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11B1 -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311B1
KR101030311B1 KR1020070019516A KR20070019516A KR101030311B1 KR 101030311 B1 KR101030311 B1 KR 101030311B1 KR 1020070019516 A KR1020070019516 A KR 1020070019516A KR 20070019516 A KR20070019516 A KR 20070019516A KR 101030311 B1 KR101030311 B1 KR 101030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information
biosignal
identity
home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9412A (ko
Inventor
김경찬
김윤년
김진상
박성수
박희준
차주학
최세영
하만용
Original Assignee
(주)엠디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앤유 filed Critical (주)엠디앤유
Priority to KR102007001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7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Abstract

이 발명은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착용자의 복합 생체신호를 인식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하여 수집된 착용자의 복합 생체신호를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그 착용자의 생리적 상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의료적 대응을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자의 복합 생체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와,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착용자의 신원 정보와 복합 생체 정보와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홈케어 수단과, 상기 홈케어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홈케어 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에게 출력하는 의료서비스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홈케어, 원격 의료서비스, 복합 생체신호 감지, 통합감지장치, 실시간 의료서비스, 신체영역 통신

Description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Mobile Wearable Vital Sign Multi-Sensing Device and Physiological Status Activated Nomadic System}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4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고정 단말기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홈케어 이동 단말기 및 홈케어 고정 단말기의 화면을 캡처한 도면,
도 7은 의료서비스제공서버의 화면을 캡처한 도면,
도 8은 이 발명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9는 이 발명에 따른 착용자 인식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20 : 홈케어 이동 단말기
30 : 홈케어 고정 단말기 40 : 통신망
50 : 의료서비스제공서버
이 발명은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착용자의 복합 생체신호를 인식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와, 이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수집된 착용자의 복합 생체신호를 원격지에서 수신하여 착용자의 생리적 상태를 분석하고 그 정보를 서비스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구현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에 관련된 기술은 크게 2가지로 대별된다. 첫 번째 방법은 단일 센서로 단일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단일 생체신호를 바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착용자가 심전도 검사 장비를 착용한 채로 일상생활을 하면 그 심전도 검사장비가 착용자의 심전도를 감 지하고 그 후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한 다음 이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기관에 직접 전달해야 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방법은 http://www.eecs.harvard.edu/~mdw/proj/codeblue/ 에 개시된 "코드블루(CodeBlue):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Medical Care" 기술이다.
이 종래의 코드블루 장치는 단일 센서와 저전력 마이크로콘트롤러(low-power microcontroller: Atmel Atmega 128L or TI MSP430)와 저전력 디지털전성스펙트럼라디오(low-power digital spread spectrum Radio: Chipcon CC2420, compliant with IEEE 802.14.4, 2.4GHz, approximate range 100 meters, data rate about 80Kbps) 등으로 구성된다.
이 종래의 코드블루 장치는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TinyOS라는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생명신호를 부분적으로 추출, 전송, 여과, 처리하도록 프로그램 된다. 코드블루는 무선 의료 센서들, PDA, PC 혹은 환자 치료용 관찰 및 처리 장비들에게 전송, 명명(naming) 및 보안 등을 제공하도록 고안되었는데, 그 네트워크 범위는 대규모 사고 장소 같은 상당히 밀집되고 특별한 상태에서 산재(散在)된 진료소와 병원까지 포함한다.
두 번째 방법은 활동 중 심전도 검사 즉, 홀터 검사를 위한 장비로서, 착용자는 24시간 동안 심전도 검사 장비를 부착하고 있으면서 그동안의 심장박동의 상태를 측정한다. 이러한 검사는 부정맥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지 않고 임시적으로 발생하였다가 없어지는 경우 그러한 일시적인 부정맥을 검출해 내는 데 유용한 검사방법이다. 즉, 이 두 번째 방법은 심전도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결과로부 터 심장 전문의의 판독을 통해 부정맥의 존재유무와 그 심한 정도를 판정하게 된다.
상술한 첫 번째 종래의 방법은, 착용자의 의료 처치를 위한 다수의 생체신호를 전송하지 못하여 그 착용자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장치 착용자와 의료 처치를 필요로 하는 자와의 동일성 식별이 불가능하여 송수신되는 자료의 일관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의료 서비스를 위한 자료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그 유효성을 보장할 수 없다. 즉, 종래의 방법들은 착용자의 신원이 분명히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생체 정보가 오히려 진단, 치료, 처치에 혼동을 가져온다.
