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948B1 -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948B1
KR101016948B1 KR1020080114080A KR20080114080A KR101016948B1 KR 101016948 B1 KR101016948 B1 KR 101016948B1 KR 1020080114080 A KR1020080114080 A KR 1020080114080A KR 20080114080 A KR20080114080 A KR 20080114080A KR 101016948 B1 KR101016948 B1 KR 10101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creen
numbers
keys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3234A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주)듀얼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주)듀얼로그 filed Critical 김명수
Publication of KR2010001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2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 좌, 우, 중앙(5방향)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를 할당한 후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등으로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개별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으면,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 제 1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위치에 따라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an easily enter a character by touch, click or drag after assigning letters, numbers, symbols to the on-screen direction key consisting of individual direction keys of the up, down, left, right, center (5 directions) and It is about a method. The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one or more on-screen directional keys by assigning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to individual directional keys; Displaying one on-screen directional key composed of individual directional keys with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ranged in a directional mann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et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input in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Selecting a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having a character, a number, a symbol, or a function to be input if there is a character, a number, a symbol, or a function to be input; Selecting one corresponding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from among the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t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displayed on the selected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And clicking, touching, or dragging the two selected direction keys in the selected order to input one letter, number, or symbol or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온스크린 방향키, 좌향키, 우향키, 중앙키, 문자입력, 입력모드 On Screen Direction Key, Left Key, Right Key, Center Key, Text Entry, Input Mode

Description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on-screen arrow keys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본 발명은 컴퓨터(PC)나 PMP,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에서 온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 좌, 우, 중앙의 5방향의 온스크린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를 할당한 후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등으로 쉽게 문자(혹은 숫자나 기호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n on-screen in a system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such as a computer (PC), PMP, mobile phone, smart phone, and more specifically, the top, bottom, left, right, cen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input device and a method using an on-screen directional key that can easily input characters (or numbers, symbols, etc.) by assigning letters, numbers, and symbols to five on-screen directional keys, and then touch, click, or drag. .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리모콘 등과 같이 숫자 키(KEY, 혹은 버튼)와 방향키가 함께 있는 경우에는 통상 키가 많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고, 이와 같이 숫자키에 문자를 할당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숫자키가 없고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키만 있는 MP3, PSP, 디카,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은 방향키의 숫자가 적기 때 문에 구현이 어려웠다. In general, when a numeric key (KEY or button) and a direction key are used together, such as a mobile phone or a remote controller, a Korean character is input using a numeric key with many keys, and a character is assigned by assigning a character to the numeric key. Several techniques are widely known. However, character input on devices such as MP3, PSP, digital cameras, joysticks, etc., where there are no numeric keys and only five directional keys in the top, bottom, left, right, and center, is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the small number of arrow keys.

현재까지 알려진 방향키를 이용한 일반적인 문자입력방식은 입력할 문자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후 검색을 통해 일련의 문자들을 표시한 후 방향키로 커서를 이동하여 선택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또한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문자가 표시된 키보드 형상의 이미지를 띄워 놓고 마우스나 터치 펜 등으로 버튼을 클릭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온스크린 키보드 방식도 알려져 있다.A commo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direction key known to date is to build a database of characters to be input, display a series of characters through a search, and then input a selected character by moving the cursor with the direction key. In addition, an on-screen keyboard method is known in which a character in which a keyboard is displayed on a computer monitor screen is displayed and a character is input by clicking a button with a mouse or a touch pen.

그런데 종래의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은 입력할 문자를 찾기까지 검색과 커서 이동을 위해 다수의 조작을 거쳐야 하므로 문자 입력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스크린 키보드는 자판 이미지가 크기 때문에 화면을 가려 화면의 내용을 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웹 서핑 중에 웹 페이지 화면에 검색어와 같은 문자를 입력해야 할 경우에 종래의 온스크린 키보드는 웹 페이지 내용을 보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함과 아울러 화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xt input method using the direction key ha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to go through a plurality of operations for searching and moving the cursor to find a character to be input.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n-screen keyboard has a problem in that since the keyboard image is large, the contents of the screen cannot be viewed by covering the screen. Particularly, when it is necessary to input a character such as a search word on a web page screen while surfing the web, the conventional on-screen keyboar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web page content and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scr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 하, 좌, 우, 중앙의 5방향의 온스크린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등을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입력할 방향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한두번의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등으로 쉽게 문자(혹은 숫자나 기호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letters, numbers, symbols, etc. on the on-screen direction keys of the five directions of up, down, left, right, cen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an on-screen directional key that can intuitively recognize a direction key to be input so that characters (or numbers, symbols, etc.) can be easily input by one or two touches, clicks, or drag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개별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으면,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 제 1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위치에 따라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one or more on-screen direction keys by assigning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to individual direction keys; Displaying one on-screen directional key composed of individual directional keys with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ranged in a directional mann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et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input in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Selecting a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having a character, a number, a symbol, or a function to be input if there is a character, a number, a symbol, or a function to be input; Selecting one corresponding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from among the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t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displayed on the selected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And clicking, touching, or dragging the two selected direction keys in the selected order to input one letter, number, symbol, or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코드가 저장된 코드 테이블;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수단을 통해 첫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개별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방향키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두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 중에서 대응하는 방향의 하나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여 상기 코드 테이블의 해당 코드를 출력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시키고, 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one on-screen direction key consisting of five direction direction keys arranged letters and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with directional;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 code table storing codes of letters, numb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on-screen direction keys; And displaying an on-screen direction key on the display device, selecting a letter, number, or symbol group assigned to the respective direction key when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is input through the selection means, and placing letters, numbers, or symbols of the selected individual direction key. When the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s input, one letter, number, or symbol of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selected from the selected letter, number, or symbol group, and the corresponding code in the code table is output to input letters, numbers, or symbols. If a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 corresponding function.

