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065B1 -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065B1
KR101045065B1 KR1020090096121A KR20090096121A KR101045065B1 KR 101045065 B1 KR101045065 B1 KR 101045065B1 KR 1020090096121 A KR1020090096121 A KR 1020090096121A KR 20090096121 A KR20090096121 A KR 20090096121A KR 101045065 B1 KR101045065 B1 KR 10104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fastening
mod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8923A (en
Inventor
임상채
이정남
나연정
Original Assignee
남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성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성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065B1/en
Publication of KR2011003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0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옥외 난간에 설치되도록 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모듈 지지부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모듈 지지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바디가 옥외 난간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옥외 난간을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될 때,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모듈 지지부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Provided are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and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and a first module support that is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supports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A second module support par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coupled to the body and supported on the outdoor railing to support the body on the outdoor railing; And a first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ing the body and the outdoor railing, wherein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is fixed when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The protruding length of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태양전지, 모듈, 바디, 구조체, 난간 Solar cell, module, body, structure, railing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same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and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전세계적으로 고유가 및 지구 온난화로 인해 화석연료 사용규제 및 탄소 배출권의 강화에 의한 상품 수출의 제한 등의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Due to high oil prices and global warming, measures are being taken to restrict the export of goods by restricting the use of fossil fuels and strengthening carbon credits.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친환경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산업구조를 재편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등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aying attention to securing energy using renewable energy.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reorganizing its industrial structure based on eco-friendly green growth using renewable energy. Accordingly, support for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projects using renewable energy is being strengthened.

재생 에너지로는 태양광, 태양열, 조력, 풍력등이 있으나, 이 가운데서 최근 가장 각광 받는 재생 에너지원으로는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이다.Renewable energy includes solar light, solar heat, tidal power, and wind power. Among them, the most popular renewable energy source is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경우, 무한의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발전할 수 있고, 환경오염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generate power by using an infinite energy sourc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fundamentally solvi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한편,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대단위로 발전소를 건설하여 발전하는 방식도 있으나, 사람이 주거하는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발전하는 시스템도 각광 받고 있다. 특히,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BIPV)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건물 일체형으로 태양전지를 건물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공간의 부족 문제 등으로, 활성화 시키기에는 아직 어려움이 따랐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solar power generation by constructing a power plant on a large scale, but the system for generating individual power in the space where people live. In particula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BIPV) is in the spotlight. However, when the solar cell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as an integrated building, it is still difficult to activate due to lack of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전지 모듈을 옥외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옥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that can easily install a solar cell module outdoors, to make the most of the outdoor spa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옥외 난간에 실치되도록 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모듈 지지부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모듈 지지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바디가 옥외 난간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옥외 난간을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될 때,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모듈 지지부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for mounting the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outdoor railing, the body, and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of the solar cell module A first module support part supporting one side, a second module support par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coupled with the body, and supported on the outdoor railing, so that the body is outdoors And a first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body, the first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ing the body and the outdoor railing, wherein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is fixe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은, 옥외 난간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와, 상기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에 수용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모듈 지지부와, 상기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모듈 지지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를 상기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옥외 난간을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듈 지지부가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to be solved may include a 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installed on an outdoor railing, and a solar cell module accommodated in the 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have. Here, the 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is fixed to the body, one end of the body, the first module support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a second module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body,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supporting the body on the upper part of the outdoor railing, and a first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ing the body and the outdoor railing. When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is fixed,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may var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 모듈을 옥외에 간편하게 설치하고, 옥외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cell module is easily installed outdoors, an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and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aximize the outdoor spac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drawing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When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on" or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intervening other elements or layers as well as intervening another layer or element in between. It includes everything. On the other hand, when a device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means that no device or layer is intervened in the middl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items mentio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May be used to readily describe a device or a relationship of components to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lan and cross-sectional views, which are ideal schematic diagram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hapes of the exemplary view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variations in forms generat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attributes, and the shape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is intended to illustrate a particular form of region of the devic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and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먼저,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를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to 6b,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제1 모듈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제1 및 제2 체결부의 제1 및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dule support of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ure 1, Figures 5a and 5b 6A and 6B illustrat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2 modification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 용 구조체(10)는 바디(110), 제1 모듈 지지부(120), 제2 모듈 지지부(130), 제2 모듈 지지부(130), 지지부(140), 제1 체결부(150_1) 및 제2 체결부(160_2)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a second module support part 130, and a first 2, the module support 130, the support 140,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2 may be included.

