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336B1 -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336B1
KR101006336B1 KR1020080117549A KR20080117549A KR101006336B1 KR 101006336 B1 KR101006336 B1 KR 101006336B1 KR 1020080117549 A KR1020080117549 A KR 1020080117549A KR 20080117549 A KR20080117549 A KR 20080117549A KR 101006336 B1 KR101006336 B1 KR 10100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interface
terminal
dyn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951A (ko
Inventor
이호진
박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7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3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특성 확인부와,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동적 UI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동적 UI(Dynamic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초기 화면, 단말기 특성, 사용자 특성

Description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근래의 테이프 재생 장치,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 재생 장치로 시작하여 무선 호출기가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휴대 전화 및 MP3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휴대용 게임기도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휴대 전화의 경우 통신 수단으로서의 용도를 넘어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그 중 시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및 메시지 송수신기로서의 역할이 대표적이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용도로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는 서비스에 가입 중인 이동 통신 사업자의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휴대 전화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컨텐츠 서버는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인 포털 사이트를 제공하는데, 포털(portal)은 웹사이트의 관문이라는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사용자들이 웹에 접속할 때 제일 먼저 나타나거나 가장 많이 머무르는 사이트로, 웹 서핑을 시작하는 주요 사이트를 의미한다.
포털 사이트에 의해 제공되는 대표적인 서비스들로는 웹사이트 디렉터리 서비스를 들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다른 사이트를 찾아보거나, 뉴스, 날씨 정보, 전자 우편, 증권, 주식 거래, 전화 번호 및 지도 정보 등을 제공 받을 수 있고, 일부 포털 사이트는 지역 사회의 정보 광장 역할 수행 및 개인 홈페이지 제작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포털 사이트는 무선 인터넷의 확산 및 무선 단말기의 보급에 따라 무선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르렀으며,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포털 사이트의 검색, 이메일 및 일정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포털 서비스에 대한 개념도로서,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랩탑 등의 무선 단말기(20)를 구비한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포털 서비스 서버(10)로부터 검색, 정보 제공, 쇼핑 및 개인 홈페이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무선 단말기는 서로 다른 특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만일 포털 서비스 서버가 동일한 형태의 포털 사이트를 제공하는 경우 올바른 초기 화면을 제공하기 어렵게 된다.
특히, 휴대 전화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비교적 작고 사용자는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측에서는 불필요한 통신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이동 통신 사업자측에서는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의 특성 및 해당 무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에 대한 UI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는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특성 확인부와,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동적 UI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동적 UI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에 대한 UI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초기 화면의 판독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에 의한 명령 입력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통신비를 절감하고 주파수 대역의 낭비를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기(211, 212), 이동 통신 시스템(220), IMS망(230), 지능형 컨텐츠 추천 및 전달 시스템(CDE; Content Delivery Enabler)(240), 리거시 시스템(250), 인터넷 포탈/BcN/All IP 망(260), 인트라 포털 서버(270), 및 CDE 기반 지능형 응용 서버(AS; Application Server)(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 단말기(211, 212)는 IMS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 시스템에서의 종단 호스트로서, 이동 단말기(211)이거나 웹 기반의 SIP 단말기(212)일 수 있다. 물론, 후술하게 될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입자 단말기(211, 212)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받거나 공인 IP 주소를 할당받게 되는데, 만약 사설 IP 주소를 할당받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미도시)에 의한 주소 변환 과정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다. NAT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사설 IP 주소 형태의 소스 주소 정보를 공인 IP 주소 형태의 소스 주소 정보로 변환하거나, 공인 IP 주소 형태의 소스 주소 정보를 사설 IP 형태의 소스 주소 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시스템(220)은 기지국(RTS; Radio Transceiver Subsystem)(221),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222),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223) 및 패킷 관문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에 기반을 둔 패킷 기반의 무선 통신 서비스로서 휴대 전화 및 컴퓨터에 의한 무선 통신 시 56~144 kbps의 데이터 속도로 지속적인 인터넷 접속을 보장한다.
