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704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704B1
KR101007704B1 KR1020080104333A KR20080104333A KR101007704B1 KR 101007704 B1 KR101007704 B1 KR 101007704B1 KR 1020080104333 A KR1020080104333 A KR 1020080104333A KR 20080104333 A KR20080104333 A KR 20080104333A KR 101007704 B1 KR101007704 B1 KR 101007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value
unit
sound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45238A (en
Inventor
배경원
권영재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704B1/en
Publication of KR2010004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7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2Sensors
    • B81B2201/0285Vib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10/00Microphones
    • H04R2410/05Noise reduction with a separate noise mic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선실의 소음 상태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음향 출력 장치는 소음 측정부, 저장부, 출력 제어부, 표시부, 입력부, 중요도 입력부 및 음향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각 선실의 소음 상태에 따라, 음성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없는 경우에도, 비음성 신호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Disclosed are a sound output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 noise state of a cabin. The sound output device includes a noise measuring unit, a storage unit, an output control unit,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a importance input unit, and a sound out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voice signal cannot be effective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noise state of each cabin, the meaning of the voice signal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using a non-voice signal.

선박, 소음, 음향 제어, 음성 신호, 비음성 신호 Ship, noise, sound control, voice signal, non-voice signal

Description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output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현대 사회에서 선박은 여행, 화물 운송, 국가 방위 등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된다. 그리고, 선박은 페리보트(ferryboat), 크루저(cruiser) 또는 기타 선박 등의 여객 운송선, 화물 운송선 및 상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ships ar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travel, freight, and national defense. In addition, the vessel may be classified into a ferryboat, cruiser or other vessels such as passenger ships, cargo ships and merchant ships.

선박은 객실, 기관실 등과 같은 선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선실에는 중앙 통제실과 연결된 스피커 장치가 있어, 중앙 통제실로부터의 지시나 안내사항 등의 정보를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선박은 주기관, 보조기관, 추진축, 추진기, 프로펠러, 엔진, 모터 기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계 장치 및 전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운항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계 장치 및 전기, 전자 장치의 가동, 선박의 운항에 의한 바람, 파도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불가피하게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한다. 특히 선체는 전체가 금속 등의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기관실 등의 일 부 선실에서의 전기, 기계적 진동에 의해 선체 전체가 진동하고, 선실 격벽의 철 구조물 등에 의해 하울링(howling) 및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선체는 수상 운행을 그 주된 목적으로 하므로, 각 선실들은 상호 독립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수 등의 목적을 위한 각 선실간 밀폐 구조 역시 잘 갖추어져 있다. The ship is divided into cabins such as cabins and engine rooms, and each cabin has a speaker device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room so that it can listen to information such as instructions and instructions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The ship operates by using various mechanical devices such as main engines, auxiliary engines, propulsion shafts, propellers, propellers, engines, motor gears, an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Due to the elements such as wind, waves and the like, noise and vibration are inevitably generated. Particularly, the hull is entirely formed of an integral structure such as metal, and the entire hull vibrates by electric and mechanical vibration in some cabins such as an engine room, and howling and noise are generated by the steel structure of the cabin bulkhead. . In addition, since the hull is the main purpose of the water operation, each cabin is composed of mutually independent structure, and the inter-cabin airtight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waterproofing is also well equipped.

