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690B1 -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 Google Patents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690B1
KR101019690B1 KR1020080062884A KR20080062884A KR101019690B1 KR 101019690 B1 KR101019690 B1 KR 101019690B1 KR 1020080062884 A KR1020080062884 A KR 1020080062884A KR 20080062884 A KR20080062884 A KR 20080062884A KR 101019690 B1 KR101019690 B1 KR 101019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guide
information
vehicl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2841A (en
Inventor
김하영
Original Assignee
(주)엠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6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690B1/en
Publication of KR2010000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장치에 있어서, 특히 주행중인 차량이 특정 시설물 내에 진입할 경우, 상기 특정 시설 내부를 안내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a facility guidance method for guiding the inside of a specific facility, in particular, when a traveling vehicle enters a specific facility.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중인 시설 안내정보를 축약도 혹은 개략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시설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guide target facility and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y, and the guide target facility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f this i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either of a simplified or schematic form,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시설물, 전파 음영지역, 차량 항법 장치 Facility, Radio Shading Area, Vehicle Navigation System

Description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장치에 있어서, 특히 시설물 내에서의 긴급시설 등을 안내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for guiding emergency facilities and the like in a facility, and a facility guidance method thereof.

최근,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탐색하여 운전자에게 음성과 이미지 형태로 탐색된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Recently, when a driver inputs a destination, a route guidance service that searches for an optimal route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and provides the driver with a searched route in the form of a voice and an image is popularized.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차속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차량 항법 장치 의해 제공되는데, 차량 운전자가 상기 차량 항법 장치를 이용해 도로정보 제공자에게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도로정보 제공자가 지리정보 및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참조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혹은 최단 경로 유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 유도 데이터를 다시 차량 항법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다. The route guidance service is provided by a vehicle navigation devic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such a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 a vehicle speed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vehicle driver uses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to provide a road information provider with current loc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When transmitting, the road information provider calculates the optimal or shortest route guidance data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route guidance data to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gain.

상기한 경로 안내 서비스는 운전자에게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까지의 최단 또는 최적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초행길을 주행하는 운전자를 안전하게 인도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없는 교통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The route guidance service provides the driver with the shortest or optimal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thereby safely guiding the driver traveling on the transboundary road, and has an advantage of preparing for an unpredictable traffic situation.

그러나, 현재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휴게소, 대형 건물 또는 백화점 등의 특정 시설 내로 진입하는 경우,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간주되어 시설 내부 안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urrent navigation system has a drawback that when entering into a specific facility, such as a rest area, a large building or a department st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oute has been departed and it is impossible to guide the inside of the facility.

