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840B1 -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40B1
KR100997840B1 KR1020090008986A KR20090008986A KR100997840B1 KR 100997840 B1 KR100997840 B1 KR 100997840B1 KR 1020090008986 A KR1020090008986 A KR 1020090008986A KR 20090008986 A KR20090008986 A KR 20090008986A KR 100997840 B1 KR100997840 B1 KR 10099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uch
base
finger
b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9646A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09000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40B1/en
Publication of KR2010008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갑의 제1 손가락에 착용되는 틀에 장착된 베이스부, 장갑 중 제2 손가락에 착용되는 틀에 장착된 터치부,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그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커서 이동 신호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장치를 키보드와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 장치와 키보드가 불필요하게 접촉되지 않으므로 원하지 않는 커서의 움직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be manipulated by touching a finger, and includes a base part mounted on a mold worn on a first finger of a glove, a touch part mounted on a mold worn on a second finger of a glove, a base part and a touch. When the negative contact is made, the interface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racking the relative movement to generate a cursor movement signal command signal, and even when the interface device is op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keyboard, the interface device and the keyboard are not in unnecessary contact. To prevent cursor movement.

마우스, 인터페이스, 손가락, 핑거 마우스 Mouse, interface, finger, finger mouse

Description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본 발명은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손가락 또는 세 개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베이스부와 터치부가 접촉된 경우에만 커서의 이동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be manipulated by touching a fi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face device that can move a cursor only when a touch part and a base part worn on two or three fingers are in contact.

마우스는 윈도우 환경에서 커서를 이동시켜 해당 항목을 클릭하기 위해 사용하는 입력 인터페이스로, 마우스를 마우스 패드위에 올려놓고 움직이면 화면상에서도 이와 동일하게 커서가 이동하며, 최근에는 휠(Wheel) 마우스와 같이 휠 기능이 추가된 마우스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The mouse is an input interface used to move the cursor in the window environment and click the corresponding item.If the mouse is placed on the mouse pad and moved, the mouse moves in the same way on the screen. Recently, the wheel functions like a wheel mouse. This added mouse is also used a lot.

도 1은 일반적인 마우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us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마우스(1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11), 움직임 감지부(12), 케이블(13) 및 몸체(14)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eneral mous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button 11, a motion detector 12, a cable 13, and a body 14.

마우스(1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를 하우징하는 몸체(14)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입력 버튼(11)이 위치하고, 상기 몸체(14)의 하부에는 움직임 감지 부(12)가 설치되는 한편, 컴퓨터 본체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3)이 구비되어 있다.At least one input button 11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ody 14 housing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mouse 10, and a motion detection unit 12 is installed below the body 14. A cable 13 for connecting with the computer main body is provided.

사용자가 마우스(10)를 마우스 패드 등에 놓고 움직이면, 마우스(10)의 움직임 감지부(12)는 마우스(10)의 이동 방향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케이블(13)로 전송한다. 마우스에 연결된 컴퓨터(비도시)는 마우스(10)로부터 전달된 마우스(10)의 이동 방향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서의 커서를 이동시킨다.When the user moves the mouse 10 on the mouse pad or the like,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2 of the mouse 10 detect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use 1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able 13 accordingly. A comput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mouse moves the cursor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signal of the mouse 10 transmitted from the mouse 10.

또한, 사용자가 마우스(10) 상의 입력 버튼(11)을 누르는 경우, 마우스(10)는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컴퓨터(비도시)로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컴퓨터(비도시)는 입력 버튼(10)의 누름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input button 11 on the mouse 10, the mouse 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ly to a computer (not shown). Similarly, the computer (not shown) detects whether the input button 10 is pressed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ly.

