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31B1 -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31B1
KR100995031B1 KR1020030068307A KR20030068307A KR100995031B1 KR 100995031 B1 KR100995031 B1 KR 100995031B1 KR 1020030068307 A KR1020030068307 A KR 1020030068307A KR 20030068307 A KR20030068307 A KR 20030068307A KR 100995031 B1 KR100995031 B1 KR 100995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antennas
antenna
antennas
modul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278A (ko
Inventor
서동연
김봉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31B1/ko
Priority to US10/946,342 priority patent/US7929633B2/en
Priority to PCT/KR2004/002460 priority patent/WO2005032154A2/en
Priority to CNA2004800286357A priority patent/CN1864379A/zh
Priority to AT04774710T priority patent/ATE406743T1/de
Priority to EP04774710A priority patent/EP1668855B1/en
Priority to DE602004016189T priority patent/DE602004016189D1/de
Priority to EP08002667A priority patent/EP1933492B1/en
Priority to AT08002667T priority patent/ATE532285T1/de
Publication of KR2005003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278A/ko
Priority to US12/127,212 priority patent/US803180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03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H04B1/7105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 H04B1/71055Joint detection techniques, e.g. linear detectors using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56Cyclotomic systems, e.g. Bell Labs Layered Space-Time [BL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75Space-tim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4Joint weighting using error minimizing algorithms, e.g.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cross-correlation" or matrix i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and Multi-Output)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이 다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스트림에 대하여 변조 및 코딩 조합(Modulation and Code Set)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 및 코딩 조합에 따라 실제 전송할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트림을 수신측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30068307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변조 및 코드 조합(MCS),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Description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tting applying for MIMO}
도 1 은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 시스템의 송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 시스템의 수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시스템의 송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시스템의 수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채널 중 일부만을 사용하여 스트림을 전송하는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 중의 하나인 V- BLAST(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 Time)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전송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각 안테나에 전송될 심볼의 채널 코딩 방식 및 변조 방식을 달리하는 방법에는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와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방법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각 안테나에서 독립적으로 전송한 심볼을 수신측에서 수신하여 처리 하는 방법을 설명한 종래 기술의 참조 문헌은 다음과 같다. P.W. Wolniansky, G. J. Foschini, G.D. Golden and R. A. Valenzuela, “V-BLAST: An Architecture for Realizing Very High Data Rates Over the Rich-Scattering Wireless Channel”, IEE Electronics Letters, vol. 35, no. 1, pp. 14 - 16, January, 1999.
도 1 은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 시스템의 송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은 다수의 전송 안테나들을 통해 전송되기에 앞서 디멀티플렉싱 과정을 거친다. 이 때, 각 전송 안테나에 할당되는 비트 수는 각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속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디멀티플렉싱을 거친 후, 각 전송 안테나에 대응하는 서브 스트림이 되어 코딩 및 인터리빙 과정을 거쳐 심벌로 매핑된다. 이들 심벌들은 다시 각 확산 코드들을 사용하여 확산시키기에 앞서 다시 디멀티플렉싱 된다. 코딩은 단지 시간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며, 단일 레이트 시스템(Single-rate system)에서 사용되는 공간-시간(Space-time) 코딩처럼 강력한 코딩은 아니다. 그러나 시간 영역에서의 코딩은 디코딩 후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Post-decoding interference cancellation)하는 기능이 있고, 이에 따라 수신기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2 는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 시스템의 수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만일 데이터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멀티플렉싱을 거쳐 코딩 되면, 각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들은 독립적으로 디코딩 될 수 있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는 역확산과 디멀티플렉싱 후에, 하나의 안테나에 대한 신호가 검출되고, 재할당되며, 디인터리빙 되고, 디코딩 된다. 이렇게 디코딩 된 비트들을 기초로 이 안테나에 대한 신호는 재구성되고, 버퍼에 저장된 수신 신호로부터 제거된다.
도 3 은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시스템의 송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스트림 가중치가 곱해지기 전까지는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의 송신측과 같다. 그러나,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는 각 스트림이 각 안테나에 일대일로 매핑 되는데에 반해,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에서는 각 스트림에 송신 안테나 개수 크기의 직교 가중치 벡터(orthogonal weight vector)들이 각각 곱해지고, 이렇게 가중치가 부여된 스트림들은 각각의 안테나로 분산되어 전송된다. 하나의 스트림만 보면 이는 Tx 다이버시티와 같은 방법으로 전송되며, 동일 송신 안테나 조합에 여러개의 스트림을 중첩해서 보내는 방법이다.
도 4 는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시스템의 수신측을 나타낸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단에서 각 스트림에 직교 가중치 벡터(orthogonal weight vector)를 곱하고 이를 각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므로 수신측에서 상기 가중치 벡터의 Hermitian을 곱하게 되면 각 스트림들을 간섭 없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시스템에 있어서는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의 수신측에 수행하는 간섭 제거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송신 안테나의 개수에 따라 그 수 만큼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 스트림 별로 제어 신호가 필요하게 된다. 즉,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보내는 제어신호로서 변조 및 코드 조합(MCS; Modulation and Code Set) 선택을 위한 각 스트림 별 채널 상태 정보(CQI; channel quality information), HARQ-ACK/NACK 등이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전송된다.