기지국(221)과 기지국 제어기(222)를 포함하는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은 가입자 단말기(211, 212)의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하며, 핸드오프(Hand-off)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접속망은 교환기(미도시)와 가입자 단말기(211, 212) 사이에 존재하는 기지국(221) 및 기지국 제어기(222)에 의해 구현되며, 회선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미도시),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미도시) 및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기지국(221)은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가입자 단말과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3 세대 이동 통신망인 경우에는 Node B가 그 역할을 하며, 상향 링크로는 이동 단말기의 물리 계층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 링크로는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221)은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어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단말기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채널을 할당한다.
기지국 제어기(222)는 유무선 채널 관리, 가입자 단말기와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간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 처리, 코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처리, GPRS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 등과 같은 무선 호 처리에 필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이외에도 회선 교환기나 방문자 위치 등록기나 홈 위치 등록기 등과 같은 장치가 무선 접속망에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223)는 GPRS 서비스를 위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기반의 스위치 및 라우팅 접속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서비스 지역 내에서 단말기와의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노드이다. 또한,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가진다.
패킷 관문 지원 노드(224)는 GPRS 기간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 망 간의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로서, 패킷 교환 지원 노드(223)로부터 오는 GPRS 패킷을 적당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Packet Data Protocol) 형식(예: IP.X.25)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착신 패킷 데이터의 PDP 주소를 수신자의 GSM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패킷 관문 지원 노드(224)과 연동되는 IMS망(230)의 IMS 노드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IMS망(230)은 전술한 패킷 교환 지원 노드(223)와 패킷 관문 지원 노드(224)를 포함하는 WCDMA(Wideband Code-Division Multiple Access)망을 기반으로 하여, 홈 가입자 서버(HSS; Home Subscriber System)(231)와 호 세션 제어부(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232),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ALG; Application Layer Gateway)(233), 정책 및 과금 제어부(PCRF; Policy & Charging Rule Function)(23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MRF(Multimedia Resource Function)(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 세션 제어부(232)는 가입자 등록, 인증, 서비스 트리거링, 라우팅, 각종 호 제어,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등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의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를 위한 기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에 따라 구체적으로 분류하면, 호 세션 제어부(232)는 프록시 CSCF(P-CSCF; Proxy CSCF), 인터러게이팅 CSCF(I-CSCF; Interrogating-CSCF), 및 서빙 CSCF(S-CSCF; Serving-CSCF)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록시 CSCF는 단말기(211, 212)가 IMS망(230)에 접속하는 첫 번째 지점이 다. 단말기(211, 212)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register request message; REGISTER)가 전송되면, 프록시 CSCF는 이를 인터러게이팅 CSCF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록시 CSCF는 등록 요청 메시지 처리 과정에서 인터러게이팅 CSCF가 할당한 서빙 CSCF의 주소를 저장해 두었다가 단말기(211, 212)로부터 세션 요청 메시지(invite request message; INVITE)가 수신되면 이를 서빙 CSCF로 포워딩할 수 있다.
인터러게이팅 CSCF는 전체 망 내의 가입자 단말기에게 연결하기 위해 인입되는 호에 대한 접점 역할 및 망 내에 로밍한 타망 가입자의 단말기와의 접점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러게이팅 CSCF는 단말기(211, 212)의 사용자, 즉 가입자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홈 가입자 서버(231)로부터 이용 가능한 서빙 CSCF의 주소 리스트를 획득하고, 이를 참조하여 실제 등록을 담당할 서빙 CSCF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빙 CSCF는 인터러게이팅 CSCF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홈 가입자 서버(231)에 가입자를 등록하고, 홈 가입자 서버(231)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서빙 CSCF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단말기(211, 212)에게 제공될 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를 지원할 인에이블러(Enabler)나 응용 서버에 대한 트리거링(trigg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빙 CSCF는 홈 가입자 서버(231)로부터 인증 벡터(AV; Authentication Vector)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빙 CSCF는 인증 벡터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홈 가입자 서버(231)는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입자 프로파일, 인증 및 위치 관련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호 세션 제어부(232)가 요구하 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 가입자 서버(231)는 가입자 인증 시 필요한 인증 벡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233)는 타망 연동 환경에서 SIP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발생하는 NAT-Traversa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SIP 메시지 내 주소 정보를 변환하여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233)는 단말기(211, 212)가 전송한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사설 IP 주소 형태의 미디어 수신 정보를 공인 IP 주소 형태의 미디어 수신 정보로 변경시켜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정책 및 과금 제어부(234)는 종단 간의 서비스 품질(QoS) 및 서비스 과금 정책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노드이다.
