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945B1 -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945B1
KR101003945B1 KR1020080064340A KR20080064340A KR101003945B1 KR 101003945 B1 KR101003945 B1 KR 101003945B1 KR 1020080064340 A KR1020080064340 A KR 1020080064340A KR 20080064340 A KR20080064340 A KR 20080064340A KR 101003945 B1 KR101003945 B1 KR 10100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eb
support bracket
portable termina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4260A (en
Inventor
강형중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102008006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945B1/en
Publication of KR2010000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개폐도중에도 자유롭게 멈출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kept open or closed at an end and can freely stop even during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플랜지(31a) 사이에 형성된 웨브(31b)의 양단에 각각 상기 플랜지(31a)의 단부 내측으로 걸림단(31c)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31)와, 플랜지(32a) 사이에 형성된 웨브(32b)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32c)이 형성되고, 상기 웨브(32b)가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는 제2 가이드(32)와, 상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의 사이에 탄력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31)에 밀착하여 슬라이딩되고,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에 체결되는 지지브라켓(33)을 포함한다.In the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end 31c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eb 31b formed between the flanges 31a and inside the end of the flange 31a, respectively. 1 A long hole 32c is formed in the web 32b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31 and the flange 32a fastened to the member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eb 32b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A second guide 32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eb 31b of the 31 and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I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sl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31, the support bracket 33 is fastened to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휴대 단말기, 슬라이드, 가이드, 지지브라켓 Mobile terminal, slide, guide, support bracke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개폐도중에도 자유롭게 멈출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modul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kept open or closed at an end and freely stopp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휴대전화, 전자사전,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중에는 배터리, 기판 등이 구비된 제1 부재와 화면 등이 구비된 제2 부재가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가 제공된다.Among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an electronic dictionary, a portable game machine, and the like, a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in which a first member provided with a battery, a substrate, and the like and a second member provided with a screen ar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휴대전화에서도 게임이나 DMB 기능이 강조되는 휴대전화를 비롯하여, 전자사전, 휴대용 게임기 등은 사용자에게 가로형태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의 짧은 변의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서, 슬라이드 모듈이 제공되고 있다.In mobile phones, as well as mobile phones with emphasis on games and DMB function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portable game consoles are provided with slide modules to open and close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provide a horizontal screen to the user. have.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살펴보면, 단순히 제1 부재에서 제2 부재가 슬라이딩하도록 할 뿐, 제2 부재가 폐쇄된 상태 또는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제2 부재를 정지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Looking at such a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simply to allow the second member to slide in the first member, the second member is not able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state in the closed state or the maximum open state, There is a problem of failing to stop the second member at any position.

이를 개선하고자, 휴대 단말기에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폐쇄된 상태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거나, 임의의 위치에서 특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나, 별도의 구성요소가 추가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 공정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a separate component is add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stat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and the maximum open state, or to maintain a specific state at an arbitrary position. As elements are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assembly processes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휴대 단말기를 슬라이딩 시킬 수 있고,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가 가능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slide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an stop at an arbitrary posi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웨브의 양단에 각각 상기 플랜지의 단부 내측으로 걸림단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의 제1 부재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웨브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웨브가 상기 제1 가이드의 웨브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제1 부재에 체결되는 제2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의 사이에 탄력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에 밀착하여 슬라이딩되고, 휴대 단말기의 제2 부재에 체결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한다.In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irst end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web formed between the flange to the inside of the end of the flange, respectively,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of the mobile terminal.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web formed between the guide and the flan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guid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web of the first guide and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first guide. And a support bracket provided between the second guide and the second guid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to slid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and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제2 가이드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제1 가이드의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 가이드의 웨브에 접촉되는 한 쌍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단차지게 상기 안착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제1 가이드의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단에 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제1 가이드의 단부에서 이탈되면 상단이 상기 제1 가이드의 웨브에 탄력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bracket is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second guide and slides,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as long as the support bracket is in contact with the web of the first guide when the support bracke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A pair of seating portions, and the seating portion extends outwardly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when the support bracke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the hooking portion is caught and the support bracket is end of the first guide. When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web of the first guide.

상기 제1 가이드에서 상기 웨브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이 상기 플랜지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web in the first guide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lange so that the engaging end is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flange.