또한, 백화점의 지하주차장 등의 전파 음영 지역에 진입하는 경우,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하여 시설 내부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entering the radio shading area, such as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department st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terior of the facility is not mad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receive GPS signal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안내대상 시설 내부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해당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is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ry into the guide facility, a vehicle for guiding the inside of the facility using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facility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It is to provide a navig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guiding its faciliti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설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등을 안내함으로써,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건물 내부 또는 지하 등의 전파 음영지역의 경로를 안내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the emergency facilities in the facility by using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form, thereby guiding the path of the radio wave shadow area, such as inside the building or underground where GPS signals are not received. It is to provide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its facility guidance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메뉴에 상응하는 시설물 안내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안내아이콘의 시인성을 높이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lecting an emergency facility menu in a specific facility, by highlighting the facility guidanc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guidance icon and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its facility guidance method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의 일 특징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중인 시설 안내정보를 축약도 혹은 개략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시설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One feature of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and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ies, th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e target facility has been entered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and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are controlled to displa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either a simplified or schematic form.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별도의 저장장치에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항법 장치의 시설 안내 방법의 일 특징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입한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축약도 또는 개략도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In addition, a feature of the facility guidance method of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for storing the guide target facility list and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y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location Receiving information, determining that the guide facility is entered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ing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information facility entered into a reduced or schematic diagram to display the information; It is made to includ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목적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 경로에 따라 주행시, 상기 탐색 경로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guide target facility is entered, the step of inputting a destination, searching for a route to the input destination, when driving in accordance with the search path, detecting the departure of the search path And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guide target facility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vehicl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안내대상 시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한 것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guide facility is entered, providing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riving vehicle, selecting any one of the guide target facilities And determining entering the selected guide target facility.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 목록 중, 상기 차량의 주행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 More preferably, it is determined from the provided list of guided facilities to enter the guided facilities closest to the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마지막으로 전파를 수신한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지역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the guide facility, the step of extracting the area where the last vehicle received the radio wave, providing a list of guide facilities close to the extracted area and If any one of the provided guided facilities is selected, determining that the selected guided facilities have been enter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는 지도데이터를 변경한 것으로서,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한다. More preferably, the reduced diagram or schematic diagram is a map data change,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reduced diagram or schematic diagram.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또는 백화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guide facility includes at least one of a rest area or a department stor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위치, 거리 또는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More preferabl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distance or purpose of the facility.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이다. More preferabl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s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in the guide target facility.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면, 상기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를 우선 표시한다. More preferably, when the driving vehicle enters the guide facility,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n the facility is displayed first.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급시설물은 사용자 활용빈도 또는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설정된다. More preferably, the emergency facility is set by at least one of user utilization frequency or preference.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급시설물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플래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안내아이콘으로 나타낸다. More preferably, the emergency facility is represented by at least one guide icon among text, image or flash icons.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긴급시설물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상응하는 긴급시설의 안내아이콘 크기, 색상 또는 표시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하여 강조한다.More preferably, when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s selected, at least one of the size, color, or display cycle of the guide icon of the emergenc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nformation is changed and emphasized.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의 안내아이콘이 플래시 아이콘이면, 상기 플래시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강조한다. More preferably, if the guide icon of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is a flash icon, highlighting by applying an animation effect to the flash icon.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은 해당 긴급시설물의 상세정보를 POI(Point Of Interest) 형태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More preferably,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simultaneously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facility in the form of point of interest (POI).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특정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facility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inside of the facility using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guide target facility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시설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함으로써,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전파 음영지역에 해당하는 시설 내부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its facility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inside of the facility using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thereby opening up the inside of the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radio wave shadow area where GPS signals are not received. There is a guiding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시설 안내 방법은, 메뉴에 연동된 안내 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하므로써, 시설 내부의 긴급시설 등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the facility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ighlighting and displaying the guide icon linked to the menu,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emergency facilities and the like inside the fac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적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applic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nd illustrated by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는 GPS 수신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iver 110, an inputter 120, a controller 130, a storage 140, and a display 150.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110) 수신부는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으로서, 그 지점의 경도 및 위도 정보를 포함한다.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GPS satellites.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s, and includes the longitude and latitude information of the point.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목적지 혹은 여러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The input unit 120 receives a destination or various selection signals set by a user.

상기 저장부(140)는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백화점, 랜드마크 타워 등의 대형 시설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설 앤내 정보는 상기 시설 내에 존재하는 시설물의 위치, 거리, 용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에서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and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ies. The facility to be guided includes large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department stores, landmark towers, and the like. The facility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distance, and use of facilities existing in the facilit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stores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path in the guide facility in the form of a database.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GPS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중인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여러 방법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guide target facility stored in the storage 140 is entered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er 110. Various methods for determining that the controller 130 has entered the guide target facility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첫 번째,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목적 지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른 주행시 상기 경로의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정보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을 상기 저장부(140)에서 검색하여 해당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 First, when a destination to the destination is set, when the destin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controller 130 searches for a path to the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When the departure of the path is detected when driving along the searched route, the storage unit 140 searches for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nea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vehicle and determines that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has been entered.

두 번째,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주행중인 차량의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 목록에 포함되는 안내대상 시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신된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기도 한다. Second, when a route to the destination is not set, the controller 130 provides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riving vehicle. In addition, the input unit 12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guide target facilities included in the provided guide target facility list. Then, it is determined that entering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election signal. In this case, when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selection signal is not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nearest guidance target facility is entered based on the driving position of the driving vehicle.

세 번째,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음영지역의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주행중인 차량이 마지막으로 전파를 수신한 지역을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추출된 마지막으로 전파를 수신한 지역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하는데, 이때,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을 목록을 제공한다. 그런 다음,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 Third, in the case of the shaded region where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the controller 140 extracts the region in which the driving vehicle last received the radio wave. In addition,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close to the region of the last received radio wave is provided, wherein the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driving vehicle is provided. Next, when the guide facility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guide facility has been entered.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있는 시설 안내정보를 축약도 혹은 개략도의 형태로 전환하여 표시하되,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 한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enters the guide target facility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40 converts and displays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in the form of a simplified view or a schematic view. Mark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n the road or schematic.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면, 상기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를 우선 표시하도록 하는데, 상기 긴급시설물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시 아이콘 등의 안내아이콘으로 나타낸다. 이때, 상기 긴급시설물은 차량 운전자의 활용빈도, 선호도 등에 따라 설정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n the facility when the driving vehicle enters the guide facility, and the emergency facility is represented by a guide icon such as a text, an image, or a flash icon. . At this time, the emergency facility is set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frequency, preference, etc. of the vehicle driver.

