케줄 동안에 그리고 인접하는 셀로 로밍하기에 앞서서 필요한 정보를 얻으므로, 그 배터리 전력을 절감한다.
유사한 참조번호는 수개의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명세서의 일부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추가적으로 도시하고 다양한 원리 및 장점들을 모두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 및/또는 BCP의 DCD/UCD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신호 타이밍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 시퀀스를 도시하는 시그널링 타이밍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CD/UCD 정보의 송신을 가입자 무선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해 BCP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의 DCD/UCD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화된 실시예들이 여기에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것에 불과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여기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청구의 범위에 대한 근거 및 사실상 임의의 적절하게 상세화된 구조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채용하는 당업자들을 가르치기 위한 대표적인 근거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 이용된 용어 및 구문들은 제한적이라기보다는 본 발명의 이해가능한 설명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용어 "하나(a, an)"는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용어 "복수"는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2개 또는 2개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용어 "또 하나(another)"는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제2 또는 그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용어 "포함하는(including)" 및/또는 "구비하는(having)"은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포함하는(comprising, 즉, 개방 언어)으로 정의된다. 용어 "결합된"은 여기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반드시 직접적이거나 기계적으로는 아니더라도 접속된 것으로 정의된다.
용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선택적으로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다수의 다른 타입의 디바이스를 넓게 커버하려는 것이다. 임의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하, 즉 셀룰러 전화기, 모바일 폰, 스마트폰, 양방향 라디오, 양방향 페이저, 무선 메시징 디바이스, 랩탑/컴퓨터, 자동차 게이트웨이, 가정 게이트웨이, 등 중에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를 서로에게 또는 하나 이상의 중앙 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는 모바일 폰 네트워크, 모바일 텍스트 메시징 디바이스 네트워크, 페이저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표준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PRS),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IEEE 802.16 표준 계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멀티플렉싱(OFD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등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는 텍스트 메시징 표준,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인핸스드 메시징 서비스(EMS),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등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는 가능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간의 셀룰러 통신을 통한 푸시-투-토크를 허용한다.
무선 네트워크(102)는 임의의 개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를 지원한다. 무선 네트워크(102)의 지원은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폰, 텍스트 메시징 디바이스, 핸드헬드 컴퓨터, 페이저, 비퍼(beepers) 등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고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은 1) 포켓 PC, 핸드헬드 PC, 팜탑 PC, 또는 개인휴대단말기(PDA), 및 2) 모바일 전화기의 조합이다. 더 일반적으로는, 스마트 폰은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 처리 성능을 가지는 모바일 전화기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간의 메시 네트워킹을 허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네트워크(102)는 예를 들면 IEEE 802.16e 표준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활용하여 광대역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듀플렉싱 스킴 TDD는 단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방향으로의 신호 송신을 허용한다.
802.16e("WiMax") 시스템은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DCD")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UCD")로 지칭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를 브로드 캐스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 명칭들은 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지칭한다. 또 하나의 가능한 듀플렉스 스킴은 다운스트림 및 업스트림 통신이 동시에, 그러나 다른 주파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이다. 유의할 점은, 본 발명이 802.16e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3GPP(장기간 에볼루션 또는 UMTS-TDD 버전), 3GPP2 에볼루션, 및 802.20과 같은 다른 그러한 표준들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정보를 비-연속적인 방식으로 송신하고, 브로드캐스팅하며 시스템에 가입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유휴상태 모드 주기를 구현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단지 TDD 스킴만을 이용하는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듀플렉스 스킴이 전체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되거나, TDD는 시스템(100)에서 가용한 통신 채널의 일부에만 이용되는 동안에 하나 이상의 스킴들이 나머지 통신 채널에 이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 기지국(110, 112)은 기지국 컨트롤러("BSC")(114, 116)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 기지국 컨트롤러(114, 116)는 DCD/UCD 송신기(118, 120), BCP 송신기(122, 124) 및 MNA 송신기(138, 140)를 포함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DCD/UCD 송신기(118, 120), BCP 송신기(122, 124) 및 MNA 송신기(138, 140)는 무선 시스템에서 다른 페이징 컨트롤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각 BSC(114, 116)에 상주하는 페이징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DCD/UCD 