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423B1 -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 Google Patents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423B1
KR101037423B1 KR1020080091565A KR20080091565A KR101037423B1 KR 101037423 B1 KR101037423 B1 KR 101037423B1 KR 1020080091565 A KR1020080091565 A KR 1020080091565A KR 20080091565 A KR20080091565 A KR 20080091565A KR 101037423 B1 KR101037423 B1 KR 101037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
power generation
generation system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2604A (en
Inventor
유제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문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91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423B1/en
Publication of KR20100032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6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4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4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 F03D3/0409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stationary wind-guiding means, e.g. with shrouds or channels surround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을 수용부로 유도하며 차량이 지지부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도부,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및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통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raffic of a vehicle. It is form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and h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wind can enter and a receiv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and extend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shock guide unit for guiding the receiving unit and mitigating an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ing unit, a rotor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unit and rotating by the wind, and a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Vehicle traffic can be used to generate electricity as well a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풍력, 중앙분리대, 발전장치 Wind power, central separator, power plant

Description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vehicle traffic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raffic of a vehicle.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 전용도로와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중앙선 침범 등에 의한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로의 중앙에 중앙분리대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아파트 단지와 같이 인구가 밀집된 장소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도로에는 교통사고를 방지하고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인도(人道)와 인접한 도로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보호벽 등을 설치하고 있다.  On roads where vehicles run at high speeds, such as highways or car-only roads, a central divider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road to prevent large accidents caused by central line invasion. In addition, roads adjacent to densely populated plac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are provided with protective walls along the edges of roads adjacent to sidewalk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reduce noise.

이와 같은 중앙분리대 및 보호벽의 주변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한 바람이 발생한다. 특히, 고속도로 또는 터널의 내부에서는 차량의 고속주행으로 인해 강한 바람이 생성된다. 또한, 도심에 위치하는 자동차 전용도로 등에서는 통행하는 차량의 수가 많기 때문에 중앙분리대 또는 보호벽의 주변에 바람이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및 보호벽의 주변에서 차량의 통행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The wind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generated around the central separator and the protective wall. In particular, a strong wind is generated due to the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inside the highway or tunnel. In addition, in a car-only road located in the city center,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vehicles passing through the wind, wind is continuously generated around the central separator or the protective wall. In recent years,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duce electric power by using wind generated by the traffic of vehicles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divider and the protective wall of the road.

한편, 차량이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보호벽에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충돌사고는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야기한다. 특히 도로의 중앙분리대와 충돌한 차량은 충돌시 발생한 충격에 의해서 도로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다른 차량과 충돌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한다. On the other hand, accidents in which a vehicle collides with a central partition or a protective wall of a road frequently occur, and such a collision causes human and physical damage. In particular, a vehicle collided with a median of a road is separated from the road by a shock generated during a collision or collides with another vehicle, causing serious damage.

그리고 도로에는 예를 들어 각종 표지판, 신호등, 가로등 등의 다양한 전기 시설들이 설치된다. 전력을 입력 받아 구동되는 각종 표지판은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정보, 각종 위험 표시 정보, 과속 단속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에서는 차량의 고속 주행으로 인한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해서 경광등, 점멸등 및 경고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터널을 통과하는 도로에서는 터널 내부의 조명 및 환기를 위해서 각종 조명장치 및 환기장치와 같은 부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And roads are equipped with a variety of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various signs, traffic lights, street lights, for example. Various signs driven by receiving electric power are provided to provide drivers with real-time information on road conditions, various danger marking information, and speed regulation information. Particularly, the warning lights, flashing lights, and warning lights are used to call the driver's attention because the risk of high-speed driving of the vehicle increases on a highway or an exclusive road. In addition, on the road passing through the tunnel, auxiliary devices such as various lighting devices and ventilation devices are used for lighting and ventilation inside the tunnel.

이와 같이 전력을 사용하는 도로의 표지판, 신호등 및 가로등 등의 전기 시설들은 외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전 등의 사고에 의해서 원래의 기능을 못하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산간벽지에 있는 도로 또는 고속도로와 같이 인적이 드문 장소에 위치한 도로의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이를 복구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고 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러나 인적이 드문 장소에 위치한 도로의 경우 주행 차량이 없는 경우에도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서 가로등을 켜놓는 것은 전력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것이 된다. As such, electrical installations such as road signs, traffic lights, and street lamps that use electric power use external power, and thus, may cause various safety accidents due to power fail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ads located in rare places such as roads or highways in mountain walls, when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is cut off,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increases even more since it takes considerable time to recover the power. However, roads located in rare places can be an unnecessary waste of power when the street lights are turned on to provide continuous power even when there are no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 power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he impact on the vehicle when an accident occurs to reduce physical and human damage.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을 수용부로 유도하며 차량이 지지부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도부,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및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한다.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electric power by us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 inlet and the inlet which is form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and the wi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de A support part having a receiv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guiding wind to the receiving part, and buffering part for mitigating an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ing part, inside the receiving part It includes a rotor that is rotated by the wind and the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도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accommodation portion may be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완충유도부는 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 및 돌출부에서 차량의 주행방 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buffer induction part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protrus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inlet.

지지부가 도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유입구는 지지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수용부와 연통될 수 있다. When the support par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oad, the inlet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part.

로터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지지부의 상면에는 수용부와 연통되어 블레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rotor has a helical bla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can be formed discharge port for the wind guided by the blade is discharged.

완충유도부는 유입구에 인접해서 형성되고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유도부의 삽입부, 돌출부 및 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쿠션(air cushion), 워터쿠션(water cushion), 합성수지에 의한 발포체, 탄성 쿠션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buffer guid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djacent to the inlet and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ortion, the protrus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uffer guide portion may be form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ir cushion, water cushion, foam by synthetic resin, and elastic cushion body. have.

풍력발전 시스템은 연장부의 내측면에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바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inlet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풍력발전 시스템은 로터의 회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otor is rotated.

풍력발전 시스템은 센서로부터 로터의 회전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 또는 중앙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detection message and transmit the generated detection message to a local control unit or a central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hen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is input from the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유입 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유입구는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지지부의 측면에 배열되어 제1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바람을 수용부로 유도하고,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회전하여 제2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유도부,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및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generates electric power by using wind generated by driving of a vehicle, and is formed along a driving direction of a vehicle on a road, and wind is introduced into the side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 support having an inlet and a receiving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the inlet includes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which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n front of the first inlet. While guiding the wind to the receiving part while it is located, it is rotated in case of collision with the vehicle and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second inlet to cushion the shock. It includes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using.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실시 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완충유도부는,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 및 돌출부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the buffer induction part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first inlet,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hinge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the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nd the protrusion. It may include an extension.

그리고 완충유도부가 회전하는 경우 돌출부 및 연장부는 제2유입구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완충유도부는 에어쿠션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uffer guide part rotates, the protrusion and the extension part may have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the second inlet. In addition, the buffer guide portion may be formed by an air cush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 로터의 회전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및 감지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메시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 및 중앙 제어 유닛 중 하나 이상으로 전 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es a support part and a receiving part, which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a driving direction of a vehicle on a road, and having a receiving part communicating with an inlet and an inlet through which wi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de thereof. Rotor which is rotated by wind while being located, power generating device using electric power of rotor, sensor outputting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rotation of rotor, and sensing message corresponding to detection signal through local contro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at least one of the unit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신호에 따라 생산된 전력을 차량의 위치에 따른 전기시설에 공급하거나 충전장치에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produc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to an electric facil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r charging the charging device.

로컬 제어 유닛은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감지 메시지에 상응하여 관할 구역 내의 전기시설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온/오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cal control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detection message, and an on / off control unit for performing power on / off control for an electric facility in a jurisdi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message.

