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46B1 -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 Google Patents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46B1
KR101007846B1 KR1020080111942A KR20080111942A KR101007846B1 KR 101007846 B1 KR101007846 B1 KR 101007846B1 KR 1020080111942 A KR1020080111942 A KR 1020080111942A KR 20080111942 A KR20080111942 A KR 20080111942A KR 101007846 B1 KR101007846 B1 KR 10100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elastic memb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ing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3003A (en
Inventor
이재우
김정태
Original Assignee
삼광티엘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티엘티(주) filed Critical 삼광티엘티(주)
Priority to KR1020080111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46B1/en
Publication of KR2010005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0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화가 구현되고, 키입력 작업시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몸체와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이동가이드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몸체는 각 이동가이드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이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제1몸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되는데, 제2몸체는 가이드홈의 일단부에 이동가이드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에 각 이동가이드가 위치시에 상기 제1몸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 hing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Here, the first body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ement guid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second body has guide rails having guide groove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respective movement guide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body moves linear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fter the linear movement ends, the second body has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movement guides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I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드, 경사, 기울기, 힌지 모듈 Mobile terminal, slide, tilt, tilt, hinge module

Description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본 발명은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림화가 구현되고, 키입력 작업시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개인휴대단말기(PDA) 그리고 스마트폰 등이 있는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로 휴대폰은, 외형 및 송수화부의 위치에 따라 바형(bar type), 폴더형(folder type), 플립형(flip type) 그리고 슬라이드형(slide type)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smartphone. Examples of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a bar type and a folder type according to the appearance and location of the handset. type, flip type and slide type.

이러한 휴대폰의 출시 초기에는 바형 및 플립형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소형화가 요구되면서 슬라이드형과 폴더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the early stages of the launch of mobile phones, the bar type and the flip type have been mainstream, but recently, various display functions and miniaturization are required, and the slide type and the folding type have become mainstream.

그 중에서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가 서로 포개어지는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는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Among them,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slid by a slide module connected to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225) 등이 구비되는 하부 본체(220)와,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235) 등이 구비된 상부 본체(2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lower main body 220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225 and an upper main body 230 provided with a display screen 235 and the like on the front surface.

그리고, 상기 상부 본체(230)와 상기 하부 본체(220)는 슬라이드 모듈(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main body 230 and the lower main body 220 are connected by a slide module (not shown).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상부 본체(230)의 후면에 구비되어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미도시)와, 상기 하부 본체(22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 슬라이드 운동하는 슬라이더(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lide module is provided on the rear of the upper body 230, a guide (not shown) for guiding sliding, and a slider (not shown) provided on the lower body 220 for reciprocating slide movement along the guide. It may be made, including.

따라서, 상기 상부 본체(230)와 상기 하부 본체(220)는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서 왕복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본체(230)가 열리거나 닫힐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pper main body 230 and the lower main body 220 can be superim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o allow the reciprocating sliding movement, through which the upper main body 230 can be opened or closed.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서 슬라이딩 되므로, 상부 본체가 이동되어 열린상태에서 상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는 단차(D)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부 본체에 구비되는 키입력부를 이용할 때에 상부 본체에 걸리거나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First, since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are stack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sliding, the upper main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have a step (D) in the open state of the upper main body is moved, thus, the user is provided in the lower main body When using the input unit, there is inconvenience such as being caught by the upper body.

둘째, 슬라이드 모듈이 상부 본체의 하부와 하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완제품의 슬림화가 어렵다.Second, since the slide module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slimming of the finished product is difficult.

셋째, 최근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본체가 기울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모듈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키입력부의 조작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정도의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단차 제거가 어렵고, 구성 품목이 많아지면서 구조가 복잡해지고 가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development of a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body is inclined by using a separate device has been made recently, bu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step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o provide user convenience when operating the key input unit. As the number of items increases,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ice also increas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림화가 구현되고, 키입력 작업시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which is implemented in the slim, and provides improved convenience in key input opera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이동가이드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 그리고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이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1몸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부에 상기 이동가이드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위치시에 상기 제1몸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힌지 모듈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vement guid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Guide rails having guide grooves formed thereon are formed at both ends so that the respective movement guid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guide rails are linear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body after the linear movement is completed. The second body is formed to include a second body that is moved to form a,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ent portion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movement guide to one end of the guide groove It provides a hinge modul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body when the guide is positioned.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제1몸체와 이루는 상기 제2몸체의 기울기는 상기 제1꺽임부의 안착면과 상기 제2꺽임부의 안착면을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body with the first body is an extension line formed by extendi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second bent portion corresponds to the angle form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desirable.

