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506B1 - A voice recognition system - Google Patents

A voice recogni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506B1
KR100986506B1 KR1020080080817A KR20080080817A KR100986506B1 KR 100986506 B1 KR100986506 B1 KR 100986506B1 KR 1020080080817 A KR1020080080817 A KR 1020080080817A KR 20080080817 A KR20080080817 A KR 20080080817A KR 100986506 B1 KR100986506 B1 KR 10098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voice
user
databas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2241A (en
Inventor
노현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506B1/en
Publication of KR2010002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5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선택받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outputs voice signals of functions capable of receiving and operating a voice signal to a user in a set order, and receives one of the selected voice signals promised by the user. To the technology of choi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하는 안내부; 상기 음성신호들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및 상기 선택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Such a voice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unit for outputting voice signals of operable functions in a setting order; A voice signal processor which receives a selected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analyzes the voice signal during output of the voice signal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ice signal.

음성, 인식, 메뉴, 목차, 목록 Voice, recognition, menu, table of contents, list

Description

음성인식 시스템{A VOICE RECOGNITION SYSTEM}Voice recognition system {A VOICE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통해 기기를 동작시키는 음성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recognition system for operating a device through voice recognition.

일반적으로 음성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전달한 음성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음성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전자장치의 기능을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시스템이다.In general, a voice recognition system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inputs a voice signal transmitted by a user, recognizes the voice signal, and automatically operates a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그러나 종래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음성인식 시스템에 기 저장된 기능 즉, 음성인식으로 동작 가능한 기능을 미리 인지하고 있어야만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음성인식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능에 대한 음성신호를 전달받고 이에 대한 인식에 실패할 경우 음성신호의 입력을 재차 요구하는 방법 외에는 보조적인 대응방안이 없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voice recognition system can deliver the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to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only if the user already knows a func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that is, a function capable of operating the voice recognition.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oice recognition system has no supplementary countermeasure except for the method of requesting the input of the voice signal again when the voice signal for the func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the recognition fails.

본 발명은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 시 또는 음성인식의 실패 시 음성인식으로 동작 가능한 기능들을 음성신호로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안내해주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선택받는 음성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guides the user to a voice signal functions that can be operated by voice recognition when a user selects or fails a voice recognition in a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selects any one of these by receiving a promised voice signal from the user.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안내 순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음성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preset the guide sequence of the operable functio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안내 순서를 사용자의 사용빈도순서에 따라 재배치할 수 있는 음성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oice recognition system capable of rearranging the guide sequence of the operable function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하는 안내부; 상기 음성신호들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및 기 선택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Voice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unit for outputting voice signals of the operable functions in the order of setting; A voice signal processor which receives a selected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analyzes the voice signal during output of the voice signals; And a controller for opera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lected voice signal.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에 안내되고 있는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또는 상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이전에 안내된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동작시킨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being guided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o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previously guided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voice signal is received. .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 또는 이에 따른 동작명령신호가 더 구축되며, 상기 안내부는 사 용자로부터 상기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별도의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버튼을 입력받은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특정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생성되는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한다.Meanwhile, the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is further constructed in the data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uide unit receives a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from a user. When received, a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generated when a separat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button is input or whe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oice signal does not exist by receiving a specific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searching the database. If one of the cases is received,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are output in a setting ord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동작제어신호 목록 및 상기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이 함께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ist of operation control signal lists corresponding to functions capable of receiving and operating the voice signals and a database in which voic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are constructed togeth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설정 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순서 선택부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order selector which receives the setting order from a user and stores the setting order in the databas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검색한 기능들의 순서를 설정 기간 별로 집계하여 많이 검색된 순서대로 상기 설정 순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우선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riority setting unit which stores the setting order in the databas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search by counting the order of the functions searched by the control unit for each setting period.

