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566B1 -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566B1
KR101014566B1 KR1020080099058A KR20080099058A KR101014566B1 KR 101014566 B1 KR101014566 B1 KR 101014566B1 KR 1020080099058 A KR1020080099058 A KR 1020080099058A KR 20080099058 A KR20080099058 A KR 20080099058A KR 101014566 B1 KR101014566 B1 KR 10101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key
finger
key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0025A (en
Inventor
이강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슨
Priority to KR102008009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566B1/en
Publication of KR2010004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0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초음파 시스템 등에서 지문인식을 통해 컨트롤 키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대상 컨트롤 키가 2개인 경우, 제어 대상 컨트롤 키가 2개인 경우,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일측 방향을 인지하여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타측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 타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한다. 임의의 제어 모드에서,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된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A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control key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in an ultrasonic system or the lik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s are two, when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s are two, the direc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by recognizing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The control level value is extract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nger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other direction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In any control mode,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activated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level of the activated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the control key control signal is output.

지문인식, 초음파, 컨트롤 키, TGC, LGC Fingerprint, Ultrasound, Control Key, TGC, LGC

Description

지문인식을 통한 컨트롤 키 제어 장치{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본 발명은 초음파 시스템의 컨트롤 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시스템 등에서 컨트롤 패널 상에 TGC(Time Gain Compensation), LGC(Lateral Gain Compensation), 줌인(Zoom-in), 줌아웃(Zoom-out) 등의 컨트롤 키를 구비하지 않고도(전부 혹은 일부만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지문인식을 통해 해당 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key control device of an ultrasou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me gain compensation (TGG), a late gain compensation (LGC), a zoom-in, and a zoom-out on a control panel in an ultrasound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rresponding key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without having a control key (although all or part thereof) is provided.

일반적으로, 초음파 시스템은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대상체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이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영상을 무칩습으로 얻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X선 진단장치, X선 CT스캐너(Computerized Tomography Scanner) MRI(Magnetic Resonance Image), 핵의학 진단장치 등의 다른 화상진단장치와 비교하여, 소형이고 저렴하며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X선 등의 피복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을 갖고 있어, 심장, 복부, 비뇨기 및 산부인과 진단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an ultrasound system is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ultrasound signal from a body surface of an object toward an object, and obtaining an image of soft tissue, tomography, or blood flow using the information of an ultrasound signal (ultrasonic echo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Compared with other imaging devices such as X-ray diagnostics, X-ray CT scanners, magnetic resonance images (MRIs), and nuclear medical diagnostics, these devices are compact, inexpensive, and can display in real time. It is widely used for diagnosing heart, abdomen, urinary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because it has a high safety advantage because there is no coating of wire.

초음파 시스템은 사용자가 초음파 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고 있다. 이 컨트롤 패널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초음파 영상을 최적화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초음파 영상을 조절하기 위한 영상 컨트롤부, 대상체에 대한 거리, 둘레 등의 측정을 하기 위한 측정 컨트롤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영상 컨트롤부는 깊이에 따른 초음파 영상의 게인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TGC 컨트롤 키와, 각 TGC 컨트롤 키에 해당되는 깊이의 양측에서 감쇄된 초음파 영상의 게인을 조절하기 위한 LGC 컨트롤 키, 초음파 영상의 확대/축소를 조절하기 위한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 등을 포함한다. The ultrasound system includes a control panel for the user to operate the ultrasound system. The control panel displays a menu for optimizing the ultrasoun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touch screen for providing a function of selecting the displayed menu, an imag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ultrasound image, a distance to the object, a circumference, and the like. It consists of a measurement control unit for making a measurement. In particular, the image control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GC control keys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ultrasound image according to the depth, LGC control keys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attenuated ultrasound image at both sides of the depth corresponding to each TGC control key, and the ultrasound image. Zoom-in / zoom-out control keys for controlling zooming in and out.