상기 선택수단은,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중앙키(C)로 이루어진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혹은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이다.The selection means may be any one of a button, a touch screen, or a mouse for selecting individual direction keys consisting of an up key U, a down key D, a left key L, a right key R, and a center key C. One.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 좌, 우, 중앙으로 이루어진 5 방향키나 이미지 형태의 온스크린 방향키에서 각 개별 방향키에 3 내지 5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기능 등을 할당한 후 해당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방향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표시함으로써 매우 쉽고 신속하게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작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도 표시가 용이한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방식으로 조작하므로 휴대용 전자제품(휴대폰, PMP, 웹 컴퓨터 등)의 문자 입력수단으로 적합하고,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경우에도 모니터 화면의 극히 일부에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어 다른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ve to five directional keys consisting of up, down, left, right, center, or on-screen directional keys in the form of images are assigned to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s to three to five letters, numbers, symbols, functions, etc. and then input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In order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individual direction keys for the purpose of displaying the direction has the effect that you can enter letters, numbers or symbols very easily and quick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as a character input means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mobile phones, PMPs, web computers, etc.) because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by touch or click or drag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which is easy to display even in a small display device. In the case of laptops, the on-screen direction keys can be displayed on only a part of the monitor screen, so that various characters can be easily entered without covering other screens.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원모양의 방향키의 예이고 (b)는 사각형모양의 방향키의 예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n-screen directional key consisting of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ample of a circular direction key and (b) is an example of a rectangular direction key.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중앙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5방향에 맞춰 배치된 5개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온스크린 방향키(10)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키(C)를 중심으로 위에 배치된 상향키(U)와, 아래에 배치된 하향키(D), 좌측에 배치된 좌향키(L), 우측에 배치된 우향키(R)로 이루어진다.On-screen direction ke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arranged in five directions to easily recognize the up, down, left, right, center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includes an upward key U disposed above the central key C positioned at the center, a downward key D disposed below, and a left arrow disposed at the left side. (L), and a rightward key R disposed on the right sid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10)의 각 개별 방향키(U,D,L,R,C)에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개의 입력할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어오기 위한 기능이나 대문자-소문자 변환 등과 같은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가 할당되는데, 각 개별 방향키(U,D,L,R,C)에 할당된 3 내지 5개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는 입력할 개별 방향키(U,D,L,R,C)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스크린 방향키(10)에 표시된 문자들의 위치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원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Each of the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ree to five letters, numbers, or symbols (in some cases, different on-screen direction keys). You can also assign a function to call or a 'function' such as uppercase to lowercase, etc.), which can be 3 to 5 letters or numbers assigned to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U, D, L, R, C) or The symbols are arranged and displayed to have directivity so that the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to be intuitively recognized.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rection key for inputting the desired character only by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nput the desired letter, number or symbol.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3개의 문자(또는 숫자 혹은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개별 방향키(U,D,L,R,C)에 4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이며, 도 7은 개별 방향키(U,D,L,R,C)에 5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이고, 도 8은 입력할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의 종류가가 많은 경우 서로 다른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가 할당된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는 예이다. 각 개별 방향키(U,D,L,R,C)에는 문자나 숫자, 기호, 도형 혹은 기능 등이 할당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자'로 통칭하기로 한다.2 and 3 are examples in which three letters (or numbers or symbols) are assigned to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6 are individual direction keys U An example of assigning four letters (or numbers or symbols) to, D, L, R, C respectively. FIG. 7 shows five letters (or numbers or letters) for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C). Symbol), and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plurality of on-screen direction keys to which different characters (or numbers or symbols) are assigned when there are many kinds of characters (or numbers or symbols) to input.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U, D, L, R, C) may be assigned a letter, number, symbol, figure, or functio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haracter'.

[3문자 할당 예][3 letter assignment examp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상향키(U)와 하향키(D)에 수평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좌향키(U), 중앙키(C), 우향키(R)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좌향키(L)와 우향키(R)에 수직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향키(U), 중앙키(C), 하향키(D)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예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ree characters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 key U and a down key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that a left key U, a center key C, and a right key R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3 is an example of selecting one letter, and in FIG. 3, three letters ar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eft key L and the right key 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selecting one letter with the key C and the down key D.

