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67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678B1
KR101021678B1 KR1020090120807A KR20090120807A KR101021678B1 KR 101021678 B1 KR101021678 B1 KR 101021678B1 KR 1020090120807 A KR1020090120807 A KR 1020090120807A KR 20090120807 A KR20090120807 A KR 20090120807A KR 101021678 B1 KR101021678 B1 KR 10102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ule
mapping
unit
inter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아
이승영
김세환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6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6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a data interworking system are provided to simplify a LVC(Live-Virtual-Constructive) interworking system by using a data interworking apparatus for a multi interface conversion. CONSTITUTION: A receiver(210) receives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 mapping unit(220) includes a discriminating unit, a searching unit, and a data mapping unit. The discriminating unit determines a mapping rule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The searching unit searche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rule between a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a data reception terminal. The data mapping unit maps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An interworking data generator generates interworking data by chang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A transmitter(240) transmits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Description

데이터 연동 장치와 그 방법 및 데이터 연동 시스템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본 발명은 데이터 연동 장치와 그 방법 및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단말들 간에 데이터를 연동시키기 위한 데이터 연동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데이터 연동 장치를 구비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locking device, a method thereof, and a data interlock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terworking device and a method for interlocking data between terminals having different interfaces, and a data interworking system including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최근 모델링 & 시뮬레이션(M&S; Modeling and Simulation)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무기체계의 소요 단계부터 개발, 시험평가, 훈련 등에 이르기까지 전단계에 이르는 시뮬레이션 기반 획득(SBA; Simulation Based Acuquisition)이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획득된 무기체계에 대하여 정작 실기동(Live) 시험/훈련, 가상모의(Virtual) 훈련, 구성모의(Constructive) 훈련 등은 각각 별도로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훈련들은 각 군마다 더욱 세분되어 수행되고 있다. 향후 더욱 복잡한 무기체계를 도입함에 있어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훈련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LVC(Live-Virtual-Constructive) 연동 훈련 이 절실한 상황이다.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M & S (Modeling and Simulation), Simulation Based Acuquisition (SBA) is expanding from the stage of weapon system development to development, test evaluation and training. . However, for the weapon system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simulation, live test / training, virtual training, and constructive training are performed separately. It is broken down and performed.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while minimizing the cost of introducing more complex weapon systems, such live-virtual-constructive (LVC) interlocking training is urgently needed.

도 1은 종래 LVC(Live-Virtual-Constructive)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1을 참조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Live-Virtual-Constructive (LVC) interworking system.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1.

종래에는 게이트웨이(gateway)가 1대1 프로토콜 변환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동마다 게이트웨이(160)를 설치해야 했다. 그래서, 종래 LVC 연동 시스템(100)은 TENA(Training Enabling Architecture) 디바이스(110)와 DIS(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디바이스(120) 간 인터페이스 변환을 위한 제1 게이트웨이(161), DIS 디바이스(120)와 HLA(High Level Architecture simulation) 디바이스(130) 간 인터페이스 변환을 위한 제2 게이트웨이(162),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디바이스(140)와 HLA 디바이스(130) 간 인터페이스 변환을 위한 제3 게이트웨이(163), DDS 디바이스(140)와 TADIL(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B 디바이스(150) 간 인터페이스 변환을 위한 제4 게이트웨이(164) 등 수많은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였다. 이에 따라, 연동이 확장될수록 게이트웨이가 증가하면서 LVC 연동 시스템은 더욱 복잡해지고, 이 시스템을 운용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도 증가하였다.In the related art, since only one-to-one protocol conversion is possible, the gateway 160 has to be installed for each interworking in order to interwork devices having different interfaces. Thus, the conventional LVC interworking system 100 is a first gateway 161, DIS device 120 and HLA for the interface conversion between the TENA (Training Enabling Architecture) device 110 and the DIS (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device 120 (High Level Architecture simulation) second gateway 162 for interface conversion between device 130, data distribution service (DDS) device 140 and third gateway 163 for interface conversion between HLA device 130, A number of gateways are provided, such as a fourth gateway 164 for converting an interface between the DDS device 140 and the TADIL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B device 150. Accordingly, as the interworking is extended, the number of gateways increases, the LVC interworking system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the cost of operating the system also increases.