보다 정밀한 초음파 영상의 조절을 위해서는 다수의 컨트롤 키가 필요하지만, 컨트롤 키가 많아지게 되면 컨트롤 패널의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모든 컨트롤 키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TGC 컨트롤 키, LGC 컨트롤 키,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를 교대로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다. In order to more precisely control the ultrasound image, a plurality of control keys are required. However, as the number of control keys increases, the space limitation of the control panel is followed. In addition, even if all the control keys are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inconvenient when the TGC control key, the LGC control key, the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are alternately operated because they are arranged in different spaces.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시스템 등에서 컨트롤 패널 상에 TGC, LGC, 줌인/줌아웃 등의 컨트롤 키를 구비하지 않고도(전부 혹은 일부만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지문인식을 통해 해당 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key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without having a control key such as TGC, LGC, zoom in / zoom out on the control panel in the ultrasonic system, etc. It is to provide a key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초음파 시스템 등에서 지문인식을 통해 컨트롤 키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대상 컨트롤 키가 2개인 경우,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일측 방향을 인지하여 방향 정보를 추출하고,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타측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 타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한다. 임의의 제어 모드에서,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된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대상 컨트롤 키가 3개 이상인 경우,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일측 방향을 인지하고, 일측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 일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추출하고, 타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한다. 임의의 제어 모드에서,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제어 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된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control key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in an ultrasonic system or the lik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s are two, the direc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by recognizing one sid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s the other direc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other direction is extracted. In any control mode,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activated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level of the activated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the control key control signal is out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control keys to be controlled, the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recognizes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and the finger is operated in one direction as the one direction is recognized.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is extracted, and the control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the other direction is extracted. In any control mode,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activated based on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level of the activated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the control key control signal is output.

본 발명에 의하면, 초음파 시스템 등에서 컨트롤 패널 상에 TGC, LGC, 줌인/줌아웃 등의 컨트롤 키를 구비하지 않고도(전부 혹은 일부만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지문인식을 통해 해당 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컨트롤 패널의 크기를 감소시키 고, 시간적 및 공간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without having to provide a control key such as TGC, LGC, zoom in / zoom out on the control panel in the ultrasonic system or the like. The size of the panels can be reduced, and the time and spac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if the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키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ke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지문인식센서(11)는 초음파 시스템 등에서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지문)을 이용하여 개인(운영자 및 환자 등)을 인증할 수 있는 센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지문인식센서 중 하나를 이용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11 is a sensor capable of authenticating an individual (such as an operator and a patient) using an individual's physical characteristics (fingerprint) in an ultrasound system.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usual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s is used.

통상의 지문인식센서(11)는 광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지문의 반사광을 이용하여 지문영상을 획득하는 광학식 센서와, 지문의 융선과 골에서 발생하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반도체 칩으로 획득함으로써 지문영상을 생성하는 비광학식 센서가 있다. The conventional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11 acquires a fingerprint image by acquiring a fingerprint image by using a semiconductor chip, and an optical sensor that acquires a fingerprint image by using the reflected light of the fingerprint present on the optical path, and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generated in the ridges and valleys of the fingerprint. There is a non-optical sensor that produces.

광학식 센서는 크게 프리즘 방식을 이용한 것과 홀로그램 방식을 이용한 것이 있다. 프리즘 방식은 가장 일반적인 방식으로서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프리즘에 입사되고, 입사된 입사광이 반사면상의 지문에 전반사되면 지문의 요철이 가지는 반사율의 차이를 반영하는 반사상이 생성된다. 생성된 반사상을 CCD 등의 센싱수단으로 획득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한다. 홀로그램 방식은 평판위에 놓인 손가락의 지문에서 반사되어져 나온 영상을 홀로그램막에 투영하여 지문영상을 획득하는 방 식이다. There are two types of optical sensors using a prism method and a hologram method. The prism method is the most common method. When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incident on the prism, and the incident light is totally reflected on the fingerprint on the reflection surface, a reflection image reflecting the difference in reflectance of the irregularities of the fingerprint is generated. The generated reflection image is acquired by sensing means such as a CCD to generate image data. The hologram method obtains a fingerprint image by projecting an image reflected from a fingerprint of a finger placed on a flat plate onto a hologram film.