한편,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방법의 경우 스트림 별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의 전송도 추가로 필요하며,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는 각 스트림에 따른 변조(Modulation)정보, 전송 블럭 크기(Transport Block Size), HARQ 처리 정보 등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트림수 증가에 따라 제어신호가 증가하고, 수신측은 송신 스트림수 이상의 수신 안테나 를 필요로 한다.
특히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방법의 경우는 송수신 안테나 수가 (4,4) 인 시스템에서 고유치(eigen value)의 분포를 살펴보 면 두 개정도의 고유치(eigen value) 값만이 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크기를 갖고, 나머지 두 개에는 거의 최저데이터 전송률의 변조 및 코드 조합(MCS; Modulation and Code Set)가 선택되거나 데이터 전송이 안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스트림에 대하여 전송을 수행함으로서 제어 신호가 증가하여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의 채널만을 사용하여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제어신호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신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and Multi-Output)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이 다수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스트림에 대하여 변조 및 코딩 조합(Modulation and Code Set)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 및 코딩 조합에 따라 실제 전송할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트림을 수신측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and Multi-Output)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이 다수의 안테나에 대응 하는 스트림에 대하여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치 벡터에 따라 실제 전송할 스트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스트림을 수신측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V-BLAST(Vertical Bell Laboratories Layered Space Time) 시스템의 송신측에 있어서는 각 송신 안테나에서 별도의 신호 처리나 공간-시간(Space-Time)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입력되는 데이터가 각각 다른 안테나를 통해 각각 다른 신호로 송신되도록 한다. 즉, 송신측에서는 데이터가 각각 다른 안테나를 통해 다른 신호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적절한 신호처리 절차를 거쳐 데이터를 검출해야 한다. 수신측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수신측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먼저 M 개의 송신 안테나와 N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진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 시스템을 가정한다. 이 때, M 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각각 다르게 송신된 신호 벡터를 a 라고 하고, 송신 신호 벡터가 수신측에 수신되기 전에 거치게 되는 채널 행렬을 H 라고 할 때, N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진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시스템의 수신측에서 수신되는 신호 벡 터 r 1 은 수학식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r 1 = H a + v
송신측은 M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고, 수신측은 N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므로, M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서로 다른 경로를 거쳐 N 개의 수신 안테나에 수신된다. 그러므로, 채널 행렬인 H 는 N*M 행렬이 된다. 즉, M 개의 안테나를 통해 각각 다르게 전송된 신호들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1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2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3
, 즉 M*1 벡터)은 각각 다른 채널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4
를 거치고, 수신측에서는 N 개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된다. 수학식 1 에서 v 는 가우시안 잡음을 나타낸 것으로 수신측 각 안테나에 유기되므로 N+1 벡터가 된다.
이렇게 N 개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다음과 같은 신호 검색 알고리즘을 가진 수신측 신호 처리부를 거치게 된다. 우선 송신 신호 a 벡터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5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6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7
)를 수신측에서 검출한 신호 벡터를 s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8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09
,...,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0
) 라고 나타낸다. 이렇게 송신측의 각각 다른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측에서 검출하기 위해 수신측의 N 개의 안테나에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를 곱하게 되는데 이 가중치 벡터를 w 로 나타낸다. 이 때, 송신측의 안테나에서 각각 다른 신호가 송신되므로 수신측에서 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M 개의 가중치 벡터가 필요하게 된다. 수신측의 각 안테나에 곱해 줄 가중치 벡터는 수학식 2 와 같은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w i H H j = 0 (j≥i)
w i H H j = 1 (j=i)
수학식 2 에서 H j H 의 j 번째 열 벡터를 나타낸다. 즉, 수학식 2 는 i 송신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수신측 안테나에 곱해 주어야 할 가중치 벡터 w i H 의 j 번째 열 벡터와의 곱에 대해서만 1 이라는 값을 가지며, H 의 나머지 열벡터와의 곱에 대해서는 0 이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i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 w i 는 다른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의 영향은 제거하도록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것이다. 송신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때문에 현재 검출하기 위해 사용할 가중치 벡터를 구하기 전에 이미 검출된 신호의 영향은 배제된다.
수학식 2 의 성질을 만족하는 가중치 벡터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먼저, 수학식 1 에서 나타낸 수신측에서 수신되는 신호 벡터는 수학식 3 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r 1 = a1 H 1 + a2 H 2 + ㆍㆍㆍ+ aM H M
송신 안테나 각각에서 송신된 신호는 각각 다른 채널을 거쳐 수신측에 수신되는데, 수학식 3 은 이를 선형적인 합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수학식 3 에서 알 수 있듯이 1번째 송신 신호를 검출할 때는 2 번째부터 M 번째 까지의 신호의 영향을 제거하고 수신할 수 있는 가중치 벡터를 수신 안테나측에 곱하여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각각의 송신 신호에 대해서도 이런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중치 벡터를 갱신할 수 있다.
