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891B1 - Purifier - Google Patents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891B1
KR100993891B1 KR1020100039509A KR20100039509A KR100993891B1 KR 100993891 B1 KR100993891 B1 KR 100993891B1 KR 1020100039509 A KR1020100039509 A KR 1020100039509A KR 20100039509 A KR20100039509 A KR 20100039509A KR 100993891 B1 KR100993891 B1 KR 10099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water
cold wate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항종
이동연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102010003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8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PURPOSE: A cold and warm water tub decoupling-type water-cleaner for reducing the energy consumption is provided to operate a heater in case of using the warm water through an instant hot water tub in the case of using the warm water. CONSTITUTION: A cold and warm water tub decoupling-type water-cleaner includes a clean water filter(200), an ice tub(300), an instant hot water tub(400), an intake cork and a controller. The ice tub includes an ice bath case in which the fixed number storage is formed in inside and a cooling device which installs in order to protec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ce bath case. An ice bath inlet pipe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catenated piping and is connected through in the ice bath case so that the other end locate in the inside upper body of the ice bath case.

Description

정수기{Purifier}Water Purifi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순간 온수조를 통해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히터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온도 대역에서 히터의 반복적인 작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고, 냉수조와 순간 온수조에 서로 독립적으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접촉에 의한 세균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수 역류가 구조적으로 방지되어 냉수에 대한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냉각기 구동에 따른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More specifically, the heater operates only when hot water is used through the instantaneous hot water bath, thereby reducing energy consumption by preventing the heater from being repeatedly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and independently purifying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that prevents bacterial contamination by air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hot water backflow structurally, there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for cold water, thereby reducing energy associated with driving a cooler.

최근 들어 급격한 산업 발달로 인해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도 수질오염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여 가정에서나 관공서 등 대다수의 곳에서는 물을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음용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due to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environmental pollution is getting worse. Among these, water pollution reaches a serious level, and most places such as homes and government offices treat water as drinking water and drink it as drinking water.

이와 같이 물을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공급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도 배관 등을 통해 공급받는 원수를 정수 처리한 후 냉수 및 온수로 공급하는 정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such, a device for treating water and supplying it to drinking water is generally used as a water purifier for supplying cold water and hot water after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pipe.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and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원수가 공급되는 급수 배관(Q) 상에 원수의 공급을 개폐하도록 급수 밸브(V)가 장착되고, 이러한 급수 배관(Q)은 정수 필터(20)에 연결된다. 정수 필터(20)에는 원수에 혼입된 부유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고 냄새를 소취하며 수인성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등의 필터링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필터 장치가 선택적으로 적용되는데, 주로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프리 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중공사막 필터(UF:Ultra Filter)/역삼투압 필터(Reverse Osmosis), 포스트 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등이 사용되고 있다.The water purifier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water supply valve V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raw water on a water supply pipe Q through which raw water is supplied, and this water supply pipe Q is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20. In the water filter 20, a plurality of filter devices may be selected so that a filtering process such as removing suspended substances, deodorizing, and sterilizing bacteria causing waterborne diseases may be performed, including suspended solids mixed in raw water. Mainly applied to sediment filter, pre-carbon filter,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 reverse osmosis filter, post-carbon filter Etc. are used.

이러한 정수 필터(20)를 통과한 정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배관(P)을 통해 저장조(40)로 공급되고, 저장조(40)로부터 각각 냉수조(30)와 온수조(50)로 공급되며, 냉수조(30)와 온수조(50)는 각각 취수 배관(73)을 통해 취수 코크(70)에 연결된다. 취수 코크(70)는 냉수 취수 코크(71) 및 온수 취수 코크(72)로 각각 분리 형성될 수 있다.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ter 20 is supplied to the storage tank 4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P), as shown in Figure 1, from the cold storage tank 40 and the hot water tank 50, respectively.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30 and the hot water tank 50 is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coke 70 through the water intake pipe 73, respectively. The water intake coke 70 may be separately formed into a cold water intake coke 71 and a hot water intake coke 72.

이와 같은 정수기는 저장조(40)에 항상 정수가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취수 코크(70)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가 취수되면 저장조(40)로부터 정수가 냉수조(30) 및 온수조(50)로 보충 공급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온수조(50)에는 내부 압력 배출 등을 위해 외부 공기와 연통되는 에어 벤트(미도시)가 형성된다.Such a water purifier is always kept in a state in which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40, and in this state, if the cold water or hot water is withdrawn by the intake coke 70,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30 and the hot water tank ( 50) to have a supplemental supply. At this time, the hot water tank 50 is formed with an air vent (not shown)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ir for the internal pressure discharge.

한편,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필터(20)를 통과한 정수가 연결 배관(P)을 통해 냉수조(30)로 공급된 후 냉수조(30)로부터 온수조(50)로 연결 공급되며, 냉수조(30) 및 온수조(50)는 각각 취수 배관(73)을 통해 취수 코크(7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냉수조(30)가 저장조 및 냉수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냉수조(30)에 항상 정수가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 상태에서 취수 코크(70)에 의해 냉수 또는 온수가 취수되면, 냉수조(30)로부터 온수조(50)로 정수가 보충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 배관(P)으로부터 냉수조(30)로 물이 보충 공급된다. 이때, 온수조(50)에는 전술한 에어 벤트(미도시)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such a structure, the structure of the water purifier which is generally used, as shown in FIG. 2, after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ter 20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3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P, the cold water tank 30 )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50, the cold water tank 30 and the hot water tank 50 may be configured in a manner that is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coke 70 through the water intake pipe 73, respectively. In such a water purifier, the cold water tank 30 serves as a storage tank and a cold water tank, and the purified water is always kept in the cold water tank 30, and in this state, when cold water or hot water is taken out by the intake coke 70, cold water The purified water is replenished to the hot water tank 50 from the tank 30, and water is replenished to the cold water tank 30 from the connection pipe P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air vent (not shown) is formed in the hot water tank 50.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일반적인 정수기는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온수조(50)에 에어 벤트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온수조(50) 내부로 공기의 오염 물질이나 세균이 유입되어 온수조(50) 내부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세균의 경우 온수조(50)에서는 고온에 의해 살균 처리되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온수조(50)와 연결된 도 1의 저장조(40) 또는 도 2의 냉수조(30)는 그 내부 온도가 세균 번식에 적합한 환경이 되므로 저장조 및 냉수조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세균 오염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이 저장조 및 냉수조에서 세균에 오염된 정수는 냉수 취수 코크(701)를 통한 냉수 취수시 냉수와 함께 취수되어 사용자에게 세균 오염된 물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a general water purifier having such a structure is an air vent is formed in the hot water tank 50 for a stable operation, through which contaminants or bacteria of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tank 50 to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50. There was a problem of contamination. In particular, since bacteria are sterilized by high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50, it is not a big problem, but the storage tank 40 of FIG. 1 or the cold water tank 30 of FIG. 2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50 may have an internal temperature. Since the environment is suitable for bacterial propagation, the storage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are exposed to bacterial contamination by contact with air as it is. Thus, the purified water contaminated with bacteria in the storage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is cold water intake through the cold water intake coke 701. When water is taken with cold water, there was a problem of providing bacterial contaminated water to the user.