비광학식 센서로는 반도체식 센서, CCD/CMOS 센서, 압력식 센서, 감열식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있다. 정전식은 센서 표면에 손가락이 접촉할 때 발생하는 융선과 골의 전하량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이고, 전계식은 인체의 미세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계가 융선과 골에서 나타나는 분포패턴을 지문영상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정전식과 전계식 센서는 유사한 회로구조를 가지며 출력하는 지문영상의 특성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보통 반도체식 센서로 통칭한다. CCD/CMOS 센서는 적외선 등의 조명을 센서에 접촉한 지문에 직접 조사하여생성된 반사광을 Fiberglass 등으로 집광하는 방식과 인체의 미세전류에 의해 형광물질을 발광시키는 방식이 있다. 압력식 센서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가변저항을 가지는 센싱어레이에 손가락이 접촉되었을 때, 융선이 접촉된 부분을 감지하여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킨다. 감열식 센서는 지문이 센서에 접촉할 때, 융선과 골의 온도차를 감지하여 지문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초음파 센서는 접촉 표면상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지문영상을 취득한다. 높은 콘트라스트와 넓은 그레이 스케일 영역을 가진다. Non-optical sensors include semiconductor sensors, CCD / CMOS sensors, pressure sensors, thermal sensors, and ultrasonic sensors. The electrostatic method is a method of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ges of the ridge and the bone generated when the finger touches the sensor surface, and the electric field is a method of converting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by the micro current of the human body to the fingerprint image into the fingerprint image. In general, capacitive and electric field sensor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semiconductor sensors because they have similar circuit structures and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or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fingerprint image. The CCD / CMOS sensor has a method of condensing the generated reflected light with fiberglass or the like by directly irradiating an infrared light or the like with a fingerprint in contact with the sensor and a method of emitting a fluorescent material by a microcurrent of the human body. When a finger touches a sensing array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ortion where the ridge is in contact and converts it into image data. The thermal sensor detect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idge and the valley when the fingerprint touches the sensor and generates fingerprint image data. The ultrasonic sensor acquires a fingerprint image by converting ultrasonic waves reflected by a finger on a contact surface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has a high contrast and wide gray scale area.

TGC는 깊이에 대한 이득(gain)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LGC는 좌우측 사이드의 이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초음파 영상 화면은 좌우측 사이드가 가운데 부분에 비해 어두우므로, 화면의 밝기를 보정하기 위해 좌우측을 의미하는 LGC 컨트롤 키를 컨트롤 패널 상에 도 2b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한다. 또한, TGC 컨트롤 키 각각은(예컨대, 8개의 TGC 컨트롤 키)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도 2a와 같이 컨트롤 패널 상에 배치된다. 또한, 컨트롤 패널에는 초음파 영상의 확대/축소를 위한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가 배치된다. 그러나, 컨트롤 키가 많아지게 되면 컨트롤 패널의 공간상 제약이 따르게 된다.TGC adjusts the gain for depth, and LGC adjusts the gai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general, sinc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ltrasound image screen are darker than the center portion, the LGC control keys, which mean left and right sides, are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B to correc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n addition, each of the TGC control keys (eg, eight TGC control keys) is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as shown in FIG. 2A to be abl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so, a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 is disposed in the control panel to enlarge / reduce the ultrasound image. However, increasing the number of control keys is a space constraint of the control panel.

본 발명의 컨트롤 키 제어 장치는, 초음파 시스템 등의 컨트롤 패널 상에 TGC, LGC, 줌인/줌아웃 등의 컨트롤 키가 전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전부 혹은 일부만이 구비되어 있더라도(예컨대, 컨트롤 패널 상에 TGC, 줌인/줌아웃, LGC 컨트롤 키 전부가 구비되어 있거나 그 일부만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등), 지문인식을 통해 컨트롤 키를 제어(TGC, LGC,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 제어 신호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제어 대상 모드(TGC 제어 모드, LGC 제어 모드, 줌 제어 모드)가 다수 개인 경우에, 제어 대상 모드의 선택 및 변환은 모드 선택부(15)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모드 선택부(15)를 통해 TGC 제어 모드, LGC 제어 모드, 줌 제어 모드의 선택 및 변환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어 모드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key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even if all or part of the control keys such as TGC, LGC, zoom in / zoom out ar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of the ultrasonic system or the like (eg, TGC on the control panel). , Zoom-in / zoom-out, LGC control keys may be provided in whole or only a part thereof), and control keys may be controlled (TGC, LGC, zoom-in / zoom-out control key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control target modes (TGC control mode, LGC control mode, zoom control mode), selection and conversion of the control target mode are performed through the mode selector 15. That is, the TGC control mode, the LGC control mode, and the zoom control mode may be selected and converted through the mode selector 15.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of one control mode.