상기 지지브라켓과 제2 부재 사이에는 슬라이딩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iding block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me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제2 부재가 제1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ember is slid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with a simple structure.

또한, 휴대 단말기의 제2 부재가 제1 부재를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 또는 제2 부재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 부재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completely covers the first member o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member is opened to the maximum, the second member may maintain the state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아울러, 상기 제2 부재는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는 동안에 임의의 위치에서 제2 부재를 정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mber may stop the second member at any position during opening or clos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지지브라켓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racket, Figure 5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1a) 사이에 형성된 웨브(31b)의 양단에 각각 상기 플랜지(31a)의 단부 내측으로 걸림단(31c)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31)와, 플랜지(32a) 사이에 형성된 웨브(32b)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32c)이 형성되고, 상기 웨브(32b)가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는 제2 가이드(32)와, 상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의 사이에 탄력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31)에 밀착하여 슬라이딩되고,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에 체결되는 지지브라켓(3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slide module 3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cking end 31c inside an end of the flange 31a at both ends of the web 31b formed between the flanges 31a. ) Is formed, and the long hole 32c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irst guide 31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web 32b formed between the flange 32a. And the web 32b is spaced apart from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and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I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sl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31, the support is fastened to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Bracket 33 is included.

제1 가이드(31)는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의 내부에 체결된다. 상기 제1 가이드(31)는 상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플랜지(31a)를 웨브(31b)가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웨브(31b)는 양단에 걸림단(31c)이 형성된다. 상기 웨브(31b)는 플랜지(31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31c)은 상기 플랜지(31a)의 단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후술되는 지지브라켓(33)의 지지부(33c)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first guide 31 is fastened inside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first guide 31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web 31b connects the flange 31a formed at intervals above and below, and the web 31b has locking ends 31c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web 31b is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flange 31a so that the engaging end 31c is positioned inside the end of the flange 31a, so that the support part 33c of the support bracket 33 to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Provide space to do so.

제2 가이드(32)는 상기 제1 가이드(31)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된다. 제2 가이드(32)도 상기 제1 가이드(31)와 마찬가지로 상하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플랜지(32a)를 웨브(32b)가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웨브(32b)가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와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 사이에는 상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의 길이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이드(32)의 웨브(32b)에는 제2 가이드(32)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장공(32c)이 형성된 다. 상기 장공(32c)은 후술되는 지지브라켓(33) 또는 슬라이딩블록(34)과 제2 부재(20)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The second guide 32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guide 31 at intervals and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Similarly to the first guide 31, the second guide 3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web 32b connects the flanges 32a formed at intervals above and below, and the web 32b includes the first guide 31. Spaced apart from the web 31b of the ()),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do. In addition, a long hole 32c is formed in the web 32b of the second guide 3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32. The long hole 32c is to allow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support bracket 33 or the sliding block 3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member 20 to pass therethrough.

지지브라켓(33)은 상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3)은 판재로 가공하여 형성된다.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33)은 상기 제2 가이드(32)의 웨브(32b)에 지지되는 연결부(33a)와, 상기 연결부(33a)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접촉되는 안착부(33b)와, 상기 안착부(33b)의 외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가이드(31)의 걸림단(31c)에 걸리는 지지부(33c)가 형성된다.The support bracket 33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and the support bracket 33 is formed by processing a sheet material. As shown in detail in FIG. 4, the support bracket 33 is formed by a connection part 33a supported by the web 32b of the second guide 32 and an extension from the connection part 33a. When (33)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31, the seating portion 33b in contact with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and the outer side of the seating portion 33b When the support bracket 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31, the support 33c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end 31c of the first guide 31.

안착부(33b)는 상부면이 상가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접촉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3a)와 후술되는 지지부(33c)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지지부(33c)가 탄성을 갖도록 한다. The seating portion 33b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an upper surface thereof may contact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and serves to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supporting portion 33c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part 33c has elasticity.

이러한, 안착부(33b)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33a)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33a)는 제2 가이드(32)의 웨브(32b)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안착부(33b)는 상기 지지브라켓(33)이 단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접촉된다.Such a seating portion 33b is provided in a pai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connecting portion 33a slide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web 32b of the second guide 32, and the seating portion 33b is in contact with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when the support bracket 33 is positioned at the end.

