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3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30B1
KR100987230B1 KR1020030022558A KR20030022558A KR100987230B1 KR 100987230 B1 KR100987230 B1 KR 100987230B1 KR 1020030022558 A KR1020030022558 A KR 1020030022558A KR 20030022558 A KR20030022558 A KR 20030022558A KR 100987230 B1 KR100987230 B1 KR 100987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ervice
new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625A (ko
Inventor
배범식
김대균
정정수
송준혁
장용
임내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30B1/ko
Priority to US10/822,308 priority patent/US7536176B2/en
Publication of KR2004008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방송 서비스, 방송 서비스 제어기,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 핸드오프.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BROADCASTING/MULTICASTING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전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 존에서 단말기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이동하여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 존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이전 방송 서비스 존에서 사용하던 방송 서비스 내용 정보와 동일한 정보인 경우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만으로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경우의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새로운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하는 경우의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이동 단말들이 같은 내용의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하는 방송/다중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은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중이다. 특히,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과 같은 미래 통신환경은 영상과 음성은 물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그리고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환경으로 구축되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발달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에서 단순히 음성통신만을 수행하던 차원에서 벗어나 문자 정보의 전송은 물론, 이동 단말(Mobile Station: MS)을 이용해 무선으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및 동영상등과 같은 방송/다중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라 함)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유니케스트 방식으로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그러나 방송 서비스는 동일한 트래픽을 다수의 단말기로 방송하는 개념으로 이동 단말로부터의 역방향 반환정보 없이 고속의 순방향 데이터를 단방향 송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는 개념상 일반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망 구조에서 방송서버와 이동 단말간의 통신을 제어하고, 에어 인터페이스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ido Access Network : RAN)의 일부 기능의 추가에 대한 작업이 진행중이다. 따라서 상기 방송 서버와 함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하나의 방송 서비스 제이기가 하나만으로는 사업자가 모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이는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서비스 사업자 별로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존재하게 되며, 서비스 사업자나 한 서비스 사업자 내에서도 지역등에 따라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 시스템으로 단말기가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변경된 사실을 판단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과 망에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존을 구분하기 위하여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지국에서 오버헤드 메시지를 통해 단말기로 방송 서비스 존 아이드를 전송하여 단말기가 해당 지역의 방송 서비스 존을 인지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은,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기지국에서 방송/다중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새로운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 중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 핸드오프를 알리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상기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상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은,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기지국에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새로운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 중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 핸드오프를 알리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상기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상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장치는,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가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경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메시지를 새로운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상기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들 및 방송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기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들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들과,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CDMA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순방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방송(Broadcast) 서비스를 지원한다. 특히 방송 서비스와 전용(Dedicated) 서비스를 동시(Concurrent) 서비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전용 서비스라 함은 유니캐스트로 진행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다중 서비스(이하, 방송 서비스라 함)라 함은 다수의 이동 단말로 동일한 트래픽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방송 서버(Broadcasting Service Server or Contents Server: CS)(120)는 방송 서비스를 위한 영상(Video) 및 음향(Sound)을 포함하는 방송 데이터를 압축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패킷의 형태로 생성한다.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형태의 방송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Packet Data Service Node: PDSN)(140a, 140b)을 통해 기지국들(Base Station: BS)(150a, 150b , 153c, 154d)로 전달된다.
상기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은 이동통신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ubsystem: BTS)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에 패킷 제어부(Packet Control Function: PCF)가 추가된다. 그리고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와 연결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방송 서버(120)와 이동 단말(160)간의 통신을 제어하고, 방송 서비스를 위해 에어 인터페이스(Air-Interface)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RAN)의 일부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방송 서버(120)는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만을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다수의 방송 서버(120)가 연결되어 되어 있다.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상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뿐만 아니라 사업자별이나 지역별로 다른 방송 서비스 제어기들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를 비롯한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들은 상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와 같은 망을 구성한다.