도 2를 참조하면, 상향키(U)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되어 있고, 하향키(D)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키(U)에서 좌측에 위치한 "a"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향키(U)'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상향키(U)에서 중앙에 표시된 "b"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향키(U)'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향키(U)에서 우측에 표시된 "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향키(U)'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클릭'은 마우스나 방향키를 이용한 버튼조작을 포함하고, '터치'는 터치패널(터치스크린)이 설치된 경우에 손이나 도구를 이용한 접촉을 포함하며, '드래그'는 마우스나 손 혹은 도구를 이용한 드래그 조작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b, c" is assigned to the uplink key U and displayed horizontally, and "1,2,3" is assigned to the downkey D and displayed horizontally. Therefore, to input "a" on the left side of the up key (U), click the 'up key (U)' and 'left key (L)' or touch or drag the up key (U) to the left key (L). In order to input the "b"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up key (U), click the up key (U) and the center key (C) or touch or press the center key at the up key (U).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rag with the key (C), in order to input the "c"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 key (U), click the up key (U) and the right key (R) or touch or up It can be seen that the drag needs to be dragged from the key U to the right R key. Here, the 'click' includes a button operation using a mouse or a direction key, the 'touch' includes a touch using a hand or a tool when a touch panel (touch screen) is installed, and the 'drag' includes a mouse or a hand or a tool. It includes a drag operation using.

동일한 방식으로 하향키(D)에서 "1"은 하향키(D)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2"는 하향키(D)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3"은 하향키(D)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In the same way, "1" in the down key (D) is input by clicking the down key (D) and the left key (L) or by dragging from the down key (D) to the left key (L), and "2" Click the down key (D) and the center key (C) or touch or drag the down key (D) to the center key (C) to enter, and "3" clicks the down key (D) and the right key (R). Or touch and drag down from the down key (D) to the right key (R).

도 3을 참조하면, 좌향키(L)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되어 있고, 우향키(R)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좌향키(L)에서 상측에 위치한 "a"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향키(L)'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좌향키(L)에서 중앙에 표시된 "b"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향키(L)'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좌향키(L)에서 하측에 표시된 "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향키(L)'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b, c" is assigned to the left key L and displayed vertically, and "1, 2, 3" is assigned to the right key R and displayed vertically. Therefore, in order to input "a" located on the upper side from the left key (L), click the left key (L) and the up key (U) or touch or drag from the left key (L) to the up key (U). In order to input the "b"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left key (L), click the left key (L) and the center key (C), or touch or press the left key (L) to the center.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rag with the key C. In order to input the "c" displayed at the lower side from the left key L, click the left key L and the down key D or touch or turn left.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rag from the key L to the down key D.

동일한 방식으로 우향키(R)에서 "1"은 우향키(R)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2"는 우향키(R)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3"은 우향키(R)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In the same way, "1" in the right key (R) is input by clicking the right key (R) and the up key (U) or by dragging from the right key (R) to the up key (U), and "2" Click the right key (R) and the center key (C) or touch or drag the right key (R) to the center key (C) for input, and "3" clicks the right key (R) and the down key (D). Or drag by dragging from the right or down key (R) to the down key (D).

[4문자 할당 예][4 character assignment example]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향키와 하향키에 수평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함과 아울러 하측 혹은 상측에 1개의 문자를 더 배치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좌,중,우향키와 하향키 혹은 상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4 문자 배치의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좌향키와 우향키에 수직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함과 아 울러 우 혹은 좌측에 1개의 문자를 더 배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중,하향키와 우향키 혹은 좌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4 문자 배치의 예이다.Figure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ree charact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 key and down key, and further arranges one character on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the left, middle, right key and the down ke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An example of a four-character arrangement in which one character is selected by the up key is shown. FIG. 5 shows three characte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ke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of 4-character arrangement in which one character is selected by the up, middle, down key and the right or left key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향키(U)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평라인의 하측에 "d"가 표시되어 있고, 하향키(D)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평라인의 상측에 "4"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키(U)의 "a,b,c"는 앞서 설명한 3문자 할당방식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좌향키와, 중앙키, 및 우향키로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4, "a, b, c" is assigned to the uplink key U and displayed horizontally, and "d" is displayed below the horizontal line. 2, 3 "are assigned and displayed horizontally, and" 4 "is displayed above the horizontal line. Accordingly, "a, b, c" of the up key U is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ee-character assignment method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left key, the center key, and the right key are input.

그리고 상향키(U)에서 수평으로 배열된 "a,b,c" 라인의 하측에 표시된 "d"는 상향키(U)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한다.The "d" displayed below the "a, b, c" lin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up key U is clicked on the up key U and the down key D, or touched or down from the up key U. Input by dragging with key D.

동일한 방식으로 하향키(D)에서 수평으로 배열된 "1,2,3" 라인의 상측에 표시된 "d"는 하향키(D)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한다. In the same way, the "d" displayed on the upper side of the "1, 2, 3" line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down key D is clicked on the down key D and the up key U, or touched or the down key D is displayed. Input by dragging from the up key (U).

도 5를 참조하면, 좌향키(L)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직라인의 우측에 "d"가 표시되어 있고, 우향키(R)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직라인의 좌측에 "4"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좌향키(L)의 "a,b,c"는 앞서 설명한 3문자 할당방식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상향키와, 중앙키, 및 하향키로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5, "a, b, c" is assigned to the left key L and is vertically displayed, and "d"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rtical line. 2, 3 "is assigned and displayed vertically, and" 4 "is displayed to the left of the vertical line. Therefore, "a, b, c" of the left key (L) is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hree-character assignment method described above, so input the same as the up key, the center key, and the down key.