또한,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차량 운전자가 원하는 상기 긴급시설물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상응하는 긴급시설의 안내아이콘 크기, 색상, 표시주기 등을 변화시켜 강조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의 안내아이콘이 플래시 아이콘이면, 상기 플래시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강조한다. 또한, 상기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은 상세정보를 POI(Point Of Interest) 형태로 동시에 표시한다. In addition, when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desired by the vehicle driver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20, the controller 140 changes the size, color, display cycle, etc. of the guide icon of the emergenc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nformation. To highlight. For example, if the guide icon of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is a flash icon, an animation effect is applied to the flash icon to highlight it. In addition, if the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is selected,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simultaneously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Point of Interest (POI).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 등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an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특정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 이용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하고, 선택된 긴급시설물 메뉴정보에 연동된 안내아이콘을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설 내부안내시 긴급시설물을 강조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uiding the inside of the facility using the guide information of a specific guide target facility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and highlighting the guide icon linked to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the emergency inside the facility Emphasis on facilitie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visibil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facility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210]. 상기 위치정보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으로서, 그 지점의 경도 및 위도 정보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S210].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and includes the longitude and latitude information of the point.

그리고,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한다[S210].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백화점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저장장치에 상기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시설 내의 시설물 위치, 거리, 용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 형태로 저장된다.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있으며, 차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e target facility is entered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S210]. The guide facility includes a rest area, a department store, and the like, and stores the guide target facility list and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y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ncludes facilities location, distance, use, etc. in the facility, and is stored in the form of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in the guide facility. There are several methods for determining that the guide facility has been enter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런 다음, 상기 해당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한다[S230, S240]. 이때, 상기 진입한 안내대상 시설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해당 시설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축약도 또는 개략도의 형태로 변환한 것으로서,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한다. Then, extract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guidance target facility to guide the inside of the facility [S230, S240]. In this case, in order to guide the entered guide target facility,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s extracted and converted into a reduced or schematic form,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reduced or schematic view.

이때,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면, 상기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를 우선 표시하는데, 상기 긴급시설물은 사용자 활용빈도,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긴급시설물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시 아이콘 등의 안내아이콘으로 나타낸다.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n operation enters the guide target facility,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n the facility is first displayed, and the emergency facility is se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users and preferences. The emergency facility is represented by a guide icon such as a text, an image, or a flash icon.

상기 긴급시설물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상응하는 긴급시설의 안내아이콘 크기, 색상, 표시주기 등을 변화하여 강조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의 안내아이콘이 플래시 아이콘이면, 상기 플래시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강조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은 해당 긴급시설물의 상세정보를 POI(Point Of Interest) 형태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s selected, the size, color, display period, etc. of the guide icon of the emergenc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nformation is changed and highlighted. For example, if the guide icon of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is a flash icon, Emphasizes the flash icon by applying animation effects. In addition,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simultaneously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facility in the form of Point Of Interest (POI).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가 있는 경우의 시설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a facility when there is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목적지가 입력되면,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S310, S320, S330].As shown in FIG. 3, when a destination is input by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o search for a route to the input destination [S310, S320, S330].

상기 탐색된 경로에 따라 주행중 상기 탐색 경로 이탈을 감지되면,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S350, S360].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백화점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저장장치에 상기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시설 내의 시설물 위치, 거리, 용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 형태로 저장된다.When the deviation of the search path is detected while driving according to the searched path,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uide target facility has been entered [S340, S350, S360]. The guide facility includes a rest area, a department store, and the like, and the list of the guide facility and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facility ar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ncludes facilities location, distance, use, etc. in the facility, and is stored in the form of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in the guide facility.

그리고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해당 시설의 시설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한다[S370,380]. 이때, 상기 진입한 안내대상 시설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해당 시설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축약도 또는 개략도의 형태로 변환한 것으로서,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여 안내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e facility has been entered,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s extracted to guide the inside of the facility [S370,380]. At this time, in order to guide the entered guide target facility,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s extracted and converted into the form of a short diagram or a schematic diagram, and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short diagram or the schematic diagram to guide the facilit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가 없는 경우의 시설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a facility when there is no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한다[S410, S420]. 상기 제공되는 목록은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주행위치에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안내대상 시설을 검색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4,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a driving vehicle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S410 and S420]. The provided list is to search for and generate a guide target facility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driving position of the driving vehicle.