임의의 제어 모드에서, 방향 감지부(12)는 지문인식센서(11)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를 추적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상하좌우의 방향을 감지하여 방향 정보를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한다. 이때, 입력 지문영상은 인증된 사용자의 지문영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운영자A가 지문인식을 통해 인증한 후 지문인식을 통한 영상 제어를 수행하거나, 운영자A가 지문인식을 통해 인증한 후 운영자B가 지문인식을 통한 영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n any control mode,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tracks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11 and detects the directions of up, down,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to input the direction information. (14). In this case, the input fingerprint image is not limited to the fingerprint image of the authenticated user. That is, the operator A may perform image control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fter authentication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or the operator B may perform image control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fter operator A authenticates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방향 감지부(12)의 방향 감지 과정을 살펴보면,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1) 의 좌측에 밀착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우측에 공백(또는 희미한 영상)이 형성되며, 정중앙에 위치한 지문영상(도 3a 참조)과 비교했을 때 좌측으로 치우친 지문영상에 대해서는 좌(左)측을 선택한 것으로 인지하여 '좌측 방향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1)의 우측에 밀착하는 경우, 도 3c와 같이 좌측에 공백(또는 희미한 영상)이 형성되며, 정중앙에 위치한 지문영상(도 3a 참조)과 비교했을 때 우측으로 치우친 지문영상에 대해서는 우(右)측을 선택한 것으로 인지하여 '우측 방향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1)의 상측에 밀착하는 경우, 도 3d와 같이 하측에 공백(또는 희미한 영상)이 형성되며, 정중앙에 위치한 지문영상(도 3a 참조)과 비교했을 때 상측으로 치우친 지문영상에 대해서는 상(上)측을 선택한 것으로 인지하여 '상측 방향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1)의 하측에 밀착하는 경우, 도 3e와 같이 상측에 공백(또는 희미한 영상)이 형성되며, 정중앙에 위치한 지문영상(도 3a 참조)과 비교했을 때 하측으로 치우친 지문영상에 대해서는 하(下)측을 선택한 것으로 인지하여 '하측 방향 정보'를 출력한다. 도 3a의 지문영상은 영상 제어자(운영자)의 지문영상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향 감지부(12)는 상하좌우의 방향을 인지함에 있어서 공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지문이 정중앙에 위치한 참조 지문영상(도 3a 참조)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Looking at the direction detection process of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12, when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fingerprint sensor 11, a blank (or faint image) is formed on the right side as shown in Figure 3b, the fingerprint image ( Compared to FIG. 3A), the left image is recognized as the left side of the fingerprint image that is biased to the left side and outputs 'left dir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ngerprint sensor 11, a blank (or faint image) is formed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3c, and is biased to the right side when compared with the fingerprint image (see FIG. 3a) located at the center. Recognizing that the right side is selected for the fingerprint image, 'right direction information' is output. In addition, when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fingerprint sensor 11, a blank (or faint imag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as shown in Figure 3d, and is biased upward when compared to the fingerprint image (see Figure 3a) located in the center Regarding the fingerprint image, it is recognized that the upper side is selected and outputs 'upward direction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ngerprint sensor 11, a blank (or faint imag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3e, and is biased downward when compared to the fingerprint image (see FIG. 3a) located at the center. Regarding the fingerprint image, it is recognized that the lower side is selected and outputs 'lower direction information'. The fingerprint image of FIG. 3A is not limited to a fingerprint image of an image controller (operator), and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can identify the direc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a blank so that the fingerprin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ference. An image (see FIG. 3A) is not necessarily required.

제1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LGC 컨트롤 키(또는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설정한 경우, 좌측 방향은 좌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를, 우측 방향은 우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인 컨트롤 키)를 선택한 것으 로 인지한다(1차 방향 감지). 1차 방향 감지후 2차 방향 감지시에, 상하 방향은 LGC,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상승/하강)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또는, 2개의 TGC 컨트롤 키에 대해서 상하 방향을 설정한 경우, 상측 방향은 상측 TGC 컨트롤 키를, 하측 방향은 하측 TGC 컨트롤 키를 선택한 것으로 인지한다(1차 방향 감지). 1차 방향 감지후, 2차 방향 감지시에, 좌우 방향은 T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상승/하강)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et for two LGC control keys (or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the left direction is the left LGC control key (or the zoom out control key), and the right direction is the right LGC control. Recognize that the key (or zoom in control key) is selected (primary direction detection). Upon sensing the secondary direction after the primary direction detectio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control level (rising / falling) of the LGC,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Alternatively, whe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e set for the two TGC control keys, it is recognized that the up direction is the upper TGC control key and the down direction is the lower TGC control key (primary direction detection). After sensing the primary direction, upon sensing the secondary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control level (rising / falling) of the TGC control key.

