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846B1 - Par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ar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846B1
KR101041846B1 KR1020100034848A KR20100034848A KR101041846B1 KR 101041846 B1 KR101041846 B1 KR 101041846B1 KR 1020100034848 A KR1020100034848 A KR 1020100034848A KR 20100034848 A KR20100034848 A KR 20100034848A KR 101041846 B1 KR101041846 B1 KR 10104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rking
row
trolley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익성
조갑율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중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중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4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846B1/en
Priority to RU2012148444/03A priority patent/RU2514311C1/en
Priority to PCT/KR2011/002694 priority patent/WO2011129644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04H6/24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wheeled parking platform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PURPOSE: A parking system is provided to utilize a parking space of a mechanical parking system by arranging two or more pallets in many rows, and to make a structure simple by moving a pallet arranged in a rear row without power. CONSTITUTION: A parking system comprises a pallet(10) where a vehicle is parked, a lift(1) having a pallet put on the upper part and ascending/descending vertically, and a chassis(20) pushing a pallet put on the lift in a preset parking row(2) or putting a parked pallet on the lift.

Description

주차장치{Parking Apparatus}Parking Lot {P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상부에 주차되는 팔레트를 다열로 배치하여 기계식 주차설비의 주차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열에 배치된 팔레트를 무동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lot, and more particularly, by placing a pallet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upper row in order to maximize the parking space of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nd simultaneously moving the pallet disposed in the rear row without force. It is about parking lot to let you do it.

일반적으로 주차장치는, 주차를 위한 다수의 주차실이 지하 또는 지상에 다층으로 마련되어 있고, 팔레트를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대차의 이동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다수의 주차실이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일측에 배치된다.In general, a parking lot includes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for parking in multiple layers in the basement or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moving space of a bogie moving the palle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t is arranged on one side.

상기 각 주차실에는, 차량이 상부에 주차하여 보관하는 상기 팔레트들이 각층 마다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차의 이동공간 일측에는 각 팔레트를 주차실의 각 층 사이에서 수직으로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가 설치되어 있다.In each of the parking spaces, the pallets, which are parked and stored at the top of the vehicle, are installed on each floor, and a lift for vertically transporting each pallet between the floors of the parking spac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oving space of the vehicle. .

상기 리프트는, 철골 구조체가 세워져 모터 및 감속기 그리고 브레이크로 이루어진 구동부가 설치되어 승하강하게 된다.The lift, the steel structure is erected is raised and lowered by a drive unit consisting of a motor, a reducer and a brake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주차장치에 차를 입고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putting a car in the parking lo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조작반(미도시)의 버튼을 눌러 주차장 입구의 도어를 열고, 상기 열린 도어를 통해 대기상태의 팔레트 상부에 차를 주차하게 되면, 상기 기 설정된 층까지 리프트가 승강 또는 하강하여 대차 부분에 정지하게 되고, 이어서 팔레트가 대차의 상부로 이송된다.First, open the door of the parking lot entrance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not shown), and when the car is parked on the upper pallet of the standby state through the open door, the lift is raised or lowered to the predetermined floor to stop on the bogie part. The pallet is then transferred to the top of the bogie.

상기 대차는, 기 설정된 주차실로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팔레트를 입고시키게 된다.The trolley is driven and stopped in a preset parking lot to receive the pallet.

또한, 상기 팔레트가 주차실로 입고된 이후의 대차에는, 빈 팔레트가 다시 얹혀지게 되고, 상기 빈 팔레트는 다시 리프트에 의해 주차장 입구로 이동하여 대기상태로 멈추게 된다.In addition, after the pallet is put into the parking space, the empty pallet is put back on, and the empty pallet is moved to the parking lot entrance by the lift again and stopped in the standby state.

한편, 차의 출고시에는 상기와 같은 입고시의 역순으로 진행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r is shipped, the process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stock.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장치는 대차가 이동되는 양측에 단 두 개의 주차실 들만이 배치되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arking lot as described above, only two parking lots we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cart.

따라서, 주어진 주차공간은 보다 넓은데도 불구하고, 주차실을 2열로만 배치해야 하므로 주차 가능한 용량이 비교적 적어 이용에 불편함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Therefore, although the given parking space is wi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king spaces should be arranged in only two rows, so that the available parking capacity is relatively small,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열에 2개 이상의 팔레트를 다열로 배치하여 기계식 주차설비의 주차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후열에 배치된 팔레트를 무동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 단순화를 구현하고 원가절감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lacing two or more pallets in a row in the parking row to make the most of the parking space of the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and to move the pallet arranged in the rear row without pow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rking lot that can achieve structural simplification and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cost reduction.

그리고 상기 다열로 배치된 팔레트를 대차의 상부에 얹거나 대차 상부에 있는 팔레트를 주차열에 밀어 넣음에 있어, 그 구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하여 구동의 용이성과 사용의 편리성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And in order to put the pallet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or to push the palle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into the parking row,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onvenient to reduce the ease of use, ease of use and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lso a purpose.

또한 상기 주차열에 팔레트를 밀어 넣을 때 정위치에 팔레트가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고 정확하게 주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llet is pushed into the parking row, there is also an object to allow the pallet to stop in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park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accurate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주차장치는, 상부에 차량이 주차되는 팔레트와, 상기 팔레트를 상부에 얹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얹혀진 팔레트를 기 설정된 주차열에 밀어넣어 주차하거나 주차열에 있는 팔레트를 리프트에 얹는 대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주차열에 다열로 설치되는 팔레트; 상기 주차열에 다열로 설치된 팔레트 중 대차와 인접하는 전열의 팔레트를 끌어당김에 따라 후열의 팔레트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대차 상부에 있는 팔레트를 주차열에 밀어 넣음에 따라 후열의 팔레트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이동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llet where a vehicle is parked on an upper portion, a lift that vertically elevates the pallet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allet placed on the lift in a preset parking row for parking or parking. A parking lot comprising a cart for placing pallets in a row on a lift, the parking lot comprising: pallets installed in multiple rows in one parking row; As the pallets in the front row adjacent to the trolley are pulled out of the pallets installed in the row in the parking row, the pallets in the rear row are also moved forward or the pallets in the rear row are also rearward as the pallets in the upper part of the cart are pushed into the parking row. A non-powered mover for movin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무동력 이동장치는, 상기 팔레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응 구비되되, 상기 팔레트의 너비방향으로의 이동에서는 결합이 해제되고,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서는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착탈결합부; 상기 대차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차열의 전열 팔레트를 상기 대차의 상부에 얹거나 대차 상부에 있는 팔레트를 주차열에 밀어넣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powered moving device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llet, the detachable coupling unit to release the coupling in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llet, maintaining the coupling force in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iving unit which is provided 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g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uts the heat transfer pallet of the parking trai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gie or pushes the pallet at the top of the bogie into the parking trai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일측의 너비방향 양 상부에 하향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편;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타측의 너비방향 양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편의 길이방향 전후면과 각각 대응 접촉하는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진 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the bending piece is provided bent downward in both upper width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pallet; Rollers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each of which has a pair of two pairs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ent pie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일측의 너비방향 양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상기 팔레트의 롤러 하부를 지지하는 보조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piece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both the width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to support the roller lower portion of the pallet adjacent.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각각의 양측에 하향 연장된 구동편을 포함하되, 상기 대차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각각의 양측에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대응하는 팔레트의 구동편 내측면 또는 외측면과 접하며 상기 팔레트를 상기 대차의 상부에 얹거나 대차 상부에 있는 팔레트를 주차열에 밀어넣는 상향 돌출된 내구름롤러가 구비된 내향바를 갖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piece extending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pall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trolley, respectively, And a driving member having an inward bar which is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r an outer surface of the pallet and which has an upwardly protruding inner rolling roller for placing the pallet on top of the trolley or pushing the pallet on the trolley to the parking row.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각 내향바의 인접위치에 상기 대응하는 팔레트의 구동편 외측면과 접하며 상기 대차의 상부에 얹혀있던 팔레트를 주차열 또는 리프트의 상부로 밀어 넣는 상향 돌출된 외구름롤러가 구비된 외향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e member is provided with an upwardly protruding outer rolling roller which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piece of the corresponding pallet at an adjacent position of each of the inward bars and pushes the pallet which has been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to the upper row of the parking row or the lif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utwardly made bar.