그 외에도, IMS망(230)은 다자 간의 서비스를 위한 호 제어 기능과 미디어 믹싱을 처리하는 기능과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233)와의 SIP 시그널링 및 상태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MRF(미도시) 및 인터넷 포털/BcN/All IP 망(260)과 연동하기 위한 전송 게이트웨이(TrGW)(미도시)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IMS망(230)이 홈 가입자 서버(231)와 호 세션 제어부(232),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233), 정책 및 과금 제어부(234)를 하나씩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IMS 노드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며, IMS망(230)은 전술한 IMS망(230)의 구성 요소를 복수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전송 게이트웨이(TrGW; Translation Gateway)(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능형 컨텐츠 추천 및 전달 시스템(240)은 지능형 가입자 정보 관리 서 버(ISMS; Intelligent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241), 지능형 컨텐츠 전달 서버(ICDS; Intelligent Content Delivery Server)(242), 가입자 정보 수집 서버(SICS; Subscriber Information Collection Server)(243), 및 IMS 제어기(IMSC; IMS Coordinator)(2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MS 제어기(244)는 IMS 망(230)의 호 세션 제어부(232)에 연동되어 IMS 호 처리 시그널링을 처리하고, 서비스 가입자의 등록 및 로그온 세션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가입자 정보 수집 서버(243)는 컨텐츠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리거시 시스템(250)을 통해 추출하고 가공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며, 정보 추출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리거시 시스템(250)의 예로서, 유선 매직엔(251), IPAS(IP Accounting Server)(252),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253), SAS(254), JUICE(255), 및 S(L)MSC(256)를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리거시 시스템(250)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들은 배치 프로세스(Batch Process) 등과 같은 리모델링 과정을 거쳐 컨텐츠 사용자나 가입자에게 가장 개인화된 정보로 추출되며, 이렇게 추출된 정보는 가입자 정보 수집 서버(243)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배치 프로세스는 수집된 정보들을 컨텐츠 사용자나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배치 프로세스 과정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능형 컨텐츠 전달 서버(242)는 일반적으로 서비스 가입자별로 개인화된 동적 UI(dynamic user interface) 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이러한 동적 UI 정보를 활용하여 지능형 개인화 컨텐츠를 추천하거나 전달하고, 개인화 알림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포털 서버(270)나 CDE 기반 지능형 응용 서버(280)와 연동하여 직접 컨텐츠를 수집하여 개인화된 동적 정보를 컨텐츠 사용자나 가입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구성하거나 관리하며, 컨텐츠 변환 및 합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컨텐츠 전달 서버(242)는 가입자 개인별로 개별화된 동적 정보를 컨텐츠 사용자나 서비스 가입자에 의해 설정된 동적 UI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CDE 기반 지능형 응용 서버(280)는 지능형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241) 및 지능형 컨텐츠 전달 서버(242)와 연동되어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로서, 그 예로 IWSS(Intelligent Web Searching Service)(281), ITGS(Intelligent Tour Guide Service)(282), CSRS(Customized Shopping Recommend Service)(283), 미디어 및 뉴스(284), 지능형 e-커머스(e-Commerce)(285), 및 지능형 전문가 검색(286)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WSS(281)는 지능형 유무선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ITGS(282)는 지능형 여행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고, 개인 스케줄 관리, 여행 추천 및 가이드, 모임 장소 추천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CSRS(283)는 개인 맞춤형 쇼핑을 제안하거나 기념일 알림, 동영상 관련 개인화 상품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지능형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241)는 인트라 포털 서버(270)나 CDE 기반 지 능형 응용 서버(280)와 연동하여 직접 컨텐츠를 수집하거나 가입자 정보 수집 서버(243)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사용자에 개별화된 동적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입자 서비스 이력을 통한 가입자 선호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할 동적 UI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적 UI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지능형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241)는 해당 동적 UI 정보를 재생할 단말기의 사양을 참조하여 동적 UI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재생 능력, 해상도, 디코딩 능력, 단위 시간당 재생할 수 있는 프레임의 수와 같은 그래픽 능력뿐만 아니라 자료 처리 능력, 네트워크 능력, 음성 재생 능력,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 및 위치 감지 수단의 구비 여부 등을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UI를 판단하여 해당 UI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동적 UI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동적 UI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로 작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하, 동적 UI 정보 제공 장치라 한다)(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 특성 확인부(340) 및 정보 생성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적 UI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구성을 재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UI 정보를 제 공하는 장치로서, 이와 같이 특성에 따라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하, 동적 UI 서비스라 한다.