그리고 상기 안내대상 시설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한다[S430, S440, S450]. 상기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안내대상 시설의 해당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축약도 또는 개략도의 형태로 변환하여 시설 내부를 안내한다.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여 안내한다. If any one of the guide target facilities is sel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ed guide target facility has been entered and guides the inside of the facility [S430, S440, S450]. It extracts the corresponding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y determined to have entered and converts the guide information into a reduced or schematic form to guide the inside of the facility.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guided by the reduced or schematic view.

이때,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 목록 중, 상기 차량의 주행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으로 판단한다. In this case, if the guidance facility selection signal is not input,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ance facility that is closest to the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is entered from the provided guidance facility lis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음영지역에서의 시설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facility enters a radio shadow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백화점이나 랜드마크 타워 등의 대형 시설의 시설 내부를 안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inside of a facility of a large facility such as a department store or a landmark tower may be guided.

우선, 마지막으로 위치정보가 수신된 지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지역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들을 검색한다[S510, S520].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백화점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저장장치에 상기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시설 내의 시설물 위치, 거리, 용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 형태로 저장된다.First, the area from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s finally extracted, and the guide facilities near the extracted area are searched for [S510, S520]. The guide facility includes a rest area, a department store, and the like, and the list of the guide facility and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facility ar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ncludes facilities location, distance, use, etc. in the facility, and is stored in the form of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in the guide facility.

