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45B1 - Decontamination Side-Mirror - Google Patents

Decontamination Side-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45B1
KR101003745B1 KR1020090008572A KR20090008572A KR101003745B1 KR 101003745 B1 KR101003745 B1 KR 101003745B1 KR 1020090008572 A KR1020090008572 A KR 1020090008572A KR 20090008572 A KR20090008572 A KR 20090008572A KR 101003745 B1 KR101003745 B1 KR 101003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mage
air
air inlet
pr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9361A (en
Inventor
안철훈
Original Assignee
(주)다위실업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위실업정공 filed Critical (주)다위실업정공
Priority to KR102009000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45B1/en
Publication of KR2010008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3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5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bad weather conditions or night v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Y2300/202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or induced by the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가 개시된다. 사이드미러의 외부면에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미러의 상단부로 유통되도록 가이드하고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미러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미러에 묻은 이물질이나 빗방울을 제거하고, 영상검출장치를 프리즘이나 비구면 오목거울과 결합하여 차량 외부의 영상을 차량 내부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외부 디자인을 개선하고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Disclosed is a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t comprises an air inle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irror and the air inlet formed to guide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to the upper end of the mirror and outflow air is directed from the top of the mirror to the bottom By removing foreign matter or raindrops on the mirror and combining the image detection device with the prism or aspherical concave mirror to display the image outside the vehicle inside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terior design and improve the fuel economy of the vehicle. It is effective to reduce noise.

사이드미러, 이물질, 스크린, 공기유입구, 이물질, 빗방울 Side mirrors, foreign objects, screens, air inlets, foreign objects, raindrops

Description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Decontamination Side-Mirror}Decontamination Side-Mirror}

본 발명은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미러 또는 렌즈에 묻어있는 빗방울 등과 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영상검출장치를 오목거울과 결합하여 외부 디자인을 개선하고 간섭이 줄며 화면 밝기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일 방향으로 완전한 정립상을 투시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raindrops on a mirror or a lens by using inflow air, and to improve an external design by combining an image detection device with a concave mirr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ch reduces interference, improves screen brightness, and provides a full view of the image in one direc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좌우측에 사이드 미러(side mirror)가 설치되어 있어, 차선을 바꾼다거나 할 때 운전자가 자동차의 좌우측 관찰을 쉽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In general, side mirrors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which helps the driver to easily observ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when changing lanes.

도 1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사이드 미러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사이드 미러(10)는 자동차 외부면에 장착되는 케이스홀더(30)에 구비되는 미러 케이스(20)와, 상기 미러 케이스(20)의 후면에 부착되어 자동차 후방의 사물을 운전자에게 반사하는 반사경(40)으로 구성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side mirror generally mounted on a vehicle. The side mirror 10 includes a mirror case 20 provided in a case holder 30 mounted on an exterior surface of a vehicle, and the mirror case 20. Attach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consists of a reflector 40 reflecting the object of the rear of the driver.

이러한 종래의 반사경은 평면형으로 구성되나 평면형은 물체와의 거리가 실제보다 멀어 보이지 않지만 운전자의 시야 영역이 좁은 단점이 있기 때문에 운전자 의 시야 범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볼록 거울 또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지는 반사경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 역시 운전자의 시야는 넓게 해 주지만 자연히 사각지대가 형성되는 한편 반사경에 보이는 물체가 실제보다 더 멀어 보여 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다.Such a conventional reflector has a flat shape, but the flat type does not seem to be farther than the actual object, but the driver's field of view is narrow, so that a reflector made of a convex mirror or curved surface may be used to secure the driver's field of view. do. This also widens the driver's field of view, but naturally a blind spot is formed, while the objects visible on the reflector are farther than they actually are.

또한, 사이드 미러는 접촉사고가 잦은 곳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디자인을 고려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In addition, the side mirror is a place where frequent accid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considering the design of the car.