우선 가중치 벡터 갱신이 시작되면 처음 주어진 H 행렬의 Moore-Penrose pseudoinverse 행렬을 구하고 이 행렬을 H + 혹은 G 1 으로 표시한다. 즉 수학식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G 1 = H +
다음 G 1 행렬의 각 행벡터 중 행벡터의 벡터 놈(vector norm)이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나는 행벡터가 어느 것인지를 알아낸다. 행벡터의 벡터 놈(vector norm) 중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나는 행벡터를 K 라고 하면 K 번째 송신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 w i G 1 행렬의 K 번째 행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이 후 수신벡터 r 1 과 가중치 벡터 w i 를 곱해서 K 번째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한다. 이 때,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예를 들면 QPSK, QAM 등의 디지털 변조 방식)을 이미 알고 있으므로 어느 위치(constellation)에 속 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으로 K번째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1
를 검출한다. 이렇게 K 번째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수학식 3 에서 K번째 신호의 영향을 가감한다. 즉 수학식 5 와 같은 연산을 수행한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2
r 2 = r 1 - H k
상기 수학식 5 에서 r 2 는 2 번째 갱신에서 사용될 수신 벡터를 나타낸다. 이후 G 2, 즉 2번째 가중치 벡터를 구하는 데 사용될 G 행렬은 H + 행렬 중 K 번째 열을 모두 0 으로 만든 행렬의 Moore-Penrose pseudoinverse 행렬이 된다. 즉 수학식 6 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3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4
=
수학식 6 에서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5
H + 행렬 중 K 번째 열을 모두 0 으로 만든 행렬의 Moore-Penrose pseudoinverse 행렬을 의미한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6
행렬에 대해서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7
행렬의 행벡터들의 벡터 놈(vector norm) 중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나는 행벡터가 어느 것인지를 알아내고, 이것을 V 라고 하면 V번째 송신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 w v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8
행렬의 V 번째 행으로 선택 한다. 그리고, 수신벡터 r 2 와 가중치 벡터 w v 를 곱해서 V 번째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한다. 그러면, 송신측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법 (예를 들면 QPSK, QAM 등의 디지털 변조 방식)을 수신측에서도 알고 있으므로 어느 위치(constellation)에 속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마지막으로 V 번째 송신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
Figure 112003036789819-pat00019
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V 번째 안테나에서 송신된 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수학식 5 에서 V 번째 신호를 가감한다. 즉 수학식 7 과 같은 연산을 수행한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0
r 3 = r 2 - H
이 때, r 3 는 3번째 갱신에서 사용될 수신 벡터를 나타낸다. M개의 안테나에서 각각 송신된 신호를 모두 구할 때까지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각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심볼에 대하여 동일한 채널 코딩과 변조 방법을 적용한 것과 달리, 각 안테나에서 전송할 심볼의 채널 코딩과 변조 방법을 각 안테나의 채널 상황을 반영하여 각각 다르게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 송신측에서는 각 전송 안테나마다 독립적으로 인코딩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는 각 안테나마다 데이터 전송 속도(Modulation과 Coding)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단일 레 이트(Single Rate)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술인 V-BLAST와는 상이하다.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는 각 안테나별로 독립적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어함에 있어서 좀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의 스루풋(Throughput)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안테나별 채널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필요한 비트 수는 단일 레이트(Single Rate)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을 위해 제안된 기술들보다 많이 필요하지만, 기준이 되는 집합을 정할 수 있다. 즉,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에서는 각 안테나에서 유효한 변조 및 코딩 조합(MCS; Modulation and Coding Set)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 안테나에서 수신된 각 송신 안테나의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을 계산하도록 한다. 이 때 각 안테나에서 사용하는 채널 코딩과 변조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 각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 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를 측정하고 그 값을 기초로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채널 코딩과 변조 방법의 조합을 선택하도록 한다.
표 1 은 (4,4) 시스템에 해당되는 전송 속도와 변조 및 코딩 조합(MCS; Modulation and Coding Set) 조합의 예를 나타낸다.
bps/Hz 데이터율 (Mbps) 변조방식 코딩 레이트
3 7.2 16 QAM 3/4
2 4.8 16 QAM 1/2
1.5 3.6 QPSK 3/4
1 2.4 QPSK 1/2
0.5 1.2 QPSK 3/4
(4,4) 안테나 기준 레이트 제어(PARC; Per Antenna Rate Control)일 경우, 최상위 구조들(Highest geometries, 인덱스 1부터 38까지)에서는 코드 재사용 차수(Code re-use order)를 4로 선택하고, 최하위 구조들(Lower geometries, 인덱스 39부터 54까지)에 대해서는 선택(Selection)과 코드 재사용 차수(Code re-use order) 2를 동시에 사용한다. 그리고, 최하위 구조들(Lowest geometries)에 대해서는 선택적 다이버시티와 단일 안테나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표 2 는 송신 안테나와 4 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전송 속도 조합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인덱스 데이터 율:Mbps 제 1 안테나 제 2 안테나 제 3 안테나 제 4 안테나
1 28.8 3 3 3 3
2 26.4 3 3 2 3
3 26.4 3 2 3 3
4 26.4 2 3 3 3
5 24.0 2 3 3 2
6 24.0 2 3 2 3
7 24.0 2 2 3 3
8 21.6 2 2 3 2
9 21.6 2 2 2 3
10 19.2 2 2 2 2
