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01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017B1
KR101007017B1 KR1020080060976A KR20080060976A KR101007017B1 KR 101007017 B1 KR101007017 B1 KR 101007017B1 KR 1020080060976 A KR1020080060976 A KR 1020080060976A KR 20080060976 A KR20080060976 A KR 20080060976A KR 101007017 B1 KR101007017 B1 KR 10100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io
location
users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1166A (en
Inventor
서근원
Original Assignee
(주)엠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6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017B1/en
Publication of KR2010000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1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9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s assisted by the navigation device, i.e. the user does not type the complete name of the destination, e.g. using zip codes, telephone numbers, progressively selecting from initial le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호 간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 간 최적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한 후, 검색한 범위 내의 POI를 설정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a location between users using one or more terminal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determine an optimal location or shortest location between us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sets a POI within a searched range after searching a distance.

본 발명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는 제1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제 1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선택된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 2단계;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 승인이 확인되면 상기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제 3단계;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이동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검색 반경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반경 내에서 피오아이를 검색하는 제 4단계; 검색된 상기 피오아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피오아이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approves the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in order to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cond terminal; A third step of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approval is confirmed from the second terminal; A fourth step of setting a search radius using any one or more of arrival time or reach distance informa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searching for PIO within the search radius; 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fth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PIOI as a destination when any one of the found PIOIs is selected.

네비게이션, 단말기, 위치기반, POI Navigation, Terminal, Location Based, POI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본 발명은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호 간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 간 최적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한 후, 검색한 범위 내의 POI를 설정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dentifying a location between users using one or more terminals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determine an optimal location or shortest location between us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that sets a POI within a searched range after searching a distance.

일반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이하 "LBS"라 칭함)는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다양한 응용 시스템 및 서비스를 통칭한다. 최근 위치기반 서비스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 및 서비스 기술의 발달과 휴대폰, PDA, 네비게이션 등 진화에 따라 가장 성장성이 높은 새로운 서비스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In general, a location-based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BS") refers to various application systems and services that accurately identify and utilize a location of a person or a thing. Recently, the location-based service has become the most growthable new service fiel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rvice technology and the evolution of mobile phones, PDAs and navigation.

위치기반 서비스 장치의 위치 정보는 교신하는 근접한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의해 파악되며,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device is identified by an adjacent base station or access point, and provides service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when a request for service information is made from the user.

또한,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 방식의 차세대 위치기반 서비스가 점차 확대되어, GPS를 이용해 위치기반 서비스 장치의 위치를 더욱 세밀하게 파악하여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ext-generation location-based services of the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ethod using satellites are gradually expanded, and the location of the location-based service apparatus is more precisely determined using GPS.

상호 간 위치 정보만을 주고받는 종래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는 서로 위치 정보를 파악하나, 사용자 간 최적의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구체적인 장소 선정에 있어서도 사용자 간 의견 교환을 통해 정해진다. 또한, 모르는 지역일 경우에 장소 선정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only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grasp location information from each other, but have not been able to identify an optimal place or shortest distance between users, and are also determined by exchanging opinions between users in selecting a specific plac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elect a place in an unknown are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상호 간 이동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간 최적의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범위 내의 POI를 선정하도록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one or more terminals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to search for the optimal place or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rang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for selecting a POI within a network.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제 1단계; 상기 제1단말기가 선택된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 2단계;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 승인이 확인되면 상기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제 3단계;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이동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검색 반경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반경 내에서 피오아이를 검색하는 제 4단계; 검색된 상기 피오아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피오아이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step of the first terminal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approves the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in order to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cond terminal; A third step of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approval is confirmed from the second terminal; A fourth step of setting a search radius using any one or more of arrival time or reach distance informa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searching for PIO within the search radius; When any one of the retrieved PIOs is selected, the PIO is selected by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a fifth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PIOI as a destin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정보 검출부;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 리스트, 피오아이의 정보 및 경로 탐색을 위한 지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의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오아이를 검색 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검색 반경 내에 포함되어 있는 피오아이 중 선택된 피오아이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y one or more of one or more second terminal lists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information of PIOI, and map information for path searching;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a search radius of the PIOI using at least one of arrival time or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setting and displaying a selected PIO among the PIOs included in the search radius by the controller.

따라서, 본 발명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 및 장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위치를 확인하여 최적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한 후, 검색한 범위 내의 POI를 선정함으로써 사용자 간 절충된 POI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the location between users by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search for an optimal place or the shortest distance, and then search for a POI within the searched range. By selecting, there is an effect of setting a compromised POI between user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간 이동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를 이용하여 검색 반경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POI를 설정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effect that can set the POI according to the user's situation by setting the search radius using the arrival time or the reach distance by the movement between users.

