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719B1 -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19B1
KR101032719B1 KR1020110007096A KR20110007096A KR101032719B1 KR 101032719 B1 KR101032719 B1 KR 101032719B1 KR 1020110007096 A KR1020110007096 A KR 1020110007096A KR 20110007096 A KR20110007096 A KR 20110007096A KR 101032719 B1 KR101032719 B1 KR 101032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going call
audio signal
call
voice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 H04M3/385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using speech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발신 통화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방법은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및 오디오 신호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정상 발신 통화인지 또는 비정상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신 통화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도치 않게 잘못된 발신 전화가 수행되더라도 짧은 시간 내로 통화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통화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대방에게 안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상대방이 잘못된 전화인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방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controlling outgoing call and record-medium recorded thereof}
본 발명은 발신 통화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모바일폰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걸은 비정상적인 발신 전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이동통신의 발달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모바일 폰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전화 기능뿐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보급되고 있다.
이렇듯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모바일 폰의 경우, 작은 크기로 인해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실수로 잘못 눌러 의도치 않은 발신 통화가 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는 어린 아이가 모바일 폰을 만질 경우에도 의도치 않은 발신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정상적인 발신 통화로 인해,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통신료를 낭비하게 되며, 수신자 입장에서도 발신자의 의도치 않은 전화를 착신하는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신 통화 연결 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정상적인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연결을 제어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정상 발신 통화인지 또는 비정상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교 오디오 중 상기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미리 설정된 세기를 갖는 사람의 음성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되거나,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음성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을 분석하여 얻은 텍스트에 미리 설정된 문구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발신 통화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통화 상대방에게 미리 설정된 문자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 통화의 연결을 해제하기 이전에 통화 상대방에게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되는 경우, 진동 기능 또는 미리 설정된 음원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교 오디오 중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는 경우 정상 발신으로 처리되며, 상기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정상 발신 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통화가 정상 발신 통화로 판단되는 경우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새로운 비교 오디오로서 저장하고, 상기 발신 통화가 비정상 발신 통화로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발신 통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본 발명에 의한 발신 통화 제어 방법에 따르면, 의도치 않게 잘못된 발신 전화가 수행되더라도 짧은 시간 내로 통화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통화료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잘못된 전화 연결 시, 상대방에게 안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 상대방이 잘못된 전화인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상대방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이용한 정상 발신 여부 판단 및 비교데이터 생성 또는 갱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폰은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S110),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초 내지 3초) 동안 음원 입력 수단(예를 들어 마이크(mic))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한다(S120).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분석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사람의 음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및/또는 해당 음성이 미리 설정된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신자는 전화를 걸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여보세요], [안녕하세요]라는 말을 하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폰은 발신 전화가 시도되어 상대방이 전화를 받아 전화가 연결되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발신자가 말을 하는지 및/또는 발신자가 미리 설정된 문구를 말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발신자가 의도하지 않은 발신 전화가 연결된 경우에도, 사람의 말소리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모바일 폰은 그 음성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세기 이상일 경우에만 정상적인 발신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의도되지 않은 발신 통화의 경우에도 말소리가 입력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엔 사용자의 입이 마이크 가까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작은 말소리가 입력될 것이며, 따라서 입력되는 음성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정상적인 발신 전화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폰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사람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그 음성 신호의 세기를 함께 측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그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문구와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오디오 신호의 분석이 수행된다.
상기한 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되는 음성 신호가 미리 설정된 오디오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발신 통화 시에 통화 연결 후 주로 말하는 음성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문구를 인식하는 예와는 달리,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미리 저장된 비교 오디오(도 2 참조) 와 파형, 음색 등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주로 발신통화 연결 후 최초 말하는 내용이 [여보세요]라고 가정하면, 미리 해당 [여보세요]라고 말할 때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비교 오디오로서 모바일 폰에 저장되어 있으며, 차후 발신 통화가 연결되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한 미리 저장된 비교 오디오를 비교함으로써, 상기한 오디오 신호의 분석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폰은 상기한 비교 오디오와 같은 비교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평소 사용자가 발신통화 연결 후 최초 일정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말함에 따라 모바일 폰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비교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후 모바일 폰은 상기한 오디오 신호의 분석 결과에 따라 현재 연결된 통화가 정상 발신 통화인지 또는 비정상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결정한다(S130).
