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59B1 - 정보 압축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압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059B1
KR101006059B1 KR1020100068955A KR20100068955A KR101006059B1 KR 101006059 B1 KR101006059 B1 KR 101006059B1 KR 1020100068955 A KR1020100068955 A KR 1020100068955A KR 20100068955 A KR20100068955 A KR 20100068955A KR 101006059 B1 KR101006059 B1 KR 101006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ressed
compression
binary number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오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원 filed Critical 오재원
Priority to KR102010006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59B1/ko
Priority to US13/092,805 priority patent/US2012001691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84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using adaptive string matching, e.g. the Lempel-Ziv metho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14Conversion to or from non-weighted codes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압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함수를 이용하여 정보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정보를 압축하여 정보를 백업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압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를 이진수로 변환한 후, 십진수(a)로 변환하는 제1 단계; 십진수가 함수에 의해 일대일 대응되는 b, k를 연산하기 위해
Figure 112010046000331-pat00021
의 판별식의 연산을 수행하여 판별값(S)을 획득하는 제2 단계; 획득된 판별값이 정수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b,k를 연산하여 b,k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획득된 b,k와 십진수를 이용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압축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압축가능여부를 만족할때까지 제1 단계부터 제3단계를 반복수행하여 획득된 b,k 또는 이진수로 변환된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이진수 중에 끝 한자리수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반복수행시 이진수로 변환된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후 십진수로 변환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로 재차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보 압축방법{METHOD FOR COMPR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정보 압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함수를 이용하여 정보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정보를 압축하여 정보를 백업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압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의 원리는 중복되는 코드를 줄이는 것으로, 종래의 압축방식에는 정보의 연속성과 반복성을 이용한 압축방법이 많았다.
우리가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흔히 쓰는 압축 프로그램 중 '알집' 또한 정보의 연속성이나 반복성을 이용한 압축 방식이다.
우선 RLE(Run Length Encoding)방식은 압축방식중에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정보의 연속성을 이용한 압축방식으로서, 문자가 연속된 경우 이를 한꺼번에 하나로 줄이는 방법이다.
예컨대, 하기의 [실시예 1]과 같이 a가 5개, b가 4개, c가 2개, d가 4개, e가 6개로 연속된 경우에 이를 문자와 그 개수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압축방법이다.
[실시예 1]
aaaaabbbbccddddeeeeee → a5b4c2d4e6
상기 실시예 1에서는 21자리가 10자리의 문자열로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RLE 방식은 압축과 압축을 푸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프로그래밍이 쉬운 장점이 있다. 특히 같은 문자가 연속되어 존재할 때 높은 압축률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RLE방식은 일반적인 경우 즉 같은 문자가 반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자압축률이 낮은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모든 문자가 동일한 빈도로 전송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 호프만 코딩(Huffman coding)이 있다.
자주 사용되는 문자에 대해서는 적은 수의 비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JPEG, MPEG에서는 RLE와 호프만 코딩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호프만 코딩의 압축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압축할 파일을 읽어 각 문자들의 출현 빈도수를 구한다.
2. 이들 가운데서 가장 빈도수가 적은 문자끼리 연결시켜 이진트리를 만든다.
3. 이진 트리로부터 각 문자들을 대표하는 값을 얻는다.
4. 파일의 문자들을 대표값으로 변환시켜 압축파일을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호프만 코딩방식은 처음 파일내의 문자 빈도수를 측정과 실제로 압축을 하기 위해 파일을 두번 읽어야 하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트리에 대한 정보도 같이 저장해야 하므로 그만큼 압축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호프만 코딩방식에서 응용된 형태의 압축방식으로 LZW(Lempel-Ziv-Welch) 방식이 있다.