바디(110)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10)의 근간을 이룬다. 바디(110)는 태양전지 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도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100)는 옥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옥외의 기후에 의해 바디(110)가 손상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0)는 제1 방향, 예를 들어, 옥외 난간의 수직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바디(110)는 막대 바(bar)형상과 같은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디(110)는 막대 바(bar)의 일측 종단인 일단과 타측 종단인 타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110)는 일면과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110 forms the basis of 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10. The body 110 preferably has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In addition, the body 100 is installed outdoors,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o that the body 110 is not damaged by outdoor weather. The body 110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parallel with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 vertical direction of an outdoor railing. In addition, for example,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such as a bar bar shape. In this case, the body 110 may include one end of one end of the bar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body 110 may includ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바디(110)에는 제1 모듈 지지부(120)와 제2 모듈 지지부(130)가 고정되고, 지지부(140), 제1 체결부(150_1), 제2 체결부(160_1)가 결합된다.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and the second module support part 130 are fixed to the body 110, and the support part 140,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10)는 제1 모듈 지지부(120)가 고정되는 고정홈(116)을 포함한다. 고정홈(116)은 바디(110)의 일단에 형성된 다. 또한, 고정홈(116)은 바디(11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116)에는 제1 모듈 지지부(120)가 삽입되고, 고정된다. 1 to 4, the body 110 includes a fixing groove 116 to which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is fixed. The fixing groove 116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16 is formed to be indented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to the other end.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16.

제1 모듈 지지부(120)는 태양전지 모듈(미도시)의 일측을 지지하고, 바디(110)의 일단에 고정된다. 바디(110)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1 모듈 지지부(120)는 바디(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된다. 한편, 바디(110)의 일단으로부터 돌 출된 제1 모듈 지지부(120)의 길이는 제1 모듈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된다. 즉, 태양전지 모듈이 제1 크기를 갖는 경우, 바디(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모듈 지지부(120)의 길이는 제1 길이를 갖게 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이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를 갖는 경우, 바디(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제1 모듈 지지부(120)의 길이는 제1 길이와 다른 제2 길이를 갖게 된다.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supports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not shown) and is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110.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11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and is fixed.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ortion 120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supported by the first module support portion 120. That is, when the solar cell module has a first size,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has a first length. In addition, when the solar cell module has a second size different from the first size,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has a second length different from the first length.

한편, 제1 모듈 지지부(120)는 고정바(bar, 121)와, 제1 접촉부와(122)와, 제2 접촉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may include a fixing bar (bar) 121, a first contact part 122, and a second contact part 123.

고정바(121)는 제1 모듈 지지부(120)를 바디(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고정바(121)는 바디(110)의 고정홈(116)에 삽입되고, 고정수단(170)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바(121)의 폭은 고정홈(116)의 폭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bar 121 functions to fix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to the body 110. That is, the fixing bar 12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of the body 110, it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170. To this end, the width of the fixing bar 12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or somewhat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xing groove 116.

한편, 바디(110)는 고정수단(170)이 고정바(12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117)은 바디(110)의 일면을 관통하여 고정홈(116)과 연결된다. 한편, 고정바(121)가 고정홈(116)에 삽입되면 고정홀(117)에 의해 삽입된 고정바(12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고정바(121)가 고정홈(116)에 삽입되면, 고정수단(170)이 고정홀(117)을 통해 고정바(121)를 바디(110)에 고정시키다. 고정수단(170)으로는 예를 들어, 핀이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110 may include a fixing hole 117 so that the fixing means 170 may fix the fixing bar 121. The fixing hole 117 penetrates one surface of the body 110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groove 116. Meanwhile, when the fixing bar 12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a part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by the fixing hole 117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xing bar 12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the fixing means 170 fixes the fixing bar 121 to the body 110 through the fixing hole 117. As the fixing means 170, for example, a pin or a bolt may be used.

한편, 고정홈(116)에 삽입되는 고정바(121)의 길이는 제1 모듈 지지부(120) 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정홈(116)에 삽입된 고정바(121)의 돌출된 길이는 제1 길이(L1)일 수 있다. 또한, 고정홈(116)에 삽입된 고정바(121)의 돌출된 길이는 제2 길이(L2)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보다 길다고 가정한다. 이때, 고정홈(116)에 삽입된 고정바(121)의 길이는 제1 길이(L1)인 경우가 제2 길이인 경우보다, 길 것이다. 즉,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돌출된 고정바(121)의 길이(L1)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고정홈(116)에 삽입된 고정바(121)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길어 질 것이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돌출된 고정바(121)의 길이(L2)를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고정홈(116)에 삽입된 고정바(121)의 길이는 상대적으로 짧아 질 것이다. 따라서, 제1 모듈 지지부(120)에 지지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고정홈(116)에 삽입되는 고정바(121)의 길이는 가변할 것이다. 또한, 바디(110)의 일단에서 돌출된 고정바(121)의 길이도 가변할 것이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110)의 일단에 고정된 제1 모듈 지지부(120)의 길이는 제1 모듈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된다.Meanwhile,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supported by the first module support 120. Referring to FIG. 3,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may be a first length L1. In addi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may be the second length (L2). Here,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length L2 is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L1.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will be longer than the case of the first length (L1) is the second length.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is relatively small, the length L1 of the protruding fixed bar 121 may be relatively short.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will be relatively long. On the other hand, if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is relatively large it may be relatively long length (L2) of the protruding fixed bar 121.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will be relatively short. Therefore,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6 will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supported by the first module support 120.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xing bar 121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110 will also vary.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110 is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supported by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제1 접촉부(122)는 고정바(121)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촉부(122)는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과 접촉한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extend and bend from the fixing bar 121. The first contact portion 122 contacts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to support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제2 접촉부(123)는 제1 접촉부(122)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부(123)는 고정바(121)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제2 접촉부(123)는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과 접촉한다.The second contact portion 123 may be formed to extend and ben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122. In this case,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3 may be bent to face the fixing bar 121 to be formed side by side. The second contact part 123 contacts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to support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제2 모듈 지지부(130)는 바디(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제2 모듈 지지부(130)는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2 모듈 지지부(130)는 태양전지 모듈의 하중을 그대로 전달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변되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 모듈 지지부(130)는 바디(110)의 타단에 예를 들어, 솔더링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module support 130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The second module support unit 130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Since the second module support part 130 may receive the load of the solar cell module as i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module support part 130 is fixed not to be changed. To this end, the second module support 130 may b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110 by, for example, soldering.