송신기(118, 120), BCP 송신기(122, 124) 및 MNA 송신기(138, 140)는 무선 시스템(100)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그룹을 제어하는, 중앙 서버(108)에 상주하는 페이징 컨트롤러(126)에 의해 제어된다. BSC(114, 116) 및 그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는 802.16e 표준 또는 TDD를 지원하는 임의의 다른 통신 스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는 TDD뿐만 아니라 또는 그 대신에 다른 듀플렉싱 스킴을 지원하는 다른 액세스 스킴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디바이스(104, 106)가 유휴상태 모드에 있는 동안에 기지국(110, 112)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을 모니터링하는 유휴상태 모드 모니터(128, 13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는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워크(102) 상에서 통신하는 모든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처리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 서버(108)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각 중앙 서버(108)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106)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102)를 통해 와이드 영역 네트워크(132), 로컬 영역 네트워크(134), 및 공중 전화 교환망(136)에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들 네트워크들 각각은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텍스트 메시지를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 전송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08)는 페이징 컨트롤러(126)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컨트롤러(126)는 특정 페이징 그룹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페이징 기능을 제어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컨트롤러(114)의 더 상세화된 뷰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이 BSC(114)에 대한 것이지만, 페이징 컨트롤러가 DCD/UCD 송신기, BCP 송신기, 및 MNA 송신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중앙 서버(108)에도 적용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BSC(114)는 각각의 기지국(110)의 외부에 상주하고 그 각각의 기지국(11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BSC(114)는 그 각각의 기지국(110) 내에 상주한다. BSC(1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적응된 적합하게 구성된 처리 시스템에 기초하고 있다. 임의의 적합하게 구성된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BSC(114)로서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BSC(114)는 컴퓨터(202)를 포함한다. 컴퓨터(202)는 메인 메모리(206), DCD/UCD 송신기(118), BCP 송신기(122), MNA 송신기(138), 대량 저장 인터페이스(208), 터미널 인터페이스(210), 및 네트워크 어댑터 하드웨어(212)에 접속되는 프로세서(204)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버스(214)는 이들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상호접속시킨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DCD/UCD 송신기(114)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또는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를 송신한다. 이들 디스크립터들은 채널 파라미터, 송신기 및 수신기 세팅, 등과 같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요구되는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크립터들은 기지국이 속하는 모든 페이징 그룹의 ID와 같이, 너무 커서 모든 프레임의 시작시에 송신될 수 없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한다. 셀에 가입하기를 원하는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셀의 ID 정보, 다운링크 채널의 구조 및 업링크 채널의 구조와 연관된 정보 등을 각 디스크립터로부터 수신한다. DCD 및 UCD는 DCD/UCD 송신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 내에서 송신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BCP 송신기(122)는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게, DCD 및 UCD 정보가 어느 프레임 또는 프레임들에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되어 있는지를 통지하는 BCP를 송신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BCP를 수신하는 경우, DCD/UCD 정보를 가지는 프레임을 디코딩할 때가 되기까지 "슬리핑"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DCD/UCD 정보에 대해 모든 프레임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104, 106)의 배터리 수명, 및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무선 인터페이스 리소스를 절감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BCP 송신기(122)는 그 셀에서 BCP를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시간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BCP 송신기(122)는 주어진 프레임 인터벌에서 DCD/UCD 메시지의 송신 사이에 BCP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30개(30)의 프레임들이 DCD/UCD 메시지의 송신들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에, BCP는 이들 30개의 프레임들 내의 임의의 프레임(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BCP가 DCD/UCD 송신들 사이에서 15번째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BCP를 수신하고, DCD/UCD 정보가 송신되는 31번째 프레임때까지 "슬리핑"할 수 있다. 이것은 단지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DCD/UCD 및 BCP 정보는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BCP는 DCD/UCD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1/3, 1/2, 2/3(등)의 시점에 송신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BCP 송신기(122)는 그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BCP를 수신할 때까지 모든 프레임을 모니터링하고, DCD/UCD 정보를 가지는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슬리핑"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BSC(110)는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을 알고 있거나 예상할 수 있다. 페이징 청취 인터벌은 디바이스(104, 106)가 인커밍 호를 통지받을 수 있도록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BSC(114) 또는 페이징 컨트롤러(118, 심지어 유휴상태 모드에서도)에 자신을 가용하게 만드는 시간의 인터벌이다. 