그리고 방송 서버(120)에 의하여 생성된 방송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IP 멀티캐스트(Multicast)나 IP 유니캐스트(Unicast)가 이용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서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CDMA2000 액세스 망 기술이 이용된다. 상기 IP 멀티캐스트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은 상기 방송서버(120)로부터 IP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제공받는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을 형성한다.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소속정보(Membership Information)는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 각각에 연결되는 멀티캐스트 라우터(Multicast Router: MR)(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는 IP 주소를 관리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 Domain Name System 이하, DNS이라 함)(13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방송 서버(120)에서 생성된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IP 데이터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의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게 브로드캐스팅되거나 각각의 데이터 서비스 노드들(140a, 140b)에 유니캐스팅 된다. 그리고 데이터 서비스노드들(140a, 140b)은 IP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에게 CDMA2000 액세스 망 기술을 이용하여 전달하고, 상기 기지국들(150a, 150b, 150c, 150d)은 상기 IP 데이터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송출한다.
그리고 기지국(150)은 이동 단말(160)이 위치한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을 나타내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에 관련된 정보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정보들을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다.
Field Length(bits)
BCMCS_SUPPORT 1
BCMCS_ZONE_ID 0 or 8
상기 <표 1>에서 에서 BCMCS_SUPPORT 필드는 1비트의 방송/다중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해당 셀에서 방송/다중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1"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된다. BCMCS_ZONE_ID 필드는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상기 BCMCS_SUPPORT가 "1"인 경우에만 8비트로 포함되며, 현재 방송 서비스를 제어하는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 아이디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상기 <표 1>에 정의된 상기 BCMCS_SUPPORT 및 상기 BCMCS_ZONE_ID 필드들은 상기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파라메터 메시지(Broadcast Service Parameter Message :BSPM)에 포함되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과 함께 최하단의 필드들에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ESPM(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41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 GHDM(General Handoff Direction Message), UHDM(Univeral Handoff Direction Message), ITSPM(In-Traffic System Parameter Message)등에서 메시지 포맷의 변경없이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ESPM이나 ANSI-41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는 단말기가 유휴(idle) 상태인 경우에는 순방향 페이징 채널( Forward Paging Channel : F-CH)이나 순방향 방송 제어 채널(Forward Broadcast Control Channel : F-BCCH)과 같이 오버헤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공통 채널로 전송된다. 그리고 GHDM, UHDM 또는 ISTPM은 단말이 트래픽 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트래픽 채널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이 도먼트 핸드오프 시 단말 또는 망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방송 서비스 영역 즉, 존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라 이전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 존에서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0단계에서 단말기(160)는 기지국(150)과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Origination Message 이하, ORM이라 함)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단말기(160)는 기지국(150)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한 후 패킷 서비스 노드(PDSN)(140)와 방송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Point to Point Protocol 이하, PPP라 함)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6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간에 방송 서비스를 위한 경로가 설정된다.
그러면 이동 단말(160)은 PPP 연결 과정에서 얻어진 DNS 서버(130) 정보를 이용하여 DNS 서버(130)에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215단계에서 DNS 서버(130)는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에 대한 IP 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해당 IP 주소를 전송한다.