통신부(310)는 단말기의 특성 및 단말기 사용자의 특성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생성된 동적 UI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별도의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송신 및 수신을 위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320)는 UI 모델 테이블(500)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UI 모델 테이블(500)은 특성별 UI 모델이 명시된 테이블로서, UI 모델은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I 모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UI 모델 테이블(500)은 특성 필드(510) 및 UI 모델 필드(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성 필드(510)에는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대응하는 특성 번호가 명시된다.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은 후술하는 특성 확인부(340)에 의하여 확인되는데, 특성 확인부(340)는 확인된 특성에 가장 적합한 특성 번호를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UI 모델 필드(520)에는 각 특성별 모델의 정보가 명시된다. 여기서, 모델의 정보로는 화면의 가로 세로 크기, 해상도, 특정 아이콘의 위치 및 화면 색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동적 UI 정보 제공 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부(33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특성 확인부(340) 및 정보 생성부(35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여, 각 모듈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거나 각 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동적 UI 서비스가 가입자에게만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330)는 수신된 단말기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320)에는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330)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서비스 가입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특성 확인부(340)는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단말기 사용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는 접속을 요청하면서 자신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이 포함된 정보를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데, 특성 확인부(340)는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단말기의 특성은 컬러 재생 능력, 화면 크기, 해상도, 디코딩 능력, 단위 시간당 재생할 수 있는 프레임의 수, 자료 처리 능력, 네트워크 능력, 음성 재생 능력,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 및 위치 감지 수단의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사용자 특성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서비스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이력 등 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선호 분야, 주로 방문하거나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의 URL, 사전에 사용자가 제공받은 컨텐츠의 이력 및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초기 화면의 구성 등이 사용자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선호 분야는 음악, 여행, 스포츠, 경제, 교육 및 오락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정보 생성부(350)는 특성 확인부(340)에 의하여 확인된 특성을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동적 UI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정보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정보 생성부는 컨트롤러 생성부(410), 메뉴 생성부(420) 및 메인프레임 생성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 생성부(410)는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정보 및 검색 기능에 대한 UI가 포함된 컨트롤러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UI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로는 현재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날씨 또는 사용자 로그인 상태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통신부(310)는 CDE 기반 지능형 응용 서버(28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비된 위치 감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 위치 감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 생성부(410)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지역의 날씨 정보에 대한 UI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메뉴 생성부(420)는 컨텐츠의 종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하여 종류별로 할당된 아이콘이 포함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UI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메뉴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인데, 메뉴 생성부(420)는 이와 같은 메뉴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메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콘은 특성 확인부(340)에 의한 확인 결과에 따라 초기 화면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사용 빈도에 따라 맨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를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메인프레임 생성부(430)는 특성 확인부(340)의 확인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UI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 생성부(430)는 최근에 방문한 사이트의 URL이 포함된 링크를 생성하거나 주로 방문한 사이트와 관련된 종류의 사이트의 URL이 포함된 링크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단말기의 화면 크기, 해상도, 컬러 재생 능력 등을 고려하여, 메인프레인 생성부(430)는 컨텐츠의 종류, 개수 및 배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에게 위치 감지 수단이 구비되어 단말기로부터 현재의 위치를 제공받은 경우 메인프레임 생성부(430)는 해당 위치의 주변에 존재하는 음식점 정 보 등이 포함된 UI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통신부(310)는 CDE 기반 지능형 응용 서버(28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접속한 경우 단말기로 제공되는 초기 화면(6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초기 화면(600)은 컨트롤러 영역(610), 메인프레임 영역(620) 및 메뉴 영역(6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UI는 특성 확인부(340)에 의하여 확인된 특성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UI는 확인된 특성에 따라 화면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