즉,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사람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음성이 포함된 경우 해당 음성이 미리 설정된 세기 이상인지 여부, 음성이 포함된 경우 해당 음성을 인식하여 미리 설정된 단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 또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미리 저장된 비교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사람의 음성이 포함된 경우 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음성의 세기를 함께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세기를 가질 경우에만 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따른 음성을 분석하여 얻은 텍스트 내에 미리 설정된 문구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할 경우에만 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될 수 있다. 현재에도 네이버(www.naver.com) 등에서 음성으로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으며,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 기술 등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오디오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저장된 비교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입력된 오디오 신호와 동일 또는 일정 수준 이상 유사한 오디오 신호가 비교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차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 통화가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 여부를 인식한 모바일 폰은 발신 통화가 정상적인 경우엔 그대로 발신 통화의 연결을 유지하고(S140), 비정상 발신 통화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발신 통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50).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 제어 동작으로는 발신 통화의 연결을 즉시 해제하는 것이다. 즉, 비정상적인 발신 통화로 인식되는 경우, 모바일 폰은 곧바로 상대방과 연결된 통화를 끊어 통화 호를 해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폰은 연결된 통화 호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출력한 이후 발신 통화의 연결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현재 00님의 실수로 전화가 연결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통화를 끊겠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연결된 호를 통해 전송하고, 통화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된 발신 통화가 비정상 발신 통화로 인식되는 경우, 모바일 폰은 곧바로 통화 연결을 해제하고, 미리 설정된 문자메시지(상기한 음성 메시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의 메시지)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등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녹음 또는 작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미리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녹음해 놓을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문서 작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저장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 발신 통화로 인식되는 경우, 모바일 폰은 사용자가 발신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진동 기능을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음원(벨소리)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치 전화가 걸려온 것처럼 진동 또는 벨소리를 통해 발신 통화가 연결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비교데이터를 이용한 정상발신 여부를 판단하고 그 비교데이터의 설정 또는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교데이터를 이용한 정상 발신 여부 판단 및 비교데이터 생성 또는 갱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폰은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S210),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입력되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임시 저장하고(S215), 비교데이터로서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교 오디오들과 입력 오디오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발신 통화 연결 후 입력되는 입력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오디오 신호(비교 오디오)가 비교데이터로서 존재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동일의 수준은 완전 동일이 아니라, 일정 수준(예를 들어 80%) 이상 유사한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 동일성 여부의 판단 방법으로는 두 오디오 신호의 파형 비교, 음색 비교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S220에서는 비교데이터로서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교 오디오와 현재 발신 통화 연결에 따라 입력된 입력 오디오 신호가 서로 비교되어, 그 동일성 여부가 판단되는 것이다.
여기서, 물론 최초에는 비교 오디오가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차후 비교 오디오가 새로이 설정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자명하게 될 것이다.
S220에서의 판단 결과, 입력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는 경우 발신 통화는 그대로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S225). 즉 사용자의 목소리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사용자의 발신 통화로 인식되는 것이다. 물론 임시적으로 저장된 입력 오디오 신호는 삭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입력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폰은 비정상 발신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상 통화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 방법으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 오디오 신호에 사람의 음성이 존재하는지, 또는 음성이 존재하더라도 그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지 여부 또는 음성에 미리 설정된 문구가 존재하는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235에서의 판단결과, 비정상 발신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1에 따른 S150과 같이 발신 통화를 제어한다(S240).