제1 및 제2 모듈 지지부(120, 130)은 옥외의 가변적인 기후 조건에서 손상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odule supports 120 and 13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o as not to be damaged in outdoor climatic conditions.

제1 체결부(150_1)는 바디(110)와 결합한다. 또한, 바디(110)와 옥외 난간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바디(110)는 옥외 난간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is coupled to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body 110 and the outdoor rail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body 110 may be fixed to the outdoor railing.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150_1)와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바디(110)는 제1 결합부(111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11_1)는 바디(110)의 일면 상에 위치한다.1 and 4, for coupling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and the body 110, the body 1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111_1. The first coupling part 111_1 is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10.

여기서, 제1 결합부(111_1)는 제1 상판(112_1)과, 제1 상판(112_1)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측벽(114_1)과, 제1 상판(112_1)에 형성된 제1 체결홀(113_1)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coupling part 111_1 may include a first top plate 112_1, a first sidewall 114_1 formed by being extended and bent from the first top plate 112_1, and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first top plate 112_1. It may include 113_1.

제1 측벽(114_1)은 바디(110)의 일면과 맞닿는다. 또한, 제1 측벽(114_1)의 상단은 바디(110)의 일면 상에 고정된다. 제1 측벽(114_1)의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제1 상판(112_1)과 일면은 이격된다. 한편, 제1 측벽(114_1)은 제1 상 판(112_1)의 4개의 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제1 결합부(111_1)은 4개의 제1 측벽(114_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idewall 114_1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dy 110. 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wall 114_1 is fix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10. On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pper plate 112_1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irst sidewall 114_1.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ide wall 114_1 is formed extending from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first upper plate (112_1). As a result, the first coupling part 111_1 may include four first sidewalls 114_1.

제1 측벽(114_1)에 의해, 제1 상판(112_1)과 바디(110)의 일면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는데, 이 공간을 제1 측벽(114_1)이 둘러쌈으로써, 제1 체결 공간(115)이 형성된다.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top plate 112_1 and one surface of the body 110 by the first sidewall 114_1, and the first fastening space 115 is formed by surrounding the space with the first sidewall 114_1. Is formed.

한편, 제1 체결부(150_1)는 제1 체결수단(153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수단(153_1)은 제1 체결부(150_1)와 바디(1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1 체결수단(153_1)은 제1 체결홀(113_1) 통과하여, 제1 체결공간(115) 내에서 제1 결합부(111_1)와 체결된다. 이에 의해, 제1 체결부(150_1)와 바디(110)가 결합된다. 제1 체결수단(153_1)으로는 예를 들어, 핀이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means 153_1. The first fastening means 153_1 couples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and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means 153_1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13_1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1_1 in the first fastening space 115. As a result,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and the body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For example, a pin or a bolt may be used as the first fastening means 153_1.

한편, 바디(110)가 옥외 난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도록 제2 체결부(160_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160_1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body 110 is more firmly fixed to the outdoor railing.

제2 체결부(160_1)는 제1 체결부(150_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바디(110)와 결합한다. 이때, 제1 체결부(150_1)는 상대적으로 일단에 근접하여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고, 제2 체결부(160_1)은 상대적으로 타단에 근접하여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160_1)는 바디(110)와 옥외 난간을 서로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바디(110)는 옥외 난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upled to the body 110. 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part 150_1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relatively close to one end,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relatively close to the other end. 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unit 160_1 couples the body 110 and the outdoor railing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body 110 may be more firmly fixed to the outdoor railing.

도 1을 참조하면, 제2 체결부(160_1)와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바디(110)는 제2 결합부(111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11_2)는 바디(110)의 일면 상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1, for coupling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and the body 110, the body 11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art 111_2. The second coupling part 111_2 is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10.