그런 다음,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으로 판단하여 해당 안내대상 시설을 안내한다[S530, S540, S550].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해당 시설의 시설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하는데, 이때, 상기 진입한 안내대상 시설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해당 시설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축약도 또는 개략도의 형태로 변환한 것으로서,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여 안내한다. Then, when the guide facility selection signal is input,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e facility is entered, and guides the guide facility [S530, S540, S5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uide facility is entered,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extracted to guide the inside of the facility. At this time,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s extracted to guide the facility to be entered. Alternatively, the vehicle is converted into a schematic diagram, and the vehicle position is guided by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n the schematic diagram or schematic diagram.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게소의 내부 시설 안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ior facility guide of a res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해당 시설의 시설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시설 내부를 안내한다.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축약도 또는 개략도의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여 안내한다. 이때,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면, 상기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를 우선 표시하는데, 상기 긴급시설물은 사용자 활용빈도, 선호도 등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긴급시설물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시 아이콘 등의 안내아이콘으로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enters the guide facilit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is extracted to guide the inside of the facilit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by converting it in the form of a simplified diagram or a schematic diagram, and displaying and guiding the location of the vehicle on the simplified diagram or the schematic diagram.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n operation enters the guide target facility,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n the facility is first displayed, and the emergency facility is se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users and preferences. The emergency facility is represented by a guide icon such as a text, an image, or a flash icon.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게소의 긴급시설 안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facility guide of a res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긴급시설물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상응하는 긴급시설의 안내아이콘 크기, 색상, 표시주기 등을 변화하여 강조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의 안내아이콘이 플래시 아이콘이면, 상기 플래시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강조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은 해당 긴급시설물의 상세정보를 POI(Point Of Interest) 형태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s selected, the size, color, display cycle, etc. of the guide icon of the emergenc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nformation are changed and emphasized. For example,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If the guide icon of the flash icon, apply the animation effect to the flash icon to highlight. In addition,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simultaneously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facility in the form of Point Of Interest (POI).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하거나 적용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is is intend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applied or modified as many as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설 안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2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facility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가 있는 경우의 시설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a facility when there is a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지가 없는 경우의 시설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a facility when there is no dest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파 음영지역에서의 시설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a facility enters a radio shadow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게소의 내부 시설 안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facility guide of the res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게소의 긴급시설 안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ergency facility guide of a res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0)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A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안내대상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 guide target facility list and guide information of the guide target facility;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중인 시설 안내정보를 축약도 혹은 개략도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either a reduced or schematic form,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vehicle enters the guide target facility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시설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면 상기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를 우선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n the facility when the driving vehicle enters the guide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Further includ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destin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상기 탐색 경로에 따른 주행시 상기 경로의 이탈이 감지되면,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정보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해당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 route to a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when a deviation of the route is detected when driving along the search route, the storage unit searches for a guide target facility nea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vehicle in the storage unit.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at the guide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차량의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목록에 포함되는 안내대상 시설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control unit provides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riving vehicle, and if any one of the guide target facilities included in the provided list is selected, determining that the selected guide target facility has been ente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 목록 중, 상기 차량의 주행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control unit, if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selection signal is not input,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enters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closest to the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the list of the guidance target facilities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차량이 마지막으로 전파를 수신한 지역을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지역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추출하여 표시하되,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을 표시하고,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controller extracts and displays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close to the extracted region by extracting an area in which the vehicle on which the driving vehicle has received radio waves last, and displays the guide target facilitie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driving vehicle. And receiving the guide facility selection signal to determine that the selected guide facility has been enter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지도데이터를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되,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map data into either the reduced or schematic diagram, and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on the reduced or schematic diagra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또는 백화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guidance facility is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rest area or a department stor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시설 내에 존재하는 시설물의 위치, 거리 또는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설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And the storage unit stores facility guid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ocation, a distance, and a purpose of the facilities existing in the facilit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부는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And the storage unit stores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in the guide facility in the form of a datab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시설물은 사용자 활용빈도 또는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emergency facility is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et by at least one of the user utilization frequency or pre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시설물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플래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안내아이콘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emergency facility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represented by at least one guide icon of the text, image or flash ic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긴급시설물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상응하는 긴급시설의 안내아이콘 크기, 색상 또는 표시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하여 강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And selecting at least one of a guide icon size, color, and display period of the emergenc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nformation, when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s selected.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의 안내아이콘이 플래시 아이콘이면, 상기 플래시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And if the guide icon of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is a flash icon, highlighting by applying an animation effect to the flash icon.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은 해당 긴급시설물의 상세정보를 POI(Point Of Interest) 형태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The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is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facility at the same time in the form of Point Of Interest (POI). 별도의 저장장치에 안내대항 시설 목록 및 상기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는 차량 항법 장치의 시설 안내 방법에 있어서,In the facility guidance method of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guide facilities and th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guide facilities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단계; 및Determining that the driving vehicle has entered the guide target facility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상기 진입한 안내대상 시설의 안내정보를 추출하여 축약도 또는 개략도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Extracting the guide information of the entered guide target facility and converting the display information into either a simplified diagram or a schematic diagram to display the guide information; 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이 판단되면 상기 시설 내의 긴급시설물 메뉴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And an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within the facilit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vehicle has entered the guide facility.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guide target facility, 목적지를 입력하는 단계; Inputting a destination; 상기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Searching for a route to the input destination; 상기 탐색 경로에 따라 주행시, 상기 탐색 경로 이탈을 감지하는 단계; 및Detecting deviation of the search path when driving along the search path; And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enters the guidance target facility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vehicl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guide target facility, 상기 주행중인 차량의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a list of guide target facilitie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driving vehicle; 상기 안내대상 시설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any one of the guided facilities; And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한 것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And determining the entry of the selected guide target facility. 제 1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안내대상 시설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 목록 중, 상기 차량의 주행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And when the guidance facility selection signal is not input, determining that the guidance facility that is closest to the driving position of the vehicle is entered from the provided guidance facility list.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enter the guide target facility, 상기 주행중인 차량이 마지막으로 전파를 수신한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Extracting an area in which the vehicle in operation last received a radio wave; 상기 추출된 지역에 근접한 안내대상 시설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a list of guide facilities close to the extracted area; And 상기 제공된 안내대상 시설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안내대상 시설에 진입하였음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설 안내 방법.And if one of the provided guided facilities is selected, determining that the selected guided facility has been entered.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는 지도데이터를 변경한 것으로서, 상기 축약도 혹은 개략도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And the abbreviated diagram or schematic diagram is a map data change, and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simplified diagram or schematic diagram.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안내대상 시설은 휴게소 또는 백화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The guide facility is a facility guid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a rest area or a department stor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시설물의 위치, 거리 또는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distance or purpose of the facility.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시설 안내정보는 상기 안내대상 시설 내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OD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The facility guide information is facility guid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D information for guiding a route in the guide facility. 삭제delet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긴급시설물은 사용자 활용빈도 또는 선호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The emergency facility is a facility guid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by at least one of the user utilization frequency or preference.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긴급시설물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플래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안내아이콘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The emergency facility is a facility guid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represented by at least one guide icon of the text, image or flash icon.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긴급시설물 메뉴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메뉴정보에 상응하는 긴급시설의 안내아이콘 크기, 색상 또는 표시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하여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And when the emergency facility menu information is selected, changing and highlighting at least one of the size, color, or display cycle of the guide icon of the emergency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information. 제 28 항에 있어서, 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의 안내아이콘이 플래시 아이콘이면, 상기 플래시 아이콘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하여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If the guide icon of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is a flash icon, facility guidan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light by applying an animation effect to the flash icon. 제 28 항에 있어서, 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선택된 긴급시설물 안내아이콘은 해당 긴급시설물의 상세정보를 POI(Point Of Interest) 형태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안내 방법. The selected emergency facility guide icon is a facility guid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displa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facility at the same time in the form of Point Of Interest (POI).
KR1020080062884A 2008-06-30 2008-06-30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KR101019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84A KR101019690B1 (en) 2008-06-30 2008-06-30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84A KR101019690B1 (en) 2008-06-30 2008-06-30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41A KR20100002841A (en) 2010-01-07
KR101019690B1 true KR101019690B1 (en) 2011-03-07

