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83B1 -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83B1
KR101001883B1 KR1020080060437A KR20080060437A KR101001883B1 KR 101001883 B1 KR101001883 B1 KR 101001883B1 KR 1020080060437 A KR1020080060437 A KR 1020080060437A KR 20080060437 A KR20080060437 A KR 20080060437A KR 101001883 B1 KR101001883 B1 KR 10100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nector
seating port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4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0806A (en
Inventor
김창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883B1/en
Publication of KR20100000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8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4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2)에 일측으로 개구되는 안착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2)에는 상기 안착부(42')와 동일평면상에서 상기 안착부(42')가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지지면(52)이 형성된다. 터미널(70)은 상기 안착부(42')에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70)의 일단에는 상기 안착부(42')에서 멀어지게 연장되는 연결레그(76)가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70)의 타단에는 상기 지지면(52)에 지지되는 걸이부(7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70)과 커넥터(40)의 체결을 위한 터미널(70)의 걸이부(74)가 단순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터미널(70)의 제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제조비가 절감되고, 터미널(70)의 설치과정이 간단하여 조립공정이 간소화되며 터미널(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portion 42 ′ that is opened to one side is formed in the housing 42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connector 40. In addition, the housing 42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52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42 'is ope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ating portion 42'. The terminal 70 is seated on the seating 42 '. One end of the terminal 7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legs (76) extending away from the seating portion 42 ',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70 is a hook portion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52 74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hook portion 74 of the terminal 70 for fastening the terminal 70 and the connector 40 is formed in a simple shape, manufacturing of the terminal 70 is relatively easy.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70 is simple,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terminal 70.

하우징, 걸림슬릿, 연결레그, 스프링부, 걸이부 Housing, engaging slit, connecting leg, spring part, hook part

Description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이 구비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having a terminal for per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기구와 전선, 또는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여 전기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기구로서 절연성 재질로 된 하우징 내부에 도전성 금속재질의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connector is a connec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an electric appliance and an electric wire or an electric circuit by connecting an electric wire and an electric wire, and a conductive metal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Widely used in power supply circuits and the like.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The use of the connector in thes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has the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parts can be assembled separately and then inserted into the final product, thereby greatly simplifying maintenance work as well as device manufacture.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상대커넥터와 결합됨으로써 두 커넥터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로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회로기판과 외부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Such a connector is usually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erminals provided in the two connectors by being coupled with a mating connector, but in some cases,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PCB)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board to an external electric component. Sometime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1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of FIG. 1 in a plan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0 are formed by the housing 12. The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 하우징(12)의 선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일부가 고정되는 관통부(1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4)는 상기 하우징(1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압착부(22)가 삽입된다.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2 is formed with a through portion 14 to which a portion of the terminal 20 to be described below is fixed. The through part 14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12. The crimping portion 22 of the terminal 2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14.

그리고, 상기 하우징(12)의 선단 일측에는 고정부(16)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6)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부(1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20)의 걸림부(24)가 걸어진다.In addition, a fixing portion 16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2. The fixing part 16 is located between the penetrating parts 14 as well shown in FIG. The locking portion 16 is hooked to the locking portion 24 of the terminal 20 to be described below.

한편,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에는 터미널(20)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0)의 일단에는 반구(半球) 형상의 압착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2)는 상기 터미널(20)의 선단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압착부(22)는 상기 관통부(14)에 압입되어 상기 터미널(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2. One end of the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hemispherical crimping portion 22. The seating portions 2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erminal 20, respectively. The pressing part 22 is pressed into the through part 14 and serves to fix the terminal 20.

상기 압착부(22) 각각의 사이에는 걸림부(24)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4)는 상기 터미널(20)에서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24)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24)는 상기 관통부(14)로 삽입되어 그 일 단이 상기 고정부(16)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24)는 상기 터미널(20)이 상기 하우징(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A locking portion 24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pressing portions 22. The locking portion 24 is formed by bending a part of the terminal 20. The locking portion 24 is provid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The locking portion 24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14 so that one end thereof is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16. The locking portion 24 prevents the terminal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12.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에는 스프링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26)는 상기 압착부(22) 및 걸림부(24)가 구비된 상기 터미널(20)의 일단에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26)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spring portion 26. The spring part 26 is formed to be bent approximately vertically at one end of the terminal 20 provided with the crimping part 22 and the locking part 24. The spring portion 26 may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its shape and material properties.