여기서, 제2 결합부(111_2)는 제2 상판(112_2)과, 제2 상판(112_2)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제2 측벽(114_2)과, 제2 상판(112_2)에 형성된 제2 체결홀(113_2)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oupling part 111_2 may include a second upper plate 112_2, a second sidewall 114_2 formed by being extended and bent from the second upper plate 112_2,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upper plate 112_2. (113_2).

제2 측벽(114_2)은 바디(110)의 일면과 맞닿는다. 또한, 제2 측벽(114_2)의 상단은 바디(110)의 일면 상에 고정된다. 제2 측벽(114_2)의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제2 상판(112_2)과 일면은 이격된다. 한편, 제2 측벽(114_2)은 제2 상판(112_2)의 4개의 변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제2 결합부(111_2)는 4개의 제2 측벽(114_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idewall 114_2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dy 110. In additi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sidewall 114_2 is fix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10. On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upper plate 112_2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econd sidewall 114_2.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ide wall 114_2 is formed extending from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second top plate (112_2). As a result, the second coupling part 111_2 may include four second sidewalls 114_2.

제2 측벽(114_2)에 의해, 제2 상판(112_2)과 바디(110)의 일면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는데, 이 공간을 제2 측벽(114_2)이 둘러쌈으로써, 제2 체결 공간(미도시)이 형성된다.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top plate 112_2 and one surface of the body 110 by the second sidewall 114_2, and the second sidewall 114_2 is surrounded by the second sidewall 114_2 to form a second fastening space (not shown). Is formed.

한편, 제2 체결부(160_1)는 제2 체결수단(163_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수단(163_1)은 제2 체결부(160_1)와 바디(110)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2 체결수단(163_1)은 제2 체결홀(113_2) 통과하여, 제2 체결공간 내에서 제2 결합부(111_2)와 체결된다. 이에 의해, 제2 체결부(160_1)와 바디(110)가 결합된다. 제2 체결수단(163_1)으로는 예를 들어, 핀이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may include second fastening means 163_1. The second fastening means 163_1 couples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and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second fastening means 163_1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13_2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111_2 in the second fastening space. As a result, the second fastening part 160_1 and the body 110 are coupled. For example, a pin or a bolt may be used as the second fastening means 163_1.

도 1,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지지부(140)는 바디(110)와 결합된다, 또한, 지지부(140)는 옥외 난간의 상부에서 옥외 난간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바디(110)가 옥외 난간에 지지 되도록 한다. 1, 2, 5a and 5b, the support 140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e support 140 is also supported on the outdoor railing on top of the outdoor railing. As a result, the body 110 is supported by the outdoor railing.

지지부(140)는 바디 결합부(141)와 난간 지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바 디 결합부(141)는 바디(110)와 결합된다. 바디 결합부(141)는 예를 들어, 솔더링에 의해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40 may include a body coupling part 141 and a handrail support part 142. The body coupling portion 141 is coupled to the body 110. The body coupling part 141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by soldering, for example.

난간 지지부(142)는 옥외 난간의 상부에 지지된다. 난간 지지부(142)의 내측은 옥외 난간의 상부의 외측과 포개진다. 예를 들어, 옥외 난간의 상부가 원기둥 형태의 형상을 갖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지지부(14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난간 지지부(142)의 내측은 옥외 난간의 상부의 외측과 포개질 수 있다.Handrail support 142 is supported on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The inner side of the handrail support 142 overlaps with the outer side of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For example, when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has a cylindrical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 the handrail support 142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cylinder as a whole. As a result, the inner side of the handrail support 142 may overlap with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또한, 옥외 난간의 상부가 사각기둥 형태의 형상을 갖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지지부(142)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난간 지지부(142)의 내측은 옥외 난간의 상부의 외측과 포개질 수 있다. 또한, 옥외 난간의 상부가 굴곡진 형태의 형상을 갖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지지부(142)는 전체적으로 굴곡진 형태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난간 지지부(142)의 내측은 옥외 난간의 상부의 외측과 포개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s shown in Figure 5a, the handrail support portion 142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square pillar as a whole. As a result, the inner side of the handrail support 142 may overlap with the out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In additio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has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5B, the handrail support part 142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outer shape of the curved shape as a whole. As a result, the inner side of the handrail support 142 may overlap with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outdoor railing.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의 제1 변형예(150_2, 이하, ‘제1 변형예’라 한다.)는 제1 경사부(151_2), 제1 수평부(152_2), 제3 체결 수단(153_2), 제1 난간 접촉부(154_2), 제1 난간 체결부(155_2) 및 제1 연결부(156_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a first modification 150_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portion 151_2, a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and a third fastening means. 153_2, a first railing contacting part 154_2, a first railing fastening part 155_2, and a first connecting part 156_2.

제1 경사부(151_2)는 바디(110)와 맞닿는다. 제1 경사부(151_2)는 제3 체결수단(153_2)을 통해 바디(110)와 체결된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151_2 is in contact with the body 110.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1_2 is fasten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third fastening means 153_2.