이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워드 프로세서를 실행하여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그래픽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용자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해야 하며, 마우스를 이용하여 커서 이동 및 메뉴 선택 등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a word processor is executed using a mouse to perform a task or a graphic related task, the user has to inconvenience the keyboard and the mouse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a user must input a character using a keyboard and move a cursor and select a menu using a mous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조작할 수 있는 손가락 마우스 또는 핑거 마우스 등이 출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핑거 마우스를 손가락에 착용한 채로 조작하는 동시에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수월하게 워드 프로세서 또는 그래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inger mouse or a finger mouse that can be operated while being worn on a finger has been recently released. The user can operate the keyboard while simultaneously wearing the finger mouse on his or her fing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word processing or graphic work more quickly and easily.

그러나 최근 출시된 핑거 마우스는 손가락 끝에 그 조작부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 끝에 조작부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핑거 마우스를 착용한 채로 키보드를 조작하는 경우 핑거 마우스의 조작부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이 수행케 되는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recently released finger mice have their manipulations attached to their fingertips. As such, since the manipulation part is attached to the fingertip, when the user operates the keyboard while wearing the finger mouse, the manipulation part of the finger mouse may operate in an undesired direction. Therefore, a malfunction may occur in which an operation that the user does not want is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 개 또는 세 개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틀에 베이스부와 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가 접촉된 경우에만 커서의 이동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ase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provided in the frame worn on two or three fingers and the cursor can be moved only when the base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is in conta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face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장갑 중 제1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베이스부; 상기 장갑 중 제2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터치부;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그에 따른 커서 이동 신호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연결된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mounted to the frame that can be fitted to the first finger of the glove; A touch unit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second finger among the glov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ck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when the base unit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unit, and generate a cursor movement signal command signal accordingly; And a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to a connected device.

이 경우 상기 베이스부 또는 터치부는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하여금 클릭(Click)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base unit or the touch unit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the applied pressure, and the control unit outputs a click command signal to the data transceiver when the pressure is detected from th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It is don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압력이 감지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드래그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ra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when a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is input in a state wher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트래킹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cking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본 발명에 따른 기설정된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 이동 방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트래킹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a curso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relative movements of the prese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Can be generated.

상기 제어부는 광학식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마찰에 따라 트래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rack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by an optical method.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racking according to the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는 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으로 인한 전류 형성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and the controller may check whether the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are in contact by using whether current is generated due to the contact of the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장갑 중 제1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제1 베이스부; 상기 장갑 중 제2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제2 베이스부; 상기 장갑 중 제3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터치부;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그에 따른 커서 이동 신호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가 접촉되었다 이격되는 경우 마우스의 왼쪽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부와 터치부가 접촉되었다 이격되는 경우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커서 이동 명령 신호, 마우스의 왼쪽 신호 및 오른쪽 클릭 신호를 연결된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device includes: a first base part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first finger of the glove; A second base portion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second finger among the gloves; A touch unit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third finger among the glove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generated to generate a cursor movement signal command signal accordingly, and when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ous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left click signal of the mouse and to generate a right click signal of the mouse when the second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a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the left signal of the mouse, and the right click signal to a connected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트래킹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cking setting unit for set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기설정된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 이동 방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트래킹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for storing a curso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wherein the controller is a touch with the first base unit selected by the user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racking is generated according to a negative relative movement.

상기 제1 베이스부, 제2 베이스 및 터치부는 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으로 인한 전류 형성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ase part, the second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are formed of a conductor, and the control part uses the first base part by using whether the current is formed due to the contact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or the second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Alternatively, the contact between the second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may be check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 이스 장치에 따르면 제1 손가락과 제2 손가락이 접촉하는 경우에 한해서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른 커서 조작이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terface device which is operable by touching a finger, the cursor manipul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only when the first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are in contact.

따라서 종래의 무선 핑거 마우스를 키보드 입력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 무선 핑거 마우스와 키보드가 불필요하게 접촉되어 원하지 않는 커서의 움직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nventional wireless finger mouse is used together with the keyboard input, the wireless finger mouse and the keyboard may be unnecessarily contacted to prevent unwanted movement of the curso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모양 또는 길이에 따라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설정된 커서의 이동 방향을 저장해두고 손쉽게 사용자가 그 세팅을 로딩함으로써 자신에게 최적화된 커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shape or length of the user's finger, and the cursor operation optimized by the user by stor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ursor set for each user and easily loading the set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erform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을 접촉하여 조작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terface device operable by touching a fi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장갑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a shows the appearance of the glove-type interface device 100.

