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822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822B1
KR101016822B1 KR1020087014030A KR20087014030A KR101016822B1 KR 101016822 B1 KR101016822 B1 KR 101016822B1 KR 1020087014030 A KR1020087014030 A KR 1020087014030A KR 20087014030 A KR20087014030 A KR 20087014030A KR 101016822 B1 KR101016822 B1 KR 101016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rive
drive sheave
main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7389A (en
Inventor
마사히코 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8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Roping for counterweightless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은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를 가지는 메인 로프체에 의해 매달려 있다.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단부는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각 상단부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와,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이 감겨진 구동 쉬브를 가지는 구동장치와, 구동 쉬브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를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감기용 풀리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는 연직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An elevator car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car is suspended by a main rope body having a first main rope and a second main rope. Upper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fixed to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car is wound with a pair of car hanging pulley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each upp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each car hanging pulley. A drive device having a true drive sheave and a pair of winding pulley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the drive sheave to the lower side of the car, respectively, are provided. The drive sheave is rotated about an axis of rotation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구동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자주식(自走式)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propelled elevator device for elevating the inside of a car hoistway equipped with a drive device.

종래,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구동장치를 탑재한 자주식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1 쉬브 및 제2 쉬브가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쉬브의 회전축은 각각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은 각 쉬브에 각각 연속적으로 감겨진 제1 로프 및 제2 로프에 의해 매달려 있다. 각 쉬브의 한쪽은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엘리베이터 칸은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서 쉬브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특허 문헌 1 참조).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self-propelled elevator apparatuses in which a drive device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a car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save space in a hoistway. 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 1st sheave and the 2nd sheave which have a rotating shaft parallel to each other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The axis of rotation of each sheave is arranged horizontally, respectively. The car is suspended by a first rope and a second rope which are respectively wound on each sheave successively. One side of each sheave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The car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by rotating the sheav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se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10-273274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73274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나 쉬브의 외경이 크게 되면, 엘리베이터 칸 전체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가 크게 되어 버린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려 엘리베이터 장치가 대형화해 버린다.However, since the rotating shaft of the sheav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is horizontally arrange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ve device or the sheave becomes large, the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hole car becomes large. As a result, it becomes difficult to achieve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and the elevator apparatus becomes larg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im at space saving of a hoistway.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단부가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되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체와,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어 각 상단부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와,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이 감겨진 구동 쉬브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구동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어 구동 쉬브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를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감기용 풀리를 가지며,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매달기 장치를 구비하고, 구동 쉬브는 연직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and a first main rope and a second main rope capable of elevating within a hoistway, wherein upper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fixed to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Hanging main rope body, a pair of pulleys for hanging the car, which are installed in the car and guide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each upper 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the pulleys for each car hanging pulley. A pair of drive sheaves each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second main rope, the drive device provided in the car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provided in the car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the drive sheave into the lower part of the car, respectively. And a driving suspend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a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eave.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FIG. 2 is a top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car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5.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 3)이 설치되어 있다(도 2). 각 가이드 레일(2, 3)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a pair of guide rails 2 and 3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Fig. 2). The car 4 i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between each guide rail 2,3.