더욱이, 데이터 처리 해상도(resolution)가 다른 모델들을 연동할 경우 데이터의 다중화를 지원하는 모듈을 별도로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odule supporting multiplexing of data must be added separately when interworking models having different data processing resolution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중 인터페이스 변환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 처리하기 적합하게 해상도를 변환시키는 데이터 연동 장치와 그 방법 및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ata interworking apparatus capable of converting a resolution and converting a resolution suitable for processing by a terminal receiving data, a method and a data interworking system. .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맵핑부;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의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동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clud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o be linked with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An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nterlocking data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of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a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바람직하게는, 상기 맵핑부는, 상기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맵핑 규칙이 있으면, 미리 정해진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상기 맵핑 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데이터 맵 핑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mapping unit, a determination unit that is pre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protocol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apping rule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if the mapping rule exists; And a data mapping unit configured to map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the fou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장치는 상기 맵핑 규칙,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 및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규칙 설정부;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을 저장하는 규칙 저장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규칙 설정부는 상기 맵핑 규칙이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기에 앞서 상기 프로토콜에 대한 맵핑 규칙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설정한다. 또는, 상기 규칙 설정부는 상기 맵핑 규칙으로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별 맵핑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맵핑 규칙 설정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송수신 규칙 설정부; 및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으로 상기 해상도의 변환에 관련한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연동 데이터 생성 규칙 설정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comprises: a rule setting unit that presets at least one of the mapping rul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a rule for generating the interworking data; And a rul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reset rule. More preferably, when there is no mapping rule, the rule setting unit set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ogether with the mapping rule for the protocol before searching fo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lternatively, the rule setting unit may include: a mapping rule setting unit which presets a mapping rule for each protocol data type as the mapping rule; 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unit which preset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an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rule setting unit that presets a rule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the resolution as a rule for generating the interlocking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동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로 프로토콜이 상이한 LVC(Live-Virtual-Constructive)를 연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얻는다.Preferably,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on unit converts the data for interworking a Live-Virtual-Constructive (LVC) having a different protocol from the interworking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transmission unit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network state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a transmission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ransmission of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연동 장치는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에 따라 전송 가능하게 필터링시키는 필터링부를 더욱 포함한다.Preferably, the data interwor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ltering unit for filtering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이거나 상기 데이터 수 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일 때, 상기 맵핑부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비교하는 프로토콜 비교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맵핑부는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을 때 이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킨다.Preferably, when there are at least two data transmitting terminals or at least two data receiving terminals, the mapping unit further includes a protocol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same protocol among protocols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data mapping unit maps the received data to only one protocol when there is the same protocol.