한편 본 발명은 음성인식에 실패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정보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반영된 상기 업그레이드된 데이터베이스를 전달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user's voice signal and the output order of the functions stored in the databas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outputs the user's voice signal and the functions stored in the database from the information center It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upgraded database reflecting the order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음으로써 선택받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성인식 시스템에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어떠한 기능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도 상기 기능들의 목록을 음성신호를 통해서 안내받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voice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voice signals of functions capable of operating by receiving a voice signal to a user in order of setting and receives any one of them by receiving a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what functions are stored i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that can receive and operate the voice signal, the list of functions is guided through the voice signal, and thus, any one of them can be selected and used.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일반적인 음성인식에 실패할 경우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상기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능을 선택받는다. 따라서 음성인식 실패에 따라 보조적인 음성인식을 다시 수행하므로 음성인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in the order of setting as a supplementary means when the general voice recognition fails, and receives a specific function from the user. Therefore, the auxiliary voice recognition is performed again according to the failure of the voice recognit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the voice recognition.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상기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들이 늦게 안내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기능선택에 따른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that can be operated in the order set by the user to reduce the waiting time according to the user's function selection that occurs as the functions mainly used by the user are guided late. Provide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은 상기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안내 순서를 사용자의 사용빈도순서에 따라 재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들이 늦게 안내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기능선택을 위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aiting time for the user function selection caused by the user is mainly guided by the function of the user by rearranging the guide sequence of the oper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To prov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specific details for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0), 안내부(20), 순서 선택부(30), 음성신호 처리부(40), 제어부(50) 및 우선순위 설정부(60), 통신부(7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10, a guide 20, an order selector 30, a voice signal processor 40, a controller 50, and a priority setter ( 60), communication unit 70, and the like.

데이터베이스(10)에는 상기와 같이 음성인식 시스템(100)이 탑재된 오디오 장치, 휴대폰 등의 전자장치(200)에서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응되는 각각의 동작제어신호 및 상기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이 함께 구축된다. 기능이란 오디오 장치 등의 동작 가능한 기능들 예컨대, 오디오 모드, 라디오 모드 등의 기능을 지칭할 수 있고, 휴대폰에 저장된 사람의 이름을 지칭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이 사람의 이름으로 이루어질 경우 기능의 동작은 상기 이름의 출력 및 이에 따른 동작(통화연결 등)을 의미한다.Each operation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functions capable of receiving and operating the voice sig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such as an audio device or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database 10. Voic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are constructed together. The function may refer to an operable function such as an audio device, for example, an audio mode, a radio mode, or the like, or may refer to a name of a person stored in a mobile phone. Here, when the function is made of a person's name,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means the output of the name and an operation (call connection, etc.) accordingly.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10)에는 "라디오 모드" 및 상기 "라디오 모드"에 해당하는 음성신호(예컨대 wav 파일)와 동작제어신호가 함께 구축되며 "홍길동" 및 상기 "홍길동"에 해당하는 음성신호(예컨대 wav 파일)와 동작제어신호가 함께 구축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0)에는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 예컨대 "시작", "동작", "스캔"에 해당하는 음성신호 및 이에 따른 동작명령신호가 더 구축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10)에는 후술하는 순서 선택부(30) 또는 우선순위 설정부(60)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가 저장된다.For example, in the database 10, a voice signal (for example, a wav file) corresponding to the "radio mode" and the "radio mode" and an operation control signal are constructed together, and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ong gil dong" and the "hong gil dong". (E.g., wav file) and operation control signals are built together. The database 10 further includes a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request for outputting a function voice signal, for example,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start”, “operation” and “scan”, and an operation command signal according thereto. The database 10 stores the output order of the functions set by the order selector 30 or the priority setting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안내부(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0)에 기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별도의 스피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0)에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녹음 모드가 저장되어 있고 오디오 모드가 1번, 라디오 모드가 2번, 녹음 모드가 3번의 순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안내부(20)는 오디오 모드, 라디오 모드, 녹음 모드의 순서대로 각 음성신호를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guide unit 20 outputs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by using a separate speaker (not shown) or the like in the setting order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order of the functions previously stored in the database 10. For example, when the radio mode, the audio mode, and the recording mode are stored in the database 10, and the audio mode is set to 1, the radio mode to 2, and the recording mode to 3, the guide unit 20 is set to audio. Each audio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order of mode, radio mode and recording mode.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0)에는 특정 음성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가 더욱 세분화되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악"이라는 음성신호를 전달할 경우 이는 사용자가 라디오 또는 오디오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0)는 음악이라는 음성신호에 따라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가 하위분류로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악"이라는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음성인식에 실패할 경우 후술하는 안내부(20)가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녹음 모드를 다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만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base 10 may be constructed by further dividing the mode according to a specific voice sig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transmits a voice signal of "music",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listens to music using radio or audio, and the database 10 determines that the radio mode and the audio mode are divided into subclasses according to the voice signal of music. Stored. Therefore, when the user fails to recognize the voice using a voice signal called "music", the guide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may not selectively guide the radio mode, the audio mode, and the recording mode. Can be.