엘리베이터 칸(4)은 복수 개의 제1 메인 로프(5) 및 복수 개의 제2 메인 로프(6)를 가지는 메인 로프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다. 각 제1 메인 로프(5)의 상단부(5a) 및 각 제2 메인 로프(6)의 상단부(6a)는 승강로(1)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각 제1 메인 로프(5)의 하단부(5b) 및 각 제2 메인 로프(6)의 하단부(6b)는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각각 내려져 있다. 또한, 도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가 1개씩 나타내고 있다.The car 4 is suspended in the hoistway 1 by a main rope body 7 having a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5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6. The upper end part 5a of each 1st main rope 5 and the upper end part 6a of each 2nd main rope 6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lower end part 5b of each 1st main rope 5 and the lower end part 6b of each 2nd main rope 6 are lower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respectively. In addition, in the figure, for simplicity,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are shown one by one.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의 중앙에는 엘리베이터 칸(4)을 승강시키는 구동력 을 발생하는 권상기(구동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8)는 모터를 포함한 구동장치 본체(9)와, 구동장치 본체(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구동장치 본체(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10)는 연직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즉, 권상기(8)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권상기(8)는 지름 방향의 치수가 축방향의 치수보다 큰 박형(薄型)의 권상기로 되어 있다.In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hoisting machine (drive apparatus) 8 which produces the driving force which raises and lowers the cage | basket | car 4 is provided. The hoist 8 has a drive main body 9 including a motor, and a drive sheave 10 disposed below the drive main body 9 and rotated by a drive force of the drive main body 9. The drive sheave 10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hoist 8 is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The hoisting machine 8 is a thin hoisting machine whose radial dimension is larger than the axial dimension.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각 상단부(5a, 6a)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와, 수평 방향으로 걸쳐진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를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감기용 풀리(13, 1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10)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가 각각 감겨져 있다. 또, 구동 쉬브(10)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는 각 감기용 풀리(13, 14)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2)의 아래쪽으로 각각 유도되어 있다.On the lower edge of the car 4, a pair of car suspending pulleys 11, 12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6 from each of the upper ends 5a, 6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a pair of winding pulleys 13 and 14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lower side of the car 2, respectively. The drive sheave 10 is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from the pulleys 11 and 12 for hanging the car, respectively. Moreover,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from the drive sheave 10 are guide | induced below the cage | basket | car 2 by the winding pulleys 13 and 14, respectively.

즉, 각 제1 메인 로프(5)는 상단부(5a)로부터,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구동 쉬브(10) 및 한쪽의 감기용 풀리(13)의 순서로 감겨져 하단부(5b)에 이르러 있다. 또, 각 제2 메인 로프(6)는 상단부(6a)로부터,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 구동 쉬브(10) 및 다른 쪽의 감기용 풀리(14)의 순서로 감겨져 하단부(6b)에 이르러 있다.That is, each of the first main ropes 5 is wound from the upper end 5a in the order of one car suspension pulley 11, drive sheave 10 and one winding pulley 13, and the lower end 5b. Has come to. Moreover, each 2nd main rope 6 is wound from the upper end part 6a in order of the other car pulley 12, the drive sheave 10, and the other winding pulley 14 in order. 6b).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는 수평 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감기용 풀리(13, 14)도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2).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이 각 제1 메인 로프(5)로부터 받는 하중과,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이 각 제2 메인 로프(6)로부터 받는 하중이 상쇄되어 권상기(8)의 소형화를 도모하게 된다.The pulleys 11 and 12 for hanging the car and the pulleys 13 and 14 for winding are respectively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horizontally. In addition, the pulleys 11 and 12 for suspending the car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Moreover, each winding pulley 13 and 14 is also arrange |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FIG. 2). Thereby, the load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receives from each 1st main rope 5, and the load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receives from each 2nd main rope 6 cancel, and the winding machine 8 ) Can be miniaturized.

또,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의 중심 및 한쪽의 감기용 풀리(13)의 중심의 각각과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을 잇는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의 중심 및 다른 쪽의 감기용 풀리(14)의 중심의 각각과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을 잇는 2개의 직선이 이루는 각도도 예각으로 되어 있다(도 2).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의 구동 쉬브(10)에 대한 접촉각이 확보된다.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two straight lines which connect each of the center of the pulley 11 for one car suspension and the center of the one pulley 13 for winding,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are carried out. This angle is an acute angle. 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2 which connects each of the center of the other pulley 12 for pulleys and the center of the other winding pulley 14,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respectively. The angle formed by the two straight lines is also an acute angle (FIG. 2). Thereby, the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eave 10 of each of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is ensured.