또한, 상기 제2몸체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제2몸체가 직선이동할 때에 연동하여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 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몸체가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 조립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body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while the second body is de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so that the second body operates sta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inclined.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2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에 밀착됨이 바람직하다.And,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The other end of the member is preferabl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는 키입력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동가이드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가 구비되는 메인 조립체; 그리고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이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몸체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메인 조립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되는 전면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조립체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부에 상기 이동가이드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위치시에 상기 메인 조립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on one side, the main assembly is provided with a first body formed on both ends of the movement guid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rt, and the lower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body having guide rail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respective guid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fter the end is completed comprises a front assembly which is mov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assembly, wherein the front assembly is formed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movement guide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assembly when the movement guide is positioned in the first and second bends.

삭제delete

그리고, 경사를 이루는 상기 전면 조립체는 상기 전면 조립체의 전방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입력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상기 메인 조립체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 조립체의 상면이 상기 키입력부와 단차 없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inclined front assembly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assembly in which the front of the front assembly moves upward and the rear moves downward to be lower than the key input portion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front assembly is the key input portion. It is desirable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no step difference.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hinge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힌지 모듈을 이루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결합이 양측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힌지 모듈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높이가 낮아질 수 있어 슬림화가 가능하다.First, sinc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onstituting the hinge module is made at both side portions, the overall h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hinge module can be lowered, making it slim.

둘째, 제2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에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가 구비되어 제1몸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이동가이드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몸체가 직선 및 경사지도록 두축방향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 모듈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의 전면 조립체가 키입력부가 구비되는 메인 조립체와 단차 없이 연속적인 면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키입력 작업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Second, a first bent portion and a second bent portion are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so that the movement guid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body are selectively seated so that the second body is straight and inclined. Two-axis sliding is possible.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hinge module may have a continuous surface of the upper front assembly without a step difference with the main assembly provided with the key input unit, and thus the user may increase convenience in key input work.

셋째,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제2몸체의 구동범위 및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 및 형상 변경시에도 적절한 변경이 용이하고, 힌지 모듈의 구성이 간단하여 부품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가격이 낮아질 수 있어 경제성도 향상될 수 있다.Third, the drive range and angle of the second body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shapes of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so that the proper change is easy even when the size and sha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ng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module is simple. Therefore, the parts can be reduced, and through this, the production price can be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s.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메인 조립체(20)와 전면 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일측에는 키입력부(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타측에는 제1몸체(1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제1몸체(110)의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이동가이드(115)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가이드(115)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131)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3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면 조립체(30)와 상기 메인 조립체(20)는 양측이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힌지 결합이 측면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어 슬림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131)과 상기 이동가이드(115)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전면 조립체(30)는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거나,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상기 메인 조립체(20)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된 상기 전면 조립체(30)는 상기 키입력부(25)와 단차없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전면 조립체(30)에 걸림이 없이 상기 키입력부(25)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2 to 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preferably includes a main assembly 20 and a front assembly 3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input unit 2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assembly 20, and the first body 110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other side, wherein the both ends of the first body 110 have a length. Preferably, the movement guides 115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front assembly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guide rail 130, the guide groove 131 is formed so that the movement guide 115 is coupled. Therefore, both of the front assembly 30 and the main assembly 20 can be hinged to each other, and as the hinge coupling is made from the side, the overall h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lowered, making it slim. Becom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upling state of the guide groove 131 and the movement guide 115, the front assembly 30 is moved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assembly 20, or after the linear movement is finished Preferably, the main assembly 20 is mov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the front assembly 30 moved to make an inclination preferably forms a continuous surface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key input unit 25, and through this, the key input unit () is not caught by the front assembly 30. 25) can be operat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여기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한다.Here, as shown in Figure 3,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e x-axis direction.