장갑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1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제1 손가락 틀(101)과 제2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손가락 틀(102)을 포함한다. The glove-type interface device 100 includes a first finger frame 101 to be worn on a first finger and a second finger frame 102 to be worn on a second finger.

도 2a에서는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 2 손가락은 한정이 없다. 일반적으로 제1 손가락은 검지 또는 중지이고, 제2 손가락은 엄지인 것이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편리하다.2A shows an embodiment using a thumb and index finger.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are not limited. In general, it is convenient for the general user that the first finger is the index finger or middle finger and the second finger is the thumb.

제1 손가락 틀(101)의 일 측에는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베이스부(120)가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손가락 틀(102)의 일 측에는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터치부(130)가 위치하고 있다.The base portion 120 of the interface device 1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nger frame 101, and the touch unit 130 of the interface device 1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inger frame 102.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착용하고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nd operating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제2 손가락 틀(102)의 터치부(130)와 제1 손가락 틀(101)의 베이스부(120)를 접촉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20) 또는 터치부(130)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조작한다. The user moves the base unit 120 or the touch unit 130 while the touch unit 130 of the second finger frame 102 and the base unit 120 of the first finger frame 10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operating a finger in a manner to operate the interfa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고, 그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을 생성하여 연결된 장치로 전달한다.As the user moves, the interface device 100 tracks relative movements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generates a cursor movement comman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ovement command to the connected device.

한편, 사용자는 일반적인 마우스의 버튼 누름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를 맞대고 상대적으로 강하게 누른다.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압력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가해지는 압력을 체크한다.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버튼 누름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연결된 장치(비도시)로 전달하게 된다.Meanwhile, the user presses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in a relatively strong manner to input a button pressing command of a general mouse. The interface device 100 checks the pressure applied by using a pressure sensor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When the applied pressur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interface device 100 generates a button press command signal and transmits it to a connected device (not show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어부(110), 베이스부(120), 터치부(130), 메모리부(140), 데이터 송수신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interface device 100 may include a controller 110, a base 120, a touch 130, a memory 140, a data transceiver 150, and the like. .

베이스부(120)는 인터페이스(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장갑 중 제1 손가락 틀(101)에 위치한다. 터치부(130)는 인터페이스(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장갑 중 제2 손가락(102)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The base part 120 is located in the first finger frame 101 of the gloves form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interface 100. The touch unit 130 corresponds to a component located on the second finger 102 of the gloves constitut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rface 100.

상기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압력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를 서로 밀착시켜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기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전해지면 이를 제어부(110)로 통지한다.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The pressure sensor detects a pressure generated by the user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and notifies the controller 110 when a pressur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delivered.

제어부(110)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 사이에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압력이 기준값 이상 커진 이벤트를 통지받은 경우,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입력 버튼 누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누름 명령 신호를 발생시킨다. When the controller 110 senses the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base 120 and the touch unit 130 and is notified of an event in which the pressure increases by more than a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at the input button is pressed by the interface device 100. Generates a push command signal.

또한 제어부(110)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접촉이 이루어지는지 판단하고,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그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00)의 세부 동작에 대하여는 도 4에서 더욱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base unit 12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unit 130, track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and provides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ccordingly. Generate. Detailed operations of th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데이터 송수신부(150)는 제어부(110)가 발생시킨 커서 이동 명령 신호, 누름 명령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기타 연결된 장치(비도시)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such as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nd a push command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10 to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other connected device (not shown).