페이징 그룹은 그 가입된 디바이스 모두에 대한 표준 페이징 청취 인터벌을 가질 수 있거나,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휴상태 모드에 들어감에 따라 각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들 중 하나에 할당하는 복수의 청취 인터벌 스케줄을 가질 수 있다. BCP 송신기(122)는 페이징 청취 인터벌 내의 프레임에서 BCP를 송신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메인 메모리(206)는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 모니터(216)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 모니터(216)는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실체 및 그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주파수 및 오프셋을 결정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 모니터(216)는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기지국과 직접적인 피어-투-피어 통신에 의해 이러한 정보를 결정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오프셋/사이클이 기지국(110, 112)에 통지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는 일부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되는 구성 파일, 또는 세팅 및 정보의 형태일 수 있다. 중앙 집중화된 서버가 이러한 정보를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은 과거의 그 페이징 그룹으로부터 건너갔던 인커밍 디바이스로부터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인커밍 디바이스로부터 얻어진 정보는 장래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DCD/UCD 송신을 최적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파라미터를 안 상태에서, 기지국(110)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 및/또는 DCD/UCD 메시지를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페이징 그룹에서 다른 하나로 이전하는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DCU/UCD를 즉시 얻거나 적어도 DCD/UCD 정보가 송신되기로 스케줄링된 때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모든 프레임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배터리 수명을 절감한다. 인커밍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DCD/UCD를 얻음으로써(직접적인 송신 또는 다음 송신의 타이밍을 결정하고 정확한 시간에 그것을 수신하도록 웨이크 업함으로써), 새로운 기지국(110)으로 로케이션 업데이트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그룹내의 페이징 오프셋/사이클이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은 그 인접하는 셀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특정 타이밍을 결정하고, 이들이 동일한 페이징 그룹 내에 있더라도 그 이웃 셀들의 청취 인터벌에서 BCP 및/또는 DCD/UCD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기지국(110), 및 더 구체적으로는 MNA 송신기(138, 140)는 기지국이 속하는 모든 페이징 그룹의 청취 인터벌 동안에 메시지 를 송신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그 인접하는 셀의 DCD/UCD 정보를 포함하고, 모빌리티 이웃 광고("MNA")로 지칭된다. 유의할 점은, MNA 메시지가 DCD/UCD의 송신 사이의 임의의 시점에서 송신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MNA 메시지는 DCD/UCD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사이에서 1/3, 1/2, 2/3(등)의 시점에서 송신될 수 있다.
현재의 셀에 상주하고 현재 셀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 중 하나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스케줄을 따르는 유휴상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그 청취 인터벌 중 하나 동안에 MNA 메시지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그 영역에 로밍하기 이전에 인접하는 셀의 DCD/UCD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이 셀에 상주하는 유휴상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인접하는 셀로 로밍하는 것이 페이징 그룹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인접하는 셀에서 한번 발생해야 하는 액션들의 세트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06)에 동시에 상주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메인 메모리(206)의 각 컴포넌트들은 항상 또는 심지어 동시에 메인 메모리(206)에 완전하게 상주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BSC(114)는 종래의 가상 어드레싱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이 메인 메모리(206) 및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18)와 같은 복수의 더 작은 저장 실체에 액세스하는 대신에 여기에서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로 지칭되는 큰 하나의 저장 실체로의 액세스를 가지는 것처럼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218)는 하드-드라이브 또는 CD(222)와 같은 매체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컴퓨터 시스 템 메모리"가 여기에서 BSC(114)의 전체 가상 메모리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데 이용된다는 점이다.
컴퓨터(202)에 대해 단지 하나의 CPU(204)가 예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CPU를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도 동일하게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PU(204)로부터의 처리를 오프-로딩하는데 이용되는 분리된 완전히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각각이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터미널 인터페이스(210)는 하나 이상의 터미널(220)을 컴퓨터(202)에 직접 접속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BSC(114)에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비-지능적이거나 완전히 프로그래밍가능한 워크스테이션일 수 있는 이들 터미널(220)은 시스템 관리자 및 사용자가 BSC(114)와 통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데 이용된다. 터미널(2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컴퓨터(202)에 의해 접속되어 비디오 어댑터 및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등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터미널 I/F(210)에 포함된 터미널 인터페이스 하드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주변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메모리에 포함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은 리눅스, UNIX, 윈도우즈 XP, 및 윈도우즈 서버 2003과 같은 적합한 멀티태스킹 오퍼레이팅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BSC(114) 내에 배치된 임의의 프로세서 상에서 오퍼레이팅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의 컴포넌트들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오브젝트 지향된 프레임워크 메커니즘과 같은 아키텍쳐를 활용한다.