지지부(33c)는 상기 안착부(33b)의 외측, 즉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쪽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3b)에서 연결부(33a)로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33c)는 만곡되거나 돌출되 도록 형성되어 안착부(33b)와 상기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The support part 33c is formed to be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eating part 33b, that is, toward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The mounting portions 33b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portion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33a, respectively. Therefore, the support part 33c is formed to be curved or protrude so as to be stepped with the seating part 33b.

상기 지지부(33c)는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33c)와 상기 안착부(33b)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턱에 의해서 상기 걸림단(31c)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33c)는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33)이 탄성지지되록 한다.When the support bracket 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31, the support part 33c is caught by a jaw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support part 33c and the seating part 33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caught in the stage 31c.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33c contacts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when the support bracket 33 is not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31, thereby supporting the support bracket 33. This elastic support is made.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33)은 금속판재를 절곡가공하여,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racket 33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bending a metal plate material.

슬라이드 블록(34)은 상기 지지브라켓(33)에 체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32)의 웨브(32b)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3)에 직접 제2 부재(20)가 체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브라켓(33)과 제2 부재(20)가 직접 체결되면, 상기 제2 부재(20)가 슬라이딩될 때, 안정적이지 못하므로, 상기 슬라이드 블록(34)을 상기 지지브라켓(33)과 제2 부재(20)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34)은 둘레가 상기 장공(32c)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2 부재(2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The slide block 34 is fastened to the support bracket 33 and is fastened to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by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formed in the web 32b of the second guide 32. Although the second member 20 may be directly fastened to the support bracket 33, when the support bracket 33 and the second member 20 are directly fastened, when the second member 20 is slid, Since it is not stabl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slide block 34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3 and the second member 20. The slide block 34 has a circumference in contact with the long hole 32c, thereby allowing the second member 20 to slide stably.

한편,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도록 상기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부재(10)에 간격을 두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30)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를 제1 부재(10)에 체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30)의 지지브라켓(33) 또는 슬라 이드블록(34)에 제2 부재(20)의 양단을 각각 체결함으로써,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2 부재(2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e module 30 for the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3 is installed at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ymmetrical to face each other. That is, the slide module 30 is symmetrically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between the first member 10, and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are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In this state, by fastening both ends of the second member 20 to the support bracket 33 or the slide block 34 of the slide module 30, the second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10, respectively. ) Can be sli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휴대 단말기(1)는 평상시의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20)가 제1 부재(10)를 덮고 있다.In the normal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member 20 covers the first member 10.