이러한 세균 오염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정수기에서는 그 구조상 항상 존재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저장조 또는 냉수조 등을 자주 청소하는 방법 이외에는 세균 오염을 방지를 위한 다른 대안이 없으며, 저장조 또는 냉수조 등을 자주 청소하지 않는다면 깨끗한 물을 마시기 위해 설치한 정수기로 인해 오히려 더 오염된 물을 식수로 음용하게 되는 역기능이 초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problem of bacterial contamination must always exist in the general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other alternative for preventing bacterial contamination except the method of frequently cleaning the storage tank or the cold water tank, and frequently cleaning the storage tank or the cold water tank. If not, the water purifier installed to drink clean water, rather than drinking more contaminated water drinking water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cause a dysfunction.

한편,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온수조(50)와 냉수조(30)가 서로 연통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온수조(50)가 가득 찬 경우 온수조(50)로부터 냉수조(30)로 온수 또는 수증기가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역류 현상에 의해 냉수조(30)의 냉각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hot water tank 50 and the cold water tank 30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hot water tank 50 is full, from the hot water tank 50 to the cold water tank 30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hot water or water vapor flows backward,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ld water tank 30 is significantly reduced by such a reverse flow phenomenon.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정수기는 온수조(50)에 저장된 물을 가열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히터(미도시)가 장착되고, 이러한 히터는 온수조(50)에 저장된 물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물의 온도에 따라 반복적으로 계속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온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히터가 계속 가동됨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 사용자는 히터 작동이 중단되도록 스위치를 차단한 상태로 사용하기도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히터 작동이 중단되면, 온수조 내부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세균이 왕성하게 번식하게 되며, 다시 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온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모두 가열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히터를 작동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such a general water purifier is equipped with a heater (not shown) therein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50, such a heater is a water of the water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5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temperature It is configured to continue to operate repeatedl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refore, even when substantially no hot water is used, the energy consumption increases as the heater continues to be operated unnecessarily. In order to prevent such energy consumption, some users may switch off the heater so that the heater is turned off. It is true. However, if the heater is stopped in this way,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is multiplying germs by contact with air, and if you want to use the hot water again, the heater is heated for a long time to heat all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very inefficient in that it had to work.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간 온수조를 통해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히터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온도 대역에서 히터의 반복적인 작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heater operates only when using hot water through the instantaneous hot water bath, thereby preventing the repetitive operation of the heater in a certain temperature band energy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can reduce consump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수조와 순간 온수조에 서로 독립적으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접촉에 의한 세균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수 역류가 구조적으로 방지되어 냉수에 대한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냉각기 구동에 따른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purified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o prevent bacterial contamination by air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hot water backflow structurally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ld water energ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oler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o reduce the.

본 발명은,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정수 필터; 상기 정수 필터와 제 1 연결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정수 필터로부터 상기 제 1 연결 배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며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작동하는 냉수조; 상기 정수 필터와 제 2 연결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정수 필터로부터 상기 제 2 연결 배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며 정수를 가열시키도록 작동하는 순간 온수조; 상기 제 2 연결 배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순간 온수조로 유입되는 정수의 흐름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온수 밸브;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수조 및 순간 온수조에 각각 냉수 취수 배관 및 온수 취수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취수 코크; 온수 취수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온수 선택 조작부; 및 상기 온수 선택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온수 밸브 및 순간 온수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filter for treating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 cold water tank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through a first connecting pipe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purified water filt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and operating to cool the purified water; An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ipe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filt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operating to heat the purified water; A hot water valve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operating to open or close to allow or block the flow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instant hot water tank; A water intake cok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through a cold water intake pipe and a hot water intake pipe so as to intake cold water and hot water; A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selectively operated by a user to enable hot water intak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valve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이때, 상기 급수 배관에는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승압 밸브 또는 감압 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equipped with a boost valve or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 boosting or reduc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supplied.

또한, 상기 냉수조는 내부에 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냉수조 케이스;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냉각기;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 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부 상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수조 케이스에 관통 결합되는 냉수조 입수관; 및 일단이 상기 냉수 취수 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부 하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수조 케이스에 관통 결합되는 냉수조 출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ld water tank may further include a cold water tank case having a purified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cooler mount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 cold water tank inlet pip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case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an inner upp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nd a cold water tank outlet pip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case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intake pip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an inner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또한, 상기 냉수조 케이스에는 상기 냉수조 입수관을 통해 상기 냉수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하층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별도의 분리판이 상기 냉수조 입수관의 하층에 수평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tank case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so that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d water tank case through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may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 separate separator plate may be formed horizontally in the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또한,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부 하층에는 상기 냉수조 출수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냉수 온도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may be mounted on an inner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ld water tank discharge pipe.

한편, 상기 순간 온수조는 내부에 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온수조 케이스;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상부에 연통 결합되는 온수조 입수관;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하단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면상 히터; 일단이 상기 온수 취수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하부에 연통 결합되는 온수조 출수관; 및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내부 압력 배출을 위해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온수조 에어 벤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is a hot water tank case having a purified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hot water tank inle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A planar heater mounted to be located at a low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case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intake pip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And a hot water tank air vent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case.

또한, 상기 순간 온수조에는 상기 온수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감지기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온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 water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hot water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can do.

또한, 상기 순간 온수조에는 상기 온수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수 온도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면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operation of the surface heater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온수 선택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방식으로 조작되는 온수 선택 버튼; 및 사용자에 의해 온수의 취수량이 선택될 수 있도록 조작되는 온수 용량 선택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hot water selection button operated in an on / off manner by a user; And a hot water capacity selection button operat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n intake amount of hot water.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온수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정수 가열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가열 완료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eating completion display to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purified water heating process is comple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detected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set temperature.