상기 팔레트가 이동하는 주차열의 상부에, 상기 팔레트의 바퀴와 대응하는 다수의 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팔레트가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wheels of the pallets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parking row where the pallets move to allow the pallets to stop in posi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주차장치에 따르면, 주차열에 팔레트가 다열로 배치되어 기계식 주차설비의 주차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전열 팔레트와 후열 팔레트가 절곡편과 롤러의 결합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연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열 팔레트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시 결합된 후열 팔레트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무동력으로 후열 팔레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pallets are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the parking row to maximize the parking space of the mechanical parking facility, and the heat transfer pallet and the rear row pallet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bending piece and the roller. Since the interlocking operation is possible, the combined rear heat pallet is also moved together when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 transfer pallet, so that the rear heat pallet can be moved by no force.

그리고 상기 대차의 구동부에 의해 팔레트를 주차열 또는 리프트에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꺼내거나 밀어 넣게 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편리하여 구동의 용이성과 사용의 편리성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pallet is easily and accurately taken out or pushed from the parking row or the lift by the driving unit of the bogie, and its structure is simple and the operation is convenient, so that the ease of driv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have.

또한 상기 구동부재의 외향바와 주차열에 형성된 홈에 의해 주차열에 팔레트를 밀어 넣을 때 정위치에 팔레트가 정지할 수 있어 정확하게 주차가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llet is pushed into the parking row by the groove formed in the outward bar and the parking row of the drive member, the pallet can be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accurately parking.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의 외향바에 의해 리프트에 팔레트를 밀어 넣을 때 정위치에 팔레트가 정지할 수 있어 원활하고 정확하게 주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llet is pushed into the lift by the outward bar of the driving member, the pallet can be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enabling smooth and accurate parking.

도 1은 본 발명 주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레트의 평면도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따른 팔레트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 팔레트의 결합부분을 상세히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재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레트와 대차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열에 정지한 팔레트를 보인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대차의 상부에 얹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대차의 상부에서 주차열 또는 리프트에 밀어 넣는 과정을 보인 도면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arking value
2 is a plan view of a pal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pallet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portion of both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bogi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member according to FIG.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allet and the truc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view showing a pallet stopped in the parking row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a pall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op of the trolley
9a and 9b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pushing the pallet in the parking row or the lif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 주차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과 같이, 주차장치는 상부에 차량이 주차되는 팔레트(10)와, 상기 팔레트(10)를 상부에 얹어 수직으로 승강하는 리프트(1)와, 상기 리프트(1)에 얹혀진 팔레트(10)를 기 설정된 주차열(2)에 밀어넣거나 주차된 팔레트(10)를 리프트(1)에 얹는 대차(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arking lot is based on a pallet 10 on which a vehicle is parked at the top, a lift 1 on which the pallet 10 is lifted vertically, and a pallet 10 mounted on the lift 1. It comprises a trolley 20 for pushing the parked pallet 10 or the parked pallet 10 onto the lift 1.

이때 상기 리프트(1)는,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 위치하는 주차장의 입구와 연결되어 주차될 차량을 주차위치 즉, 주차를 위한 주차층으로 이동시키거나 주차된 팔레트(10)를 주차장 입구로 이동시켜 차량의 주차 또는 출자를 구현하게 함은 주지된 바와 같다.In this case, the lift 1 is connected to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located on the top or bottom floor to move the vehicle to be parked to the parking position, that is, the parking floor for parking, or to move the parked pallet 10 to the parking lot entrance. It is well known to implement the parking or the investment of.

즉, 주차장 입구에 위치한 리프트(1) 상부의 빈 팔레트(10)에 주차할 차량이 주차된 후 조작반에 의해 주차할 위치가 설정되면, 리프트(1)가 해당 주차할 주차층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parking position is set by the operation panel after the vehicle to be parked on the empty pallet 10 above the lift 1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lift 1 moves up or down to the parking floor to be parked. do.

그리고 기 설정된 주차층에 리프트(1)가 멈추면, 상기 리프트(1)의 상부에서 대차(20)로 팔레트(10)가 이송하게 되고, 상기 대차(20)는 설정된 주차위치로 이송한 후 주차열(2)에 팔레트(10)를 밀어 넣게 된다.When the lift 1 stops on the preset parking floor, the pallet 10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1 to the trolley 20, and the trolley 20 is parked after the transfer to the set parking position. The pallet 10 is pushed into the row 2.

또한 상기 대차(20)는 빈 팔레트(10)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여 빈 팔레트(10)를 상부에 얹고 리프트(1) 위치로 이송한 후 리프트(1)에 빈 팔레트(10)를 얹게 되고, 이에 리프트(1)는 승강 또는 하강하여 주차장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trolley 20 moves to the place where the empty pallet 10 is located, the empty pallet 1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and transferred to the lift 1 position, and then the empty pallet 10 is placed on the lift 1, The lift 1 is lifted or lowered to b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한편, 상기 주차된 차량을 출차하기 위해서는, 주차된 차량의 출차를 조작반으로 조작하게 되고, 이에 리프트(1)가 기 설정된 주차층으로 이동하여 대차(20)의 상부에 빈 팔레트(10)를 얹게 되며, 상기 대차(20)는 비어있는 주차열(2)로 빈 팔레트(10)를 밀어 넣은 후, 기 설정된 주차차량 위치로 이송하여 기 설정된 주차차량이 주차된 팔레트(10)를 상부에 얹어 이송하여 리프트(1)에 얹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take out the parked vehicle, the operation of the parked vehicle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panel, whereby the lift 1 moves to the preset parking floor to place the empty pallet 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he trolley 20 pushes the empty pallet 10 into the empty parking row 2, and then transfers the empty pallet 10 to a preset parking vehicle position so that the preset parking vehicle is parked on the pallet 10. To the lift (1).