제1 메인 로프(5)에는 제1 메인 로프(5)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수단인 제1 추(15)가 매달려 있다. 제1 추(15)는 제1 메인 로프(5)의 하단부(5b)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메인 로프(6)에는 제2 메인 로프(6)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수단인 제2 추(16)가 매달려 있다. 제2 추(16)는 제2 메인 로프(6)의 하단부(6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추(15, 16)는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main rope 5 is suspended from the first weight 15, which is a tension means for applying tension to the first main rope 5. The first weight 15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5b of the first main rope 5. Moreover, the 2nd weight 16 which is a tension means for giving tension to the 2nd main rope 6 is suspended by the 2nd main rope 6. The second weight 1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6b of the second main rope 6. In this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15 and 16 are provided independentl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및 한쪽의 감기용 풀리(13)의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는 제1 메인 로프(5)의 구동 쉬브(10)에 감겨진 부분이 수평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및 감기용 풀리(13)는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의 하부의 높이와 감기용 풀리(13)의 상부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4 is an enlarged view which shows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of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sition of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ge | basket | car 4 of the pulley 11 for one car suspension and the pulley 13 for winding is the drive sheave 10 of the 1st main rope 5 The part wound around) is adjusted to be horizontal. That is, the cage hanging pulley 11 and the winding pulley 13 are arranged so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hanging pulley 11 and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ing pulley 13 coincide with each other.

또,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 및 다른 쪽의 감기용 풀리(14)의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는 제2 메인 로프(6)의 구동 쉬브(10)에 감겨진 부분이 수평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 및 감기용 풀리(14)는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의 하부의 높이와 감기용 풀리(14)의 상부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position of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ge | basket | car 4 of the other cage | basket hanging pulley 12 and the other winding pulley 14 is connected to the drive sheave 10 of the 2nd main rope 6. As shown in FIG. The wound is adjusted to be horizontal. That is, the cage hanging pulley 12 and the winding pulley 14 are arranged so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hanging pulley 12 and the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ing pulley 14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구동 매달기 장치(17)는 메인 로프체(7), 권상기(8),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한 쌍의 감기용 풀리(13, 14)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suspending device 17 includes a main rope body 7, a hoisting machine 8, a pair of car pulleys 11 and 12, and a pair of winding pulleys 13 and 14. .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쉬브(10)를 반시계 방향(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로부터 구동 쉬브(10) 측으로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를 당기는 방향,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는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로부터 구동 쉬브(10)에 각각 이동되어(즉, B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동 쉬브(10)로부터 각 감기용 풀리(13, 14)로 각각 이동된다(즉, C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raising the cage | basket | car 4, as shown in FIG. 2, the drive sheave 10 is made counterclockwise (1st and 1st to the drive sheave 10 side from the pulleys 11 and 12 for each cage | basket | car hanging). 2 Rotate the main rope (5, 6) in the pulling direction, A direction. Thereby,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are moved to the drive sheave 10 from each cage pulley 11 and 12, respectively (that is, moved to B direction), and the drive sheave Each of the winding pulleys 13 and 14 is moved from (10) (ie, moved in the C direction). As a result, the car 4 rises.

엘리베이터 칸(4)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구동 쉬브(10)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반대의 동작을 실시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한다.When lowering the car 4, the drive sheave 1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Thereby, the operation | movem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is performed, and the cage | basket | car 4 descends.

여기서, 엘리베이터 칸(4)을 이동시키기 위해서 권상기(8)가 발생하는 구동 토크(Tq)는 이하의 식(1)에 의해 나타낸다.Here, the drive torque Tq which the hoisting machine 8 produces in order to move the cage | basket | car 4 is represented by following formula (1).

Tq = (Wc + CAP)·D … (1)Tq = (Wc + CAP) D... (One)

또한, Wc는 엘리베이터 칸(4)의 질량, CAP는 엘리베이터 칸(4)의 적재 질량, D는 구동 쉬브(10)의 직경이다.In addition, Wc is the mass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P is the loading mass of the cage | basket | car 4, and D is the diameter of the drive sheave 10. As shown in FIG.