두 번째의 종래의 방법은 단일 생체신호만을 수집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주어진 시간의 범위 내에서만 행해지고 있으며, 원격지에 있는 착용자의 정확한 생리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기에, 이로 인해 착용자가 응급을 요하는 경우나 지속적인 의료정보의 제공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이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한 후 복합 생체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복합 생체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여 착용자에게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는,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맥박수(pulse rate)와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instantaneous Oxygen saturation)와 맥파(plethysmogram)를 측정하는 옥시미터와,
상기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blood pressure)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body temperature)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인식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심전도, 맥박수,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파, 혈압, 체온 정보를 포함한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와,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착용자의 신원 정보와 복합 생체 신호와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홈케어 수단과,
상기 홈케어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홈케어 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에게 출력하는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방법은,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 단계와,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단계로부터 수집된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착용자의 신원 정보와 복합 생체 신호와 위치 정보를 원격지로 실시간 출력하는 홈케어 정보 출력 단계와,
원격지에서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착용자에게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실시간 제공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는, 심전도센서(11)와, 옥시미터(12)와, 혈압센서(13)와, 체온센서(14)와, 착용자 인식센서(15)와, 제어부(16)와,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17)을 포함한다.
심전도센서(11)는 2개의 리드(lead)와 하나의 채널(channel)과 3개의 전극(electrode)로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6)에게 제공한다.
옥시미터(oximeter)(12)는 손가락에 착용되는 핑거센서(finger sensor) 또는 귀에 착용되는 이어센서(ear sensor)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 옥시미터(12)는 착용자의 맥박수(pulse rate)와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instantaneous Oxygen saturation)와 맥파(plethysmogram)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16)에게 제공한다.
혈압(blood pressure)센서(13)는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여 제어부(16)에게 제공한다.
체온(body temperature)센서(14)는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6)에게 제공한다.
착용자 인식센서(15)는 착용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6)에게 제공한다. 인식센서(15)는 옥시미터(12)와 결합되어 핑거센서 또는 이어센서 형태로 제작되며, 핑거센서의 경우 착용자의 지문(fingerprint)으로부터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고, 이어센서의 경우 착용자의 성문(voiceprint) 또는 뇌파지문(brain fingerprint)으로부터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신원 확인 정보를 제어부(16)에게 제공한다.
제어부(16)는 인식센서(15)에서 입력된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착용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착용자 신원 정보와 각 센서(11, 12, 13, 14)에서 수집된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를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17)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6)는 기기 자체 이상(異狀)을 자가진단한다.
이 근거리무선통신모듈(17)은 BAN(Body Area Network) 또는 PAN(Person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구현된다. 이 지그비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가정/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 20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기술이다. 이 지그비는 휴대전화나 무선LAN의 개념으로, 기존의 기술과 다른 특징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대신 소량의 정보를 소통시키는 개념이며, 지능형 홈네트워크, 빌딩 등의 근거리 통신 시장과 산업용기기 자동화, 물류, 환경 모니터 링, 휴먼 인터페이스, 텔레매틱스, 군사 등에 활용된다.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고 값이 싸 홈네트워크 등 유비쿼터스 구축 솔루션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제어부(16)는 착용자가 인식센서(15)를 정확하게 착용하고 있는지, 인식센서(1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식센서(15)로부터 수신된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기 저장된 해당 착용자의 신분 인증서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한다. 수신된 신원 확인 정보와 기 저장된 신분 인증서와 일치하면 해당 착용자의 신원 정보와 복합 생체신호(심전도, 맥박수, 맥파,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 혈압, 체온 등)를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17)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이용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발명의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와, 홈케어 이동 단말기(20)와, 홈케어 고정 단말기(30)와, 통신망(40)과,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는 심전도, 맥박수,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파, 혈압, 체온 등의 복합 생체 정보와 신원 확인 정보(성문, 지문, 뇌파지문) 등을 감지하여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을 통해 홈케어 수단 즉, 홈케어 이동 단말기(20) 또는 홈케어 고정 단말기(30)에게 전송한다. 홈케어 이동 단말기(20) 또는 홈케어 고정 단말기(30)는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인식하여 그 착용자에 대한 보안검사(security check), 수신된 복합 생체 정보의 유효 성(validity), 착용자의 신원(identity) 등을 확인한 후 해당 착용자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는 서비스 이용자, 즉 장치 착용자의 의료 자료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그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의학적인 진단상의 오류를 제거하고, 의학적인 진단 이상(異狀) 범위에 따른 경보 발령 체제를 갖춘 실시간 의료서비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고, 착용자의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를 원격 제어하여 필요한 추가적인 생리적 상태/생체신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거나 자료의 유효성 혹은 착용자의 신원에 대한 재확인 과정 등을 제어하고 송수신한다.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센서(11)와, 옥시미터(12)와, 혈압센서(13)와, 체온센서(14)와, 인식센서(15)와, 제어부(16)와,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17)로 구성된다.
