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38B1 -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38B1
KR101012238B1 KR1020070039531A KR20070039531A KR101012238B1 KR 101012238 B1 KR101012238 B1 KR 101012238B1 KR 1020070039531 A KR1020070039531 A KR 1020070039531A KR 20070039531 A KR20070039531 A KR 20070039531A KR 101012238 B1 KR101012238 B1 KR 10101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d terminal
terminal
multimedia message
service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133A (ko
Inventor
김성은
김순아
이정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3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설정에 따라 발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또는 착신 단말기로 인하여 일정기간 내에 호 연결 실패로 인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하는 단계,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자동응답, 키클릭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SUPPORTING AUTOMATIC ANSWERING SERVICE USING MULTIMEDIA ME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호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 정해진 키클릭을 통하여 자동응답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510: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
520: 서비스 판단부
530: ON/OFF 상태 판단부
본 발명은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발신자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망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꺼져있거나, 착신자가 호출음이 오랫동안 울렸음에도 받지 않을 경우 연결을 종료하고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통화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음성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특정 이동통신사에서는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라고 하여 발신자의 단말기번호를 착신자에게 문자메시지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일률적인 멘트를 제공하게 되어 발신자입장에서는 단말기가 꺼져있거나 전화를 받지 않는 상황(회의중, 밧데리부족, 영화관람 등)을 알지 못함에 대한 답답함과 불쾌감을 주게 되며, 통화를 몇 차례 재시도하는 경우도 종종 있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와 별도로 단말기에 자동응답기능이 내장된 경우도 있다. 이것은 단말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발신자로부터 호 요청 메시지가 들어왔을 때 통화를 연결한 다음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안내멘트를 내보내고 필요에 따라 발신자에게 음성녹음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동응답기능은 유선통신단말기에 이미 오래 전부터 고급형에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무선통신단말기에도 상 당수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자동응답기능은 발신자가 음성을 남기는 것을 불편해하며, 통화가 개시된 이후에 음성이 나오기 때문에 안내음성을 듣는 동안에 발생하는 통화에 대해서 발신자가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이 저조할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 기술과 인력을 투자하여 구현한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해 액세서리로 전락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이동통신 관련하여 음성통화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메시지 서비스이다. 초기에는 청소년을 중심으로 사용되던 것이 현재는 40대의 중장년까지 사용 층이 널리 확대되어 있다. 이러한 확대와 더불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에 대한 관련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에 대한 기술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정된 자동응답 상태에서 발신 단말기로 상기 자동응답 상태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착신 단말기로 인하여 일정기간 이내에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자동응답 상태 설정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 라 기 정해진 키입력을 통하여 자동응답 ON/OFF 상태를 제어한다.
자동응답서비스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 형식뿐만 아니라 동영상, 사진, 음악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발신 단말기 사용자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하는 단계,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매칭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기 정해진 키클릭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호 연결 수행 결과 일정 기간 이내에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1 키클릭을 수신하여 자동응답의 ON 상태를 설정하거나, 제2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응답의 OFF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 키클릭과 상기 제2 키클릭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속한 이통사에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이통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 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판단하는 ON/OFF 상태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단말기라 함은 유선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통신 단말기, 및 H. 323, SIP,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egaco 등의 VoIP 관련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IP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101) 내지 단계(S111)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1)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문자, 동영상, 음악 및 사진 등의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단말기 사용자 정보, 단말기 정보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S101)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단계(S102)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호 처리와 경로 설정에 필요한 번호 및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S102)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단계(S103)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의 ON/OFF 상태에 대한 정보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거나,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또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에 카테고리화하여 포함되거나, 상기 착신 단말기 또는 발신 단말기가 포함된 통신 망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에 열거된 것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자동응답의 ON/OFF 상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기 정해진 키클릭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응답의 ON/OFF 상태 설정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단계(S104)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원이 꺼져 있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 와 같은 음성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한다. 다만 상기 호 연 결의 종료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과의 호 연결의 종료를 의미할 수 있으나,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과의 호 연결까지 종료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호 연결을 위한 호 처리는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역할의 일부일 수도 있으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구별되는 상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가 속한 통신 망의 호 처리 시스템이 가지는 역할일 수도 있다. 