그리고, 이후 후술될 폭방향은 y축 방향을, 높이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The width direction to be described later mean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means the z-axis direction.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리도록 상기 전면 조립체(30)가 이동하는 x축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히도록 상기 전면 조립체(30)가 이동하는 x축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x-axis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ssembly 30 is moved forward to op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x-axis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assembly 30 moves to the rear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losed. Will be explained.

상세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조립체(20)와 전면 조립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ferably includes a main assembly 20 and a front assembly 30.

그리고, 상기 메인 조립체(20)에는 장치부(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assembly 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evice portion (21).

여기서, 상기 장치부(21)는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장치부(21)에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부(21)의 상부에는 키입력부(25)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device unit 21 is prefer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assembly 20, the device unit 21 may be provided with a main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device unit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input unit 25 is installed above.

이때, 상기 키입력부(25)는 통상적인 Qwerty 배열의 키(key)가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key input unit 25 may be a key of a conventional Qwerty array.

따라서, 상기 장치부(21)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높이를 이루게 된다.Therefore, the device unit 21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overall constitute the height of the main assembly 20.

또한, 상기 장치부(21)의 일측에는 조립부(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조립부(23)는 상기 장치부(2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부(23)에는 후술할 제1몸체(110)가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ssembly part 2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device part 21, and in this case, the assembly part 23 is preferably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device part 21, and the assembly part ( 23, the first body 11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ssembled.

한편,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상측에는 상기 전면 조립체(3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assembly 3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assembly 20.

그리고,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하부에는 제2몸체(1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nd, the lower body of the front assembly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econd body 120.

여기서,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와 연결되어 힌지 모듈(100)을 이루게 된다.Here, the second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to form a hinge module 100.

이때,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연결은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의 각 사이드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preferably made at each sid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또한, 상기 전면 조립체(30)와 상기 메인 조립체(20)는 상기 힌지 모듈(1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양측은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양측을 감싸듯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ssembly 30 and the main assembly 2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inge module 100, in consideration of this, both sides of the front assembly 30 is the main assembly 20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both sides.

이와 같이, 상기 전면 조립체(30)와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작동에 관여하는 상기 힌지 모듈(100)이 상기 전면 조립체(30)와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측면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림화가 가능하게 된다.As such, the hinge module 100, which is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front assembly 30 and the main assembly 20,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front assembly 30 and the main assembly 20. The overall height of the terminal 10 can be lowered, thereby making it slimmer.

상기 힌지 모듈(100)이 적용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전면 조립체(30)는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상측에서 상기 메인 조립체(20)를 덮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o which the hinge module 100 is applied is closed, the front assembly 30 covers the main assembly 20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assembly 2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열리기 위해서, 상기 전면 조립체(30)는 길이방향의 전방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며,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높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 조립체(20)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 다.In addition, in order to op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front assembly 30 is linearly moved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fter the linear movement is completed, the front assembly 30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predetermined with the main assembly 20. It is preferable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다시 말하면, 상기 전면 조립체(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열리도록 길이방향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외측으로 이동된 전방부(37)가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방부(38)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메인 조립체(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됨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front assembly 30 is moved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op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n the front part 37 moved outwardly of the main assembly 20 moves in the height direction. The rear part 38 is preferably moved to the downward direction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assembly 20.

즉, 상기 전면 조립체(30)는 폭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듯이 이동되어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후방부(38)는 상기 조립부(23)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ront assembly 30 may be inclined by moving as it rotates about the width direction, wherein the rear portion 38 of the front assembly 30 is located in the assembly portion 23. desirable.

나아가,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후방부(38)의 상면은 상기 키입력부(25)에 대응되는 높이를 이룸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38 of the front assembly 30 is preferabl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portion 25.

이를 통해,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상면이 상기 키입력부(25)와 단차 없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면 조립체(30)에 걸림이 없이 편리하게 상기 키입력부(25)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assembly 30 can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key input unit 25, and 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the key input unit without catching the front assembly 30. (25) can be operated.

그리고,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스피커(33)나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35)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assembly 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31, a speaker 33, a navigation key (navigation key) 35 may be further provided.

따라서, 상기 메인 조립체(20)와 경사를 이루어 고정되는 상기 전면 조립체(30)로 인해 사용자가 화면을 보기가 편해질 수 있다.Therefore, the front assembly 30 fixed inclined with the main assembly 20 may allow the user to easily view the screen.