그러나, 이러한 선박의 독특한 구조상, 객실, 식당, 기관실 등과 같은 선실간 소음상태는 서로 큰 차이를 보인다. 각 선실간 소음상태의 차이에 의해 중앙통제실에서 일괄적으로 송신하는 음향 신호는, 각 선실 내에 있는 사람에게 서로 다르게 전달될 수 밖에 없다. 즉, 조용한 객실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는 소리가 지나치게 크게 들릴 수 있으며, 기관실과 같이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람이 음향 신호를 느낄 수 없을 수도 있다. 또한, 같은 기관실 내부라 하더라도, 기관실의 기계장치가 동작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있는 동안과, 선박이 정박하고 있는 등 기계 장치가 동작하지 않아 소음이 적게 발생하고 있는 동안의 경우, 기관실에 전달되는 음향 신호가 기관실 내의 사람에게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due to the unique structure of these ships, the noise levels between cabins such as cabins, restaurants, engine rooms, etc. show a great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oise condition between the cabins, the acoustic signals that are collectively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must be transmitted differently to the people in each cabin. That is, the sound may be excessively loud for a person inside a quiet room, and in a noisy place such as an engine room, a person may not be able to feel the acoustic signal. Even in the same engine room, the sound transmitted to the engine room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achinery in the engine room while noise is being generated, or during the period when the machinery is not operating due to the ship's berth while generating less noise. There is a problem that signals may feel differently to people in the engine room.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선실의 소음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선실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음향 신호를 전달하는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ound output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measuring the noise state of each cabin, by using this to effectively transmit the sound signal to the person inside each cabin.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향 신호의 중요도에 따라 음향 신호의 종류를 달리 하는 음향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output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varying the type of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ound signal.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ound output device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입력된 음성이 출력되는 음향 출력부가 설치된 구역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소음의 소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음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미리 설정된 비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소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음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음 측정값에 상응하는 크기로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ois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noise of the area in which the sound output unit to which the input voice is output; And when the measured noise value of the measured noi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oise threshold,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unit to output a preset non-voice signal, or when the noise measured value is smaller than a preset noise threshold, The output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ound output unit to output the input voice signal in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중요도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중요도값에 상응하여 비음성 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거나, 음성 신호의 크기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제어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n output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the non-voic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value input from the importance input unit, or further controls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방법은, 입력된 음성이 출력되는 음향 출력부가 설치된 구역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단계; 및 상기 측정된 소음의 소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음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미리 설정 된 비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소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음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음 측정값에 상응하는 크기로 상기 입력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신호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A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noise of the area in which the sound output unit to which the input voice is output; And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of the measured noi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noise threshold, controlling the sound output unit to output a preset non-audio signal, or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a preset noise threshold. And an outpu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sound signal to output the input voice signal in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선실의 소음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선실 내부에 있는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easuring the noise state of each cabi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ansmit the acoustic signal to the person inside each cabi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음향 신호의 중요도에 따라 음향 신호의 종류 또는 크기를 달리 하여 음향 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transmit the sound signal by varying the type or size of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sound sig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 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소음 측정부(100), 저장부(200), 출력제어부(300), 표시부(400), 입력부(500), 중요도 입력부(600) 및 음향 출력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소음 측정부(100) 및 음향 출력부(700)를 제외하고는 중앙 통제실에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선박내의 어디에라도 위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Referring to FIG. 1, the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noise measuring unit 100, a storage unit 200, an output control unit 300, a display unit 400, an input unit 500, an importance input unit 600, and an audio output unit ( 700). Here, the sound output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being located in the central control room except for the noise measuring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700. However, not limited to this, it is obvious that the sound output control device can be located anywhere in the ship.

소음 측정부(100)는 선실의 소음을 입력 받는 수단이다. 선실의 소음은 예를 들면, 마이크 등 오디오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오디오 입력 장치는 소정의 주기에 따라 또는 연속적으로 선실의 소음을 입력 받을 수 있다. The noise measuring unit 100 is a means for receiving noise of a cabin. The noise of the cabin may be input through, for example, an audio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and the audio input device may receive the noise of the cabi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continuously.

또한, 소음 측정부(100)는 오디오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소음을 측정하여 출력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noise measuring unit 100 measures the noise input through the audio input device and transmits the noise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0.

저장부(200)는 소음 측정값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CD롬(CE-ROM), 레이저디스크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소음 측정값은 순시값, 평균값, 분산값, 표준편차값 및 미리 설정된 소음 기준값과 순시값의 차이값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0 is a means for storing the noise measurement value,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Flash memory), hard disk, floppy disk, CD-ROM (CE-ROM), laser disk And the like. The noise measured value may be any one of an instantaneous value, an average value, a dispersion value, a standard deviation value, 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preset noise reference value and an instantaneous value.

저장부(200)는 소음 임계값 및 비음성 신호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00)는 소음 임계값 및 비음성 신호를 출력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비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가 아닌 벨소리, 종소리, 음악소리, 사이렌소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소음 임계값은 출력 제어부(300)에서 결정되는 음향 신호가 비음성 신호이어야 하는 경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값을 의미한다. 저장되는 소음 임계값은 하나 이상의 경우일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00 may further store the noise threshold value and the non-voice signal. The storage unit 200 transmits the noise threshold value and the non-voice signal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0. The non-voice signal may be any one or more of various kinds of sound signals, such as a ringtone, a bell, a music, a siren, and the like, not a voice signal. The noise threshold value means a value that is a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ound signal determined by the output controller 300 should be a non-voice signal. The noise threshold stored may be one or more cases.