11 22.8 2 1.5 3 3
12 20.4 2 1.5 2 3
13 18.0 2 1.5 2 2
14 19.2 2 1.5 1.5 2
15 16.8 2 1 2 2
16 25.2 1.5 3 3 3
17 22.8 1.5 3 2 3
18 22.8 1.5 2 3 3
19 20.4 1.5 2 2 3
20 18.0 1.5 2 2 2
21 19.2 1.5 2 1.5 2
22 21.6 1.5 1.5 3 3

23 21.6 1.5 1.5 3 3
24 16.8 1.5 1.5 2 2
25 14.4 1.5 1.5 2 1
26 15.6 1.5 1.5 1.5 2
27 15.6 1.5 1 2 2
28 24.0 1 3 3 3
29 21.6 1 3 2 3
30 21.6 1 2 3 3
31 19.2 1 2 2 3
32 16.8 1 2 2 2
33 15.6 1 2 2 1.5
34 15.6 1 2 1.5 2
35 18.0 1 1.5 2 3
36 15.6 1 1.5 2 2
37 20.4 0.5 2 3 3
38 15.6 0.5 2 2 2
39 14.4 3 3
40 14.4 3 3
41 12.0 2 2
42 12.0 3 2
43 12.0 2 3
44 12.0 2 3
45 9.6 2 2
46 9.6 2 2
47 8.4 2 1.5
48 8.4 2 1.5
49 10.8 1.5 3
50 10.8 1.5 3
51 8.4 1.5 2
52 8.4 1.5 2
53 9.6 1 3
54 9.6 1 3
55 7.2 3
56 7.2 3
57 4.8 2
58 4.8 2
59 3.6 1.5
60 3.6 1.5
61 2.4 1
62 2.4 1
63 1.2 0.5
64 1.2 0.5
이하에서는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송신측은 M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이 M개의 심볼로 구성된 신호 벡터 s 를 구성하고, 각각의 심볼을 각각 다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도록 한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1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2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3
s = [, ,ㆍㆍㆍ ]T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는 실제 통신 상황에 있어서, 안테나 간의 상관성 및 심볼간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각 심볼이 독립된 채널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다. 즉, 송신측이 안테나 배열(array)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착안하여 각 심볼에 대해 채널 행렬의 고유 벡터를 곱해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다수 입출력 통신 시스템의 수신측에서 추정하는 채널 행렬의 고유치 분해를 통해 각 고유치 값들의 크기를 살펴본 후, 고유치 값이 큰 안테나에 대해서는 64QAM 또는 16QAM 등의 고차(higher order) 변조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고유치 값이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혹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의 저차(low order)의 변조 방법을 사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각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심볼이 모두 동일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안테나의 채널 상황을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아서 채널 상황에 맞게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변조 방식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수신측도 같은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어야 수신할 때 각 안테나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채널 행렬의 고유치 분해를 통해 얻은 고유치 값들이 특정 값 이하로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는 아예 심볼을 전송하지 않도록 하여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한 심볼이 수신측에서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미리 제거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채널 상황이 좋은 안테나에 고차(higher order) 변조 방식을 사용하도록 심볼을 할당할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전체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할 비트 수는 늘어나 시스템 스루풋을 늘리는데 오히려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심볼을 전송해 봐야 소용없는 안테나에서는 심볼이 전송되지 않도록 미리 송신측에서 처리함으로써 전체적인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수신측에서 채널 행렬을 추정한 후 수신측에서 고유치 분해를 통해 분리된 각 고유치들을 송신측으로 피드백 하거나, 혹은 고유치 값들의 비교를 통해 송수신측 미리 약속된 변조 방식 할당표를 가지고 있다가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변조 방식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피드백할 수도 있다.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에 있어서 각 심볼에 따른 빔을 형성하는 방법은 수학식 9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S = w 1s1 + w 2s2 + ㆍㆍㆍ+ w MsM
여기서 wi 는 각 심볼에 빔형성을 실시하기 위한 가중치 벡터를 나타내는 것이고 s1 부터 sM 까지는 데이터 심볼을, S 는 각 심볼에 대하여 빔을 형성한 후의 신호 벡터이다.
각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심볼은 각 안테나의 채널 상황을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아서 채널 상황에 맞게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변조 방식을 결정한다. 따라서, 수학식 9 의 s1 부터 sM 은 채널 행렬의 고유치 값들의 비교를 통해 각각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즉, 채널 행렬의 고유치 분해를 통해 고유치 값이 큰 안테나에 대해서는 고차(higher order) 변조 방식을 할당하고 고유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는 저차(lower order) 변조 방식을 할당하도록 한다.
이 때 각 심볼에 곱할 가중치 벡터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M 개의 송신 안테나, N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진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가정한다. 이 때 M 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각각 다르게 송신된 신호 벡터가 수신측에 수신되기 전 거치게 되는 이동 통신 채널 행렬을 H 라고 할 때, 수신측에서 M 개의 수신 안테나를 가진 경우 채널 행렬 H 는 N*M 행렬이 된다. 송신측의 각 안테나에서 송/수신측에서 미리 알고 있는 파일럿 심볼 혹은 별도의 파일럿 채널을 전송한다고 할 경우 수신측에서는 채널 행렬 H 의 각 성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채널 행렬 H 에 대해 수신측에서 고유치 분해 (Eigen-Decomposition)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송신측의 안테나 배열(array)에 있어서 안테나 개수가 수신측의 안테나 배열(array)의 안테나 개수보다 많은 시스템을 가정하였기 때문에 채널 행렬 H 는 정방행렬이 될 수 없고, 채널 행렬 자체에 대하여 고유치 분해를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수학식 10 과 같이 H H H 의 고유치 분해를 실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H H 는 벡터 H 에 대한 Hermitian 연산을 나타낸다.
