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54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540B1
KR100996540B1 KR1020080119490A KR20080119490A KR100996540B1 KR 100996540 B1 KR100996540 B1 KR 100996540B1 KR 1020080119490 A KR1020080119490 A KR 1020080119490A KR 20080119490 A KR20080119490 A KR 20080119490A KR 100996540 B1 KR100996540 B1 KR 10099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deo
mobile communication
homep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0757A (en
Inventor
서현주
안민영
문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540B1/en
Publication of KR2010006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통화를 이용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에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in a video homepage service using a video call.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호를 이용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홈페이지 접속을 처리하는 단계; (b)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에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c)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가공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to a video homepage us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video call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a) processing a video homepage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to a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 receiving a content im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 process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in a video homepage.

영상호, 영상홈페이지, 업로드, 영상통화 Video call, video homepage, upload, video call

Description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 service using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통화를 이용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에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call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in a video homepage service using a video call.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무선 가입자 수의 증가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는 단순한 음성 통화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 중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로그 및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가 개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ireless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in addition to simple voice calls. Among them, a mobile homepage service is disclosed in which a subscriber can access a blog and a homepag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eck contents.

이런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의 일례를 살펴보면, 가입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단말에 내장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열람하기 원하는 홈페이지(또는 블로그)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하여 해당하는 홈페이지에 접속을 한다. 그리고 가입자는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확인한다. 또한, 가입자는 접속된 무선 인터넷 채널을 통해서 특정 홈페이지(또는 블로 그)로 무선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홈페이지(또는 블로그)에 동영상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Looking at an example of such a mobile homepage service, the subscriber accesses the wireless Interne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enters the homepage (or blog) address to be viewed using the wireless internet browser built into the terminal in the address bar. Connect to The subscriber checks the contents by accessing the corresponding homepage. In addition, the subscriber may leave a video message on the home page (or blog) by transmitting a video file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a specific home page (or blog) through the connected wireless Internet channel.

그런데 모바일 홈페이지(또는 블로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길고 영어로 된 홈페이지(또는 블로그) 주소를 무선통신 단말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을 모바일 홈페이지(또는 블로그)로 전송하는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료도 많이 부가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access the mobile homepage (or blog), it is inconvenient to input a relatively long, English homepage (or blog) address through the keypa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video file stor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obile homepage (or blog)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not only a long time but also a large data transmission fee.

이에 최근에는,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웹서버 또는 홈페이지 서버에 접속하여 홈페이지 내용이나 웹 페이지 내용을 영상으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는 영상 채널을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어, 별도의 무선 인터넷 접속료나 데이터 요금 등이 부가되지 않고, 영상 통화료만으로 홈페이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cently, a video homepage service has been developed and provided to access a web server or a homepage server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nd provide homepage contents or webpage contents to a user terminal as an image. Such a video homepage service can access a homepage through a video channel and check contents, so that a separate wireless internet access fee or data fee is not added, and the homepage service can be used only with a video call fe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는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홈페이지의 콘텐츠 내용이나, 블로그 화면을 영상으로 인코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는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이용시에 기존의 무선 인터넷을 통한 홈페이지 접속 및 이용과는 다른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영상호를 통해 홈페이지의 내용이 인코딩된 영상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접속한 홈페이지의 자유로운 이용 및 제어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접속한 영상 홈페이지나, 영상 블로그에 사용자의 콘텐츠나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게시글을 업로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video homepage service as described above is a method of encoding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or the blog screen into a video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nd providing the video to the user terminal.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may experience inconveniences in accessing and using the homepage through the existing wireless Internet when using the video homepage service. That is, since the contents of the homepage are provided as encoded images through the video c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free use and control of the homepage accessed by the user is inconveni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upload the user's content or posts created by the user directly to the video homepage or video blog connec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uploading a user's content in a video homepage service using a video cal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아울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영상 홈페이지에 콘텐츠를 업로드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원본 콘텐츠의 형식에 따라 구별하고 다시 변환하여 게시하거나 저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re-converting and posting or storing video data transmitted when uploading content to a video homepag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original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호를 이용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홈페이지 접속을 처리하는 단계; (b)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에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c)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가공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to a video homepage us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video call service. (a) processing the video homepage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to a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 receiving a content im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 process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and storing the same on the image homepag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에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홈페이지 제공모듈; 이동통신 단말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 신호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 모듈; 및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가공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저장하는 저장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using a video cal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video homepage providing a homepage servic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sion module; A content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content video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ccording to a content upload reques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torage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and stor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in the image homep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로서, 영상 통화를 처리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영상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영상 통화 모듈; 업로드할 콘텐츠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 처리하는 변환 모듈;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변환된 콘텐츠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접속한 영상 홈페이지로 전송하는 콘텐츠 영상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ppor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ich processes a video call, accesses the video homep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s a video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 video call module receiving a homepage service; A conversion module converting and upload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nd a content video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content to a video homepage connect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통화 채널을 이용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시에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나 사용자가 작성, 생성한 콘텐츠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고, 이를 서버에 저장하는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using a video cal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ent stored in a user terminal or content created and generated by a user is encoded and transmitt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hrough a video codec and transmitted to a serv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content upload service to store.

