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480B1 -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480B1
KR101039480B1 KR1020100107113A KR20100107113A KR101039480B1 KR 101039480 B1 KR101039480 B1 KR 101039480B1 KR 1020100107113 A KR1020100107113 A KR 1020100107113A KR 20100107113 A KR20100107113 A KR 20100107113A KR 101039480 B1 KR101039480 B1 KR 10103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ser
adapter system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채화
강경동
박흥수
Original Assignee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네오엠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네오엠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480B1/ko
Priority to US12/945,212 priority patent/US20120110543A1/en
Priority to CN201010549834XA priority patent/CN10246738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시스템에서의 앱스토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앱스토어 시스템은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하는 권한 신청 처리부,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배포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부 및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 연동 가능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APPLICATION STORE SYSTEM FOR APPLYING APPLICATION DEVELOPMENT INTEROPERATED WITH UNIFIED DEVICE AND METHOD FOR MANAGEMENT APPLICATION STO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기종 장치들은 저마다 각각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및 RS-232나 RS-485와 같은 시리얼(serial) 통신 등과 같이 서로 다른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기종 장치들은 운영체제의 플랫폼이나 데이터 포맷 등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서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와 운영체제의 플랫폼 또는 데이터 포맷 등이 서로 다른 이기종 장치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 시스템에 다수의 운영체제 플랫폼을 설치하고, 데이터 포맷의 변환을 위한 장치 그리고 다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매 및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병원의 의료장비나 헬스 클럽의 운동 장치들과 같이 이기종 장치들 각각을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사용자가 어떠한 장치를 이용하였는지 확인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측정 정보를 얻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앱스토어(App store)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한 주변장치(헬스케어(healthcare)용 장치나 화상카메라 등)와 연계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각 장치마다 연동하는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장치마다 별도로 제공되는 프로토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직접 확보하여 개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양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표준/비표준 데이터를 처리, 전송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의료표준 수용으로 유헬스(u-health) 산업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환 방법이 제공된다.
기기 납품과 서비스 기획을 통한 비즈니스 제휴를 바탕으로 제품 판매수익과 서비스 모델링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환 방법이 제공된다.
허브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용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배포함으로써, 개발자들이 어떠한 유형의 장치라 하더라도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간편하게 연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하는 권한 신청 처리부,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배포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부 및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앱스토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 연동 가능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고,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하는 단계,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하는 단계,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앱스토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 연동 가능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를 포함한다.
다양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표준/비표준 데이터를 처리, 전송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의료표준 수용으로 유헬스(u-health) 산업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기기 납품과 서비스 기획을 통한 비즈니스 제휴를 바탕으로 제품 판매수익과 서비스 모델링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허브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용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배포함으로써, 개발자들이 어떠한 유형의 장치라 하더라도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간편하게 연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개괄적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실시예에 있어서, 블루투스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구체적이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및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앱스토어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앱스토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앱스토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개괄적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Multi Protocol Adapter) 시스템(100)(이하, "uLSP(100)")은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Service Plug and Play, SPNP) 기술을 이용한 유/무선 통신 처리부와 임베디드 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uLSP(100)는 이기종 장치들(110)로부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USB(universal Serial Bus) 및 RS-232나 RS-485와 같은 시리얼(serial) 통신 등을 이용하여 의료 표준(ISO IEEE 11073 PHD)의 입력 데이터와 다양한 데이터 포맷의 비표준 입력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uLSP(100)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가공, 처리하여 단말기(120)로 전달하는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uLSP(100)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의료표준 수용으로 유헬스(u-health) 산업 확대에 기여가 예상된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100)은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PCD(Protocol Conversion Device)와 데이터 처리를 위한 DSD(Data Service Device)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100)에는 PCD의 어플리케이션(APPL), 미들웨어(M/W), 운영체제(OS), 펌웨어(F/W) 및 하드웨어(H/W)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LSP(100)는 측정 장비의 제조사와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 제조사에게 프로토콜 변환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Software Development Kit, 이하 SDK)를 제공하는 오픈 소스 장치일 수 있다. 