홈케어 이동 단말기(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21)과, 제어부(22)와, GPS모듈(23)과, 저장부(24)와, 원거리무선통신(LAN, WAN)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홈케어 고정 단말기(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무선통신(BAN, PAN)모듈(31)과, 환경감지센서(32)와, 위치인식장치(33)와, 저장부(34)와, 제어부(35)와, 원거리무선통신(LAN, WAN)모듈(36)과, 화상통신모듈(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홈케어 이동 단말기(20)는 옥외에서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에서 보내온 자료들을 해석, 인식 및 저장하고 통신망(40)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또한,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로부터 정보 분석, 경보, 제어명령 등을 수신하여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에게 송신한다.
홈케어 고정 단말기(30)는 옥내에서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에서 보내온 자료들을 해석, 인식 및 저장하고 통신망(40)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 송신한다. 또한,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서 정보 분석, 경보, 제어명령 등을 수신하여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에게 송신한다.
홈케어 이동 단말기(20)는 통상적인 이동형 통신 장치(PDA폰)에 미들웨어 형태로 설치된다.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21)은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에 포함된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17)에 대응되는 프로토콜 장비로서, 지그비(Zigbee)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GPS모듈(23)은 GPS 위성으로부터 옥외에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22)에게 제공한다. 제어부(22)는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21)로부터 수신된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하고 저장부(24)에 저장하며 원거리무선통신(LAN, WAN)모듈(25)을 통해 원격지의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2)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의 인식센서(15)에서 수집된 신원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신호 처리하고 그 신호 처리 결과가 기 저장된 신분 인증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22)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의 제어부가 신원 확인 신호로부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를 동일하게 수행하여, 착용자에 대한 보안검 사(security check) 및 전송된 착용자의 복합 생체 정보의 유효성(validity)과 착용자의 신원(identity)을 확인한다. 원거리무선통신모듈(25)은 LAN, WAN 등의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홈케어 고정 단말기(30)는 옥내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생활거주환경을 감지하고, 홈케어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모두 수용하며,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와 연동하여 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신환경을 제공한다.
근거리무선통신(PAN, BAN)모듈(31)을 통해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로부터 신원 확인 정보와 복합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신원 확인 정보로부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복합 생체 정보를 해석하며 저장부(34)에 저장한다. 아울러, 환경감지센서(32)는 옥내의 미세먼지, 연기, 이산화탄소, 온도, 조도, 습도 등의 기초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옥내에서의 서비스 이용자(착용자)의 생활 주거 조건을 감지한다. 또한, 위치인식장치(33)는 옥내 위치인식태그와 연결하여 서비스 이용자(착용자)의 옥내에서의 위치와 상황을 감지한다. 즉, 위치인식장치는 옥내에 설치된 위치인식태그가 착용자에 부착된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착용자)의 옥내에서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 홈케어 고정 단말기(30)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10)로부터 신원 확인 정보와 복합 생체 정보를 수신하는데,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복합 생체 정보와 기초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착용자의 생체 상태와 환경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파악한다. 또한, 위치인식장치(33)를 통해 옥내에서의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착용자 위치 정보와 복합 생체 정보를 함께 랜통신모듈(36)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게 제공한다.