이와 달리, 정상 발신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폰은 입력 오디오 신호를 새로운 비교 오디오로서 저장하여 비교데이터를 생성 또는 갱신하고(S245), 발신 통화의 연결을 유지한다(S25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실제 음성이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데이터로서 미리 저장함으로써, 간단한 오디오 신호 간의 비교만으로도 발신 통화의 정상 여부 판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발신 통화 연결 후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음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상기한 음성이 미리 설정된 세기 이상인지 여부, 음성에 따른 문자 비교 등에 따른 음성 분석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도, 비교적 처리가 단순한 입력 오디오 신호와 비교 오디오 간의 비교만으로 정상 발신 여부가 판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발신 통화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S110 : 발신 통화 연결 단계
S120 : 오디오 신호 분석 단계
S130 : 정상 통화 여부 판단 단계
S140 : 통화 유지 단계
S150 : 발신 통화 제어 단계
S210 : 발신 통화 연결 단계
S215 : 입력 오디오 신호 저장 단계
S220 : 입력 오디오 신호와 비교데이터 비교 단계
S225 : 발신 통화 유지 단계
S230, S235 : 정상 통화 여부 판단 단계
S240 : 발신 통화 제어 단계
S245 : 비교 오디오 저장 단계
S250 : 발신 통화 연결 유지

Claims (10)

  1.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신호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정상 발신 통화인지 또는 비정상 발신 통화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교 오디오 중 상기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미리 설정된 세기를 갖는 사람의 음성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음성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음성을 분석하여 얻은 텍스트에 미리 설정된 문구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발신 통화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통화의 연결을 해제하기 이전에 통화 상대방에게 미리 설정된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통화의 연결 해제 이전 또는 이후, 통화 상대방에게 미리 설정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발신 통화로 결정되는 경우, 진동 기능 또는 미리 설정된 음원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9. 모바일 폰에서의 발신 통화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발신 통화가 연결되면,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비교 오디오 중 일정 시간 동안 마이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는 경우 정상 발신으로 처리되며, 상기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비교 오디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정상 발신 통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통화가 정상 발신 통화로 판단되는 경우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새로운 비교 오디오로서 저장하고, 상기 발신 통화가 비정상 발신 통화로 판단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발신 통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 통화 제어 방법.
  10.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하며,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10007096A 2010-12-24 2011-01-25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032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159 2010-12-24
KR20100134159 2010-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2719B1 true KR101032719B1 (ko) 2011-05-06

Family

ID=4436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096A KR101032719B1 (ko) 2010-12-24 2011-01-25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337790A1 (ko)
KR (1) KR101032719B1 (ko)
WO (1) WO20120870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9951B (zh) * 2018-08-28 2023-07-04 帕特莫斯有限公司 通信设备和发送礼貌性信息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57B1 (ko) 2006-10-27 2008-02-28 오상원 음성인식 자동경보시스템
KR20080063695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자동 전송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1602A (en) * 1992-06-19 1996-12-03 Inventions, Inc. Non-offensive termination of a call detection of an answering machine
DE19841166A1 (de) * 1998-09-09 2000-03-16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Kontrolle der Zugangsberechtigung für die Sprachtelefonie an einem Festnetz- oder Mobiltelefonanschluß sowie Kommunikationsnetz
US6662026B1 (en) * 2000-09-28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190768B2 (en) * 2002-08-20 2007-03-13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human-assisted adaptive outbound telephone call classification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JP4706629B2 (ja) * 2006-12-05 2011-06-22 船井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機器
JP2010074654A (ja) * 2008-09-19 2010-04-02 Nec Corp 携帯電話端末、その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1876B2 (en) * 2009-10-15 2013-12-17 Larry Miller Configurable phone with interactive voice response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57B1 (ko) 2006-10-27 2008-02-28 오상원 음성인식 자동경보시스템
KR20080063695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자동 전송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7036A2 (ko) 2012-06-28
US20130337790A1 (en) 2013-12-19
WO2012087036A3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57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swering a communication notification
US10574808B2 (en) Automatic setting of an alert mode on a wireless device
US20200082826A1 (en) Command and control of devices and applications by voice using a communication base system
US8315875B2 (en) Wireless server based text to speech email
US9800730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udibly provide messages in a mobile device
KR102038827B1 (ko) 전화 호출의 수신자가 말하기가 부적당하다고 판단할 때 전화 호출에 응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CN103297941A (zh) 通信事件处理方法及装置
US10257350B2 (en) Playing back portions of a recorded conversation based on keywords
CN105741862A (zh) 一种移动终端音频录入的方法和装置及移动终端
US20080096587A1 (en) Telephone for Sending Voice and Text Messages
JP2007096961A (ja) 電話装置
KR101032719B1 (ko)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75857B1 (ko) 발신측 제어 착신 벨소리 전환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156302B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809081A (zh) 检测通话故障的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08228055A (ja) 携帯電話機および留守番録音方法
EP34223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erminating a voice call
KR20130116488A (ko) 스마트 디바이스의 문자 메시지 착신 신호음 제어 방법
JP2013135462A (ja)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10754A (ko) 발신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