온/오프 제어부는 감지 메시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주변 위치 및 전방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온/오프 제어부는 감지 메시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온/오프 제어부에 의한 전력 차단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기시설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량의 통과 후 소정의 시간 후에 차단될 수 있다. The on / off control unit may control power to be supplied to at least one electric facility located at at least one of a peripheral position and a front position of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sensing message. The on / off control unit may control power to be cut off at one or more electric facilities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sensing message. Here, the power cut off by the on / off control unit may be cut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assage of the vehicl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ical facility located behind the vehicle.

중앙 제어 유닛은 복수의 로컬 제어 유닛을 관리하고, 감지 메시지 또는 로컬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되는 보고 메시지에 의해 차량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 유닛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의해 직후 통과할 것으로 결정된 영역을 관할 구역으로 가지는 후행 인접 로컬 제어 유닛으로 관할 구역 내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공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manages a plurality of local control units and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y means of a sense message or a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 unit. The central control unit can then transmit a control message for instructing electric power within the jurisdiction to supply electrical power to the trailing adjacent local control unit having the jurisdiction the area determined to pass shortly by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중앙 제어 유닛은 차량의 주행 방향에 의해 이미 통과한 것으로 결정된 영 역을 관할 구역으로 가지는 선행 인접 로컬 제어 유닛으로 관할 구역 내의 전기시설에 전력을 차단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send a control message instructing the electrical facility within the jurisdiction to cut off power to the preceding adjacent local control unit having the jurisdiction which has already been determined to have passed by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풍력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지지부의 측면에 배열되고, 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 및 돌출부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바람을 수용부로 유도하고 차량이 지지부와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has a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inlets and an extens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inlet. 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guide portion to guide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to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송부로부터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감지 메시지에 의해 인식된 주행 차량의 주변 위치 및 전방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풍력발전 시스템은,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로터의 회전에 따른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 및 감지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메시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sensing message from a transmission unit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t least one electric facility located at at least one of a peripheral position and a front position of a driving vehicle recognized by the sensing message Controlling the power to be supplied. Her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form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the inlet and the inlet through which the wind can be introduced to the side,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communication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the rotor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rotated by the wind It includes a sensor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a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 메시지에 의해 인식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eatures. For exampl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power to be cut off at one or more electric facilities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sensing messag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 power using the passage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he impact on the vehicle when an accident occurs to reduce physical and human damage.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can reduc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 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 및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풍력발전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로터(130)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otor 130 that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은 도로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 바닥에 고정되고 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보호벽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차량의 통행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130), 로터(130)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140, 도 3 참조) 그리고 지지부(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통행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로터(130) 방향으로 유도하고 차량과 지지부(110)가 충돌하는 경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도부(150)를 포함한다.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road or the bottom of the edge and is located inside the support 110, the support 110, which serves as a central separator or a protective wall of the road Rotor 130 that is rotated by the wind generated by the passage, the power generating device 140 (see FIG. 3)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130 and the support 11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raffic of the vehicle It guides the wind generated by the rotor 130 in the direction and the vehicle and the support 110 includes a buffer guide unit 150 to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은 차량의 통행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조명등, 경고등 등과 같은 전기장치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발전장치(140)와 연결되어 있는 로터(130) 방향으로 바람을 더욱 많이 유입되게 하기 위해서 지지부(110)의 측면(120)에 완충유도부(1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유도부(150)는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재질 및/또는 에어 쿠션(air cushion) 등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이 지지부(110)와 충돌하는 경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도 한다.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energy because it can produce power by us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traffic of the vehicle and supply it to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lamp, a warning lamp. In particular,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120 of the support part 110 in order to allow more wind to flow in the direction of the rotor 130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or 140. 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part 150 is formed by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and / or an air cushion, the shock absorbing part 150 also serves to alleviate the shock applied to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110.

지지부(110)는 도로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분리대 또는 인도와 인접한 도로의 가장자리에서 도로의 바닥에 고정된다. 지지부(11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일반적인 중앙분리대 또는 보호벽과 같이 콘크리트 또는 철제와 같은 금속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지지부(110)의 일 예로서 도로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분리대가 예시되어 있다. 지지부(110)는 도로를 따라서 일정 구간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일정 간격을 가지고 도로의 부분마다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11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oad at the edge of the road adjacent to the median or sidewalk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ad. The support 110 has a certain height and may be formed by a metal such as concrete or steel, such as a general median or a protective wall. 1 illustrates a median formed in the center of a road as an example of the support 110. The support 11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road, or may be formed at each part of the roa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지지부(110)는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12), 로터(130)를 수용하는 수용부(114),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출구(116)를 포함한다. The support 110 includes an inlet 112 through which the wind can be introduced, an accommodation unit 114 for receiving the rotor 130, and an outlet 116 that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2 is discharged. do.

유입구(112)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2)를 통해서는 차량의 통행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이 유입되고, 유입된 바람은 로터(130)가 위치하는 수용부(114)에 도달하게 된다. 유입구(112)의 크기 및 배치 간격은 도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유입구(112)의 배치간격을 크게 함 과 동시에 유입구(112)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심에 위치하는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도 약하기 때문에 유입구(112)의 배치간격을 작게 하고 유입구(112)도 크게 할 수 있다. 물론 유체가 좁은 통로로 흐를 때 속력이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속력이 감소한다는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차량의 주행속도에 반비례하는 크기로 유입구(112)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lets 1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10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wind formed by the passage of the vehicle flows through the inlet 112, and the inflowed wind reaches the receiving portion 114 where the rotor 130 is located. The size and the spacing of the inlet 112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oa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ighway, since the vehicle travels at a high speed and the wind force generated by the vehicle is strong, the size of the inlet 112 can be reduced while increasing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inlet 112.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oad located in the city center because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is relatively low and the strength of the wind generated by this is wea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lacement interval of the inlet 112 and to increase the inlet 112. Of course, according to Bernoulli's theorem that the speed increases when the fluid flows through the narrow passage and the speed decreases through the wide passage, the inlet 112 may be formed to b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가 도로의 중앙에 형성되는 경우 유입구(112)는 지지부(110)의 양쪽 측면(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지지부(110)가 도로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유입구(112)가 지지부(110)의 한 쪽 측면(120)에만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when the support 1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ad, the inlets 112 may be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120 of the support 110, respectively. Of course, when the support 110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road, the inlet 112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120 of the support 110.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2)의 전면(前面)에는 완충유도부(150)의 연장부(156)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바라보는 경우 유입구(112)는 완충유도부(150)의 연장부(156)에 의해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지지부(110)의 측면과 충돌하는 경우 완충유도부(150)의 연장부(156)는 차량이 수용부(114)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n extension portion 156 of the buffer guide portion 15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let 112. Therefore, when view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10, the inlet 112 is not visible by the extension portion 156 of the buffer guide portion 150.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of the support 110, the extension 156 of the buffer guide part 150 serves to prevent the vehicle from entering the accommodation part 114.

수용부(114)는 유입구(112)와 연통되어 있으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바람이 수용부(114)의 내부에 도달하게 된다. 수용부(114)의 내부에는 로터(130)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는데, 로터(130)는 유입구(112)를 통해서 수용부(114)에 유입된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장치(14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The receiving part 114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112, and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2 reaches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rt 114. The rotor 130 is rotatably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4, and the rotor 130 is rotated by the wind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4 through the inlet 112 and rotates in the power generator 140. Will be provided.

도 1 및 도 2에는 수용부(114)가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경사각(a)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차량이 주행함으로써 발생하는 바람이 수용부(114) 내부로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용부(114)의 주행 방향에 대한 경사각은 일정하게도 할 수 있지만, 도로의 종류 및 유입구(112)의 높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다.1 and 2, the receiving portion 114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is is to allow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114.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14 may be constant,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oad and the height of the inlet 112.

예를 들어, 고속도로와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함으로써 생성되는 바람이 강한 경우에는 경사각(a)을 작게 할 수 있고, 차량의 저속 주행으로 인해 생성되는 바람이 약한 경우에는 강사각(a)을 크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wind generated by the vehicle traveling at a high speed such as a highway is strong, the inclination angle a may be reduced. When the wind generated by the low speed traveling of the vehicle is weak, the instructor angle a may be increased. can do.