데이터 송수신부(150)는, USB(Universal Serial Bus), PS/2(Personal System 2), 블루투스, Zigbee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장치(100)와 연결된 장치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data transceiver 150 may transmit / receive data between the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face device 100 using at least one of Universal Serial Bus (USB), Personal System 2 (PS / 2), Bluetooth, and Zigbee.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 중 제어부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of the interface device illustrated in FIG.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접촉 감지부(111), 방향 인식부(112), 누름 감지부(113), 명령 출력부(114), 트래킹 설정부(1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touch detector 111, a direction recognizer 112, a push detector 113, a command output unit 114, a tracking setting unit 115, and the like. Can be configured.

제어부(110)의 접촉 감지부(111)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 틀(101) 소정의 영역에 존재하는 베이스부(120)와 제2 손가락 틀(102) 소정의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부(130)가 접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touch sensing unit 111 of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base 120 existing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finger frame 101 and a touch unit 130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econd finger frame 102. ) Is judged whether or not contact.

제어부(110)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가 접촉되어 있는 경우에만 커서 이동 명령을 발생시키도록 한다.The controller 110 generates a cursor movement command only when the base 120 and the touch 1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접촉 감지를 위해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는 접촉되는 경우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도체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접촉 감지부(111)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가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그 접촉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For contact sensing,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may have a structure composed of a conductor such as metal so that a current may flow when contacted. Through this structure, the touch sensing unit 111 may check whether the base unit 120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unit 130 by sensing whether a current flows.

방향 인식부(112)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그 상대적 움직임을 명령 출력부(114)로 전달한다.The direction recognizing unit 112 track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and transmits the relative movement to the command output unit 114.

방향 인식부(11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식 방법으로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 간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광학식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 터치부(130) 또는 베이스부(120) 중 하나의 장치는 빛을 출력하고 나머지 하나의 장치는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는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방향 인식부(112)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 간의 상대적인 마찰을 감지함으로써 트래킹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direction recognizing unit 112 may track a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by an optical method generally used. In order to use the optical method, one device of the touch unit 130 or the base unit 120 may output light and the other device may include a component that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Alternatively, the direction recognition unit 112 may perform tracking by detecting a relative friction between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누름 감지부(113)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누름 여부를 감지한다.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에는 그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압력에 따른 신호가 누름 감지부(113)로 전달된다. 누름 감지부(113)는 전달된 신호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름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이를 명령 출력부(114)로 전달한다.The push detector 113 detects whether the base 120 and the touch 130 are pressed.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and the signals according to these pressures are transmitted to the push detection unit 113. The push detection unit 113 determines that a push has been made when the transmitted signal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command output unit 114.

현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사용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트래킹 설정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래킹 설정부(115)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설정한다.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racking setting unit 115 to provide an optimized use environment for the current user. The tracking setting unit 115 set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이와 같이 커서의 이동 방향을 사용자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선 핑거 마우스는 고정된 형태를 가진 장치가 아니며, 사용자의 손가락의 모양 또는 길이 등에 따라 베이스부와 터치부 간의 상대적 움직임이 변경된다. 트래킹 설정부(115)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 상대적 움직임에 상응하는 커서 이동 방향을 세팅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한 커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By sett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ursor to the user in this way,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The wireless finger mouse is not a fixed device, and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r length of the user's finger. By using the tracking setting unit 115, the cursor movemen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for each user may be set to implement the user's comfortable cursor movement.

명령 출력부(114)는 커서 이동 명령 신호와 누름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명령 출력부(114)는 방향 인식부(110)로부터 전달받은 상대적인 움직임을 이용하여 커서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명령을 출력한다.The command output unit 114 corresponds to a component that generates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nd a push command signal. The command output unit 114 determines the direction of cursor movement b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received from the direction recognition unit 110, and outputs a command accordingly.

이 경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커서 이동 세팅을 위하여 명령 출력부(114)는 트래킹 설정부(115)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커서 이동 방향 세팅 또는 메모리부(140)로부터 로딩한 이동 방향 세팅을 이용하여 커서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for the optimal cursor movement setting for the user, the command output unit 114 moves the cursor using the cursor movement direction setting that the tracking setting unit 115 receives from the user or the movement direction setting loaded from the memory unit 140. Direction can be determined.