제2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LGC 컨트롤 키(또는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설정한 경우, 좌측 방향은 좌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를, 우측 방향은 우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인 컨트롤 키)를 선택한 것으로 인지한다(1차 방향 감지). 또는, 2개의 TGC 컨트롤 키에 대해서 좌우 방향을 설정한 경우, 좌측 방향은 상측 TGC 컨트롤 키를, 우측 방향은 하측 TGC 컨트롤 키를 선택한 것으로 인지한다(1차 방향 감지). 1차 방향 감지후 2차 방향 감지시에, 상하 방향은 TGC, LGC,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상승/하강)을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et for two LGC control keys (or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the left direction is the left LGC control key (or the zoom out control key), and the right direction is the right LGC control. Recognize that the key (or zoom in control key) is selected (primary direction detection). Alternatively, whe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et for the two TGC control keys, it is recognized that the left direction is the upper TGC control key and the right direction is the lower TGC control key (primary direction detection). In the secondary direction detection after the primary direction detectio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used to determine the control level (rising / falling) of the TGC, LGC, and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제3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TGC 컨트롤 키(또는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에 대해서 상하 방향을 설정한 경우, 상측 방향은 상측 TGC 컨트롤 키(또는 줌인 컨트롤 키)를, 하측 방향은 하측 T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를 선택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1차 방향 감지). 또는, 2개의 LGC 컨트롤 키에 대해서 상하 방향을 설정한 경우, 상측 방향은 좌측 LGC 컨트롤 키를, 하측 방향은 우측 LGC 컨트롤 키를 선택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1차 방향 감지). 1차 방향 감지후 2차 방향 감지시에, 좌우 방향은 TGC, LGC, 줌인/줌아웃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상승/하강)을 결정하는데 이용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when up and down directions are set for two TGC control keys (or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the upper direction is the upper TGC control key (or the zoom in control key), and the lower direction is the lower TGC control. The key (or zoom out control key) can be recognized as selected (primary direction detection). Alternatively, whe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re set for the two LGC control keys,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upper direction is the left LGC control key and the lower direction is the right LGC control key (primary direction detection). In the secondary direction detection after the primary direction detectio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control level (rising / falling) of the TGC, LGC, and zoom in / zoom out control keys.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TGC, LGC, Zoom 컨트롤 키가 2개인 경우를 가정하여,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은 컨트롤 키를 선택하는데 이용하고,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은 제어레벨을 결정하는데 이용하였다. 이 경우, 컨트롤 키 선택은 방향 감지부(12)의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레벨 결정은 동작 감지부(13)의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방향 감지부(12)는 지문인식센서(11)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을 인지하여 방향 정보를 추출한 후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하고, 입력 제어부(14)는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킨다. 이후에 방향 감지부(12)가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서, 동작 감지부(13)는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예컨대,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에서 머무르는 시간,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길이,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는 횟수 등)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하여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한다. 입력 제어부(14)는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 신호(TGC 제어 신호, LGC 제어 신호, Zoom-in/out 제어 신호 등)를 출력한다. 실시예를 통해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ssuming that there are two TGC, LGC, and Zoom control key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up and down directions) are used to select the control key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control levels. Was used to determine. In this case, the control key selection is made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and the control level determination is made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of the motion detecting unit 13. Specifically,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recogniz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up and down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11 and extracts the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The input controller 14 activates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Afterwards, as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recognizes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moves the finger (e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control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time to sta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ength sli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number of times of releasing and attaching the finger, etc.) is extracted and transferred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do. The input controller 14 determines the control level of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activat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outputs a control key control signal (TGC control signal, LGC control signal, Zoom-in / out control signal, etc.). . Looking at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through the embodiment in more detail as follows.