또한, 본 발명은 (a)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단계; (c)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의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o be linked with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b)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c) generating interworking data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of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a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ba) 상기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bb) 상기 맵핑 규칙이 있으면, 미리 정해진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며, 상기 맵핑 규칙이 없으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기에 앞서 상기 프로토콜에 대한 맵핑 규칙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및 (bc) 상기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상기 맵핑 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이거나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일 때, 상기 (ba) 단계와 상기 (bb) 단계의 중간 단 계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bc) 단계는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을 때 이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킨다.Advantageously, step (b) comprises: (ba)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apping rule predetermined for said protocol and for mapping said received data; (bb) if the mapping rule is present, search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between the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and if there is no mapping rule, before the search fo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the mapping rule for the protocol; Sett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ogether; And (bc)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the retriev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More preferably, when there are at least two data transmitting terminals or at least two data receiving terminals, the intermediate step of the steps (ba) and (bb) is a protocol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mparing the same protocol among these, and the step (bc) maps the received data to only one of the protocols when the same protocol exists.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의 이전 단계는 (aa) 상기 맵핑 규칙,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 및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 및 (ab)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previous step of step (a) comprises the steps of (aa) pre-setting at least one of the mapping rule,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rule, and a rule for generating the interworking data; And (ab) storing the preset r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은, (da)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db)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비롯된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in step (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a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comprises: (da) monitoring a network state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db)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locked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ntrol of the generated interlocked data resulting from the monitoring result.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맵핑부,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의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동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t least one data transmission terminal to transmit data;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to cooperate with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Data interworking apparatus including a coordinated data gener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to generate the interlocked data,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locked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It provides a data interworking system comprising a.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은 프로토콜이 상이하다.Preferably,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have different protocol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다중 인터페이스 변환이 가능한 데이터 연동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연동을 확장시키더라도 게이트웨이의 수가 증가하지 않으며, LVC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 사용된 프로토콜 맵핑 규칙 및 해당 모듈의 재사용을 통해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서 처리하기 적합하게 해상도를 변환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다중화 지원을 별도로 요구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LVC 연동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시스템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First, the number of gateways does not increase even if the interworking is extended by using a data interworking apparatus capable of multi-interface convers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LVC interworking system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the cost of developing the system can be reduced by reusing the used protocol mapping rule and the corresponding module. Second,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to be suitable for processing in the terminal receiving the data,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request the multiplexing of the data,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VC interworking system and reducing the system development cos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수신부(210), 맵핑부(220),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 전송부(240), 규칙 설정부(250), 규칙 저장부(260), 필터링부(270), 전원부(280) 및 주제어부(29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interwor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2,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includes a receiver 210, a mapping unit 220, an interlocking data generator 230, a transmitter 240, a rule setting unit 250, and a rule storage unit 260. , A filtering unit 270, a power supply unit 280, and a main control unit 290.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특정 프로토콜을 변환하기 위한 구현물이 아닌 어떤 프로토콜이라도 변환이 가능한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로토콜이 다른 LVC(Live-Virtual-Constructive) 모델을 연동하기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로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다중 인터페이스 변환이 가능하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 처리하기 적합하게 해상도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추후 시험 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가 있다.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is to provide a framework capable of converting any protocol, not an implementation for converting a specific protocol, and a frame for interworking a live-virtual-constructive (LVC) model having different protocols. Defined as a framework.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ata interworking apparatus 200 may perform multi-interface conversion and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resolution so that the terminal receiving the data is suitable for processing. In addition,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be easily modified or supplemented by the user according to a test purpose later.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맵핑부(220)를 통해 프로토콜 간 1대1, 1대N, N대N 통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종래와 달리 인터페이스 변환기를 단일화시킬 수 있으며, 해당 프로토콜에 대해 직접 변환이 가능하다. 그래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여러 망을 거칠 때 발생되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데이터 변환 속도와 함께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를 통해 데이터 해상도(resolution)가 다른 모델간 해상도에 맞게 데이터를 변환시킬 수 있다.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인터페이스의 변환 뿐만 아니라 해상도의 변경도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 데이터 간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차이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필터링부(270)를 통해 프로토콜별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래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새로운 프로토콜이 추가되더라도 시스템 복잡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데이터 변환 시간을 단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재사용성 증가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perform one-to-one, one-to-N, N-to-N communication between protocols through the mapping unit 220. Unlike the related art,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unify the interface converter and directly convert the protocol. Thus,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can reduce the delay time generated when passing through several networks, thereby improving the transmission speed along with the data conversion speed. In addition, the data interworking apparatus 200 may convert data according to resolutions between models having different data resolutions through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ng unit 230. Since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not only changes the interface but also changes the resolution,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also correct a difference in information that may occur between transmission data. In addition, the data interworking apparatus 200 may support a filtering func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each protocol through the filtering unit 270. Thus, even if a new protocol is added,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can prevent system complexity and reduce data conversion time. In addition,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increase reliability by increasing reusability, and cost may be reduced.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합동 LVC 데이터 변환 프레임워크 기술을 통해 기 개발된 시스템 간의 통합, 조합,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도록 하며, 향후 개발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표준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 연동 장치(200)를 이용하면 LVC 상호 연동을 쉽게 구현할 수 있어 무기체계가 더욱 복잡해지더라도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훈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개별 군이 아닌 전군으로의 확장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실기동(Live) 훈련과 가상모의(Virtual) 훈련은 전장의 몰입감을 줄 수 있으며, 구성모의(Constructive) 훈련은 지휘관의 지휘 능력과 상황 조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enables integration, combination, control, and monitoring between previously developed systems through a joint LVC data conversion framework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for interface design of a system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Using the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can easily implement the LVC interworking, even if the weapon system becomes more complex,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raining effect while minimizing the cost,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to all groups, not individual groups. In the above, the live training and the virtual training can give the battlefield immersion, and the constructive training can improve the commander's command ability and situational action.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신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단말로 정의된다.The receiver 21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is defined as a terminal to cooperate with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맵핑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맵핑부(220)는 프로토콜 ID 확인, 프로토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GUI에 전 시, 프로토콜별 데이터 저장,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저장 DB와의 연동으로 프로토콜별 송수신 테이블 검색,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와의 연동으로 송신할 프로토콜 데이터 변환 작업 수행 등을 차례대로 수행한다. 이러한 맵핑부(220)는 판별부, 검색부, 데이터 맵핑부 등을 포함한다. 판별부는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검색부는 맵핑 규칙이 있으면 미리 정해진 데이터 송신 단말과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맵핑부는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맵핑 규칙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저장 DB와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mapping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mapping unit 220 displays the protocol ID, displays the protocol in the GUI when there is no protocol data, stores the protocol-specific data, searches the protocol fo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able for each protocol by interworking with the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 storage DB, and interworks with the protocol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Perform protocol data conversion task to be sent in order. The mapping unit 220 includes a determination unit, a search unit, a data mapping unit, and the like. The determination unit is pre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protocol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apping rule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If there is a mapping rule, the searcher searches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The data mapp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the retriev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he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 storage DB and the protocol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맵핑부(220)는 데이터 송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이거나 데이터 수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일 때 프로토콜 비교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비교부는 데이터 송신 단말과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데이터 맵핑부는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을 때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킨다.Meanwhile, the mapping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protocol comparison unit when at least two data transmitting terminals or at least two data receiving terminals are present. The protocol compar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comparing whether there is the same protocol among protocols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re is the same protocol, the data mapping unit maps the received data only for the corresponding protocol.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프로토콜에는 DDS(Data Distribution Service), TCP/IP, UDP(User Datagram Protocol), DIS(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TADIL(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B, ATDL(Army Tactical Data Link), MDIL(Medium Digital Information Link), HLA(High Level Architecture simulation)/RTI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protocols applicable to this embodiment include DDS (Data Distribution Service), TCP / IP, UDP (User Datagram Protocol), DIS (Distributed Interactive Simulation), TADIL (TActical Digital Information Link) -B, ATDL (Army Tactical Data) Link), Medium Digital Information Link (MDIL), High Level Architecture simulation (HLA) / RTI, and the like.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는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는 데이터 수신 단말이 지원하는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데이터의 해상도란 단순히 화면 전시를 위한 디스플레이용 해상도가 아닌,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모델의 데이터 해상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연동되는 모델이 한 사람의 보병이 될 수 있고, 한 군대가 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해상도가 다르다고 표현하고, 해당하는 모델에 맞는 데이터의 해상도로 변환하여 준다.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는 송수신 인터페이스 해상도 검색,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와의 연동으로 해상도 변환 등을 차례대로 수행한다. 이러한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가 생성하는 연동 데이터는 프로토콜이 상이한 LVC(Live-Virtual-Constructive) 모델을 연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컨대 적군의 위치 추적 등 연동되는 부대에 맞는 임무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interlocking data generator 23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interlocking data.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ng unit 230 generates interlocking data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supported by the data receiving terminal. Here, the resolution of the data refers to the data resolution of a model that can be processed internally, not merely a display resolution for screen display. For example, an interlocked model can be an infantry of one person, or an army. In this case, the resolution is expressed differently, and converted to the resolution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odel.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on unit 230 sequentially performs transmission / reception interface resolution search and resolution conversion in association with the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The interlocking data generated by the interlocking data generator 230 is data for interlocking a live-virtual-constructive (LVC) model having a different protocol. For example, the interlocking data generating unit 230 corresponds to a task for interlocking units such as tracking enemy positions. The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will be described later.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는 데이터 해상도 레벨 관리, 데이터 해상도 변환 규칙 관리, LTH(Low To High) 레벨 해상도 변환, HTL(High To Low) 레벨 해상도 변환, 변환 오류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해상도 변환시 미리 정해진 규칙에 맞게 변환한다. 예컨대, resolution level i는 class A에 attribute 1-1, attribute 1-2, attribute 1-3, attribute 1-4 등을 포함하고, resolution level j는 class A'에 attribute 1을 포함한다고 가정할 때, conversion operation시 resolution level i에서 resolution level j로의 aggregation은 Rj=f-1(Ri) 규칙을 따르고, resolution level j에서 resolution level i로의 disaggregation은 Ri=f(Rj) 규칙을 따른다. 높은 레벨(high level)에서 낮은 레벨(low level)로의 변환은 데이터가 충분하지만, 낮은 레벨에서 높은 레벨로의 변환은 데이터가 부족하므로 데이터를 생성해야 하고, 생성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는 이런 오류를 줄이기 위해 발생한 오류는 별도로 저장해 두고, 추후 오류 분석을 통해 변환 규칙을 개선한다.The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unit 230 performs functions such as data resolution level management, data resolution conversion rule management, low to high (LTH) level resolution conversion, high to low (HTL) level resolution conversion, and conversion error storage. When the data resolution is converted, it is conver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For example, assuming that resolution level i includes attribute 1-1, attribute 1-2, attribute 1-3, attribute 1-4, etc. in class A, and resolution level j includes attribute 1 in class A ', In the conversion operation, aggregation from resolution level i to resolution level j follows R j = f -1 (R i ) and disaggregation from resolution level j to resolution level i follows R i = f (R j ). The conversion from high level to low level has enough data, but the conversion from low level to high level requires the generation of data because there is not enough data, and an error may occur during generation.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on unit 230 stores an error generated to reduce such an error separately and improves the conversion rule through error analysis later.