본 발명에 의하면, 순간 온수조 및 온수 선택 조작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온수 선택부를 통해 온수 사용을 선택 조작하는 경우에만 순간 온수조의 히터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온도 대역에서 히터의 반복적인 작동을 방지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히터를 작동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heater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operates only when the user selects and uses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selection unit, thereby preventing repetitive operation of the heater in a certain temperature band. The heater can be operated only when necessary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또한, 순간 온수조에 단위 면적당 발열량이 큰 면상 히터를 온수조 케이스의 하단면에 장착함으로써, 순간 온수조에 공급 저장되는 온수를 더욱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ounting a surface heater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per unit area in the instant hot water tan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quickly heat the hot water supplied and stored in the instant hot water tank.

또한, 별도의 연결 배관을 통해 냉수조와 순간 온수조에 각각 독립적으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접촉에 의한 세균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수 역류가 구조적으로 방지되어 냉수에 대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냉각기 구동에 따른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eparately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pipe, while preventing bacterial contamination by air contac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hot water backflow structurally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for cold water,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ve energy by driving the cooler.

또한, 급수의 유동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을 통해 냉수가 취수되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냉수조의 내부 하층으로부터 냉수가 취수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온도가 더 낮은 냉수를 취수 공급할 수 있어 냉수에 대한 냉각 효율이 상대적으로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ld water is withdrawn from the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through a structure that allows the cold water to be withdrawn through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the flow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It is relatively improved.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냉수조 및 순간 온수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조 및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부 관련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1 and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and an operating stat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ler related function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 필터에 연결된 냉수조와 온수조가 각각 별도의 연결 배관을 통해 정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됨으로써, 냉수조의 공기 접촉에 의한 세균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수 역류에 의한 냉각 효율 저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온수 사용시에만 히터가 가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불필요한 히터 작동을 방지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를 필터링 처리하는 정수 필터(200)와, 정수 필터(200)와 각각 연결되는 냉수조(300) 및 순간 온수조(400)와, 순간 온수조(400)에 대한 정수의 흐름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온수 밸브(500)와, 냉수조(300) 및 순간 온수조(500)와 각각 취수 배관(710,720)을 통해 연결되는 취수 코크(70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온수 선택 조작부(600)와, 이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각 구성요소는 별도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are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through separate connection pipes,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contamination by air contact of the cold water tank and cooling by hot water backflow.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decrease in efficiency, and also to operate the heater only when using hot water,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heater operation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The water purifier filters the flow of purified water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for filtering raw water,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Allowed or blocked hot water valve 500,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500 and the water intake cock 700 connected through the water intake pipes 710 and 720, respectively, and a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operable by the user ( 600, and a control unit 800 for controlling these operations, each of these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in a form disposed in a separate body case 100.

정수 필터(200)는 급수 배관(Q)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구성으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디먼트 필터, 프리 카본 필터, 중공사막 필터/역삼투압 필터, 포스트 카본 필터 등의 다수개 필터가 연결 설치되며, 이러한 다수개의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수가 다단계로 필터링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Water purification filter 200 is a configuration for treating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Q),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such as sediment filter, pre-carbon filter,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 reverse osmosis filter, post carbon filter A plurality of filters are connected and installed, and raw water is filtered in multiple stages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which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냉수조(300)는 정수 필터(200)와 제 1 연결 배관(P1)을 통해 연결되어 정수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가 공급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냉수조(300)에는 후술하는 별도의 냉각기(320)가 구비되어 정수 필터(200)로부터 제 1 연결 배관(P1)을 통해 유입된 정수가 냉각되도록 구성된다.Cold water tank 300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is configured to supply and store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At this time, the cold water tank 3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oler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nfigured to cool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from the water filter 200.

순간 온수조(400)는 정수 필터(200)와 제 2 연결 배관(P2)을 통해 연결되어 정수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가 공급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연결 배관(P1)과 제 2 연결 배관(P2)은 각각 별개의 배관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정수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는 각각 제 1 연결 배관(P1) 및 제 2 연결 배관(P2)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냉수조(300) 및 순간 온수조(400)에 공급된다. 또한, 순간 온수조(400)에는 순간 온수조(400)에 공급된 정수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열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가열 수단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열 효율이 우수한 면상 히터(48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어부(8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is configured to supply and store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are each composed of a separate pipe,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water filter 200, respectively,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and the second connection, respectively The pipe P2 is independently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ing means to quickly heat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this heating means is excellent in heating effici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anar heater 480 is used, which is configured such that its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800.

온수 밸브(500)는 제 2 연결 배관(P2) 상에 장착되어 순간 온수조(400)로 유입되는 정수의 흐름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데, 이는 제어부(800)에 의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water valve 500 is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to open and close to allow or block the flow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which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by the controller 800. It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olenoid valve to open and close.

취수 코크(700)는 냉수 취수 코크(701)와 온수 취수 코크(702)로 분리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취수 코크(700)는 각각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냉수 취수 배관(710) 및 온수 취수 배관(720)을 통해 각각 냉수조(300) 및 순간 온수조(400)에 연결된다.The intake coke 70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ld water intake coke 701 and the hot water intake coke 702 or may be formed in one piece, and the intake coke 700 may be cold water so as to intake cold water and hot water, respectively. The intake pipe 710 and the hot water intake pipe 720 ar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respectively.