식(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4)의 질량(Wc)과 적재 질량(CAP)이 커지면, 구동 토크(Tq)가 커진다. 또, 가이드 레일(2, 3)에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에 의해, 수평 방향의 가압력이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부여되므로, 구동 토크(Tq)가 커지면, 엘리베이터 칸(4)과 가이드 레일(2, 3)과의 접촉 저항이 커져 엘리베이터 칸(4)의 주행 저항이 커진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적재량이 비교적 작은 엘리베이터 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when the mass Wc and the loading mass CAP of the car 4 become large, the drive torque Tq becomes large. In addition, since the horizontal pressing force is applied from the cage | basket | car 4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to the guide rails 2 and 3, when the drive torque Tq becomes large,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guide rail will become large. The contact resistance with (2, 3) becomes large, and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cage | basket | car 4 becomes large. From the above, in Embodiment 1,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elevator apparatus with a comparatively small loading amount of the cage | basket | car 4.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연직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동 쉬브(10)를 가지는 권상기(8)와, 각 상단부(5a, 6a)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를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와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로부터 구동 쉬브(10)에 감겨진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를 엘리베이터 칸(4)의 아래쪽으로 유 도하는 한 쌍의 감기용 풀리(13, 14)가 엘리베이터 칸(4)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수평 방향에 대한 치수를 유지한 채로 구동 쉬브(10)를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해서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 전체의 높이 방향에 대한 치수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the hoist 8 having the drive sheave 10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perpendicular direction, and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from each upper end part 5a and 6a. )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10 from a pair of cage hanging pulleys 11 and 12 and each cage hanging pulley 11 and 12 for gu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pair of winding pulleys 13 and 14, which guide 6 to the lower side of the car 4, are provided in the car 4, respectively, so that the dimensions of the hoistway 1 are mainta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rive sheave 10 can be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cage | basket | car 4 at the same time, and the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whole can also be made small. Thereby,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1 can be aimed at.

또,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고, 각 감기용 풀리(13, 14)도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으로부터 받는 하중을 상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권상기(8)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each car pulley 11 and 12 is symmetrically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eave 10, and each winding pulley 13 and 14 is also arrange | position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eave 10. Moreover, as shown in FIG. Since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cancels the load which each of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receive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loa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can be reduced, and the size of the hoisting machine 8 can be reduced.

또,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에는 제1 및 제2 추(15, 16)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고 있으므로, 구동 쉬브(10),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의 각각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가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에 대하는 구동 쉬브(10)의 미끄러짐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어 권상기(8)의 구동력을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에 효율 좋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ension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by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15 and 16, the drive sheave 10 and the pulleys 11 and 12 for hanging the car. )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from each of the winding pulleys 13 and 14 can be prevented from shifting. Moreover, the drive sheave 10 can be prevented from slipping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ing machine 8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respectively. It can be delivered efficiently.

또, 제1 및 제2 추(15, 16)가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에 매달려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15 and 16 are suspen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tension can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an be.

또, 제1 및 제2 추(15, 16)는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 하단부(5b, 6b)에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각 메인 로프(5, 6)의 늘어남에 차이가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각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독립하여 장력을 부여할 수 있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 장력에 편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1st and 2nd weights 15 and 16 are provided independently in each lower end part 5b and 6b of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for example, each main rope 5, Even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tension of 6), tension can be applied to each of the main ropes 5 and 6 independently, so that deflection occurs in each te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You can prevent it.

또, 권상기(8)가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1)의 오버헤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hoist 8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overhead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서로 독립한 제1 및 제2 추(15, 16)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장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가 접속된 공통의 추(장력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승강로(1) 내에 설치한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장력 수단)로 각 메인 로프(5, 6)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tension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by the independent first and second weights 15 and 16,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are provided. Tension may be provid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by a common weight (tension means) to which the main ropes 5 and 6 are connected. Moreover, the tension | tensile_strength to each of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by pulling each main rope 5 and 6 with the elastic body (tension means), such as a spring installed in the hoistway 1, for example. May be given.

실시 형태 2.Embodiment 2.

상기의 예에서는 1개의 구동 매달기 장치(1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을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한 쌍의 구동 매달기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을 승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car 4 is lifted by one drive hanging device 17. However, the car 4 may be lifted by a pair of drive hanging devices. .

즉,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한 쌍의 구동 매달기 장치(17, 21)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각 구동 매달기 장치(17, 21)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한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17)는 실시 형태 1의 구동 매달기 장치(17)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That is, FIG. 5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6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a pair of drive suspending devices 17 and 21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car 4 is lifted up and down in the hoistway 1 by the drive suspending devices 17 and 21 in the hoistway 1. One drive suspending device 17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drive suspending device 17 of the first embodiment.