그리고 상기 리프트(1)는 다시 승강 또는 하강하여 주차장 입구로 위치하여 기 설정된 차량이 주차장에서 출차하도록 한 후, 다시 리프트(1)가 승강 또는 하강하여 대차(20)로부터 빈 팔레트(10)를 공급받아 주차장 입구에 위치하게 된다.
Then, the lift 1 is lifted or lowered again to b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so that the preset vehicle leaves the parking lot, and then the lift 1 is lifted or lowered to supply the empty pallet 10 from the cart 20. It will b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도면과 같이 상기 팔레트(10)는 주차열(2)에 2열로 구비되어 주차 또는 출차시 대차가 이동하며 빈 공간 또는 빈 팔레트(10)를 이용하여 주차 또는 출차를 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llet 10 is provided in two rows in the parking row 2 so that the truck moves when parking or leaving the vehicle, and parks or leaves using the empty space or the empty pallet 10.

이때 상기와 같은 주차장치에는 무동력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다열로 설치된 팔레트(10) 중 대차(20)와 인접하는 전열의 팔레트(10)를 끌어당기거나, 대차(20) 상부에 있는 팔레트(10)를 주차위치에 밀어 넣음에 따라 후열의 팔레트(10)도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arking lo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non-powered moving device, pull the pallet 10 of the heat transfer adjacent to the trolley 20 of the pallet 10 installed in multiple rows, or pallet 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By sliding) into the parking position, the pallet 10 in the rear row can also be moved together.

상기 무동력 이동장치는, 양 팔레트(10)의 결합력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착탈결합부와 대차(20)의 상부에 팔레트(10)를 얹거나, 대차(20) 상부의 팔레트(10)를 주차열(2) 또는 리프트(1)에 얹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기술하기로 한다.
The non-powered moving device, the pallet 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and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for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coupling force of both pallets 10, or parking the pallet 1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2) or the drive unit mounted on the lift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주차열(2)의 1열 또는 2열에 차량이 주차된 팔레트(10)를 주차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process of parking the pallet 10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first row or the second row of the parking row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1열에 차량을 주차하는 과정은, 주차된 차량이 리프트(1)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여 해당하는 주차층에 위치하는 대차(20)의 상부에 팔레트(10)가 얹혀지면, 상기 대차(20)는 기 설정된 주차열(2)(도면상 상하 방향)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parking the vehicle in the first row, when the parked vehicle is lifted or lowered by the lift 1 and the pallet 1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floor, the trolley 20 ) Moves to the preset parking row 2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drawing).

그리고 상부에 얹혀진 팔레트(10)를 주차열(2)에 밀어넣으면 1열 주차하는 과정은 완료가 된다.Then, when the pallet 10 placed on the top is pushed into the parking row 2, the process of parking the first row is completed.

상기 2열에 차량을 주차하는 과정은, 주차된 차량이 리프트(1)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하여 해당하는 주차층에 위치하는 대차(20)의 상부에 팔레트(10)가 얹혀지면, 상기 대차(20)는 기 설정된 주차열(2)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parking the vehicle in the second row, when the parked vehicle is lifted or lowered by the lift 1 and the pallet 1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floor, the trolley 20 ) Moves to the preset parking row 2.

그리고 상부에 얹혀진 팔레트(10)를 주차열(2)에 밀어넣으면 1열에 주차된 팔레트(10)와 함께 대차(20) 상부에 있는 팔레트(10)도 함께 주차열(2)에 밀어 넣어지며, 대차(20)에 있던 팔레트(10)가 1열에 주차되고, 기 주차되어 있던 팔레트(10)는 2열에 주차되어, 2열 주차하는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When the pallet 10 placed on the upper side is pushed into the parking row 2, the pallet 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is also pushed into the parking row 2 together with the pallet 10 parked in the first row. The pallet 10 in the trolley 20 is parked in one row, and the pallet 10 previously parked is parked in two rows and the process of parking two rows is completed.

한편, 1열에 주차된 차량을 출차하는 과정은, 대차(20)가 기 설정된 출차 차량이 위치한 팔레트(10)의 위치로 이송한 후 해당하는 팔레트(10)를 상부에 얹게 되고, 이때 대응하는 2열에 주차되 있던 팔레트(10)도 함께 대차(20) 방향으로 이동하며 1열에 주차된 팔레트(10)가 대차(20)의 상부에 얹혀질 때 2열에 주차되 있던 팔레트(10)가 1열에 위치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vehicle parked in the first row, the truck 20 transfers to the position of the pallet 10 in which the preset discharging vehicle is located, and then puts the corresponding pallet 10 on the upper part thereof. The pallets 10 parked in the row als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20, and when the pallets 10 parked in the first row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olley 20, the pallets 10 parked in the second row are located in the first row. Done.

그리고 상기 대차(20)는 리프트(1) 위치로 이송한 후 상부에 얹혀진 팔레트(10)를 리프트(1)에 얹어 출차하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
Then, the trolley 20 moves to the lift 1 position and then proceeds with the pallet 10 mounted on the lift 1 to be discharged.

2열에 주차된 차량을 출차하는 과정은, 대차(20)가 기 설정된 출차 차량이 위치한 팔레트(10)의 위치로 이송한 후 1열에 위치한 팔레트(10)를 상부에 얹게 되고, 이때 2열에 위치하던 출차 차량이 주차된 팔레트(10)는 1열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vehicle parked in the second row, the trolley 20 transfers to the position of the pallet 10 in which the pre-set outgoing vehicle is located, and then places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first row on the upper part, where the second row The pallet 10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is located in the first row.

그리고 상기 대차(20)는 비어있는 주차열(2)로 상부의 팔레트(10)를 밀어 넣은 후, 다시 기 설정된 출차 차량이 위치한 팔레트(10) 위치로 이송한 후 1열에 있는 해당하는 팔레트(10)를 상부에 얹어 리프트(1)의 상부에 얹어 출차하는 과정이 진행되도록 한다.Then, the trolley 20 pushes the upper pallet 10 into the empty parking row 2, transfers it to the pallet 10 location where the preset exit vehicle is located, and then corresponds to the pallet 10 in the first row. )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1) to proceed with the process of leaving the car.

이때 상기 대차(20)는 다시 빈 주차열(2)로 밀어넣은 1열에 위치했던 팔레트(10)를 상부에 얹어, 전에 위치했던 주차열(2)로 이송한 후 다시 팔레트(10)를 주차열(2)에 밀어 넣어 1열에 팔레트(10)가 위치하게 됨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trolley 20 puts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first row pushed back into the empty parking row 2 on the upper part, transfers it to the parking row 2 previously located, and then transfers the pallet 10 back to the parking row.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allet 10 is positioned in the first row by pushing it into (2).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레트의 평면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에 따른 팔레트의 길이방향 양측 각각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 팔레트의 결합부분을 상세히 보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of a palle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of the longitudinal both sides of the pallet according to Figure 2, Figure 4 is a detail of the coupling portion of both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shown.

도면과 같이 상기 팔레트(10)는, 상부에 차량이 주차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와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에는 다수의 바퀴(11)가 구비되어 주차열(2) 또는 대차(20) 또는 리프트(1) 등의 상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llet 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width such that a vehicle can be park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wheels 11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parking row 2 or the bogie 20 or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smoothly from the top of the lift (1)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팔레트(10) 하부의 중간 길이방향에는 하향 돌출된 구동바(12)가 구비되어, 추후 기술하겠지만 대차(20)의 상부나 리프트(1)의 상부에 팔레트(10)가 이송할 때 상기 구동바(12)가 다수의 롤러(22)(23)에 의해 이송력을 받으며 팔레트(10)가 이송하게 된다.
In addition, a driving bar 12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in the middle length direc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llet 10, and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allet 1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1. The driving bar 12 receives a conveying force by the plurality of rollers 22 and 23 and the pallet 10 conveys the conveying force.