온수 선택 조작부(600)는 사용자가 온수를 취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어부(800)는 사용자에 의한 온수 선택 조작부(600)의 조작에 따라 온수 밸브(500)의 개폐 동작 및 순간 온수조(400)의 면상 히터(48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use of hot water when the user wants to take hot water, and the control unit 8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by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ot water valve 500 and the operation of the surface heater 480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온수 선택 조작부(600)를 통해 온수 사용을 선택한 경우에만 제어부(800)에 의해 온수 밸브(500)가 개방되어 순간 온수조(400)로 정수가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면상 히터(480)가 작동되어 신속하게 정수가 가열되며, 이후 순간 온수조(400)로부터 취수 코크(700)를 통해 온수가 취수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온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순간 온수조(400)로 물을 공급한 후 신속하게 가열하여 온수가 취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달리 불필요한 히터 작동이 방지되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구조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hot water valve 500 by the controller 800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 of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furnace, and at the same time, the surface heater 480 is operated to quickly heat the purified water, and thereafter, hot water is withdrawn from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700. That is,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to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only when hot water is to be used, and then quickly heats the water to be withdrawn,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heater operation unlike the prior art. It is a structure that can save energy.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가 제 1 연결 배관(P1) 및 제 2 연결 배관(P2)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냉수조(300) 및 순간 온수조(400)에 공급되어 각각 독립적인 공간에 저장된다. 즉, 냉수조(300)와 순간 온수조(4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서로 연통되지 않는 독립적인 구조로 형성되며, 각각 온수 취수 배관(720) 및 냉수 취수 배관(710)을 통해 취수 코크(7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취수 코크(700)를 통해 냉수 또는 온수를 취수하는 경우, 냉수는 정수 필터(200)로부터 제 1 연결 배관(P1)을 통해 냉수조(300)로 유입 저장된 상태에서 냉수 취수 배관(710)을 통해 취수 코크(700)로 취수되고, 온수는 정수 필터(200)로부터 제 2 연결 배관(P2)을 통해 순간 온수조(400)로 유입된 후 온수 취수 배관(720)을 거쳐 취수 코크(700)로 취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수 또는 온수가 취수되는 정수기 구조는 냉수조와 온수조가 서로 연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되기 때문에, 냉수조(300)의 외부 공기 접촉이 차단되어 냉수조(300)의 세균 오염이 방지되므로, 온수뿐만 아니라 냉수도 세균 오염이 방지된 깨끗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having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ter 200 independently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respectively, is independently a cold water tank 300. And it is supplied to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s stored in each independent space. That is,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formed in an independent structure that does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nlike the prior art, the intake coke 700 through the hot water intake pipe 720 and the cold water intake pipe 710, respectively ). Therefore, when the user takes cold water or hot water through the intake cock 700, the cold water is stored in the cold water intake pipe in the state where the cold water flows into the cold water tank 3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from the water filter 200. 710 is withdrawn to the intake coke 700, the ho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from the water filter 200, and then through the hot water intake pipe (720) Withdrawn to 700. The water purifier structure in which the cold water or the hot water is collected through this process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without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external air contact of the cold water tank 300 to prevent bacterial contamination of the cold water tank 300. Therefore, not only hot water but also cold water can be supplied in a clean state to prevent bacterial contamination.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간 온수조(400)는 넓은 의미에서 온수조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바, 이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구조상 에어 벤트와 같은 외부 연통 수단을 통해 내부 압력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외부 연통 수단을 통해 순간 온수조(400)의 내부는 외부 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공기 접촉에 의해 순간 온수조(400) 내부에는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세균 번식 정도는 순간 온수조(400)에 온수가 상시 저장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매우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며, 또한 온수 취수시 순간 온수조(400) 내부의 온수가 가열에 의해 고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열에 의해 세균이 모두 살균 처리되므로 실질적으로 온수 취수 배관(720)을 통해 취수되는 온수에는 세균 오염이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세균 오염 문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수의 세균 오염이 문제되고 있는데, 즉, 종래 일반적인 정수기는 냉수조와 온수조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냉수조와 연통되는 별도의 저장조가 구비되기 때문에, 저장조 또는 온수조에서 발생된 세균 오염이 냉수조로 전달되어 냉수조에서 세균이 크게 번식한 상태로 냉수와 함께 취수 코크로 취수되므로, 냉수의 세균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수조(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간 온수조(400)와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 접촉에 의한 세균 오염이 냉수조(300)로 전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냉수조(300) 자체 구조 또한 외부 공기 접촉이 차단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수조(300)에는 정수 필터(200)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된 후 외부 공기와의 접촉 없이 저장되므로, 외부 이물질에 의한 오염 또는 세균 오염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a hot water tank in a broad sense,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ir vent in its structure The internal pressur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and the inside of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The germs can grow inside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by such external air contact, but the breeding degree of bacteria is only a very small level because hot water is not always stored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and also hot water Since the hot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400 at a time of intake becomes a high temperature state by heating, germs are all sterilized by heat, so that bacterial contamination is not a problem in hot water taken in through the hot water intake pipe 720. On the other hand, the bacterial contamination problem has been a problem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ld water,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at is, the conventional general water purifier because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or a separate storage tank is communicated with the cold water tank, Bacterial contamination generated in the storage tank or hot water tank is transferred to the cold water tank, so that the bacteria are taken into the intake coke together with the cold water in the state of large breeding in the cold water tank, bacterial contamination of the cold water has been a problem. However, since the cold water tank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as described above, bacterial contamination by external air contact is not transmitted to the cold water tank 300. Not only the cold water tank 300 itself structure is also the structure that the external air contact is blocked. Therefore, since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filter 200 flows into the cold water tank 300 and is stored without contact with external air, contamination or bacterial contamination by external foreign matters is fundamentally prevent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순간 온수조(400)가 냉수조(300)와 연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각각 독립적인 연결 배관(P1,P2)을 통해 정수 필터(200)와 연결되기 때문에, 순간 온수조(400)에서 발생하는 외부 공기 접촉이 냉수조(300)로 전달되지 않고 냉수조(300)의 외부 공기 접촉이 차단되어 세균 오염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온수 뿐만 아니라 냉수 취수시에도 세균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not communicated with the cold water tank 300 and is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200 through the independent connection pipe (P1, P2), respectively. Because it is connected, the external air contact generated in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s not transmitted to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external air contact of the cold water tank 300 is blocked, thereby preventing bacterial contamination, thereby not only hot water but also cold water Intake can also provide clean water that is not contaminated with bacteria.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순간 온수조(400)가 냉수조(300)와 연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순간 온수조(400)에 온수가 상시 저장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달리 그 구조상 순간 온수조(400)로부터 온수가 냉수조(300)로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냉수에 대한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되고,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 또한 가능한 구조이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formed independently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cold water tank 300 and hot water is not always stored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at all times. Unlike the prior art, in the structure thereof, a phenomenon in which hot water flows back from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to the cold water tank 300 is prevented, thereby further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for cold water, thereby saving energy.

각각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냉수조(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냉수조 케이스(310)와, 냉수조 케이스(310)에 저장된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수조 케이스(310)의 외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냉각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냉수조 케이스(310)에는 정수 필터(200)로부터 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 연결 배관(P1)과 연결되는 냉수조 입수관(330)이 장착되고, 또한 취수 코크(700)를 통해 냉수가 취수될 수 있도록 냉수 취수 배관(710)과 연결되는 냉수조 출수관(340)이 장착된다. 이때, 냉수조 입수관(330)은 일단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외부에서 제 1 연결 배관(P1)과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부 상층에 위치하도록 냉수조 케이스(310)에 관통 결합되며, 냉수조 출수관(340)은 일단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외부에서 냉수 취수 배관(7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부 하층에 위치하도록 냉수조 케이스(310)에 관통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first, the cold water tank 300,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nd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is formed therein water storage space as shown in Figure 4 and 5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oler 320 is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so as to cool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Cold water tank case 310 is equipped with a cold water tank inlet pipe 330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so that the purified water flows from the water filter 200, and also cold water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700 The cold water tank discharge pipe 34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intake pipe 710 to be withdrawn. At this time,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330 i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from the outsid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is located on the inner upp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 The cold water tank outlet pipe 340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intake pipe 710 at the outsid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inner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It is preferable to penetrate through the case 310.