상기 스프링부(26)에는 접촉부(28)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28)는 상기 스프링부(26)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1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부(28)는 회로기판 등의 회로패턴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spring portion 26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28. The contact portion 28 is formed by bending one end of the spring portion 26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12. The contact part 28 is connected to a circuit pattern such as a circuit board and serves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는 회로기판 상에서 이동하며 전기회로를 선택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The combination switch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ransfers an electrical signal by moving on a circuit board and selectively shorting an electric circui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종래 기술에서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압착부(22)가 형성된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12)에 압입되고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서 상기 걸림부(24)가 상기 고정부(16)에 걸어지는데, 상기 터미널(20)이 압입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2)에 소성변형이 일어나면 상기 터미널(20)이 확실히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in the prior art, the terminal 20 has one end of the crimping portion 22 formed therein pressed into the housing 12, and the locking portion 24 has the fixing portion 16 inside the housing 12. However, when the p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housing 12 due to the press-fit of the terminal 20, the terminal 20 is not fixed securely.

또한, 상기 터미널(20)을 상기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부(14) 사이에서 압착되는 압착부(22)와 상기 압착부(22) 각각의 사이에서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걸림부(24)의 형상이 복잡하여 이들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bent between the crimping portion 22 and each of the crimping portions 22 that are pressed between the through portions 14 to secure the terminal 20 to the housing 12 of the connector 10.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locking portion 24 formed to be inclined is complicated, and the structure of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m is complicated.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의 일단은 대략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2)에 삽입되므로 터미널(20)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의 길이만큼 상기 하우징(12)의 두께가 확보되어야하므로 상기 커넥터(10) 전체의 부피가 늘어나 공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one end of the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2 while being bent vertically,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12 must be secured by the length of the vertically bent portion of the terminal 20.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connector 10 is increased and the space efficiency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물리적인 변형을 유발하지 않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that does not cause physical deforma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체결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having a relatively simple fastening structure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미널이 고정되는 하우징의 두께가 얇아지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to which the terminal is fixed becomes thi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개구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동일평면상에서 상기 안착부가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일면이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일단에는 상기 안착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어 상대물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레그가 다수개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일면의 반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걸이부의 타면이 상기 지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레그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의 일단을 지지하는 돌출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레그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돌출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ing portion is formed to be opened to one side,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ope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 housing;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one 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legs extending far away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other end is opposite to the one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a terminal formed so that the oth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and the housing includes a protruding rib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connecting legs to support one end of the terminal. Combination switch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terminal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housing, the protruding ri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leg between each of the connecting legs in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상기 걸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걸림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면에 지지된다. The hook portion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through the locking slot formed in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의 타단을 지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된다.One end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fixing part that forms one side boundary of the seating part and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상기 연결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레그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촉부가 구비된다.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leg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connecting leg to protrude to one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체결을 위해 하우징의 물리적인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터미널의 일단이 하우징의 일면에 지지됨으로써 터미널이 고정되므로 터미널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erminal is fixed by supporting one end of the terminal without physical deformation of the housing for fastening the terminal, the assembly of the terminal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과 하우징의 체결을 위한 터미널의 걸이부가 단순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터미널의 제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제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ok portion of the terminal for fastening the terminal and the housing is formed in a simple flat plate shape, the manufacturing of the terminal is relatively easy,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에서 하우징에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 절곡되지 않고 거의 평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일측에 지지되므로 터미널의 체결을 위한 하우징의 두께가 요구되지 않아 커넥터가 슬림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in the terminal is not bent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nd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for fastening the terminal is not required, thereby making the connector slim.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ombination switch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cross-sectional view, and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4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4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2)에는 상기 터미널(7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42)은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40 are formed by the housing 42. The terminal 70 is inserted and seated in the housing 42. The housing 4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상기 하우징(42)에는 안착부(42')가 일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2')에는 터미널(70)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2)의 일단에는 고정부(4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44)는 상기 안착부(42')의 일측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44)는 상기 안착부(42')에 안착된 터미널(7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터미널(70)이 상기 하우징(42)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터미널(70)의 걸이부(74)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using 42 is formed to have a seating portion 42 ′ open to one side. The terminal 70 is seated on the seating part 42 ′. In addition, a fixing portion 4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using 42. The fixing part 44 forms a boundary of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42 ′. The fixing part 44 prevents detachment of the terminal 70 seated on the seating part 42 ′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part 74 of the terminal 70 to prevent the terminal 70 from being removed from the housing 42. ) To support.