22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수신된 IP 주소에 해당하는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를 찾아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내용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즉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225단계에서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상기 이동 단말(160)을 인증 처리(예를들어, 이동 단말(160)의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 후, 상기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는 방송 내용을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접속 키(BAK : Broadcast Access Key) 정보와 방송 접속 키 정보의 유효시간(BAK Life time), 다중 IP 주소 및 포트(port) 정보 등의 해당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방송 서버(120)를 제어하여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명령한다. 이러한 절차는 상기 2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명령에 대한 절차 및 상기 방송 서비스 서버(120)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로 방송 서비스 내용을 제공하는 절차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23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기지국(150)으로부터 오버헤드 채널로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메시지(BSPM)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파라미터 메시지는 상기 방송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정보(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 종류, 방송국 등의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 서비스 내용을 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 정보 등(이하, 방송 제공 정보라 함)이 포함된다. 그런 다음 235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기지국(150)으로 원하는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60)이 해당 방송 내용을 첫 번째로 수신하여 등록 메시지를 보낸 경우, 24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와의 경로 설정을 위해 베어러 셋업(Bearer setup)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패킷 노드(140)로 제공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반면, 해당 방송 서비스를 위한 베어러가 이미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베어러 셋업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은 절차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도중 이동 단말이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이 아닌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으로 핸드오프하는 경우의 호 절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핸드오프하는 경우의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이하,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제2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에 연결된 다수의 망 중에서 하나의 망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도 2와 같은 절차를 통해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의 존에 위치하고,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제어하에 방송 서버(120)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받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예를 들어 이동 단말(160)이 이동하여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Zone) 경계에 위치한 경우 이동 단말(160)은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와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의 신호를 모두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31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ESPM 또는 BSPM을 통해 상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아이디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도 2의 200단계와 같이 이동 단말(160)은 도먼트 핸드오프를 위한 ORM을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전송한 후 315단계 내지 316단계에서 트래픽 채널 셋업 및 PPP 셋업 절차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이동 단말(160)은 DNS(130)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의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325단계에서 DNS(130)는 상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의 IP주소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 단말(160)로 해당 IP 주소를 제공한다. 33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수신된 IP 주소를 통해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 서비스 받던 방송 서비스 내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335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부터 방송 서비스 키 유효 시간, 방송 서비스 키(BAK) 및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34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해 방송 제공 정보들을 수신한다. 그런 다음 345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송신한다. 이후 35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도 2의 240단계와 동일한 절차를 통해 방송 서버(120)와 연결된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술한 제2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존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하였을 경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등록 메시지 또는 도먼트 핸드오프를 위한 ORM의 상기 메시지에 이전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를 포함시켜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존이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이 수신하고 있던 방송 서비스 내용의 정보가 이전 방송 서비스 존에서 사용하던 정보와 동일한 경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이전 방송 서비스 존에서 사용하던 방송 서비스 내용 정보와 동일한 정보인 경우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 서비스를 받았거나, 받고 있는 상태이다. 41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 서비스 파라메터 메시지를 통해 변경된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BCMCS_ZONE_ID)를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 존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한다. 그러면 42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방송 서비스 존이 변경됨을 알리고,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를 통해 제2 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 핸드오프를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421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방송 서비스 존이 변경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이전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previous BCMCS_ZONE_ID)를 포함하는 등록 메시지를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422단계에서 새로운 기지국(150a)은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로 방송 서비스 존 핸드오프(inter-BCMCS zone handoff)지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423단계에서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는 수신된 방송 서비스 존 핸드오프(inter-BCMCS zone handoff)지시 메시지를 새로운 방송 서비스 제어기인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 및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상기 이동 단말(160)이 핸드오프함을 알 수 있다.
43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BCMCS_ID를 이용하여 망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의 변경 여부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핸드오프 결과(BCMCS Handoff Result)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31단계에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이전 방송 서비스 제어기인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로 이동 단말(160)이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서비스 아이디(BCMCS_ID)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서비스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문의한다. 이에 따라 432단계에서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응답으로 상기 문의에 대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때,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BCMCS_ID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와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부터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가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로부터 응답으로 받은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와 현재 사용중인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가 동일한 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로부터 비교 결과,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들이 동일하다라는 결과를 수신하면, 433단계에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이동 단말(160)에게 방송 서비스 내용의 변경이 없다는 응답 메시지를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로 전송한다. 그러면 434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는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수신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435단계에서 새로운 기지국(150a)은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내용 변경이 없음을 알리는 방송 서비스 핸드오프 결과 메시지를 전송한다.