자동차 디자이너들에게 내려진 가장 주요한 임무가 예쁘고 멋진 차보다는 공기저항을 줄인 고효율 차를 제작하는 것이다. The main task of car designers is to produce high-efficiency cars with less air drag than pretty and cool cars.

사이드 미러는 공기저항 수치를 높이는 대표적인 부품이기 때문에 공기 흐름의 개선은 바로 연비 향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Since the side mirror is a representative component to increase the air resistance, the improvement of the airflow leads to the improvement of fuel economy.

그리고 대부분의 사이드 미러는 비오는 날 빗방울이 맺혀서 잘 보이기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사고가 더욱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And since most side mirrors are difficult to see because of raindrops on rainy days, such an accident may occur mo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이드미러의 미러 또는 렌즈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공기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각지대가 없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를 넓게 해 주고 공기저항이 거의 없으며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외부에 돌출된 사이드미러를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이익이 발생하는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mirror or lens of the side mirror with air, while widening the field of view of the driver without blind spots, having little air resistance, and reducing noi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mirror in which various benefits occur by installing a side mirror protruding therei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는 사이드미러의 외부면에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미러의 상단부로 유통되도록 가이드하고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미러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guided so that the air inlet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irror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flows to the upper end of the mirror, and the air is discharged. And an outlet formed to face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irror.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통로로 유입된 공기가 모아지는 벤츄리형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을 보다 빠르게 유출되게 할 수 있다.The outlet may be narrowed in the venturi shape in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istribution path is collected, so that the flow of air can flow out more quickly.

또한,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에 사용되는 영상검출장치는 외부 출력 영상을 반사시키는 프리즘 및 상기 프리즘에서 반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오목거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하고, 상기 프리즘은 상기 오목거울의 촛점거리 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프리즘에서 반사된 영상이 정립허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detection device used in the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ism for reflecting the external output image and a concave mirror for displaying the image reflected from the prism, the prism is within the focal length of the concave mirror And position the image reflected by the prism to be positioned as an upright image.

따라서,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미러에 의하면, 빗방울이나 이물질등을 달리는 차량의 공기를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후방 시야확보가 용이하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raindrops or foreign matters by using the air of the vehicle running, foreign matters can be easily removed wit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rear view of the vehicle can be easily secured.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사이즈의 렌즈군을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영상이 프리즘과 오목렌즈의 촛점거리 안에서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에서 영상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mall group of lenses on the outside, the external image is reflected within the focal distance of the prism and the concave lens, thereby making it easy to check the image inside and eliminate the blind spots. .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미러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미러의 사시도로서, 공기 유입구(210)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사이드 미러(200)의 상부에 설치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let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irror 200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공기 유입구(210)로 유입된 공기가 사이드 미러(200) 뒷면의 미러(mirror)나 렌즈에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공기가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21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mirror 200 in order to direct the air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mirror or the lens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mirror 200. It is not limited.

이러한 사이드 미러(200)의 내부에는 외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검출장치(100)가 설치된다.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100 for outputting an external image is installed in the side mirror 200.

도 3을 참조하여 사이드 미러(2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internal structure of the side mirro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2의 사이드 미러 확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200)는 미러하우징(220)에 후방을 비추는 미러 또는 렌즈(112)가 일측에 렌즈 가이드(228)에 고정되고 미러하우징(220)의 외부면에 일정 폭을 갖는 공기 유입구(210)를 자동차의 진행방향에 대해 상단부에 형성하고, 공기유입구(210)로 유입된 공기가 미러 또는 렌즈의 상단부로 유통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유출구(212)가 미러하우징(2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 형성되고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곳은 공기가 모아지도록 벤츄리형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mirror of FIG. 2, and as shown, the side mirror 200 includes a mirror or lens 112 projecting rearward to the mirror housing 220 and fixed to the lens guide 228 at one side thereof. The air inlet 21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220 is formed in the upper en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air outlet for guiding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210 to the upper end of the mirror or lens 212 is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front of the mirror housing 220 to the rear, and the place where the introduced air flows out is formed to be narrowed in a venturi shape so that the air is collected.