방향 감지부(12)는 인지된 방향 정보를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하고, 동작 감지부(13)는 인지된 제어레벨 값을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한다.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transmits the recognized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and the motion detecting unit 13 transmits the recognized control level value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입력 제어부(14)는 방향 감지부(12)를 통해 좌측 방향을 인지하면 좌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좌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이후의 손가락 입력 방향이 상측인 경우에는 동작 감지부(13)에서 인식된 상승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좌측 L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증가시키고, 손가락 입력 방향이 하측인 경우에는 동작 감지부(13)에서 인식된 하강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좌측 L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감소시킨다. 또한, 방향 감지부(12)를 통해 우측 방향을 인지하면, 우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인 컨트롤 키)를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우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인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이후의 손가락 입력 방향이 상측인 경우에는 동작 감지부(13)에서 인식된 상승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우측 L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증가시키고, 손가락 입력 방향이 하측인 경우에는 동작 감지부(13)에서 인식된 하강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우측 L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감소시킨다. The input control unit 14 determines that the left LGC control key (or the zoom out control key) is controlled when the left direc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and then activates the left LGC control key (or the zoom out control key). If the direction of the finger input is upward, the control level of the left LGC control key activated is increased based on the rising control level value recogniz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and if the finger input direction is the lower side, the motion detection unit The control level of the left LGC control key that is activated is reduced based on the falling control level value recognized in (13). In addition, when the right direc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it is determined that the right LGC control key (or the zoom-in control key) is controlled, and the right LGC control key (or the zoom-in control key) is activated, and subsequent finger input is performed. If the direction is upward, the control level of the right LGC control key that is activated based on the rising control level value recognized by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is increased, and if the finger input direction is downward,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Decreases the control level of the right LGC control key that is activated based on the falling control level value recognized by.

동작 감지부(13)는 방향 감지부(12)를 통해 감지된 상,하,좌,우 방향에서 손가락이 머무르는 시간(대기시간) 또는 슬라이딩 길이 또는 반복 횟수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레벨 값으로 변환한다. 예컨대, 제어레벨이 '10'인 경우 0.25초당 1step씩 상승 또는 하강하거나, 0.1cm당 1step씩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이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한다.The motion detector 13 detects a time (standby time) or a sliding length or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a finger staying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etected by the direction detector 12 and converts it to a control level value. .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level is '10',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controller moves up or down by 1 step every 0.25 seconds, or rises or descends by 1 step per 0.1 cm, and transmits the control level value to the input controller 14.

만약 운영자가 손가락을 좌측에 밀착하는 경우 방향 감지부(12)를 통해 좌측 방향을 인지하여 방향 정보(좌측 방향 정보)를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하고, 입력 제어부(14)는 좌측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좌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킨다. 이후에 운영자가 상측(/하측) 방향을 지시하면 동작 감지부(13)가 구동되어, 동작 감지부(13)는 상측(/하측) 방향에서 머무르는 시간(대기시간)이나 상측(/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길이(슬라이딩 길이) 또는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는 횟수를 인지하여 이를 제어레벨 값으로 변환하여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입력 제어부(14)가 활성화되어 있는 좌측 LGC 컨트롤 키(또는 줌아웃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상승(/하강)시킨다. 예컨대, 상측(/하측) 방향에서 손가락이 1초간 머무르거나 0.4cm 스라이딩하거나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4번 반복하는 경우, 입력 제어부(14)는 좌측 L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4step 상승(/하강)시킨다. If the operator is in close contact with his or her finger on the left side, the direction sensor 12 recognizes the left direction and transmits the direction information (left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and the input control unit 14 transmits the left direction information. Activate the left LGC control key (or zoom out control key) as a background. Afterwards, when the operator instructs the upward (/ lower) direction, the motion detector 13 is driven, and the motion detector 13 stays in the upward (/ lower) direction (wait time) or the upward (/ lower) direction. Recognizes the length of sliding (sliding length) or the number of times of releasing and attaching the finger, converts it to a control level value, and transfers it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whereby the left LGC in which the input control unit 14 is activated Raises (/ lowers) the control level of the control keys (or zoom-out control keys). For example, if the finger stays for 1 second, slides 0.4 cm or releases and attaches the finger four times in the up (/ down) direction, the input control unit 14 increases the control level of the left LGC control key by 4 steps ( / Down).