네트워크 어댑터 하드웨어(212)는 네트워크(102)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재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기술을 포함하는 임의의 데이터 통신 접속으로 또는 장래의 네트워킹 메커니즘을 통해 동작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완전하게 기능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컨텍스트에서 기재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실시예들이 플로피 디스크, 예를 들면 CD/DVD(222), 또는 기록가능한 매체의 다른 형태, 또는 임의의 타입의 전자 송신 메커니즘을 통해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도 3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의 더 상세화된 뷰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면 TDD 또는 FDD를 이용하는 802.16e 시스템에서, 무선 정보를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무선 통신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컨트롤러/프로세서(302)의 제어 하에서 동작한다. 수신 모드에서, 디바이스 컨트롤러(302)는 송신/수신 스위치(306)를 통해 안테나(304)를 수신기(308)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수신기(308)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들 디코딩된 신호를 디바이스 컨트롤러(302)에 제공한다.
송신 모드에서, 디바이스 컨트롤러(302)는 송신/수신 스위치(306)를 통해 안테나(304)를 송신기(31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디바이스 컨트롤러(302)는 메모리(312)에 저장된 명령에 따라 송신기 및 수신기를 동작시킨다. 이들 명령들은 예를 들면, 이웃 셀 측정-스케줄링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메모리(312)는 기지국(110) 및/또는 페이징 컨트롤러(126)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유휴상태 모드 모니터(128)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휴상태 모드 모니터(128)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송신된 BCP를 검출한다. 모니터(128)는 디바이스(104)가 그 시간때까지 "슬리핑"할 수 있도록 DCD/UCD 정보가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된 때를 결정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상에서 실행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도시되지 않음)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저장 메모리(314)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가 무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지 않고 또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하는 선택적인 로컬 무선 링크(316)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로컬 무선 링크(316)는 예를 들면, 블루투스, 적외선 데이터 액세스(IrDA) 기술 등에 의해 제공된다. 선택적인 로컬 무선 링크(316)는 무선 디바이스가 또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로컬 무선 링크 송신/수신 모듈(318)을 포함한다.
도 3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수신기(308) 또는 로컬 무선 링크 송/수신 모듈(318)로부터 디코딩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출력 컨트롤러(320)를 더 포함한다. 오디오 컨트롤러(320)는 수신된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다양한 컨디셔닝 기능을 수행하는 오디오 출력 컨디셔닝 회로(322)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컨디셔닝 회로(322)는 잡음을 감소시키거나 신호를 증폭시 킬 수 있다. 스피커(324)는 컨디셔닝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에 의한 청취를 위한 오디오 출력을 허용한다. 오디오 출력 컨트롤러(320), 오디오 출력 컨디셔닝 회로(322), 및 스피커(324)는 사용자에게 누락된 호, 수신된 메시지 등을 통지하는 가청 경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추가적인 사용자 출력 인터페이스(326), 예를 들면 헤드폰 잭(도시되지 않음) 또는 핸즈-프리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에 입력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마이크로폰(328)을 포함한다. 소리파는 마이크로폰(328)에 의해 수신되어 전기적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다. 오디오 입력 컨디셔닝 회로(330)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에 대한 다양한 컨디셔닝 기능, 예를 들면 잡음 감소를 수행한다. 오디오 입력 컨트롤러(332)는 컨디셔닝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오디오 신호의 표현(representation)을 디바이스 컨트롤러(302)에 전송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사용자가 정보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키보드(334)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사용자가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 이미지를 메모리(312)에 캡쳐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한 카메라(336)를 더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338),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기술(도시되지 않음), 조이스틱(도시되지 않음), 또는 스크롤 휠(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로의 데이터 케이블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케이블의 접속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가 컴퓨터 또는 프린터에 접속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비주얼 통지(또는 표시) 인터페이스(340)는 비주얼 통지(또는 비주얼 표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344) 상의 컬러링된 광 시퀀스 또는 플래싱하는 하나 이상의 LED(도시되지 않음)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의 사용자에게 렌더링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 상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메시지의 일부로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컬러링된 광 시퀀스를 포함한다. 