즉, uLSP(100)는 다양한 포트의 이기종 장치들(110)을 사용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플랫폼 별로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규격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uLSP(100)는 단순 구조화된 스크립트 포맷(script format)을 채택하여 프로세서 내에서 스크립트를 저장하여 실행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포트의 이기종 장치들(110)은 일례로, 혈압계, 혈당계, 체온계 등과 같이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기(120)는 스마트폰이나 PC, 노트북, 셋톱형 장치인 SXMP(Smart Cross Media Open Platform)와 같은 이기종 장치들(110)에서 측정/전송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기술은 마이크로 칩과 안테나가 내장된 태그(tag)를 사물에 부착하고, 라디오 프리퀀시 웨이브(radio frequency wave)를 이용하여 사물과 리더(reader)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물(물품)의 내역 확인, 이송 경로 추적 및 실시간 이력 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한, RS-232C는 EIA(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에 의해 규정되었으며 그 내용은 데이터 단말기(DTE: Data Terminal Equipment)와 데이터 통신기(DCE: Data Communication Equipment)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전기적인 인수, 컨트롤 핸드쉐이킹, 전송속도, 신호 대기시간, 임피던스 인수 등을 정의하였으나 전송되는 데이터의 포맷과 내용은 지정하지 않으며 DTE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PC의 시리얼 포트는 RS-232C의 서브 세트(9핀)가 표준 장비되어 있다. 풀 규격은 25-pin의 "D"형태 커넥터로,이 중 22핀을 통신에 사용한다. 그러나 보통의 PC 통신에서는 이들 대부분의 핀은 사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PC에는 통상 수컷(male)의 9핀 "D" 타입 커넥터가 장비되고 있다. 최근의 PC는 RS-232C 대신에 USB를 채용하고 있어 RS-232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S-232C 어댑터(Adapter)를 사용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유/무선 통신 처리부(210) 및 데이터 처리/관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처리부(210)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연결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유/무선 통신 처리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인지부(211), 세션 관리부(212) 및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지부(211)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의 연결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접속 인지부(211)는 입/출력 타입의 RS-232와 같은 직렬통신 방식의 시리얼 통신, 블루투스, USB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의 연결을 인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관리 모듈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에 대한 장치 식별자(Device ID, DID),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종류 등에 대한 장치 정보의 관리와 해당 장치의 접속 승인/거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장치의 장치 정보는 별도의 장치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장치의 접속 승인은 장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정보를 통해 에 저장된 장치 정보를 접속 인지부(211)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장치 관리 서버에서 해당 장치를 승인하는 과정을 통해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의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에는 장치 식별자와 같은 장치 관리번호에 대한 정보,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종류와 같은 기본적인 장치 정보, 펌웨어 업데이터에 대한 관리 정보 및 펌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접속 인지부(211)는 일례로, 장치 식별자,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의 연결을 승인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212)는 입력으로 연결되는 장치들의 연결(접속)을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연결 세션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세션 관리부(212)는 응답 시간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제한 시간(예를 들어 1분에서 5분)에 응답 시간 제어모듈과 연결되는 장치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부(213)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단위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부(213)는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자체적으로 등록/등록철회할 수 있고, 커뮤니티의 다른 장치들을 위해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퍼블리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부(213)는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서비스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고, 커뮤니티 기반 롤 플레잉이 가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관리부(220)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처리/관리부(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화부(221), 데이터 변환부(222), 사용자 정보 관리부(223), 데이터 전송부(224) 및 데이터 저장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부(221)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예를 들어, 암호화부(221)는 4 비트 체계의 특수 코드 값을 데이터 헤드에 생성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해당 장치의 제조사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API가 해당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222)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는 표준 데이터와 비표준 데이터로 구분하여 변환될 수 있다.