또한,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할 콘텐츠를 인코딩할 때에 원본 콘텐츠의 형식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시켜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고,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자를 파악하여 원본 콘텐츠에 상응하는 형식으로 다시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도 자유롭게 업로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encod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dentifier indicating the format of the original content is included and transmitted as the image data, and the image homepage server recognizes the identifier from the received image data and re-creates the format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ontent. It can be converted and used to provide the effect of freely uploading content in various forma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은,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 무선 접속망(200), 교환기(300), 홈위치등록기(350) 및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nd 101 suppor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 wireless access network 200, a switch 300,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 350) and a video homepage server 400 suppor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는 이동 중 음성 통화 및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단말이다.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는 영상 통화를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또한 통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여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한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100 and 101 are terminals that support voice calls and video calls during moveme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es 100 and 101 include a camera for video calling to transmit an image of a user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a call counterpart, and display a video received from the call counterpart on a screen to enable a video call.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es 100 and 101 have a function of accessing a video homepag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 / receiving contents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10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무선 접속망(200)은 기지국(Node B), 기지국 제어기(RNC)를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의 이동통신망 접속을 지원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무선 신호 송수신, 무선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신호 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무선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 및 하드 핸드오프 결정, 트랜스 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기지국에 대한 운영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radio access network 200 includes a base station Node B and a base station controller RNC to support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100 and 101. The base station performs radio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dio channel encoding and decoding, signal strength and quality measurement, baseband signal process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and self-maintenance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a base station controller. The base station controller controls radio channel allocation and releas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100 and 101, transmission output contr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100 and 101 and the base station, intercell soft handoff and hard handoff determination, transcoding and vocoding. (Voco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 for the base station.

교환기(300)는 무선 접속망(200)의 기지국 제어기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음성/화상 통화, 데이터 송수신,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어한다. 또한, 교환기(300)는 다른 외부망과의 연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환기(300)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로부터 발신된 영상 발신 호를 수신하면 그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위해 홈위치등록기(350)로 착신 위치 정보를 질의하고, 그에 따라 수신된 착신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발신 호를 착신 처리한다.The exchange 300 provides an interface function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of the wireless access network 200 and controls voice / video cal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 addition, the exchange 300 provides a connection with another external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change 300 receives the video outgoing call s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101), it queries the home location register (350) for the incoming call processing of the outgoing call and receive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incoming call is processed according to the called location information.

또한, 교환기(300)는 발신 호의 착신 처리를 위한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로 호 착신을 시도하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로부터 호 응답을 수신하면 이에 따른 응답 신호를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측 장치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exchange 300 receives an initial address message for incoming call processing, the exchange 300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ca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101) and receives a call response from the ca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101). The respons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riginating device that sent the initial address message.