이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33)에 형성된 지지부(33c)가 상기 제1 가이드(31)의 걸림단(31c)에 걸리므로,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가이드(31) 및 제2 가이드(32)가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어 있고, 지지브라켓(33)은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에 체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브라켓(33)이 제1 가이드(31)의 단부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상기 지지브라켓(33)의 지지부(33c)가 제1 가이드(31)의 걸림단(31c)에 걸리므로,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에 덮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3)에 형성된 지지부(33c) 중의 하나가 제1 가이드(31)의 걸림단(31c)에 걸려서 외력이 작용하기 전까지 제1 가이드(31)로부터 지지브라켓(3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since the support part 33c formed on the support bracket 33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31c of the first guide 31,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part are supported. The member 20 is kept closed.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are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support bracket 33 is attached to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It is in a fastened state. In this state, the support bracket 33 is positioned at the end side of the first guide 31, and the support 33c of the support bracket 33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31c of the first guide 31. Thus,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is kept in the state covered with the first member 10. As shown in detail in FIG. 5, one of the support portions 33c formed on the support bracket 33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31c of the first guide 31 and supported from the first guide 31 until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bracket 33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따라서,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2 부재(20)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고, 화면(21)을 구비한 제2 부재(20)가 제1 부재(10)를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Accordingly, the second member 20 does not move arbitrarily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the second member 20 having the screen 21 covers the first member 10. Stays in place.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11)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를 제1 부재(10)의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1 가이드(31)로부터 지지브라켓(33)이 이탈되고, 지지브라켓(33)은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탄력지지되는 상태로 슬라이딩된다. 사용자가 제2 부재(20)를 위로 밀어올리는 조작을 하게 되면, 조작력이 상기 지지브라켓(33)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지지브라켓(33)의 지지부(33c)가 제1 가이드(31)의 걸림단(31c)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3)은 복수의 지지부(33c)가 연장되어 있어서, 연결부(33a) 또는 안착부(33b)에 대하여 탄력적이므로, 상기 제2 부재(20)를 밀어올리면, 상기 지지부(33c)가 걸림단(31c)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지지브라켓(33)이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해지므로, 제2 부재(20)가 제1 부재(10)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pushes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0, as in the case of using the keypad 11, the first guide 31 The support bracket 33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racket 33, and the support bracket 33 is slid in a state of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When the user pushes the second member 20 upward, th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support part 33c of the support bracket 33 is caught by the first guide 31. Departure from 31c. Since the support bracket 33 ha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3c extending therefrom and is elastic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33a or the seating portion 33b, when the second member 20 is pushed up, the support portion 33c is pushed up. Since the support bracket 33 is slidable between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the second member 20 is attached to the first member 10. It can slide against.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3c)가 걸림단(31c)으로부터 이탈된 후에는, 지지부(33c)의 만곡된 부분인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접촉하도록 탄력지지하고, 상기 제2 부재(20)가 개방되고 있는 동안 임의의 위치에서 제2 부재(20)를 놓더라도, 상기 지지부(33c)가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2 부재(20)가 임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after the support part 33c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end 31c, the support part 33c is in contact with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which is a curved part of the support part 33c. The support 33c is resilient to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even if the second member 20 is placed at an arbitrary position while the second member 20 is being opened. Since it is in the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mber 20 is prevented from sliding arbitrarily.

계속해서 사용자가 계속해서 제2 부재(20)를 밀게되면, 도 5에서 걸림단(31c)에 걸린 나머지의 지지부(33c)가 제1 가이드(31)의 타단에 걸리게 되고, 제 2 부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 user continuously pushes the second member 20, the remaining support part 33c caught by the locking end 31c in FIG. 5 is caught by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member 20 is moved. ) Will remain fully open as shown in FIG. 2.

한편, 상기 제2 부재(20)를 닫을 때에는 상기의 역과정에 의해서 지지브라켓(33)이 제1 가이드(31)로부터 이탈되고, 지지브라켓(33)이 제1 가이드(31)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 부재(20)가 슬라이딩된 후, 제2 부재(20)가 완전히 제1 부재(10)를 덮으면 다시 지지브라켓(33)의 지지부(33c)가 제1 가이드(31)의 일단에 걸리게 되어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member 20 is closed, the support bracket 3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uide 31 by the reverse process, and the support bracket 3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31. After the second member 20 slides, the second member 20 completely covers the first member 10 so that the support part 33c of the support bracket 33 is caught by one end of the first guide 31 again. To maintain the state shown in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의 평상시 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rmal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서 지지브라켓의 확대 사시도.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bracket in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5는 휴대 단말기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휴대 단말기가 개방중인 상태의 단면도.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d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portable terminal,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terminal being open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휴대 단말기 10 : 제1 부재1 mobile terminal 10 first member

11 : 키패드 20 : 제2 부재11: keypad 20: second member

21 : 화면 30 : 슬라이드 모듈21: Screen 30: Slide Module

31 : 제1 가이드 31a : 플랜지31: first guide 31a: flange

31b : 웨브 31c: 걸림단31b: web 31c: hanging end

32 : 제2 가이드 32a : 플랜지32: second guide 32a: flange

32b : 웨브 32c : 장공32b: Web 32c: Long Hole

33 : 지지브라켓 33a : 연결부33: support bracket 33a: connection portion

33b : 안착부 33c : 지지부33b: seating portion 33c: support portion

34 : 슬라이드블록34: slide block

Claims (4)