만약 후자처럼 상기 호 처리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따로 존재한다면, 본 발명에서의 상기 호 종료 및 상기 호 연결을 포함하는 호 처리 단계는 상기 호 처리를 제어하는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단계(S105)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발신 정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상기 발신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로 발신 정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가 속한 통신 망의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발신 정보 문자 메시지의 내용에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06)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매칭하여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기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아,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에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전화 연결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내용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동영상, 사진, 음악, 문자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단계(S107)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단계(S108)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대한 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 연결의 수행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착신 단말기가 속한 통신망에 따라 그 형식이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간의 호 메시지의 송수신에 의하여 호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9)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9)에서의 호 연결 수행 결과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 연결의 종료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과의 호 연결의 종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호 종료가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과의 호 연결까지 종료하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의 호 처리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 및 발신 단말기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제 3의 시스템으로 상기 착신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고, 이와 독립적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와 호를 연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의 자동응답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꺼져 있는 경우이거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나열한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 이 되지 않는 경우는 예시에 불과하며, 실제로 착신 단말기의 통화불능 사유는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통화불능 사유에 의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에도 권리범위를 미친다.
단계(S110)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추출은 단계(S10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단계(S110)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함에 따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정보 송신은 단계(S10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단계(S111)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계(S1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 연결의 수행은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 상호간에 통화를 위한 호 처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일반적인 전화 서비스를 위한 호 연결 수행절차를 의미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101) 내지 단계(S111)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위해 전화 서비스에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첫째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을 때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자동응답을 ON 상태로 한 경우에만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된다.
둘째로, 상기 착신 단말기가 꺼져 있을 때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라면, 상기 착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상태가 OFF일 지라도 상기 발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송신된다.
셋째로, 전화기가 켜져 있고, 상기 자동응답 상태가 OFF이고, 그리고 일정기간 동안 연결신호가 울려도 상기 착신 단말기가 응답이 없을 때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라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송신된다.
넷째로, 전화기가 켜져 있고, 상기 자동응답 상태가 OFF이고,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자동응답서비스에 가입된 단말기라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송신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본 발명에 의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한 해석 되거나 한정 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101)는 단계(S201) 내지 단계(S203)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받을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하기 위해서, MMS MO(Multimedia Message Service Mobile Originated)서비스, MO(Mobile Originated)서비스, 웹 서비스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하는 방식을 MMS MO 서비스, MO 서비스, 웹 서비스 또는 WAP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MMS MO 및 MO 서비스를 이용한 등록 방식을 살펴보면, 단말기 사용자는 직접 제작하거나, 또는 웹이나 WAP 등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예를 들면, 사진, 동영상, 음악,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를 통신사가 지정한 번호를 이용하여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 보내어 등록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갱신할 수 있다. 특히, MMS MO 서비스를 이용하면 문자 형식의 메시지 이외에 다양한 형식의 메시지 형식에 대한 MO 서비스 지원이 가능할 수 있다.
웹 서비스를 이용한 등록 방식을 살펴보면, 단말기 사용자는 해당 통신사에서 지정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하거나, 또는 상기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샘플 메시지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WAP은 웹 서비스의 경우와 동일하며, 유선 인터넷 페이지가 아니라 무선 페이지에 접속한다는 것만 다를 뿐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 별로 여러 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를 정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시스템과 독립하여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만을 따로 분리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매칭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 A의 사용자가 단계(S201)을 수행하여 3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에 등록시켰다면,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 A가 착신 단말기로 동작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3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계(S203)에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응답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상기 발신 단말기에 제공해야 할 기본멘트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디폴트는 상기 기본멘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 단말기로에게 상기 기본멘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에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호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착신 단말 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102)는 단계(S301) 내지 단계(S303)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301)에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는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식별 정보, 가입자 정보 및 단말기 종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가입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어 직접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가 속한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를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가 서로 매칭되어 유지될 수 있다.