그리고 좌향키(L)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a,b,c" 라인의 우측에 표시된 "d"는 좌향키(L)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 함으로써 입력한다.And the "d"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a, b, c" line arranged vertically in the left key (L) is clicked on the left key (L) and the right key (R) or touched by the right or left key (L) Input by dragging with the key (R).

동일한 방식으로 우향키(R)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1,2,3" 라인의 좌측에 표시된 "4"는 우향키(R)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한다. In the same way, the "4"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1, 2, 3" line vertically arranged on the right-side key (R) is clicked on the right-side key (R) and the left-side key (L) or touched or the right-side key (R). Input by dragging from the left key (L).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키의 4방향에 4개의 문자를 배치한 후 상,하,좌,우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4 문자 배치의 예이다.6 is an example of a four-character arrangement in which four characters ar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of a center key and then one character is selected by up, down, left, and right ke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중앙키(C)에는 상,하,좌,우에 따라 4방향으로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에 표시된 "a"는 중앙키(C)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좌측에 표시된 "b"는 중앙키(C)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하측에 표시된 "c"는 중앙키(C)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우측에 표시된 "d"는 중앙키(C)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앞서 설명을 생략한 중앙키(C)에 3문자를 할당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4방향 중 3방향에만 문자를 표시하여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entral key C displays characters in four directions alo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Therefore, "a" displayed on the upper side is inputted by clicking the center key (C) and the up key (U) or by touching or dragging from the center key (C) to the up key (U), and "b" displayed on the left is the center key. Click (C) and the left key (L) or touch or drag from the center key (C) to the left key (L) to enter, "c" displayed on the lower side to the center key (C) and down key (D) Enter by clicking or dragging from the touch or center key (C) to the down key (D), and the "d" displayed on the right is clicked on the center key (C) and the right key (R), or from the touch or center key (C) Drag with the right key (R) to enter. In the case of assigning three letters to the central key (C), which has not been described above, the letters are displayed only in three of four directions.

[5문자 할당 예] [5 character assignment example]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각 개별 방향키에 5방향키에 대응하여 5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해당 개별 방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5 문자 배치의 예이다.7 is an example of a five-character arrangement in which five characters are placed on each individual directional key corresponding to five directional keys, and one letter is selected by the respective individual directional keys.

도 7을 참조하면, 각 개별 방향키(U,D,L,R,C)에는 5개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고, 5개의 문자는 상,하,좌,우,중앙으로 배치되어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5문자 중 에서 4문자는 앞서 4문자 할당방식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고, 나머지 1문자는 문자가 표시된 개별 방향키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문자이므로 해당 개별 방향키를 두번 클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7, five characters are assigned to each of the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and the five characters are displayed by being arranged up, down, left, right, and center. Therefore, 4 characters out of 5 characters can be input in the same way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4 character assignment method above, and the remaining 1 character is a character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dividual direction keys on which the character is displayed. Enter it.

예컨대, 상향키(U)에서 수평라인 상측에 표시된 문자는 상향키(U)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좌향키(L)에서 수직라인 좌측에 표시된 문자는 좌향키(L)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하며, 중앙키(C)에서 중앙에 표시된 문자는 중앙키(C)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한다. 하향키(D)와 우향키(R)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5번째 문자는 하향키(D)나 우향키(R)를 더블 클릭하여 입력한다.For example, the character displayed on the horizontal line in the up key U is input by double-clicking or touching the up key U. In the same way, the character displayed to the left of the vertical line in the left key (L) is entered by double-clicking or touching the left key (L), and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center key (C) is double-clicked the center key (C) or Touch to enter. In the case of the down key (D) and the right key (R), the fifth character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is inputted by double-clicking the down key (D) or the right key (R).

이와 같이 5개의 개별 방향키(U,D,L,R,C)에 5개의 문자를 배치할 경우 최대 25종류의 문자나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그 이상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하거나 입력모드에 따라 분할하는 편이 인식하기 용이할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Like this, when five characters are placed on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C), up to 25 kinds of letters or numerals can be entered. When it is easier to recognize the division according to the input mode, it is preferable to use a plurality of on-screen direction keys as shown in FIG.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예][Example using multiple on-screen direction keys]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할당된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여 다수의 문자나 입력모드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경우의 예이다.8 illustrates an example of generating on-screen direction key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characters or input modes by generating a plurality of on-screen direction keys assigned different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10-1~10-4)가 채택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만을 표시한 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가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와 원하는 문자 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방향키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현재 표시된 5개의 개별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기 위한 호출기능으로 사용한다. 도 8에서 'm1'은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에서 상향키(U)를 클릭하면 제2 온스크린 방향키(10-2)가 호출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m2'는 제2 온스크린 방향키(10-2)에서 상향키(U)를 클릭하면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로 복귀하는 것을 나타낸다. 'm3'은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에서 중앙키(C)를 클릭하면 제3 온스크린 방향키(10-3)로 점프하는 것을 나타내고, 'm4'는 제3 온스크린 방향키(10-3)에서 제4 온스크린 방향키(10-4)로 점프하는 것을 나타내며, 'm5'는 제4 온스크린 방향키(10-4)에서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로 점프하는 것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8, when a plurality of on-screen direction keys 10-1 to 10-4 are adopted, when only one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s is displayed, a character to be input to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is not assigned. You can call up other onscreen arrow keys to enter the desired character. At this time, to call another direction key, use one of 5 individual direction keys currently displayed as a call function to call another on-screen direction key. In FIG. 8, 'm1' indicates that the second on-screen direction key 10-2 is called and displayed when the upward key U is clicked on the first on-screen direction key 10-1, and 'm2' is the second on-screen direction key 10-1. Clicking the up key U in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2 indicates returning to the first on-screen direction key 10-1. 'm3' indicates jumping to the third on-screen direction key 10-3 when the center key C is clicked on the first on-screen direction key 10-1, and 'm4' indicates a third on-screen direction key 10 -3) indicates jumping to the fourth on-screen direction key 10-4, and 'm5' indicates jumping from the fourth on-screen direction key 10-4 to the first on-screen direction key 10-1. .