플랜지(31a) 사이에 형성된 웨브(31b)의 양단에 각각 상기 플랜지(31a)의 단부 내측으로 걸림단(31c)이 형성되고,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는 제1 가이드(31)와,First end portions of the web 31b formed between the flanges 31a are engaged with the end portions 31c of the flanges 31a, respectively, and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the mobile terminal 1. With a guide (31), 플랜지(32a) 사이에 형성된 웨브(32b)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32c)이 형성되고, 상기 웨브(32b)가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1)의 제1 부재(10)에 체결되는 제2 가이드(32)와,A long hole 32c is formed in the web 32b formed between the flanges 3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eb 32b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A second guide 32 fastened to the first member 10 of 1), 상기 제1 가이드(31)와 제2 가이드(32)의 사이에 탄력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가이드(31)에 밀착하여 슬라이딩되고, 휴대 단말기(1)의 제2 부재(20)에 체결되는 지지브라켓(33)을 포함하며,I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etween the first guide 31 and the second guide 32, sli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31, fastened to the second member 20 of the portable terminal 1 It includes a support bracket 33, 상기 지지브라켓(33)은 상기 제2 가이드(32)에 지지되어 슬라이딩하는 연결부(33a)와, 상기 연결부(33a)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안착부(33b)와, 상기 안착부(33b)와 단차지게 상기 안착부(33b)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33c)를 포함하고,The support bracket 33 is supported by the second guide 32, the sliding portion 33a, a pair of seating portions 33b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33a and the seating portion A support part 33c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eating part 33b to be stepped with the 33b, 상기 안착부(33b)는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접촉되고,The seating portion 33b is in contact with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when the support bracket 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31. 상기 지지부(33c)는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 위치하면 상기 걸림단(31c)에 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3)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단부에서 이탈되면 상단이 상기 제1 가이드(31)의 웨브(31b)에 탄력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The support part 33c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31c when the support bracket 33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irst guide 31, and the support bracket 33 is an end of the first guide 31. The slid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web (31b) of the first guide (31) when separated fro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가이드(31)에서 상기 웨브(31b)의 길이는 상기 플랜지(31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31c)이 상기 플랜지(31a)의 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The length of the web 31b in the first guide 31 is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lange 31a so that the engaging end 31c is formed inside the end of the flange 31a. Slide module for th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브라켓(33)과 제2 부재(20) 사이에는 슬라이딩블록(3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A sliding module (34)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3) and the second member (20).
KR1020080064340A 2008-07-03 2008-07-03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KR101003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40A KR101003945B1 (en) 2008-07-03 2008-07-03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40A KR101003945B1 (en) 2008-07-03 2008-07-03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60A KR20100004260A (en) 2010-01-13
KR101003945B1 true KR101003945B1 (en) 2010-12-24

Family

ID=4181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40A KR101003945B1 (en) 2008-07-03 2008-07-03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94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48B1 (en)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phone using slide module
KR200342937Y1 (en) 2003-12-09 2004-02-21 에스프라전자 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50735Y1 (en) * 2004-02-17 2004-05-17 (주) 프렉코 Slide hinge of mobile terminal
KR100442729B1 (en) 2003-07-14 2004-08-02 (주)우전테크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48B1 (en) * 2001-03-22 2004-02-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phone using slide module
KR100442729B1 (en) 2003-07-14 2004-08-02 (주)우전테크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342937Y1 (en) 2003-12-09 2004-02-21 에스프라전자 주식회사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50735Y1 (en) * 2004-02-17 2004-05-17 (주) 프렉코 Slide hinge of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260A (en)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9717Y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70096365A (en) Slide spring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e module having the same
US20100154168A1 (en) Hinge device for cellular phone
US20110032668A1 (en) Slide-type opening/clos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419188Y1 (en) Slide spring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e module having the same
US8453299B2 (en) Connecting module and sli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9197724B2 (en) Wire arrange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41014B1 (en) Slid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1003945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device
KR100952323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120000258U (en) Slide locking device having waterproof means in mobile phone
KR200419120Y1 (en)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749747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KR100619184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KR200451338Y1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of a combined slide and swing type
KR100629241B1 (en)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KR20100009708U (en) Slide hinge module
KR20070018349A (en)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US8463337B2 (en) Sliding module with scratch prevention device
KR100970983B1 (en) Spring module for sliding apparatus
KR200448999Y1 (en) Switchgear for slide type cellular phone
KR100959622B1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90057880A (en) Elastic body for sliding module
KR200417444Y1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101419692B1 (en) Portabel terminal having long stroke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