한편, 상기 전면 조립체(30)와 상기 메인 조립체(2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작동시 긁힘 등이 없이 연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 체(120)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조립체(15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to smoothly operate the front assembly 30 and the main assembly 20, and to allow the front assembly 30 and the main assembly 20 to operate without scratching. It is preferred that the elastic assembly 150 is further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을 하측에서 올려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상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below.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모듈(100)은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6 to 8, the hinge module 100 preferably includes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먼저, 상기 제1몸체(110)는 평평한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부(도 5의 23)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0)의 폭 및 길이는 상기 메인 조립체(도 5의 20)의 폭 및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irst, the first body 110 is preferably made of a flat plat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irst body 110 to be assembled to the assembly portion (23 of Figure 5) is the main assembly ( It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and length of 20) of FIG.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부(23)에도 상기 관통공(111)에 대응되는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and fastening groove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11 may also be formed in the assembling unit 23. It can be combined and fixed by (not shown).

또한, 상기 제1몸체(110)의 양측은 상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상향 형성되는 상기 제1몸체(110)의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이동가이드(115)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irst body 110 may be bent upwardly, and both ends of the first body 110 which are upwardly formed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 guides 115 are respectively formed. This is preferred.

여기서, 상기 이동가이드(115)는 상기 제1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vement guide 1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110, it is preferable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110).

그리고,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전면 조립체(도 5의 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조립체(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body 12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assembly 30 to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assembly (30 of FIG. 5).

따라서,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은 하측으로 밴딩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30)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120 may be bent downward, and the guide rails 13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120 to form side surfaces.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레일(130)에는 서로 대향되며 쌍을 이루도록 가이드홈(1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s 131 may be formed on the guide rails 130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form a pair.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31)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상기 이동가이드(115)가 결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groove 131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movement guide 115 is coupled to the inside,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한편,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3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1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홈(131) 및 상기 가이드레일(130)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부(1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groove 131 and the guide rail 130 so as to be coupled to the guide rail 130 with the guide groove 131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121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2몸체(120)의 측면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레일(130)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외측에는 고정플레이트(140)가 구비되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47)에 의해 상기 제2몸체(12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late 14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guide rail 130 to prevent the guide rail 130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120 from being detached, such as a bolt. I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120 by.

따라서, 상기 이동가이드(115)는 상기 가이드홈(131)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Thus, the movement guide 115 is able to maintain a stat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31, through which,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way, linear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possible.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31)의 일단부에는 상기 이동가이드(115)의 형성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제1꺽임부(133)와 제2꺽임부(13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ent portion 133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35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131 at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interval of the movement guide 115.

여기서, 상기 제1꺽임부(133)는 상기 가이드레일(130)이 상기 제2몸체(120) 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31)의 길이방향의 후방 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몸체(12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bent portion 133 is preferably formed at the rea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131 in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rail 13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120, 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120).

그리고, 상기 제2꺽임부(135)는 상기 각 이동가이드(115)의 형성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기 제1꺽임부(133)로부터 전방에 형성되되, 상기 제2몸체(12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bent portion 135 is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bent portion 133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intervals of the respective movement guides 115,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120 It is preferable to form.

이에 따라, 상기 제2몸체(120)가 상기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의 전방으로 이동을 계속하여 끝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꺽임부(133)와 상기 제2꺽임부(135)에 상기 이동가이드(115)가 위치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body 120 continues to move fo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to the end, the first bent portion 133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35 The movement guide 115 is located at.

따라서, 상기 제2몸체(120)의 전방이 높이 방향의 상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2몸체(120)의 후방이 하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Therefore, the front of the second body 120 is rotated to the upp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rear of the second body 120 is moved to the lower side while the second body 120 is the first body I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110.

이를 통해,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직선이동하게 되고,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제1몸체(110)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second body 120 may be linear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body 110 after the straight movement is completed. Will be.

