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041B1 -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041B1
KR100996041B1 KR1020030024666A KR20030024666A KR100996041B1 KR 100996041 B1 KR100996041 B1 KR 100996041B1 KR 1020030024666 A KR1020030024666 A KR 1020030024666A KR 20030024666 A KR20030024666 A KR 20030024666A KR 100996041 B1 KR100996041 B1 KR 100996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arphone
user
ear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0738A (en
Inventor
이지영
임중혁
박인곤
박승민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041B1/en
Publication of KR2004009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7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장치에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이 내장된 이어폰을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과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 스피커와, 상기 제 1 하우징과 사용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마이크가 구비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장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장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이어폰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이어폰을 귀걸이로 이용하여 장신구로도 사용가능할뿐아니라, 사용자의 개성 표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기존의 목걸이줄과 이어폰 잭이 필요없어 부품수 절감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which is mounted on an ear of a user in an earphone device and constitutes an earphone having a built-in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 ear speaker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first housing and a wire, a second housing having a microphone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use with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device for mounting the housing to the user's ear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housing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use of the earphone, can also be used as an ornament by using the earphone as an earring Rather, it can meet the needs of users to express their individuality, Upon Jack you need not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이어폰, 제 1, 2 하우징, 접속장치부.Earphone, first and second housing, connecting devic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 Earphone device of mobile terminal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중에서 폴더형 단말기와 이어폰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able terminal and an earphone are combin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ar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A부 확대 사시도,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ar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B부 확대 사시도,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 장치에 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이 내장된 이어폰을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mounted on a user's ear and constitutes an earphone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신체 착용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 wearable-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무선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무선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방식을 의미한다In general, 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referred to as HHP, CT-2 cellular phones, digital phones, PCS phones and PDAs, and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wireless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and the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or cover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terminal means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ngle bar-shaped housing by a hinge device and to be folde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able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the terminal around the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 worn-typ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the terminal around the wrist.

도 1과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일 실시예로 폴더형 휴대단말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 a folding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as follows.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본체(1)와 폴더(2)로 나누어진다, 상기 본체(1)에는 각종 키버튼(1a)과 마이크(1b)가 장착된다. 상기 폴더(2)에는 액정표시부(2a)와 스피커(2b)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로부터 상향으로 145。∼155。 정도 개폐 가능하 도록 상기 본체(1)와 폴더(2)사이에 힌지 장치(3)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 상단에는 안테나(미도시 됨)가 설치된다.The folding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main body 1 and a folder 2. The main body 1 is equipped with various key buttons 1a and a microphone 1b. The folder 2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2a and a speaker 2b. A hinge device 3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folder 2 so as to be open and close about 145 ° to 155 ° upward from the main body 1. An antenna (not shown)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휴대용 미니 카세트, MP3플레이어 라디오 등의 통신 또는 청취기기의 크기가 소형화 되면서 이러한 전자기기들을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하여 전자기기를 연결시켜 목에 걸어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목걸이와 이러한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신 및 청취를 하기 위한 목걸이형 이어폰(10)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communication or listening device such as the portable terminal, portable mini cassette, MP3 player radio is reduced in size, portable necklaces that can be carried on the neck by 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to carry these electronic devices easily Necklace-type earphones 1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re widely used.

상기 이어폰(10)는 도 1과 같이,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도록 목걸이줄(11)이 구비되고, 상기 목걸이줄(11)의 일측에는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진 이어 스피커(20)가 연결된다. 상기 목걸이줄(11) 소정 위치에는 수납구(31)와 마이크(32)와, 상기 본체(1)를 걸고 받기 위한 송수신 버튼(33)이 일체로 구성된 송화부(30)가 제공된다. 상기 목걸이줄(11) 하부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폰 잭(41)과 상기 본체(1)에 결합되는 매듭끈(42)을 구비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목걸이줄(11)에 일체로 고정된 연결부재(40)가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arphone 10 is provided with a collar 11 so as to be hooked to a neck of a user, and an ear speaker 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llar 11.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llar 11, a receiver 30, a microphone 32,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3 inclu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button 33 for hanging and receiving the main body 1 are provided.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collar 11 is provided with an earphone jack 4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and a knot string 42 coupled to the main body 1, in this state. The connecting member 40 fixed integrally with the 11 is comprised.