이러한 구조에 따라 냉수조(300)에서는 냉수조 입수관(330)을 통해 냉수조 케이스(310)의 상층으로 정수가 입수되고 냉수조 출수관(340)을 통해 냉수조 케이스(310)의 하층으로부터 냉수가 냉수 취수 배관(710)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취수 코크(700)를 통해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할 때 더욱 에너지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즉, 일반적으로 일정 공간 내에서 유체의 대류 현상은 차가운 유체가 아래로 이동하고 따듯한 유체가 상승하는 방식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냉수조 케이스(310)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냉수가 하층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러한 대류 현상을 고려할 때, 냉수조 출수관(340)의 타단이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부 하층에 위치하는 것이 토출되는 냉수의 온도와 관련하여 더욱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old water tank 300 obtains purified water through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330 from the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through the cold water tank outlet pipe 340. Cold water is discharged to the cold water intake pipe 710.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more energy efficient when supplying cold water to the user through the intake cock 700. That is, since the convection of the fluid generally occurs in a manner in which the cold fluid moves downward and the warm fluid rises in the predetermined space, relatively cold cold water is located in the lower layer inside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Considering this convection phenomenon, it is more efficient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discharged, the other end of the cold water tank outlet pipe 340 located in the lower inn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s described above.

냉각기(320)는 냉수조 케이스(310)를 감싸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을 이루는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등이 증발기와 함께 냉매 순환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이는 냉각을 위한 일반적인 구성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냉각기(3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중앙 부위 및 하층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냉수조 케이스(310)에 저장된 냉수에 대한 냉각 효율이 냉수의 대류 현상과 조화되며 더욱 향상된다. 한편,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부 하층에는 냉수조 출수관(340)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냉수 온도 센서(36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냉각기(32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냉수조 출수관(340)으로부터 냉수 취수 배관(710)으로 토출되는 냉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온도에 따라 냉각기(320)가 작동되거나 작동 정지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동작 제어는 전술한 제어부(800)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The cooler 320 is formed in a pipe shape surrounding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nd may be generally configured as an evaporator constituting a refrigeration cycle.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side the main body case 100 of the water purifier,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with the evaporator, which corresponds to a general configuration for cooling,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oler 320 is preferably formed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rough which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Cooling efficiency is coordinated with the convection of cold water and is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360 is mou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ld water tank outlet pipe 340 in the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nd thu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ler 320 is determined. Configured to control.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col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340 to the cold water intake pipe 710 is measured in such a way that the cooler 320 is operated or stopped according to the measured temperature. It is configured to be performed by one control unit 800.

한편, 냉수조 케이스(310)에는 외주면이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별도의 분리판(350)이 냉수조 입수관(330)의 하층에 수평 배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냉수조 입수관(330)을 통해 냉수조 케이스(310) 내부 상층으로 유입된 정수가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측면을 따라 하층으로 유동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즉, 냉각기(320)가 냉수조 케이스(31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냉수조 케이스(310)의 중심 부분보다 측면 부분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으므로, 냉수조 케이스(310)로 유입된 정수가 냉수조 케이스(310)의 내측면을 따라 하향 유동하도록 분리판(350)을 장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냉각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is mount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by a predetermined separation plate 350 i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330 Preferably,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upp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through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330 flows to the lower lay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and is cooled more effectively. That is, since the cooler 32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since the side portion is relatively lower in temperature tha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the cooler 320 is introduced into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By mounting the separator plate 350 so that the purified water flows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more effective cooling performance may be exerted.

또한, 냉수조 케이스(310)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냉수조 케이스(310)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냉수 배수관(370)이 냉수조 케이스(310)에 연통 결합되고, 이러한 냉수 배수관(370)에는 냉수 배수관(370)을 개폐할 수 있는 별도의 개폐 밸브(38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수 배수관(370) 및 개폐 밸브(380)는 냉수조 케이스(310)를 청소해야 하는 경우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수조 케이스(310)를 완전히 비워야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drain pipe 37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is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such cold water drain pipe 370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valve 380 that can open and close the cold water drain pipe 370 is mounted. The cold water drain pipe 370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380 may be used when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needs to be emptied completel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such as when the cold water tank case 310 needs to be cleaned.

순간 온수조(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온수조 케이스(410)와, 일단이 제 2 연결 배관(P2)과 연결되고 타단이 온수조 케이스(410)의 상부에 연통 결합되는 온수조 입수관(420)과, 일단이 온수 취수 배관(720)과 연결되고 타단이 온수조 케이스(410)의 하부에 연통 결합되는 온수조 출수관(430)과, 온수조 케이스(410)의 내부 압력 배출을 위해 온수조 케이스(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온수조 에어 벤트(440)와, 온수조 케이스(410)의 하단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800)에 동작 제어되는 면상 히터(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has a hot water tank case 410 having a purified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and the other end of the hot water tank case. Hot water tank inlet pipe 42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410, and the hot water tank outlet pipe 43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intake pipe 720 and the oth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And, in order to discharg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and the hot water tank air vent 44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it is mounted to b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800 includes a planar heater 480 that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800.

이때, 사용되는 면상 히터(480)는 일반적인 밴드 히터(band heater)나 쉬스 히터(sheathe heater)로 대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순간 온수조(400)의 특성상 공급된 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도록 단위면적당 발열량을 고려하여 면상 히터(48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planar heater 480 used may be replaced by a general band heater or sheath heater, but per unit area so as to quickly heat the supplied wat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nar heater 480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이러한 구조에 따라 온수 밸브(500)가 개방되면 순간 온수조(400)에는 제 2 연결 배관(P2)으로부터 온수조 입수관(420)을 통해 온수조 케이스(410)로 정수가 공급된 후 면상 히터(480)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온수조 출수관(430)을 통해 온수 취수 배관(720)으로 온수가 취수 배출되는데, 이때, 온수조 출수관(430)이 온수조 케이스(410)의 하부에 연통 결합되고 온수조 케이스(410)의 바닥면에 면상 히터(480)가 장착되기 때문에, 온수조 출수관(430)을 통해 취수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는 면상 히터(480) 주변에서 더욱 상승한 형태로 취수 배출될 수 있으므로, 더욱 신속한 온수 가열이 가능하다. 즉, 온수조 출수관(430)의 입구가 면상 히터(480)와 인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온수조 출수관(430)을 통해 취수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온수조 케이스(410)에 저장된 온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지 않더라도 실질적으로 취수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는 적정 온도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취수되는 온수에 대한 실질적인 온수 가열 시간이 감소하여 신속한 온수 가열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hot water valve 500 is opene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from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to the hot water tank case 410 through the hot water tank inlet pipe 420, and then the surface heater. The hot water is collected and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intake pipe 720 through the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430 while being heated by the water 480. In this case, the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43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Since the surface is coupled in communication and the surface heater 48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take and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outlet pipe 430 is further raised around the surface heater 480 Since intake and discharge can be performed, more rapid hot water heating is possible. That is, since the inlet of the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430 is located adjacent to the surface heater 480,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take and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430 i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hot water tank case 410 Even though the stored hot water is not heated evenly as a whol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ischarged and discharged may correspon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s a result, the actual hot water heating time for the hot water taken in is reduced, thereby enabling rapid hot water heating.