H H H = λ1 e 1 + λ2 e 2 + ㆍㆍㆍλM e m
수학식 10 에서 λi 는 행렬 H H H 의 고유치(eigen-value)들을 나타내고, e i 는 고유벡터(eigen-vector)들을 나타낸다. 각 고유 벡터(eigen-vector)는 일반적으로 서로 직교(orthogonal)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송신측 안테나 수에 맞게 심볼을 한꺼번에 전송하고자 할 경우 각 심볼에 독립적인 가중치 벡터를 곱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수학식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측에서 각 심볼에 대하여 빔형성을 하고, 신호를 전송한 경우 수신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신호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즉, 각 심볼에 독립적인 가중치 벡터를 곱하여 신호를 전송하였기 때문에 기존 BLAST 수신측의 신호 처리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제로 포싱(zero-forcing) 이나 최소 평균 제곱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법으로 우선 S 를 추정한 후 송신측에서 각 심볼에 곱한 가중치 벡터의 공액(conjugate) 값을 곱해 각 심볼을 검출한다. 제로 포싱(zero-forcing), MMSE는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각 심볼에 가중치 벡터를 곱해 송신측에서 신호를 전송하면, 수신측에서 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는 수학식 1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R = H S + n
상기 수학식 11 에서 n 은 부가적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을 나타낸다.
제로 포싱(Zero-forcing)을 이용하여 각 심볼에 가중치 벡터를 곱해 전송한 신호 벡터 S 를 추정한 신호 벡터를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4
라고 하면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5
는 수학식 1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6
= [ H H H ]-1 H H R
한편, 최소 평균 제곱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법을 이용하여 각 심볼에 가중치 벡터를 곱해 전송한 신호 벡터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7
는 수학식 13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8
= [α I + H H H ]-1 H H R
상기 수학식 13에서 α 는 신호 대 간섭 잡음비, I 는 항등행렬(Identity Matrix)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제로 포싱(zero-forcing) 혹은 최소 평균 제곱 오차(MMSE; Minimum Mean Square Error) 방법을 이용하여 각 심볼에 가중치 벡터를 곱해 전송한 신호 벡터
Figure 112003036789819-pat00029
를 추정한 후, 송신측에서 각 심볼에 곱하여 전송한 가중치 벡터의 공액(conjugate) 값을 다시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0
에 곱하여 전송단에서 전송한 심볼들인 s1 부터 sM 까지의 추정치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1
부터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2
를 수학식 15 에 따라 추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3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4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5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6
= w 1 H ㆍㆍㆍ M = w M H
이 후 추정된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7
부터
Figure 112003036789819-pat00038
을 각각 사용된 변조(modulation) 방법에 맞게 복조(demodulation)하여 각 심볼로 할당하기 전의 비트들을 알아내고, 한편 각 안테나에서 전송된 심볼의 비트들을 알아낸 다음 멀티플렉싱을 통해 송신측에서 전송한 비트 스트림을 알아낸다.
또한 각 안테나에서 각각 다른 심볼을 전송할 때 수신측에서 추정한 채널 행렬의 고유 벡터(eigen-vector)들을 각 심볼에 곱해서 전송하는 것 외에, 각 안테나의 채널 상황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수신측에서 고유치 분해를 통해 얻은 채널 행렬의 고유치 값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각 안테나에서 전송할 심볼의 채널 코딩과 변조 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각 송신 안테나에서 독립적으로 전송할 심볼에 곱하여 줄 가중치 벡터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신측에서 추정한 채널 행렬의 고유치 분해를 실시해야 하고, 고유치 분해를 통해서 고유치 값(eigen-value)들과 고유 벡터(eigen-vector)들을 함께 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계산이 더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각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되는 심볼에 대하여 모두 동일한 변조(modul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안테나의 채널 상황을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아서 채널 상황에 맞게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변조(modulation) 방식을 결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수학식 2 의 s1 부터 sM 은 채널 행렬의 고유치 값들의 비교를 통해 각각 다른 변조(modulation) 방식을 사용하도록 한다. 즉, 채널 행렬의 고유치 분해를 통해 고유치 값이 큰 안테나에 대해서는 고차(higher order) 변조(modulation) 방식을 할당하고 고유치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안테나에 대해서는 저차(lower order) 변조(modulation) 방식을 할당한다.
이 때 각 안테나에 할당할 변조 및 코드 조합(MCS; Modulation and Code Set)를 결정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수학식 10 에서와 같이 고유치 분해를 통해 얻은 고유치 값들을 가지고 각 안테나에 할당할 변조(modulation)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먼저 각 고유치 값들의 상대적인 비를 결정한다.
이 상대적인 비를 통해 가장 작은 고유치(eigen-value)값이 특정 기준(threshold) 값 이하이면 그 안테나에서는 심볼이 전송되지 않도록 하고, 그 배제된 고유치(eigen-value) 값을 제외한 최소 고유치(eigen-value) 값에는 가장 낮은 변조(modulation) 방식 및 코딩 조합 을 사용한다. 한편, 가장 큰 고유치(eigen-value) 값을 가지는 안테나에 대해서는 가장 고차(higher order) 변조(modulation) 방식 및 코딩 조합을 사용하도록 한다.