다른 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21)는 실시 형태 1의 메인 로프체(7), 권상기(8),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와 동일한 메인 로프체(7'), 권상기(구동장치)(8'),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한 쌍의 감기용 풀리(13', 14')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8'),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The other drive suspension device 21 is the same as the main rope body 7 of the first embodiment, the hoisting machine 8, the pulleys 11 and 12 for each car suspension and the pulleys 13 and 14 for each winding. It has a main rope body 7 ', a traction machine (driving device) 8', a pair of car pulleys 11 'and 12', and a pair of winding pulleys 13 'and 14'. . The hoist 8 ', the pulleys 11' and 12 'for hanging the car, and the pulleys 13' and 14 'for the winding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4.

메인 로프체(7')의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는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를 피해 승강로(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 상단부(5'a, 6'a)는 승강로(1)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 하단부(5'b, 6'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아래쪽으로 내려져 있다.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 6' of the main rope body 7 'are disposed in the hoistway 1, avo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6. Each upper end 5'a, 6'a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 6'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 6' are fixed. Each lower end part 5'b, 6'b of () is lowered below the cage | basket | car 4.

권상기(8')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8')는 구동장치 본체(9')와, 구동장치 본체(9')의 위쪽에 배치되어 구동장치 본체(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0')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10')는 연직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 구동 쉬브(10')는 엘리베이터 칸(4)이 승강될 때에 구동 쉬브(1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The hoist 8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car 4. The hoist 8 'has a drive body 9' and a drive sheave 10 'which is disposed above the drive body 9' and rotated by a drive force of the drive body 9 '. The drive sheave 10 'is rotated about an axis of rotation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drive sheave 1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eave 10 when the car 4 is lifted.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는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는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감기용 풀리(13', 14')나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5). 이것에 의해,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이 각 제1 메인 로프(5')로부터 받는 하중과, 구동 쉬브(10')의 회전축이 각 제2 메인 로프(6')로부터 받는 하중이 상쇄되고, 권상기(8')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의 각각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Each car hanging pulley 11 ', 12' and each winding pulley 13 ', 14'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dge of the car 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ulleys 11 'and 12' for each car suspension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 Moreover, it arrange | position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of each winding pulley 13 ', 14', and the drive sheave 10 '(FIG. 5). Thereby, the load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receives from each 1st main rope 5', and the load which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sheave 10 'receives from each 2nd main rope 6' cancel out. As a result, the size of the hoist 8 'can be reduced. Each rotating shaft of each car pulley 11 ', 12' and each winding pulley 13 ', 14' is arranged horizontally.

각 제1 메인 로프(5')는 상단부(5'a)로부터,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구동 쉬브(10') 및 한쪽의 감기용 풀리(13')의 순서로 감겨져 하단부(5'b)에 이르러 있다. 또, 각 제2 메인 로프(6')는 상단부(6'a)로부터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 구동 쉬브(10') 및 다른 쪽의 감기용 풀리(14')의 순서로 감겨져 하단부(6'b)에 이르러 있다.Each first main rope 5 'is wound from the upper end 5'a in the order of one car pulley 11', drive sheave 10 ', and one winding pulley 13'. The lower end 5'b is reached. Moreover, each 2nd main rope 6 'of the other end pulley 12', the drive sheave 10 ', and the other winding pulley 14' of the other end of the car 6'a are different. It is wound in order and reaches the lower end 6'b.

제1 메인 로프(5')가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로부터 구동 쉬브(10')의 외주부에 걸려지는 방향과, 제1 메인 로프(5)가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로부터 구동 쉬브(10)의 외주부에 걸려지는 방향이란, 서로 역방향이 되어 있다. 또, 제2 메인 로프(6')가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로부터 구동 쉬브(10')의 외주부에 걸려지는 방향과, 제2 메인 로프(6)가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로부터 구동 쉬브(10)의 외주부에 감겨지는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ain rope 5 'is hooked from the cage hanging pulley 11'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drive sheave 10 'and the first main rope 5 from the cage hanging pulley 11 The directions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rive sheave 10 are opposite to each other. Moreov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2nd main rope 6 'hangs on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drive sheave 10' from the cage hanging pulley 12 ', and the 2nd main rope 6 pulley 12 for the cage hanging ), The direction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rive sheave 10 are reverse to each other.