전송부(240)는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송부(240)는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the generated interlocked data to th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interworking data to a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a protocol.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규칙 설정부(250) 및 규칙 저장부(2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rule setting unit 250 and a rule storage unit 260.

규칙 설정부(250)는 맵핑 규칙, 데이터 송수신 규칙, 및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리 설정된 규칙은 사용자 정의에 대한 것으로서, XML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규칙 설정부(250)는 규칙 설정에 대한 사용자 정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한편, 규칙 설정부(250)는 맵핑 규칙이 없는 경우 맵핑부(220)의 검색부가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기에 앞서 프로토콜에 대한 맵핑 규칙과 함께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설정한다.The rule setting unit 250 performs a function of presetting at least one of a mapping rule,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a rule for generating interworking data. The preset rule is for user definition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XML file. The rule setting unit 250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o perform user definition on rule setting. Meanwhile, when there is no mapping rule, the rule setting unit 250 set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ogether with the mapping rule for the protocol before the searcher of the mapping unit 220 searches fo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프로토콜이 다른 모델간 연동을 위해 데이터 변환을 수행해야 한다.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데이터 간 맵핑,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데이터간 해상도 처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셋업 모드와 시험 모드 2가지로 운용된다.The data interworking apparatus 200 must perform data conversion for interworking between models having different protocols. In order to perform data conversion,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erform mapping between protocol data,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and resolution between data. In order to perform this function,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is operated in two modes, a setup mode and a test mode.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시험 목적에 따라 연동되는 모델이 달라지고, 연동 모델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 규칙과 처리해야 할 해상도가 달라진다. 그래서, 시험을 수행하기 전 모드인 셋업 모드에서는 시험의 목적에 맞게 사용자가 연동할 모델의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설정, 연동 모델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 설정, 해상도 레벨 설정 및 레벨별 맵핑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시험이 시작되면, 시험 시작 전 사용자가 개입하여 설정한 규칙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한다, 시험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개입하여 프로토콜 맵핑 규칙을 변경할 수 없지만, 데이터의 송수신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The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has a different interlocking model according to a test purpose,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a resolution to be processed vary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model. Therefore, in the setup mode, which is a mode before performing the test, the user can define protocol data mapping rule sett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interworking model setting, resolution level setting, and mapping rule for each model according to the test purpose. . When the test starts, the data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rules set by the user before the test starts.In the test mode, the user cannot change the protocol mapping rules by the user, bu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twork status is monitored by controlling the data transmission. It is possible.