이와 같이 현재 표시되는 온스크린 방향키에서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호출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모드에 따라 편리하게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온스크린 방향키를 기본으로 하여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로 이동한 후 자동으로 기본 온스크린 방향키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As such, a method of calling another on-screen direction key from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and in particular, can be conveniently defined according to the input mode. For example, after moving to another on-screen direction key based on one on-screen direction key, it may automatically return to the default on-screen direction key.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들에 구현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예이며, 도 11은 컴퓨터 화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적용한 예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nputting text using an on-screen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character input apparatus using an on-screen direction key that can be implemented in portable terminals.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a computer screen.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방향키에 문자를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S1)와, 방향성을 갖고 문자가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 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S2)와,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가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S4)와,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가 있으면 입력할 문자가 있는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S5)와, 선택된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S6)와,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S7)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dure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is as shown in FIG. 9, by generating a character at least one on-screen direction key by assigning a letter to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S1) Displaying one on-screen direction key consisting of individual direction keys disposed at step S2;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haracter to be input in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Calling up another on-screen direction key (S4); if there is a character to be inpu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selecting an individual direction key having the character to be input (S5); and corresponding individual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to be displayed displayed on the selected individual direction key It is composed of a step (S6) of selecting, and a step (S7) of inputting a single character by clicking, touching or dragging the two selected direction keys.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가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23)와, 디스플레이장치(23)에 표시된 각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온스크린 방향키(10)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코드가 저장된 코드 테이블과, 디스플레이장치(23)에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하고 선택수단을 통해 첫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개별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방향키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두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 중에서 대응하는 방향의 하나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여 코드 테이블의 해당 코드를 출력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시키는 제어부(22)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the on-screen directional key is one on-screen directional key consisting of individual directional keys in five directions arranged with a letter, number or symbol directionally as shown in FIG. A display device 23 for displaying 10),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3, and codes for storing codes of letters, numb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On-screen direction key 10 is displayed on the table and the display device 23, and when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is input through the selection means, a letter, number, or symbol group assigned to the individual direction key is selected, and the character or If the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r symbol placement direction is entered,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mong the selected letters, numbers or symbol groups Selecting one of a letter or number or symbol and outputs the code of the code table is composed of control section 22 to input a letter or number or symbol.

그리고 선택수단은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중앙 키(C)로 이루어진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 버튼(21)이나 터치 스크린(24,24) 혹은 마우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22)는 LCD 디스플레이장치(23)에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향키(21)나 터치 스크린(24)과 터치 스크린 구동부(25)를 통해 개별 방향키의 선택을 입력받아 해당 문자의 코드를 문자처리부(26)로 전달한다.The selecting means may be a direction key button 21 or a touch screen for selecting individual direction keys consisting of an up key U, a down key D, a left key L, a right key R, and a center key C. 24, 24) or a mouse can be implemented. Referring to FIG. 10, the controller 22 displays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on the LCD display 23, an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 direction key 21, the touch screen 24, and the touch screen driver 25. Through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individual direction key through the code of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s transmitted to the character processing unit (26).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컴퓨터 화면상에 구현하여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33)에 키보드(31)와 마우스(32), 모니터(34)가 연결되어 있고, 모니터의 화면(38)에는 온스크린 방향키(10)가 표시되고 있다. 컴퓨터 본체(33)는 모뎀(35)을 통해 네트워크(36)에 접속되며,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웹 사이트(37)들을 접속할 수 있고, 웹 페이지 화면(38)에서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온스크린 방향키(10)에서 5개의 개별 방향키는 통상 마우스(32)로 선택하는데, 선택되기 전에 모든 키는 밝은 상태로 표시되다가 마우스(32)가 위치하여 선택될 키는 어둡게 하여 선택될 키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개별 방향키들을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n-screen direction key is implemented on a computer screen to use a web service. As shown in FIG. 11, the keyboard 31, the mouse 32, and the monitor 34 are connected to the computer main body 33. On-screen direction key 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38 of the monitor. The computer main body 33 is connected to the network 36 via a modem 35, and can access web sites 37 connected to the network by driving a web browser or the like, and on-screen direction keys ( 10) can be displayed. Referring to FIG. 11, in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are normally selected by the mouse 32. Before being selected, all keys are displayed in a bright state, and the keys to be selected by the mouse 32 are darkened.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key to be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 desired character may be input by clicking or dragging the selected individual direction key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는 입력모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입력모드를 영문모드와 한글모드, 일본어 모드 등으로 구분할 경우에 영문모드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와 같이 4종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정의하여 영문(소문자/대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필요시 소문자-대문자 변 환 기능을 정의하여 소문자 입력 후 대문자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한글모드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과 같이 5종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정의하여 한글, 영문(소문자/대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n-screen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put mode, when the input mode is divided into English mode, Korean mode, Japanese mode, etc. in the English mode, as shown in Figure 12 to 15 four types of on You can define the screen direction keys to input English letters (uppercase / lowercase letters), numbers, symbols, etc. If necessary, you can also convert lowercase letters to uppercase after defining a lowercase-capitalization function. In addition, in Korean mode, as shown in FIGS. 16 to 20, five types of on-screen direction keys are defined to input Korean, English (lowercase / uppercase), numbers, and symbols.