제1 수평부(152_2)는 제1 경사부(151_2)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1 수평부(152_2)는 옥외 난간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 경사부(151_2)와 제1 수평부(152_2)는 50° 내지 80°의 각(θ1)을 이룬다.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is formed to extend and bend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1_2.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outdoor railing. The first inclined portion 151_2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form an angle θ1 of 50 ° to 80 °.

제1 난간 접촉부(154_2)는 난간을 둘러싸며 난간과 접촉된다. 제1 난간 접촉부(154_2)는 일측과 타측을 포함하는데, 일측과 타측이 결합하여 난간을 둘러싼다. 이때, 제1 난간 접촉부(154_2)의 내측은 난간의 외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난간 접촉부(154_2)와 난간 사이에 여유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제1 변형예(150_2)를 난간에 밀착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난간에 고정된 제1 변형예(150_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rst railing contact 154_2 surrounds the railing and contacts the railing. The first handrail contact portion 154_2 include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coupled to surround the railing.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first handrail contact portion 154_2 preferably has the same shape as the outside shape of the handrail. That is, to fix the first modified example 150_2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rail so that a free spa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handrail contact part 154_2 and the handrail. Thereby, the flow of the 1st modified example 150_2 fixed to the handrail can be prevented.

제1 수평부(152_2)와 제1 난간 접촉부(154_2)는 제1 연결부(156_2)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56_2)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수평부(152_2)와 제1 난간 접촉부(154_2)는 경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and the first handrail contact portion 154_2 are connected b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56_2. Here, the first connector 156_2 may include a hinge. As a result,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and the first railing contact portion 154_2 may be connected through a hinge.

제1 난간 체결부(155_2)는 제1 난간 접촉부(154_2)의 일측과 타측을 체결함으로써, 제1 변형예(150_2)와 난간이 체결되도록 한다. 제1 난간 체결부(155_2)에 의해, 난간에 고정된 제1 변형예(150_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rst handrail fastening part 155_2 fasten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andrail contacting part 154_2 so that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and the handrail are fastened. By the first handrail fastening part 155_2, the flow of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fixed to the handrail may be prevented.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체결부의 제2 변형예(160_2, 이하, ‘제2 변형예’라 한다.)는 제2 경사부(161_2), 제2 수평부(162_2), 제4 체결 수단(163_2), 제2 난간 접촉부(164_2), 제2 난간 체결부(165_2) 및 제2 연결부(166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형예(160_2)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들은 제1 변형예(150_2)에 포함된 상기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B, the second modified example 160_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61_2,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62_2, and the fourth. The fastening means 163_2, the second handrail contacting part 164_2, the second handrail fastening part 165_2,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166_2 may be included. Since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econd modification 160_2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제2 수평부(162_2)의 길이가 제1 수평부(152_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 로 길다. 이는 제2 변형예(160_2)가 제1 변형예(150_2)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변형예(160_2)가 제1 변형예(150_2)의 바디(110) 내에서 이격된 거리가(l)이라 하고, 제1 및 제2 수평부(152_2, 162_2)와 태양전지 모듈이 이루는 각이 θ3라 하면, 제2 수평부(162_2)는 l/(tan θ3)만큼 길어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length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62_2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52_2. This is because the second modification 160_2 is installed below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That is, referring to FIG. 11, the distance that the second modification 160_2 is separated from the body 110 of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is l,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152_2, If the angle formed by 162_2 and the solar cell module is θ3,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62_2 should be lengthened by l / (tan θ3).

제1 변형예(150_2)와 제2 변형예(160_2)에 의해, 바디(110)는 옥외 난간과 50° 내지 80°의 각(θ1, θ2)을 이룰 수 있다. 이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도 옥외 난간과 50° 내지 80°의 각(θ1, θ2)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이 옥외 난간과 평행을 이루도록 옥외 난간에 설치될 때 보다, 발전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 모듈의 수광 면적이 향상되기 때문이다.By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and the second modification 160_2, the body 110 may form angles θ1 and θ2 between the outdoor railings and 50 ° to 80 °. As a result, the solar cell module may also form angles θ1 and θ2 between the outdoor railings and 50 ° to 80 °. Accordingly,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ay be further improved than when the solar cell module is installed in the outdoor railing so as to be parallel to the outdoor railing. That is, the light receiving area of the solar cell module is improved.