출력 제어부(300)는 소음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소음 측정값을 소음 임계값과 비교한다. The output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nois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noise measuring unit 100 with a noise threshold value.

출력 제어부(300)는 비교 결과,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보다 큰 경우, 음향 출력부(700)가 설치된 선실 또는 구역에 음성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비음성 신호를 상응하는 크기로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7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소음 임계값은 예를 들어 인간이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없는 소음 크기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larger than the noise threshold value, the output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voic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cabin or the area where the sound output unit 700 is installed, and corresponds to the preset non-voice signal. The sound output unit 700 is controlled to output in size. Here, the noise threshold may be, for example, a noise level at which a human cannot hear a voice signal.

또한, 출력 제어부(300)는 비교 결과,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소음 측정값에 상응하는 크기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음향 출력부(70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output controller 300 controls the sound output unit 700 to output a sound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noise threshol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표시부(400)는 소음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소음 측정값을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컴퓨터 또는 노트북의 표시화면, 기타 다양한 형태의 시각적 장치일 수 있 다. 표시부(400)는 출력 제어부(300)에서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와 크기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400 is a means for displaying the nois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noise measuring unit 100, and may be a display screen of a computer or a notebook or other various types of visual devices. The display unit 400 may further display the type and size of the acoustic signal determined by the output controller 300.

입력부(500)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 제어부(300)로 전달해 주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와 같은 오디오 입력 장치 일 수 있으며, 숫자, 문자, 특수 문자, 특수 기능키(function key)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키보드, 통신장치의 키패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500 is a means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output control unit 300. For example, it may be an audio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and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composed of numbers, letters, special characters, special function keys, or a combination thereof, a keypad of a communication device, a mouse, a touch screen, and the like. Can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중요도 입력부(60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의 중요도값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중요도값을 출력 제어부(300)로 전달한다. 중요도 입력부(600)는 숫자, 문자, 특수 문자, 특수 기능기(Function Key)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키보드, 통신장치의 키패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중요도값은 디폴트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중요도1, 중요도2, 중요도3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값 중 하나일 수 있다.The importance input unit 600 receives an importance value of a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transmits the received importance value to the output controller 300. The importance input unit 600 may be configured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composed of numbers, letters, special characters, special functions, or a combination thereof, a keypad of a communication device, a mouse, a touch screen, and the like. The importance value may be set as a default value, and may be one of various types of values, for example, importance 1, importance 2, and importance 3.

음향 출력부(700)는 출력 제어부(300)로부터 전달 받은 음향 신호를 선실로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유선 스피커, 무선 스피커와 같은 음향 장치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음향 신호는 음성 신호와 비음성 신호가 모두 포함되는 청각 신호를 의미한다.The sound output unit 700 is a means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output control unit 300 to the cabin, it may be obvious that the sound device such as a wired speaker, a wireless speaker. The sound signal refers to an auditory signal including both a voice signal and a non-voice signal.

도 1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향출력제어장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 the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vibration.

진동 측정부는 음향 출력부(700)가 설치된 구역 또는 선실의 진동을 측정한다. The vibra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vibration of the area or cabin in which the sound output unit 700 is installed.

음향출력제어장치는 소음 측정값과 더불어 측정된 진동 측정값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부(7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출력 크기 및 음향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he sound output size and the type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700 using the measured vibration measurement value together with the noise measurement valu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제어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출력 제어부(300)는 판단부(310) 및 음향 결정부(320)를 포함한다.The output controller 300 includes a determiner 310 and an acoustic determiner 320.

판단부(310)는 소음 측정부(100)로부터 전달 받은 소음 측정값과 저장부(200)로부터 전달 받은 소음 임계값을 비교하여, 음향 출력부(700)로 출력될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한다. The determination unit 310 compares the noise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noise measurement unit 100 with the noise threshold value received from the storage unit 200 to determine the type of sound signal to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700. .