다르게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가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사용자가 호를 누락했던 때에 컬러링된 광 시퀀스 또는 단일 플래싱 광을 디스플레이(344) 또는 LED(도시되지 않음) 상에 표시함으로써 비주얼 통지 인터페이스(340)는 경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진동 매체 컴포넌트, 촉각 경보 등을 전달하기 위한 촉각 인터페이스(34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에 의해 수신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재생 동안에 진동을 제공하는 비디오 매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촉각 인터페이스(34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의 슬립 모드 동안에 사용자에게 인커밍 호 또는 메시지, 누락된 호 등을 경보하는데 이용된다. 촉각 인터페이스(342)는 이러한 진동이, 예를 들면 진동 모터 등을 통해 발생하도록 허용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344) 및 선택적인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모 듈(346)을 포함한다. 선택적인 GPS 모듈(346)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의 로케이션 및/또는 속도 정보를 결정한다. 이러한 모듈(346)은 GPS 위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및/또는 속도를 결정한다. GPS 모듈(346)에 대한 대안으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는 예를 들면 셀 타워 삼각측량법 및 지원된 GPS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104)의 로케이션 및/또는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다른 모듈을 포함한다.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 정보를 활용하는 시그널링 타이밍 도
도 4는 현재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인접하는 셀 정보의 송신을 예시하는 타이밍 도이다. 도 4는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 정보의 송신을 예시하는 타이밍 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페이징 그룹 X에 있는 기지국 M(414) 및 페이징 그룹 Y에 있는 기지국 N(416)을 도시하고 있다. 제1 프레임 그룹화(402)는 프레임 세트(408)와 비교하는데 이용되는 종래의 프레임들(406)을 포함하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BSC는 기지국 M(414)을 통해, 기지국(110)이 속하는 페이징 그룹 X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MNA 메시지를 송신한다. 메시지 MNA는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DCD/UCD 정보를 포함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이용되는 종래 프레임(406)은 MNA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DCD/UCD 정보와 같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인접하는 셀로 변이하고 있는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인접하는 기지국 N이 페이징 그룹 X에 속하지 않고 페이징 그룹 Y에 속한다는 정보와 같이, DCD/UCD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는 인접하는 기지국이 그 DCD/UCD를 송신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고, 배터리 리소스를 허비함없이 인접하는 셀로 로밍한 후 바로 로케이션 업데이트와 같은 필요한 액션을 취할 수 있다.
타이밍 도(404)의 제2 그룹은 제2 프레임 세트(412)와 비교하는데 이용되는 종래의 제1 프레임 세트(4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페이징 그룹 Y에 있는 기지국 N은 페이징 그룹 X와 같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를 송신한다. 이것은 페이징 그룹 Y로 변이하는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페이징 그룹 Y에 대한 DCD/UCD 정보가 송신되기로 스케줄링된 때를 알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것은 페이징 그룹 X로부터 발원하는 무선 디바이스가 페이징 그룹 X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스케줄에 기초하여 웨이크업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지국 N(페이징 그룹 Y에 있음)이 페이징 그룹 X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에 BCP를 송신하는 경우, 페이징 그룹 X로부터 발원하는 임의의 무선 디바이스는 가용하게 되자마자 BCP를 검출한다. 그리고나서, 무선 디바이스는 DCD/UCD 정보를 수신할 때가 될 때까지 "슬리핑"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배터리 리소스를 절감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기지국 N(페이징 그룹 Y)은 페이징 그룹 X와 같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그 DCD/UCD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페이징 그룹 X로부터 페이징 그룹 Y로 로밍하는 무선 디바이스는 웨이크 업하자마자 DCD/UCD 정보를 즉시 판독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프레임들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의 타이밍에 따라 송신되는 정보(BCP 및/또는 DCD/UCD)를 포함하지 않는다.
BCP의 송신을 위한 타이밍 도
도 5는 무선 디바이스에게 DCD/UCD 정보의 송신 시간을 통지하기 위해 기지국(110)에 의해 BCP를 송신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타이밍 도를 예시하고 있다. 제1 프레임 세트(502)는 셀과 연관된 DCD/UCD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종래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프레임 14에서 "웨이크 업"하는 경우, 디바이스(104, 106)는 DCD/UCD 정보를 디코딩할 때까지 모든 프레임을 모니터링한다. 이것은 불필요하게 배터리 수명 리소스를 허비한다. 제2 프레임 세트(50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14에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웨이크 업"하고 BCP를 수신할 때까지 각 프레임을 모니터링한다.