우선,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의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해당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비표준 데이터는 비표준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환부(222)는 비표준 데이터를 벌크(bulk) 데이터로 처리하여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의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의 제조사로부터 데이터 프로토콜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 해당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표준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변환부(222)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특정 코드값을 추가, 삭제, 추출, 가공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표준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즉, 데이터 변환부(222)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고, 데이터 프로토콜을 제공받을 수 없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를 벌크 데이터로서 바이패스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23)는 RFID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사용자 식별정보는 개인 헬스 장치 등과 같이 이기종 장치들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함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정보 관리부(223)는 사용자 식별정보(User ID, UID)와 함께, 사용자 이름, 성별, 나이, 신체정보(몸무게, 키 등) 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24)는 변환된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조합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 전송부(224)는 단말기에 포함된 에이전트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 후, 변환된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가 조합된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25)는 변환된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가 조합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225)는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및 단말기의 에이전트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이 없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3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의 프로세서(310)가 다양한 프로토콜의 통신 방법을 통해 다양한 이기종 장치들과의 연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30핀 커넥터(321)를 통해 스마트폰(322)과 연결되거나, TTA 24(323)를 통해 혈당계(32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20)는 다수의 USB 포트 중 USB1(325)를 통해 혈압계(326)와 연결되거나 또는 IR(327)을 통해 IR 리모콘(328)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TTA 24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규격 24핀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고, IR은 적외선 포트를 의미할 수 있다.
우선, 스마트폰(322)이 프로세서(310)에게 가능한 포트와의 연결을 요청하면, 프로세스(310)는 포트 식별자를 스마트폰(322)에게 알려주고 연결을 수락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322)이 TTA 24(323), USB1(325) 및 IR(327)을 통해 프로세서(310)와 각각 연결된 혈당계(324), 혈압계(326) 및 IR 리모콘(328)에게 장치 식별자를 요청하면, 혈당계(324), 혈압계(326) 및 IR 리모콘(328)는 각각 스마트폰(322)에게 장치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 식별자의 요청 및 제공은 모두 프로세서(3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스마트폰(322)이 혈당계(324), 혈압계(326)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IR 리모콘(328)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폰(322)은 IR(327) 포트의 연결 해제를 프로세서(310)에게 요청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322)의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싱이 종료될 때까지 혈당계(324) 및 혈압계(326) 등의 장치들과 필요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싱이 종료된 후 스마트폰(322)은 모든 포트와의 연결 해제를 프로세서(31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싱의 결과는 스마트폰(322)을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USB(330)를 통해 프로세서(310)와 연결된 단말기(340)로 전송되어, 단말기(340)를 통해 프로세싱 결과가 관리자와 같은 또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다양한 사용자들의 혈당, 혈압, 체온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들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타입을 선택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 등의 화면을 통해 다운로드 타입 "A001", "XXX0", "XXX1", "XXX2"와 같이 미리 정의된 다양한 다운로드 타입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버튼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다운로드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다운로드 타입에 따라 미리 기선정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실시예에 있어서, 블루투스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타원(400)은 uLSP(410), 혈당계(420) 및 혈압계(430)가 피코넷(piconet)을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피코넷이란 2개 또는 그 이상의 장치들이 연결되어 형성된 작은 무선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도 4는 uLSP(410)와 혈당계(420) 및 혈압계(430)가 각각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연결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uLSP(410)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에 대응될 수 있다.