또한,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및 감기용 풀리(13)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와 한쪽의 감기용 풀리(1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 및 감기용 풀리(14)는 승강로(1)의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와 다른 쪽의 감기용 풀리(1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cage hanging pulley 11 and the winding pulley 13 ar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so that one cage hanging pulley 11 'and one winding pulley 13 are provided. It is arranged between '). Moreover, the cage pulley 12 and the winding pulley 14 ar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other pulley 12 'and the other pulley 14' are different. It is arranged between).

제1 메인 로프(5')의 하단부(5'b)에는 제1 메인 로프(5')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1 추(장력 수단)(15')이 매달려 있다. 제2 메인 로프(6')의 하단부(6'b)에는 제2 메인 로프(6')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2 추(장력 수단)(16')가 매달려 있다.A first weight (tension means) 15 'for tensioning the first main rope 5' is suspended on the lower end 5'b of the first main rope 5 '. At the lower end 6'b of the second main rope 6 ', a second weight (tension means) 16' for tensioning the second main rope 6 'is suspended.

또한, 다른 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21)에 있어서도 제1 메인 로프(5')의 구동 쉬브(10')에 감겨진 부분이 수평이 되도록 한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및 한쪽의 감기용 풀리(13')의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가 조정되고, 제2 메인 로프(6')의 구동 쉬브(10')에 감겨진 부분이 수평이 되도록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2') 및 다른 쪽의 감기용 풀리(14')의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한 상하 방향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도 6).In addition, also in the other drive suspension device 21, the pulley 11 'and one side of the pulley 11' for one side of the cage so that the portion wound on the drive sheave 10 'of the first main rope 5' becomes horizontal. The up-down position of the pulley 13 'for the car 4 is adjusted, and the portion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10' of the second main rope 6 'becomes horizontal. The position of the up-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ge | basket | car 4 of the cage | basket hanging pulley 12 'and the other winding pulley 14' is adjusted (FIG. 6).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 칸(4)을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17)의 구동 쉬브(10)를 반시계 방향(A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다른 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21)의 구동 쉬브(10')를 시계 방향(즉, 구동 쉬브(10)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raising the cage | basket | car 4, as shown in FIG. 5, while rotating the drive sheave 10 of one drive suspension device 17 counterclockwise (A direction), the other drive is performed. The drive sheave 10 'of the hanging device 2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eave 10, A' direction).

구동 쉬브(10)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는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로부터 구동 쉬브(10)로 각각 이동되어(즉, B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동 쉬브(10)로부터 각 감기용 풀리(13, 14)로 각각 이동된다(즉, C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구동 쉬브(10')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는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로부터 구동 쉬브(10')로 각각 이동되어(즉, B'방향으로 이동되어), 구동 쉬브(10')로부터 각 감기용 풀리(13', 14')로 각각 이동된다(즉, C'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상승한다.By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6 are respectively moved from the car suspending pulleys 11 and 12 to the drive sheave 10 (i.e., in the B direction). Moved), and from the drive sheave 10 to the respective winding pulleys 13 and 14, respectively (i.e., moved in the C direction). Moreover,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10 ', the 1st and 2nd main ropes 5' and 6 'are respectively moved from each car suspension pulley 11' and 12 'to the drive sheave 10', respectively. Are moved (i.e., moved in the B 'direction) to each winding pulley 13', 14 'from the drive sheave 10' (i.e., moved in the C 'direction). As a result, the car 4 rises.