한편, TGC, LGC 컨트롤 키가 3개 이상인 경우,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은 컨트롤 키를 선택하는데 이용하고,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은 제어레벨을 결정하는데 이용한다. 이 경우, 컨트롤 키 선택은 동작 감지부(13)의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레벨 결정은 동작 감지부(13)의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방향 감지부(12)가 지문인식센서(11)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서, 동작 감지부(13)는 좌우 방향(또는 상하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예컨대,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는 횟수 등)에 따른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추출하여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한다. 입력 제어부(14)는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킨다. 이후에 방향 감지부(12)가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서, 동작 감지부(13)는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예컨대,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에서 머무르는 시간,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길이,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는 횟수 등)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하여 입력 제어부(14)로 전달한다. 입력 제어부(14)는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5개의 LGC 컨트롤 키(또는 TGC 컨트롤 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LGC 제어 모드에서 연속하여 3번의 우측 방향(또는 상측 방향)이 인지되면(손가락을 지문인식센서(11)의 우측에 밀착하여 떼었다 붙였다를 3번 반복함) 3번째 LGC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상하 방향(또는 좌우 방향)의 제어레벨 값을 바탕으로 3번째 LGC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are three or more TGC and LGC control key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up and down directions) are used to select the control keys,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s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used to determine the control level. In this case, the control key selection is made based on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of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and the control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of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Specifically, as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recogniz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r up and down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11,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may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nger (eg, the number of times of releasing and attaching the fi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extracted and transmitted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The input controller 14 activates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based on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Afterwards, as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12 recognizes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the motion detection unit 13 moves the finger (e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control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time to sta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ength sli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number of times of releasing and attaching the finger, etc.) is extracted and transferred to the input control unit 14. do. The input controller 14 determines a control level of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that is activat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outputs a control key control signal. For example, when five LGC control keys (or TGC control keys) are set, when three right directions (or upward directions) are recognized in succession in the LGC control mode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of the fingerprint sensor 11). 3 times LGC control key is activated and the control level of the 3rd LGC control key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om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It is also contemplat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키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ke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TGC 컨트롤 키의 구성을 보이는 개념도. 2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GC control key.

도 2b는 LGC 컨트롤 키의 구성을 보이는 개념도. Figure 2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GC control key.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문인식을 통한 방향 감지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 3A to 3E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direction sensing process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지문인식센서 12 : 방향 감지부11: fingerprint sensor 12: direction detection unit

13 : 동작 감지부 14 : 입력 제어부13: motion detection unit 14: input control unit

15 : 모드 선택부15: mode selector

Claims (10)

삭제delete 지문인식을 통한 컨트롤 키 제어 장치로서, As a control key control device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일측 방향을 인지하여 방향 정보를 추출하는 방향 감지부; A direction detecting unit extracting direc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act position of a finger in a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상기 방향 감지부가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타측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타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하는 동작 감지부; 및 A motion detection unit for extracting a control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nger in the other direction as the direction detection unit recognizes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And 임의의 제어 모드에서, 상기 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어 레벨 값을 바탕으로 상기 활성화된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되,In an arbitrary control mode, an input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control target control key based on the direc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 control level of the activated control target control key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outputting a control key control signal. Including, 상기 제어 대상 컨트롤 키가 2개인, 컨트롤 키 제어 장치.And a control key control device having two control target control keys. 삭제delete 지문인식을 통한 컨트롤 키 제어 장치로서, As a control key control device through fingerprint recognition,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취득된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일측 방향을 인지하는 방향 감지부; A direction detecting unit for recognizing one side direction according to a contact position of a finger in a fingerprint image acquired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상기 방향 감지부가 상기 일측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일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방향 감지부가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타측 방향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타측 방향에서 손가락의 동작에 따른 제어레벨 값을 추출하는 동작 감지부; 및 As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recognizes the one direction,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nger is extracted in the on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A motion detector extracting a control level value according to the motion; And 임의의 제어 모드에서, 상기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 대상 컨트롤 키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어 레벨 값을 바탕으로 상기 활성화된 제어 대상 컨트롤 키의 제어레벨을 결정하여 컨트롤 키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되, In an arbitrary control mode, an input for activating a control target control key based on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determining a control level of the activated control target control key based on the control level value, and outputting a control key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ntrol unit, 상기 제어 대상 컨트롤 키가 3개 이상인, 컨트롤 키 제어 장치.A control key control device, wherein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three or more.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동작 감지부는,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는 횟수를 인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기 컨트롤 키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키 제어 장치. And the motion detector detects the number of times a finger is released and attached and outputs the control key selection signal.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4 and 5, 상기 일측 방향이 좌우 방향이면, 상기 타측 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If the one direction i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other direction is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일측 방향이 상하 방향이면, 상기 타측 방향은 좌우 방향이며, When the one side direction is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other side direction is a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타측 방향의 상측 또는 우측 방향이 상기 제어레벨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타측 방향의 하측 또는 좌측 방향이 상기 제어레벨 값을 감소시키는, 컨트롤 키 제어 장치. And an upper or right direction in the other direction increases the control level value, and a lower or left direction in the other direction decreases the control level valu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 대상 컨트롤 키는, TGC(Time Gain Compensation) 컨트롤 키, LGC(Lateral Gain Compensation) 컨트롤 키, 줌(Zoom) 컨트롤 키 중 어느 하나인, 컨트롤 키 제어 장치. The control target control key is any one of a Time Gain Compensation (TGG) control key, a Lateral Gain Compensation (LGC) control key, and a Zoom control key.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적어도 두 개의 제어 모드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 모드의 선택 및 변환을 위한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 키 제어 장치. And a mode selector for selecting and converting control modes, when at least two control modes exis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방향 감지부는, 지문이 정중앙에 위치한 참조 지문영상을 바탕으로 상기 지문영상에서 손가락의 접촉 위치에 따른 상기 일측 및 타측 방향을 인지하는, 컨트롤 키 제어 장치. The direction detecting unit, the control key control device for recognizing the one and the oth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finger in the fingerprint image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fingerprint imag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ngerprint.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동작 감지부는, 상기 타측 방향에서 머무르는 시간(대기시간), 상기 타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길이(슬라이딩 길이), 손가락을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는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인지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레벨 값을 출력하는, 컨트롤 키 제어 장치. The motion detection unit recognizes at least one of the time of staying in the other direction (waiting time), the length of sliding in the other direction (sliding length), and the number of times of releasing and attaching the finger. Control key control device to output.
KR1020080099058A 2008-10-09 2008-10-09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KR101014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058A KR101014566B1 (en) 2008-10-09 2008-10-09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058A KR101014566B1 (en) 2008-10-09 2008-10-09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25A KR20100040025A (en) 2010-04-19
KR101014566B1 true KR101014566B1 (en) 2011-02-16