44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방송 서비스 내용 변경이 없음을 인지하여 현재 가지고 있는 정보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등록(Regist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45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도 3의 350단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고, 계속해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상기 410단계에서 만약 각 이동 단말마다 PPP 연결을 유지하면서 방송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160)은 핸드오프를 나타내는 ORM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ORM 포맷은 하기 <표 2>와 같으며, 하기 <표 2>에 나타난 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필드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Field Length(bits)
BCMCS_ZONE_CHANGE_INDICATOR 1
PREV_BCMCS_ZONE_ID 0 or 8
상기 <표 2>에서 BCMCS_ZONE_CHAGE_INDICATOR 필드는 1비트의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의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이동 단말이 이전 수신한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BCMCS_ZONE_ID)와 현재 수신한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가 다른 경우 "1"로 설정하여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PREV_BCMS_ZONE_ID 필드는 0 또는 8비트의 이전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상기 BCMCS_ZONE_CHAGE_ INDICATOR가 "1"인 경우에 포함되며, 이전 방송 서비스 존 아이디로 설정한다.
한편, 동일 방송 서비스 내용에 대해 BCMCS_ID만이 변경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갱신해야할 정보량도 적고, 이동 단말이 이미 가진 정보의 대부분이 유효하므로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하기 위한 지연과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방송 서비스 제어기는 이동 단말에게 BCMCS_ID 등의 정보를 바로 전송함으로서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하여 방송 서비스 정보를 얻을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해당 방송 내용의 방송 서비스 아이디만이 변경된 경우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호 절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의 정보만으로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을 서비스 받을 수 있는 경우의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0단계 내지 520(521 단계 내지 523 단계)단계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400단계 내지 420단계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530단계에서 단말(160)은 망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예를 들어, BCMCS_ID)의 변경 여부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핸드오프 결과(BCMCS Handoff Result)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31단계에서 새로운 방송 서비스 제어기인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이전 방송 서비스 제어기인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로 이동 단말(160)이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서비스 아이디(BCMCS_ID)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 서비스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문의한다. 이에 따라 532단계에서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응답으로 상기 문의에 대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때,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는 해당 방송 서비스 내용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예를 들어, BCMCS_ID)와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부터 수신한 방송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431단계 내지 432단계와 동일하다.
상기 제1방송 서비스 제어기(110a)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가 동일하지 않다는 결과를 수신하면, 533단계에서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는 단말(160)에게 방송 서비스 내용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로 전송한다. 그러면 534단계에서 상기 새로운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40a)는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수신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535단계에서 새로운 기지국(150a)은 이동 단말(160)로 방송 서비스 핸드오프 결과(BCMCS Handoff Result)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이동 단말(160)이 수신하는 메시지는 신호 메시지로 만들 수 있으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하기 <표 3>와 같이 나타낸다.
Field Length(bits)
CHANGE_TYPE 2
Type-specific Variable
상기 <표 3>에서 CHANGE_TYPE 필드는 2비트의 어떤 파라메터가 변경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상기 CHANGE_TYPE 값이, "00", "10"일때는 예약을 나타내고, "01"일때는 변경된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나타내며, "11"일때는 방송 서비스 제어기가 관리하는 파라미터의 변경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Type-specific 필드는 가변 비트의 상기 CHANGE_TYPE값에 따라 정해지는 특정 타입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즉, CHANGE_TYPE 값이 "01"일때 32비트의 길이를 가지며, 이동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새로운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Type-specific 필드는 다른 CHANGE_TYPE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54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망으로부터 받은 파라미터 변경을 알리는 방송서비스 핸드오프 결과 메시지로부터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로의 연결이 불필요하다고 인지하여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부터 BSPM을 통해 방송 제공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등록(Registr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55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상기 도 4의 450단계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계속해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다른 한편, 이전 방송 서비스 내용이 새로운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존(영역)에서 방송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즉 방송 정보가 완전히 다른 경우에는 새로운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하여 변경된 방송 서비스 관련 정보를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보안 관련 키(key)등과 같이 전송할 데이터 정보가 많거나 또는 보안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갱신하고자 할 경우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다시 연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새로운 방송 서비스 제어기에 연결하는 경우의 호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0단계 내지 630단계는 도 5의 500단계 내지 530단계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며, 64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도먼트 핸드오프를 위한 ORM을 새로운 기지국(150a)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65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도 3의 315단계의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355단계의 베어러 셋업 과정까지의 절차를 동일하게 수행한다. 