엘리베이터 칸(4)을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구동 쉬브(10, 10')를 각각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반대의 동작을 행하여 엘리베이터 칸(4)이 하강한다.When lowering the car 4, the drive sheaves 10 and 10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the above. Thereby, the cage | basket | car 4 descends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

여기서, 권상기(8, 8')의 각각이 발생하는 구동 토크(Tq')는 2개의 권상기(8, 8')의 구동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이 이동되므로, 이하의 식(2)로 나타낼 수 있다.Here, since the car 4 is mov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two hoisting machines 8 and 8 ', the drive torque Tq' which each of the hoisting machines 8 and 8 'generate | occur | produces, following Formula (2). Can be represented.

Tq' = Tq / 2 … (2)Tq '= Tq / 2... (2)

또, 구동 쉬브(10, 10')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 권상기(8, 8')의 구동 토크(Tq')가 서로 상쇄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의 주행 저항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4)의 높이 방향에 대한 권상기(8, 8') 사이의 간격이 커짐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에 생기는 비틀림이 커지므로, 권상기(8, 8')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sheaves 10 and 1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drive torques Tq' of each hoist 8 and 8 'cancel each other out. This reduces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car 4. In addition, as the spacing between the hoisting machines 8 and 8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becomes large, since the twist which arises in the cage | basket | car 4 becomes large,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hoisting machines 8 and 8' is increased. It is preferable to make it small.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한 쌍의 구동 매달기 장치(17, 21)가 승강 로(1) 내에 설치되고, 한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17)의 구동 쉬브(10)의 회전 방향과, 다른 쪽의 구동 매달기 장치(21)의 구동 쉬브(10')의 회전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 권상기(8, 8')의 구동 토크(Tq')를 서로 상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의 주행 저항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상기(8, 8')의 구동 토크가 반감하므로, 권상기(8, 8')의 소형화도 더욱 도모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a pair of drive suspension devices 17 and 21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eave 10 of one drive suspension device 17, and the other, Since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drive sheaves 10 'of the drive suspension device 21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drive torques Tq' of the respective hoisting machines 8 and 8 'can be canceled from each other. Thereby,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drive torque of the hoisting machines 8 and 8 'is reduced by half, the miniaturization of the hoisting machines 8 and 8'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1 can be further achiev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권상기(8)가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설치되고, 권상기(8')가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쪽에 권상기(8, 8')를 모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11, 12, 11', 12') 및 각 감기용 풀리(13, 14, 13', 14')도 엘리베이터 칸(4)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한쪽에 모아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hoisting machine 8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hoisting machine 8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winding machines 8 and 8 'may be collected and installed in either side. In this case, the pulleys 11, 12, 11 ′, 12 ′ and the pulleys 13, 14, 13 ′, 14 ′ for each car suspension are also placed on eithe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r 4. It is collected and installed.

또, 상기의 예에서는 서로 독립한 제1 및 제2 추(15', 16')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장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가 접속된 공통의 추(장력 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승강로(1) 내에 설치한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체(장력 수단)로 각 메인 로프(5', 6')를 당기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메인 로프(5', 6')의 각각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tension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by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15 'and 16' independent of each other. Tension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by a common weight (tension means)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5 'and 6' are connected. . Moreover, the 1st and 2nd main rope 5 ', 6' is pulled by pulling each main rope 5 ', 6' with elastic bodies (tension means), such as a spring installed in the hoistway 1, for example. Tension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장치를 탑재한 엘리베이터 칸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자주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self-propelled elevator apparatus for elevating the inside of a car hoistway equipped with a drive device.

Claims (6)

승강로 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 및Elevator car that can be lifted in the hoistway and 제1 메인 로프 및 제2 메인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메인 로프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각 상기 상단부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와,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이 감겨진 구동 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된 구동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쉬브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아래쪽으로 각각 유도하는 한 쌍의 감기용 풀리를 가지며,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한 쌍의 구동 매달기 장치를 구비하고,A main rope body including a first main rope and a second main rope, wherein upper end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nd a main rope body for hanging the car; A pair of car suspension pulleys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the upper end, respective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each car suspension pulley A pair including a wound drive sheave, a drive device provided in the car, and a pair provided in the car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from the drive sheave to the lower side of the car, respectively. And a pair of driving suspending devices, each having a pulley for winding and lifting the car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sheave. And, 상기 구동 쉬브는 연직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The drive sheave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쪽의 상기 구동 매달기 장치의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과, 다른 쪽의 상기 구동 매달기 장치의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aid drive sheave of one said drive suspension apparatus,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aid drive sheave of the other said drive suspension apparatus are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매달기용 풀리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감기용 풀리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에 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the pair of pulleys for hanging the car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sheave, and the pair of winding pulley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sheav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력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are provided with tension means for imparting tension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장력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에 매달린 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nd said tension means is a weight suspended from said first and second main ropes.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추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 로프의 각각의 하단부에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weight device is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KR1020087014030A 2006-05-19 2006-05-19 Elevator device KR1010168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10016 WO2007135716A1 (en) 2006-05-19 2006-05-19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389A KR20080097389A (en) 2008-11-05
KR101016822B1 true KR101016822B1 (en) 2011-02-21