중간값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인 값들의 비교를 통해 중간 단계의 변조(modulation) 및 코딩 조합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미리 시뮬레이션을 통해 여러 채널 상황을 실험을 통해 확인한 후 표 2 와 같은 필요한 기준을 미리 가지고 있다가 그 기준에서 채널 상황에 맞게 변조(modulation) 및 코딩 조합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니면, 실제 사용 가능한 변조(modulation) 및 코딩의 종류는 제한적일 것이므로 그 조합을 표 1 과 같이 정하여 두면 송/수신측이 모두 동일한 기준을 알고 있으므로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변조(modulation) 및 코딩의 조합을 인덱스로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채널 행렬의 고유치 값들이 비교적 천천히 변하는 것을 감안하여 고유치 값 전체를 천천히 귀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송신측에서 귀환된 고유치 값을 가지고 각 안테나에서 사용할 변조(modulation) 및 코딩을 결정하여야 한다.
송수신 안테나 수가 (M, N)인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은 M 개의 스트림 전송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송신안테나 수가 M개 이면 전송 가능한 채널수가 M 개가 되는데, 매 순간 모든 채널이 모두 좋은 경우는 자주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M개중에서 P(P<M)개의 스트림 전송을 기반으로 한다.
즉, P개의 채널만을 이용하여 P개 이하의 스트림을 전송하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필요한 신호는 P개의 독립적인 제어신호와 M 개중에서 선택되는 채널의 인덱스 정보이다. 따라서, 기존 방식에서 M 개의 독립적인 제어 신호가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P 개의 제어신호와 M 개 중에서 선택되는 채널의 인덱스만이 필요하게 된다.
수학식 16 은 본 발명을 스트림 기준 레이트 제어(PSRC; Per Stream Rate Control) 방법에 적용한 경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S = w 1s1 + w 2s2 + ㆍㆍㆍ+ w psp
수학식 16 에서 w p 는 채널 행렬의 고유벡터(eigen-vector)에 대응되는 고유값(eigen-value) 크기순으로 P번째에 해당하는 것이다. 즉 대응 고유값(eigen-value)이 크기순으로 P번째 이후인 고유 벡터(eigen-vector)는 사용에서 제외된다.
본 발명은 각 스트림 별로 변조 및 코드 조합(MCS)를 달리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시스템에서 전송 스트림 수를 유효한 스트림 수 이하로 제한 함으로써 복잡한 제어신호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특히 PSRC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고유치(eigen-value)가 낮게 나오는 채널의 사용을 사전에 배제 함으로서 스루풋(throughput) 손실이 매우 적으며, 송신측에 전송되는 가중치 벡터(weight vector)의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실제 구현시에 문제가 될 수 있는 피드백 지연(feedback delay) 혹은 양자화 에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송 스트림수가 M 개에서 P 개로 감소하므로 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의 수신 안테나 수를 P 개로 줄일 수도 있다. 송수신 안테나수 (4, 4)인 경우를 가정하면, 2개의 스트림 만을 전송하게 되면 제어신호의 양이 1/2로 줄어들고 또한 수신안테나 수를 2개로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 Input and Multi Output)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and Multi-Output)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M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M개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M개의 송신 안테나의 전송 성능을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 M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상기 M 보다 적은 P개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P개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측은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피드백 정보만을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개의 스트림은 각각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되는 변조 및 코드 조합 중에서 대응되는 변조 및 코드 조합으로 처리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 M개의 송신 안테나 각각의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지정된 기준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과 같거나 높은 채널 품질 정보를 갖는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및 코드 조합은 PARC(Per Antenna Rate Control) 전송 방법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14. 송신측에서 M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M개의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PARC(Per Antenna Rate Control)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PARC 유닛은 수신측으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M개의 송신 안테나의 전송 성능을 나타내는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송신측에서 상기 M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상기 M 보다 적은 P개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며,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P개의 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수신측으로부터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한 피드백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P개의 스트림은 각각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되는 변조 및 코드 조합 중에서 대응되는 변조 및 코드 조합으로 처리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and Multi-Output)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Noise Rati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M개의 송신 안테나 각각의 채널 상태 정보를 미리 지정된 기준과 비교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과 같거나 높은 채널 품질 정보를 갖는 상기 P개의 송신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
KR1020030068307A 2003-10-01 2003-10-01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KR100995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307A KR100995031B1 (ko) 2003-10-01 2003-10-01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US10/946,342 US7929633B2 (en) 2003-10-01 2004-09-22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multi-input/multi-output system
CNA2004800286357A CN1864379A (zh) 2003-10-01 2004-09-24 多输入/多输出系统中控制信号传输的方法
AT04774710T ATE406743T1 (de) 2003-10-01 2004-09-24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ignalübertragung in einem system mit mehreren eingängen und mehreren ausgängen
PCT/KR2004/002460 WO2005032154A2 (en) 2003-10-01 2004-09-24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multi-input/multi-output system
EP04774710A EP1668855B1 (en) 2003-10-01 2004-09-24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multi-input/multi-output system
DE602004016189T DE602004016189D1 (de) 2003-10-01 2004-09-24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ignalübertragung in einem system mit mehreren eingängen und mehreren ausgängen
EP08002667A EP1933492B1 (en) 2003-10-01 2004-09-24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multi-input/multi-output system