셋업 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 맵핑 규칙 설정, 해상도 맵핑 규칙 설정, 인터페이스 송수신 규칙 설정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셋업 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규칙 설정부(250)가 담당한다. 규칙 설정부(250)에 의해 정의된 맵핑 규칙은 추후 시험 목적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Functions performed in the setup mode include protocol data type mapping rule setting, resolution mapping rule setting, and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In this embodiment, the rule setting unit 250 is responsible for a function performed in the setup mode. The mapping rule defined by the rule setting unit 250 may be reused according to a later test purpose, and may be modified and used by a user as needed.

규칙 설정부(250)는 맵핑 규칙 설정부, 송수신 규칙 설정부, 연동 데이터 생성 규칙 설정부 등을 포함하며, 각 부를 통해 전술한 기능을 담당한다. 각 부가 수 행하는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ule setting unit 250 includes a mapping rule setting unit, 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unit, an interworking data generation rule setting unit, and the like, and are responsible for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through each unit. The function of each additional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맵핑 규칙 설정부는 맵핑 규칙으로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별 맵핑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맵핑 규칙 설정부는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 추가,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설정,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등의 단계를 거쳐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별 맵핑 규칙을 미리 설정한다.The mapping rule sett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presetting a mapping rule for each protocol data type as a mapping rule. The mapping rule setting unit sets the mapping rule for each protocol data type in advance by adding a protocol data type, setting a protocol data mapping rule, and storing a protocol data mapping rule.

송수신 규칙 설정부는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 규칙 설정부는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정의,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설정,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저장 등의 단계를 거쳐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미리 설정한다.The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unit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s in advanc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unit set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s in advance by defining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s, setting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s, and storing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s.

연동 데이터 생성 규칙 설정부는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으로 해상도의 변환에 관련한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동 데이터 생성 규칙 설정부는 인터페이스 해상도 정의,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 설정,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등의 단계를 거쳐 해상도의 변환에 관련한 규칙을 미리 설정한다.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on rule setting unit is a rule for generating interlocking data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setting a rule related to conversion of resolution.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on rule setting unit pre-sets a rule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resolution through steps of defining an interface resolution, setting a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and storing a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반면, 시험 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에는 프로토콜 데이터 변환, 데이터 해상도 변환, 데이터 송수신 모니터링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험 모드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각각 맵핑부(220),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 전송부(240)에서 담당한다.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performed in the test mode include protocol data conversion, data resolution conversion,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nitor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nction performed in the test mode is in charge of the mapping unit 220,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ng unit 230, and the transmitting unit 240, respectively.

규칙 저장부(260)는 규칙 설정부(25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규칙을 저장한다. 이러한 규칙 저장부(260)는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 인터페이스 송수 신 필터링 규칙 저장 DB,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는 프로토콜 데이터 맵핑 규칙을 저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저장 DB는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을 저장한다. 또한,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 저장 DB는 해상도 데이터 맵핑 규칙을 저장한다.The rule storage unit 260 stores the rule preset by the rule setting unit 250. The rule storage unit 260 may include a protocol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an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 storage DB, a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and the like. In the above, the protocol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stores the protocol data mapping rule. In addition, the interfa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iltering rule storage DB stores the interfa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filtering rule. Also, the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storage DB stores the resolution data mapping rule.

필터링부(270)는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규칙에 따라 전송 가능하게 필터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필터링부(270)는 데이터 송수신 필터링, 입력(input)/출력(output) 채널 관리 등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링부(270)는 송수신 규칙으로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 저장 DB에 있는 인터페이스 송수신 필터링 규칙을 이용한다.The filtering unit 270 performs a function of filtering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to be transmitted in accordance with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he filtering unit 270 perform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input / output channel management,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ing unit 270 uses the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 in the interfac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ing rule storage DB a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전원부(280)는 데이터 연동 장치(2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80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all components of the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주제어부(290)는 데이터 연동 장치(200)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부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ain controller 29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all components of the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한편, 규칙 설정부(250)가 GUI로 구현될 경우 시험 모드에서 사용자가 GUI를 통해 네트워크망의 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판단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전송부(240)가 모니터링부와 전송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네트워크 망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송신 단말과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송 제어부는 데이터 통신 제어를 명령하는 것으로서,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생성된 연동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ule setting unit 250 is implemented as a GUI, the user can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network through the GUI in the test mod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user's judgment. In this embodiment, the transmission unit 240 may include a monitoring unit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monitoring unit monitors network performan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monitoring a network state between a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a data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mmands the data communication control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coordinated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다음으로, 데이터 연동 장치(200)의 데이터 연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3을 참조한다.Next, a data interworking method of the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FIG. 3.

먼저, 수신부(210)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S300).First,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o cooperate with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S300).