이후, 660단계에서 이동 단말(160)은 제2방송 서비스 제어기(110b)의 제어 하에 해당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들에 각각 고유의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부여하여 이동 단말이 위치한 셀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변경 및 방송 서비스 파라미터 유효성 및 방송 서비스의 변경 등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발명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방송 서비스 제어기들에 각각 고유의 방송 서비스 아이디를 부여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셀에서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의 변경 및 방송 서비스 파라메터 유효성 및 방송 서비스의 변경 등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과 트래픽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미리 결정된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기지국에서 방송/다중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새로운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 중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 핸드오프를 알리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상기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상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미리 결정된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기지국들을 통해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기 이동 단말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이전 기지국으로부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미리 저장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기지국에서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새로운 기지국을 통해 적어도 두개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 중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 핸드오프를 알리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상기 판단한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상기 이전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에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재 연결이 필요한 경우,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방송/다중 서비스를 요청하고 채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프로토콜 셋업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새로운 기지국과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와 연결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미리 결정된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받는 중에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가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와 다른 경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포함하는 등록메시지를 새로운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상기 새로운 기지국으로 상기 미리 저장된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위한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새로운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들 및 방송 제공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상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패킷 데이터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이 요청한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에 대한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기 연결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존 아이디들을 가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들과,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 및 상기 방송 제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는,
    상기 이동 단말로 현재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전의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의 비교 결과가 동일한 경우, 현재 방송 중인 방송/다중 서비스에 대한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비교 결과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요구하여 변경된 존의 방송/다중 서비스 제어기로부터 새로운 방송/다중 서비스 관련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30022558A 2003-04-10 2003-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87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58A KR100987230B1 (ko) 2003-04-10 2003-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10/822,308 US7536176B2 (en) 2003-04-10 2004-04-12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558A KR100987230B1 (ko) 2003-04-10 2003-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25A KR20040088625A (ko) 2004-10-20
KR100987230B1 true KR100987230B1 (ko) 2010-10-12

Family

ID=33128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558A KR100987230B1 (ko) 2003-04-10 2003-04-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36176B2 (ko)
KR (1) KR1009872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3524A (ja) * 2018-09-13 2020-03-1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配信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1936B2 (en) * 2001-08-20 2004-05-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handoff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KR100651427B1 (ko) * 2003-09-09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시 방송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7912485B2 (en) * 2003-09-11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U2005241847B2 (en) * 2004-05-07 2008-10-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ervice using broadcast zone identif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11226A (ko) * 2004-07-29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핸드오버 지원방법
US8570880B2 (en) * 2004-08-05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in a wireless multiple-access communications system
JP4544967B2 (ja) * 2004-10-28 2010-09-1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CN100370883C (zh) * 2004-11-12 2008-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对广播多播业务用户进行寻呼的方法
CN100355316C (zh) * 2005-03-26 2007-12-12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广播多播区域管理的实现方法
ATE445950T1 (de) * 2005-05-23 2009-10-15 Alcatel Lucent Rsvp-protokollerweiterung zur unterstützung von oam-funktionen
JP5312724B2 (ja) * 2005-05-27 2013-10-0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基地局装置及び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4781719B2 (ja) * 2005-05-31 2011-09-28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CN100574334C (zh) * 2005-09-09 2009-12-23 华为技术有限公司 Ppp接入终端实现自动业务发放的方法