Family

ID=4181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84A KR101019690B1 (en) 2008-06-30 2008-06-30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6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720B1 (en) * 2012-09-26 2013-02-18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Global positioning map making system being the coordinating synthesize type
KR101240310B1 (en) * 2012-09-26 2013-03-06 주식회사 유성 Digital map modifying system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KR101252679B1 (en) * 2012-10-31 2013-04-08 네이버시스템(주) Error checking system for digital map
KR101252830B1 (en) * 2012-10-31 2013-04-08 네이버시스템(주) Manufacturing system for digital map
KR101349374B1 (en) * 2012-11-30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Numerical understanding system with renewal map data according to point of gps
KR101349253B1 (en) * 2012-11-30 2014-01-10 새한항업(주) System for auto correcting error of numerical map result apply to standard editing condition
KR101319044B1 (en) * 2013-02-27 2013-10-29 김은경 Global positioning map system being the coordinating synthesize type
KR101319041B1 (en) * 2013-02-27 2013-10-17 김은경 System of editing digital map with standard point location and gps data
KR101349391B1 (en) * 2013-06-13 2014-01-13 명화지리정보(주) System of reduceing coordinates error with precising comparison for numerical map
KR102102180B1 (en) * 2018-12-07 2020-04-20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KR102474566B1 (en) * 2022-02-14 2022-12-07 주식회사 한라이엔씨 Numerical map production system with improved precision based on GPS
KR102474562B1 (en) * 2022-02-14 2022-12-07 주식회사 한라이엔씨 Numerical map update system based on GPS
KR102597428B1 (en) * 2023-03-27 2023-11-02 주식회사포앤텍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GPS and reference poi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973A (en) 1998-11-25 2000-06-16 Equos Research Co Ltd Apparatus and navigation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JP2002286471A (en) 2001-03-28 2002-10-03 Sumitomo Heavy Ind Ltd Route guiding system
JP2007093455A (en) 2005-09-29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road information display method
JP4025494B2 (en) * 1999-12-15 2007-12-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Navig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1973A (en) 1998-11-25 2000-06-16 Equos Research Co Ltd Apparatus and navigation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JP4025494B2 (en) * 1999-12-15 2007-12-1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Navigation device
JP2002286471A (en) 2001-03-28 2002-10-03 Sumitomo Heavy Ind Ltd Route guiding system
JP2007093455A (en) 2005-09-29 2007-04-12 Sanyo Electric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road information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41A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690B1 (en)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in facility of that
US100125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destinations
EP2291835B1 (en) Navigation device&method for providing parking place availability
US9709406B2 (en) Navigation methods and systems
US8244454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US8255150B2 (en) Dynamic destination map display for navigation system
US202400192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Safe Return Range
JP4886421B2 (en)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AU2007362733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WO2010081549A1 (en) Navigation device & method
JPWO2007105519A1 (en) Location registration device, route search device, location registration method, location regist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886455B2 (en) Navigation apparatus, audible instruction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udible instructions
KR100981175B1 (en)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of that
JP4667209B2 (en) Navigation device and search condition setting method
JP2017096963A (en)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JP2007256020A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4240360B2 (en) Navigation device
JP2008134158A (en) Navigation device and route guide method
KR101089341B1 (en)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of that
KR1007852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of navigation system
KR20080086663A (en) Method for displaying of multi map
KR20080003677A (en) Navigation having route setting function and set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