상기 고정부(44)에는 걸림슬릿(5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슬릿(50)은 상기 하우징(42)의 양측을 향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4)에는 상기 걸림슬릿(50)을 향하는 지지면(5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52)은 상기 안착부(42')가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42')의 바닥면과 상기 지지면(52)은 거의 가상의 동일평면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부(42')가 상기 하우징(42)의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면 상기 지지면(52)은 상기 하우징(42)의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A locking slit 50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44. The locking slit 50 is formed long toward both sides of the housing 42. In addition, the fixing part 44 is provided with a support surface 52 facing the locking slit 50. The support surface 52 is formed to face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42 'is opened.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2 'and the support surface 52 are formed to face in different directions on substantially the same plane. For example, when the seating portion 42 ′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42, the support surface 52 is formed to 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42.

그리고, 상기 하우징(42)의 양측에는 측벽(54)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측벽(54)은 상기 고정부(44)가 구비된 상기 하우징(4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길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54) 각각에는 측면지지부(5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측면지지부(56)는 상기 측벽(54)의 내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측면지지부(56)의 선단은 터미널(70)의 양측을 지지하여 터미널(70)의 유동을 방지한다.The side walls 54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housing 42, respectively. The side wall 54 extend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42 provided with the fixing part 44. In addition, side support portions 56 are provided on each of the side walls 54. The side support part 56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4. The front end of the side support part 56 supports both sides of the terminal 70 to prevent the flow of the terminal 70.

상기 하우징(42)에서 안착부(42')의 중앙에는 돌출리브(58)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리브(58)는 상기 측벽(54) 각각의 사이에서 측벽(54) 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레그(7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안착부(42')를 향하는 상기 돌출리브(58)의 선단 모서리부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58a)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8a)은 상기 고정부(44)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58a)은 상기 터미널(70)이 상기 안착부(42')에 안착될 때 상기 터미널(7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리브(58)의 선단에서 상기 안착부(42')에 접하는 부분에는 수직면(58b)이 상기 안착부(42')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7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돌출리브(58)의 선단은 상기 안착부(42')의 바닥면에서 직교하게 형성되는 수직면(58b)과 그 일단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면(58a)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Protruding ribs 58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portion 42 ′ in the housing 42. The protruding ribs 58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54 or the connecting leg 76 to be described below between each of the side walls 54. As shown in FIG. 5, an inclined surface 58a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protruding rib 58 facing the seating portion 42 ′. The inclined surface 58a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ixing portion 44. The inclined surface 58a guides the terminal 70 when the terminal 7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2 '. In addition, a vertical surface 58b is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2 ′ at the tip of the protruding rib 58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42 ′ to support the terminal 70. do. That is, the tip of the protruding rib 58 is divided into a vertical surface 58b orthogonally form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2 'and the inclined surface 58a formed to be inclined at one end thereof.

상기 안착부(42')에 터미널(70)이 안착되면, 상기 돌출리브(58)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레그(76)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어 터미널(70)을 지지한다. When the terminal 70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2 ′, the protruding ribs 58 are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connecting legs 76 to be described below to support the terminal 70.

한편, 터미널(70)은 몸체부(72), 걸이부(74) 및 연결레그(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7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상의 원재료를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순차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7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72, the hook portion 74 and the connecting leg 76. The terminal 7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is generally made by sequentially molding a narrow, long plate-shaped raw material in a progressive mold.

상기 터미널(70)에서 상기 몸체부(72)는 상기 안착부(42')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부(72)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44)에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72)의 타단은 상기 돌출리브(58)에 지지되며, 상기 몸체부(72)의 양측은 상기 측면지지부(56)에 의해 지지된다. In the terminal 70, the body portion 72 is a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2 '. One end of the body portion 72 is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44,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72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ribs 58,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72 is the side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56.