수용부(114)로 유입된 바람은 로터(130)에 회전력을 제공한 후 지지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터(130)에 구비된 블레이드(132)는 나선(spiral) 형상을 갖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유입된 바람은 블레이드(132)를 따라 흐르면서 수직으로 그 방향이 바뀌게 되고, 로터(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구(1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The wind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unit 11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6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110 afte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rotor (130). As described below, since the blade 132 provided in the rotor 130 has a spiral shape, the wind flo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hanges its direction vertically while flowing along the blade 132, and the rotor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6 located at the top of the 130.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10)의 일 측면(120)에 형성된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입된 바람이 다른 측면(120')에 형성된 유입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다른 측면(120')에 형성된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입되는 바람이 배출되는 바람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에 로터(130)의 회전력이 약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입된 바람이 지지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1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양 측면(120, 120')에 형성된 유입구(112)를 통해서 유입되는 바람은 로터(130)의 회전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2 formed at one side 120 of the suppor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12 formed at the other side 120 ′, the other side Since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inlet 112 formed in the 120 'is offset by the discharged wi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130 is weakened. Therefore, the win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2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11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0, formed on both sides (120, 120 ')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inlet 112 can further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130.

완충유도부(150)는 지지부(110)의 양 측면(120, 120')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완충유도부(150)는 유입구(112)의 전면에 일정한 경사각(b, 도 2 참조)을 가지고 형성되어 차량의 주행에 의해 형성되는 바람을 유입구(112)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완충유도부(150)는 차량의 충돌시 충격 흡수가 가능한 재질 및/또는 에어 쿠션(air cushion)에 의해 형성되고 지지부(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지지부(110)의 측면(120, 120')과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The buffer guide part 150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120 and 120 ′ of the support part 110, and is symmetrically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bout the support part 110.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b (see FIG. 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let 112 to guide the wind form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ward the inlet 112. In addition, since the shock absorbing part 150 is formed by a material and / or an air cushion that is capable of absorbing shock when the vehicle collides an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10, the vehicl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110. If it collides with (120, 120 '), it mitigates the impact, thereby reducing physical and human damage.

완충유도부(150)는 지지부(110)의 측면(120, 120')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부(152,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 지지부(110)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54) 및 돌출부(154)에서 유입구(112)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면에는 완충유도부(150)가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인 것처럼 예시되었으나, 완충유도부(150)가 상술한 기능에 부합하기만 하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 형상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buffer guide part 150 includes an insertion part 152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2) positioned inside the side surfaces 120 and 120 ′ of the support part 110, and a protrusion 154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110. And an extension 157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154 to the front of the inlet 112.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is illustrated as having a L or B shape, it is obvious that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meets the above-described function. .

삽입부(152)는 돌출부(154)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지지부(110)의 측면(120)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부(152)의 측면(153)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2)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노출된 삽입부(152)의 측면(153)은 주행하는 차량과 마주 보고 있기 때문에, 차량이 지지부(110)의 측면과 충돌하여 유입구(112)를 통해서 수용부(114)로 진입하더라도 그 충격을 줄일 수 있 게 한다. The insertion part 15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sion 154 and is inserted into the side surface 120 of the support part 110. Side 153 of insert 15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inlet 112, as illustrated in FIG. Since the exposed side surface 153 of the inserting portion 152 faces the driving vehicle, even if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110 and enters the receiving portion 114 through the inlet 112. It can reduce the impact.

지지부(110)의 측면(120, 120')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부(156)와 연결되는 돌출부(154)는 상호 인접하는 유입구(112)와 유입구(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54)는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돌출부(154)의 경사각과 삽입부(152)의 경사각(a)은 각각에 대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돌출부(154)는 바람을 수용부(114) 내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protrusion 154 protruding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s 120 and 120 ′ of the support 110 and connected to the extension 156 is formed between the inlet 112 and the inlet 112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154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rotrusion 154 and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insertion part 152 may be the same for each.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154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erves to guide the win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114.

돌출부(154)도 에어쿠션 등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이 지지부(110)의 측면(120)과 충돌하는 경우 돌출부(154)는 그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돌출부(154)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이 지지부(110)의 측면(120)과 충돌한 상태에서 측면(120)에 대해서 슬라이딩 하는 경우 다수 개의 돌출부(154)는 순차적으로 충돌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154)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156)는 유입구(112)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하는 완충유도부(150)의 돌출부(154)와 연장부(156) 사이에는 일정한 유입간격(160)이 존재하는데, 그 유입간격(160)을 통해서 바람이 수용부(114)로 유입된다. Since the protrusion 154 is also formed by an air cushion, the protrusion 154 serves to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surface 120 of the support 110. In particular,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4 may be continuously formed with respect to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4 may slide when the vehicle is slid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120 while colliding with the side surface 120 of the support 110. The protrusion 154 serves to alleviate the collision sequentially. In the protrusion 154, the extension 156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 constant inflow gap 160 exists between the protrusion 154 and the extension part 156 of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wind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art 114 through the inflow gap 160. .

연장부(156)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경사각(b)을 갖고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을 수용부(114)의 내부로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6)도 에어쿠션 등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이 지 지부(110)에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Since the extension part 156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b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can be efficiently induced into the accommodation part 114. In addition, since the extension part 156 is also formed by an air cushion, etc., it serves to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ing part 110.

연장부(156)의 선단부에 형성된 전면(157)에는 운전자가 완충유도부(150)가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하는 표시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표시장치로는 점멸등과 같이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 또는 야광판과 같이 차량의 불빛에 의해서 발광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장치로서 점멸등과 같이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로터(13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157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156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for allowing the driver to recognize that the buffer guide unit 150 is located. The display device may be a device that uses electric power such as a flashing light or A device that emits light by a vehicle light, such as a luminous plate, may be used. When a device that requires power, such as a flashing light, is used as the display device, power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130 may be used.

완충유도부(150)는 에어쿠션 등뿐만 아니라 워터쿠션(water cushion), 합성수지에 의한 발포체, 금속 등을 주름지게 형성하여 배열한 탄성 쿠션체 등을 포함하고,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includes not only an air cushion but also an elastic cushion body formed by corrugating water cushions, foams made of synthetic resin, metals, etc.,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 내지 도 2에서, 완충유도부(150)는 돌출부(154)에서 연장된 연장부(156)가 돌출부(154)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완충유도부(150)는 차량의 충격을 완화하고 바람을 수용부(114)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완충유도부(150)는 전체적으로 직선 또는 호(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 and 2,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is illustrated as the extension 156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154 is ben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154, but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is a vehicle. As long as it can mitigate the impact of the wind and guide the win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114 may be any shape. For example, the buffer guide part 150 may have a straight or arc shape as a whole.

또한, 완충유도부(150)가 도 1 내지 도 2의 형상으로 구현된 경우, 차량이 중앙분리대와 충돌하는 경우 1차적으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54) 또는 연장부(156)과 충돌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쿠션 또는/및 충격 흡수 부재로 형성된 연장부(156)와 충돌한 경우, 연장부(156)는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충격에 의해 밀리면서 후속하는 연장부(156)가 동일한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부(156)들이 도미노 현상처럼 차량 진행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중앙분리대 또는 지지부(110)의 한쪽 측면을 감싸게 되므로, 차량이 직접 중앙분리대 또는 지지부(110)와 충돌하지 않아 과도한 충격이 차량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비스듬한 방향으로 운동력을 가지게 되므로 중앙분리대 또는 지지부(110)를 감싸는 연장부(156)들의 측면을 따라 밀리면서 마찰력 등에 의해 운동력이 감소되어 안전한 정차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차량이 연장부(156)가 아닌 돌출부(154)와 1차 충돌을 할지라도 후속하는 연장부(156)쪽으로 차량 진행 방향이 밀리면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결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연장부(156) 및 돌출부(154)의 형성 각도가 해당 도로에서의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에 따라 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ock absorbing guide 150 is implemented in the shape of FIGS. 1 to 2,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central separator, the shock absorbing unit 150 collides with the protrusion 154 or the extension 156 which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 Here, in the case of colliding with the extension portion 156 formed of the air cushion or shock absorbing member, the extension portion 156 is pushed by the impac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while the subsequent extension portion 156 is pushed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lost. Therefore, since the extension parts 156 are pushed i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like the domino phenomenon and wrap around one side of the median or support 110, the vehicle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the median or the support 110 so that the excessive impact is caused by the vehicle. Can be passed to In this case, since the vehicle has an kinetic force in an oblique direction, the vehicle may be pushed along the sides of the extension portions 156 surrounding the center separator or the support 110, and thus, the kinetic force may be reduced and the vehicle may be safely stopped. Even if the vehicle first collides with the protrusion 154 instead of the extension 156,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is pushed toward the subsequent extension 156 so that the same result as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ted. To this end, the forming angle of the extension 156 and the protrusion 154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verag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on the roa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의 로터(130) 및 발전장치(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rotor 130 and the generator 140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로터(130) 및 로터(130)에 결합된 발전장치(140)에 대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130 and the generator 140 coupled to the rotor 130.