미러하우징(220) 내측에는 구동모터(226)의 회동기어(224)와 치합되게 랙기어가 형성된 차단커버(222)를 형성시켜 구성한다.Inside the mirror housing 220 is formed by forming a blocking cover 222 formed with a rack gear to mesh with the rotation gear 224 of the drive motor 226.

또한, 하기에서 설명될 영상검출장치(100)가 내설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below is configured to be internal.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우천시 미러 또는 렌즈면에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뭍은 상태에서 주행을 하면 공기유입구(210)로 달리는 저항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게 된다. 이렇게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벤츄리형상의 유출구(212)를 통하여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이때 빨라진 공기는 미러 또는 렌즈(112)의 표면에 부딪혀 나가게 된다. 따라서 미러 또는 렌즈(112)면에 뭍은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When raining or other foreign matter on the mirror or lens surface in rainy weather, the outside air enters by the resistance running to the air inlet 210.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 this way is speeded up through the venturi-shaped outlet 212 gradually narrowing, and the accelerated air hits the surface of the mirror or lens 112. Therefore, the rain water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or lens 112 can be removed.

그리고, 우천시가 아닌 경우에는 미러하우징(220)에 수납되어 있는 구동모터(226)의 회동기어(224)가 차단커버(222)를 밀어 올려 공기유입구(210)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ot rainy, the rotation gear 224 of the driving motor 226 accommodated in the mirror housing 220 may be configured to push up the blocking cover 222 to block the air inlet 21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미러하우징(220)에 내설된 영상검출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100 built in the mirror housing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프리즘과 비구면 오목렌즈를 이용한 영상검출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상 맺힘 현상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는 외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검출장치(100)와, 영상검출장치(100)의 출력 영상이 프리즘(190)에서 전반사되어 허상이 맺어지는 오목거울(19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mage detection apparatus using a prism and an aspherical concave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image condensation phenomenon of FIG. The mirror includes an image detection apparatus 100 for outputting an external image, and a concave mirror 192 in which an output image of 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100 is totally reflected by the prism 190 to form a virtual image.

영상검출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를 이용한 파인더 시스템의 개략적으로 구성한 것으로, 피사체의 영상을 집광시키는 광학장치(112)와, 광학장치(11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122)와, 미러(122)에 의해 반사된 피사체의 영상을 촬상시켜 그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장치(130)와 촬상장치(130)에서 출력된 영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LCD로 구성된 표시 장치(180)로 구성된다.The image detecting apparatus 100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inder system us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mage detect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optical device 112 for condensing an image of a subject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112. A mirror 122 connected to refle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an image pickup device 130 and an image pickup device 130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subject reflected by the mirror 122 and outputting an imag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t is composed of a display device 180 consisting of an LCD that can easily see the image output from the.

이러한 표시장치는 LCD뿐만 아니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Such a display device may be replaced with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s well as an LCD.

표시장치(180)에서 투사된 영상은 프리즘(190)에서 전반사되어 오목거울을 통하여 축상에 확대된 허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The image projected by the display device 180 is totally reflected by the prism 190 to be displayed as a virtual image enlarged on the axis through the concave mirror.

이를 위하여 프리즘(190)은 오목거울의 촛점거리 안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For this purpose, the prism 190 should be located within the focal length of the concave mirror.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80)에 맺혀진 영상(A)이 오목거울(192)의 촛점거리안에 위치한 프리즘(190)에서 전반사되어 오목거울(192)에 투사되면 오목거울에서 반사된 광축상에서 바라보면 확대된 허상(A')이 영상(A)의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image A formed on the display device 180 is totally reflected by the prism 190 located within the focal distance of the concave mirror 192 and is projected onto the concave mirror 192, the optical axis reflected from the concave mirror is reflected. Looking at the image, the enlarged virtual image A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image A. FIG.