상기 몸체부(72)의 일단에는 걸이부(74)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74)는 상기 몸체부(72)와 동일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74)는 상기 걸림슬릿(50)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부(74)의 너비는 상기 몸체부(72)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74)는 상기 걸림슬릿(5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44)의 지지면(52)에 지지된다. 즉, 상기 몸체부(72)의 일면은 상기 안착부(42')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안착부(42')의 바닥면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부(72)의 일면의 반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기 걸이부(74)의 타면은 상기 지지면(52)에 밀착된다. 상기 걸이부(74)는 연결레그(76)에 작용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One end of the body portion 72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74). The hook portion 74 is formed on the same plane as the body portion 72. The hook portion 74 is formed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slit 50. 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hook portion 74 is forme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72). The hook portion 74 passes through the locking slit 50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52 of the fixing portion 44. That is,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2 ', and the opposite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42'. The oth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74 facing the same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52. The hook portion 74 has a property of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leg 76.

그리고, 상기 몸체부(72)의 타단에는 연결레그(76)가 다수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레그(76)는 두 개가 구비되어 회로기판(p) 등의 회로패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전기회로를 선택적으로 단락시키게 된다.(도 6 참조) 상기 연결레그(76)는 스프링부(76a)와 접촉부(7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7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legs 76.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wo connection legs 76 are provided to selectively contact the circuit patterns such as the circuit board p to selectively short the electric circuits (see FIG. 6).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pring part 76a and the contact part 76b.

상기 스프링부(76a)는 상기 몸체부(72)에서 경사지게 연장된다.(도 5 참조) 즉, 상기 스프링부(76a)는 상기 몸체부(72)가 상기 하우징(42)의 안착부(42')에 안착 되었을 때, 상기 안착부(42')에서 점점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스프링부(76a)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The spring portion 76a extends obliquely from the body portion 72 (see FIG. 5). That is, the spring portion 76a has a body portion 72 having a seating portion 42 ′ of the housing 42. When it is seated in), it extends farther from the seating portion 42 '. The spring portion 76a may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its shap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상기 접촉부(76b)는 상기 스프링부(76a)의 선단에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76b)는 상기 스프링부(76a)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된다. 상기 접촉부(76b)는 회로기판(p) 등의 회로패턴에 접촉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contact portion 76b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pring portion 76a. The contact portion 76b is bent to protrude to one side from the spring portion 76a. The contact part 76b is in contact with a circuit pattern such as a circuit board p and serves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bination switch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터미널(70)은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순차적으로 성형되어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레그(76)는 상기 몸체부(72)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상기 터미널(70)은 상기 커넥터(40)에 결합된다. The terminal 70 is made by sequentially molding in a progressive mol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leg 76 is ben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72. The terminal 70 made by this process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0.

상기 터미널(70)이 상기 커넥터(4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40)의 걸이부(74)가 상기 하우징(42)의 걸림슬릿(50)을 관통한다. 상기 걸이부(74)가 상 기 걸림슬릿(5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72)를 상기 하우징(42)의 안착부(42')에 안착시키면 상기 걸이부(74)가 상기 고정부(44)의 지지면(52)에 밀착된다. The hook portion 74 of the connector 40 penetrates the catching slit 50 of the housing 42 so that the terminal 7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0. When the body portion 72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42 ′ of the housing 42 in a state where the hook portion 74 penetrates the hook slit 50, the hook portion 74 may be secured. I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52 of the government 44.

그리고, 상기 연결레그(76)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72)에서 소정각도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레그(76)는 경사각의 범위 내에서 탄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Then, the connecting leg 76, as shown in Figure 5, to form a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body portion 72. The connecting leg 76 is elastic deformation occurs within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70)이 상기 커넥터(40)에 결합되면, 상기 몸체부(72)의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부(44)와 돌출리브(58)에 지지되고, 상기 몸체부(72)의 양측은 상기 측면지지부(56)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72)의 일면은 상기 안착부(42')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부(72)의 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상기 걸이부(74)의 타면은 상기 고정부(44)의 지지면(52)에 밀착되는 것이다. As such, when the terminal 7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40,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72 are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44 and the protruding rib 58, respectively, and the body portion 72.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56 is to be supported.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42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74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72 is the fixing portion 44.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52).