한편,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양 팔레트(10)의 결합력을 유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착탈결합부는 절곡편(13)과 롤러(15)로 이루어지는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for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coupling force of both pallets 10 includes the bending piece 13 and the roller 15,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팔레트(10)의 길이방향 일측의 너비방향 양 상부에는 하향 절곡된 절곡편(13)이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10)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각각의 양측에는 하향 연장된 구동편(16)이 구비되며, 상기 양 절곡편(13)의 각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보조편(14)이 구비된다.Downwardly bent pieces 13 are provided on both upper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palle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riving pieces 16 extend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10. ) Is provided, and each lower portion of the two bending pieces 13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piece 14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상기 절곡편(13)은, 팔레트(10)의 길이방향 일측의 양 상부에 "ㄱ"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후 하향 절곡되어 구비되고, 그 하부에 구비된 보조편(14)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것이다.That is, the bent piece 13 is provided to be bent downward aft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a" shape on both sides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10, the auxiliary piece 14 provided below It protrudes in a direction.

그리고 상기 양 절곡편(13) 사이의 양 하부에는 각각에 판으로 이루어진 구동편(16)이 구비된다.A driving piece 16 made of a plate is provided at each lower portion between the two bending pieces 13.

한편, 상기 절곡편(13)과 보조편(14) 및 구동편(16)은 모두 용접에 의해 팔레트(10)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나, 팔레트(1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고정부재(못, 볼트와 너트, 리벳 등)로 팔레트(10)에 고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팔레트(10)에 구비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piece 13, the auxiliary piece 14 and the driving piece 16 are all preferably provided on the pallet 10 by welding,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llet 10, the fixing member (Pegs, bolts and nuts, rivets, etc.) can be provided on the pallet 10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can be fixed to the pallet 10, all modifications to this wi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절곡편(13)은 추후 기술하겠지만 주차열(2)의 전열과 후열에 위치하는 양 팔레트(10)의 결합을 위해 구비된 것이고, 상기 보조편(14)은 양 팔레트(10)의 결합을 유지시켜주기 위해 구비된 것이며, 상기 구동편(16)은 대차(20)의 상부 또는 리프트(1)의 상부 또는 주차열(2)로 당기거나 밀어 넣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The bent piece 13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s provided for the coupling of both pallets 10 located in the front row and the rear row of the parking row 2, and the auxiliary piece 14 prevents the coupling of both pallets 10. It is provided to maintain, the drive piece 16 is provided to pull or push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or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 (1) or the parking row (2).

상기 팔레트(10)의 길이방향 타측의 양 상부에는, 상기 절곡편(13)과 대응 결합하고,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5)가 구비된다.Both upper portions of the other side of the pallet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with rollers 15 which correspond to the bent pieces 13 and consist of two pairs.

따라서, 하나의 팔레트(10)가 주차열(2)의 1열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팔레트(10)가 측 방향에서 이동하여 1열에 위치한 팔레트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진 롤러(15)의 사이에 절곡편(13)이 위치하여 하나의 팔레트(10)와 다른 하나의 팔레트(10)가 길이방향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one pallet 10 is located in the first row of the parking row 2 and the other pallet 10 moves laterally and is located in front of the pallet located in the first row, the two pallets become 1 as shown in FIG. 4. The bending piece 13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15 so that one pallet 10 and the other pallet 10 are jo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conveyed toge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이때 상기 절곡편(13)과 롤러(15)의 결합은 팔레트(10)가 길이방향으로의 이송시에만 그 결합력이 유지되고, 전열 팔레트(10)가 측 방향 즉, 너비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하나의 팔레트(10)와 다른 하나의 팔레트(10)가 결합력이 없어지며 분리된다.In this case, the bending force of the bending piece 13 and the roller 15 is maintained only when the pallet 10 is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eat transfer pallet 10 is one when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ne The pallet 10 and the other pallet 10 is separated from the bonding force is lost.

한편, 상기 롤러(15)는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절곡편(13)과의 너비방향 결합시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짐과 함께 분리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2개로 이루어진 롤러(15) 대신에 "∪" 형상으로 이루어진 편을 구비하여 롤러(15)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은 구성 및 형상의 단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er 15 is configured to be free to rotate so that the smooth coupling and the separation can be made smoothly when the widthwise coupling with the bending piece 13, it is made of two rollers 15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unction of the roller 15 by having a piece made of "∪" shape instead of), as well as a simple modification of such a configuration and shape will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보조편(14)은, 하나의 팔레트(10)와 다른 하나의 팔레트(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롤러(15) 사이에서 절곡편(13)이 위치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auxiliary piece 14 prevents the bending piece 13 from being displaced between the rollers 15 by an external force or an impact in a state in which one pallet 10 and the other pallet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do.

즉, 상기 결합된 양 팔레트(10)가 이송중의 굴곡이나 작은 단차 혹은 하중의 변동에 의하여 팔레트(10)가 승강 또는 하강하며 롤러(15) 사이에서 절곡편(13)이 위치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롤러(15)의 하부를 보조편(14)이 지지하여 절곡편(13)이 롤러(15) 사이에서 위치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pallet 10 is raised or lowered due to the bending, the small step or the variation of the load while the combined pallet 10 is transported, and the bending piece 13 is out of position between the rollers 15. Since the auxiliary piece 14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roller 15,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bending piece 13 from being out of position between the rollers 15.

이때 상기 보조편(14)은 양 팔레트(10)가 결합하였을 경우에만 롤러(15)의 하부를 지지하게 됨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the auxiliary piece 14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roller 15 only when both pallets 10 are coupled.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대차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구동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레트와 대차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열에 정지한 팔레트를 보인 도면이다.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trolle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ember according to Figure 5,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allet and the trolle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s the stationary pallet in the parking row applied to.

도면과 같이, 상기 대차(20)는 상부에 팔레트(10)가 얹힐 수 있는 길이와 넓이로 이루어짐은 주지된 바와 같으며, 그 형상 또한 주지된 형상과 같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trolley 20 is made of a length and a width on which the pallet 10 can be placed, as is well known, the shape is also the same as the known shape.

그리고 길이방향의 중앙 양측에는 각각 제1모터(21)에 의해 구동하는 각각 한 쌍의 이송롤러(22)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의 중앙 다수개소에는 자유회전하는 자유롤러(23)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pair of feed rollers 22, each driven by the first motor 21,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ree rollers 23 freely rotating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cent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기 설명한 바와 같이 대차(20)의 상부에는 팔레트(10)를 얹거나 대차 상부의 팔레트(10)를 주차열(2) 또는 리프트(13)에 얹는 구동부가 구비되는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for placing the pallet 10 or the pallet 10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on the parking row 2 or the lift 13. As follows.