트래킹 설정부(115)를 통한 사용자의 설정 또는 메모리부(140)로부터의 로딩된 커서 이동 방향과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Generate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using the user's setting through the tracking setting unit 115 or the loaded cursor movement direction from the memory unit 140 and the relativ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do.

또한, 명령 출력부(114)는 누름 감지부(113)로부터 누름이 이루어진 이벤트를 통지받은 경우, 클릭 명령에 해당하는 누름 명령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명령 출력부(114)는 누름 감지부(113)로부터 두 번 연속한 누름 이벤트를 통지받은 경우, 더블 클릭 명령에 해당하는 누름 명령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mmand output unit 114 is notified of the event of the press from the push detection unit 113, the command output unit 114 generates a push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lick command. In addition, when the command output unit 114 is notified of two consecutive press events from the push detection unit 113, the command output unit 114 generates a push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ouble click command.

명령 출력부(114)는 커서 이동 명령 신호와 누름 명령 신호를 독립적으로 생성하고, 데이터 송수신부(150)를 통해 각각 연결된 장치(비도시)로 전달하게 된다.The command output unit 114 generates the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nd the push command signal independently,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nected devices (not shown) through the data transceiver 150.

특히, 명령 출력부(114)는 누름 이벤트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상대적 움직임 방향으로의 드래그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command output unit 114 generates a drag command signal in the relative movement direction whe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is input while the push event is generated. You can also outpu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설정부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 이동 방향을 입력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a curso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by a tracking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트래킹 설정부(115)는 커서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베이스부(120)와 터치부(130)의 상대적 움직임을 각각 입력받아 세팅한다. 추후 사용자로부터 상대적 움직임을 입력받고, 이를 세팅된 설정과 비교하여 커서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The tracking setting unit 115 receives and sets relative movements of the base unit 120 and the touch unit 130 to move the cursor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In the future, the relative movement is input from the user, and the direction of cursor movement i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the set setting.

도 5의 예에서 사용자는 베이스부(12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터치부(130)를 A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커서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마우스에서는 커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마우스를 정확하게 상측으로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핑거 마우스에서는 상측 방향이 사용자별로 달라져 부정확하게 동작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5, when the user moves the touch unit 130 in the A direction while the base unit 120 is fixed, the user may set the cursor to move upward. In a typical mouse, in order to move the cursor upwards, the user must move the mouse upwards exactly. However, in the finger mouse, the upward direction is changed for each use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incorrect operation.

트래킹 설정부(115)는 사용자가 설정한 커서 이동 방향 세팅을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커서 이동 방향 세팅을 로딩할 수도 있다.The tracking setting unit 115 may store the cursor movement direction setting set by the user in the memory unit 140. In addition, the cursor movement direction setting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may be loade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장갑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1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제1 손가락 틀(201), 제2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제2 손가락 틀(202) 및 제3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제3 손가락 틀(203)을 포함한다.The glove type interface device 200 illustrated in FIG. 6 may be worn on a first finger frame 201 for wearing on a first finger, a second finger frame 202 for wearing on a second finger, and a third finger. It includes a third finger frame 203 for.

제1 손가락 틀(201)의 일 측에는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제1 베이스부(220) 가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손가락 틀(202)의 일 측에는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제2 베이스부(230)가 위치하고 있다. 제3 손가락 틀(203)의 일 측에는 터치부(240)가 배치된다.The first base portion 220 of the interface device 2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nger frame 20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230 of the interface device 2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finger frame 202. Is located. The touch unit 24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hird finger frame 203.

도 6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 또한 도 2의 (b)와 같이 터치부(240)를 제1 베이스부(220)에 접촉한 상태로, 제1 베이스부(22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인터페이스 조작을 할 수 있다.The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6 also moves up, down,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base unit 220 while the touch unit 24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ase unit 220 as shown in FIG. You can operate the interface by moving your finger.