이와 같은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레그(76)가 상기 회로기판(p)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레그(76)는 탄성변형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p)을 밀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터미널(70)의 걸이부(74)는 상기 연결레그(7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레그(76)의 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부(44)의 지지면(64)에 더욱 밀착된다. 즉, 상기 터미널(70)의 걸이부(74)는 상기 연결레그(76)에 작용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밀착되어 상기 터미널(70)의 체결력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42)은 별도의 구성에 의해 상대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40)는 회로기 판(p) 상에서 이동하며 전기회로를 선택적으로 단락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As shown in FIG. 6, the combination switch connector is movab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leg 7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rcuit board p. At this time, the connecting leg 76 is elastically deformed and is pushing the circuit board p by the restoring force. Since the hook portion 74 of the terminal 7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leg 76, the hook portion 74 is further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64 of the fixing portion 44 by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leg 76. . That is, the hook portion 74 of the terminal 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connecting leg 76 to maintain the fastening force of the terminal 70. The housing 42 is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a separate configuration. The connector 40 moves on the circuit board p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y selectively shorting the electric circuit.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for the combination switch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 커넥터 42: 하우징40: connector 42: housing

42': 안착부 44: 고정부42 ': seating part 44: fixing part

50: 걸림슬릿 52: 지지면50: engaging slit 52: support surface

56: 측면지지부 58: 돌출리브56: side support 58: protruding rib

70: 터미널 72: 몸체부70: terminal 72: body

74: 걸이부 76: 연결레그74: hook portion 76: connecting leg

76a: 스프링부 76b: 접촉부76a: spring portion 76b: contact portion

p: 회로기판p: circuit board

Claims (5)

일측으로 개구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동일평면상에서 상기 안착부가 개구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seating portion open to one side, and a support surface fac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ating portion is opened on the same plane as the seating portion; 일면이 상기 안착부의 바닥면에 밀착되고, 일단에는 상기 안착부에서 멀어지게 연장되어 상대물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레그가 다수개 구비되며, 타단에는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일면의 반대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걸이부의 타면이 상기 지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one e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legs extending far away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 other end is opposite to the one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other side of the hook portion facing the same direction as the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rminal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surface,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레그 각각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의 일단을 지지하는 돌출리브가 구비되며,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rib positioned between each of the connecting legs to support one end of the terminal,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레그 각각의 사이에서 상기 연결레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돌출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Side support portions for supporting the terminal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respectively, and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has the protruding rib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eg between each of the connection leg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걸림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면에 지지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The combination switch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hook par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by passing through a locking slot formed in the housin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 경계를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의 타단을 지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2, wherein a fixin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ousing to form one side boundary of the seating part and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레그가 일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촉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비네이션 스위치용 커넥터.The connector for a combination switch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tip of the connection leg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connection leg to protrude to one side.
KR1020080060437A 2008-06-25 2008-06-25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KR101001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37A KR101001883B1 (en) 2008-06-25 2008-06-25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37A KR101001883B1 (en) 2008-06-25 2008-06-25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06A KR20100000806A (en) 2010-01-06
KR101001883B1 true KR101001883B1 (en) 2010-12-17

Family

ID=4181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437A KR101001883B1 (en) 2008-06-25 2008-06-25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8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098A (en) * 2001-03-21 2002-09-27 Hirose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0098A (en) * 2001-03-21 2002-09-27 Hirose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806A (en)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4566B2 (en)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6385815B2 (en) Connector assembly
KR101176880B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KR101639857B1 (en) Connector
KR101397761B1 (en) Electronic component
CN107658591B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20100029134A1 (en) Connector
KR20070012666A (en)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s
TW201914120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80077069A (en) Electric connector
KR20060039930A (en) Connector
US729702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60314911A1 (en) System comprising electronics housing and grounding contact assembly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US7758355B2 (en) Connector
JP5457888B2 (en) Card connector and car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KR101488892B1 (en) Connector assembly for board-to-board
KR20120075934A (en)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connecting structure the same
KR101001883B1 (en) Combination switch type connector
EP2065983A2 (en) Contact member, holding structure of contact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CN213026594U (en) Electrical connector
CN220934430U (en) Oblique-insertion type electric connector
KR100804261B1 (en) PCB mounting type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reof
CN107887735B (en) Coaxi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