이때 상기 구동부를 구성하는 구동편(16)은, 상기 팔레트(10)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각각의 양측에 하향 연장되어 형성된 것으로, 기 설명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drive piece 16 constituting the drive unit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10, as described above.

상기 대차(20)의 길이방향 각각의 양측에는 구동부재(31)가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재(31)는 상향 돌출된 내구름롤러(33)가 구비된 내향바와, 상기 내향바(32)와 인접하는 위치에 상향 돌출된 외구름롤러(35)가 구비된 외향바(34)가 구비된다.Driving members 31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rolley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riving member 31 includes an inward bar provided with an upwardly protruding inner roller 33 and an inward bar 32. The outward bar 34 provided with the outer rolling roller 35 protruding upward from the adjacent position is provided.

상기 구동부재(31)는, 상기 대차(20)에 설치된 제2모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상향 돌출된 내구름롤러(33)가 상기 대응하는 팔레트(10)의 구동편(16)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팔레트(10)를 상기 대차(20)의 상부로 당겨 얹게 된다.The drive member 31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30 installed in the trolley 20, the upwardly rolling roller 33 is a driving piece of the corresponding pallet (10). 16, the pallet 10 is brought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그리고 상향 돌출된 외구름롤러(35)가 상기 대응하는 팔레트(10)의 구동편(16) 외측면과 접하며 상기 대차(20)의 상부에 얹혀있던 팔레트(10)를 주차열(2)에 밀어 넣거나 리프트(1)의 상부로 밀어 넣게 된다.In addition, the upward rolling roller 35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piece 16 of the corresponding pallet 10 and pushes the pallet 10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o the parking row 2. To the top of the lift (1).

이때 상기 구동편(16)의 위치와 길이 및 내구름롤러(33)의 회전반경과 설치위치 그리고 외구름롤러(35)의 회전반경과 설치위치는, 동작구현을 고려하여 설계함이 매우 중요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drive piece 16 and the rotation radius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ner roller roller 33 and the rotation radius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er roller roller 35 are very important in consider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ration. .

즉, 도 7a와 같이 대차(20)의 상부에 팔레트(10)가 위치하면, 팔레트(10)의 구동바(12) 양측을 이송롤러(22)가 잡고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팔레트(10)의 양 구동편(16)은 제2모터(3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재(31)의 내구름롤러(33)와 외구름롤러(35)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pallet 1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as shown in FIG. 7A, the feed rollers 22 hold both sides of the driving bar 12 of the pallet 10, and the pallet 10 is located. Both driving pieces 16 are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inner rolling roller 33 and the outer rolling roller 35 of the driving member 31 rotated by the second motor 30.

또한 상기 주차열(2)의 1열에 있는 팔레트(10)의 전방에 대차(20)가 위치하면, 상기 팔레트(10)의 양 구동편은 제2모터(3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부재(31)의 내구름롤러(33)와 외구름롤러(35)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하는 상태가 됨도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trolley 2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allet 10 in the first row of the parking row 2, both driving pieces of the pallet 10 are driven by the second motor 30. Of course, the inner rolling roller 33 and the outer rolling roller 35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within the radius of rotation.

한편, 도 7b와 같이 상기 주차열(2)에는 상기 팔레트(10)의 바퀴(11)와 대응하는 다수의 홈(3)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재(31)에 의해 주차열(2)에 팔레트(10)가 밀려 주차될 때 정위치에 구비된 홈(3)에 팔레트(10)의 바퀴(11)가 삽입되며 팔레트(10)가 정지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B, the parking row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3 corresponding to the wheels 11 of the pallet 10, and is provided to the parking row 2 by the driving member 31. When the pallet 10 is pushed and parked, the wheels 11 of the pallet 10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3 provided at the correct positions and the pallet 10 is stopped.

이때 상기 홈(3)은, 정위치에 팔레트(10)가 정지되도록 설정되어 주차열(2)에 미리 형성한 것으로, 상기 홈(3)에 팔레트(10)의 바퀴(11)가 삽입하며 주차열(2)의 정위치에 팔레트(10)가 정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groove (3), the pallet 10 is set to stop at the correct position in advance formed in the parking row (2), the wheel 11 of the pallet 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 parking The pallet 10 can be stopped at the correct position in the row 2.

즉 상기 팔레트(10)가 주차열(2)에 주차될 때, 팔레트(10)의 첫번째 바퀴(11)는 이송롤러(22)의 이송력에 의해 대차(20) 방향의 주차열(2) 첫번째 홈(3)을 그냥 타고 넘어가게 되고, 팔레트(10)의 마지막 바퀴(11)가 주차열(2)의 첫번째 홈(3)에 근접할 때 이송롤러(22)의 이송력이 상실된다.That is, when the pallet 10 is parked in the parking row 2, the first wheel 11 of the pallet 10 is first parked row 2 in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20 by the feed force of the feed roller 22. The groove 3 is just taken over and the feed force of the feed roller 22 is lost when the last wheel 11 of the pallet 10 approaches the first groove 3 of the parking row 2.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1)의 외구름롤러(35)에 의해 팔레트(10)가 주차열(2)로 밀리게 되며, 이때 상기 팔레트(10)의 마지막 바퀴(11)가 주차열(2)의 첫번째 홈(3)에 삽입함과 동시에 팔레트(10)의 첫번째 바퀴(11)가 주차열(2)의 마지막 홈(3)에 삽입하게 되어, 주차열(2)에 팔레트(10)가 정위치에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 pallet 10 is pushed into the parking row 2 by the outer rolling roller 35 of the driving member 31, and the last wheel 11 of the pallet 10 is driven by the parking row 2. The first wheel 11 of the pallet 10 is inserted into the last groove 3 of the parking row 2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groove 3 is inserted into the first row 3, so that the pallet 10 is positioned in the parking row 2. Will be stopped.

이때 상기 주차열(2)의 첫번째 홈(3)과 마지막 홈(3)은, 하나의 팔레트(10)에 구비된 첫번째 바퀴(11)와 마지막 바퀴(11)에 대응하는 위치로 형성된 것을 기술함을 강조한다.In this case, the first groove 3 and the last groove 3 of the parking row 2 are described as being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wheel 11 and the last wheel 11 included in one pallet 10. To emphasize.

상기 팔레트(10)에 바퀴(11)가 3열로 구비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주차열(2)의 홈(3)도 3열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은 물론이다.When the wheels 11 are provided in three rows on the pallet 10, the grooves 3 of the parking row 2 may als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ee rows.

그러나 상기 팔레트(10)에 바퀴(11)가 3열로 구비되었다 하여도, 상기 주차열(2)의 홈(3)을 1열과 3열 바퀴(11)에 대응하는 2열의 홈(3)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팔레트(10)의 1열 또는 2열 또는 3열 바퀴(11)와 대응하는 1열의 홈(3)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와 같이 주차열(2)에 형성되는 홈(3)의 개수 또는 열의 개수에 대한 단순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However, even if the wheels 10 are provided in three rows on the pallet 10, the grooves 3 of the parking row 2 are formed of two rows of grooves 3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and the third row wheels 11. The grooves 3 formed in the parking row 2 may be formed by the row of grooves 3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or the second row or the third row wheels 11 of the pallet 10. Simple design changes to the number of columns or the number of columns will all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와 같은 홈(3)을 대차(20) 또는 리프트(1)에도 형성할 수 있음도 물론이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groove 3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formed in the trolley 20 or the lift 1, of course,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열에 주차된 팔레트를 대차의 상부에 얹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8A to 8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placing a pallet parked in a parking r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an upper portion of a truck.