구체적으로는 영상검출장치(100)를 차량의 외부에 설치하고 특히, 렌즈군(112)과 미러(122)를 차량의 외부에 설치하고 차량의 내부에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쉬운 장소(차량의 좌우측 창문)를 선택하여 프리즘(192)과 오목거울(190)을 설치하면 운전자는 외부의 영상을 손쉽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image detect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lens group 112 and the mirror 122 are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and the place where the driver's view is easy to be secured inside the vehicl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When the prism 192 and the concave mirror 190 are installed by selecting a window), the driver can easily observe an external image.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영상검출장치(100)를 자동차의 창문(220)의 외측, 기존의 차량 사이드 미러 위치에 설치하고 LCD(180)와 비구면 오목거울(192) 그리고 프리즘(190)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image detect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outside the window 220 of the vehicle and in the existing vehicle side mirror position, and the LCD 180, the aspherical concave mirror 192 and the prism 190 are installed. )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영상검출장치(100)의 구성요소인 렌즈군(112)과 미러(122)만을 차량의 외부에 설치하고 기타 구성요소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하면 보다 간편한 구조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Preferably, only the lens group 112 and the mirror 122,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and other components may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here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mpler structure. ha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오목거울의 상 맺힘 현상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image condensation phenomenon of a concave mirror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4는 오목거울의 상 맺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통상 오목거울은 볼록거울과 달리 꽤 복잡하게 상이 맺히므로 자동차 백미러에 절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즉, 자동차 백미러에 오목거울을 달면 멀리서 달려오는 차 가 거꾸로 뒤집어져(도립) 달려오다가 갑자기 뒤집어진 차가 엄청커져 원래 차의 크기보다 더 커지다가 갑자기 차가 똑바로(정립) 선 모습이 되더니 휭하니 옆을 지나가 버리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mage condensation phenomenon of the concave mirror, it is known that the concave mirror, unlike the convex mirror is quite complicated to form the image can never be used in the rearview mirror of the car. In other words, if you put a concave mirror on a car rearview mirror, the car that runs away from you will run upside down (inverted), and the car will suddenly turn upside down and become bigger than the original car, and suddenly the car will stand upright. We know that we cannot use because we pass.

즉, 물체가 오목거울에서 멀리 있을 때는 축소된 도립 실상(거울 밖, 즉, 물체가 있는 쪽)이 생기다가 거울에 가까워지면 확대된 도립(뒤집힌 모양) 실상이 생기고 그러다가 거울에 너무 가까워지면 실물보다 큰 똑바로 선 허상(정립허상)이 생기기 때문이다.That is, when the object is far from the concave mirror, a reduced inverted image (outside the mirror, that is, the object is on the side) occurs, and when it gets closer to the mirror, an enlarged inverted image appears, and when it gets too close to the mirror, This is because a large upright virtual image is created.

이때 상 맺힘의 기준이 되는 것은 오목거울의 반지름과 초점으로 물체가 반지름 밖에 있을 때는 축소된 도립 실상, 반지름 안으로 들어와서 초점까지는 확대된 도립 허상, 초점안에서 거울에 부딪힐 때까지는 확대된 정립 허상이 생기기 때문이다.The criteria for image formation are the radius and focus of the concave mirror, which is a reduced inverted image when the object is outside the radius, an enlarged inverted virtual image that enters the radius to the focus, and an enlarged upright virtual image until it hits the mirror in the focus. Because it occurs.

이때 상의 크기나 상 맺힐 위치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하여 확인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image or the position of the image is confirm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06721335-pat00001
Figure 112009006721335-pat00001

여기서, a는 거울과 물체까지의 거리, b 는 거울에서 상까지의 거리, f 는 거울의 초점거리, r 은 거울의 곡률 반지름이다.Where a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irror and the object, b is the distance from the mirror to the imag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mirror, and r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mirror.

도 4를 참조하면, 오목거울에서는 상의 성질이 오목거울의 초점과 구심에 대한 물체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in the concave mirror, the image property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object with respect to the focus and the centripet of the concave mirror.