LZW 방식은 아브라함 렘펠과 제콥 지브, 테리 웰치가 만든 공통 비손실 데이터 압축 알고리즘으로서, 다음은 LZW(Lempel Zip Welch) 방식으로 LZW는 파일을 읽어 들이면서 연속된 문자열들에 대한 표를 만들고 다음에 같은 문자열이 발견되면 생성한 표를 참조하는 압축방식으로, GIF나 TIFF도 LZW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LZW 방식 역시 데이터의 제한된 분석만 수행하기 때문에 최적으로 동작하여 압축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함수를 이용하여 정보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정보를 압축하여 정보를 백업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압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업을 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보를 함수를 이용하여 빠르게 압축하여 백업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압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은,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를 이진수로 변환한 후, 십진수로 변환하는 제1 단계; 십진수가 함수에 의해 일대일 대응되는 b, k를 연산하기 위해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1
의 판별식의 연산을 수행하여 판별값(S)을 획득하는 제2 단계; 획득된 판별값이 정수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b,k를 연산하여 b,k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획득된 b,k와 십진수를 이용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압축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압축가능여부를 만족할때까지 제1 단계부터 제3단계를 반복수행하여 획득된 b,k 또는 이진수로 변환된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이진수 중에 끝 한자리수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반복수행시 이진수로 변환된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후 십진수로 변환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로 재차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단계는, 판별값이 정수이면,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b와 k를 획득하는 단계; 및 판별값이 정수가 아니면,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b와 k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2
(수학식 2)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3
여기서, a는 입력된 정보의 이진수에 대응하는 십진수, b는 함수에 의해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환된 횡축 좌표값, k는 함수에 의해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환된 종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가능여부의 판단은,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식을 만족하면, 압축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4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가능여부의 판단은, 판별값(S)≥23 이고, b 또는 k가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5
보다 작은 경우 압축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압축가능여부에 의해 압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면, b,k와 함께 이진수의 제거한 끝 한자리수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확인결과,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지 않으면, b와 k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축을 풀고자하는 대상의 압축된 정보에 대한 b, k 또는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b와 k를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6
의 수식에 대입하여 원래 정보의 십진수(a)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십진수(a)를 압축을 푼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부분의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획득된 원래 정보의 십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표현하고, 그 표현된 이진수의 끝자리에 끝 한자리를 제거한 부분의 정보를 붙인 후, 이를 십진수로 변환하여 압축을 푼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함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분석하지 않고 바로 압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압축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빠른 압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백업을 하고자 하는 대상의 정보를 함수를 이용하여 빠르게 압축하여 백업함으로써, 데이터의 저장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보를 보호하며 백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보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압축률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b는 도 1a에서 a에 대응하는 b, k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함수특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정보 압축방법을 통해 압축할 정보가 '110101011'일때의 압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을 통해 압축된 정보를 푸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은 함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압축하는 방식으로서, 정의역은 자연수 집합이고, 치역은 자연수의 부분집합이어야 하고, 일대일 대응의 역함수가 존재해야 한다. 또한 함수 자체에 변인이 존재해야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찾으면 정보를 압축하여 정보를 백업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s], [log]에 사용된 '[]'는 정수만을 나타내는 기호로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시하는 기호로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3.141]은 3이 되고, [17.43]은 17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은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휴대용 전화기, PDA) 등의 메인 컨트롤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통한 정보 압축방법인 것으로, 이하에서 정보 압축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의 제어부를 생략하여 구체적인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함수 특성을 갖으며, [log2a]>[log2b]+[log2k]+1의 조건을 만족해야만 정보를 압축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안한다.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7
여기서, N2는 자연수를 의미하고, a는 압축할 데이터 즉, 압축할 정보를 의미하고, b는 상기 함수에 의해 변환되는 횡축 좌표값, k는 상기 함수에 의해 변환되는 종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여기서 횡축 좌표값의 b와 종축 좌표값의 k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정보 압축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 a에 대응하는 b, k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우선 압축하고자 하는 데이터 즉 정보를 입력받고(S110), 그 입력되는 정보를 이진수로 변환한다(S120).
상기 120단계(S120)에 의해 변환된 이진수를 십진수(a)로 변환하고, 그 십진수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하는 특정 함수를 이용하여 b, k를 획득한다(S130).
여기서, 특정 함수에 대해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정의역을 1부터 각각 대응시켜보면, 횡축은 b값이고, 종축은 k값으로서 압축할 정보 a는 평면위의 점인 (b,k)에 대응된다.