컨트롤러 영역(610)에는 컨트롤러 생성부(410)에 의하여 생성된 UI 정보에 따라 컨트롤러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고, 메인프레임 영역(620)에는 메인프레임 생성부(430)에 의하여 생성된 UI 정보에 따라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되며, 메뉴 영역(630)에는 메뉴 생성부(420)에 의하여 생성된 UI 정보에 따라 메뉴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 영역(620)에 표시되는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는 단말기 특성에 따라 컨텐츠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말기의 화면 크기, 해상도 및 디코딩 능력 등을 고려하여 단말기에 의하여 재생될 수 있는 컨텐츠만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 름도이다.
동적 U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적 UI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대기하고 있다가,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710).
접속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접속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330)는 단말기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단말기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720). 그리하여, 만일 해당 단말기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330)는 동적 UI 서비스의 제공을 종료한다.
한편, 해당 단말기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330)는 특성 확인부(34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특성 확인부(340)는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을 확인한다(S730). 단말기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일, 동적 UI 서비스가 가입 제도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이 아닌 경우, 제어부(330)에 의한 가입자 확인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확인된 특성은 정보 생성부(350)로 전달되고, 정보 생성부(350)는 전달받은 특성을 참조하여 동적 UI 정보를 생성한다(S740). 즉,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초기 화면(600)에 대한 UI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생성된 동적 UI 정보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단말기로 송신된다(S750). 동적 UI 정보는 XML로 작성될 수 있는데, 이를 수신한 단말기는 동적 UI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자신의 특성 및 사용자 특성에 맞게 초기 화면(600)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하나의 장치인 동적 UI 정보 제공 장치(300)가 동적 U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적 UI 정보 제공 장치(300)를 구성하는 모듈이 별도의 장치로 존재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동적 UI 서비스는 지능형 컨텐츠 추천 및 전달 시스템(24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정보 생성부(350)의 역할은 지능형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241)에 의하여 수행되고, 저장부(320)의 역할은 지능형 컨텐츠 전달 서버(242)에 의하여 수행되고, 특성 확인부(340)의 역할은 가입자 정보 수집 서버(243)에 의하여 수행되며, 통신부(310) 및 제어부(330)의 역할은 IMS 제어기(244)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포털 서비스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3에 도시된 정보 생성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I 모델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통신부 320 : 저장부
330 : 제어부 340 : 특성 확인부
350 : 정보 생성부

Claims (14)

  1.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특성 확인부;
    상기 특성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단말기의 특성 및 사용자의 특성에 대응되도록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특성은 컬러 재생 능력, 화면 크기, 해상도, 디코딩 능력, 단위 시간당 재생할 수 있는 프레임의 수, 자료 처리 능력, 네트워크 능력, 음성 재생 능력,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 및 위치 감지 수단의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선호 분야, 방문 사이트의 URL, 사전에 상기 사용자가 제공받은 컨텐츠의 이력 및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상기 초기 화면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생성부는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정보 및 검색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컨트롤러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생성부;