한편, 이러한 순간 온수조(400)에는 온수조 케이스(410)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감지기(45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수위 감지기(4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한데, 예를 들면, 온수조 케이스(410)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가 만수인지 아닌지 여부를 감지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계별 수위를 감지하는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 감지기(450)의 형태는 온수 선택 조작부(600)의 구성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800)는 이러한 수위 감지기(450)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수위에 따라 온수 밸브(5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water level detector 450 that can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410, the water level detector 450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410 is full water,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stages.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detector 45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the control unit 800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level sensor 45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valv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순간 온수조(400)에는 온수조 케이스(410)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수 온도 센서(46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부(800)는 이러한 온수 온도 센서(460)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 면상 히터(48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460 that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410, the control unit 800 is suc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46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rface heater 48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ensed by the).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의 정수기에 대한 정수의 흐름을 도 5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먼저 급수 배관(Q)을 통해 정수 필터(200)로 정수가 공급된다. 정수 필터(200)로 공급된 정수는 정수 필터(200)에 의해 필터링 처리된 후 각각 제 1 연결 배관(P1) 및 제 2 연결 배관(P2)을 통해 냉수조(300) 및 순간 온수조(400)로 독립적으로 공급되는데, 순간 온수조(400)로의 정수 공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 선택 조작부(600)를 통해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선택 조작한 경우에만 제 2 연결 배관(P2)에 장착된 온수 밸브(500)가 개방되어 정수 공급이 진행된다. 이때, 제 1 연결 배관(P1) 및 제 2 연결 배관(P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연결 배관에 다른 하나의 연결 배관이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정수 필터(200)에 각각 연결된 전혀 다른 연결 배관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Looking at the flow of purified water for the water purifier of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5, first,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filter 20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Q).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is filtered by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and then the cold water tank 300 and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P1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P2, respectively. Independently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to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the hot water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only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 of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500 is opened to proceed with purified water supply.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ipe (P1)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P2), as shown in Figure 5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that the other connection pipe is branch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ipe, the water filter 200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completely different connecting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순간 온수조(400)와 연통되지 않는 독립적인 냉수조(300)에 저장된 정수는 냉각기(320)를 통해 냉각되며 이후 취수 코크(701)가 조작되면 냉수 취수 배관(710)을 통해 취수 코크(701)로 취수 배출되는데, 이때, 냉수조(300)로부터 취수 코크(700)를 통해 냉수가 취수 배출되는 과정은 냉수조(300)의 구조상 정수 필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의 유동 압력에 의해 취수되도록 구성된다. In this way,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independent cold water tank 300 that is no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s cooled through the cooler 320 and then the intake coke through the cold water intake pipe 710 when the intake coke 701 is operated. Intake is discharged to 701, wherein the col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cock 700 from the cold water tank 300 is the flow press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filter 200 in the structure of the cold water tank (300) It is configured to be withdrawn by.

즉, 냉수의 흐름은 취수 코크(700)가 닫힌 상태에서 원수가 급수 배관(Q) 및 정수 필터(200)를 거쳐 냉수조(300)에 계속 공급되어 냉수조(300)가 가득차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따라서 냉수조(300)에는 정수 필터(20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의 유동 압력에 의해 수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취수 코크(700)가 개방되면 이러한 수압에 의해 취수 코크(700)로 냉수가 취수 배출된다.That is, the flow of cold water proceeds in such a way that the raw water continues to be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30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Q and the water filt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intake cock 700 is closed, so that the cold water tank 300 is full. Accordingly, the water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cold water tank 300 by the flow press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filter 200, and when the water intake cock 700 is opened in this state, the water intake coke 700 is opened by the water pressure. Cold water is intake and discharged.

이러한 냉수 흐름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냉수조(300)에서 급수의 유동 압력에 의한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배관(Q) 상에 원수의 수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별도의 압력 조절 밸브(8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압력 조절 밸브(800)는 정수기를 설치한 장소에서 원수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으면 원수의 수압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승압 밸브로 적용될 수 있고, 원수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원수의 수압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감압 밸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ld water flow method,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ipe Q as shown in FIGS. 3 and 5 to adjust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flow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in the cold water tank 300. It would be desirable to be equipped with a separate pressure regulating valve 800 for boosting 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raw water. The pressure control valve 800 may be applied as a booster valve to increase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when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is relatively low in the place where the water purifier is installed, and if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is relatively high to reduce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May be applied as a pressure reducing valve.

한편, 순간 온수조(400)를 통한 온수의 흐름은 사용자에 의해 온수 사용이 선택된 경우에만 온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온수 선택 조작부(600)를 통해 온수 사용을 선택 조작하면, 제어부(8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온수 선택 조작부(6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온수 밸브(500)를 개방함과 동시에 면상 히터(480)를 작동시키며, 이를 통해 순간 온수조(400)로 정수가 공급된 후 가열된다. 이후 취수 코크(700)가 개방되면 순간 온수조(400)로부터 취수 코크(700)로 온수가 취수 배출된다. 이때, 순간 온수조(400)에서는 냉수조(300)와 달리 순간 온수조(400)에 저장된 온수의 위치 수두에 따른 수압에 의해 온수가 취수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온수조 출수관(430)이 온수조 케이스(410)의 하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온수조 케이스(410)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높이에 따라 수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취수 코크(700)가 개방되면 수압에 의해 취수 코크(700)로 온수가 취수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ow of hot water through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low of hot water occurs only when hot water use is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nd uses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the controller 800 opens the hot water valve 5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as shown in FIG. 6. At the same time operating the surface heater 480,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is heated. Thereafter, when the water intake coke 700 is opened, hot water is taken out and discharged from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to the water intake coke 700. At this time, unlike the cold water tank 300,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t water is taken in and discharged by th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head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That is, since the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4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water press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410, and in this state, the water intake cock 700 ) Is opened, hot water is taken out and discharged to the intake cock 700 by the water pressure.