로터(13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110)에 형성된 수용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면서, 수용부(114)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로터(130)는 발전장치(14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터(130)의 회전력은 발전장치(140)에 전달되어 전력을 생산하게 한다. 로터(130)는 회전축(134) 및 그 둘레에 형성된 블레이드(132)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otor 130 is rotatably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14 formed in the support part 110 and rotates by the wind flowing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4. And since the rotor 130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14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130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140 to produce power. The rotor 130 includes a rotation shaft 134 and a blade 132 formed around it.

블레이드(132)는 회전축(134) 둘레를 따라서 나선 형태로 2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중심축(134)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유입된 바람은 블레이드(132)에 의해서 수직 방향으로 방향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변경된 바람은 배출구(1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Two blades 132 are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along the rotation axis 134. Therefore,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wind flo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134)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blade 132. Wind thu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6.

도 3에서는 회전축(134)에 두 개의 블레이드(1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수용부(114)의 크기, 도로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다양한 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n FIG. 3, two blades 132 are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134,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numbers of blade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ccommodation part 114, the type of the road, and the like.

그리고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충유도부(150)의 연장부(156) 내측면에 각각 센서(170)가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156)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170)는 도로의 상행 차로 및 하행 차로에서 바람이 유입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용부(114)의 양쪽 유입구(112)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센서(170)가 유입간격(160)을 통해서 바람이 유입됨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한 경우 전송부(720, 도 7 참조)는 위치신호 및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로컬 제어 유닛(도 8 참조) 또는 중앙 제어 유닛(도 8 참조)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2, sensors 170 may be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the extension part 156 of the buffer guide part 150. The sensor 170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156 is disposed in front of both inlets 112 of the receiving part 114 in order to detect the inflow of wind from the up and down lanes of the road. have. When the sensor 170 dispos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inflow of wind through the inflow interval 160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the transmitter 720 (see FIG. 7) generates a position signal and a detection signal to us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local control unit (see FIG. 8) or the central control unit (see FIG. 8).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 내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수용부(114)의 내부에는 각각 로터(13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로의 주행 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의 로터(130)가 배열된다. 각각의 로터(130)에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도록 하여 로터(130)가 회전하는지 유무를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센서는 로터(130)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전송부(720, 도 7 참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로컬 제어 유닛 또는 중앙 제어 유닛에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since the rotors 130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parts 114, the plurality of rotors 130 are arrang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ad. Each rotor 130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to determine whether the rotor 130 rotates. When the rotation of the rotor 130 is detected, the sensor generates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nd the transmission unit 720 (see FIG. 7) transmits the signal to the local control unit or the central control unit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발전장치(140)는 로터(1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발전장치(140)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도로의 주변에 위치하는 전기시설(예를 들어, 가로등, 표시판 등)에 공급되거나, 연장부(156)의 전면(157)에 설치된 표시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발전장치(14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은 필요에 따른 사용을 위해 외부의 충전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The generator 140 generates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rotor 130. The power generated by the generator 140 may be supplied to an electric facility (eg, a street lamp, a display panel, etc.) located near the road, or may be supplied to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157 of the extension part 156. Can be. In addition, the power produced by the generator 140 may be charged by an external charging device (not shown) for use as needed.

도 3에서는 하나의 로터(130)에 하나의 발전장치(1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 개의 로터(13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하나의 발전장치(140)에 전달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로터(1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14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FIG. 3, one rotor 130 is illustrated as having one power generator 1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rotors 130 is one power generator 140. It may be formed to be delivered to). However,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generator 140 for producing power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130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3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완충유도부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평면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ffer induction in Figure 4 rotated, Figure 6 is a plan view of FIG.

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300)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과 구성 중 일부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구성상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configuration differences.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300)은 도로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중앙분리대 또는 보호벽의 역할을 하는 지지부(310), 지지부(3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로터(330), 지지부(310)에 형성된 유입구(312)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면서 바람을 로터(330) 방향으로 유도하고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회전하여 인접하는 유입구(312)의 전면에 위치함으로써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도부(3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4 to 6,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r the edge of the road support 310, serving as a median or protective wall, support ( Located in the front of the rotor 330 rotatably located inside the 310, the inlet 312 formed in the support 310, to guide the wind toward the rotor 330 and rotates when the vehicle collides It includes a buffer guide portion 350 to mitigate the impact by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adjacent inlet 312.

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300)은 완충유도부(350)가 지지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완충유도부(350)는 차량이 지지부(310)에 충돌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유입구(312)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바람을 로터(330)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완충유도부(350)는 차량이 지지부(310)의 측면에 충돌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운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른 유입구(312)의 전면에 위치하면서 차량이 유입구(312)의 내부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310. Therefore, when the vehicle does not collide with the support 310, the buffer guide part 350 serves to guide the wind toward the rotor 330 while being located at the front of the inlet 312 as shown in FIG. 4. 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of the support 310, as shown in Figure 5, the buffer guide portion 350 is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inlet 312 is rotated by the kinetic force of the vehicle and located adjacent to It prevents the vehicle from crashing into the inlet 312 serves to mitigate the impact.

지지부(31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의 지지부(110)와 같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도로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중앙분리대 또는 보호벽의 역할을 한다. The support 31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r the edge of the road with a constant height, such as the support 110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rves as a central separator or a protective wall.

지지부(310)는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수 개의 유입구(312)를 포함한다. 유입구(312)는 로터(330)가 위치하는 수용부(314)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구(312)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31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310 includes a plurality of inlets 312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Inlet port 31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314 where the rotor 330 is located. And the inlet 31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310 as shown in FIG.

지지부(310)의 측면에는 완충유도부(350)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동공 간(318)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공간(318)에는 완충유도부(350)의 힌지부(352, 도 6 참조)가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회동공간(318)은 완충유도부(350)가 도 4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Th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10 is formed with a rotation space 318 to rotate the buffer induction portion 350. The hinge part 352 (see FIG. 6) of the buffer guide part 350 is positioned in the rotation space 318. In addition, the rotation space 318 allows the buffer guide part 350 to rotate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4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5.

로터(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유입구를 통해서 수평으로 유입된 바람은 블레이드를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그 방향이 변경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로터(33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Since the rotor 330 has a spiral blade as shown in FIG. 3, the wind flowing horizontally through the inlet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lad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generator (not shown) generates power by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330.

완충유도부(350)는 지지부(310)의 측면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며, 평소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수용부(314) 내부로 유도하고, 차량이 지지부(310)의 측면에 충돌하거나, 중앙분리대 또는 지지부(310)와 직접 충돌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운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차량이 수용부(314)의 내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310, and normally guides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into the receiving part 314, and the vehicl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310. In the case of colliding with or directly colliding with the median or support 310, the vehicle is rotated by the kinetic force of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colliding with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unit 314.