    컨텐츠의 종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류별로 할당된 아이콘이 포함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메뉴 생성부;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메인프레인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 상기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초기 화면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아이콘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초기 화면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초기 화면상에 배치될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8. 접속 요청한 단말기의 특성 및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단말기의 특성 및 사용자의 특성에 근거하여 컨텐츠 제공을 위한 초기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특성은 컬러 재생 능력, 화면 크기, 해상도, 디코딩 능력, 단위 시간당 재생할 수 있는 프레임의 수, 자료 처리 능력, 네트워크 능력, 음성 재생 능력, 사용자 명령 입력 수단의 종류 및 위치 감지 수단의 구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특성은 상기 사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선호 분야, 방문 사 이트의 URL, 사전에 상기 사용자가 제공받은 컨텐츠의 이력 및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상기 초기 화면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정보 및 검색 기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컨트롤러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컨텐츠의 종류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류별로 할당된 아이콘이 포함된 메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 상기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초기 화면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아이콘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초기 화면상에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초기 화면상에 배치될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80117549A 2008-11-25 2008-11-25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0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49A KR101006336B1 (ko) 2008-11-25 2008-11-25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549A KR101006336B1 (ko) 2008-11-25 2008-11-25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951A KR20100058951A (ko) 2010-06-04
KR101006336B1 true KR101006336B1 (ko) 2011-01-06

Family

ID=4236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549A KR101006336B1 (ko) 2008-11-25 2008-11-25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53A (ko) * 2004-04-27 2005-11-09 (주)인트로모바일 이동통신 단말 장치를 위한 대기화면 리소스 제어 및 운용장치와 방법
US20060277271A1 (en) * 2005-06-07 2006-12-07 Yahoo! Inc. Prefetching content based on a mobile user profile
KR20070083263A (ko) * 2006-02-03 2007-08-24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의 특성에 따른 웹 표현 처리 시스템, 방법, 및그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353A (ko) * 2004-04-27 2005-11-09 (주)인트로모바일 이동통신 단말 장치를 위한 대기화면 리소스 제어 및 운용장치와 방법
US20060277271A1 (en) * 2005-06-07 2006-12-07 Yahoo! Inc. Prefetching content based on a mobile user profile
KR20070091693A (ko) * 2005-06-07 2007-09-11 야후! 인크. 모바일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한 컨텐트 프리페칭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3263A (ko) * 2006-02-03 2007-08-24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단말의 특성에 따른 웹 표현 처리 시스템, 방법, 및그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951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5883B (zh) 通过用于改善现有呼叫线路标识服务的基于ims的plmn传递预定制名片多媒体内容的方法和结构
US76852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sigcomp UDVM performance
KR100899742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정보 이용 시스템 및 방법
Huber Mobile next-generation networks
CN106303104A (zh) 一种播放视频彩铃的方法以及主叫用户设备
EP1836864A1 (en) Multimedia access system
Psimogiannos et al. An IMS-based network architecture for WiMAX-UMTS and WiMAX-WLAN interworking
CN106658105A (zh) 基于web的屏幕投影系统建立方法及装置
KR101050573B1 (ko) Ims 기반의 유무선 복합망에서의 사회 관계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090079096A (ko) 지능형 모임 장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사용하는유무선 복합망 시스템
CN114501611A (zh) 装置、方法和计算机程序
US20100138302A1 (en) Ue and advertisement service server for bidirectional personalized advertisement, and bidirectional personalized advertisement method
US20130151723A1 (en) Stream media channel switch method, switch agent, client and terminal
KR101006336B1 (ko) 동적 ui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7835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85963B1 (ko) Ims 기반의 지인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JP2009521155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流通
KR20100063832A (ko) 스케줄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63833A (ko) 컨텐츠 추천 조건의 모니터링을 통해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54175A (ko) Ims 기반의 가상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06425B1 (ko)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77537A (ko) 동행자 기반의 컨텐츠 전달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78961B1 (ko) Ims 기반 유무선 복합망에서의 지능형 웹 검색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78561A (ko) 지능형 기념일 알림 및 상품 추천 시스템 및 방법, 이를사용하는 유무선 복합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