판단부(310)는 우선,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음향 출력부(700)로 출력될 음향 신호로서 비음성 신호를 선택하고,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음향 신호로서 음성 신호를 선택한다. 소음 측정값과 소음 임계값이 동일한 경우는,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미만 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소음 임계값이 100dB이고, 소음 측정값이 110dB인 경우, 출력될 음향 신호로서 비음성 신호를 선택하고, 소음 측정값이 50dB인 경우, 음성 신호를 선택한다.The determination unit 310 first selects a non-audio signal as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 700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noise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noise threshold value, the sound The audio signal is selected as the signal. If the noise measurement value and the noise threshold value are the same, it is apparent that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either of the cases where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below or above the noise threshold valu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noise threshold is 100 dB and the noise measurement is 110 dB, a non-voice signal is selected as the sound signal to be output, and when the noise measurement is 50 dB, a voice signal is selected.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음향 결정부(320)는 중요도 입 력부(600)을 통해 입력된 중요도값에 상응하도록 비음성 신호의 종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중요도값이 1인 경우, 비음성 신호로서 음악소리가 선택되고, 중요도값이 2인 경우, 종소리가 선택되고, 중요도값이 3인경우, 사이렌소리가 선택된다.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exceeds the noise threshold, the sound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he type of the non-voice signal to correspond to the importance value input through the importance input unit 600. For example,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1, music sound is selected as the non-voice signal,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2, a bell is selected, and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3, a siren sound is selected.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음향 결정부(320)는 소음 측정값에 상응하도록,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소음 측정값이 50dB인 경우, 음성 신호의 크기를 70dB로 결정하고, 소음 측정값이 60dB인 경우, 음성 신호의 크기를 80dB로 결정한다. 소음 측정값과 음성 신호의 크기의 상관관계는 여러 가지 수학적 관계가 될 수 있다.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noise threshold value, the sound determination unit 320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ice signal to correspond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For example,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50dB, the amplitude of the voice signal is determined as 70dB, and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60dB, the amplitude of the voice signal is determined as 80dB.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ise measurement and the magnitude of the speech signal can be several mathematical relationships.

다음으로, 음향 결정부(330)는 중요도값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가 더 큰 값이 되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어, 소음 측정값이 50dB이고, 중요도값이 1인 경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80dB로 결정하고, 중요도값이 2인 경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를 90dB로 결정한다. Next, the sound determination unit 330 adjusts the size of the output voice signal to be larger according to the type of importance value. For example,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50 dB and the importance value is 1, the amplitude of the output audio signal is determined as 80 dB, and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2, the amplitude of the output voice signal is determined as 90 dB.

음성 신호의 크기가 조절되는 기능은 AMP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AMP의 이득을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하드웨어적 방법 또는 소프트웨어적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amplitude of the voice signal may be obtained by adjusting the gain of the AMP, and may be adjusted by various hardware methods or software methods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gain of the AMP.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우선, 마이크 등의 음향 입력 장치는 소음을 측정하여, 소음 측정값이 생성된다(S310). First, a sound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measures noise and generates a noise measurement value (S310).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의 출력을 요청 받았는지 판단된다(S320). 음성 신호의 출력이 요청되지 않은 경우, 소음 측정값 생성 단계(S310) 계속하여 수행된다. It is determined whether an output of a voice signal is requested from the user (S320). If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is not requested, the noise measurement value generation step S310 is continued.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의 출력이 요청된 경우, 소음 측정값과 소음 임계값이 비교되어(S330)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초과인지, 미만인지, 동일한지 판단된다(S330).When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is requested from the user, the noise measurement value and the noise threshold value are compared (S330), and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determined to be greater than, less than or equal to the noise threshold value (S330).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과 동일한 경우에는,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초과인 경우나, 미만인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와 동일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소음 측정값와 소음 임계값이 동일한 경우는,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포함되어 설명된다. If the noise measurement is equal to the noise threshold, the same steps as in either the case where the noise measurement is above or below the noise threshold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and the noise threshold value are the same,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included and explained when the nois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음향 신호로서 비음성 신호가 선택된다(S330). 비음성 신호는 음성 신호가 아닌 벨소리, 종소리, 음악소리, 사이렌소리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음향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f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noise threshold, the non-voice signal is selected as the sound signal (S330). The non-voice signal may be any one of various kinds of sound signals, such as a ringtone, a bell, a music, a siren, and the like, not a voice signal.

비음성 신호는 중요도값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비음성 신호 중 하나로 결정될 수있다(S340). 예를 들어, 중요도값이 1인 경우 비음성 신호는 음악소리로, 중요도값이 2인 경우 종소리로, 중요도값이 3인 경우 사이렌 소리로 결정된다.The non-voice signal may be determined as one of various kinds of non-voice signal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S340). For example,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1, the non-voice signal is determined as a music sound,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2, a bell sound, and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3, a siren sound.