또한, 터치부(240)와 제2 베이스부(230)의 접촉 또는 이격 여부를 통하여 마우스의 우클릭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ight-click of the mouse may be performed by whether the touch unit 240 and the second base unit 230 are contacted or spaced apart.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210), 제1 베이스부(220), 제2 베이스부(230), 터치부(240), 메모리부(250), 데이터 송수신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interface device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first base unit 220, a second base unit 230, a touch unit 240, a memory unit 250,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 260).

사용자는 스크린(Screen)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베이스부(220)와 터치부(240)를 접촉하고, 접촉된 상태로 제1 베이스부(220) 또는 제1 터치부(230)를 움직인다. The user contacts the first base unit 220 and the touch unit 240 to move the cursor or pointer on the screen, and the first base unit 220 or the first touch unit 230 is in contact. Move.

제어부(210)는 제1 베이스부(220)와 터치부(240)의 상대적 움직임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스크린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controller 210 determines a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220 and the touch unit 240 and accordingly generates a signal for moving the cursor on the screen.

또한 일반적인 마우스의 좌클릭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제1 베이스부(220)와 터치부(240)를 한 번 접촉했다가 이격시킬 수 있다. 유사 하게 일반적인 마우스의 우클릭에 해당하는 동작을 위해서 사용자는 제2 베이스부(230)와 터치부(240)를 한 번 접촉시켰다가 이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left click of a general mouse, the user may contact the first base unit 220 and the touch unit 240 once and then separate them. Similarly, for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click of a general mouse, the user may contact the second base unit 230 and the touch unit 240 once and then separate them.

나아가 일반적인 마우스에서의 드래그 동작 명령을 위하여 사용자는 제1 베이스부(220)와 터치부(240)를 한 번 접촉했다가 이격시키고 다시 접촉한 후 터치부(240)를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제1 베이스부(220)와 터치부(240)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드래그 동작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Further, for a drag operation command in a general mouse, the user may touch the first base unit 220 and the touch unit 240 once, then space the contact unit again, and then move the touch unit 240. The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rag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220 and the touch unit 240.

데이터 송수신부(260)는 제어부(210)가 발생시킨 커서 이동 명령 신호, 좌클릭 또는 우클릭 신호 및 드래그 동작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들을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기타 연결된 장치(비도시)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data transceiver 260 transmits control signals such as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 left click or right click signal, and a drag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10 to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other connected device (not shown). In charg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마우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mouse.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Figure 2a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를 착용하고 조작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state wearing and operating the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3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 중 제어부의 세부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in the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래킹 설정부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커서 이동 방향을 입력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ceiving a curso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by a tracking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6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FIG. 7 is a block diagram of the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6;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인터페이스 장치 110 : 제어부100: interface device 110: control unit

111 : 접촉 감지부 112 : 방향 인식부111: contact detection unit 112: direction recognition unit