우선, 도 4의 일례에 따른 블루투스는 2.4 GHz의 대역폭을 사용하고, 1Mbps 심볼 레이트(symbol rate)와 1MHz씩 79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주파수 홉핑(hopping) 방식을 사용하며, 1개의 채널에서 625 마이크로 초만큼씩 머물다 채널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당 1600회 홉핑이 발생하며, 1개의 타임슬롯은 624 마이크로 초일 수 있다. 홉핑 순서는 해당 장치의 클락(Clock)을 통해 그 순서가 결정되고, 두 장치간의 통신시에는 한쪽 클락과 동기가 맞춰질 수 있다. 이때, 두 장치는 타임슬롯의 홀/짝수에 따라 서로 번갈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간의 연결은 페이징(paging)과 인쿼리(inquiry) 절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장치에서 상대 장치의 고유주소(BD_ADDR)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페이징만으로 연결이 성립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인쿼리를 통해 상대 장치의 고유주소를 우선 확인한 후 페이징을 통해 연결이 성립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각 장치는 고유의 클락을 갖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직접 장치의 클락을 조절할 수는 없기 때문에 피코넷에서는 마스터 장치의 시스템 클락으로 슬레이브 장치들의 클락이 동기화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점선박스(440 및 450)은 마스터 장치인 uLSP(410)와 혈당계(420)의 클락이 서로 다른 경우, 혈당계(420)의 클락이 uLSP(410)의 클락과 동기화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은 유헬스 장치나 유로그(u-Log) 장치의 RFID, 블루투스, USB 및 시리얼 통신 그리고 표준/비표준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통신규격/전송규격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로그란 유헬스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예를 들어, 모델명), 제조사, 기기일련번호, 접속시간, 종료시간, 사용시간 등과 같은 일련의 로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장치 개발사, 서비스 사업자, 오픈마켓(자사 혹은 타사), 소비자 및 일반 유통사에게 오픈 소스인 SDK 기반의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 납품과 서비스 기획을 통한 비즈니스 제휴를 바탕으로 제품 판매수익과 서비스 모델링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일례이다.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공급사(510)는 장치 개발사나 IPTV 사업자, 서비스 사업자, 오픈 마켓, 일반 유통사 등의 사업자들(520)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공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고, 사업자들(520)은 SDK 기반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비자(530)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도 5에서 실선 화살표는 장치나 서비스의 납품을, 점선 화살표는 장치나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비용 지불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의 구체적이 활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610)이 소지할 수 있는 ID 카드들(620)과, 사용자들(610)이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운동 기구들(630) 그리고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640)과 서비스 센터(650)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센터(650)는 다양한 운동 기구가 비치된 헬스 클럽일 수 있다.
제1 사용자가 제1 ID 카드를 소지한 상태로 제2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 우선, 제1 ID 카드의 사용자 식별정보가 RFID를 통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64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운동 기구에서 측정된 정보들 역시 블루투스나 적외선 통신 또는 USB나 시리얼 통신을 통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64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640)은 사용자 식별정보와 제2 운동 기구에서 전송된 측정 정보를 조합하여 조합된 정보를 서비스 센터(650)의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센터(650)는 제1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들(610)이 각각 자신의 ID 카드들(620)을 소지한 상태로 복수의 운동 기구들(630)을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센터(650)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640)을 통해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표준/비표준 정보들을 사용자별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610) 각각의 운동량 등을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헬스 클럽을 일례로 들었으나, 병원이나 보건소 등과 혈압계, 체온계, 혈당계 등의 다양한 이기종 장치들을 이용하는 모든 사업장에서 본 실시예들에 따른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데이터 변환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71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연결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710)에 단계(711) 내지 단계(713)을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711)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의 연결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입/출력 타입의 RS-232와 같은 직렬통신 방식의 시리얼 통신, 블루투스, USB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의 연결을 인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관리 모듈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에 대한 장치 식별자(Device ID, DID),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종류 등에 대한 장치 정보의 관리와 해당 장치의 접속 승인/거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장치의 장치 정보는 별도의 장치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장치의 접속 승인은 장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장치 정보를 통해 에 저장된 장치 정보를 접속 인지부(211)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장치 관리 서버에서 해당 장치를 승인하는 과정을 통해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의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에는 장치 식별자와 같은 장치 관리번호에 대한 정보,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종류와 같은 기본적인 장치 정보, 펌웨어 업데이터에 대한 관리 정보 및 펌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일례로, 장치 식별자, 제조사, 모델명 및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의 연결을 승인할 수 있다.
단계(712)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입력으로 연결되는 장치들의 연결(접속)을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연결 세션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응답 시간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제한 시간(예를 들어 1분에서 5분)에 응답 시간 제어모듈과 연결되는 장치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연결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단계(713)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단위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자체적으로 등록/등록철회할 수 있고, 커뮤니티의 다른 장치들을 위해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퍼블리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서비스 플러그 앤 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서비스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고, 커뮤니티 기반 롤 플레잉이 가능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720)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및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단계(810) 내지 단계(850)는 도 7에서 설명한 단계(720)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때, 수신된 데이터는 표준 데이터와 비표준 데이터로 구분하여 변환될 수 있다.