①과 같이 거울면으로부터 무한히 멀리 떨어진 물체의 상(①')은 초점에 한 점으로 생긴다.Like ①, an image (① ') of an object that is infinitely far from the mirror surface is created as a point in focus.

②와 같이 물체가 구심보다 먼 곳에 있을 때는 축소된 도립실상(②')이 실물보다 축소되어 나타난다.When the object is farther away from the centripet, as in ②, the reduced inverted chamber image (② ') appears to be smaller than the actual body.

③과 같이 물체가 구심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같은 위치에 같은 크기의 도립실상(③')이 생긴다. If the object is located at the centripet as in ③, an inverted thread image (③ ') of the same size occurs at the same position.

④와 같이 물체가 초점과 구심의 사이에 있을 때는 도립실상(倒立實像: 거꾸로 선 형태의 실상)(④')이 실물보다 확대되어 나타난다. When the object is between the focal point and the centripet, as in ④, the inverted image (④ ') appears to be larger than the object.

그리고 ⑤와 같이 물체가 초점보다 거울 가까이에 있을 때는 정립허상(正立虛像: 바로 선 형태의 허상)(⑤ ')이 실물보다 확대되어 나타난다.And when the object is closer to the mirror than the focal point, as in ⑤, the upright virtual image (⑤ ') appears larger than the real one.

그리고 물체가 초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And no image is formed when the object is in focus.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오목거울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의 변화가 없도록 촬상소자나 프로젝터 또는 투시경에서 투시된 영상이 프리즘에서 전반사되어 항상 물체의 위치가 일정한 위치 즉, 오목거울의 촛점거리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차량의 외부에 어떠한 장치가 없어도 정립허상을 볼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concave mirror so that the image is not totally reflected by the image pickup device, the projector or the viewing mirror is totally reflected in the prism to always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object, that is, within the focal length of the concave mirror, This means that you can see the standing image without any device outside the vehicle.

통상 렌즈로 입사된 모든 빛이 렌즈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처럼 거울에 부딛힌 빛이 모두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거울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의 표면에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로 코팅을 입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since all the light incident on the mirror does not reflect as if all the light incident on the lens does not pass through the lens,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surface of the glass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to increase the reflectivity of the mirror.

또한, 반사율이 비교적 높으면서 부식이 잘 되지않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기를 잘 통하는 은을 사용하면 반사율을 더 높일 수 있으나 부식이 잘되고 파장 별로 반사율의 차이가 커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n aluminum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reflectance and hardly being corroded. The use of highly conductive silver can increase the reflectanc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rrosion is good and the reflectance difference is large for each wavelength.

따라서, 알루미늄 코팅에 실리콘을 다시 엷게 코팅시켜 부식을 방지해 거울의 수명을 늘리는 것도 한 방법이다. Therefore, a thin coating of silicon on the aluminum coating prevents corrosion and extends the life of the mirr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검출장치를 프리즘이나 비구면 오목거울과 결합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프렌넬렌즈 및 렌트큘라렌즈로 구성된 스크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도 당연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is described as being combined with a prism or an aspherical concave mirror, but it is natural that the image detection apparatus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screen composed of a Fresnel lens and a lenticular lens.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사이드 미러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ide mirror generally mounted on a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미러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사이드 미러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de mirror of FIG. 2;

도 4는 오목거울의 상 맺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mage formation phenomenon of the concave mirror,

도 5는 프리즘과 비구면 오목렌즈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de mirror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using a prism and an aspherical concave lens;

도 6는 도 5의 상 맺힘 현상을 확대 도시한 도면,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image condensation phenomenon of FIG. 5;

그리고, And,

도 7은 본 발명의 사이드 미러의 부착 위치를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ide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영상검출장치 112 : 거울 또는 렌즈100: image detection device 112: mirror or lens

122 : 미러 130 : 촬상소자122 mirror 130 imaging device

180 : 표시장치 190 : 프리즘180: display device 190: prism

192 : 오목거울 200 : 사이드미러192: concave mirror 200: side mirror

210 : 공기유입구 212 : 공기유출구210: air inlet 212: air outlet

Claims (4)