또한, 본 발명은 POI가 검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상황과 연계된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OI를 설정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effect of setting the POI using another algorithm associated with the user's situation when the POI is not retriev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서 POI를 설정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이동수단에 맞는 POI를 설정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effect of setting the POI suitable for the moving means by applying the moving means by which the user moves by varying the method of setting the POI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검출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입력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1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 input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를 포함한다.The terminal 100 includes a navigation 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cludes a first terminal or a second terminal.

위치 정보 검출부(110)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GPS 또는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0 i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receives the signals of the GPS or the base station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통신부(120)는 단말기 간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전에 위치 정보의 교환에 관한 승인 과정을 거쳐 단말기와의 승인이 이루어질 경우, 위치 정보를 교환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exchanges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erminals. When the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an approval process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before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exchanges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받아 단말기 간 최적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할 때,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to search the optimal place or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the search using the traffic information.

저장부(130)는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 리스트를 저장하고, 경로 탐색을 위한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위치 정보를 교환한 후, 단말기 간 최적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하여 적절한 POI(Point of Interest, 이하 "POI"라 칭함)를 설정하면, POI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POI의 상세 정보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130 stores one or more terminal lists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map information for route search. In addition, after exchang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earching for the optimal place or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to set the appropriate point of intere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I"),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OI to indicate the information about the POI Save it.

POI의 상세 정보는 차를 통해 이동할 경우 주차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POI의 주차상황, POI를 이용해본 사용자들이 부여한 사용자 만족도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단말기가 있을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을 반영하여 대중교통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를 산출하고, 지하철 역이 가까운 곳을 설정하며, POI의 업종별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OI includes a parking situation of the POI, which can confirm whether parking is possible when moving through a car, and user satisfaction given by users who have used the POI. In addition, when ther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one or more terminals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the time of arrival or reach by public transportation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subway station is set close, and the POI is classified by business type. Information such as this is included.

표시부(140)는 위치 정보를 교환한 하나 이상의 단말기 간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POI를 설정하면 그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고, POI의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POI is set using the arrival time or the reach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one or more terminals that exchange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40 sets and displays the POI and displays 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POI.

POI의 관련 정보는 POI가 술집일 경우, 술 광고 등을 할 수 있고, POI의 대 한 음식정보, 위치 등을 나타내는 광고를 포함한다.The related information of the POI may be a drink advertisement when the POI is a bar, and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indicating food information, a location, and the like of the POI.

입력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리스트를 추가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입력받는다. 또한, 단말기 간 최적 장소 또는 최단 거리를 검색한 후, 범위 내에 검색된 하나 이상의 POI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may add a list of termina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nd receive the input us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terminal. In addition, after searching for the optimal place or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it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mong one or more POIs found within the range.

제어부(160)는 GPS 수신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및 입력부(150)를 제어한다.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단말기와 위치 정보가 교환되면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 간의 중간 지점을 기점으로 소정의 검색 반경을 설정하고, 설정된 검색 반경 중 하나 이상의 POI를 나타낸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GPS receiver 110, the communicator 120, the storage 130, the display 140, and the input 150. When location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a terminal selected by a user, a predetermined search radius is set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erminals using arrival time or distance information, and one or more POIs of the set search radius are indicated.

소정의 검색 반경 안에 POI가 나타나지 않으면 범위로 설정된 검색 반경을 확대하거나 검색 반경을 각 단말기의 이동방향으로 편심되게 늘리거나 이동시킨다. 또한, 교차로가 범위에 있으면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아닌 도로에 대해서 이동 방향의 편심된 검색 반경보다 편심의 정도를 적게한 검색 반경을 추가로 설정한다.If the POI does not appear within the predetermined search radius, the search radius set to the range is enlarged or the search radius is eccentrically increased or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each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intersection is in the range, a search radius is further set in which the eccentricity is less than the eccentric search radius in the mov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ad other than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하나 이상의 POI가 검색되면 단말기 간 POI까지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의 합이 작거나 POI의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POI를 선택한다. POI의 정보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으로 선택하며, 기준 우선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POI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If more than one POI is found, the sum of the arrival time or the distance to the POI between terminals is small or one POI is selected using information of the POI. Information of the POI is selected based on the criteria stored in the storage 130, and the criteria priority may be se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POI may be selec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50.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 중 이동통신단말기가 있을 경우, 선택된 POI에 대한 정보를 문자(SMS)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S)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중개서버를 이용한다.When ther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the one or more terminals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OI is transmitted as a text (SMS) or a multimedia file (MMS),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ransmitting data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termediary server is us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의 일실시예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단말기(210), 중개서버(220), 제2단말기(230)로 구성된다.2 is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terminal 210, the intermediate server 220, and the second terminal 230 are configured.