[영문모드][English mode]

도 12 내지 도 15는 영문모드에서 영문과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이다. 도 12에서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및 중앙키(C)로 이루어지는데, 각 방향키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참조부호는 생략한다.12 to 15 are examples of screens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s for inputting alphabets, numbers, symbols, etc. in the English mode. In FIG. 12,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 includes an up key U, a down key D, a left key L, a right key R, and a center key C as described abov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because the direction keys can be easily identified.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온스크린 방향키(10)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창(40)이 있고, 입력내용을 모두 지워버리기 위한 클리어(CLEAR) 버튼(42), 문자입력방식을 안내하는 헬프(HELP)버튼(44), 온스크린 방향키(10)를 종료시키기 위한 클로즈(CLOSE) 버튼(46)이 표시되어 있다. 도 12의 온스크린 방향키(10)에서 중앙키(C)를 클릭하면 도 13의 온스크린 방향키가 호출되고, 상향키(U)를 순차적으로 클릭하면 도 14 및 도 15의 온스크린 방향키가 순차적으로 호출된다. 각 온스크린 방향키를 보고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window 40 displaying characters input together with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a clear button 42 for erasing all input contents, and a character input method. A HELP button 44 for guiding the display and a CLOSE button 46 for terminat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are displayed. Clicking the center key C in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of FIG. 12 invokes the on-screen direction key of FIG. 13, and sequentially clicks the upward key U to sequentially display the on-screen direction keys of FIGS. 14 and 15. Called. The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by looking at each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동일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2번 드래그하는 대신에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함으로써 2회 드래그하여 입력할 문자를 1회의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aa"를 입력할 경우에 '상향키(U) + 좌향키(L)'를 2회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대신에 '상향키(U) + 좌향키(L) + 상향키(U)'로 이어서 드래그함으로 써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However, instead of dragging twice to input the same character, three individual direction keys may be dragged successively to input the character to be input by dragging twice. For example, when inputting "aa", instead of dragging the "up key (U) + left key (L)" twice, the "up key (U) + left key (L) + up key (U) You can type more quickly by dragging then.

[한글모드][Hangul mode]

도 16 내지 도 20은 한글모드에서 한글과 영문,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이다.16 to 20 illustrate examples of a screen of an on-screen direction key for inputting Korean, English, numbers, symbols, etc. in the Korean mode.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온스크린 방향키(10)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창(40)이 있고, 입력내용을 모두 지워버리기 위한 지우기 버튼(42), 문자입력방식을 안내하는 도움말 버튼(44), 온스크린 방향키(10)를 종료시키기 위한 닫기 버튼(46)이 표시되어 있다. 도 16의 온스크린 방향키에서 표시된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Referring to FIG. 16, 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text display window 40 for displaying characters input together with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a clear button 42 for erasing all input contents, and a text input method. A help button 44 and a close button 46 for terminat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10 are displayed. The input method of consonants or vowels displayed on the on-screen direction key of FIG. 16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다만, 자음중에서 쌍자음은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하며, 모음 중에서 "ㅠ"와 같은 복모음은 "ㅜ"와 같은 해당 단모음을 2회 입력하는 방식(혹은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입력하고, "ㅡ"는 좌향키로부터 우향키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ㅣ"는 상향키로부터 하향키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However, double consonants among consonants are input by dragging three separate direction keys successively, and double vowels such as "ㅠ" among vowels input the corresponding short vowels such as "TT" twice (or drag three successive direction keys successively). Method), “-” is input by dragging from the left key to the right key, and “ㅣ” is input by dragging from the up key to the down key.

예컨대, 도 16에서 자음 "ㄱ"은 '상향키(U) + 좌향키(L)'로 입력하고, 쌍자음 "ㄲ"은 상향키(U)로부터 좌향키(L)로 드래그한 후 이어서 좌향키(L)에서 다시 상향키(U)로 복귀하는 '상향키(U) + 좌향키(L) + 상향키(U)'를 드래그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모음 "ㅗ"는 '중앙키(C) + 상향키(U)'로 입력하고, 복모음 "ㅛ"는 '중앙키(C) + 상향키(U)'를 2회 입력하거나 중앙키(C)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한 후 다시 중앙키(C)로 복귀하는 '중앙키(C)+상향키(U)+중앙키(C)'를 드래그 하여 입력한다. For example, in FIG. 16, the consonant "a" is input by the "up key U + the left key L", and the consonant "ㄲ" is dragged from the up key U to the left key L, and then left. The key L can be easily entered by dragging the 'up key U + left key L + up key U' back to the up key U again. In addition, short vowel "ㅗ" is inputted as "center key (C) + up key (U)", and double vowel "ㅛ" is inputted with "center key (C) + up key (U)" twice or center key (C). Drag in the up key (U) and return to the center key (C) again by dragging the 'center key (C) + up key (U) + center key (C)'.