이 경우 온수 선택 조작부(600)는 단순히 온수 사용을 선택하거나 선택 해제하도록 온/오프 방식으로 조작되는 온수 선택 버튼(610)만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온수 취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온수 취수량이 선택되는 방식으로 조작되는 온수 용량 선택 버튼(6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온수의 온도 등을 선택하는 온도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have only a hot water selection button 610 that is operated in an on / off manner to simply select or deselect the use of hot water, but the user can adjust the amount of hot water intake The water intake amoun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hot water capacity selection button 620 to be operated in a selected manner, in addition to the temperature button for sel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the like may be variously changed.

온수 선택 버튼(610)만 장착되어 조작되는 경우, 순간 온수조(400)에 장착되는 수위 감지기(450)는 일정 수위만을 감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형태 또는 특정 높이의 수위 여부를 감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온수 용량 선택 버튼(620)이 함께 장착되어 조작되는 경우, 순간 온수조(400)에 장착되는 수위 감지기(450)는 온수 용량 선택 버튼(620)에 의해 선택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여러 높이를 수위를 감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When only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610 is mounted and operated, the water level detector 450 mounted 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only a predetermined water level, for example, to detect whether water is full. Or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level of 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the hot water capacity selection button 620 is mounted and operated together, the water level detector 450 mounted o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may have various heights so as to detect the water level selected by the hot water capacity selection button 620. It should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detecting water level.

이와 같은 온수 선택 조작부(600)가 사용자에 의해 온수 사용 상태로 선택 조작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0)는 온수 밸브(500)를 개방하고 면상 히터(480)를 작동시키는데, 이때, 수위 감지기(450)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수위가 만수이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800)는 온수 밸브(500)를 잠금 상태로 작동시켜 순간 온수조(400)로 공급되는 온수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순간 온수조(400)에서는 면상 히터(480)에 의해 온수가 계속 가열되는데, 이때 온수 온도 센서(460)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800)는 면상 히터(48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가열 상태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취수 코크(700)를 통해 온수를 취수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is selected and operated by the user to use the hot water,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ler 800 opens the hot water valve 500 and operates the surface heater 48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or 450 is full or reaches a level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800 operates the hot water valve 500 in a locked state and supplies it to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00. To shut off the flow of hot water. In this state, in the instant hot water tank 400, the hot water continues to be heated by the surface heater 480. 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460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8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urface heater 480. As such, when the heating state is completed, the user can take hot water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700.

이러한 온수 취수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온수 선택 조작부(600)를 조작한 후 온수 가열 완료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열 완료 표시부(9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열 완료 표시부(9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 제어되도록 구성되는데, 온수 온도 센서(460)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램프(미도시)를 점멸하거나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온수 선택 조작부(600) 및 가열 완료 표시부(900)는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조작 및 인식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0)의 전면에 취수 코크(7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수 선택 조작부(600) 및 가열 완료 표시부(9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ot water intake process,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900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a hot water heating completion state after operating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desirable. The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900 is configured to be operation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800, as shown in Figure 6,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460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o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such as flashing a separate lamp (not shown) or generating a warning sound. In addition,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and the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9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water intake cock 700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case 100, as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user can be easily manipulated and recognized. Preferably,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and the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900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through one display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온수 선택 조작부(600)를 조작하고 가열 완료 표시부(900)를 통해 가열 완료 상태가 표시된 후 취수 코크(700)를 조작하여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가열 과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취수 코크(700)를 개방 조작하게 되면 온수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므로, 가열 과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취수 코크(700)가 조작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조 구속 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전기 회로적인 구성 또는 기계적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600 first in order for the user to use hot water, and then manipulates the water intake cock 700 after the heating completion state is displayed through the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900. It is configured to take hot wate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intake coke 700 is opened while the heating process is not completed,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may be relatively low, so that the intake coke 700 is not operated when the heating process is not completed. An auxiliary restraining means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which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ical circuit configuration or a mechanical configuration.

이때, 사용자가 취수 코크(700)를 통해 온수를 사용한 후, 순간 온수조(400)에 저장된 온수를 모두 사용하지 않아 순간 온수조(400)의 온수조 케이스(410)에 온수가 남아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온수조 케이스(410)에 남아있는 온수는 사용자가 다음 온수 사용시에 가열되어 취수 배출되므로 문제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온수조 케이스(410)를 완전히 비우고자 할 때 온수조 케이스(410)의 온수를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온수조 케이스(410)의 하부에는 별도의 온수 배수관(470)이 연통 결합될 수 있다. 온수 배수관(470)에는 별도의 개폐 밸브(471)가 장착되어 개폐 밸브(471)의 개폐 동작에 따라 온수조 케이스(410) 내부의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fter the user uses hot water through the intake cock 700, the hot water is not used to store all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400, so that the hot water remains in the hot water tank case 410 of the hot water tank 400. In this case, the hot water remaining in the hot water tank case 410 is not a problem because the user is heated and discharged during the next hot water use, but when the user wants to empty the hot water tank case 410 completely as needed, A separate hot water drain pipe 47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410 so that hot water of the bath case 410 may be forcedly discharged. The hot water drain pipe 470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on / off valve 471 to be configured to discharge hot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case 410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on / off valve 47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케이스 200: 정수 필터
300: 냉수조 320: 냉각기
350: 분리판 400: 순간 온수조
450: 수위 감지기 460: 온수 온도 센서
480: 면상 히터 500: 온수 밸브
600: 온수 선택 조작부 700: 취수 코크
800: 제어부 900: 가열 완료 표시부
100: body case 200: water filter
300: cold water tank 320: cooler
350: separator 400: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450: water level sensor 460: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480: surface heater 500: hot water valve
600: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700: water intake cock
800: control unit 900: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Claims (10)