결정된 비음성 신호는 음향 출력부(700)를 통해 출력된다(S350)The determined non-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700 (S350).

소음 측정값이 소음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음향 신호로서 음성 신호가 선택된다(S330). If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less than the noise threshold value, the voice signal is selected as the sound signal (S330).

음성 신호의 크기는 소음 측정값의 크기에 대응되는 값으로 조절된다(S360). 예를 들어, 소음 측정값이 50dB인 경우, 음성 신호의 크기는 70dB로 결정되고, 소음 측정값이 60dB인 경우, 음성 신호의 크기는 80dB로 결정된다. 소음 측정값과 음성 신호의 크기의 상관관계는 여러 가지 수학적 관계가 될 수 있다. The magnitude of the voice signal is adjusted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noise measurement value (S360). For example, when the noise measurement is 50 dB,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is determined to be 70 dB, and when the noise measurement is 60 dB, the size of the voice signal is determined to be 80 dB.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ise measurement and the magnitude of the speech signal can be several mathematical relationships.

음성 신호의 크기는 중요도값에 따라 더 큰 값이 되도록 조절된다(S370). 예를 들어, 소음 측정값이 50dB이고, 중요도값이 1인 경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는 80dB로 결정되고, 중요도값이 2인 경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크기는 90dB로 결정된다.The magnitude of the speech signal is adjusted to be larger according to the importance value (S370). For example,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50 dB and the importance value is 1, the magnitude of the output audio signal is determined as 80 dB, and when the importance value is 2,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ice signal is determined as 90 dB.

결정된 음성 신호는 음향 출력부(700)를 통해 출력된다(S380).The determined voi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700 (S380).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다.So far, the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그러나, 도3에 예시된 순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단계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3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each step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단계 S340에서 음향의 종류가 결정된 이후, 단계 S360 또는 단계 S370에 의해 출력할 비음성 신호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For example, after determining the type of sound in step S340,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iew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magnitude of the non-voice signal to be output by step S360 or step S370 can be adjus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선실의 소음 상태는 주변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르다. 중앙 통제실에서 각 선실에 음성 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각 선실의 소음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 통제실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음성 신호 및 음성 신호의 중요도가 중앙 통제실에서 입력되면, 음향 출력 제어 장치는 소음 신호가 작은 객실과 같은 곳에는 음성 신호를 작게 하여 출력하고, 소음 정도가 중간인 식당과 같은 곳에는 음성 신호를 크게 하여 출력하며, 소음도가 매우 높아 음성 신호를 크게 하더라도 음성 신호 자체가 인식 될 수 없는 기관실과 같은 곳에는 비음성 신호로서, 벨소리와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The noise level of each cabin varies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f the central control room wants to transmit a voice signal to each cabin, the sound output control unit detects the noise condition of each cabin and displays it on the monitor of the central control room. When the audio signal and the importance of the audio signal are input from the central control room, the sound output control device outputs a small voice signal in a room with a small noise signal and a loud voice signal in a place such as a restaurant with a moderate noise level. The sound level is very high, and even if the voice signal is enlarged, it is a non-voice signal such as an engine room where the voice signal itself cannot be recogn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제어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utput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방법의 순서도 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ound out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음향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sound output control device, 입력된 음성이 출력되는 음향 출력부가 설치된 구역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 및Nois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noise of the area where the sound output unit is output the input voice is output; And 상기 음향 출력부가 설치된 구역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측정부;Vibra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area where the sound output unit is installed; 중요도 값이 입력되는 중요도 입력부;An importance input unit to which an importance value is input; 상기 소음측정부에서 측정된 소음의 소음 측정값 및 상기 진동측정부에서 측정된 진동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고, 상기 중요도 입력부에 입력된 중요도값에 상응하여 상기 음향의 종류 중 비음성 신호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제어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제어 장치.At least one of the type and siz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is controlled by using the noise measurement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noise measuring unit and the vibration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vibration measuring unit, and input to the importance input unit. And an output controller configured to further control at least one of a type and a size of a non-voice signal among the types of sounds in correspondence with the assigned importance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제어부는 소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음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음 측정값에 상응하는 크기로 입력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제어 장치.And the output control unit controls the sound output unit to output an input voice signal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a preset noise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음 측정값은 상기 소음 측정부에 측정한 소음의 순시값, 상기 소음의 평균값, 상기 소음의 표준 편차값 및 상기 소음의 순시값과 미리 설정된 소음 기준 값과의 차이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제어 장치.The noise measured value is any one of an instantaneous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noise measuring unit, an average value of the noise, a standard deviation value of the noise, 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stantaneous value of the noise and a preset noise reference value. Sound output control apparatus to u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향 출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sound output control method, 입력된 음성이 출력되는 음향 출력부가 설치된 구역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단계; A nois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a noise of an area in which the sound output unit to which the input voice is output is installed; 상기 음향 출력부가 설치된 구역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 측정 단계; A vibr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vibration of a region in which the sound output unit is installed; 중요도 값이 입력되는 단계; 및Inputting a importance value; And 상기 소음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소음 측정값 및 상기 진동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진동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종류 또는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어되고, 상기 입력된 중요도 값에 상응하여 상기 음향의 종류 중 비음성 신호의 종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제어되는 출력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제어 방법.At least one of the type or size of the output sound is controlled by using the noise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noise measurement step and the measurement value of vibration measured in the vibration measurement step, and the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importance value And an outpu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type and a size of a non-voice signal among the types of.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출력 제어 단계는 상기 소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음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소음 측정값에 상응하는 크기로 입력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음향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제어 방법.The output control step of the sound output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sound signal so that the input audio signal having a magnitude correspon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when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s smaller than the preset noise threshold valu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소음 측정값은 소음 측정부에 측정한 소음의 순시값, 상기 소음의 평균값, 상기 소음의 표준 편차값 및 상기 소음의 순시값과 미리 설정된 소음 기준값과의 차이값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 제어 방법.The noise measured value is any one of an instantaneous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noise measuring unit, an average value of the noise, a standard deviation value of the noise, 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instantaneous value of the noise and a preset noise reference value. How to control sound outp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04333A 2008-10-23 2008-10-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KR1010077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33A KR101007704B1 (en) 2008-10-23 2008-10-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333A KR101007704B1 (en) 2008-10-23 2008-10-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38A KR20100045238A (en) 2010-05-03
KR101007704B1 true KR101007704B1 (en) 2011-01-13