제1단말기(210)는 제2단말기(23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고, 중개서버(220)에서 파악한 제2단말기(230)의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1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230 and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30 identified by the mediation server 220.

제1단말기(210)와 제2단말기(230)의 위치 정보를 각각 교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승인 과정이 필요하다. 제1단말기(210)에서 제2단말기(230)에 위치 정보의 교환에 대한 승인 여부를 요청하고, 제2단말기(230)에서 승인을 수락할 경우, 각 위치 정보를 송수신한다.In order to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30, a predetermined approval process is required. The first terminal 210 requests whether the second terminal 230 approves the exchan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230 accepts the approval,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제1단말기(210) 및 제2단말기(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중개서버(220)가 이동통신단말기인 제1단말기(210) 및 제2단말기(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1단말기(210)와 제2단말기(230)의 중간 지점을 기점으로 적절한 POI가 선택되면, 선택된 POI의 상세 정보 즉, POI의 약도, 전화번호 또는 위치를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로 전송받으며, 멀티미디어 파일로 약도를 포함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When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3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y one of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30, the intermediary server 22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is identifi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addition, when an appropriate POI is selected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30,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OI, that is, a map, a phone number, or a location of the POI, is transmitted as a text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ultimedia file can receive information including directions.

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전송받을 수 있으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은 중개서버(220)에서 전송하거나 이동통신단말기가 아닌 제1단말기(210) 또는 제2단말기(230)에서 전송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 기인 경우에도 각 단말기(210 또는 230)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is may be selected and received by the user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text or multimedia file is transmitted from the intermediate server 220 or from the first terminal 210 or the second terminal 230 is no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nd. In addition,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iginated to include a text or multimedia file to each terminal (210 or 23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단말기는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S310),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제2단말기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통해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S320).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terminal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S310), checks whether the second terminal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and performs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approval process. Enable it (S320).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통신이 가능하면 각각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고(S330),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의 중간 지점을 기점으로 소정의 검색 반경 안에 있는 POI를 검색한다(S340).If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possible, each location information is exchanged (S330), and the POI within a predetermined search radius is searched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S340).

검색한 POI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50),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검색 반경을 넓혀 POI를 재검색한다(S360). 재검색하는 방법에는 검색 반경을 크게하거나,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방향으로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검색 반경을 설정하여 POI를 검색한다. 또한, 검색 반경에 교차로가 포함되면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아닌 도로에 대해서 이동방향의 편심된 검색 반경보다 편심의 정도를 적게한 검색 반경을 추가로 설정하여 검색한다.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arched POI exists (S350), and if it does not exist, the search radius is widened to re-search the POI (S360). In the re-searching method, the POI is searched by increasing the search radius or setting the search radius eccentrically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in a movement dir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addition, when the intersection is included in the search radius, the search radius is further set to search for a road that is less eccentric than the eccentric search radius in the moving direction for the road that is no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검색한 하나 이상의 POI 중 최적의 POI를 선택하며(S370), 최적의 POI를 선택하는 방법은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POI까지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의 합이 작은 것을 선택하거나 POI의 상세 정보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POI의 상세 정보는 POI의 주차정보 또는 사용자 만족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optimal POI is sel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searched POIs (S370),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 optimal POI includes selecting a small arrival time or a sum of reach distances to the POI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detailing the POI. You can choose by.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OI includes at least one of parking information or user satisfaction of the POI.

또한,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대중교통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를 산출하여 POI를 검색하거나 선택한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arches for or selects the POI by calculating the arrival time or the reach distance by public transportation.

POI는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최적의 POI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선택된 POI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80).The POI may automatically select an optimal POI by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nd display the selected POI by setting it as a destination (S380).