[일본어 온스크린 방형키의 예][Example of Japanese On-Screen Rectangle Key]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일본어를 입력할 경우 온스크린 방향키 화면의 예이다. 일본어의 경우도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등을 5개의 개별 방향키에 할당한 후 앞서 설명한 한글 입력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21 is an example of an on-screen directional key screen when Japanese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Japanese, hiragana and katakana can be assigned to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and input in a manner similar to the Korean input method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문자가 한글과 영문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일본어 문자나 그리스어 문자, 로마자, 러시아어 문자, 아랍어 문자 등 다양한 다른 언어의 문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characters are Korean and English characters, but also characters of various other languages such as Japanese characters, Greek characters, Roman characters, Russian characters, Arabic characters, etc. Can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의 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n-screen directional key consisting of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3개의 문자(또는 숫자 혹은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 2 and 3 are examples of assigning three letters (or numbers or symbols) to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4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 4 to 6 are examples of assigning four letters (or numbers or symbols) to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5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 7 is an example in which five letters (or numbers or symbols) are respectively assigned to individual direction keys U, D, L, R, and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입력할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의 종류가가 많은 경우 서로 다른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가 할당된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는 예,8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a plurality of on-screen arrow keys assigned different characters (or numbers or symbols) when there are many kinds of characters (or numbers or symbols) to input.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nputting a character using an on-screen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들에 구현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예, 10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text input device using an on-screen direction key that can be implemented in portable terminals,

도 11은 컴퓨터 화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적용한 예,11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computer screen,

도 12 내지 도 15는 영문모드에서 영문과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12 to 15 are examples of screens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 for inputting alphabets, numbers, symbols, etc. in the English mode;

도 16 내지 도 20은 한글모드에서 한글과 영문,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16 to 20 are examples of screens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 for inputting Korean, English, numbers, symbols, etc. in the Korean mode;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일본어를 입력할 경우 온스크린 방향키 화면의 예이다.21 is an example of an on-screen directional key screen when Japanese is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10-1~10-4: 온스크린 방향키 20: 문자입력장치10,10-1 ~ 10-4: On-screen direction key 20: Character input device