완충유도부(350)는 지지부(310)의 회동공간(3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352,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 힌지부(352)에서 유입구(312)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54) 및 유입구(312)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356)를 포함한다. The buffer guide part 350 includes a hinge part 352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ing space 318 of the support part 310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6), and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hinge part 352 toward the inlet 312. 354 and extension 356 located in front of inlet 312.

힌지부(352)는 회동공간(318)의 내부에서 지지부(310)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완충유도부(350)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차량이 완충유도부(350)에 충돌하지 않는 경우, 완충유도부(350)가 일정한 지지력에 의해서 도 4와 같이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완충유도부(350)는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힌지부(352)의 지지력에 의해서 도 4와 같이 위치하게 되고,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와 같이 힌지부(352)의 지지력에 비해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완충유도부(350)가 회전하여 도 5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Hinge portion 352 is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310 in the interior of the rotation space 318, and allows the buffer induction portion 350 to rotate. Of course, when the vehicle does not collide with the buffer guide portion 350, the buffer guide portion 350 is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ure 4 by a constant support force. Therefore,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4 by the support force of the hinge part 352 even when the wind blows, and a large force is applied compared to the support force of the hinge part 352, such as when the vehicle collides. In this case, the shock absorbing guide 350 is rotated as shown in FIG.

돌출부(354)는 힌지부(352)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연장부(35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56)는 돌출부(354)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구(312)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354) 및 연장부(356)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을 수용부(314) 내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The protruding portion 354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hinge portion 352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356. The extension 356 is bent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354 and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inlet 312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 354 and the extension 356 guide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into the receiver 314.

돌출부(354) 및 연장부(356)의 길이 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유도부(350)가 회전하여 인접하는 유입구(312)를 모두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54) 및 연장부(356)의 길이 합 d는 힌지부(352)에서 인접하는 유입구(312) 사이의 거리 e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354) 및 연장부(356)의 길이를 형성하는 경우 차량이 수용부(314)의 내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protrusion 354 and the extension 356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may rotate to cover all of the adjacent inlets 312 as shown in FIG. 6.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sum d of the lengths of the protrusion 354 and the extension 356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tance e between the adjacent inlets 312 at the hinge 352. As such, when the lengths of the protrusions 354 and the extension part 356 are formed,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from colliding with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314.

도 4 내지 도 6에서, 완충유도부(350)는 돌출부(354)에서 연장된 연장부(356)가 돌출부(354)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절곡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완충유도부(350)는 차량의 충격을 완화하고 바람을 수용부(314)의 내부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완충유도부(350)는 전체적으로 직선 또는 호(ar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FIGS. 4 to 6,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illustrates that the extension part 356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354 is ben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 354, but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is a vehicle. As long as it can mitigate the impact of the wind and guide the wind into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314 may be any shape. For example, the buffer guide part 350 may have a straight or arc shape as a whole.

돌출부(354) 및 연장부(356)는 에어쿠션(air cushion), 워터쿠션 또는 고분자 수지의 발포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The protrusion 354 and the extension 356 may be formed by an air cushion, a water cushion, a foam of a polymer resin, or the like, and any one may be used to mitigate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of the vehicle.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지지부(310)의 측면에 충돌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지지부(310)의 측면에 형성된 완충유도부(350)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이 하나의 완충유도부(350)에 충돌한 경우, 해당 완충유도부(350)에 상응하는 힌지부(352)가 차량의 운동력을 이기지 못하고 지지력을 상실하여 하나의 완충유도부(35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은 인접하여 위치하는 다른 완충유도부(350)와도 연쇄적으로 충돌하면서 완충유도부(350)를 회전하게 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그 운동력에 의해서 완충유도부(350)를 순차적으로 회전하게 하고, 완충유도부(350)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충돌 차량의 속도를 줄이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미노 현상에 의해 완충유도부(350)들이 회전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5 to 6,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of the support 310, the vehi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uffer guide unit 350 form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3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ing vehicle collides with one buffer guide part 350, the hinge part 352 corresponding to the buffer guide part 350 does not overcome the vehicle's kinetic force and loses the support force so that one buffer guide part 350 will rotate. In addition, the vehicle rotates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while colliding with another buffer induction part 350 positioned adjacently. As such, the vehicle rotates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sequentially by the movement force, and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sequentially rotates by the collision of the car, thereby reducing the speed of the crash vehicle and mitigating the impact on the vehicle. Do it.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the buffer induction part 350 may be rotated by the Domino phenomenon.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전기시설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7 to 10,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facility using a traffic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과 로컬 제어 유닛간의 통신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컬 제어 유닛과 중앙 제어 유닛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에 따른 전기설비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에 따른 전기시설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a loc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 local control unit and a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ic facility according to the traffic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llustrates a control state of an electric facility according to the traffic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n.

이하에서, 차량의 통행에 따른 전기시설의 제어상태를 설명함에 있어 차량의 주행 방향의 앞 부분에 위치한 가로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는, 산간벽지 등과 같이 차량의 통행이 드문 지역에서 안전을 위해 가로등을 항시 점등함이 전력 낭비의 원인이 되고, 가로등을 항시 소등하는 경우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의 설명은 가로등 제어뿐 아니라 각종 표지판, 신호등 등의 전기설비 제어에도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the flashing of a street lamp located at the front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in describing the control state of the electric facility according to the traffic of the vehicle. This is because the lighting of the street light at all times for safety in the area where the traffic of the vehicle is rare, such as a mountain wall, causes a waste of power, and may cause a safety problem when the street light is always off.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ame or very similarly applicable to streetlight control as well as electric facility control of various signs, traffic lights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 제어방법이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 제어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 예인 풍력발전 시스템(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 제어방법은 도로의 중앙 또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차량의 통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풍력발전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100, 300)과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being applied to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The embodiment may also be applied to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300. In additio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o generate power us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traffic of the vehicle while being located at the center or the edge of the road. In this cas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ed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100 and 3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7을 참조하면, 로터(130 및/또는 330이며, 이하 130으로 통칭함)에 구비된 센서(710)에 의해 로터(130)의 회전 유무 및/또는 회전 속도가 감지되면, 전송부(720)는 상응하는 감지 메시지를 통신망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73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모든 로터(130)에 센서(710)와 전송부(720)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부의 로터(130) 및/또는 유입간격에 대해서만 센서(710)와 전송부(720)가 구 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센서(710) 및/또는 전송부(720)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의해 발전된 전력,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및 배터리 등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rotation and / o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130 is detected by the sensor 710 provided in the rotor 130 and / or 330, which will be referred to as 130, the transmission unit 720. Transmits a corresponding sense message to the local control unit 7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sensor 710 and the transmitter 720 may be provided in all the rotors 130, but only the rotor 130 and / or the inflow gap may be provided with the sensor 710 and the transmitter 720. You can also In this case, the sensor 710 and / or the transmitter 720 may be provided with driving power from power generated by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 or a battery.

또한, 차량의 주행에 의해서 생성된 바람에 의해서 로터(130)가 회전하는 경우와 자연풍에 의해서 로터(130)가 회전하는 경우를 구별하기 위해서, 일정 구간(예를 들어, 100미터)에 위치한 로터(130) 전체가 모두 동일한 속도(또는 오차 범위 이내의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로컬 제어 유닛(730) 또는 중앙 제어 유닛(810)은 자연풍에 의해서 로터(130)가 회전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로터(130)들 중의 일부만이 빠르게 회전하고 나머지는 배치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속도가 빨라지는 경우에는 로컬 제어 유닛(730) 또는 중앙 제어 유닛(810)은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생성된 바람으로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distinguish the case in which the rotor 130 rotates due to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the case in which the rotor 130 rotates due to the natural wind, the rotor located at a predetermined section (for example, 100 meters). When all 130 rotate at the same speed (or within the error range), the local control unit 730 or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recognizes that the rotor 130 is rotated by natural wind, and the rotor When only a part of the 130 rotates rapidly and the remaining speeds are sequenti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the local control unit 730 or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may recognize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have.