여기서,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가 이루게 되는 기울기는 상기 각 이동가이드(115)가 밀착하게 되는 상기 제1꺽임부(133)의 안착면(134)과 상기 제2꺽임부(135)의 안착면(136)을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장선(L)이 상기 제1몸체(110)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도(θ)에 대응되게 된다.Here,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is the seating surface 134 and the first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movement guide 115 An extension line L formed by extending the seating surface 136 of the two-folded part 135 corresponds to the angle θ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따라서, 상기 제2몸체(120)의 구동 범위 및 경사 각도 등의 조절은 상기 각 꺽임부(133,135)와 이동가이드(115)의 형상을 적절히 조절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 로, 상기 힌지 모듈(100)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 등에 따라 용이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adjustment of the driving rang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body 120 may be perform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shapes of the bent portions 133 and 135 and the movement guide 115, so that the hinge module 100 may be adjusted. Easy application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applied.

한편, 상기 제1꺽임부(133)와 상기 제2꺽임부(135)의 형상에 특정한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제1꺽임부(133)와 상기 제2꺽임부(135)에 상기 이동가이드(115)가 자연스럽게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hape of the first bent portion 133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35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movement guide is provided to the first bent portion 133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35. Preferably, the 115 is formed so that it can naturally flow in and out.

이를 위해, 상기 각 꺽임부(133,135)는 높이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몸체(120)의 회전이 더욱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bent portions (133, 135) may be formed obliquely in the height direction, there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120 can be made more naturally.

또한, 상기 제1꺽임부(133)와 상기 제2꺽임부(135)는 상기 각 꺽임부(133,135)의 안착면(134,136)을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장선(L)이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bent portion 133 and the second bent portion 135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extension line (L) formed by extending the seating surface (134, 136) of the respective bent portions (133, 135) to form a straight line.

이를 통해, 상기 각 이동가이드(115)는 상기 각 꺽임부(133,135)에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몸체(120)가 경사진 상태에의 하중이 상기 이동가이드(115)와 상기 각 꺽임부(133,135)에 고르게 가해져 상기 이동가이드(115) 및 상기 가이드홈(131)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내구성도 증가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each of the movement guides 115 may be uniform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bent portions 133 and 135, whereby the load in the inclined state of the second body 120 is transferred to the movement guide 115. And it is evenly applied to each of the bent portion (133, 135) can be prevented from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movement guide 115 and the guide groove 131,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한편,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사이에는 탄성 조립체(15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assembly 150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can be made smoothly.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탄성 조립체(150)는 제1탄성부재(160)와 제2탄성부재(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astic assembly 15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6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70.

먼저,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일단부(161)는 상기 제1몸체(110)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일단부(161)는 상기 결합공(11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First, one end 161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13 formed in the first body 110, wherein the one end 161 is the coupling hole ( And rotatably coupled to 113).

여기서, 상기 제1탄성부재(160)는 통상의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Here,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may be a conventional torsion spring.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170)는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의 사이에 구비되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를 탄발 지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both ends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support the ball shot.

이를 위해, 상기 제2탄성부재(170)는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preferably bent to correspond to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170)의 일단부(171)는 상기 제2몸체(120)에 형성되는 결합홈(12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end 171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3 formed in the second body 120 to be rotatable.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17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몸체(110)와의 밀착면이 증가되도록 평평한 형상의 가압부(17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부(175)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타단부(165)가 일체가 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preferably formed with a flat pressing portion 175 to increas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first body 110, the pressing portion 175 is the first 1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165 of the elastic member 160 is connected to be integral.

여기서, 상기 제2탄성부재(170)는 통상의 절곡 스프링(wave shape spring)일 수 있다.Here,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may be a conventional wave shape spring.

이에 따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부가 제1지점(P1)에 위치되는 상 기 제2몸체(1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몸체(120)에 결합된 상기 제2탄성부재(170)도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when the second body 120 having the front portion positioned at the first point P1 moves forward, the second elastic body coupled to the second body 120 is moved. The member 170 is also moved in conjunction.

그런데, 상기 탄성 조립체(15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 조립체(150)는 변형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은 주로 상기 제1탄성부재(160)에서 발생하게 된다.However, both ends of the elastic assembly 150 are coupled to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so that the elastic assembly 150 is deformed. 1 occurs in the elastic member 160.

즉, 상기 제1탄성부재(160)에는 뒤틀림 변형이 발생되어 탄성력이 발생되고, 상기 탄성력은 상기 제2몸체(120)를 원래의 제1지점(P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has a twisting deformation is generat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the elastic force acts as a restoring force for moving the second body 120 to the original first point (P1).