AT08002667T ATE532285T1 (de) 2003-10-01 2004-09-24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ignalübertragung in einem mehrfachein- bzw. mehrfachausgabesystem
US12/127,212 US8031801B2 (en) 2003-10-01 2008-05-27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in multi-input/multi-outpu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307A KR100995031B1 (ko) 2003-10-01 2003-10-01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367A Division KR100913101B1 (ko) 2008-02-28 2008-02-28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278A KR20050032278A (ko) 2005-04-07
KR100995031B1 true KR100995031B1 (ko) 2010-11-19

Family

ID=3628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307A KR100995031B1 (ko) 2003-10-01 2003-10-01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929633B2 (ko)
EP (2) EP1933492B1 (ko)
KR (1) KR100995031B1 (ko)
CN (1) CN1864379A (ko)
AT (2) ATE406743T1 (ko)
DE (1) DE602004016189D1 (ko)
WO (1) WO20050321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0926B2 (en) * 2001-11-29 2007-01-3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fficient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for multi-path fading channels
US9270410B2 (en) 2002-04-22 2016-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IMO PGRC system and method
US8194770B2 (en) 2002-08-27 2012-06-05 Qualcomm Incorporated Coded MIMO systems with selective channel inversion applied per eigenmode
US8170513B2 (en) 2002-10-2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detection and demodu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169944B2 (en) 2002-10-25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for wireless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s
US7324429B2 (en) 2002-10-25 2008-01-29 Qualcomm, Incorporated Multi-mode terminal in a wireless MIMO system
US8570988B2 (en) 2002-10-25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calibration for a time division duplexed communication system
US7986742B2 (en) 2002-10-25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ilots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81131A1 (en) 2002-10-25 2004-04-29 Walton Jay Rod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OFDM symbol sizes
US8134976B2 (en) 2002-10-25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calibration for a time division duplexed communication system
US8208364B2 (en) 2002-10-2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MIMO system with multiple spatial multiplexing modes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8218609B2 (en) 2002-10-25 2012-07-10 Qualcomm Incorporated Closed-loop rate control for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7002900B2 (en) 2002-10-25 2006-02-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processing for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JP4287670B2 (ja) * 2003-02-18 2009-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473269B2 (en)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49518B2 (en) 2003-12-29 2012-08-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controlled feedback for MIMO systems
JP5080273B2 (ja) 2005-01-07 2012-11-21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プティカルフローに基づく傾きセンサー
US7729325B2 (en) * 2005-04-05 2010-06-01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Beamforming and distributed opportunistic scheduling in wireless networks
US7986680B2 (en) * 2005-04-28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format selection with consideration for resource reuse
DE602005016728D1 (de) * 2005-05-04 2009-10-29 Panasonic Corp Datenübertragungen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es 16-qam-schemas
US7466749B2 (en) 2005-05-12 2008-12-16 Qualcomm Incorporated Rate selection with margin sharing
US9130706B2 (en) * 2005-05-26 2015-09-08 Unwired Plan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quality loss compensation in multiplexing transmission systems
US8358714B2 (en) * 2005-06-16 2013-01-22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and modulation for multiple data streams in a communication system
DE102005043001B4 (de) * 2005-09-09 2014-06-05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Verfahren zum Senden mehrerer Datenströme, Verfahren zum Demultiplexen von mittels mehrerer Empfangsantennen empfangenen Sende-Datenströmen, Sendeeinrichtung zum Senden mehrerer Datenströme, Empfangseinrichtung zum Demultiplexen von mittels mehrerer Empfangsantennen empfangenen Sende-Datenströmen und Computerprogrammelemente
WO2007041845A1 (en) * 2005-10-12 2007-04-19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user mimo systems and methods
US8335272B2 (en) 2005-10-28 2012-1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with variable diversity gain
ES2572179T3 (es) 2005-12-09 2016-05-30 Koninklijke Philips Nv Transmisión de canal espacial múltiple con control de velocidad
GB2433397B (en) * 2005-12-16 2008-09-10 Toshiba Res Europ Ltd A configurable block cdma scheme
US20080051037A1 (en) 2005-12-29 2008-02-28 Molnar Karl J BASE STATION AND METHOD FOR SELECTING BEST TRANSMIT ANTENNA(s) FOR SIGNALING CONTROL CHANNEL INFORMATION
US20070165576A1 (en) * 2005-12-29 2007-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mo control channel with shared channelization codes
US20100138715A1 (en) * 2006-01-31 2010-06-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device, radio recep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MX2008009981A (es) * 2006-02-03 2008-10-17 Interdigital Tech Corp Aparato de determinacion y asignacion de recursos basados en calidad de servicio y procedimiento en sistemas de evolucion de acceso de paquetes a alta velocidad y sistemas de evolcion a largo plazo.