우선,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의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해당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비표준 데이터는 비표준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비표준 데이터를 벌크(bulk) 데이터로 처리하여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전송한 장치의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제조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의 제조사로부터 데이터 프로토콜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 해당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표준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수신된 데이터에 대해 특정 코드값을 추가, 삭제, 추출, 가공하는 처리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표준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RFID 카드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사용자 식별정보는 개인 헬스 장치 등과 같이 이기종 장치들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함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으로 전달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정보 관리부(223)는 사용자 식별정보(User ID, UID)와 함께, 사용자 이름, 성별, 나이, 신체정보(몸무게, 키 등) 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예를 들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4 비트 체계의 특수 코드 값을 데이터 헤드에 생성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API가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해당 장치의 제조사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API가 해당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84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변환된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를 조합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단말기에 포함된 에이전트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정상인지 확인 후, 변환된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가 조합된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850)에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은 변환된 데이터와 사용자 정보가 조합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225)는 단말기와의 연결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200)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 및 단말기의 에이전트에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이 없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앱스토어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앱스터어 시스템(900), 사용자(910)(또는 구매자) 및 개발자(920)(또는 판매자)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 시스템(900)은 도 1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용의 SDK를 배포하여 이기종 장치들 각각에 대해 개발자 (920)가 일일이 스펙 분석이나 API 연동을 처리할 필요 없이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의 연동만을 통해서 모든 장치들과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 기반의 앱스토어 시스템에서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이 셋톱박스(set-top box)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개발자(920)가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연동되는 다양한 이기종 장치들을 활용하여 TV 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앱스토어 시스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용 SDK를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앱스토어 시스템(900)은 개발자(920)가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등록 및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9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된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앱스토어 시스템(900)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9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910) 및 개발자(92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와 개발자가 이용하는 유무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고, 앱스토어 시스템(900)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유무선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앱스토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자를 지원하기 위한 개발자 관리 모듈(1010)과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모듈(102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개발자 관리 모듈(10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한 신청 처리부(1011),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배포부(1012) 및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013)를 포함할 수 있다.
권한 신청 처리부(1011)는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한다. 이때, 권한 신청 처리부(1011)는 개발자의 식별정보나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개발자를 인식한 후 해당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허용 또는 거부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배포부(1012)는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 연동 가능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발자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다운로드 하여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연동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013)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 관리 모듈(10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부(1021)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부(1021)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1013)에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022)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은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연동된 다양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도면들의 설명들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앱스토어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앱스토어 관리 방법은 도 10을 통해 설명한 앱스토어 시스템(10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앱스토어 시스템(1000)을 통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앱스토어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1110)에서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한다. 이때,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개발자의 식별정보나 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을 통해 개발자를 인식한 후 해당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허용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 연동 가능한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하여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발자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다운로드 하여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연동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단계(1130)에서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한다.
단계(1140)에서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단계(1150)에서 앱스토어 시스템(1000)은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된 어플리케이션은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연동된 다양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도면들의 설명들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통신 규격을 이용하는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표준/비표준 데이터를 처리, 전송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의료표준 수용으로 유헬스(u-health) 산업 확대에 기여할 수 있고, 기기 납품과 서비스 기획을 통한 비즈니스 제휴를 바탕으로 제품 판매수익과 서비스 모델링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허브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용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배포함으로써, 개발자들이 어떠한 유형의 장치라 하더라도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과 간편하게 연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이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앱스토어 시스템
1011: 권한 신청 처리부
1012: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배포부
1013: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1021: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부
1022: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Claims (4)

  1.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하는 권한 신청 처리부;
    상기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배포부;
    상기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
    상기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리스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연결을 인지하여 연결 세션이 관리되고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단위로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가 상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수신되도록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3. 개발자의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권한 신청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권한 신청이 허용된 개발자에게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배포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개발자로부터 수신하여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등록 및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과의 연결을 인지하여 연결 세션이 관리되고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단위로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앱스토어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이기종 장치들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가 상기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수신되도록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스토어 관리 방법.