홈위치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350)는 가입자 프로파일, 가입자 위치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홈위치등록기(350)는 착신 위치 정보 질의를 수신함에 따라 발신자의 가입자 프로파일 및 부가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위치 정보 질의 응답을 리턴한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350 stores and manages a subscriber profile, subscriber location information,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and the like. W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350 receives the called location information query, the home location register 350 returns the called location information query response based on the caller's subscriber profile and the additional service information.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에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통신망(예로 인터넷)을 통해 유선 단말들이 접속할 수 있으며, 이들에게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101)가 착신측 장치로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를 지정하고 영상호를 발신하여 영상호가 연결된 경우, 서버 내의 홈페이지 콘텐츠를 연결된 단말에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단말이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영상호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서비스 구분번호와 영상 홈페이지의 번호와 영상 통화 발신 키를 조합하여 발신 처리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교환기)에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로 접속 처리를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콘텐츠를 업로드받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video homepage server 400 provides a video homepage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100 and 101 in association wit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addition, wired terminals may be connected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Internet) through a gateway, and homepage services may be provided to them. In addition, the video homepage ser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101) designates a video homepage server 400 as a called party device and sends a video call to provide a service for providing the homepage contents in the server to the connected terminal. For example. In order for the terminal to access the video homepage server 400, a service identification number for accessing the server by the video call, the video homepage number and the video call origination key are combined and processed. The video homepage server is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Connection processing can be directed to 400. In addition, the video homepage server 400 has a function of uploading cont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ideo home page serv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400)는 영상 홈페이지 제공 모듈(410), 콘텐츠 수신 모듈(420), 저장 처리 모듈(430) 등을 포함한다.2, the video homepag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homepage providing module 410, a content receiving module 420, a storage processing module 430, and the like.

영상 홈페이지 제공 모듈(4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들에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홈페이지 제공 모듈(410)은 접속 처리부(412), 서비스 제공부(4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 처리부(412)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경유한 이동통신 단말들의 영상 홈페이지 접속 처리를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들의 영상 홈페이지 접속시에는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통한 접속 또는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The video homepage providing module 410 serves to provide a homepage servic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image homepage providing module 410 includes a connection processor 412, a service provider 414, and the like. The access processor 412 performs image homepage access process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via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ess the video homepa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ay access the service through a feature code or check the subscription of the video homepage service.

상기 서비스 제공부(414)는 상기 접속 처리부(412)를 통해서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에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부(414)는 이동통신 단말에 홈페이지 콘텐츠 내용이나 블로그 화면 등을 영상 통화 코덱에 따라 인코딩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무선 인터넷 채널이나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지 않고도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er 414 serves to provide a video homepage servi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rocessor 412. The service provider 414 provides a service by encoding a home page content or a blog scree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video call codec and transmitting the sam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mepage service without using a wireless Internet channel or data channel.

콘텐츠 수신 모듈(420)은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 신호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단말로부터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콘텐츠 영상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영상 통화 코덱에 따라 인코딩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콘텐츠 수신 모듈(420)은 요청 신호 수신부(422), 콘텐츠 수신 처리부(424)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ent receiving module 420 receives a content image from the terminal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ccording to the content upload request signal of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ent video means that content data to be uploa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ncoded according to a video call codec and transmitt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420 includes a request signal receiving unit 422, a content receiving processing unit 424, and the like.

상기 요청 신호 수신부(422)는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콘텐츠를 업로드하겠다는 업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업로드 요청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별도의 신호일 수도 있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영상에 신호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별도의 신호란 이동통신 단말의 특정 키 버 튼 입력 신호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영상에 포함된 신호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영상에 단말과 약속된 신호를 포함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The request signal receiving unit 422 receives an upload request signal for uploading content from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pload request signal may be a separ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signal may be included in the user im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separate signal may be an example of a specific key button inpu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signal included in the user image may be an example of including a signal promised with the terminal in the user image received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콘텐츠 수신 처리부(424)는 상기 요청 신호 수신부(422)에서 콘텐츠 업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ent receiving processing unit 424 receives the content upload request signal from the request signal receiving unit 422, and then receives the content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저장 처리 모듈(430)은 상기 콘텐츠 수신 모듈(420)을 통해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영상 홈페이지에 저장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 처리 모듈(430)은 콘텐츠 식별정보 판독부(432), 가공 처리부(434), 저장 처리부(436)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storage processing module 430 serves to process and process the content image received through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420 into a form that can be stored in the image homepage. The storage processing module 430 includes a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ing unit 432, a processing processing unit 434, a storage processing unit 436, and the like.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 판독부(432)는 상기 콘텐츠 수신 모듈(420)에서 수신한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한 콘텐츠의 형식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할 콘텐츠의 형식에 따른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인코딩한 콘텐츠의 형식을 구별하는 정보이다. 식별 가능한 콘텐츠 형식으로는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포맷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ing unit 432 extract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image received by the content receiving module 420, and determines the format of the content up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the format of the encoded content by inser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content to be up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dentifiable content format can be classified into, for example, text, image, voice, and video formats.