BCP는 프레임 16에서 수신되고,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게, DCD 정보가 프레임 31 상에서 수신되기로 스케줄링되고 UCD 정보가 프레임 34 상에서 송신되기로 스케줄링되어 있는 것을 통지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DCD 정보를 수신하는 프레임 31까지 스위치 오프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UCD 정보가 DCD 정보에 매우 근접하여 송신되기 때문에 UCD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온으로 유지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DCD 정보를 수신한 후에 스위치 오프하고, 프레임 34에서 "웨이크 업"하여 UCD 정보를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104)는 DCD/UCD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슬리핑"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수명을 절감한다.
무선 디바이스에 DCD/UCD 송신 시간을 통지하기 위한 BCP의 송신
도 6은 DCD/UCD의 송신 시간을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 통지하는 BCP를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의 동작 흐름도는 단계 602에서 시작하여 바로 단계 604로 이어진다. 단계 604에서, 기지국(110, 112)은 송신 시간을 선택하고 BCP를 송신한다. BCP는 그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또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의 인터벌 동안에 송신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606에서, BCP를 수신하고 DCD/UCD의 송신 시간을 결정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608에서, DCD/UCD의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된 시간때까지 "슬리핑"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610에서 송신 시간에 "웨이크 업"하여 DCD/UCD를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612에서, DCD/UCD를 수신한다. 그리고나서, 단계 614에서 제어 흐름이 종료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무선 디바이스(104, 106)가 DCD/UCD에 대해 모든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무선 디바이스는 BCP를 수신한 후 DCD/UCD가 송신되는 때까지의 기간 동안 "슬리핑"할 수 있다.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배터리 리소스를 절감한다.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DCD/UCD 정보의 송신
도 7은 각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DCD/UCD 정보를 송신하는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의 동작 흐름도는 단계 702에서 시작하여 단계 704로 바로 이어진다. BSC(114)는, 단 계 704에서, 인접하는 셀의 DCD 및 UCD와 연관된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BSC(114)는 다른 BSC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인접하는 셀은 상이한 페이징 그룹의 일부일 수 있다. 현재 셀로부터 인접하는 셀로 넘어가는 임의의 유휴상태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이한 페이징 그룹으로 로밍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인접하는 셀에 대해 얻어진 DCD 및 UCD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BSC(114)는, 단계 706에서, 송신 시간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에 대한 DCD/UCD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그 기지국(110)을 통함).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시지는 BSC가 속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인접하는 셀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또는 임의의 주어진 시간 인터벌 동안에 송신된다. BSC(114)의 페이징 그룹 내의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708에서, 메시지를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710에서, 인접하는 셀의 DCD/UCD를 조사함으로써 이들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로케이션 업데이트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한다. 그리고나서, 제어 흐름은 단계 712에서 종료한다.
인접하는 페이징 셀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의 BCP의 송신
도 8은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기지국(110, 112)은 단계 804에서, 송신 시간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BCP를 송신한다. 현재의 페이징 그룹으로 들어간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806에서 BCP를 수신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현재 셀의 DCD/UCD 정보는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의 페이징 인터벌 동 안에 기지국(110, 112)에 의해 송신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에 단계 808에서, BCP에 의해 DCD/UCD의 송신 시간이 통지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810에서, DCD/UCD의 송신을 위한 스케줄링된 시간까지 슬리핑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812에서 DCD/UCD에 대한 송신 시간에 "웨이크 업"한다. 무선 디바이스(104, 106)는 단계 814에서 DCD/UCD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나서, 제어 흐름은 단계 816에서 종료한다.