급수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정수 필터;
상기 정수 필터와 제 1 연결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정수 필터로부터 상기 제 1 연결 배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며 정수를 냉각시키도록 작동하는 냉수조;
상기 정수 필터와 제 2 연결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정수 필터로부터 상기 제 2 연결 배관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며 정수를 가열시키도록 작동하는 순간 온수조;
상기 제 2 연결 배관 상에 장착되어 상기 순간 온수조로 유입되는 정수의 흐름을 허용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온수 밸브;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상기 냉수조 및 순간 온수조에 각각 냉수 취수 배관 및 온수 취수 배관을 통해 연결되는 취수 코크;
온수 취수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작되는 온수 선택 조작부; 및
상기 온수 선택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온수 밸브 및 순간 온수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수조는
내부에 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냉수조 케이스;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냉각기;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 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부 상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수조 케이스에 관통 결합되는 냉수조 입수관; 및
일단이 상기 냉수 취수 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부 하층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수조 케이스에 관통 결합되는 냉수조 출수관
을 포함하고, 상기 냉수조 케이스에는 상기 냉수조 입수관을 통해 상기 냉수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정수가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하층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이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측면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별도의 분리판이 상기 냉수조 입수관의 하층에 수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A water filter for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A cold water tank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filter through a first connecting pipe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purified water filter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pipe and operating to cool the purified water;
An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connected to the water filter through a second connection pipe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filter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operating to heat the purified water;
A hot water valve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operating to open or close to allow or block the flow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instant hot water tank;
A water intake cok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and the instant hot water tank through a cold water intake pipe and a hot water intake pipe so as to intake cold water and hot water;
A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selectively operated by a user to enable hot water intake;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valve and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Including, the cold water tank
A cold water tank case having a purified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cooler mount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 cold water tank inlet pip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case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on an inner upp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nd
Cold water tank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tank case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intake pip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inner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The cold water tank case include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so that purified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d water tank case through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may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ld water tank case to a lower layer. Separation separato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ld water tank separate typ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inlet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에는 공급되는 원수의 수압을 승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승압 밸브 또는 감압 밸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pipe is cold water tank separate typ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booster valve or pressure reducing valve for increasing or reducing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suppli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조 케이스의 내부 하층에는 상기 냉수조 출수관의 타단과 인접한 위치에 냉수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조 분리형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Cold water tank separate typ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inner lower layer of the cold water tank cas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cold water tank discharge pipe.
제 1 항, 제 2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온수조는
내부에 정수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온수조 케이스;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상부에 연통 결합되는 온수조 입수관;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하단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는 면상 히터;
일단이 상기 온수 취수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하부에 연통 결합되는 온수조 출수관; 및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내부 압력 배출을 위해 상기 온수조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온수조 에어 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5,
The instant hot water bath
A hot water tank case having a purified water storage space therein;
A hot water tank inle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A planar heater mounted to be located at a lower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case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 hot water tank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t water intake pip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tank case; And
Hot water tank air vent is formed on the top of the hot water tank case for discharg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case
Water purifie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온수조에는 상기 온수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감지기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온수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 water level detector for detecting the level of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ot water valve according to the level of hot water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온수조에는 상기 온수조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수 온도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수의 온도에 따라 상기 면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stantaneous hot water tank is equipp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cas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rface heater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선택 조작부는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 방식으로 조작되는 온수 선택 버튼; 및
사용자에 의해 온수의 취수량이 선택될 수 있도록 조작되는 온수 용량 선택 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hot water selection operation unit
A hot water selection button operated in an on / off manner by a user; And
Hot water capacity selection button operat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the amount of hot water intake
Water purifier comprising a.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수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에게 정수 가열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가열 완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water purifier further comprises a heating completion display unit which indicates to the user that the purified water heating process is complet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ensed by the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reaches a set temperature.
KR1020100039509A 2010-04-28 2010-04-28 Purifier KR100993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09A KR100993891B1 (en) 2010-04-28 2010-04-28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509A KR100993891B1 (en) 2010-04-28 2010-04-28 Purif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891B1 true KR100993891B1 (en) 2010-11-11

Family

ID=434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509A KR100993891B1 (en) 2010-04-28 2010-04-28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89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99B1 (en) * 2013-01-31 2015-01-14 변만호 Water Purifier wite Separable Temperature Sensor and Capable of Saving Electric Power
KR101510701B1 (en) *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20150109506A (en) * 2014-03-19 2015-10-02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Water container being capable of automatic inner cleaning
WO2021085923A1 (en) * 2019-10-31 2021-05-06 코웨이 주식회사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CN115415128A (en) * 2022-09-28 2022-12-02 林州致远电子科技有限公司 Heating mechanism for copper-clad plate resi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93Y1 (en) * 2004-05-14 2004-08-21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Cold and Hot Water Purifier
KR200418606Y1 (en) * 2006-03-31 2006-06-12 동양매직 주식회사 Worm watar control device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KR100849884B1 (en) * 2004-07-02 2008-08-06 조정호 Apparatus of cold and hot water which having separat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93Y1 (en) * 2004-05-14 2004-08-21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Cold and Hot Water Purifier
KR100849884B1 (en) * 2004-07-02 2008-08-06 조정호 Apparatus of cold and hot water which having separated structure
KR200418606Y1 (en) * 2006-03-31 2006-06-12 동양매직 주식회사 Worm watar control device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01B1 (en) * 2010-12-27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KR101480999B1 (en) * 2013-01-31 2015-01-14 변만호 Water Purifier wite Separable Temperature Sensor and Capable of Saving Electric Power
KR20150109506A (en) * 2014-03-19 2015-10-02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Water container being capable of automatic inner cleaning
KR101596916B1 (en) * 2014-03-19 2016-02-25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Water container being capable of automatic inner cleaning
WO2021085923A1 (en) * 2019-10-31 2021-05-06 코웨이 주식회사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US20220371878A1 (en) * 2019-10-31 2022-11-24 Coway Co., Ltd.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CN115415128A (en) * 2022-09-28 2022-12-02 林州致远电子科技有限公司 Heating mechanism for copper-clad plate res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300B1 (en) Water dispenser
RU2228909C2 (e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KR100993891B1 (en) Purifier
CN105036432A (en) Multifunctional table-board type water purifier
KR101559634B1 (en) Method for steriliz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KR101617922B1 (en) Warm water supply and sterilization device of clean water tub for supply device of water
KR20110062568A (en) Purifier with sterilizing apparatus
KR100937954B1 (en) A large capacity water purifier for a group water drinker
KR20110034950A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compressor by detecting of water temperature
KR100986823B1 (en) Cold water tank and hot water tank separated type purifier
KR100993892B1 (en) Cold water tank and hot water tank separated type purifier
KR101063982B1 (en) Power-saving drink
KR20090077460A (en) A water purifier
KR100293767B1 (en) Drinking Water and Drinking Tea Providing Device
KR101262109B1 (en) Purifier
KR101007068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by heating and device drinking water thereof
CN110754939A (en) Energy-saving direct drinking machine
KR200399773Y1 (en) Wall-mounted Ion Cold Water Purifier
CN104928097B (en) Wine cabinet
KR101063983B1 (en) Rapid Cooling Drinking Machine
CN215457349U (en) Differential pressure type quick-heating water dispenser
CN106237856A (en) The water purifier of intelligence without clear water tanks
KR20120072721A (en) Water purufi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20160137116A (en) Waste water purifying and temperature controlling apparatus for aquarium
KR20230122943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