단계(S302)에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 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 가입자 번호 자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나아가 단말기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숫자 및 암호 체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단말기 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 터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303)에서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추출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는 유/무의 형태로 단순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식별은 용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기 정해진 키클릭을 통하여 자동응답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동응답을 ON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 기 정해진 키클릭(예를 들면, **11+통화키)하면,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설정을 알리는 신호음을 송신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신호음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은 단음 및 장음 신호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멘트의 형식일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동응답을 OFF상태로 설정하기 위해서 기 정해진 키클릭(예를 들면, **110+통화키)하면, 상기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착신 단말기로 상기 설정을 알리는 신호음을 송신하고, 상기 착신 단말기는 상기 신호음을 상기 착신 단말기의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응답의 ON 상태를 알리는 신호음 및 OFF 상태를 알리는 신호음은 같은 형식의 신호음이거나, 또는 구별되는 신호음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510), 서비스 판단부(520), ON/OFF 상태 판단부(530), 호 연결 수행부(540), 호 연결 종료부(550), 메시지 추출부(560) 및 송신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510)는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ON/OFF 상태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ON/OFF 상태 설정부는 제1 키클릭을 수신하여 자동응답의 ON 상태를 설정하거나, 제2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응답의 OFF 상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키클릭과 상기 제2 키클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51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510)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속한 이통사에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이통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5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받는 등록부(511),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매칭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유지부(512) 및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디폴트 유지부(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MMS MO(Multimedia Message Service Mobile Originated)서비스, MO(Mobile Originated)서비스, 웹 서비스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기 MMS MO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록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사진을 찍어서 텍스트도 같이 작성하여 MMS MO로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서비스 판단부(520)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호 요청 메시지를 참조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판단부(520)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521), 상기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하는 가입 정보 추출부(522) 및 상기 추출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가입 여부 판단부(523)을 포함할 수 있다.
ON/OFF 상태 판단부(530)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상기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기 정해진 키클릭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호 연결 수행부(540)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FF 상태인 경우, 상기 통화 시도에 대한 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호 연결 종료부(550)는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메시지 추출부(56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메시지 추출부(56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메시지 추출부(560)는 상기 호 연결 수행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꺼져 있는 경우이거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송신부(570)는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함에 따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음성정보 송신부 및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하는 디폴트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음성정보 송신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하는 호 연결 종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하는 디폴트 추출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로 발신 정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발신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500)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응답 상태를 설정해 놓거나, 또는 착신 단말기에서 호 설정을 허용 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이나, 또는 지루함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단순한 문자 형식 이외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컨텐츠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부가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간단하게 자동응답 상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자동응답용 멀티미디어 문자 메시지의 등록이 없더라도 기 정해진 디폴트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편리한 사용방안을 상기 착신 및 발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마련한다.

Claims (31)

  1.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으나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이면 소정의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자동응답이 ON 상태이면,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자동응답이 OFF 상태이면, 상기 통화 시도에 대한 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호 연결 수행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제1 키클릭을 수신하여 자동응답의 ON 상태를 설정하거나, 제2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응답의 OFF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1 키클릭과 상기 제2 키클릭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속한 이통사에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이통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받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매칭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MMS MO(Multimedia Message Service Mobile Originated)서비스, MO(Mobile Originated)서비스, 웹 서비스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MS MO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록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사진을 찍어서 텍스트도 같이 작성하여 MMS MO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통화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꺼져 있는 경우이거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로 발신 정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1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설정하는 ON/OFF 상태 설정부;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으나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서비스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인 경우, 소정의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 추출부;