제어부(35)는 화상통신모듈(37)을 제어하여, 착용자와 원격지의 의료서비스제공서버(50)에 연동하여 전문의와의 화상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랜통신모듈(36)은 무선랜 또는 유선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신망(40)을 통해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50)는 홈케어 이동 단말기(20) 또는 홈케어 고정 단말기(30)를 통해 전송된 자료들을 실시간으로 해석하여, 실질적인 서비스 이용자(착용자)의 의료자료의 일관성을 확보하며, 그 서비스 이용자에게 대한 의학적 진단상의 오류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실시간 의료처치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서비스 이용자의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필요한 추가적인 생리적 상태/생체신호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거나 송수신한다.
이 의료서비스제공서버(50)의 기능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는 생리적 상태/생체신호에 관한 자료 수집기능, 실시간 생리적 상태/생체신호 해석기능, 동등계층 통신방식(peer to peer)의 실시간 대응기능 등이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르면 병원 밖에서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 고품질의 의료 정보 서비스, 즉 생리적 상태/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전송하여 이미 발병한 질병의 위험 수준을 감지하여 사전 예보하거나, 응급조치 시 즉각적인 대응을 하거나, 잠재적인 질병의 징후를 사전에 감지할 신뢰할 만한 의료 정보를 전문 의료 서비스 기관에 실시간으로 통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병 혹은 신체적 이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신체적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실시간 대응 및 처치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동안 축적된 생리적 상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과 처방, 처치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국민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성문(Voiceprint), 지문(Fingerprint) 혹은 뇌파지문(Brain Fingerprint) 등의 인식센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생리상태/생체신호 정보들 중에서, 심전도(Electrocardiogram)와 맥파(Plethysmogram)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착용자의 신체 변화 및 혈압(Blood Pressure) 등 의학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를 분석, 추출 및 해석하여, 보다 고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는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와,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로부터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 후 상기 착용자의 신원 정보와 복합 생체 신호와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홈케어 수단과, 상기 홈케어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를 분석하며 그 결과를 상기 홈케어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에게 출력하는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수단은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와 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인식장치와,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로부터 수신된 착용자의 복합 생체 정보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상기 복합 생체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착용자의 신원 정보와 복합 생체 정보와 위치 정보를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출력하는 원거리통신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는,
    상기 착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맥박수(pulse rate)와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instantaneous Oxygen saturation)와 맥파(plethysmogram)를 측정하는 옥시미터와,
    상기 착용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blood pressure)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body temperature)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는 인식센서와,
    상기 착용자의 심전도, 맥박수, 순간 동맥혈 산소포화도, 맥파, 혈압, 체온 정보를 포함한 상기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착용자의 복합 생체 신호와 상기 착용자의 신원 확인 정보를 출력하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원 확인 정보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착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센서는 지문, 성문, 뇌파지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원 확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은 지그비(Zigbee)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10. 삭제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수단은 상기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연기, 이산화탄소, 온도, 조도, 습도 등의 기초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감지센서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 수단은 상기 착용자와 상기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동한 화상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화상통신모듈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 수단은 USB 부착 지그비 수신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장치는 실외에서는 GPS 모듈로 위치를 인식하고, 실내에서는 지그비를 이용하여 실내에서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15. 삭제
KR1020070019516A 2007-02-27 2007-02-27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KR101030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516A KR101030311B1 (ko) 2007-02-27 2007-02-27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516A KR101030311B1 (ko) 2007-02-27 2007-02-27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412A KR20080079412A (ko) 2008-09-01
KR101030311B1 true KR101030311B1 (ko) 2011-05-23

Family

ID=4002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516A KR101030311B1 (ko) 2007-02-27 2007-02-27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43B1 (ko) * 2012-05-11 2013-11-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전도 데이터를 통신하는 중계형 통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심전도 측정 시스템