한편, 상기 제2탄성부재(170)는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를 각각 탄발 지지하면서 상기 제2몸체(120)가 덜컹거림이나 헐렁함 등이 없이 길이방향으로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the rattling or baggage, etc. while the second body 120 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This will allow you to move smoothly and reliably.

여기서, 상기 제2몸체(1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의 작용이 정지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몸체(12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when the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for moving the second body 120 is stopped, the second body 120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Of course.

그리고, 상기 제2몸체(120)의 이동이 계속되어 상기 제2몸체(120)가 제2지점(P2)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탄성부재(160)는 한계점 부근까지 압축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120 continues and the second body 120 moves to the second point P2,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is compressed to near the limit point.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70)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홈(123)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2탄성부재(17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177)가 상기 결합홈(123)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125)을 따라 회전함에 따 라 상기 제2탄성부재(170)의 회전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rotated in a stat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3, the rotation guide 177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the coupling As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rotates along the rotation guide groove 125 formed in the groove 12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otation may be stably performed.

한편, 상기 제2몸체(120)의 이동이 전방으로 계속되면 상기 결합홈(123)이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일단부가 결합된 상기 결합공(113)보다 전방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압축이 해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120 continues to the front the coupling groove 123 is located in front of the coupling hole 113,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is coupled to the first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 160 is released.

따라서, 압축이 해제된 상기 제1탄성부재(160)가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몸체(120)의 이동은 계속되게 된다.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120 is continu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which has been decompress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그리고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70)의 탄발 지지력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115)가 상기 각 꺽임부(133,135)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2몸체(120)의 전방은 올라가게 되고, 상기 제2몸체(120)의 후방은 내려가게 되면서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2몸체(120)는 각도(θ)를 이루게 되면서 동작이 완료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ement guide 115 is seated on each of the bending portions 133 and 135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and the front of the second body 120 is raised, and the second As the rear of the body 120 is lowere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form an angle θ, thereby completing the operation.

그리고, 다시 외력이 상기 제2몸체(120)에 후방으로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2탄성부재(170)가 압착되면서 상기 각 이동가이드(115)는 상기 각 꺽임부(133,135)에서 이탈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acts backward to the second body 120, the second elastic member 170 is compressed and the moving guides 115 are separated from each of the bending parts 133 and 135.

따라서, 상기 제2몸체(120)의 후방은 상승하고, 전방이 하강하게 되고, 이후, 상기 제1탄성부재(160)의 탄성력이 더해져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후방으로 직선이동하여 원래의 제1지점(P1)으로 복귀하게 된다.Therefore, the rear of the second body 120 is raised, the front is lowered, and the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60 is added, so that the second body 120 is the first body 110 Linearly moves to the rear of the to return to the original first point (P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ewed from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을 하측에서 올려본 분해 사시도.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ewed from belo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의 동작을 나타낸 상태도.8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이동통신 단말기 20: 메인 조립체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in assembly