한편, 제1 및 2 경사부(151_2, 161_2)와 제1 및 2 수평부(152_2, 162_2)가 이루는 각(θ1, θ2)이 50°미만인 경우, 제1 변형예(150_2)와 제2 변형예(160_2)가 바디(1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특히, 태양전지 모듈에 작용하는 바람에 의한 하중인 풍하중이 제1 변형예(150_2)와 제2 변형예(160_2)에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구조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다. 제1 및 2 경사부(151_2, 161_2)와 제1 및 2 수평부 (152_2, 162_2)가 이루는 각(θ1, θ2)이 80°를 초과하는 경우, 수광면적의 확대를 기대할 수 없어,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효율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Meanwhile, when the angles θ1 and θ2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151_2 and 161_2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152_2 and 162_2 are less than 50 °, the first modified example 150_2 and the second modified portion Example 160_2 may weaken the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body 110. In particular, a wind load, a load caused by wind acting on the solar cell modul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modification 150_2 and the second modification 160_2.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cannot be secured. When the angles θ1 and θ2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portions 151_2 and 161_2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portions 152_2 and 162_2 are greater than 80 °, the light receiving area cannot be enlarged, so that the solar cell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module cannot be expected.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을 설명한다. Next,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포함된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건물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7 is a side view of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rear views of a solar cell module included in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building.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member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10)와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10 and a solar cell module.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10)는 바디(110), 제1 모듈 지지부(120), 제2 모듈 지지부(130), 제2 모듈 지지부(130), 지지부(140), 제1 체결부(150_1) 및 제2 체결부(160_1)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1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10)와 동일한 것으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10 includes a body 110, a first module support part 120, a second module support part 130, a second module support part 130, a support part 140, a first fastening part 150_1, and It may include a second fastening portion 160_1. The solar cell mounting structure 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solar cell mounting structure 1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will not be repeate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200)은 셀 집합체(210)와, 모듈 프레임(220)과, 정션(junction)부(230)와, 연결 배선(240)을 포함할 수 있다.7 to 9,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include a cell assembly 210, a module frame 220, a junction unit 230, and a connection line 240. .

셀 집합체(210)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수광한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셀 집합체(210)는 복수의 단위 셀 어레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집합체(210)는 발전을 위해 예를 들어, 실리콘 반도체나 화합물 반도체(예를 들어, CIGS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셀 집합체(210)가 복수의 단위 셀 어레이를 포함할 경우, 단위 셀 어레이들은 서로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셀 집합체(210)는 양극단(미도시)과 음극단(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양극단과 음극단을 외부 회로와 연결하여 셀 집합체(2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전송한다.The cell aggregate 210 receives sunlight and converts the received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 photovoltaic effect. The cell aggregate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cell arrays (not shown). The cell aggregate 210 may include, for example, a silicon semiconductor or a compound semiconductor (eg, a CIGS compound semiconductor) for power generation. When the cell aggregat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ell arrays, the unit cell arrays may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Meanwhile, the cell assembly 210 may include an anode end (not shown) and a cathode end (not shown), and connect the anode end and the cathode end with an external circuit to transmit electrical energy generated in the cell assembly 210 to the outside. do.

모듈 프레임(220)은 셀 집합체(210)를 지지한다. 또한, 셀 집합체(210)가 외부의 구조물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듈 프레임(220)은 외부의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dule frame 220 supports the cell aggregate 210. In addition, the cell aggregate 210 may be combined with an external structure. The module frame 22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o as not to be damaged by an external environment.

정션부(230)은 셀 집합체(210)의 양극단 및 음극단과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정션부(230)는 셀 집합체(2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 회로에 전달할 수 있다. The junction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nds of the cell assembly 210. As a result, the junction 230 may transmit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cell assembly 210 to an external circuit.

연결 배선(240)은 정션부(230)를 통해 셀 집합체(210)의 양극단 및 음극단과 연결된다. 연결 배선(240)은 셀 집합체(210)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외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복수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태양전지 모듈들은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에 포함된 연결 배선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line 240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nds of the cell assembly 210 through the junction 230. The connection wire 240 allows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cell assembly 210 to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the solar cell module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nnection wires included in each solar cell module.

한편, 태양전지 모듈(200)은 정션부(230)와 연결 배선(240)을 덮는 커버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외부 환경에 노출된 태양전지 모듈(200)의 정션부(230)와 연결 배선(240)을 보호한다. 즉, 정션부(230)와 연결 배선(240)이 비나 눈에 노출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합선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를 설치함으로써, 정션부(230)와 연결 배선(240)을 보호한다. Meanwhile,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300 covering the junction part 230 and the connection wire 240. The cover part 300 protects the junction part 230 and the connection line 240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the junction 230 and the connection line 240 may be exposed to rain or snow, which may cause a short circuit. Therefore, by providing the cover 300, the junction 230 and the connection wiring 240 is protected.

이러한 커버부(300)는 태양전지 모듈(200)의 배면을 전부 덮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정션부(230)와 연결 배선(240)만을 덮도록 최소한도로 태양전지 모듈(200)의 배면을 가리는 것이 좋다. 커버부(300)가 태양전지 모듈(200)의 배면을 실질적으로 전부 가리게 되면, 태양전지 모듈(2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와 용이하게 교환되기 어렵다. 이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200)의 내부 온도가 증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태양전지 모듈(200)의 발전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300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cover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over th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to the minimum to cover only the junction 230 and the connection line 240. When the cover part 300 substantially covers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heat generated in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not be easily exchanged with the outside. As a resul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increase, and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as a whole may decrease.