Family

ID=4221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058A KR101014566B1 (en) 2008-10-09 2008-10-09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5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04146B (en) * 2017-01-05 2021-07-1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Touch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capacitance induction quantity of touch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4296A (en) * 1995-07-28 1997-02-14 Nec Eng Ltd Pointing device
KR20000018865A (en) * 1998-09-03 2000-04-06 김원찬 Pointer for detecting movement according to particular pattern
KR20010077030A (en) * 2000-01-29 2001-08-17 김 남 영 KNY mouse
KR20030018022A (en) * 2003-01-15 2003-03-04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Apparatus for game interfacing of strengthen security by using fingerprint sen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4296A (en) * 1995-07-28 1997-02-14 Nec Eng Ltd Pointing device
KR20000018865A (en) * 1998-09-03 2000-04-06 김원찬 Pointer for detecting movement according to particular pattern
KR20010077030A (en) * 2000-01-29 2001-08-17 김 남 영 KNY mouse
KR20030018022A (en) * 2003-01-15 2003-03-04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Apparatus for game interfacing of strengthen security by using fingerprint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025A (en)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1951B2 (en) Non-contact human computer interface
JP7089020B2 (en) Ultrasonic biosensing device integrated with optical equipment
US10438040B2 (en) Multi-functional ultrasonic fingerprint sensor
US10515255B2 (en) Fingerprint sensor with bioimpedance indicator
US10552658B2 (en) Biometric sensor with finger-force navigation
US20170337412A1 (en) Light emitter and sensors for detecting biologic characteristics
JP6598508B2 (en)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its program
CN108496180A (en) Optical fingerprint sensor below display
KR101987776B1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5974913B2 (en) Imaging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program
KR102258800B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htod thereof
CN101345815A (en) Imaging-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7631811B1 (en) Optical headset user interface
CN109558799B (en)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and product adopting fingerprint acquisition device
JP4236214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device
KR101014566B1 (en) Appratus for controlling control key which leads a fingerprint recognition
JP6945391B2 (en) Biometric device
US8876291B2 (en) Control apparatus, ophthalmologic apparatus,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50094585A1 (en) Ultrasound transducer with position memory for medical imaging
KR101476661B1 (en) Remote health diagnostic device
JP2011072532A (en) Medical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and ultrasonograph
JP4776807B2 (en) Monitoring system
KR20130003241A (en) Contactless input device
JP2005190283A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EP3953858A1 (en) Biometrics imaging device and biometrics imaging method for capturing image data of a body part of a person which enable improved image data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