상기 가공 처리부(434)는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 판독부(432)에서 판독된 콘텐츠 형식에 따라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가공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판독된 콘텐츠 형식이 텍스트인 경우에는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문자 인식 또는 영상 인식 기법을 통해 텍스트를 추출하는 가공 처리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음성, 동영상 포맷 각각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수신된 콘텐츠 영상을 가공 처리한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종류와 동일한 형태의 콘텐츠로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processing processor 434 processes the content image received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read by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ing unit 432. That is, when the read content format is text, processing is performed to extract the text from the received content image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or image recognition. Similarly, the received content video is processed in a forma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mage, audio, and video formats. Through th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to convert the content of the same type as the content uploaded.

상기 저장 처리부(436)는 상기 가공 처리부(434)에서 가공 처리된 콘텐츠를 영상 홈페이지의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할 카테고리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지정한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로 가공된 콘텐츠의 경우에는 게시판, 방명록, 댓글 등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processor 436 stores and processes the content processed by the processing processor 434 in a corresponding category of the image homepage. The category to be stored may be a category designa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tent processed into text, it can be registered and stored in bulletin boards, guest books, comments,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ppor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장치(100)는 영상 통화 모듈(10), 콘텐츠 변환 모듈(120), 콘텐츠 영상 전송 모듈(130), 업로드 제어 모듈(14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deo call module 10, a content conversion module 120, a content video transmission module 130, an upload control module 140, and the like. .

상기 영상 통화 모듈(11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영상 통화 서비스에 따른 영상 통화 처리와,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400)에 접속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 통화 처리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영상통화 발신 처리를 하고, 착신 처리와 함께 착신측과 영상 채널이 형성되면, 영상 통화 코덱에 따라 단말 사용자의 영상을 전송하고, 수신되는 착신측 영상을 단말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 모듈(110)은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하여 피쳐 코드와 영상 홈페이지 번호, 그 리고 발신 키를 함께 전송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발신 처리 및 접속 처리를 유도한다.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는 상기 피쳐 코드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해당 가입자의 영상 홈페이지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가입된 경우 해당 영상 홈페이지 번호를 통해 접속 처리하도록 한다.The video call module 110 performs video call processing according to a video cal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es a video homepag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400 to receive a video homepage servic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he video call processing is a video call origination proces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hen the called party and the video channel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incoming call processing, the video call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video call codec, and the received caller video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Output to In addition, the video call module 110 transmits a feature code, a video homepage number, and a call key together to access the video homepage server 400 to induce the call processing and access process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f the user subscribes to the video homepage service, the user can access the video homepage service without including the feature cod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ecks whether the subscriber subscribes to the video homepage, and if so, accesses through the corresponding video homepage number.

상기 콘텐츠 변환 모듈(120)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로 업로드할 콘텐츠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업로드할 콘텐츠는 이동통신 단말에 저장된 콘텐츠나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생성한 콘텐츠를 모두 대상으로 한다. 아울러, 업로드할 콘텐츠 형식으로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포맷 모두 가능하다. 상기 콘텐츠 변환 모듈(120)은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하여 업로드할 콘텐츠를 영상 통화 코덱에 따라 인코딩 처리하여 콘텐츠 영상으로 변환한다.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120 converts the content to be uploa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video homepage server 400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he content to be uploaded includes content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content created or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 addition, the content format to be uploaded can be text, image, voice, or video formats.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120 encodes the content to be uploaded for transmission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according to the video call codec and converts the content to the content video.