    상기 추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설정된 자동응답의 ON/OFF 상태를 확인하는 ON/OFF 상태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추출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자동응답이 ON 상태이면,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고,
    상기 자동응답이 OFF 상태이면, 상기 통화 시도에 대한 호 처리를 통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여 상기 호 연결 수행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ON/OFF 상태 설정부는,
    제1 키클릭을 수신하여 자동응답의 ON 상태를 설정하거나, 제2 키클릭을 수신하여 상기 자동응답의 OFF 상태를 설정하는 상태 설정부이고,
    상기 제1 키클릭과 상기 제2 키클릭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속한 이통사에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이통사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등록받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매칭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는,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MMS MO(Multimedia Message Service Mobile Originated)서비스, MO(Mobile Originated)서비스, 웹 서비스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MMS MO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록은,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사진을 찍어서 텍스트도 같이 작성하여 MMS MO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4. 삭제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판단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의 착신 단말기 정보 및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화 시도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를 추출하는 가입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정보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의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여부를 판단하는 가입 여부 판단부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6. 삭제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꺼져 있는 경우이거나,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상기 착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착신 단말기가 켜져 있고 일정 기간 내에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하는 호 연결 종료부;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함에 따라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음성정보 송신부; 및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하는 디폴트 추출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화불가 안내 음성정보를 송신하는 음성정보 송신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응답이 ON 상태인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종료하는 호 연결 종료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메시지 관리 센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기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디폴트로 등록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재 추출하는 디폴트 추출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로 발신 정보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발신 정보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기가 자동응답서비스 가입 단말기가 아닌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착신 단말기 상호간에 호 연결을 수행하는 연결 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70039531A 2007-04-23 2007-04-23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01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31A KR101012238B1 (ko) 2007-04-23 2007-04-23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531A KR101012238B1 (ko) 2007-04-23 2007-04-23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33A KR20080095133A (ko) 2008-10-28
KR101012238B1 true KR101012238B1 (ko) 2011-02-08

Family

ID=4015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531A KR101012238B1 (ko) 2007-04-23 2007-04-23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702B1 (ko) 2012-11-16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재의 상태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615A (ko) * 2000-03-29 2001-10-29 손영기 단말기 또는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메모리에 저장한영상이미지파일(정지이미지, 동영상이미지)을 이용한부재중전화 및 영상통화로 왔을 때 음성통화로 받을 때사용하는 영상전송방법
KR20020053501A (ko) * 2000-12-27 200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서버를 이용한 화상단말기의 자동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50033969A (ko) * 2003-10-07 2005-04-14 주식회사데이콤 Mms를 이용한 ars 호스팅 서비스 방법
KR20060108389A (ko) * 2005-04-13 2006-10-18 강시찬 이동통신 가입자 요청에 의한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615A (ko) * 2000-03-29 2001-10-29 손영기 단말기 또는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메모리에 저장한영상이미지파일(정지이미지, 동영상이미지)을 이용한부재중전화 및 영상통화로 왔을 때 음성통화로 받을 때사용하는 영상전송방법
KR20020053501A (ko) * 2000-12-27 200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서버를 이용한 화상단말기의 자동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50033969A (ko) * 2003-10-07 2005-04-14 주식회사데이콤 Mms를 이용한 ars 호스팅 서비스 방법
KR20060108389A (ko) * 2005-04-13 2006-10-18 강시찬 이동통신 가입자 요청에 의한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133A (ko)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7753A1 (en) Call priority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network
JP5232173B2 (ja) サーバ装置、及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US80321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EP3157221B1 (en) Communicatio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in circuit switch domain, and storage medium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N105519148B (zh) 主叫方控制被叫铃声转换输出系统及其方法
KR100589438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28281B1 (ko) 다중 매체간의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970350B1 (ko) 원 링 스팸 처리 방법 및 단말기
KR101065560B1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46395A (ko) IVR 기능을 내장한 VoIP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전화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서비스망 및 그 부가 서비스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426290B1 (ko)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0590188B1 (ko) 블루투스 휴대폰을 이용한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74660B1 (ko) 사용자 등록 전화번호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호 제한 방법 및 상기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21406B1 (ko) 주소록 기반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82795B1 (ko) 영상/음성 안내방송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36259B1 (ko) 영상통화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50051227A (ko) 프레즌스 기능을 응용하여 응답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9714B1 (ko) 자동응답 메시지의 이 메일 전송방법
KR2005003886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자동 음성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KR20130120015A (ko) 사용자 기반의 핸드폰 매너 모드 해제시스템 및 핸드폰 매너 모드 해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