커버부(300)는 모듈 프레임(220)과 체결된다. 커버부(300)는 커버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모듈 프레임(22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셀 집합체(210)나 정션부(230)에 영향이 없도록, 모듈 프레임(220)의 외측에서, 커버부(300)와 모듈 프레임(220)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부 체결수단으로는 예를 들어, 핀이나 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ver part 300 is fastened to the module frame 220. The cover part 300 may be fastened to the module frame 220 by a cover part fastening means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ver unit 300 and the module frame 220 may be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frame 220 so that the cell assembly 210 or the junction unit 230 is not affected. Meanwhile, for example, a pin or a bolt may be used as the cover unit fastening means.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이 건물의 외곽에 예시적으로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10 and 11, it can be seen that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건물,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의 베란다에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 모듈(200)이 건물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택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일부를 자체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 can be installed on the veranda of a building, especially an apartment house such as an apartment. That is,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uilding. By this. It is eco-friendly because some of the electricity used in the house can be generated by itself.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은 베란다의 난간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고, 베란다의 난간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분(이하, ‘가상의 선분’이라 한다.)과 50° 내지 80°의 각(θ3)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가상의 선분과 50° 내지 80°의 각(θ3)을 이루어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1)이 설치 되는 경우에는, 태양전지 모듈(200)의 발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효과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1,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balustrade of the veranda, and a virtual line segment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balustrade of the verand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irtual line segment'). And 50 ° to 80 ° to form an angle θ3. When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1 is installed by forming an θ3 of 50 ° to 80 ° with an imaginary line segment,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module 200 may be improved. Since a more detailed effect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제1 모듈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dule support of 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1.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upport part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cell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의 제1 및 제2 체결부의 제1 및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first and second modified examples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of the solar cell module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에 포함된 태양전지 모듈의 배면도이다.8 and 9 are rear views of the solar cell module included in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이 건물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the solar cell modu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installed in a buildin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0: 바디 120: 제1 모듈 지지부110: body 120: first module support

130: 제2 모듈 지지부 140: 지지부130: second module support portion 140: support portion

150_1: 제1 체결부 160_1: 제2 체결부150_1: first fastening part 160_1: second fastening part

210: 셀 집합체 220: 모듈 프레임210: cell aggregate 220: module frame

230: 정션부 240: 연결 배선230: junction portion 240: connection wiring

Claims (16)

태양전지 모듈이 옥외 난간에 설치되도록 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로서,As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that allows the solar cell module to be installed on the outdoor railing, 바디;body; 상기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모듈 지지부;A first module support part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모듈 지지부;A second module support par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바디가 옥외 난간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부; 및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supported on the outdoor railing to support the body on the outdoor railing; And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옥외 난간을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되,And a first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ing the body with the outdoor railing.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될 때,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 모듈 지지부의 돌출된 길이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고,When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is fixe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바디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 방향으로 만입된 고정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body includes a fixing groove indented in the other end direction from the one end, wherein the first modul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ixed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고정바(bar)와 상기 고정바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제2 접촉부를 포함하되,The first modul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xed bar and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to extend and bend from the fixed bar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to extend and ben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상기 고정바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상기 고정바의 돌출된 길이는 가변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fixing ba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ing bar is a variable structure for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바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고정바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고정홀을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xing bar to the body,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fixing hole for exposing the fixing bar to the outside,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바디에 상기 고정바를 고정시키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fixing means is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xing the fixing bar to the body through the fixing hole.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1 상판 및 상기 제1 상판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되.The body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including a first top plate and a first sidewall extending and bent from the first top plate.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일면과 맞닿아, 상기 일면과 상기 제1 상판 사이에 제1 체결공간이 형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first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is a first fasten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first top plate. 제5 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상판은 제1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바디를 결합하는 제1 체결수단을 포함하되,The first top plate includes a first fastening hol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the body, 상기 제1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체결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체결공간 내에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체결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first fastening means is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first fastening space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체결부는, The first fastening portion, 상기 바디와 맞닿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옥외 난간과 수직을 이루는 제1 수평부를 포함하되,A first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and bent from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outdoor railing;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수평부는 50° 내지 80°의 각을 이루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is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forming an angle of 50 ° to 80 °. 제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바디 결합부와 상기 옥외 난간의 상부에 지지되는 난간 지지부를 포함하되,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body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a handrail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the outdoor railing, 상기 난간 지지부의 내측은 상기 옥외 난간 상부의 외측과 포개지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inner side of the handrail support is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that overlaps with the outer side of the top of the outdoor railing.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체결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옥외 난간을 결합하는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body, and coupling the body and the outdoor railing. 제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바디는 상기 바디의 일면 상에 형성되고, 제2 상판 및 상기 제2 상판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된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되.The body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including a second top plate and a second sidewall extending and bent from the second top plate.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일면과 맞닿아, 상기 일면과 상기 제2 상판 사이에 제2 체결공간이 형성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second side wall is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second upper plate is formed. 제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2 상판은 제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와 상기 바디를 결합하는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하되,The second top plate includes a second fastening hole,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coupling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nd the body,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결합부와 체결되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second fastening means penetrates the second fastening hole and the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is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second fastening space. 제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2 체결부는,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상기 바디와 맞닿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에서 연장되고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옥외 난간과 수직을 이루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되, A second incline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and bent from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outdoor railing;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수평부는 50° 내지 80°의 각을 이루는 태양전지 모듈 설치용 구조체.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is a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forming an angle of 50 ° to 80 °. 옥외 난간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 및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outdoor railing; And 상기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에 수용되는 태양전지 모듈을 포함하되, Including a solar cell module accommodated in the solar cell installation structure, 상기 태양전지 설치용 구조체는,The solar cell mounting structure, 바디와,Body, 상기 바디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모듈 지지부와,A first module support part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바디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모듈 지지부와,A second module support part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ody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를 상기 옥외 난간 상부에 지지하는 지지부와, A support part coupled to the body and supporting the body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door railing;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바디와 상기 옥외 난간을 결합하는 제1 체결부를 포함하되,Is coupled to the body, including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 coupling the body and the outdoor railings,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될 때, 상기 제1 모듈 지지부가 상기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따라 가변하고,When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dy and is fixed,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body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cell module, 상기 바디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 방향으로 만입된 고정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모듈 지지부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The body includes a fixing groove indented in the other end direction from the one end, wherein the first module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is fixe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제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셀 집합체와 상기 셀 집합체와 연결된 정션(junction)부와 상기 정션부와 연결된 연결 배선과, 상기 셀 집합체를 지지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The solar cell module includes a cell assembly, a junction part connected to the cell assembly,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junction part, and a module frame supporting the cell assembly. 제14 항에 있어서, 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정션부와 상기 연결 배선을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The solar cell module further comprises a cover part covering the jun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wiring. 제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커버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과 체결되는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The cover unit is a solar cell module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module frame.
KR1020090096121A 2009-10-09 2009-10-09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0450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21A KR101045065B1 (en) 2009-10-09 2009-10-09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21A KR101045065B1 (en) 2009-10-09 2009-10-09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23A KR20110038923A (en) 2011-04-15
KR101045065B1 true KR101045065B1 (en) 2011-06-28