상기 콘텐츠 영상 전송 모듈(130)은 상기 콘텐츠 변환 모듈(120)에서 인코딩하여 변환된 콘텐츠 영상을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ent video transmission module 130 transmits the content video encoded and converted by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120 to the video homepage server 400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상기 업로드 제어 모듈(140)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로 콘텐츠 업로드 처리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업로드 제어 모듈(140)은 업로드 요청부(142), 식별정보 생성부(1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업로드 요청부(142)는 영상 홈페이지 서버로 업로드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업로드 처리를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업로드 요청 신호는 별도의 신호로 전송할 수도 있고,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중인 영상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The upload control module 140 controls the content upload proces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video home page server. The upload control module 140 includes an upload request unit 142,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44, and the like. The upload request unit 142 transmits an upload request signal to the video homepage server and controls to start the content upload process. The upload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as a separate signal or may be included in a video being transmitt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상기 식별정보 생성부(144)는 상기 콘텐츠 변환 모듈(120)에서 업로드할 콘텐츠의 변환 처리시에 포함시킬 콘텐츠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렇게 생성한 콘텐츠 식별정보는 상기 콘텐츠 영상 전송 모듈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영상에 포함되어 영상 홈페이지 서버로 전송된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or 144 serves to gener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content to be included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content to be uploaded by the content conversion module 120.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included in the content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content image transmission module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homepage serv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 접속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통하여 접속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S10)Referring to FIG. 4, first, a procedure of accessing a video homepage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access processing is performed through the video call ser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단말이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 접속하면, 이동통신 단말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로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으로 홈페이지 콘텐츠 및 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20)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video homepage server, a procedure of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service by providing a homepage content and a screen imag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S20).

이동통신 단말에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단말에 저장되거나 단말 사용자가 생성한 콘텐츠를 영상 홈페이지 서버로 업로드하기 위하여 업로드 요청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30)While using the video homepage ser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upload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upload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or generated by the terminal user to the video homepage server, a procedure for receiving the same proceeds (S30).

업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콘텐츠 업로드임을 인지하고,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할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영상 데이터로 전송하게 된다.(S40)When receiving the upload request signal, it recognizes that the content is uploaded, and proceeds with receiving the content video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codes the content to be uploaded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가공 처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절차를 진행한다.(S50)The video homepage server processes the converted content image into a form that can be processed and stored. (S50)

다음으로, 가공된 콘텐츠는 영상 홈페이지 서버의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하거나 등록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렇게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 콘텐츠가 저장됨으로써,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절차는 완료된다.(S60)Next, the processed content is stored or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category of the video homepage server. As the content is stored in the video homepage server, the content upload service procedure using the video call is completed (S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서 단말과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performed in a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로 접속하기 위하여 영상호 발신을 시도한다. 이때에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접속을 시도한다.(1)Referring to FIG. 5, first, a video call is attempted to access a video homepage server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an attempt is made to acces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video call service.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접속 시도한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 처리를 진행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에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의 접속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의 접속 처리는 피쳐 코드를 이용한 접속 처리 또는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가입 여부의 확인을 통한 접속 처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2)The video home page server proceeds with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xchan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ay perform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video homepage server. In addition, the connection process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for example, a connection processing using a feature code or a connection processing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a video homepage service is subscribed.

접속 처리 결과 양쪽 노드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과 영상 홈페이지 서버 사이에 영상 통화 채널이 개설된다. 이 영상 통화 채널은 영상 통화 서비스를 위한 채널로, 단말 간에 사용자 영상을 송,수신하여 상대방 측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과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 채널로 상기 영상 통화 채널을 이용하게 된다.(3)As a result of the connection process, when both nodes are connected, a video call channel is establish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ideo homepage server. The video call channel is a channel for a video call service and transmits / receives user video between terminals to check the video of the other party. In this embodiment, the video call channel is used as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이렇게 영상 통화 채널이 개설되면,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로 이 개설된 영상 통화 채널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즉,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 저장중인 콘텐츠나 블로그 화면 등을 영상 통화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으로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4)When the video call channel is established in this way, the video homepage server proceeds to provide a video homepage service through the opened video call channel to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ther words, the video homepage service is provided by encoding the content or blog screen stored in the video homepage server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by encoding the video call codec.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영상 홈페이지 서버의 웹 콘텐츠를 제공받아 이용을 하게 되고,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서버로 콘텐츠를 업로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콘텐츠 업로드 요청 신호를 서버 측으로 전송한다. 이때에는 별도의 업로드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전송 중인 사용자 영상에 업로드 요청 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5)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nd uses the web content of the video homepage server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wants to upload the content to the server,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 content upload request signal to the server. In this case, a separate upload request signal may be transmitted or an upload request signal may be included in a user image being transmitt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nd transmitted.