그러나, 상기 이어폰는 목걸이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에 걸고, 상기 이어폰의 이어폰 잭을 상기 본체에 구비된 연결잭에 체결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는 이어폰을 사용할 때 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하는 불편함 있었고, 목걸이줄과 이어폰 잭을 구비해야함으로, 부품수 증가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earphone is worn on the neck of the user by using a necklace, the earphone jack of the earphone is fastened to the connection jack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user was inconvenient to repeat the above operation every time the earphone is used. Since the neckband and the earphone jack to be provid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은 휴대의 용이를 위하여 점차적으로 경량화 및 소형화 되어가고 있으며, 상기 이어폰의 외형 디자인을 중용시하는 젊은이들은 자기만의 개성과 멋을 결합시켜 장신구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In addition, such conventional earphones are gradually reduced in weight and size for ease of portability, and young people who value the external design of the earphones tend to use their own personality and fashion as ornaments.

그러나, 종래의 이어폰은 단순히 이어폰의 기능만 사용하고, 액세서리나 장신구로 사용할 수 없어 항상 자신의 변화 및 개성표현을 추구하는 젊은층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earphones simply use only the functions of the earphones, and can not be used as accessories or ornament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always meet the needs of the young people who seek their own change and expression of persona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폰 장치에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이 내장된 이어폰을 구성함으로써, 이어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earphone in the user's ear in the earphone device, the built-in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 of the earphone It is to provide an ear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 장치에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할 수 있도록 이어폰을 구성함으로써, 이어폰 기눙뿐만아니라 귀걸이로 사용하여 사용자의 개성 표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phon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user's ear in the earphone device, so that not only the earphones but also the earrings can satisfy the user's desire to express individuality.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어폰 장치에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내장한 이어폰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목걸이줄과 이어폰 잭이 필요없어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n earphone equipped wi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n a user's ear in an earphone devic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conventional necklace and earphone jack,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o provide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 스피커; 상기 제 1 하우징과 사용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마이크가 구비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장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장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housing mounted on the ear of the user; An ear sp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y a wire; A second housing having a microphone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use with the first housing; And a connect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to mount the respective housings to the user's ears an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respective housings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본체(100)는 제 1, 2 하우징과, 이어 스피커(201)와, 마이크(301)와, 접속장치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200)은 상기 제 2 하우징(300)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여 귀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어 스피커(201)는 상기 제 1 하우징(200)과 와이어(2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300)은 상기 제 1 하우징(200)과 사용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300)에는 마이크(30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속장치부(400)는 상기 제 1 ,2 하우징(200)(300)을 사용자의 귀에 장착시킴과 동시에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하우징(200)(300)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1) 및 상기 제 1 하우징(200)에는 상 호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장치부(400)는 핀 커넥터(402)와, 접속 커넥터(401)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S. 2 to 6, the earphone device main body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first and second housings, an ear speaker 201, a microphone 301, and a connection device 400. . The first housing 200 is combined with the second housing 300 to be mounted on the user's ear and used as an earring. The ear speaker 2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200 by a wire 202. The second housing 3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200 according to use. The second housing 300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301. The connecting device 400 is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00 and 300 to the user's ear and simultaneous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200 and 300. I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1 and the first housing 200 are each equipped wi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00, 700 for mutual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nnector 400 includes a pin connector 402 and a connector 401.