21: 방향키 22: 제어부21: arrow keys 22: control unit

23: 디스플레이장치 24: 터치 스크린23: display device 24: touch screen

25: 터치스크린 구동부 26: 문자처리부25: touch screen driver 26: character processing unit

31: 키보드 32: 마우스31: Keyboard 32: Mouse

33: 컴퓨터 본체 34: 모니터33: computer main body 34: monitor

35: 모뎀 36: 네트워크35: modem 36: network

37: 웹 사이트37: Website

Claims (15)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키와 중앙키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향키와 중앙키의 하향에 위치하는 하향키와 중앙키의 좌향에 위치하는 좌향키와 중앙키의 우향에 위치하는 우향키로 구분되는 개별 방향키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그룹으로 할당하고, 각 개별 방향키에서는 문자의 표시 위치에 따라 해당 그룹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할당하여 5개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The individual direction keys are divided into a center key located at the center, an up key located above the central key, a down key located downward of the central key, a left key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central key, and a right key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central key. Assigning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to a group, and in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one or more of the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are assigned to select one of th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of the group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 Generating an on-screen direction key;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좌, 우, 중앙, 상, 하로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one on-screen directional key by arranging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on the individual directional keys of the on-screen directional key to have a predetermined directionality in left, right, center, up, and down directions;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let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input in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상기 판단결과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으면,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표시되어 있는 제 1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If the charac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input is present in the currently displayed on-screen direction key, selecting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displaying the charac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input; 상기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 하, 좌, 우, 중앙으로 구분되는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제 2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A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is selected from among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divided into up, down, left, right, and center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letter, number, symbol, or function to be displayed on the selected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step; And 상기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해당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되어Clicking, touching or dragging the selected two individual direction keys in the selected order to enter the corresponding letters, numbers, symbols or executes the corresponding function 제 1 개별 방향키 선택 후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 하, 좌, 우, 중앙으로 구분되는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제 2 개별 방향키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After selecting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s, intuitively select the corresponding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s among the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divided into up, down, left, right, and center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displayed on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s.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s, characterized in that to make a se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one on-screen direction key 상향키 혹은 하향키에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 는If thre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ssigned to an up or down key,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좌향키, 중앙키, 혹은 우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characterized in that thre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displayed to be selected by the left key, the center key, or the right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one on-screen direction key 좌향키 혹은 우향키에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When thre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ssigned to the left or right key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중앙키, 혹은 하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characterized in that thre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isplayed to be selected by the up key, the center key, or the down ke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one on-screen direction key 상향키 혹은 하향키에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 는If four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ssigned to an up or down key,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좌향키, 중앙키, 혹은 우향키에 의해 선택되고,Thre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placed horizontally and selected by the left, center, or right keys, 나머지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평으로 배열된 3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하향 혹은 상향에 배치되어 하향키 혹은 상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On-screen direction key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one letter or number, symbol or function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or downward direction of the three letters or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to be selected by the down key or the up key.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one on-screen direction key 좌향키 혹은 우향키에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When four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ssigned to the left or right key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중앙키, 혹은 하향키에 의해 선택되고,Thre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placed vertically and selected by up, center, or down keys, 나머지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직으로 배열된 3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우향 혹은 좌향에 배치되어 우향키 혹은 좌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An on-screen directional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ne letter or number, symbol or function is arranged to the right or left of three letters or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ranged vertically and displayed for selection by the right or left key.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one on-screen direction key 중앙키에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If four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ssigned to the center key,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4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혹은 우향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4.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on-screen directional keys, characterized in that four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rranged in four directions and displayed for selection by one of an up key, a down key, a left key, or a right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one on-screen direction key 각 개별 방향키에 5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If five individual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ssigned to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5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5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우향키, 혹은 중앙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Characters using on-screen directional keys, characterized in that five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rranged in five directions and displayed for selection by any one of up key, down key, left key, right key, or center key. Input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bringing up the other on-screen direction key 5개의 개별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characterized in that when clicking any one of the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to bring up the other on-screen direction ke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generat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입력모드에 따라 관련된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일련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s,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series of on-screen direction keys for inputting the relevant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ccording to the input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는 단 계는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함으로써 2회 드래그하여 입력할 문자를 1회의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The on-screen display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inputting a single letter, number, or symbol by dragging inputs a character to be input by dragging twice by dragging three separate direction keys successively.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comprises: 한글 입력 모드인 경우 쌍자음이나 복모음은 제1 개별 방향키에서 제2 개별방향키로 드래그한 후, 다시 제1 개별 방향키로 복귀하여 1번의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In the case of the Korean input mode, a double consonant or a double consonant is dragged from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to the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and then returned to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and input by one dra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put method is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나 컴퓨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computer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one on-screen direction key composed of individual direction keys in five directions in which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are arranged with direction;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each individual direction key of the on-screen direction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코드가 저장된 코드 테이블; 및A code table storing codes of letters, numb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on-screen direction keys; And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우향키, 및 중앙키로 구분되는 5개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수단을 통해 제 1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개별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제 2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 중에서 대응하는 방향의 하나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여 상기 코드 테이블의 해당 코드를 출력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시키고, 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The on-screen direction key consisting of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divided into an up key, a down key, a left key, a right key, and a center ke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when a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is input through the selection means, When the assigned letter, number, or symbol group is selected, and the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etter, number, or symbol of the selected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 is input, one of the corresponding directions among the selected letter, number, or symbol group is input. Selecting a letter, number or symbol of th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code in the code table to input a letter, number or symbol, and if the function is selecte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executing the function 제 1 개별 방향키 선택 후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표시 위치에 따라 상, 하, 좌, 우, 중앙으로 구분되는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제 2 개별 방향키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After selecting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s, intuitively select the corresponding second individual direction keys among the five individual direction keys divided into up, down, left, right, and center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letters, numbers, symbols, or functions displayed on the first individual direction keys.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ab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lecting means,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중앙키(C)로 이루어진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혹은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It is any one of a button, a touch screen, or a mouse for selecting an individual direction key consisting of an up key (U), a down key (D), a left key (L), a right key (R), and a center key (C).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he on-screen direction key.
KR1020080114080A 2008-07-30 2008-11-17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KR1010169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4463 2008-07-30
KR1020080074463 2008-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234A KR20100013234A (en) 2010-02-09
KR101016948B1 true KR101016948B1 (en) 2011-02-28

Family

ID=4208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80A KR101016948B1 (en) 2008-07-30 2008-11-17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9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75A (en)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네임팬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376B1 (en) * 2012-03-07 2014-02-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user terminal with touch scre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758A (en) * 2003-11-20 2005-05-25 지현진 Inputting method and appartus of character using virtual button on touch screen or touch pad
KR20080015578A (en) * 2006-08-16 2008-02-20 에이디반도체(주) Character input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758A (en) * 2003-11-20 2005-05-25 지현진 Inputting method and appartus of character using virtual button on touch screen or touch pad
KR20080015578A (en) * 2006-08-16 2008-02-20 에이디반도체(주) Character inpu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75A (en)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네임팬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234A (en)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KR101441200B1 (en) Teminal with moving keyboard and method thereof
KR1013500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KR101589104B1 (en) Providing keyboard shortcuts mapped to a keyboard
KR101167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ing characters of terminal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CN104007832A (en) Method for continuously inputting texts by sliding, system and equipment
KR20080097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200400678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input
JP2004054589A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or
KR20130113622A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JPWO2008152679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put device
KR20220044443A (en) The method of changing the text of specific group which is allocatwd in button
US95240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 by direction key
KR101285413B1 (en) Letter input method of touch type using touch screen
KR101016948B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US20150012866A1 (en) Method for Data Input of Touch Panel Device
KR101568716B1 (en) Korean language input device using using drag type
Hirche et al. Adaptive interface for text input on large-scale interactive surfaces
KR20150062104A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454896B1 (en) 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KR101404364B1 (en) Embeded system with moving keyboard and method thereof
JP2023040208A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input control program used in electronic apparatus, as well as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14089503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