그리고 도로의 노면에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차량의 통행 유무를 파악함으로써 로터(130)의 회전이 자연풍에 의한 것인지 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때 센서는 상행 차로 및 하행 차로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차량이 어떤 차로를 주행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oad surfac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thus, whether the rotation of the rotor 130 is caused by natural wind or driving of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And provided in each of the down lane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which lane the vehicle is traveling.

물론, 풍력발전 시스템이 자연풍이 거의 불지 않는 터널의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로터(130)가 자연풍에 의해 회전하는지 또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생성된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지 판단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Of course, whe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installed inside the tunnel where the natural wind is hardly blown, it may not b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rotor 130 is rotated by the natural wind or by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그리고 풍력발전 시스템이 도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상행 차로와 하행 차로 중에서 어느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로터(130)가 회전하는지를 식별하 기 위해서, 지지대(110)를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응하는 완충유도부(150)의 내측에 센서(7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완충유도부(150)의 내측에 구비된 센서(710)는 차량의 주행에 의해 생성된 바람의 흐름을 감지하여 상행 차로와 하행 차로 중에서 어느 차로를 통해서 차량이 이동하고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And whe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ad, in order to identify whether the rotor 130 is rotated by the vehicle driving in the up and down lanes, the buffer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ased on the support 110 The sensor 710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duction part 150. As such, the sensor 710 provided inside the buffer induction part 150 may detect the flow of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identify which of the lanes the vehicle is moving through ascending and descending lanes. .

물론, 상행 차로 및 하행 차로에 센서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에는 완충유도부(150)의 내측면에 센서(710)를 구비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the sensor is provided in the up and down lanes, respectively, it may not be necessary to provide the sensor 7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uffer guide portion 150.

풍력발전 시스템은 센서(710)에 의해 차량의 통행이 감지된 경우 전송부(720)를 통해 전송할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부(7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메시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73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감지 메시지에는 차량의 주행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의 로컬 제어 유닛(730)에 의해 관리되는 풍력발전 시스템이 복수인 경우 어떤 장치인지를 구별하도록 하는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풍력발전 시스템이 도로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감지 메시지에는 상행 차로 또는 하행 차로 중 어느 차로를 통해서 차량이 이동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 detection messag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720 when the traffic of the vehicle is detected by the sensor 710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720. . The sense message may be sent to the local control unit 730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detection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driving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may further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which device is a plurality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managed by one local control unit 730. In addition, whe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ad, the sensing message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moves through the uphill lane or the downhill lane.

로컬 제어 유닛(730)은 수신부(760), 가로등 제어부(770), 처리 제어부(780) 및 통신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l control unit 730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760, a street lamp control unit 770, a processing control unit 780, and a communication unit 790.

수신부(760)는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송부(72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 제어부(780)로 전달한다.The receiving unit 760 receives the sensing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720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transmits the detected message to the processing control unit 780.

처리 제어부(780)는 수신부(760)를 통해 감지 메시지가 입력되면, 감지 메 시지를 전송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방에 위치한 가로등들을 점등하도록 가로등 제어부(77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처리 제어부(780)는 감지 메시지를 통해 차량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위치를 기준하여 후방에 주행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후방에 위치한 가로등들이 소등되도록 가로등 제어부(770)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detection message is input through the receiver 760, the processing controller 7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reet lamp controller 770 to light up the street lamps located in front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has transmitted the detection message. In addition, the processing control unit 780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etection message, so that if there is no driving vehicle behind the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treetlight controller 770 to turn off the lamps Control the operation.

가로등 제어부(770)는 처리 제어부(780)의 제어 명령에 따라 관할하는 가로등들의 점멸을 제어한다. 가로등 제어부(770)는 설비된 형태에 따라 각 가로등 별로 점멸 제어하거나 특정 구역 내의 가로등들에 대한 일괄적인 점멸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reet lamp control unit 770 controls the blinking of street lamps having jurisdic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processing controller 780. The street lamp control unit 770 may control the blinking of each street lamp or collectively control the blinking of the street lamps i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installed form.

통신부(790)는 처리 제어부(780)의 제어에 의해 로컬 제어 유닛(730)의 가로등 점멸 제어 동작에 대해 중앙 제어 유닛(810)으로 보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790 transmits a report message to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about the street lamp blink control operation of the local control unit 73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ing control unit 780.

중앙 제어 유닛(810)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지역의 가로등들의 점멸 제어를 수행하는 로컬 제어 유닛들(730(1) 내지 730(n))과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고, 각 로컬 제어 유닛들(730(1) 내지 730(n))의 동작을 제어한다. 각 로컬 제어 유닛은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송부(720)로부터 수신된 감지 메시지 또는 중앙 제어 유닛(8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메시지에 의해 관할하는 가로등들(820(1), 820(2), 820(n-1) 또는 820(n))의 점멸을 제어한다. 즉, 중앙 제어 유닛(810)은 각 로컬 제어 유닛으로부터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임의의 로컬 제어 유닛으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810 is coupled via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local control units 730 (1) to 730 (n) that perform flashing control of street lamps in each region, as illustrated in FIG. Controls the operation of units 730 (1) through 730 (n). Each local control unit includes street lights 820 (1), 820 (2), and 820 that are governed by a sensing message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720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r a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n-1) or 820 (n)). 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i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port message from each local control unit,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o send a control message to any local control unit, a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and the like. It may include.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유닛(810)은 임의의 로컬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보고 메시지를 참조하여 주행 차량의 위치가 각 로컬 제어 유닛의 관할 구역의 말단부(예를 들어, 도 10의 Zone(A2)와 Zone(A3)의 경계 지점)에 근접하거나 해당 구역의 미리 지정된 지점(예를 들어, 해당 구역의 중간 지점)인 경우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의 가로등들을 제어하는 로컬 제어 유닛이 가로등 점등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may refer to a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any local control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raveling vehicle is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jurisdiction of each local control unit (eg, Zone A2 of FIG. 10). The local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treetlights ahea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when it is close to or at the boundary point of Zone (A3) or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zone (for example, the middle point of the zone). The control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perform the operation.

도 8은 각 로컬 제어 유닛이 제한된 구역의 가로등들의 점멸을 제어하고, 중앙 제어 유닛이 해당 로컬 제어 유닛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계층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로컬 제어 유닛이 전체 구역의 가로등들의 점멸을 개별적 및/또는 일괄적 제어하는 경우라면 하나의 로컬 제어 유닛에 의해 동일한 전기설비 제어가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다.8 illustrates a hierarchical structure in which each local control unit controls the blinking of street lamps in a restricted area,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controls the local control units as a whole. However, it is obvious that if one local control unit individually and / or collectively controls the blinking of street lamps in the entire area, the same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may be possible by one local control unit.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에 따른 전기시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ic faci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raffic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로컬 제어 유닛은 풍력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전송부(720)로부터 감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또는 중앙 제어 유닛(810)으로부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9, in step 910, the local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 detec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720 provided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or whether a control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810.

만일 감지 메시지 또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면 단계 920으로 진행한다. 단계 920에서 주행 차량의 전방에 위치한 구역 내의 가로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감지 메시지 또는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다면 단계 910에서 대기한다.If a sense message or control message has been received, flow proceeds to step 920. In step 920, the street light in the area located in front of the driving vehicle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However, if no sense message or control message has been received, then wait at step 910.