도면과 같이, 주차열(2)의 1열에 주차된 팔레트(10)를 대차(20)의 상부에 얹기 위해서는, 도 8a와 같이 팔레트(10)의 일측에 대차(20)의 타측이 위치하도록 대차(20)가 이동한 상태에서 제2모터(30)가 구동하여 구동부재(31)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place the pallet 10 parked in the first row of the parking row 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he bogie 2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allet 10 as shown in FIG. 8A. In the state where 20 is moved, the second motor 30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member 31 in the left direction on the drawing.

이때 상기 도면은 대차(20)의 우측방향 타측과 팔레트(10)의 우측방향 일측을 도시한 것으로, 대차(20)의 좌측방향 타측에 구비된 구동부재(31)는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drawing shows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trolley 20 and one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pallet 10. The driving member 31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trolley 20 rotates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drawing. Of course.

또한 상기 대차(20) 일측의 양측에 구비된 구동부재(31)를 이용하여 팔레트(10) 타측의 양측에 구비된 구동편(16)을 접촉할 때에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구동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driving member 1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llet 10 by using the driving member 31 provided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trolley 20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drives. to be.

한편, 상기 대차(20)에 설치되는 각 구동부재(31)를 동일한 모양으로 설치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팔레트(10)를 대차(20)의 상부에 얹을 수 있음은 물론, 이와 같은 단순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each drive member 31 installed in the trolley 20 is installed in the same shape and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pallet 10 can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as well as such a simple design change Will a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회전하던 구동부재(31)의 내구름롤러(33)는 도 8b와 같이 팔레트(10)의 구동편(16) 내측면과 접하게 되고, 이에 지속적인 제2모터(30)의 구동에 의해 도 8c와 같이 구동부재(31)가 회전하여 팔레트(10)의 일측을 대차(20)의 타측 상부에 얹게 된다.The inner rolling roller 33 of the rotating drive member 3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 piece 16 of the pallet 10 as shown in Figure 8b, this is driven by the continuous driving of the second motor 30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ember 31 is rotated so that one side of the pallet 10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trolley 20.

이때 상기 대차(20) 타측의 한 쌍의 이송롤러(22) 사이에 팔레트(10)의 일측 구동바(12)가 밀착되어 위치하므로, 제1모터(21)가 구동하여 한 쌍의 이송롤러(22)를 회전시켜 팔레트(10)를 대차(20)의 상부로 얹게 된다.At this time, since one side driving bar 12 of the pallet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feed rollers 22 on the other side of the trolley 20, the first motor 21 is driven to drive a pair of feed rollers ( 22, the pallet 10 is placed on top of the trolley 20 by rotating.

한편, 상기 내구름롤러(33)의 회전거리나 정지위치를 고려하여 제2모터(30)의 회전속도와 회전거리 등을 미리 설정함이 매우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distance or the stop position of the rolling roller 33 is preferably set in advance the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distance of the second motor (30).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1)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좌측방향에 먼저 구비된 내구름롤러(33)가 구동편(16)과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내구름롤러(33)의 우측방향에 구비된 외구름롤러(35)는 구동편(16)과 닿지 않는 상태로 동작이 이루어진다.When the driving member 31 is rotated to the left side, the inner rolling roller 33 provided in the left direc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piece 16 first, so that the outer rolling roller 33 is provid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rolling roller 35 is operated in a state of not contacting the driving piece 16.

또한 상기 제1모터(21)는 팔레트(10)가 대차(20)의 상부에 정확한 위치로 얹혀진 후에는 구동을 멈추게 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first motor 21 stops driving after the pallet 1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o the correct position.

상기 주차열(2)의 1열에 있는 팔레트(10)를 구동부를 이용하여 대차(20)의 상부에 얹으면, 상기 1열에 있는 팔레트(10)와 2열에 있는 팔레트(10)가 착탈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2열에 있던 팔레트(10)는 별도의 동력 없이 1열로 위치하게 된다.When the pallet 10 in the first row of the parking row 2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using the driving unit, the pallet 10 in the first row and the pallet 10 in the second row are detachable from the coupling unit. Since they are coupled together, the pallets 10 in two rows are positioned in one row without additional power.

한편 종래에는, 2열에 있던 팔레트(10)를 1열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2열 주차위치에 설치하여, 복잡한 구성에 의한 원가가 높아져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1열에 있던 팔레트(10)를 대차(20)로 얹는 동작에 의해 자동(무동력)으로 2열에 있던 팔레트(10)가 1열로 위치됨에 따라, 간편한 구성에 의해 원가를 절감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a device for transferring the pallets 10 in the second row to the first row was installed in the second row parking position, and the cost was increased due to a complicated configur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By placing the pallet 10 on the trolley 20, the pallet 10 in the second row is automatically (non-powered) positioned in the first row,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manufacturing cost by a simple configuration.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를 대차의 상부에서 주차열 또는 리프트에 밀어 넣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9A and 9B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pushing a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parking row or a lift at an upper portion of a trolley.

도면과 같이, 대차(20)의 상부에 얹혀있던 팔레트(10)를 기 설정된 위치(주차열 또는 리프트)에 밀어넣기 위해서는, 우선 대차(20)의 제1모터(21)가 구동하여 한 쌍의 이송롤러(22)를 회전시켜 구동바(12)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밀어주어 팔레트(10)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to push the pallet 1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parking row or lift), firstly, the first motor 21 of the trolley 20 is driven to drive a pair of vehicles. By rotating the feed roller 22 to push the drive bar 1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convey the pallet 1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그리고 상기 대차(20)의 이송방향에 구비된 한 쌍의 이송롤러(22)에서 구동바(12)가 떨어진 후에는, 제2모터(30)가 구동하여 구동부재(31)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After the drive bar 12 is separated from the pair of feed rollers 22 provided in the feed direction of the trolley 20, the second motor 30 is driven to drive the drive member 31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drawing. To rotate.

이때 상기 구동부재(31)의 외구름롤러(35)가 도 9a와 같이 구동편(16)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rolling roller 35 of the drive member 3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piece 16 as shown in Figure 9a.

또한 상기 제2모터(3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구동부재(31)가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9b와 같이 외구름롤러(35)가 구동편(16)을 밀어 기 설정된 위치에 팔레트(10)가 이송되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driving member 31 is rotated in the right direction by the continuous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30, the outer rolling roller 35 pushes the driving piece 16 as shown in FIG. 10 is to be transported and positioned.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1)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우측방향에 먼저 구비된 외구름롤러(35)가 구동편(16)과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외구름롤러(33)의 좌측방향에 구비된 내구름롤러(35)는 구동편(16)과 닿지 않는 상태로 동작이 이루어진다.When the driving member 31 is rotated to the right side, since the outer rolling roller 35 provided in the right direc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piece 16 first, the driving member 31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outer rolling roller 33. The rolling roller 35 is operated in a state that does not contact the drive piece (16).