이후, 맵핑부(220)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킨다(S310). 이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별부가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후, 맵핑 규칙이 있으면, 검색부가 미리 정해진 데이터 송신 단말과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한다. 반면, 맵핑 규칙이 없으면, 검색부가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기에 앞서 규칙 설정부(250)가 맵핑 규칙과 함께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설정한다. 이후, 데이터 맵핑부가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맵핑 규칙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킨다.Thereafter, the mapping unit 220 maps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S310). This step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First, the determination unit is pre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protocol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apping rule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Thereafter, if there is a mapping rule, the searcher searches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between the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mapping rule, before the searcher searches fo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he rule setting unit 250 set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ogether with the mapping rule. Thereafter, the data mapping unit maps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the retriev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이후,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가 데이터 수신 단말이 지원하는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한다(S320).Thereafter, the companion data generator 230 converts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supported by the data receiving terminal to generate the companion data (S320).

이후, 전송부(240)가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S330).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할 때에는, 먼저 모니터링부가 데이터 송신 단말과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네트 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후 전송 제어부가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비롯된 생성된 연동 데이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S330). When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the monitoring unit first monitors the network state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the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ntrol of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resulting from the monitoring result. The interlocking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한편, 수신부(210)가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규칙 설정부(250)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규칙 설정부(250)가 맵핑 규칙, 데이터 송수신 규칙, 및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미리 설정한다. 이후, 규칙 설정부(250)가 규칙 저장부(260)에 미리 설정된 규칙을 저장한다.Meanwhile, before the receiver 210 receives data, the rule setting unit 250 may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 First, the rule setting unit 250 presets at least one rule among mapping rule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s, and rules for generating interworking data. Thereafter, the rule setting unit 250 stores the rule set in advance in the rule storage unit 260.

한편, 데이터 송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이거나 데이터 수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일 때에는, 판별부의 기능 수행 후 프로토콜 비교부가 데이터 송신 단말과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비교한다. 만약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다면, 그 후에 데이터 맵핑부가 이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맵핑된 데이터를 재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at least two data transmitting terminals or at least two data receiving terminals, the protocol comparator compares whether there is the same protocol among the protocols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fter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discriminating unit. If there is the same protocol, then the data mapping section maps the received data for only one of the protocols and reuses the mapped data for the other.

다음으로, 데이터 연동 장치(200)를 구비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데이터 연동 시스템(400)은 데이터 송신 단말(410), 데이터 수신 단말(420) 및 데이터 연동 장치(200)를 포함한다.Next, a data interlocking system including the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4, the data interworking system 400 includes a data transmitting terminal 410, a data receiving terminal 420, and a data interlocking device 200.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수신부(210), 맵핑부(220),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 및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맵핑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적 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킨다. 연동 데이터 생성부(230)는 데이터 수신 단말이 지원하는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송부(240)는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데이터 연동 장치(200)는 이외에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includes a receiver 210, a mapping unit 220, an interworking data generator 230, and a transmitter 240. The receiving unit 210 receives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he mapping unit 220 maps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unit 230 generates the interlocking data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supported by th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transmitter 240 transmits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데이터 송신 단말(410)은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단말로서, 데이터 연동 시스템(400)에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데이터 송신 단말(410)이 복수개 구비될 경우, 데이터 송신 단말(410)은 프로토콜이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송신 단말(410)은 TENA 디바이스, DIS 디바이스, TADIL-B 디바이스, DDS 디바이스, HLA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410 is a terminal for transmitting data, and is provided in at least one data interworking system 400. When a plurality of data transmission terminals 410 are provided,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s 410 may include devic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For example,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410 may include a TENA device, a DIS device, a TADIL-B device, a DDS device, an HLA device, and the like.

데이터 수신 단말(420)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410)과 연동하려는 단말로서, 데이터 송신 단말(4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데이터 연동 시스템(400)에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데이터 수신 단말(420) 역시 복수개 구비될 경우 프로토콜이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신 단말(420)은 데이터 송신 단말(410)과 프로토콜 기반 인터페이스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 receiving terminal 420 is a terminal intended to interwork with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410, receives data from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410, and is provided in at least one data interworking system 400. If a plurality of data receiving terminals 420 are also provided, the protocols may include different devi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ata receiving terminal 4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410 and the protocol-based interface is differ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국방 예산 감소에 따라 군사 훈련 비용을 최소화하고 환경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M&S(Modeling and Simulation) 구축이 필요하다. 그런데, M&S 구축을 위해서는 LVC 연동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As defense budgets decrease, modeling and simulation (M & S) is needed to minimize military training costs and minimize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LVC interworking technology is urgently required for M & S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연동 장치는 LVC 연동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하며, 확장성과 안정성을 보장해 주는 공통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므로 시스템이 단순해지고, 신뢰성이 높아지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연동 장치는 프로토콜 변환과 함께 해상도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시뮬레이터의 독립성이 보장되고, 전송 데이터의 정확성이 높아진다. 또한, 데이터 연동 장치는 새로운 프로토콜을 연동할 경우 기존의 변환 모듈을 재사용하여 필요한 프로토콜의 변환 모듈을 추가하고, 공통 데이터 및 프로토콜 변환 모듈을 수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비용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데이터 연동 장치는 M&S 장치 및 합동 군 연동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구축, LVC간 유연한 데이터 연동, LVC 연동시 시스템의 단순화, 새로운 인터페이스 추가 확장시 타 시스템 영향 최소화, 새로운 인터페이스 추가의 편리성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국방상 많이 이용 될 것으로 예측된다.The data interwo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implement LVC interworking, and uses a common framework that ensures scalability and stability, thereby simplifying the system, increasing reliability, and reducing costs. In addition, the data interworking apparatus performs the resolution conversion together with the protocol conversion, thereby ensuring the independence of the simulator and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transmission data. In addition, when interworking with a new protocol, the data interworking device may minimize an increase in additional costs by reusing an existing conversion module to add a conversion module of a required protocol and modifying and using a common data and protocol conversion module. In addition, the data interlocking device has the effects of establishing a data interface for M & S device and joint group interworking, flexible data interworking between LVCs, simplifying the system when interlocking LVCs, minimizing the influence of other systems when adding new interfaces, and convenience of adding new interfaces. Can also be obtaine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used a lot in defense.