상기 핀 커넥터(402)는 사용자의 귀를 관통시켜 제 1 하우징(2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하우징(3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401)는 상기 핀 커넥터(402)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우징(200)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있다.The pin connector 40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housing 300 so that the pin connector 40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200 and fixe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connector 40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200 to be coupled to the pin connector 40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200)의 접속 커넥터(401)에 상기 제 2 하우징(300)의 핀 커넥터(402)를 결합하면,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이 온(ON)되어 작동하고, 분리시키면,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을 오프(OFF)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in connector 402 of the second housing 3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401 of the first housing 200, each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s 600 and 700 is turned on. When activated and disconnected, each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600, 700 is to be turned OFF.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s follows.

도 2 및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1)의 이어폰 장치 본체(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하우징(300)에 구비된 핀 커넥터(402)를 사용자의 귀에 관통시킨다.2 and 3, in order to use the earphone device main body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pin connector 402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300 passes through the user's ear.

이 상태에서, 상기 핀 커넥터(402)가 사용자의 귀를 관통하면, 상기 핀 커넥터(402)를 상기 제 1 하우징(200)에 구비된 접속 커넥터(401)와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In this state, when the pin connector 402 penetrates the user's ear, the pin connector 40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401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200.

이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1)와 제 1 하우징(200) 에는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이 각각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하우징(200)의 접속 커넥터(401)가 상기 제 2 하우징(300)의 핀 커넥터(402)와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을 온(ON)시킨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4 and 5, sinc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00 and 700 ar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main body 1 and the first housing 200, the first housing ( The connection connector 401 of the 200 is coupled with the pin connector 402 of the second housing 3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urn o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600 or 700.

여기서, 상기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은 근거리에 놓여 있는 통신기기를 상호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복잡한 전선없이도 양방향의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으로 블루투스(

Figure 112003013762062-pat00001
)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Here, each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00, 700) i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hat enables the real-time communication in both directions without the complicated wires by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devices located in the short distance to each other wireless network (Bluetooth (
Figure 112003013762062-pat00001
Adopts the system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우징(200)에는 와이어(2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어 스피커(20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의 귀속으로 상기 이어 스피커(201)를 삽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하우징(300)에는 상기 마이크(30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 본체(1)의 근거리 통신 모듈(700)과 이어폰 장치 본체(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이 작동하여 폰기능으로 사용한다.In this state, since the ear speaker 20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200 by the wire 202, the ear speaker 201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at the same time, the Since the microphone 301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300, the user may operate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700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1 and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600 of the earphone device body 100 to operate the phone. Use as a function.

도 6과 같이, 사용자는 이어폰 장치 본체(100)를 이어폰 기능으로 사용하면서 장신구인 귀걸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ser may use the earphone device main body 100 as an earphone function while using the earphone as an accessory.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 본체(1)의 폰기능이 끝나면, 자동으로 상기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이 오프(OFF)된다.Here, when the phon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1 ends, the respectiv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600 and 700 are automatically turned off.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200)에서 상기 제 2 하우징(300)을 분리하면, 상기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이 오프(OFF)된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housing 3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200, the respectiv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s 600 and 700 are turned off.                     

상기와 같이, 이어폰 장치 본체(100)를 귀에 장착 및 분리함에 따라서 각각의 근거리 통신 모듈(600)(700)을 작동시킴으로써, 이어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아니라, 장신구인 귀걸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respectiv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600, 700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earphone device body 100 in the ear, not only can improve the use of the earphone, but also can be used as earrings, jewelry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폴더형 단말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a foldable terminal, and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arphone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어폰 장치에서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내장한 이어폰을 구성함으로써, 이어폰의 사용을 향상시키고, 이어폰을 귀걸이로 이용하여 장신구로도 사용가능할뿐아니라, 사용자의 개성 표현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기존의 목걸이줄과 이어폰 잭이 필요없어 부품수 절감하여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arphone device, the earphone is mounted on the user's ear and a built-in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to improve the use of the earphone, and the earphone can be used as an accessory by using the earphone as an earring, and it can also satisfy the user's desire to express personality. In addition, there is no need for a conventional necklace and earphone jac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roduct.