POI가 선택되어 목적지로 설정되면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POI의 약도, 전화번호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것이며,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로 전송받을 수 있고,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은 중개 서버에서 전송한다.When a POI is selected and set as a destination, relevan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s, phone numbers, or locations of the selected POI. Any one or more of these may be received. This is by the user's choice, and can be transmitted as a text or multimedia file, and the text or multimedia file is transmitted from the mediation serv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일실시예이다. 도 4a는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의 중간 지점(410)을 기점으로 소정의 검색 반경(420)을 나타내며, 검색 반경(420) 안에 POI가 있을 경우, 최적의 POI를 선택한다. 도 4a는 검색 반경(420) 안에 POI가 검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4 is an embodiment of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llustrates a predetermined search radius 420 starting from the intermediate point 410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POI is within the search radius 420, the optimal POI is selected. 4A shows that no POI was found within the search radius 420.

도 4b는 제2단말기의 이동방향으로 중간 지점을 중심으로 편심되게 검색 반경(420)을 넓히고, 교차로가 포함되므로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아닌 도로에 대해서 이동방향의 편심된 검색 반경보다 편심의 정도를 적게한 검색 반경(450)을 추가로 설정한다. 이때, 검색 반경(420) 안에 POI(440)가 존재하므로 이 를 최적의 POI(440)로 설정한다.4B shows an eccentric search in a mov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oad other than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since the search radius 420 is eccentrically widened about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an intersection is included. A search radius 450 is further set in which the degree of eccentricity is smaller than the radius. At this time, since the POI 440 exists in the search radius 420, it is set as the optimal POI 440.

도 4c는 POI가 검색되지 않을 때, 검색 반경(420)을 크게 하는 것으로, 검색 반경을 크게 한 다른 검색 반경(460)에 POI(450)가 존재한다. 이때, 검색 반경(460) 안에 POI(450)가 존재하므로 이를 최적의 POI(450)로 설정한다.4C shows that when the POI is not searched, the search radius 420 is increased, and the POI 450 exists in another search radius 460 having the search radius increased. At this time, since the POI 450 exists in the search radius 460, the optimal POI 450 is set.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의 일실시예,2 is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의 순서도,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일실시예이다.4 is an embodiment of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차량단말기 110 : GPS 수신부100: vehicle terminal 110: GPS receiver

120 : 통신부 130 : 저장부120: communication unit 130: storage unit

140 : 표시부 150 : 입력부140: display unit 150: input unit

160 : 제어부 210 : 제1단말기160: control unit 210: first terminal

220 : 중개서버 230 : 제2단말기220: intermediary server 230: second terminal

Claims (26)