도 1은 종래 LVC(Live-Virtual-Constructive) 연동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Live-Virtual-Constructive (LVC) interworking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interwork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interwork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데이터 연동 장치 210 : 수신부200: data interlock device 210: receiver

220 : 맵핑부 230 : 연동 데이터 생성부220: mapping unit 230: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unit

240 : 전송부 250 : 규칙 설정부240: transmission unit 250: rule setting unit

260 : 규칙 저장부 270 : 필터링부260: rule storage unit 270: filtering unit

280 : 전원부 290 : 주제어부280: power supply unit 290: main control unit

400 : 데이터 연동 시스템 410 : 데이터 송신 단말400: data interworking system 410: data transmission terminal

420 : 데이터 수신 단말420: data receiving terminal

Claims (16)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o be linked with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맵핑 규칙이 있으면 미리 정해진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상기 맵핑 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데이터 맵핑부를 포함하는 맵핑부;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wherein there is a mapping rule predetermined for the protocol and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 discri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data transmission unit; a search unit searching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and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the search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Mapping unit including a dat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의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동 데이터 생성부; 및An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interlocking data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of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상기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Data interlock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맵핑 규칙,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 및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규칙 설정부; 및A rule setting unit which presets at least one of the mapping rul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a rule for generating the interworking data; And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을 저장하는 규칙 저장부A rul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reset rule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Data inter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규칙 설정부는 상기 맵핑 규칙이 없는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기에 앞서 상기 프로토콜에 대한 맵핑 규칙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And the rule setting unit set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ogether with the mapping rule for the protocol before searching fo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if there is no mapping rul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규칙 설정부는,The rule setting unit, 상기 맵핑 규칙으로 프로토콜 데이터 타입별 맵핑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맵핑 규칙 설정부;A mapping rule setting unit which presets a mapping rule for each protocol data type as the mapping rule;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송수신 규칙 설정부; 및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setting unit which preset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으로 상기 해상도의 변환에 관련한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연동 데이터 생성 규칙 설정부An interlocking data generation rule setting unit that presets a rule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the resolution as a rule for generating the interlocking da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Data interlocking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연동 데이터로 프로토콜이 상이한 LVC(Live-Virtual-Constructive)를 연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And the interworking data generating unit converts and acquires data for interworking a Live-Virtual-Constructive (LVC) having a different protocol from the interworking dat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송부는,The transmission unit,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network state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Data interlocking device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에 따라 전송 가능하게 필터링시키는 필터링부Filtering unit for filtering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rule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Data interlock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이거나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일 때, 상기 맵핑부는,When there are at least two data transmitting terminals or at least two data receiving terminals, the mapping unit,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비교하는 프로토콜 비교부Protocol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whether there is the same protocol among the protocol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를 더욱 포함하며,Further includes, 상기 데이터 맵핑부는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을 때 이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And the data mapping unit maps the received data to only one protocol when there is the same protocol. (a)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a) receiving data from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o cooperate with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상기 맵핑 규칙이 있으면 미리 정해진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고 상기 맵핑 규칙이 없으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기에 앞서 상기 프로토콜에 대한 맵핑 규칙과 함께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설정하는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상기 맵핑 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맵핑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b)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the mapping being pre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protocol and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ule; if there is the mapping rule,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is searched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and if there is no mapping rule, the protocol is searched before searching fo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 search step of sett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together with a mapping rule for the data; and a mapping step of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the search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c)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의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c) generating interworking data by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of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d) 상기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a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Data interworking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a) 단계의 이전 단계는,The previous step of step (a), (aa) 상기 맵핑 규칙, 상기 데이터 송수신 규칙, 및 상기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 및(aa) presetting at least one of the mapping rul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and a rule for generating the interworking data; And (ab)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을 저장하는 단계(ab) storing the preset rule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Data interwork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 송하는 것은,In step (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work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da)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da) monitoring a network state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And (db) 상기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비롯된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의 전송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db)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to the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control of the generated interlocking data resulting from the monitoring resul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Data interworking method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이거나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이 적어도 두개일 때, 상기 판별 단계와 상기 검색 단계의 중간 단계는,When there are at least two data transmitting terminals or at least two data receiving terminals,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the determining step and the searching step may include: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들 중에서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는지 비교하는 단계Comparing whether there is a same protocol among protocols between th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data receiving terminal;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맵핑 단계는 동일한 프로토콜이 있을 때 이중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해서만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방법.And said mapping step maps the received data to only one of the protocols when there is the same protocol. 데이터를 송신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to transmit data;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연동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및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to cooperate with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수신 단말 간의 프로토콜 각각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지며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기 위한 맵핑 규칙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맵핑 규칙이 있으면 미리 정해진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데이터 송수신 규칙을 고려하여 상기 맵핑 규칙에 따라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맵핑시키는 데이터 맵핑부를 포함하는 맵핑부,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의 모델 해상도를 고려하여 상기 맵핑된 데이터의 해상도를 변환시켜 연동 데이터를 생성하는 연동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프로토콜을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연동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 장치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from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each protocol between the at least one data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data receiving terminal,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apping rule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 search unit for searching for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if the mapping rule is present; A mapping unit including a data mapping unit for mapping the received data according to the mapping rule in conside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rule; converting the resolution of the mapped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resolution of the data receiving terminal to generate interworking data; Having interlocking A data interlocking device including a data generating unit and a transmitting unit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terlocked data to a corresponding data receiving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protoco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Data interlocking system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데이터 송신 단말과 상기 데이터 수신 단말은 프로토콜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연동 시스템.And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and the data reception terminal have different protocols.
KR1020090120807A 2009-12-07 2009-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KR1010216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07A KR101021678B1 (en) 2009-12-07 2009-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807A KR101021678B1 (en) 2009-12-07 2009-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678B1 true KR101021678B1 (en) 2011-03-17