이때 대응 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단, 도 2의 점들은 격자점을 나타냄).
즉, 1은 (1,1), 2는 (2,1), 3은 (1,2), 4는 (1,3)에 5는 (2,2)에 대응된다.
이것을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특정함수는 후술될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4의 특성을 갖으며, 이에 따라 b, k를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 대응하는 b, k로 변환하기 위해 우선 아래의 수학식 2의 판별식을 한다(S131).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8
이후, 상기 131단계(S131)를 통해 판별식(S)에 의해 획득된 판별값이 정수인지를 판단한다(S133).
상기 판단결과 판별값이 정수이면,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b, k를 획득한다(S135).
Figure 112010046000331-pat00009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판별식이 정수가 아니면, 아래의 수학식 4를 통해 b, k를 획득한다(S137).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0
이후, 상기 135단계(S135)와 상기 137단계(S137)를 통해 입력된 정보의 이진수에 대응하는 십진수(a)가 함수에 의해 변환된 b, k를 이용하여 정보를 압축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140).
이때 압축 가능여부는 아래의 수학식 5를 통해 판단하며, 수학식 5를 만족하는 경우에 압축 가능하다.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1
즉 상기 수학식 5는 입력된 정보의 크기와 그 입력된 정보가 압축되어 출력될 정보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때, [log2a]가 [log2b]+[log2k]+1보다 커야만 압축이 가능하다.
이러한 압축 가능여부를 판별하는 방법보다 간단히 압축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S≥23 이고, b 또는 k가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2
보다 작은 경우 압축이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된 정보가 충분히 큰 경우, S≥23은 자연히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 성공 여부를 결정 짓는 것은 b 또는 k이며, b 또는 k가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3
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상기 140단계(S140)를 통해 압축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150).
확인결과,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없으면, 입력한 정보의 십진수(a)의 입력 정보를 통해 압축가능한 것으로 인식하여 b, k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한다(S160).
그러나, 상기 140단계(S140)의 판단결과 압축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정보를 다시 입력한다(S170).
그래서 상기 120단계(S120)의 입력된 정보를 이진수로 변환하는 과정부터 압축가능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140단계(S140)까지 반복수행한다. 여기서 이러한 과정은 압축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입력한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하면서 반복수행한다.
이에 입력한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정보가 압축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150단계(S150)를 통해 입력한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정보로 확인되면, b, k 및 제거한 정보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로 출력한다(S180).
예컨대, 입력한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함에 있어 1회 수행시 끝 한자리가 '1'이고, 2회 수행시 끝 한자리가 '0' 인 경우를 잘라냈다면, 압축파일 생성시 '01'의 정보가 되도록 하여 b, k와 함께 압축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정보 압축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정보 압축방법을 통해 압축할 정보가 '110101011'일때의 압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각 도면에서 수행하지 않는 단계에 대해서는 도면상에 빈 공란으로 비워두기로 함을 인지해야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압축할 정보를 입력하고(S310), 그 입력된 정보를 이진수의 110101011로 변환한다(S320).
이후, 변환된 이진수를 십진수(a)의 423으로 변환하고(S330), 상기 수학식 2의 판별식에 십진수를 대입하여 판별값으로 29.727을 획득하고(S340), 그 획득된 판별값이 정수인가를 판단한다(S350).
상기 판단결과, 판별값이 정수가 아니므로, 상기 수학식 4에 입력한 정보의 십진수(a)의 423와 판별값의 29.727을 상기 수학식 4에 대입하여 b와 k를 획득한다.
결국, 상기 수학식 4에 의해 얻어지는 b는 9가 되고, k는 21이 된다(S360).
이후, 압축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4를 통해 획득한 b=9, k=21을 상기 수학식 5에 대입하여 [log2a]가 [log2b]+[log2k]+1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370).
대소를 판단해본 결과, log2a가 [log2b]+[log2k]+1보다 작기 때문에 압축 실패로 판단하고(S380), '110101011의 끝 한자리의 '1'을 잘라내어 '11010101'의 정보를 입력한다.