Family

ID=42273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333A KR101007704B1 (en) 2008-10-23 2008-10-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7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9131B2 (en)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2619A (en) * 1991-12-19 1993-07-09 Fujitsu Ltd Volume control circuit of notification voice
KR19980050322U (en)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Car Audio Volume Control
KR19990026882A (en) * 1997-09-26 1999-04-15 김덕중 Volume control
KR100769593B1 (en) * 2006-03-27 2007-10-23 주식회사 한터기술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ing in tr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2619A (en) * 1991-12-19 1993-07-09 Fujitsu Ltd Volume control circuit of notification voice
KR19980050322U (en) * 1996-12-30 1998-10-07 김영환 Car Audio Volume Control
KR19990026882A (en) * 1997-09-26 1999-04-15 김덕중 Volume control
KR100769593B1 (en) * 2006-03-27 2007-10-23 주식회사 한터기술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ing in t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38A (en)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68660A1 (en) Voice interaction apparatus and automatic interaction method using voice interaction apparatus
WO2007011010A1 (en) Active noise reduction device
US9564114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ethod of controlling sound gener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P3800900A1 (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emitting a masking signal
US9813809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268033B2 (en) Mobile device
US10757514B2 (en) Method of suppressing an acoustic reverberation in an audio signal and hearing device
KR1010077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JPWO2008007616A1 (en) Non-voice utterance input war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4640801B2 (en) Telephone
US20210211546A1 (en) Echo suppression device, echo suppression method, and echo suppression program
JP2010091897A (en) Voice signal emphasis device
KR1016598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And Inducement thereto
JP2012063614A (en) Masking sound generation device
JP5682115B2 (en) Apparatus and program for performing sound masking
JP2008040431A (en) Voice or speech machining device
KR102353771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est sound based hearing threshold and method of the same
JP3926280B2 (en) Speech recognition system
CN112581935A (en) Context-aware speech assistance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14255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adjustment
JP2020201337A (en) Speech processing device and speech processing method
JP7410109B2 (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telecommunications systems, methods of operating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and computer programs
KR101540434B1 (en) Conversation security system and method
JP2003255987A (en) Method, unit, and program for control over equipment using speech recognition
JP2011040831A (en) Headphone and method for canceling digital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