콘텐츠 업로드 요청 이후,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업로드할 콘텐츠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즉, 영상 통화 코덱으로 업로드할 콘텐츠를 인코딩 처리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 업로드할 콘텐츠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생성할 수도 있고, 단말 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6)After the content upload reque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verts the content to be uploaded into a format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hat is, a procedure of encoding the content to be uploaded to the video call codec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content to be uploaded may be created or generated by the user, or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may be used.

또한,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인코딩 변환 처리시에 업로드할 콘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함께 삽입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 식별정보는 인코딩한 콘텐츠 영상에 포함시키는데, 별도의 헤더 부분 영역을 설정하여 포함시킬 수도 있고, 워터마크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 내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콘텐츠 종류를 구분하는 식별정보는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동영상 등으로 구 분하여 삽입할 수 있다.(7)In addition, a procedure of inserting toge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content to be uploaded is performed in the encoding conversion proces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encoded content video, and a separate header partial region may be set and included, or may be embedded in the video data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mark. In this cas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content type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text, an image, a voice, a video, and the like.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에서 생성된 콘텐츠 영상은 개설되어 있는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영상 홈페이지 서버로 전송하는 절차가 진행된다.(8)The content video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video homepage server through the established video call channel.

영상 홈페이지 서버에서는 상기 단계 (5)에서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여 업로드할 콘텐츠를 수신할 준비를 수행하고,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수신되는 콘텐츠 영상은 영상 통화 코덱에 따라 디코딩 처리가 수행된다.(9)The video home page server receives the upload request in step (5), prepares to receive the content to be uploaded, and receives the content video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video call channel. The received content video is decoded according to the video call codec.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콘텐츠 영상을 수신한 영상 홈페이지 서버는 수신한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단계 (7)에서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할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삽입한 정보이다.(10)The image homepage server receiving the content im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eds to rea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ent imag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ser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ent to be up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step (7).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식별된 콘텐츠 종류에 대응하여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변환 처리하는 가공 절차가 진행된다. 즉,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한 원본 콘텐츠의 형식으로 다시 변환 처리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원본 콘텐츠가 텍스트 형식인 경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문자 인식 또는 영상 인식 처리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가공 처리를 수행한다.(11)A processing procedure of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vert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ontent type is performed. That is, a procedure of converting the received image data into the format of the original content up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erformed again. For example, when the original content is in text format, the received image data is processed by character recognition or image recognition to perform text processing.

이렇게 원본 콘텐츠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가공 처리된 콘텐츠는 영상 홈페이지 서버의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 또는 등록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와 같이, 영상 홈페이지에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업로드된 콘텐츠가 저장됨으로써,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는 완료된다.(12)The content processed in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ontent is stored or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category of the video homepage server. In this way, the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the video call is completed by storing the content upload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video homepage.

이러한 절차를 통해서, 이동통신 단말에서 별도의 무선 인터넷 채널이나 데이터 채널을 개설하지 않고도 단말에서 서버로 콘텐츠 데이터의 업로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콘텐츠 영상 데이터 형식을 원본 콘텐츠 종류에 대응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저장 처리함으로써,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동일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his procedure, the mobile terminal can perform upload processing of content data from the terminal to the server without establishing a separate wireless internet channel or data channel. In addition, by converting the received content image data format into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content type and storing the same, the sameness of uploaded content can be main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configuration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uppor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서 단말과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performed in a terminal and a server according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101 : 이동통신 단말 장치 200 : 무선 접속망100,10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ireless access network