제1단말기가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determining, by the first terminal, the current location; 상기 제1단말기가 선택된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에 대한 승인 여부를 확인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first terminal approves the communication from the second terminal in order to exchang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econd terminal;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통신 승인이 확인되면 상기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제 3단계;A third step of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communication approval is confirmed from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이동에 이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검색 반경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반경 내에서 피오아이를 검색하는 제 4단계; 및A fourth step of setting a search radius using any one or more of an arrival time or a reach distance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searching for PIOI within the search radius; And 검색된 상기 피오아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피오아이를 목적지로 적지로 설정하는 제 5단계A fifth step of setting the selected pioneer as a destination when any one of the found pioneers is selected; 를 포함하되, 상기 제 4단계의 피오아이는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의 중간 지점을 기점으로 소정의 검색 반경 안에 있으며, 상기 피오아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반경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Including, but the PIO of the fourth step is within a predetermined search radius starting from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f the PIO is not searched, characterized in that for expanding the search radius How to select PIO between users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단계의 제2단말기의 선택은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And selecting the second terminal in the second step is input by the user using an identification nu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3단계의 도달시간은 교통 정보를 수신받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The arrival time of the third step is to select the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calculating the traffic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방향으로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검색 반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The method of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search radius eccentrically based on an intermediate point in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검색 반경에 교차로가 포함되면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아닌 도로에 대해서 이동방향의 편심된 검색 반경보다 편심의 정도를 적게한 검색 반경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When the intersection is included in the search radius, the location-based search radius is further set for a road that is less than the eccentric search radius in the mov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ad other than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How to select PIO between users using ser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method of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navigation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대중교통이용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the arrival time or the reach distance by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How to Selec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5단계의 피오아이 선택은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피오아이까지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의 합이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In the fifth step of selecting the PIO eye, a method of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arrival time or the reach distance between the PIO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small.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5단계의 피오아이 선택은 피오아이 상세 정보에 의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The method of selecting the PIO between the users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of the PIO eye of the fifth step is selected by the PIO eye detailed information.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피오아이 상세 정보는 주차정보 또는 사용자 만족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The detailed method of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O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parking information and user satisfaction. 제 1항,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10 to 12,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상기 피오아이의 약도, 전화번호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방법.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on the map, phone number or location of the selected PIO How to select PIO between users using base services.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정보 검출부;A location information detecto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 위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부;A communication unit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상기 통신부로 위치 정보를 교환하는 하나 이상의 제2단말기 리스트, 피오아이의 정보 및 경로 탐색을 위한 지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any one or more of one or more second terminal lists f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communication unit, information of PIOI, and map information for path searching;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의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피오아이의 검색 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setting a search radius of PIO using one or more of arrival time or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상기 제어부에서 검색 반경 내에 포함되어 있는 피오아이 중 선택된 피오아이를 목적지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A display unit for setting and displaying a selected PIOI as a destination among PIOs included in a search radius in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서 피오아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반경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Including, but if the PIO is not searched in the control unit, the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xpanding the search radius.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2단말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식별변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And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dentification code from a user to store the second terminal in the storage unit.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도달시간은 통신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교통 정보를 수신받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The arrival time is a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d calculating the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from the communication unit.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피오아이는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간의 중간 지점을 기점으로 소정의 검색 반경 안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The PIO is a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a predetermined search radius starting from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삭제delete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동방향으로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검색 반경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search radius eccentrically based on the intermediate point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first terminal or the second terminal.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검색 반경에 교차로가 포함되면 제1단말기 및 제2단말기의 이동방향이 아닌 도로에 대해서 이동방향의 편심된 검색 반경보다 편심의 정도를 적게한 검색 반경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When the intersection is included in the search radius, the location-based search radius is further set for a road that is less than the eccentric search radius in the mov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ad other than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service.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navigation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대중교통이용에 의한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the arrival time or the reach distance by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Device to select.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피오아이 선택은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의 피오아이까지 도달시간 또는 도달거리의 합이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The PIOI selection is a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select a small sum of the arrival time or the distance to reach the PIO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피오아이 선택은 피오아이 상세 정보에 의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The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O selection is selected by the PIO eye detailed information.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피오아이 상세 정보는 주차정보 또는 사용자 만족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The PIO eye detailed information is a device for selecting a PIO between users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parking information or user satisfaction. 제 14항, 제 23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and 23 to 25, 상기 제1단말기 또는 제2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상기 피오아이의 약도, 전화번호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간 피오아이를 선정하는 장치.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on the map, phone number or location of the selected PIO Device for selecting PIO between users using the base service.
KR1020080060976A 2008-06-26 200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KR101007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76A KR101007017B1 (en) 2008-06-26 200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976A KR101007017B1 (en) 2008-06-26 200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66A KR20100001166A (en) 2010-01-06
KR101007017B1 true KR101007017B1 (en) 2011-01-12

Family

ID=4181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976A KR101007017B1 (en) 2008-06-26 200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0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92A1 (en) * 2013-11-01 2015-05-07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emphasizing point of interest of navigation user for each time period and route guidance ser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333A (en) * 2000-11-06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JP2003109175A (en) 2001-10-01 2003-04-11 Toru Hayashi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ncounter information
JP2003121194A (en) 2001-10-19 2003-04-23 Ttt Kk Meeting spot indicating method
KR100813304B1 (en) * 2006-03-22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and Load Informing Method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333A (en) * 2000-11-06 2002-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JP2003109175A (en) 2001-10-01 2003-04-11 Toru Hayashi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ncounter information
JP2003121194A (en) 2001-10-19 2003-04-23 Ttt Kk Meeting spot indicating method
KR100813304B1 (en) * 2006-03-22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and Load Informing Method with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92A1 (en) * 2013-11-01 2015-05-07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for emphasizing point of interest of navigation user for each time period and route guidance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166A (en)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06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service
US201502300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moving path
US20110153203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searching interest points
US8165605B2 (en) Automatic detection of personal networks
US80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updating of navigation system
CN102656865B (en) Rating information for location-based system is distributed
KR20010051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that provides location-based messages
CA2531761A1 (en) Road guide system and road guide method
KR2012006427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routes for mobile terminal
KR2012006120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tination arrival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
JP4619319B2 (en) Navigation system and route search server
KR1005746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p Data Search Service
Deblauwe GSM-based position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KR101364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target location
CN103034938A (en) Journe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227491B2 (e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KR1010070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OI between different users using location base service
JP6210629B2 (en) Navigation device, map display control method, and map display control program
JP2008058112A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6101129B2 (en) Facility search device, facility search method, and facility search program
JP2005017218A (en) Facility information searching system
KR20160045156A (en)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used telematics server
KR20080082139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traffic information
KR20130049968A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user schedule alarm us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KR100620566B1 (en) Method for furnishing information of additional destination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