Claims (5)

휴대 단말기에 사용되는 이어폰에 있어서,In the earphone used for the portable terminal,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제 1 하우징;A first housing mounted to a user's ear; 상기 제 1 하우징과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어 스피커;An ear speak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by a wire; 상기 제 1 하우징과 사용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마이크가 구비된 제 2 하우징; 및 A second housing having a microphone coupled or separated according to use with the first housing; And 상기 제 1 ,2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에 장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각의 하우징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장치부로 구성되고,It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nd comprises a connecting device for mounting the respective housings to the user's ears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spective housings, 상기 접속장치부는 사용자의 귀를 관통시켜 상기 제 1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핀 커넥터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The connection device unit is a earphone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connector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econd housing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electrically fixed to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 및 상기 제 1 하우징에는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각각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The earpho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body and the first housing each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부는 상기 제 2 하우징의 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우징의 중심부에 접속 커넥터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The earphone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nnecto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so as to be connect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in connector of the second hou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접속 커넥터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핀 커넥터를 결합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온 되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접속 커넥터에서 상기 제 2 하우징의 핀 커넥터를 분리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이 오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장치.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turned on when the pin connector of the second housing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connector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pin connector of the second housing is dis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connector of the first housing. Earphone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turned off.
KR1020030024666A 2003-04-18 2003-04-18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0996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66A KR100996041B1 (en) 2003-04-18 2003-04-18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66A KR100996041B1 (en) 2003-04-18 2003-04-18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38A KR20040090738A (en) 2004-10-27
KR100996041B1 true KR100996041B1 (en) 2010-11-22

Family

ID=3737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666A KR100996041B1 (en) 2003-04-18 2003-04-18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0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459B1 (en) * 2010-11-26 2012-03-21 유필종 Headset for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removable mik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10A (en) * 1999-11-11 2000-11-06 박창조 Wireless earphone-mike
KR200208097Y1 (en) * 2000-07-19 2000-12-15 이형석 Headset with headband
WO2001086923A1 (en) * 2000-05-09 2001-11-15 Gn Netcom A/S Headset
KR200262903Y1 (en) * 2001-11-15 2002-03-18 주식회사 예스텔코리아 Wireless earphone
KR20020028693A (en) * 2000-10-11 2002-04-17 지성재 Multipurpose ear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410A (en) * 1999-11-11 2000-11-06 박창조 Wireless earphone-mike
WO2001086923A1 (en) * 2000-05-09 2001-11-15 Gn Netcom A/S Headset
KR200208097Y1 (en) * 2000-07-19 2000-12-15 이형석 Headset with headband
KR20020028693A (en) * 2000-10-11 2002-04-17 지성재 Multipurpose earphone
KR200262903Y1 (en) * 2001-11-15 2002-03-18 주식회사 예스텔코리아 Wireless ear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38A (en)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221B2 (en) Adapter for a modula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20090099A1 (en) Hands-free,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60031B2 (e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US6681014B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US20040209657A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JP2798598B2 (en) Wristwatch type small telephone
WO2006037814A2 (en)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KR20050054367A (en) Ear wearable-type teltphone
KR100735436B1 (en) Earset apparatus
US20020110249A1 (en) Hinge unit for headset having current-carrying means
EP2372984A1 (en) Communication item as a pendant on a choker
KR100996041B1 (en) Ear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EP2369816A1 (en) Communication module in a jewellery
JPH11177666A (en) Wrist watch type earphone/telephone set
EP2367340A1 (en) Communication item
KR200228427Y1 (en) Necklace type hands free apparatus of mobile phone
NZ531323A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ntenna system which has a removable cover and a biasing mechanism
KR100350503B1 (en) Folding-type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neckwear module phone
KR200262903Y1 (en) Wireless earphone
KR100506223B1 (en) Portable phone
KR200302153Y1 (en) Mobile phone external speaker apparatus
KR200400374Y1 (en) Accessory-type portable antenna device
KR200184934Y1 (en) Ear phone for cellular phone using dial function
KR200363213Y1 (en) Necklace-shaped ear mike
KR200191437Y1 (en) Hands-fre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