Family

ID=3872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030A KR101016822B1 (en) 2006-05-19 2006-05-19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19073B1 (en)
JP (1) JP5026260B2 (en)
KR (1) KR101016822B1 (en)
CN (1) CN101356111B (en)
WO (1) WO200713571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74B1 (en) * 2009-04-03 2009-10-23 대성엘리베이터주식회사 Traction machine structure for an elevator and Cage Assembly
FI124541B (en) * 2011-05-18 2014-10-15 Kone Corp Hissarrangemeng
ES2401862B1 (en) * 2012-08-22 2014-04-10 Juan Francisco ARQUERO ARQUERO ELEVATOR
EP3421407A1 (en) 2017-06-16 2019-01-02 Otis Elevator Company Rope-climbing self propelled elevator system
CN109292586A (en) * 2018-11-03 2019-02-01 中际联合(北京)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ower grid pylon intelligent family moving platform
JP7161819B2 (en) * 2019-12-18 2022-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41A (en) * 2000-08-24 200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apparatus
JP2002145544A (en) * 2000-11-10 2002-05-22 Toshiba Corp Elevator driving control device
JP2006513116A (en) * 2003-01-21 2006-04-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Rope tensioning for traction driven elevato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265A (en) 1997-03-27 1999-08-03 Otis Elevator Company Rope climbing elevator
JP4191331B2 (en) * 1999-01-0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4190641B2 (en) * 1999-02-10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EP1693330A4 (en) * 2003-12-11 2011-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apparatus
JP2005289532A (en) * 2004-03-31 2005-10-2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EP1801061B1 (en) * 2004-10-13 2013-07-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41A (en) * 2000-08-24 2002-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apparatus
JP2002145544A (en) * 2000-11-10 2002-05-22 Toshiba Corp Elevator driving control device
JP2006513116A (en) * 2003-01-21 2006-04-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Rope tensioning for traction driven elevator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19073A4 (en) 2013-01-30
EP2019073B1 (en) 2016-11-23
CN101356111B (en) 2012-02-22
KR20080097389A (en) 2008-11-05
EP2019073A1 (en) 2009-01-28
JPWO2007135716A1 (en) 2009-09-24
JP5026260B2 (en) 2012-09-12
WO2007135716A1 (en) 2007-11-29
CN101356111A (en) 2009-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822B1 (en) Elevator device
WO2007129385A1 (en) Elevator device
JP2002080178A (en) Elevator device
WO2007069311A1 (en) Elevator device
JP4549616B2 (en) Elevator equipment
JP2012246116A (en) Elevator device, and emergency stop test method thereof
KR100975689B1 (en) Elevator device
JPWO2007007400A1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4074157A1 (en) elevator
JP4750104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011280B1 (en) Elevator device
JP4172451B2 (en) Elevator equipment
JP4658067B2 (en) Elevator equipment
CN109952262B (en) Method for inspecting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JP4443546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728419B1 (en) Elevator equipment
JP4389151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4028948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792092B1 (en) Elevator apparatus
JP2005075575A (en) Elevator apparatus
WO2005075335A1 (en) Elevator
KR100926862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288350Y1 (en) Elevator
KR100872928B1 (en) Elevator apparatus
CN115490178A (en) Rope-jumping prevention device for winding multilayer steel wire rope by duplex winding drum and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