이때 상기 외구름롤러(35)가 구동편(16)을 최대한 밀어 고정되는 팔레트(10)를 위치는, 상기 외구름롤러(35)의 설치위치와 회전반경에 의해 좌우되는바, 이에 정확한 위치에 팔레트(10)가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외구름롤러(35)의 설치위치와 회전반경을 고려해야 함이 매우 중요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pallet 10 to which the outer rolling roller 35 is pushed and fixed to the driving piece 16 as much as possible depends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rotation radius of the outer rolling roller 35,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rotation radius of the outer roller roller 35 so that the pallet 10 can be fixed in position.

한편, 상기 주차열(2)에 팔레트(10)가 위치 고정될 때 상기 주차열(2) 하부의 팔레트(10) 바퀴(11)가 위치하는 부분에 팔레트(10)의 바퀴(11)와 대응하는 홈(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팔레트(10)가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pallet 10 is fixed to the parking row 2, the wheel 11 of the pallet 10 corresponds to the wheel 11 of the pallet 10 located below the parking row 2. Since the groove 3 is formed, the pallet 10 can be stopped at a fixed position.

즉,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외구름롤러(35)에 의해 밀어지는 팔레트(10)의 바퀴(11)가 주차열(2)의 대응하는 홈(3)에 안착되며 팔레트(10)가 주차열(2)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홈(3)의 깊이는 이동하는 팔레트(10)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해야 함은 물론이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11 of the pallet 10 pushed by the outer rolling roller 35 is seated in the corresponding groove 3 of the parking row 2, and the pallet 10 is located in the parking row ( It is to be accurately fix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2), the depth of the groove 3 should be formed to a depth that does not give a large impact on the moving pallet (10).

상기와 같이, 상기 구동부에 의해 대차(20)의 상부에서 주차열(2)로 팔레트(10)를 이송하거나 상기 주차열(2)에서 팔레트(10)를 대차(20)의 상부로 얹는 동작은,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됨으로써, 착탈결합부의 결합력에 의해 후열 팔레트(10)가 무동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pallet 10 to the parking row 2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by the driving unit or placing the pallet 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in the parking row 2 is performed. By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ar heat pallet 10 is moved by no force by the coupling force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즉,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이 대차(20)의 상부에 1열에 위치한 팔레트(10)를 얹게 되면, 1열에 위치한 팔레트(10)와 2열에 위치한 팔레트(10)가 착탈결합부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1열에 위치한 팔레트(10)를 대차(20)의 상부에 얹는 과정에서 자동(무동력)으로 2열에 위치한 팔레트(10)가 1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first row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as shown in FIGS. 8A to 8C,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first row and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second row are coupled by a detachable coupling part. Therefore,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first row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second row is positioned in the first row.

그리고 상기 팔레트(10)가 얹혀진 대차(20)를 리프트(1)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너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착탈결합부를 구성하는 절곡편(13)과 롤러(15)의 결합력이 해제되어 대차(20) 상부의 팔레트(10)를 리프트(10)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pallet 10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in order to transfer the trolley 20 on which the pallet 10 is mounted, the coupling force of the bending piece 13 and the roller 15 constituting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is released. The pallet 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can be transferred in the direction of the lift 10.

이때 상기 리프트(1)는, 전열 팔레트(10)와 후열 팔레트(10)가 착탈결합부에 의해 결합력이 유지되는 위치에 구비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lift 1, of course, the heat transfer pallet 10 and the after heat pallet 10 should not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bonding force is maintained by the detachable coupling portion.

즉, 상기 리프트(1)의 위치가 주차열(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대차(20)에 팔레트(10)가 얹혀진 후 리프트(1)에 얹을 때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착탈결합부의 결합력이 유지되고, 이에 주차열(2)의 2열에 위치되었던 팔레트(10)가 1열에 위치된 후 대차(20) 상부에 있던 팔레트(10)가 리프트(1)에 얹혀지는 구동에 의해 1열에 위치한 팔레트(10)가 대차(20) 상부에 얹혀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lift 1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parking row 2, the pallet 10 is placed on the trolley 20 and then detached b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placed on the lift 1. The coupling force of the coupling part is maintained, and the pallet 10, which was located in the second row of the parking row 2, is positioned in the first row, and then the drive of the pallet 1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is placed on the lift 1.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first row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따라서, 상기 리프트(1)와 주차열(2)의 설치위치는 착탈결합부를 고려하여 형성함이 매우 중요한바, 도 1과 같이 리프트(1)의 위치가 주차열(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주차열(2)의 일측으로 완전히 벗어난 위치에 리프트(1)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ft 1 and the parking row 2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and as shown in FIG. 1, the position of the lift 1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parking row 2. It is preferable not to form, and the lift 1 may be formed in the position completely deviated to one side of the parking row 2.

한편, 상기 대차(20)의 상부에 팔레트(10)가 얹혀진 후 너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송방향의 주차열(2)에 위치한 팔레트(10)의 착탈결합부를 통과하게 됨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팔레트(10)를 자유롭게 결합 또는 분리하며 주차열(2)에 다열로 팔레트(1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llet 1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20 and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course, it passes through the detachable coupling part of the pallet 10 located in the parking row 2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pallet 10 can be freely coupled or separated and the pallet 10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rows in the parking row 2.

참고로, 도면에서는 모터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스프로킷과 체인을 도시하였고, 상기 체인은 일점쇄선으로 약식으로 도시하였음을 강조하며, 밸트나 기어의 치합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reference, in the drawing shows a sprocket and a chain a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by the drive of the motor, stressing that the chain is schematically shown by a dashed line, and also a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engagement of the belt or gear. Of course it can be achieved.

본 발명 주차장치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1 - 리프트 2 - 주차열 3 - 홈
10 - 팔레트 11 - 바퀴 12 - 구동바
13 - 절곡편 14 - 보조편 15 - 롤러
16 - 구동편
20 - 대차 21 - 제1모터 22 - 이송롤러
23 - 자유롤러
30 - 제2모터 31- 구동부재 32- 내향바
33 - 내구름롤러 34 - 외향바 35 - 외구름롤러
1-Lift 2-Parking Row 3-Home
10-Pallet 11-Wheel 12-Drive Bar
13-Bend 14-Side 15-Roller
16-drive piece
20-Truck 21-First motor 22-Feed rollers
23-Free Roller
30-2nd motor 31-Drive member 32-Inward bar
33-Rolling Roller 34-Outer Bar 35-Rolling Roller

Claims (7)