비제한적 예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 중앙집중화된 형태로,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이 수개의 상호접속된 컴퓨터 시스템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분산된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임의의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 또는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다른 장치 - 이 적합하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전형적인 조합은,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에 여기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지는 일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일부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프로그램, 모듈, 오브젝트 또는 명령 시퀀스로서 구현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실행되는 루틴들은 여기에서 "프로그램"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통상 네이티브 컴퓨터에 의해 머신-판독가능한 포맷 으로 번역되는 다수의 명령들, 및 따라서 실행가능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로 프로그램에 상주하거나 메모리 또는 저장 디바이스 상에서 발견되는 변수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 기재된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이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어지는 임의의 특정 프로그램 전문어는 단지 편의상으로만 이용되고 따라서 본 발명은 그러한 전문어에 의해 식별되거나 함축된 임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만 단독으로 이용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특정 실시예에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의범위는 본 발명의 범주내의 임의의 하나 및 모든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변형 및 실시예를 커버하려는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descriptor)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 - 상기 포인터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찾기 위해 탐색하는 시간 인터벌을 감소하도록 선택된 시간에 송신됨 -; 및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 상기 메시지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 사이의 시간 동안에 송신됨 -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수신하도록,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 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 사이의 시간은 홈 페이징(home paging) 그룹과 연관된 페이징 청취 인터벌에 대응하는 무선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특정 송신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는, 홈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사이에서,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 사이의 1/3 시점;
    상기 제1 송신과 제2 송신 사이의 중간 시점; 및
    상기 제1 송신과 제2 송신 사이의 2/3 시점
    중의 실질적으로 어느 하나에서 송신되는 무선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에 대한 오프셋 파라미터 및 사이클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신 방법.
  6. 무선 디바이스에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이 발생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시간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상기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들 사이의 새로운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와,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상기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에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7. 무선 디바이스에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포인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중지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이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시간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상기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들 사이의 새로운 시간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로 들어가는 단계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에 기초하여, 로케이션 업데이트 기능이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로케이션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송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송신 시간을 나타내는 포인터 - 상기 포인터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를 찾기 위해 탐색하는 시간 인터벌을 감소하도록 선택된 시간에 송신됨 -, 및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셀과 연관된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 상기 메시지는 다운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및 업링크 채널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송신과 제2 송신 사이의 시간 동안에 송신됨 -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수신하도록,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시간을 선택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홈 페이징 그룹과 연관된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상기 포인터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하는 페이징 그룹과 연관되는 페이징 청취 인터벌 동안에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087027989A 2006-05-18 2007-03-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모드 동안에 배터리 절감을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045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36,242 US7471942B2 (en) 2006-05-18 2006-05-18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battery saving during idle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436,242 2006-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50A KR20090008350A (ko) 2009-01-21
KR101045483B1 true KR101045483B1 (ko) 2011-06-30

Family

ID=3871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989A KR101045483B1 (ko) 2006-05-18 2007-03-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모드 동안에 배터리 절감을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1942B2 (ko)
EP (1) EP2025066B1 (ko)
KR (1) KR101045483B1 (ko)
CN (1) CN101449618B (ko)
WO (1) WO20071369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3635B2 (en) * 2006-03-09 2011-04-26 Lg Electronics Inc. Adjustment of parameters based upon battery status
US7826419B2 (en) * 2006-04-27 2010-11-02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ipt of channel descriptors
US7756198B2 (en) * 2006-08-18 2010-07-13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US7623863B2 (en) * 2006-08-18 2009-11-24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connec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US7917149B2 (en) 2006-08-18 2011-03-29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US7616568B2 (en) * 2006-11-06 2009-11-10 Ixia Generic packet generation
US20080170526A1 (en) * 2007-01-12 2008-07-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standby battery life of a wireless device
KR20120099292A (ko) * 2007-07-05 2012-09-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이동통신 시스템
US20090213795A1 (en) * 2008-02-22 2009-08-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of Access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64994B2 (en) * 2008-02-29 2012-09-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supporting paging and deep sleep with multiple radio interfaces