그래서 도 4의 410단계(S410)를 통해 다시 입력된 정보의 '11010101'로 전술한 상기 320단계(S320)부터 370단계(S370)와 대응하는 420단계(S420)부터 470단계(S470)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판별값으로 S=21.1458을 획득하게 되고, 이는 정수가 아니므로,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b=19, k=3을 획득한다.
그러면, 470단계(S470)를 통해 압축가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log2a]가 [log2b]+[log2k]+1보다 크므로, 압축가능하다고 판단한다(S480). 이때 압축가능함을 판단하기 위해서 b=19, k=3에 대해 이진수로 변환한 이진수의 b=10011, k=11로 변환한다.
이후 b, k 및 잘라낸 끝 한자리를 통합하여 압축파일을 생성한다(S490).
결국, b는 10011, k는 11, 잘라낸 끝 한자리는 1이므로, 압축할 정보의 '110101011'은 '10011', '11, '1' 과 같이 3가지로 나타내어지고, 이에 압축파일은 이 3가지를 통합하면 10011+11+1--->10011111이 된다. 여기서 b, k, 잘라낸 끝 한자리의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이후에 압축을 풀어야 하는 과정에서 쉽게 압축을 풀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압축된 압축파일의 압축을 푸는 과정은 위와 반대의 알고리즘을 거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압축방법을 통해 압축된 정보를 푸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압축파일이 압축하고자 한 정보의 십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하여 압축했을때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압축을 풀고자하는 대상의 압축 정보를 입력한다(S510).
이후, 압축 정보에서 3가지 정보(b, k, 잘라낸 끝 한자리)에 대응하는 정보를 추출한다(S520). 이는 압축 파일을 생성할 때 b, k, 잘라낸 끝 한자리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게 해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잘라낸 끝 한자리에 대한 정보는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압축시 압축 대상의 십진수(a)가 한번의 압축가능여부 판단을 통해 압축가능하다고 판단이 된 경우에는 압축할 정보의 십진수의 끝 한자리에 대한 정보를 제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 b, k를 하기의 수학식 6에 대입하여 원 정보의 십진수(a)를 획득한다(S530).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4
이후, 획득된 십진수(a)에 끝에 잘라낸 부분을 붙이고(S540), 이것을 압축을 푼 압축 이전의 원 정보로 출력한다(S550).
이때 끝에 잘라낸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530단계(S530)를 통해 획득된 십진수(a)를 압축을 푼 압축 이전의 원 정보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제어부가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를 이진수로 변환한 후, 십진수(a)로 변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부가 십진수가 함수에 의해 일대일 대응되는 b(함수에 의해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환된 횡축 좌표값)와 k(함수에 의해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환된 종축 좌표값)를 연산하기 위해
    Figure 112010068069318-pat00015
    의 판별식의 연산을 수행하여 판별값(S)을 획득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어부가 획득된 판별값이 정수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b,k를 연산하여 b,k를 획득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획득된 b,k와 십진수를 이용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압축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압축가능여부를 만족할때까지 제1 단계부터 제3 단계를 반복수행하여 획득된 b,k 또는 이진수로 변환된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이진수 중에 끝 한자리수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반복수행시 이진수로 변환된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후 십진수로 변환하여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로 재차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판별값이 정수이면,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b와 k를 획득하는 단계; 및
    판별값이 정수가 아니면,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b와 k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6

    (수학식 2)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7

    여기서, a는 입력된 정보의 이진수에 대응하는 십진수, b는 함수에 의해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환된 횡축 좌표값, k는 함수에 의해 압축하고자 하는 정보가 변환된 종축 좌표값을 의미하고, []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여부의 판단은,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식을 만족하면, 압축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8

    여기서, []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함.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여부의 판단은,
    판별값(S)≥23 이고, b 또는 k가
    Figure 112010046000331-pat00019
    보다 작은 경우 압축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압축가능여부에 의해 압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면, b,k와 함께 이진수의 제거한 끝 한자리수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확인결과, 끝 한자리를 제거한 적이 존재하지 않으면, b와 k를 통합하여 압축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압축을 풀고자하는 대상의 압축된 정보에 대한 b, k 또는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부분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b와 k를
    Figure 112010068069318-pat00020
    의 수식에 대입하여 원래 정보의 십진수(a)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십진수(a)를 압축을 푼 정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입력한 정보에 대한 이진수의 끝 한자리를 제거한 부분의 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획득된 원래 정보의 십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표현하고, 그 표현된 이진수의 끝자리에 끝 한자리를 제거한 부분의 정보를 붙인 후, 이를 십진수로 변환하여 압축을 푼 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압축 방법.