하나의 주차열에 다열로 설치되는 팔레트와, 상기 주차열에 다열로 설치된 팔레트 중 대차와 인접하는 전열의 팔레트를 끌어당김에 따라 후열의 팔레트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대차 상부에 있는 팔레트를 주차열에 밀어 넣음에 따라 후열의 팔레트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하부의 중간 길이방향에 하향 돌출되어 구비되는 구동바와,
상기 대차의 길이방향 중앙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각각 제1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구동바의 양측에 각각 밀착하여 상기 팔레트를 대차의 상부 또는 주차열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한 쌍의 이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무동력 이동장치는,
상기 팔레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응 구비되되 상기 팔레트의 너비방향으로의 이동에서는 결합이 해제되고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에서는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착탈결합부와,
상기 대차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차열의 전열 팔레트 또는 리프트의 팔레트 일측을 상기 대차의 타측 상부에 얹어 상기 대차의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이송롤러 사이에 상기 팔레트의 구동바 일측이 밀착되도록 하거나,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대차 상부에 있던 팔레트가 주차열 또는 리프트에 밀어 넣어진 후 상기 주차열 또는 리프트의 정위치에 팔레트가 위치하도록 밀어주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각각의 양측에 하향 연장된 구동편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의 길이방향 양측의 너비방향 각각의 양측에 제2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팔레트의 구동편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팔레트의 일측을 상기 대차의 타측 상부에 얹는 상향 돌출된 내구름롤러가 구비된 내향바와,
상기 내향바의 인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팔레트의 구동편 외측면과 접하며 상기 주차열 또는 리프트에 이송된 팔레트를 주차열 또는 리프트의 정위치로 밀어 넣는 상향 돌출된 외구름롤러가 구비된 외향바로 이루어진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As pallets are installed in multiple rows in one parking row and the pallets in the front row adjacent to the trolleys installed in multiple rows in the parking row are moved, the pallets in the rear row also move forward or the pallets in the upper part of the bogie are pushed into the parking row. In the parking lot including a non-powered moving device that allows the rear pallets to move backwards as they are inserted.
A driving bar protruding downward in the middl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pallet;
A pair of feed rolle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olley, each of which is rotated by a first motor,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driving bar to push or pull the pallet in the upper or parking row direction of the trolley; Including,
The non-powered moving device,
Detachable coupling portion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llet, respectively, to release the coupling in the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llet and to maintain the coupling force in th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allet is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bogi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llet of the heat transfer pallet or the lift of the parking train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gie on the other side of the bogie between the pair of feed roller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gie. One side of the driving bar is in close contact, or the pallet was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by the transfer roller is pushed into the parking row or lift, including a drive unit for pushing the pallet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parking row or lift,
The driving unit,
A driving piece extending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pall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wardly protruding roller roll that receives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trolley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driving piece of the pallet and places one side of the pallet on the other side of the trolley. With the inward bar is provided,
It is provided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inward bar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or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piece of the pallet and pushes the pallet transferred to the parking row or lift to the parking row or lift in the correct position Parking lot valu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member consisting of an outward bar provided with a protruding outer roll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부는,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일측의 너비방향 양 상부에 하향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편;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타측의 너비방향 양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편의 길이방향 전후면과 각각 대응 접촉하는 2개가 1쌍으로 이루어진 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vable coupling unit,
A bending piece provided bent downward in both width directions of one side of the pall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ollers provided on both upp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each of which has a pair of two pairs in contact with the longitudinal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ent piece; The parking lo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길이방향 일측의 너비방향 양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인접하는 상기 팔레트의 롤러 하부를 지지하는 보조편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3,
Parking lot valu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piece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both the width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to support the roller lower portion of the pallet adjac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가 이동하는 주차열의 상부에, 상기 팔레트의 바퀴와 대응하는 다수의 홈을 더 구비하여 상기 팔레트가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wheels of the pallet, above the parking row to which the pallet moves, to allow the pallet to stop in position.
KR1020100034848A 2010-04-15 2010-04-15 Parking apparatus KR101041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848A KR101041846B1 (en) 2010-04-15 2010-04-15 Parking apparatus
RU2012148444/03A RU2514311C1 (en) 2010-04-15 2011-04-15 Parking device
PCT/KR2011/002694 WO2011129644A2 (en) 2010-04-15 2011-04-15 Par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848A KR101041846B1 (en) 2010-04-15 2010-04-15 Park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846B1 true KR101041846B1 (en) 2011-06-17

Family

ID=4440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848A KR101041846B1 (en) 2010-04-15 2010-04-15 Par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41846B1 (en)
RU (1) RU2514311C1 (en)
WO (1) WO2011129644A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624B1 (en) 2012-11-07 2014-02-04 박현건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1404634B1 (en) * 2012-11-08 2014-06-11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Linking type multi-row parking system
CN104358438A (en) * 2014-10-30 2015-02-18 王洋 Vehicle pushing platform for mechanical garage
KR20200102183A (en) * 2019-02-21 2020-08-31 배연호 Park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3379C1 (en) * 2017-02-27 2018-02-01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сипенко Device for moving c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544A (en) * 1997-11-29 1999-06-15 이종수 Elevator Parking Equipment
JP2003343112A (en) 2002-05-29 2003-12-03 Shin Meiwa Ind Co Ltd Horizontal circulation type parking equipment
KR20090085410A (en) *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Reciprocating par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876A (en) * 1995-09-19 1997-03-25 Shin Meiwa Ind Co Ltd Equipment for lateral transfer of pallets of parking facilities
RU2134760C1 (en) * 1998-01-22 1999-08-20 Егоров Олег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Device for transportation of car in multitier mechanized parking
JP2004092108A (en) * 2002-08-30 2004-03-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Park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544A (en) * 1997-11-29 1999-06-15 이종수 Elevator Parking Equipment
JP2003343112A (en) 2002-05-29 2003-12-03 Shin Meiwa Ind Co Ltd Horizontal circulation type parking equipment
KR20090085410A (en) * 2008-02-04 2009-08-07 주식회사 코스텍엔지니어링 Reciprocating park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624B1 (en) 2012-11-07 2014-02-04 박현건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1404634B1 (en) * 2012-11-08 2014-06-11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Linking type multi-row parking system
CN104358438A (en) * 2014-10-30 2015-02-18 王洋 Vehicle pushing platform for mechanical garage
KR20200102183A (en) * 2019-02-21 2020-08-31 배연호 Parking apparatus
KR102301148B1 (en) * 2019-02-21 2021-09-10 배연호 Par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9644A2 (en) 2011-10-20
RU2514311C1 (en) 2014-04-27
WO2011129644A3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08B1 (en) Parking equipment
KR101041846B1 (en) Parking apparatus
KR100569817B1 (en) Cart type auto parking system and parking process
CN201614133U (en) Mobile gravity wire rod rack for logistics
KR20210011578A (en) Plane reciprocating parking device
JP4515537B1 (en) Cartrain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JP2014517177A (en) Parking facilities
KR200407929Y1 (en) Cart type auto parking system
KR20060048886A (en) Multi-story parking system
KR101433579B1 (en) Mechanical parking apparatus
KR101404634B1 (en) Linking type multi-row parking system
KR100632390B1 (en) Moving-type parking device
JP6066107B2 (en) Conveying device with conveying cart lifting device
JPH04203176A (en) Multi-storied parking device
JPH0472026B2 (en)
KR100982501B1 (en) Reciprocating Parking Device
JP3820256B2 (en) Three-dimensional bicycle parking apparatus and bicycle parking method
JPH10339048A (en) Multi-storied parking device
JP3020342U (en) Goods storage shelves
JPH09100646A (en) Storing system
JP4369823B2 (en) Elevator parking system
JP2004123252A (en) Automated warehouse
KR101433580B1 (en)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KR101358533B1 (en) Mechanical parking apparatus
TWM588720U (en) Mechanical parking 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