US8311030B2 (en) * 2008-03-10 2012-1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d cell scanning
EP2269395B1 (en) * 2008-04-25 2018-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mergency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17695B2 (en) * 2008-09-17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arallel acquisition of system information from multiple base stations
US8185138B2 (en) * 2008-10-13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messages for power saving in a mobile WiMAX system
US8423092B2 (en) 2008-12-12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anagement in a mobile device
US8929926B2 (en) * 2009-04-06 2015-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paging areas
US8797892B2 (en) * 2009-05-16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savings in FDD or H-FDD networks
US20100290375A1 (en) * 2009-05-16 2010-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ranging and network entry group switching in fdd wimax networks
KR101597092B1 (ko) * 2009-06-24 2016-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397114B2 (ja) * 2009-09-15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KR101094489B1 (ko) 2009-11-09 2011-12-19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절감을 위한 상향 링크 슬립 모드 제어 방법
WO2012138165A2 (ko) * 2011-04-07 2012-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2m 통신에서 페이징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9115908B2 (en) 2011-07-27 2015-08-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programmable thermostat
US9157764B2 (en) 2011-07-27 2015-10-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occupancy detection
WO2013165162A1 (ko) * 2012-04-30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9621371B2 (en) 2012-07-24 2017-04-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ireless sensor device with wireless remote programming
US10094584B2 (en) 2013-02-07 2018-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programmable IR codes
US10088186B2 (en) 2013-02-07 2018-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power efficient discrete controllers
BR112015019014A2 (pt) 2013-02-07 2017-07-18 Honeywell Int Inc sistema de controle de edifício para controlar um ou mais componentes de edifício que atendem a um edifício, e método de controlar uma ou mais unidades de aparelho de ar condicionado distintas que atendem a um edifício
US10330335B2 (en) 2013-02-07 2019-06-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operational mode of a building control component
US10359791B2 (en) 2013-02-07 2019-07-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building component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20170085357A1 (en) * 2015-07-17 2017-03-23 Ful Spectrum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180101958A (ko) 2017-03-06 2018-09-14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CN110754130B (zh) 2017-06-15 2023-04-18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调度对象配置的装置和方法
KR101878631B1 (ko) 2018-01-29 2018-08-17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KR101931470B1 (ko) 2018-01-29 2018-12-20 윤병예 파이프 적재 운반장치
US11375452B2 (en) * 2019-02-15 2022-06-28 Qualcomm Incorporated Wakeup group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9011A1 (en) 2004-08-06 2006-02-09 Nexte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mobile stations in inactive stat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20669B (zh) * 2002-11-04 2011-08-24 捷讯研究有限公司 无线设备电池节电方法和系统
US7630740B2 (en) * 2004-12-30 2009-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updating channel information by a mobile station that is in power saving mo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9011A1 (en) 2004-08-06 2006-02-09 Nextel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mobile stations in inactive st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6925A3 (en) 2008-09-12
WO2007136925A2 (en) 2007-11-29
US20070270118A1 (en) 2007-11-22
CN101449618A (zh) 2009-06-03
US7471942B2 (en) 2008-12-30
CN101449618B (zh) 2011-04-13
WO2007136925A9 (en) 2008-12-31
EP2025066B1 (en) 2016-10-12
EP2025066A2 (en) 2009-02-18
EP2025066A4 (en) 2013-01-16
WO2007136925B1 (en) 2008-10-30
KR20090008350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4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유휴상태 모드 동안에 배터리 절감을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61628A1 (en) Inter-system paging control
US111724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information and channel monitoring processing
KR101393989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절전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96126B1 (ko) 유휴 상태에서 무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의 페이지 전달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857032B1 (ko) 셀프-전력공급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콜/브로드캐스트페이징 메세지의 수신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8160618B2 (en) Method for increasing system capacity and wireless device battery life by selection of delay gap between QPC message and page message
US20080119209A1 (en) Sel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cells based on a mobility state of a wireless device
RU240986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процедура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уведомления для службы mbms в сети geran
CN109479256B (zh) 在寻呼消息中包含数据的方法和设备
US7570963B2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efficiency of mobile station during listening interval
JP2014502075A (ja) マルチキャストトラフィック送受信のためのm2m機器及び基地局、及びその実行方法
JP2009531998A (ja) 無線ブロードキャスト・ネットワークの電力効率的な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5307203A (zh) 寻呼消息的自适应监测方法及通信装置
CN102035795B (zh) 多媒体广播多播业务通知消息的传输方法、装置和系统
US2012031588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4995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수면 모드 관리 장치 및 그방법
JP2024502680A (ja) 情報設定方法及び装置、通信機器並びに記憶媒体
JP2013077994A (ja) 移動局装置及び無線信号品質測定方法
WO2023184446A1 (zh) 信号监听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080011513A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아이들 모드에서 빠른 연결설정 및 위치 갱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7158023A (zh) 配置及接收唤醒信号配置信息的方法及装置、网络设备、ue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