US9576179B2 (en) 2014-08-07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fingerprint and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KR20190059437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라온즈 생체신호수집과 통신망 기반의 야외활동인원의 생활활력징후 정보제공 및 응급상황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00056651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라온즈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58B1 (ko) * 2008-09-25 2011-01-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체정보 측정 장치
KR101033964B1 (ko) * 2008-09-30 2011-05-11 (주)하우웰 이엠에스 무선 혈압 및 맥파 측정장치
KR100927473B1 (ko) * 2009-01-07 2009-11-23 주식회사 두성기술 단체용 무선 심박계 시스템
KR100931137B1 (ko) * 2009-08-20 2009-12-10 윤승기 소방관용 생체인식 위치추적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8626A (ko) * 2010-09-15 2012-03-23 전자부품연구원 중앙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의료용 통신장치
KR101674997B1 (ko) * 2015-04-24 2016-11-1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생체신호측정 기기, 서버, 시스템 및 방법
JP7328828B2 (ja) * 2019-08-27 2023-08-17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状態推定装置、状態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状態推定方法
KR102421146B1 (ko) * 2020-08-14 2022-07-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호흡기용 어댑터 시스템
KR102459002B1 (ko) * 2020-08-27 2022-10-27 주식회사 위니드소프트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818A (ko) * 1998-01-16 1999-08-05 구자홍 무선망에 연계되는 건강 진단장치
KR20050067385A (ko) * 2002-08-22 2005-07-01 스미스 메디컬 피엠 인코포레이티드 조합형 지문센서 및 산소농도계장치
KR20060082660A (ko) * 2005-01-13 2006-07-19 주식회사 락테크놀로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060124082A (ko) * 2005-05-30 2006-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818A (ko) * 1998-01-16 1999-08-05 구자홍 무선망에 연계되는 건강 진단장치
KR20050067385A (ko) * 2002-08-22 2005-07-01 스미스 메디컬 피엠 인코포레이티드 조합형 지문센서 및 산소농도계장치
KR20060082660A (ko) * 2005-01-13 2006-07-19 주식회사 락테크놀로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의료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060124082A (ko) * 2005-05-30 2006-1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건강 측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및 그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443B1 (ko) * 2012-05-11 2013-11-2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심전도 데이터를 통신하는 중계형 통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심전도 측정 시스템
US9576179B2 (en) 2014-08-07 2017-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fingerprint and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KR20190059437A (ko) 2017-11-23 2019-05-31 주식회사 라온즈 생체신호수집과 통신망 기반의 야외활동인원의 생활활력징후 정보제공 및 응급상황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00056651A (ko)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라온즈 개인화된 생체신호/주변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맞춤형 활력징후정보 제공 방법 및 개인맞춤형 생활활력징후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412A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311B1 (ko) 휴대형 생체신호 통합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지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CN102043894B (zh) 一种生理数据监测系统及方法
US20070027367A1 (en) Mobile, personal, and non-intrusive health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US20100305412A1 (en) Device and system for wireless monitoring of the vital signs of patients
KR20100019084A (ko) 휴대용 의료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의료 정보 전송시스템
RU91838U1 (ru) Носимый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й комплекс мониторинга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человека
CN102054118A (zh) 一种远程医疗系统
US20200046241A1 (en) Ecg and pcg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on of heart anomaly
BR102012005038A2 (pt) método, sistema e aparelho para monitoramento cardíaco contínuo em um indivíduo
KR101381136B1 (ko) 삼채널 심전도 데이터를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심전도 측정 시스템
US20190142342A1 (en) Hospital bed autom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signal read and correlation as well as real-time data processing
Al-Aubidy et al. Real-tim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US10667687B2 (en)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CN203276282U (zh) 远程医疗信息系统
JP2003299624A (ja) 遠隔診断支援システム
KR20130015476A (ko) 디지털 문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6013382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응급처치용 시스템 및 응급처치 방법
CN201658418U (zh) 基于gprs网络的远程医疗服务系统
Costin et al. Vital Signs Telemonitoring by Using Smart Body Area Networks, Mobile Devices and Advanced Signal Processing
Yakubu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vital signs monitoring system: A prototype validity test
KR101132663B1 (ko) 응급상황 발생시 근접 카메라로부터 얻은 사용자 영상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TWI433663B (zh) 具有近距離無線傳輸功能之生醫裝置及其使用者辨識、生醫資料量測、生醫資料上傳/下載、生醫資料管理、與遠端醫療看護之方法
CN113243897A (zh) 一种基于互联网的健康监测护理医疗系统
CN112022116A (zh) 基于智能穿戴手表的病人病情护理监控系统
CN101455564A (zh) 脉象监护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