KR1020100068955A 2010-07-16 2010-07-16 정보 압축방법 KR101006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55A KR101006059B1 (ko) 2010-07-16 2010-07-16 정보 압축방법
US13/092,805 US20120016918A1 (en) 2010-07-16 2011-04-22 Method for Compressing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955A KR101006059B1 (ko) 2010-07-16 2010-07-16 정보 압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059B1 true KR101006059B1 (ko) 2011-01-07

Family

ID=43615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955A KR101006059B1 (ko) 2010-07-16 2010-07-16 정보 압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16918A1 (ko)
KR (1) KR1010060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4972A1 (en) * 2017-08-16 2019-02-21 Kulkarni Ranganath Gururaj COMPRESSION ELEMENTS OF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51B1 (ko) * 1995-08-22 2002-06-20 파트릭 제이. 바렛트 이진입력데이터스트림압축방법
KR20030096504A (ko) * 2002-06-12 2003-12-31 한국과학기술원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445A (en) * 1989-04-19 1994-05-10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Deconvoluted band representation for infrared spectrum compression
US5119442A (en) * 1990-12-19 1992-06-02 Pinnacle Systems Incorporated Real time digital video animation using compressed pixel mappings
US20040217956A1 (en) * 2002-02-28 2004-11-04 Paul Besl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mpressing, streaming, and interactive rendering of 3D color image data
US8977664B2 (en) * 2010-02-17 2015-03-10 Ca, Inc. System for storing and transmitting compressed integer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51B1 (ko) * 1995-08-22 2002-06-20 파트릭 제이. 바렛트 이진입력데이터스트림압축방법
KR20030096504A (ko) * 2002-06-12 2003-12-31 한국과학기술원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6918A1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4038B2 (en)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signal data
KR100894002B1 (ko) 선택적 압축과 복원 및 압축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위한 장치 및 방법
JP4814999B2 (ja) データ圧縮・復元方法及び圧縮・復元プログラム
CN110518917B (zh) 基于Huffman编码的LZW数据压缩方法及系统
EP2455853A2 (en) Data compression method
CN110021369B (zh) 基因测序数据压缩解压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JP6070568B2 (ja) 特徴量符号化装置、特徴量符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20299A1 (en) Lossless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methods
US20170338834A1 (en) Data compression apparatus, data decompression apparatus, data compression method, data decompress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Al-Bahadili A novel lossless data compression scheme based on the error correcting Hamming codes
KR101006059B1 (ko) 정보 압축방법
JP6835285B1 (ja) データ圧縮方法、データ圧縮装置、データ圧縮プログラム、データ伸長方法、データ伸長装置およびデータ伸長プログラム
US9479195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ession method, decompression method, compression device, and decompression device
Rathore et al. A brief study of data compression algorithms
Souley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compression techniques
Belodedov et al.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optimal encoding of WAV files using genetic algorithms
KR101890365B1 (ko) 압축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45235B1 (ko) 정보 은닉 기법을 이용한 재압축-재압축 해제 장치,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저장매체
KR101573983B1 (ko) 데이터 압축 및 데이터 복원 방법과 장치
Namburi et al. An efficient method to reduce LZW algorithm OUPUT code length
US10447295B2 (en) Coding method, coding device, decoding method, and decoding device
KR101857385B1 (ko) Lz77 무손실 압축 데이터의 오류 체크 방법 및 장치
CN109698704B (zh) 比对型基因测序数据解压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介质
JP4497029B2 (ja) データ符号化装置,およびデータ符号化方法
Kamir et al. Achieving Capability in Data Compression Using LZ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