예를 들어, 로컬 제어 유닛이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가로등들의 점멸 제어가 각 가로등 별로 개별 제어 가능하거나 관할 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구역별로 독립 제어가 가능한 경우라면 풍력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전송부(720)로부터의 감지 메시지에 따른 가로등 점등 제어가 가능하다. 즉,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현재 위치가 풍력발전 시스템 P1의 위치라면 Zone(A2)를 관할하는 로컬 제어 유닛은 가로등 1061, 가로등 1062, 가로등 1063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가로등 1064는 점등된 상태에서 유지될 것이며, 주행 차량이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진 시점에서 로컬 제어 유닛은 가로등 1065가 소등되도록 제어할 것이다.For example, if the local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blinking of the street lamps under its jurisdiction individually controllable for each street lamp or independent control for a plurality of sub-zones included in the jurisdiction, the transmission unit provided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 Street lighting control according to the detection message from 720 is possible. That is, referring to FIG. 10, 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the posi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1, the local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Zone A2 may control the street lamps 1061, 1062, and 1063 to be sequentially turned on. . At this point, the street light 1064 will remain lit, and the local control unit will control the street light 1065 to turn off when the traveling vehicle is over a certain distance away.

또 다른 예로서, 로컬 제어 유닛이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가로등들을 일괄적으로 점멸 제어하는 경우로서 차량이 해당 관할 구역의 특정 지점(예를 들어, 중간 지점)을 통과하는 경우 인접하는 후속 로컬 제어 유닛이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가로등들을 일괄적으로 점등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 유닛은 로컬 제어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보고 메시지를 참조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한 후 인접하는 후속 로컬 제어 유닛으로 가로등을 점등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후속 로컬 제어 유닛은 관할 구역 내의 가로등들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ocal control unit collectively flashes the street lights under its jurisdiction, the adjacent subsequent local control unit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a certain point (eg, an intermediate point) of that jurisdic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ively control lighting of the street lamps under this jurisdiction.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refers to the report message received from the local control unit,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nd then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nstructing to turn on the street lamp to the next adjacent local control unit. The subsequent local control unit receiving the control message controls the street lights in the jurisdiction to light up.

또한, 도 10은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차량의 주행 방향에 따른 차선의 가로등만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경우가 가정되었으나, 안전 운행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로의 폭에 따라 양쪽 차선의 가로등들이 모두 동시에 점멸 제어되 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In addition, in FIG. 10, it is assumed that only street lamps of a lane according to a driving direction of a vehicle are selectively controlled to increase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However,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of safe driving, street lamps of both lane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a road. Not surprisingly, they can all be controlled by blinking at the same time.

단계 930에서 로컬 제어 유닛은 관할 하에 있는 가로등들에 대한 소등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930, the local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extinguishing condition for the street lamps under jurisdiction is satisfied.

만일 소등 조건을 만족한다면 단계 940으로 진행하여, 로컬 제어 유닛은 관할 구역 내에서 점등 상태인 가로등들이 소등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소등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라면 가로등들이 점등된 상태로 유지한다.If the extinguish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940 where the local control unit controls the street lamps that are on in the jurisdiction to be extinguished. However, if the unlit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street lamps remain lit.

여기서 소등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판단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차량의 통과가 감지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검사하는 방법,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는 방법, 풍력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전송부(7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extinction condition is satisfied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hod of check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passage of the vehicle is detected, a method of u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a reception from the transmission unit 720 provided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ere may be a method using the sensed message.

먼저, 차량의 통과가 감지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감지하는 방법은 로컬 제어 유닛이 관할하는 구역의 주행 길이를 고려하여 해당 구역의 첫 번째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송부(720)로부터 감지 메시지를 수신한 후 통계상 차량의 통과가 충분히 예견되는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해당 관할 구역의 가로등들을 일괄 소등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First, the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passage of the vehicle is det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length of the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local control unit, receives a detection message from the transmission unit 720 of the first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 the area. After that, if the time to predict the passage of the vehicle has sufficiently passed, the street lamps of the relevant jurisdiction are turned off.

다음으로, 차량의 속도를 이용하는 방법은 로컬 제어 유닛이 주행 차량의 속도를 산출하여 현재 속도로 정속 주행할 때 해당 관할 구역의 통과가 충분히 예견되는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관할 구역의 가로등들을 일괄 소등하는 방법이다. 주행 차량의 속도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배치된 풍력발전 시스템의 전송부들로부터 감지 메시지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물론, 풍 력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센서(710)가 로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인 경우에는 감지 메시지 내에 회전 속도값이 함께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주행 차량의 속도가 관할 구역의 통과 중에 감속될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의 여유값이 더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method u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when the local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peed of the traveling vehicle and runs at a constant speed at the current speed, after the time that the passage of the jurisdiction is sufficiently foreseen has elapsed, the street lights of the jurisdiction are collectively turned off. That's how. The speed of the traveling vehicle may be calculated using a time difference in which a sensing message is sequentially received from transmission units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disposed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f course, if the sensor 710 provided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the rotational speed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message. However, since the speed of the traveling vehicle may be decelerated during the passage of the jurisdiction, a margin of a certain time may be further considered.

다음으로, 풍력발전 시스템에 구비된 전송부(72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 메시지 자체를 이용하는 소등 여부를 고려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는 감지 메시지를 전송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의 측면을 차량이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방법으로 차량이 주행 중 일시 정차하는 등의 경우에도 운전자에게 보다 안정적인 조명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현재 위치가 미리 지정된 위치(예를 들어, 풍력발전 시스템 P2, 풍력발전 시스템 P3 또는 풍력발전 시스템 P4의 위치)인 경우, 중앙 제어 유닛의 제어 메시지에 의해 인접한 후속 로컬 제어 유닛이 관할 구역 내의 가로등 점등(예를 들어, 가로등 1064 등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조명 제어가 가능한 장점도 있다. 다만, 본 방법에 의할 때 상술한 방법들에 비해 보다 많은 풍력발전 시스템에 센서(710) 및 전송부(720)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제한이 있을 수는 있다.Next, there may be a method of considering whether to turn off using the sensing message itself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720 provided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This is a method of recognizing that the vehicle is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sensing message, and thus provides a more stable lighting to the driver even when the vehicle is temporarily stopped while driving. In addition, 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is a predetermined posi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2,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3 or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P4), the next local control unit adjacent to i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essage of the central control uni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street light in the area (for example, the lighting of the street light 1064, etc.), which provides an advantage of more accurate lighting control. However, there may be a limitation that the sensor 710 and the transmitter 720 must be provided in a larger number of wind power generation systems than the aforementioned methods.

상술한 과정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은 자신의 관할 하에 있는 가로등들이 차량이 통과하고 있거나 통과할 것이 예견되는 시점에만(또는/및 차량이 통과한 이후 일정 시간 동안만) 점등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억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ocal control unit controls unnecessary street lights by controlling the street lamps under its jurisdiction to be lit only when the vehicle is passing through or foreseen to pass (and / or only for a period of time after the vehicle pass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uppressed.