Family

ID=4404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121A KR101045065B1 (en) 2009-10-09 2009-10-09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0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33B1 (en)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4266U1 (en) * 2020-07-24 2020-08-11 Mark Schammel Holder for quick attachment of a solar panel to a railing or the lik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85B1 (en) 1996-08-30 2000-12-15 미다라이 후지오 Horizontal-roofing roof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0449831B1 (en) 1998-10-22 2004-12-08 곽상수 Building Veranda Structure with Solar Absorption Converter
KR100841573B1 (en) 2006-05-02 2008-06-30 윤종호 Solar cell module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185B1 (en) 1996-08-30 2000-12-15 미다라이 후지오 Horizontal-roofing roof and mounting method thereof
KR100449831B1 (en) 1998-10-22 2004-12-08 곽상수 Building Veranda Structure with Solar Absorption Converter
KR100841573B1 (en) 2006-05-02 2008-06-30 윤종호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33B1 (en) * 2014-03-27 2014-09-24 주식회사 신성솔라에너지 Supporting apparatus of solar cell module for ra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23A (en)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6075B (en) Low profile photovoltaic (LPPV) box
KR100841573B1 (en)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N101842913B (en) Low profile photovoltaic edge connector
US20110114149A1 (en) Junction box and photovoltaic module having junction box
KR101045067B1 (en) Solar cell module structure
US20100275991A1 (en) Photovoltaic System, a Terminal Box Thereof and a Voltage Converting Device
JP5931923B2 (en) Solar cell module
KR20180003580U (en) Road surface power generation unit and system
KR101632004B1 (en) Sunlight structure for water surface
KR101098931B1 (en) A supporting structure for a solar cell module
KR101045065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016793B1 (en) Roof unit including solar cell and roof connecting the same
KR100967380B1 (en) Solar light collecting apparatus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multiple reflection effect
KR20140141762A (en) Roofing tile for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KR101437903B1 (en)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panel improving stiffness and assembly of baseplate
KR20190123389A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using Pipes
CN105450171A (en) Double-glass solar cell module junction box
KR102016285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solar panel
KR101357197B1 (en)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heat pipe
KR20180003579U (en) Road surface power generation unit and system
KR101235720B1 (en) Shingle type photovoltaic module
CN201479059U (en) photovoltaic tile
KR20120015018A (en) Connection unit for solar generating module, support assembly having the connection unit and solar generating apparatus having the support assembly
KR20050040376A (en) Structure for setting up solar battery module in restricted space
KR20140120423A (en)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