CN100454819C (zh) * 2006-06-19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服务实现方法
KR100836028B1 (ko) * 2006-12-08 2008-06-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35035B1 (ko) * 2007-01-05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멀티캐스트 및브로드캐스트 서비스 채널 신청과 삭제 및 변경을 위한장치 및 방법
US20090154386A1 (en) * 2007-12-18 2009-06-18 Tricci So Wimax multicast broadcast services (mbs) efficient handover and power saving support for intra and inter-mbs zones
WO2009115912A2 (en) * 2008-03-21 2009-09-24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utilizing spatial multiplexing
WO2009132255A2 (en) * 2008-04-24 2009-10-29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inter-mbs-zone performance issues using mbs service groups
US9007927B2 (en) * 2009-04-13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Handing off an access terminal during a multicast sess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90037636A1 (en) * 2016-02-17 2019-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location registration-related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757A (ko) * 2000-10-24 2002-05-03 구자홍 Cdma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US20030054807A1 (en) * 2001-09-17 2003-03-20 Liangchi Hsu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53431A1 (en) 2001-09-10 2003-03-20 Lila Madour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9621B2 (ja) * 1997-05-12 2004-05-24 株式会社東芝 ルータ装置、データグラム転送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6198406B1 (en) * 1998-02-12 2001-03-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edictable upper bound for a channel search time of a portable subscriber unit
JP2974019B1 (ja) * 1998-08-26 1999-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処理方法及びこれが書き込まれた記憶媒体
US7480272B2 (en) * 2001-04-02 2009-01-20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oft handoff in IP-based CDMA networks by IP encapsulation
US8068832B2 (en) * 2001-11-19 2011-11-29 Nokia Corporation Multicast session handover
KR100532263B1 (ko) * 2001-12-29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방송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126127B2 (en) * 2002-01-16 2012-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broadcast service information
US8959230B2 (en) * 2002-01-28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for broadcast/multicast services
US7177658B2 (en) * 2002-05-06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MB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TWI475829B (zh) * 2002-08-07 2015-03-01 Intel Corp 支援多媒體廣播及多播服務之頻道切換
KR20050013451A (ko) * 2003-07-28 200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US7212122B2 (en) * 2003-12-30 2007-05-01 G2 Microsystems Pty. Ltd. Methods and apparatus of meshing and hierarchy establishment for tracking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757A (ko) * 2000-10-24 2002-05-03 구자홍 Cdma 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
US20030053431A1 (en) 2001-09-10 2003-03-20 Lila Madour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30054807A1 (en) * 2001-09-17 2003-03-20 Liangchi Hsu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3524A (ja) * 2018-09-13 2020-03-19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配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25A (ko) 2004-10-20
US20040203816A1 (en) 2004-10-14
US7536176B2 (en)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다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4903901B2 (ja) 無線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接続のハンドオ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0582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서비스 방법
US7616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663417B1 (ko) 단말의 이동성에 따른 멀티미디어/멀티캐스트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장치
JP4382804B2 (ja) セルラ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間を移動するユーザ装置用のマルチメディア放送/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mbms)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RU2299526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остояния для услуги широковещания/мультивещания в мобиль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US200301346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 broadcast service by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63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ptimization dur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session requests
US7065062B2 (en) Mobile IP mobility management at dormant hand-over in CDMA IP-based cellular packet-data network
KR20050083637A (ko) Mbms 포인트 대 포인트(ptp)와 포인트 대 멀티포인트(ptm)간의 채널 변경 방법
US20070153728A1 (en) Method of cell-swit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38448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무선 제어 장치, 이동 단말기, 및 메시지 송신 방법
US20060183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MBMS
US2008001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39683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optimization dur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session requests
KR20060121817A (ko) Srnc를 이용하여 채널 종류를 문의하는 방법
KR200500082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갱신 방법
US20070153721A1 (en) Method of transferring session information between access n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66135A (ko) WCDMA망에서 cdma 2000 1x 망으로 핸드오프를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8884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 관리 방법
KR1005571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 검색 방법
KR10058444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접속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489200B1 (ko) 패킷 서빙 노드 간의 도먼트 핸드오프 제어 방법
CA2340577C (en) Mobile ip mobility management at dormant hand-over in cdma ip-based cellular packet-dat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