또한, 상술한 가로등 제어는 조명이 필요한 시간대(예를 들어, 야간 시간 대)에만 수행되도록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전기시설 제어 방법이 각종 표지판 등에 적용되는 경우라면 시간대의 제한 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로의 전기시설 제어방법은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 차량의 주변 또는/및 전방에 있는 전기시설에만 전력을 공급하고 차량의 후방에 있는 전기시설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야간이나 운전자의 시야가 어두운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reet light control may be limited to be performed only in a time zone where lighting is required (eg, a night time zone). However, if 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facility control method is applied to various signs,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performed without limitation of time zone. As such, the electric facility control method of the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ly power only to the electric facilities in the vicinity or / and the front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passes, and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ic facilities in the rear of the vehicle This reduces power loss and prevents traffic accidents that can occur at night or in dark conditions.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은 차량의 통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전기시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enerates power by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is cut of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can stably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fac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정보 파일, 로컬 정보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 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 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local information file, a local information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same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로터와 발전장치에 대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or and the generator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완충유도부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ock absorbing guide portion is rotated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풍력발전 시스템과 로컬 제어 유닛간의 통신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the loc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컬 제어 유닛과 중앙 제어 유닛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8 illustrates a relationship between a local control unit and a central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에 따른 전기설비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installations according to traffic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통행에 따른 전기시설의 제어상태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electric facility according to the traffic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1)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produce power,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A support part formed alo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a road, the support part includ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wind is introduced and a receiv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을 상기 수용부로 유도하며 차량이 상기 지지부와 충돌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유도부;A buffer guid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and extend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nduces wind to the receiving part, and mitigates an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part;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및A rotor that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rotates by wind; And 상기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되,Including a power generation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상기 완충유도부는 상기 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buffer induction part comprises a protrud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let port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passag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accommodation unit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affic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돌출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projecting portion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affic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부는 도로의 중앙에 위치하고,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oad, 상기 유입구는 상기 지지부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inle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affic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터는 나선형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The rotor has a spiral blade,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가이드된 바람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 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affic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ort for the wind guided by the blade is formed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완충유도부는, The buffer induction part, 상기 유입구에 인접해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nd an insertion part formed adjacent to the inlet and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par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삽입부,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연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쿠션(air cushion), 워터쿠션(water cushion), 합성수지에 이한 발포체, 탄성 쿠션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portion, the protrus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is form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n air cushion, a water cushion, a foam following synthetic resin, and an elastic cushion body.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풍력발전 시스템은,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바람의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affic passage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the wind flowing through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로터의 회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affic passage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rotor is rotat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감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 또는 중앙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When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from the sensor is input, the wind power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es a transmission unit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detection message and transmits to the local control unit or the central control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Power generation system.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produce power,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상기 유입구는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함-;Is formed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the support portion hav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wi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ide and the receiving por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the inlet includes a first inlet and a second inlet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box-;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배열되어 상기 제1유입구의전면에 위치하면서 바람을 상기 수용부로 유도하고,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제2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완충유도부;A buffer induction part arranged on a side of the support part alo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position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let to guide wind to the accommodation part and rotating when collided with the vehicle and positioned in front of the second inlet;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및A rotor that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rotates by wind; And 상기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를 포함하되,Including a power generation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상기 완충유도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 상기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buffer induction part may include a hinge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part, a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port and the second inlet po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e protrusion part, so as to front the first inlet port.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comprising an extension located in th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완충유도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유입구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nd the protrusion and the extension part have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the second inlet when the buffer induction part rotate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완충유도부는 에어쿠션(air cushion), 워터쿠션(water cushion), 합성수지에 의한 발포체, 탄성 쿠션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formed by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ir cushion (water cushion), water cushion (water cushion), foam by synthetic resin, elastic cushion body,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vehicle. 차량의 통행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wind generated by the traffic of the vehicle to produce power,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그 측면에 바람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연통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지부;A support part continuously formed alo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a road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ind can be introduced into a side thereof, and a receiv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상기 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로터; A rotor that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rotates by wind; 상기 로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장치;A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rotor; 상기 로터의 회전에 따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및A sensor for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And 상기 감지 신호에 상응하는 감지 메시지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로컬 제어 유닛 및 중앙 제어 유닛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sensing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to at least one of a local control unit and a central control uni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생산된 전력을 차량의 위치에 따른 전기시설에 공급하거나 충전장치에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to the electric facil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r to be charged in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로컬 제어 유닛은,The local control unit, 상기 감지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etection message; And 상기 감지 메시지에 상응하여 관할 구역 내의 전기시설에 대한 전원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온/오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And an on / off control unit configured to perform power on / off control for an electric facility in a jurisdi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message.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온/오프 제어부는 상기 감지 메시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차량의 주변 위치 및 전방 위치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on / off control unit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one or more electric facilities located in one or more of the surrounding position and the front position of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detection message.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온/오프 제어부는 상기 감지 메시지에 의해 인식된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전기시설에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The on / off control unit is a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traffic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power is cut off at least one electric facility located behind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detection message.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6 to 20, 상기 풍력발전 시스템은,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유입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구의 전면에 위치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바람을 상기 수용부로 유도하고 차량이 상기 지지부와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행을 이용한 풍력발전 시스템.It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alo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d with a projection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extension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rom the projection to the front of the inlet, the wind The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passage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buffer guide portion guides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can mitigate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portion.
KR1020080091565A 2008-09-18 2008-09-18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KR1010374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65A KR101037423B1 (en) 2008-09-18 2008-09-18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565A KR101037423B1 (en) 2008-09-18 2008-09-18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04A KR20100032604A (en) 2010-03-26
KR101037423B1 true KR101037423B1 (en) 2011-05-30

Family

ID=4218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65A KR101037423B1 (en) 2008-09-18 2008-09-18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4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31B1 (en) * 2010-09-17 2013-04-12 주유진 Generator using traveling wind
WO2012147108A2 (en) * 2011-04-28 2012-11-01 Srikanth Seelin N A portable wind power generator system with adjustable vanes using wind draft from vehicular traffic
KR101211581B1 (en) 2012-05-24 2012-12-12 (주)알앤디프로젝트 Wind turbines are installed on the roadside
KR101381246B1 (en) * 2013-01-31 2014-04-07 (주)제이에이치에너지 Wind power generator for a tunnel or underground roadway
KR101381247B1 (en) * 2013-01-31 2014-04-07 (주)제이에이치에너지 Wind power generator for a fence for a lane regulation
KR101582293B1 (en) 2013-11-11 2016-01-21 이상환 Wind Power Generator to use collecting wind fluid
KR102398746B1 (en) * 2020-10-28 2022-05-18 성실에너지 주식회사 Wind power generator installed on the central separation of the road
KR102621567B1 (en) * 2022-03-17 2024-01-08 주식회사 이엔티 Wind power generator for inner space of tunnel
KR102512579B1 (en) * 2022-12-21 2023-03-22 구본일 A concrete median barrier with a safety housing and a wind mi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4530B2 (en) * 2001-03-28 2003-04-29 Joseph W. Moore Energy absorbing system and method
US20050272378A1 (en) * 2004-06-03 2005-12-08 Timothy Dupuis Spread spectrum isolator
JP2008144550A (en) 2006-12-13 2008-06-26 Takasyu Co Ltd Wind-preventing, snow-preventing, sand-preventing, and dust-preventing fence with gen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4530B2 (en) * 2001-03-28 2003-04-29 Joseph W. Moore Energy absorbing system and method
US20050272378A1 (en) * 2004-06-03 2005-12-08 Timothy Dupuis Spread spectrum isolator
JP2008144550A (en) 2006-12-13 2008-06-26 Takasyu Co Ltd Wind-preventing, snow-preventing, sand-preventing, and dust-preventing fence with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04A (en)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423B1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KR101547807B1 (en) Auxiliary safty system for traffic signal
CN108163005B (en) A kind of tramcar and car collision avoidance System
CN104929004A (en) Arterial highway and local highway access traffic dispersion system
CN103500519A (en) Fog region driving safety intelligent guiding system and method
CN101419749A (en) Low-visibility road traffic guiding method
KR20160092959A (en) Method of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in cross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and system of the same
CN104790307A (en) Traffic flow deriving technology of too-close road segment of tunnel exit and interchange exit
CN204129960U (en) Block up intersection traffic signal lamp control system
KR20120013700A (en) A car signal controlling system of left turn
CN216352782U (en) Intelligent induction device for preventing collision in fog area
KR102339582B1 (en) Blocking system on the pedestrian linked to the traffic lights
KR101659344B1 (en) Automatic control apparatus for driving miniature cars
JP4628659B2 (en) Tollgate Lane Operation Method
CN110130249B (en) Intelligent isolation system
CN207571884U (en) Road occupying/parking behavior detection device and system
KR20110116929A (en) Safety device of crosswalk
KR20160015914A (en) Collision prevent system for side wall of ramp
KR200188358Y1 (en) Pedestrian protective devices in crosswalk
CN113393705B (en) Road condi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reserved quantity of vehicles in tunnel or road
KR20170044894A (en) Intersection System
KR101184093B1 (en) Carriageway chage system for one road exclusive vehicle
KR101636942B1 (en) Guidance apparatus for proper steering at ramp and guidance system having the same
KR20100025841A (en) Generation system using passage of vehicle and power supply controll method for electric equiment
KR100856872B1 (en) Information system for no parking and no s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