KR100950654B1 (ko) * 2006-03-03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043241A (zh) * 2006-03-20 2007-09-26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天线通信方法和系统
EP1999878B1 (en) 2006-03-24 2016-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MY142202A (en) * 2006-04-18 2010-10-29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h-arq in a 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51368B2 (en) * 2006-05-01 2010-07-06 Intel Corporation Providing CQI feedback to a transmitter station in a closed-loop MIMO system
WO2007136002A1 (ja) 2006-05-19 2007-11-29 Panasonic Corporation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US8098640B2 (en) * 2006-07-12 2012-01-17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redictabl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CN101512930B (zh) * 2006-08-28 2013-09-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带有可变数量波束的mimo系统中的高效cqi信令
JP5235342B2 (ja) * 2007-06-22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335910B (zh) * 2007-06-29 2012-02-2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智能天线与多输入多输出天线的复用天线系统和方法
CN101340609B (zh) * 2007-07-04 2011-10-26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广播多播业务发送方法、设备及系统
CN101102141B (zh) * 2007-08-03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输入多输出数据流数目选择方法及系统
EP4248976A3 (en) 2007-08-23 2024-04-10 Amgen Inc. Antigen binding proteins to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 kexin type 9 (pcsk9)
US7778340B2 (en) * 2007-09-06 2010-08-17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Accurate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link adaptation of MIMO communication systems
JP2009098658A (ja) * 2007-09-25 2009-05-07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069579B2 (ja) * 2008-01-30 2012-11-0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144797B2 (en) 2008-03-25 2012-03-27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QI table for wireless MIMO networks
CN102859898A (zh) * 2010-01-07 2013-01-02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执行上行链路天线发射分集的方法和设备
CN102208928B (zh) * 2010-03-29 2014-1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天线信道极化功率损失的建模方法及装置
CN102611541B (zh) * 2011-12-26 2017-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天线增益不平衡的数据重传方法及装置
EP2645653B1 (en) * 2012-03-30 2016-03-30 NTT DoCoMo, Inc. Transmission filter calculato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CN103516486B (zh) * 2012-06-19 2018-08-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矢量选择调制的多天线传输方法、接收方法和装置
US9197302B2 (en) 2013-11-21 2015-11-24 Sony Corporation MIMO communication method
WO2015094070A1 (en) * 2013-12-20 2015-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ctor selection
CN104219528B (zh) * 2014-09-09 2017-08-15 南京大学 一种支持可分级视频编码的mimo系统的视频传输方法
TWI744242B (zh) 2015-07-31 2021-11-01 德商安美基研究(慕尼黑)公司 Egfrviii及cd3抗體構築體
US11539908B2 (en) * 2017-09-29 2022-12-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Adjustable modulation coding scheme to increase video stream robustness
US10476628B2 (en) * 2017-11-27 2019-11-12 Comtech Systems Inc. Adaptive coding and modulation (ACM) transceiver system
US11558820B2 (en) 2019-11-05 2023-01-1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in new radio multicas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9986A1 (en) * 1999-10-19 2001-04-26 Nokia Networks Oy Optimising link quality by space and time interleaving
KR20030069299A (ko) * 2002-02-19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응형 변조 및 코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5434B2 (en) * 2000-09-01 2006-01-10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time diversity and spatial diversity for OFDM
JP3923263B2 (ja) 2001-01-30 2007-05-30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複合型水晶振動子及びこれを用いたオーバトーン水晶発振器
US6859503B2 (en) * 2001-04-07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transceiver for controlling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channel
US6662024B2 (en) * 2001-05-16 2003-12-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downlink resources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072413B2 (en) * 2001-05-17 2006-07-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for transmission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lective channel inversion
US7126996B2 (en) 2001-12-28 2006-10-24 Motorola, Inc. Adaptive transmission method
US7184713B2 (en) * 2002-06-20 2007-02-27 Qualcomm, Incorporated Rate control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US8179864B2 (en) * 2002-08-06 2012-05-15 Rockstar Bidco Lp Method of controlling a communications link
US6917821B2 (en) 2003-09-23 2005-07-12 Qualcomm, Incorporated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receiver processing with selection diversity
US20050250544A1 (en) * 2004-05-07 2005-11-10 Stephen Grant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selective-per-antenna-rate-control (S-PARC) techniqu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9986A1 (en) * 1999-10-19 2001-04-26 Nokia Networks Oy Optimising link quality by space and time interleaving
KR20030069299A (ko) * 2002-02-19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적응형 변조 및 코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47177A1 (en) 2005-07-07
WO2005032154A2 (en) 2005-04-07
US20080260060A1 (en) 2008-10-23
DE602004016189D1 (de) 2008-10-09
US8031801B2 (en) 2011-10-04
KR20050032278A (ko) 2005-04-07
WO2005032154A3 (en) 2005-06-16
ATE532285T1 (de) 2011-11-15
EP1668855A2 (en) 2006-06-14
ATE406743T1 (de) 2008-09-15
EP1668855B1 (en) 2008-08-27
EP1933492A1 (en) 2008-06-18
EP1933492B1 (en) 2011-11-02
CN1864379A (zh) 2006-11-15
US7929633B2 (en) 201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031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제어 방법
KR100640514B1 (ko)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스트림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955795B1 (ko) 다중-송신 다중-수신 안테나 어레이들을 이용한 무선 통신
KR101182976B1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빔형성 피드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120199B2 (en) Link adaptation for MIMO transmission schemes
JP4472757B2 (ja) 多重アンテナ送受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並び送信機及び受信機
US20090175320A1 (en) Method to Determine the Number of Data Streams to Be Used in a MIMO System
KR10071333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검출 순서 결정방법
WO2012060237A1 (ja)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KR100943610B1 (ko) 다중 시공간 블록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안테나 셔플링 정보 피드백 장치 및 방법
US8412114B2 (en) Adaptiv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multi-antenna system, correspond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signal
KR100913101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전송방법
KR100511293B1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553068B1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의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CN100583678C (zh) 多输入多输出通信系统的信号处理装置和方法
KR100550720B1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의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0063324A (ko)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 제어정보 전송채널의 프레임 구조
KR101100211B1 (ko)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KR20060005826A (ko) 송신 다이버시티 방법 및 그를 위한 안테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