KR1020100107113A 2010-10-29 2010-10-29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KR10103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113A KR101039480B1 (ko) 2010-10-29 2010-10-29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US12/945,212 US20120110543A1 (en) 2010-10-29 2010-11-12 Application Store System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Application Interoperated with Unified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Store
CN201010549834XA CN102467387A (zh) 2010-10-29 2010-11-15 应用程序商店系统和应用程序商店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113A KR101039480B1 (ko) 2010-10-29 2010-10-29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480B1 true KR101039480B1 (ko) 2011-06-08

Family

ID=4440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113A KR101039480B1 (ko) 2010-10-29 2010-10-29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10543A1 (ko)
KR (1) KR101039480B1 (ko)
CN (1) CN1024673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09A1 (ko) * 2011-09-22 2013-03-28 Ko Youn Hwan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23031B1 (ko) * 2012-01-26 2015-05-27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거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5250A (zh) * 2013-01-15 2013-04-24 周万荣 一种基于应用的电子商务系统
CN103279355B (zh) * 2013-06-04 2016-03-30 沈琼茂 创建移动应用商店的系统及方法
US10419877B2 (en) * 2015-10-07 2019-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IoT device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249180A (zh) * 2017-07-20 2017-10-13 北京五八信息技术有限公司 Lbs sdk通用接入方法和系统
US11232061B2 (en) * 2018-06-11 2022-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actFlash express (CFX) adapters
CN110619195B (zh) * 2018-12-25 2021-07-06 北京时光荏苒科技有限公司 一种权限申请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2169A1 (en) 1999-05-11 2005-01-27 Microsoft Corporation Interlaced protocol for smart card application development
US20060101472A1 (en) * 2003-07-11 2006-05-11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oftware development kit for client server applications
US20090113377A1 (en) 2007-10-29 2009-04-30 Michael Cacenco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backend tool connector in support of heterogeneous data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9503562B2 (en) * 2008-03-19 2016-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WO2010120549A2 (en) * 2009-03-31 2010-10-21 Ecrio,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unctions to applications on a digital electronic device
US8725745B2 (en) * 2009-04-13 2014-05-13 Microsoft Corporation Provision of applications to mobile devices
CN101706901B (zh) * 2009-12-01 2012-07-25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实现屏蔽不同工作流产品的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2169A1 (en) 1999-05-11 2005-01-27 Microsoft Corporation Interlaced protocol for smart card application development
US20060101472A1 (en) * 2003-07-11 2006-05-11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oftware development kit for client server applications
US20090113377A1 (en) 2007-10-29 2009-04-30 Michael Cacenco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backend tool connector in support of heterogeneous data sour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진석외 1인, 언로킹 안드로이드 개발자 가이드, 2010.02.0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809A1 (ko) * 2011-09-22 2013-03-28 Ko Youn Hwan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23031B1 (ko) * 2012-01-26 2015-05-27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거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7387A (zh) 2012-05-23
US20120110543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282B1 (ko)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 및 멀티 프로토콜 어댑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변환 방법
KR101039480B1 (ko) 단일화된 장치 연동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및 앱스토어 관리 방법
US20230111728A1 (en) Credential management system
CN102870064B (zh) 用于定位与用户设备一起使用的配件和应用程序的方法和系统
US11641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passiv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Bluetooth vitals devices
US20140273857A1 (en) Systems and methods to secure short-range proximity signals
US201503396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devices to user accounts
CN111656380B (zh) 用于在进行电子钱包支付时支持具有增强的安全方法的自动Wi-Fi连接的电子装置和方法
CN105120527A (zh) 无线对接
US10582359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ecured network using tag devices having a random identification number associated therewith
WO20150472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fc access control in a secure element centric nfc architecture
KR2015008340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 등록을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11651069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et-of-Things system
WO2017076270A1 (zh) 一种具有动态令牌otp功能的智能卡及其工作方法
CN103843028B (zh) 见证的自主uService
CN105247905A (zh) 利用移动设备的近场网络通信而控制安全内容访问的装置和方法
JP6108904B2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および決済端末
KR20140050168A (ko) 다중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결제단말
US90215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data transfer related to a data-storing card
WO2011153688A1 (zh) Nfc服务的移动分布与交易系统及方法、可读取媒体
TWI722333B (zh) 讀卡交易系統及操作讀卡交易系統的方法
KR101359659B1 (ko) 무선 센싱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US10685192B2 (en) Card reading transaction system with an intermediate server
KR101841100B1 (ko) 무선랜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결제 방법, 결제 시스템 및 무선랜 핑거프린트로 점포와 카드를 연계하는 서버
KR20230045896A (ko) 의료기관 네트워크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별 맞춤형 o2o마케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