300 : 교환기 350 : 홈위치등록기300: switch 350: home location register

400 : 영상 홈페이지 서버400: video homepage server

Claims (16)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호를 이용하여 영상 홈페이지에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to a video homepage using a video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video call service, (a) 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홈페이지 접속을 처리하는 단계;(a) processing a video homepage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에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b)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to a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원본 콘텐츠의 종류를 알리는 콘텐츠 식별정보가 포함된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c) receiving a content image including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ype of original conten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 수신한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원본 콘텐츠의 종류에 상응하는 포맷으로 콘텐츠 영상을 가공 처리한 후, 영상 홈페이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d) checking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ent video, processing the content video in a forma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original content, and storing the content video in a video homepage; uploading the content using the video call How we deliver the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콘텐츠 영상은,In the step (c), the content image, 이동통신 단말에서 업로드할 콘텐츠 데이터를 영상 통화 코덱으로 인코딩하여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전송한 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wherein the content data to be uploa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video data encoded through a video call codec.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생성한 데이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 드 서비스 제공 방법.The content data is a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콘텐츠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포맷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The content data is a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ext, image, audio, video form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c)는,Step (c) is, (c-1)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c-1) receiving a content upload request sig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2)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c-2) receiving a content image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nd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c)에서,In step (c),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 영상에는 이동통신 단말과 약속된 콘텐츠 업로드임을 알리는 업로드 신호 정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The content imag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load signal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tent uploa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계 (d)는,Step (d) is, 수신한 콘텐츠 영상에 업로드 신호 정보가 포함되었을 때, 이를 콘텐츠 업로드로 인식하여 가공 및 홈페이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When upload sign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ent image, the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image c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cessed and stored in the home p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d)에서,In step (d), 원본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인 것으로 확인되면,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문자 인식 처리하여 텍스트를 추출하는 가공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ype of the original content is text, the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of processing to extract the text by character recognition processing of the received content video.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b)는,Step (b) is,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에 홈페이지 화면 및 홈페이지 콘텐츠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영상으로 전송하여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content upload service using a video call, comprising: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by transmitting a homepage screen and homepage content as a video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o a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a)는,Step (a) is, 이동통신 단말로부터의 발신 처리시 영상 홈페이지 착신 번호와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접속을 위한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확인하여 접속 처리하거나 또는 영상 홈페이지 착신 번호와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접속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호를 이용한 콘텐츠 업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In the case of outgoing processing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video homepage incoming number and the feature code for accessing the video homepage service are identified and connected, or the video homepage called number and the video homepage service subscription are checked for access processing. Content uploa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call. 이동통신 시스템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homepage service using a video cal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에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해서 홈페이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상 홈페이지 제공모듈;A video homepage providing module for providing a homepage service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단말의 콘텐츠 업로드 요청 신호에 따라 영상 통화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 모듈; 및A content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 content video through a video call channel according to a content upload request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수신한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정보에 따라 구분된 콘텐츠 가공방식으로 상기 수신한 콘텐츠 영상을 가공처리한 후, 영상 홈페이지에 저장하는 저장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영상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장치.A storage processing module which extracts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tent image, processes the received content image in a content processing metho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received content image in a video homepage; Homepage service provid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19490A 2008-11-28 2008-11-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KR100996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90A KR100996540B1 (en) 2008-11-28 2008-11-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490A KR100996540B1 (en) 2008-11-28 2008-11-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57A KR20100060757A (en) 2010-06-07
KR100996540B1 true KR100996540B1 (en) 2010-11-24

Family

ID=4236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490A KR100996540B1 (en) 2008-11-28 2008-11-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54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062A (en) 2006-08-11 2008-02-28 Toshiba Corp Portable terminal equip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8062A (en) 2006-08-11 2008-02-28 Toshiba Corp Portable terminal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757A (en)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4149A1 (en) Intelligent Communications Method, Terminal, and System
KR1006780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ultimedia using mms message in mobile terminal
JP5027921B2 (en) International call roam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9965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uploading services by video call
KR100627784B1 (en) Method for Sharing Profil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of Multimedia Message between Systems of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Operator
KR1007299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aming service of international cal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KR101064709B1 (en) Representitive number service method suitable for each user and apparatus thereof
KR100738208B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about talkers on line
KR1010133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xt message transfer services by video c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use therein
KR1009035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motion picture homepage service in the mobile network
KR101043243B1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Registered Mobile Community
KR100716707B1 (en) Method for providing oneself authent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call
KR10061357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setting network environment for using wireless data service
KR20040025447A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Facsimile Data by Using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KR100642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voice message into text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same
KR101058673B1 (en) Text image transmiss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106946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KR20070069695A (en) Dialogic sty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ed short message service
KR10056014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JP2022183642A (en) Telephone system and telephone connection method
KR100619381B1 (en) Method for piety love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ystem
KR200100824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ng sentence message
KR100657634B1 (en) Method, Device and Record Medium saved the method for provide voice communication service by using receiver information formed characters
KR1006264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Community in Mobile, Recording Medium
KR20090094205A (en) Server for Managing Contents Registered Mobile Co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