21: 장치부 23: 조립부21: device portion 23: assembly portion

25: 키입력부 30: 전면 조립체25: key input section 30: front assembly

31: 디스플레이부 100: 힌지 모듈31: display unit 100: hinge module

110: 제1몸체 113: 결합공110: first body 113: coupling hole

115: 이동가이드 120: 제2몸체115: movement guide 120: second body

121: 결합부 123: 결합홈121: coupling portion 123: coupling groove

125: 회전가이드홈 130: 가이드레일125: rotation guide groove 130: guide rail

131: 가이드홈 133: 제1꺽임부131: guide groove 133: first bent portion

134,136: 안착면 135: 제2꺽임부134, 136: seating surface 135: second bent portion

140: 고정플레이트 150: 탄성 조립체140: fixed plate 150: elastic assembly

160: 제1탄성부재 170: 제2탄성부재160: first elastic member 170: second elastic member

175: 가압부 177: 회전가이드175: pressure unit 177: rotation guide

L: 연장선 P1: 제1지점L: Extension line P1: First point

P2: 제2지점 θ: 각도P2: second point θ: angle

Claims (8)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이동가이드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 그리고A first body having movement guid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And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이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 상기 제1몸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Guide rails having guide grooves formed thereon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so that the respective movement guid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guide rails are linear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after the linear movement is completed, the guide rails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body. It is made including a second body that is moved to achieve, 상기 제2몸체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부에 상기 이동가이드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위치시에 상기 제1몸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힌지 모듈.The second body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body when the respective movement guides are positioned at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movement guides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Hinged module inclined to.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몸체와 이루는 상기 제2몸체의 기울기는 상기 제1꺽임부의 안착면과 상기 제2꺽임부의 안착면을 연장하여 이루어지는 연장선이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모듈.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body formed with the first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line formed by extendi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first bent portion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second bent portion corresponds to an angle form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Hinge modu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몸체가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는 상기 제2몸체가 직선이동할 때에 연동하여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몸체가 경사지게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 조립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모듈.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body to provide a resilient force while the second body is de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body and the linear movement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so as to operate stably, the second body is inclined The hing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1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제2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모듈.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oth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hing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body. 일측에는 키입력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동가이드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몸체가 구비되는 메인 조립체; 그리고A main assembly provided with a key input part at one side, and a first body at each other having movement guid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t both ends thereof; And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결합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레일이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2몸체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조립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직선이동이 종료된 후에는 상기 메인 조립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이동되는 전면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rt, and the lower part is provided with a second body having guide rail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respective guid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linear body moves linear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assembly. After the termination is made to include a front assembly which is mov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assembly, 상기 전면 조립체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부에 상기 이동가이드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꺽임부와 제2꺽임부에 상기 각 이동가이드가 위치시에 상기 메인 조립체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front assembly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main assembly when the respective movement guides are positioned at the first and second bent portions form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gaps of the movement guides at one end of the guide gro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경사를 이루는 상기 전면 조립체는 상기 전면 조립체의 전방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후방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입력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상기 메인 조립체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 조립체의 상면이 상기 키입력부와 단차 없이 연속적인 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inclined front assembly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assembly in which the front of the front assembly moves upward and the rear moves downward to be lower than the key input portion so that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assembly is stepped with the key input por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ntinuous surface without.
KR1020080111942A 2008-11-12 2008-11-12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KR101007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942A KR101007846B1 (en) 2008-11-12 2008-11-12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942A KR101007846B1 (en) 2008-11-12 2008-11-12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003A KR20100053003A (en) 2010-05-20
KR101007846B1 true KR101007846B1 (en) 2011-01-13

Family

ID=4227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942A KR101007846B1 (en) 2008-11-12 2008-11-12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4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895A (en) *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convenient visual/acoustic feeling and sliding-cradling apparatus thereof
KR20070091439A (en) * 2006-03-06 2007-09-11 이근주 Slide/hinge apparatus of portable unit
KR20070106367A (en) * 2006-04-2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tilt unit and mobile appliance adop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8895A (en) *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phone with convenient visual/acoustic feeling and sliding-cradling apparatus thereof
KR20070091439A (en) * 2006-03-06 2007-09-11 이근주 Slide/hinge apparatus of portable unit
KR20070106367A (en) * 2006-04-28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tilt unit and mobile appliance adop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003A (en)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51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JP3959086B2 (en) Slider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020910B2 (en) Module for slide-type mobile phone
US7567830B2 (en) Rotating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29525B2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035126B1 (en) Slide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with built-in key pad
KR101733808B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00808B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CN1964375A (en) Sliding module of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1007846B1 (en) hing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inge module
KR100827740B1 (en) Elastic module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having the elastic module
KR100796944B1 (en) Elastic module using integrate-type spring wound on both directions by spiral form,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e having the elastic module
KR20080028252A (en) Sliding type mobile phone and semi-automatic sliding unit thereof
KR100998879B1 (en) Hinge Module
KR100721175B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0450178Y1 (en) Elastic link module for mobile terminal, and slide hinge device using same
KR200419226Y1 (en) Slide hinge module
KR101013185B1 (en) Slid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47416A (en) Cellular phone slim slide-hinge assembly
KR20120058389A (en) Elastic Driving Device for Sliding Hinge
KR200411625Y1 (en) Slim Sliding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KR101019679B1 (en)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100056862A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