삭제delete 외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검출장치를 구비한 사이드미러에 있어서,In a side mirror having an image detection device for outputting an external image, 사이드미러의 외부면에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210); Air inlet 210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mirror;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미러의 상단부로 유통되도록 가이드하고 유출되는 공기가 상기 미러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그 출구가 상기 유입된 공기가 모아지는 벤츄리형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유출구(212);및The air inlet 212 is formed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is circulated to the upper end of the mirror and the outflow air is direc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irror so that the outlet is narrowed into a venturi shape in which the inlet air is collected. ); And 상기 공기유입구를 차단하도록 구동모터의 회동기어에 의하여 동작되는 차단커버(222);A blocking cover 222 which is operated by the rotation gear of the driving motor to block the air inlet;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And including 상기 차단커버는 우천시가 아닌 경우 상기 공기유입구를 차단하도록 동작되는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The blocking cover is a 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that is operated to block the air inlet when the rain is not.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상검출장치는The image detection device 외부 출력 영상을 반사시키는 프리즘(190); 및A prism 190 for reflecting an external output image; And 상기 프리즘에서 반사된 영상을 표시하는 오목거울(192);A concave mirror 192 displaying an image reflected from the prism;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Side mirror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프리즘은The prism is 상기 오목거울의 촛점거리 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프리즘에서 반사된 영상이 정립허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용 사이드 미러.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side mirror of the concave mirror is located within the focal length of the concave mirror so that the image reflected by the prism is displayed as an upright image.
KR1020090008572A 2009-02-03 2009-02-03 Decontamination Side-Mirror KR101003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572A KR101003745B1 (en) 2009-02-03 2009-02-03 Decontamination Side-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572A KR101003745B1 (en) 2009-02-03 2009-02-03 Decontamination Side-Mirr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361A KR20100089361A (en) 2010-08-12
KR101003745B1 true KR101003745B1 (en) 2010-12-23

Family

ID=4275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572A KR101003745B1 (en) 2009-02-03 2009-02-03 Decontamination Side-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4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858A (en) 2003-06-30 2005-01-20 Nissan Motor Co Ltd Door mirror with built-in camera
KR100702787B1 (en) * 2006-01-27 2007-04-03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and rainwater from automobile sideview mirr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858A (en) 2003-06-30 2005-01-20 Nissan Motor Co Ltd Door mirror with built-in camera
KR100702787B1 (en) * 2006-01-27 2007-04-03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moving moisture and rainwater from automobile sideview mirr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361A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28C (en) Rear view mirror unit for a vehicle
JP5382476B2 (en) Optical module with multifocal lens to detect remote and close range in images
US20150142263A1 (en) Imaging unit, attached matter detector,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vehicle
US20080283782A1 (en) Camera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KR100556992B1 (en) Deposit detector and control device using it
JP2009173260A (en) Optical module for assistance system
JPH0555120U (en) Vehicle display
KR101003746B1 (en) Multi Side-Mirror
KR101003745B1 (en) Decontamination Side-Mirror
CN209281089U (en) Vehicle-mounted head-up display eliminates spuious photo structure
JP5330741B2 (en) In-vehicle observation system
JPH09159986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7312220B2 (en) camera system
TW201314253A (en) A vision enhancement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100899792B1 (en) Blind spot lens
CN100366463C (en) Forward view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US3372970A (en) Traffic light indicator
KR101219872B1 (en) Lens module, lateral detec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JP2600353Y2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s
JPS63203435A (en) Visorless meter for vehicle
CN116815673A (en) Road reflection of light warning sign
JP2001013451A (en) Magnified display device
KR100877887B1 (en) Extended viewer module or front glass to overcome the blind spot of automobile by front pillar of a car and design method thereof
CN117561476A (en) Optical module comprising a camera and an opaque element for absorbing light
CN114846385A (en) Head-up display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