113 : 누름 감지부 114 : 명령 출력부113: press detection unit 114: command output unit

115 : 트래킹 설정부 120 : 베이스부115: tracking setting unit 120: base unit

130 : 터치부 140 : 메모리부130: touch unit 140: memory unit

150 : 데이터 송수신부150: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Claims (12)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끼우기 위한 장갑 형상을 가지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In the interface device having a glove shape for fitting at least two fingers, 상기 장갑 중 제1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베이스부;A base portion mounted to a mold that can be fitted to a first finger among the gloves; 상기 장갑 중 제2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터치부;A touch unit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second finger among the gloves;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그에 따른 커서 이동 신호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ck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when the base unit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unit, and generate a cursor movement signal command signal accordingly; And 상기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연결된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a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to a connected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부 또는 터치부는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The base unit or the touch unit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the applied press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하여금 클릭(Click)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controller outputs a click command signal to the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hen pressure is detected from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압력이 감지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드래그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rag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when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is input while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트래킹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a tracking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moving direc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기설정된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 이동 방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The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a curso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relative movements of the prese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트래킹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racking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select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광학식 방법으로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control unit tracks relative movements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by an optica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마찰에 따라 트래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performs tracking according to the relative friction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는 도체로 구성되며,The base portion and the touch portion is composed of a condu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으로 인한 전류 형성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a current generated by the contac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적어도 세 개의 손가락을 끼우기 위한 장갑 형상을 가지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In the interface device having a glove shape for fitting at least three fingers, 상기 장갑 중 제1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제1 베이스부;A first base portion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first finger of the gloves; 상기 장갑 중 제2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제2 베이스부;A second base portion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second finger among the gloves; 상기 장갑 중 제3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틀에 장착된 터치부;A touch unit mounted on a frame that can be fitted to a third finger among the gloves;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상기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을 트래킹하여 그에 따른 커서 이동 신호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가 접촉되었다 이격되는 경우 마우스의 왼쪽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부와 터치부가 접촉되었다 이격되는 경우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 및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generated to generate a cursor movement signal command signal accordingly, and when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mous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left click signal of the mouse and to generate a right click signal of the mouse when the second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And 상기 커서 이동 명령 신호, 마우스의 왼쪽 신호 및 오른쪽 클릭 신호를 연결 된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a dat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he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the left signal of the mouse, and the right click signal to the connected devic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트래킹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And a tracking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 moving direc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기설정된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른 커서 이동 방향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The memor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a cursor movement direction according to a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트래킹에 따른 커서 이동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ursor movement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racking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first base unit and the touch unit selected by the user.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1 베이스부, 제2 베이스 및 터치부는 도체로 구성되며,The first base portion, the second base and the touch portion is composed of a conduc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 또는 상기 제2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으로 인한 전류 형성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베이스부와 터치부의 접촉 여부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first or second base part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part by using whether current is generated due to the contact of the first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or the contact of the second base part and the touch part. Interface device.
KR1020090008986A 2009-02-04 2009-02-04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KR1009978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86A KR100997840B1 (en) 2009-02-04 2009-02-04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86A KR100997840B1 (en) 2009-02-04 2009-02-04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46A KR20100089646A (en) 2010-08-12
KR100997840B1 true KR100997840B1 (en) 2010-12-01

Family

ID=4275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86A KR100997840B1 (en) 2009-02-04 2009-02-04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8605B2 (en) 2012-06-28 2017-06-1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sensing regimes for gloved and ungloved user input
WO2019235855A1 (en) * 2018-06-05 2019-12-12 Park Seong Jin Presenter device having hand gesture recognition function and presentation system compri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62Y1 (en) 2004-09-24 2004-12-18 황영우 A finger mouse
KR200401975Y1 (en) 2005-09-01 2005-11-23 (주)인터미디어파크 A controlling device for compu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862Y1 (en) 2004-09-24 2004-12-18 황영우 A finger mouse
KR200401975Y1 (en) 2005-09-01 2005-11-23 (주)인터미디어파크 A controlling device for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646A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2174B2 (en) Selective input signal rejection and modification
EP2820511B1 (en)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EP3089018B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20100231505A1 (en) Input device using sensors mounted on finger tips
US20060125789A1 (en) Contactless input device
KR101328385B1 (en) Tactile finger tip mous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EP2141581A1 (en) Cursor control device
KR20080103327A (en) Virtual key input apparatus and virtual key input method
WO2012111227A1 (en) Touch input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KR101497829B1 (en) Watch type device utilizing motion input
KR100997840B1 (e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Operable by Touching Between Fingers
US20160378206A1 (en) Circular, hand-held stress mouse
KR20200019426A (en) Inferface method of smart touch pad and device therefor
KR2019006854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20130015511A (en) Mouse pad type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095012B1 (en) Ring type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503056B1 (en) Touch pad process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touch pad module in computer system
US201001946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211628214U (en) Ring type mouse
US20110216024A1 (en) Touch pad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I823732B (en) Mouse device
US20140333537A1 (en) Pointing device with integrated keyboard
WO2011034330A2 (en) Thimble-type command input apparatus
KR102164706B1 (en) Mouse based on finger gesture recognition for writing document with high speed
KR20170130989A (en) Eye ball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