Family

ID=4393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807A KR101021678B1 (en) 2009-12-07 2009-12-07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678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07B1 (en) 2011-11-11 2012-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teroperating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KR101239882B1 (en) * 2012-01-13 2013-03-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KR101318881B1 (en) 2012-06-25 2013-10-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operating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KR20160082229A (en) * 2014-12-31 2016-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ing system with process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90022205A (en) * 2017-08-25 2019-03-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ds communication middleware platform in power system field
KR20200069106A (en) * 2018-12-06 2020-06-16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and adaptor for interworking individual simulation model to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
KR102314814B1 (en) 2020-12-02 2021-10-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data based the open standard in the wearable communication system
CN115688686A (en) * 2022-09-02 2023-02-03 中国人民解放军92493部队试验训练总体研究所 LVC resource access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005A (en) * 1987-07-29 1989-02-02 Toshiba Corp Turbine bypass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005A (en) * 1987-07-29 1989-02-02 Toshiba Corp Turbine bypass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2005, 한종기외, 트랜스코더의 해상도 변환 모듈과 움직임 추정 모듈의 공동 최적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407B1 (en) 2011-11-11 2012-08-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for interoperating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KR101239882B1 (en) * 2012-01-13 2013-03-06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Lvc-based interconnection system of aircraft simulation
KR101318881B1 (en) 2012-06-25 2013-10-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Method for interoperating between heterogeneous devices
KR20160082229A (en) * 2014-12-31 2016-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ing system with processing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90022205A (en) * 2017-08-25 2019-03-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Dds communication middleware platform in power system field
KR102021117B1 (en) * 2017-08-25 2019-09-1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Dds communication middleware platform in power system field
KR20200069106A (en) * 2018-12-06 2020-06-16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and adaptor for interworking individual simulation model to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
KR102128042B1 (en) * 2018-12-06 2020-06-29 국방과학연구소 Method and adaptor for interworking individual simulation model to distributed simulation system
KR102314814B1 (en) 2020-12-02 2021-10-2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data based the open standard in the wearable communication system
CN115688686A (en) * 2022-09-02 2023-02-03 中国人民解放军92493部队试验训练总体研究所 LVC resource access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5688686B (en) * 2022-09-02 2024-01-12 中国人民解放军92493部队试验训练总体研究所 LVC resource access verification method and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6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working data, and system for interworking data with the said apparatus
CN102801614B (en) A kind of convergence method of equal-cost route and the network equipment
CN104902532A (en)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ccess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N104242465A (en) B/S based remote transformer subst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1986648A (en) Negotiation method, device and network device of TCP option
CN101360311A (en) Test maintaining system and method
CN102238027A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management of link between network devices
KR1015653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lack-box for vehicle diagnosis using in-vehicle time synchronization message
Lee et al. A home cloud-based home network auto-configuration using SDN
CN102143014A (en) Single board failure detection method, single board and router
CN108134645A (en) Radar signal synchronization system
CN101262371A (e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of network devices
KR101748302B1 (en) System and method of anqp querying using a common anqp group version
CN105429798A (en) Network configuration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CN102905294A (en) LWAPP (Light Weight Access Point Protocol) link backup method and device
EP3082376A1 (en) Network device discovery method,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discovery system
CN109005073A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CN109495302A (en) Link monitoring method, cloud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6503498A (en) Picture render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208638365U (en) Fire Control system
CN113485435A (en) Heterogeneous multi-unmanned aerial vehicl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6014923B2 (en) Access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10880179B2 (en) Method for topology determ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ite, a computer progra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s site
JP2014060636A (en) Communication interface conversion device
CN109814904A (en) A kind of HMI configuration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