여기서 상기 안내부(20)는 상기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또는 별도의 음성신호 출력버튼을 입력받은 경우에 해당하면 동작(기능들의 음성신호를 설정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행위)한다. 즉 상기 안내부(20)는 후술하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사용자로부터 음성인식 대기모드에서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 예컨대 "시작", "동작", "스캔"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으면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이러한 사실을 전달받고 동작하거나, 별도의 음성신호 출력요청버튼을 입력받으면 이러한 사실을 전달받고 동작한다. Here, the guide unit 20 operates when the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is received or when a separate voice signal output button is input (operating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according to the setting order). Output). That is, the guide unit 20 is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voice recognition standby mode from the user, a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tart request for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uch as "start", "action", "scan" When one is input,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receives the facts and operates, or when a separate voice signal output request button is received, the facts are received and operated.

한편 순서 선택부(30)는 키버튼(미도시), 터치스크린(미도시)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기능들의 음성신호 출력 순서(출력 순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10)에 설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현재 데이터베이스(10)에 설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 출력 순서를 보여주고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음성신호 출력 순서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표시부(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der selector 30 is provided with a key button (not shown), a touch screen (not shown), etc. and receives a voice signal output order (output rank) of the functions from the user and sets it in the database 1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user the voice signal output order of the functions currently set in the database 10 and can further provide a display unit (not shown) so that the user can reset the voice signal output order.

한편 음성신호 처리부(4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신호(사용자가 직접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입력한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등의 음성신호),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능들의 음성신호를 설정 순서에 따라 출력하라는 음성신호) 및 선택 음성신호(출력한 음성신호들 중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음성신호)를 전달받고 이를 신호처리함으로써 분석한다.On the other hand,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requests a specific voice signal (voice signals such as "radio mode" and "audio mode" input by the user directly to use the corresponding function) from the user, and requests to start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user). A voice signal for outputting the received voice signals according to a set order and a selected voice signal (voice signal selected from the user among the output voice signals) are received and analyzed by signal processing.

이를 위해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정크기로 증폭된 음성신호인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변환부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이를 단어 또는 문장으로 생성하는 생성부 등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includes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and generating a voice signal,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a predetermined size, and a predetermined size input from the amplifier. An A / 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which is an amplified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 generator for analyzing the voice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input from the A / D converter and generating the word or sentence. It includes.

즉,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4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신호 예컨대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 또는 "MP3 모드" 등을 입력받아 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의 동작요청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고 이를 제어 부(50)로 전달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40)는 상기 특정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동작할 수 있는 기능이 "MP3 모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0)에서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라디오 모드", "오디오 모드"의 음성신호가 잠음이 심해 불명확하여 음성인식에 실패할 경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안내부(20)로 전달하게 된다.That is,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basically receives a specific voice signal such as a "radio mode", an "audio mode", or an "MP3 mode" from a user, and outputs an operation request signal of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A function of searching at 10 and transferring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50 is included. However,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may not operate in a database 10 such as the "MP3 mode" or the "radio mode" or "audio mode" received from the user. When the voice signal is unclear due to severe lock, the voice recognition fails, and generates a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guide unit 20.

따라서 본 발명의 안내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거나, 별도의 음성신호 출력요청버튼을 입력받으면 동작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음성인식 실패신호에 의해 생성된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전달받고 동작하기도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안내부(20)를 일반적인 음성인식에 실패했을 때 음성신호 즉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하고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아 결국 음성인식을 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활용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20)는 사용자가 음성인식에 실패한 특정 음성신호 예컨대 "음악"에 따라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10)에서 상기 "음악"에 해당하는 기능들의 음성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by receiving a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or operates by receiving a separate voice signal output request button, as described above. The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generated by the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is also received and operated. When the guide uni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ails in general voice recognition, it outputs a voice signal, that is, voice signals of functions that can be received and operated in a set order, and receives any one of them, and eventually performs voice recognition. To use as a means. Here, the guide unit 20 outputs voice signals of functions according to a specific voice signal, for example, "music," which fails to recognize a voice, in order of setting. The voice of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music" in the database 10 is output. Only signals can be selectively guided.

한편 제어부(50)는 상기 안내부(20)와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에 안내되고 있는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또는 상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이전에 안내되는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에 대한 동작제어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0 is interlocked with the guide unit 20,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that is guided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or is guided before the time of receiving the selection voice signal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is retrieved from the database 10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예를 들어 안내부(20)가 라디오 모드에 이어 오디오 모드를 안내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 예컨대 "중지"라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50)는 오디오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을 동작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안내부(20)가 라디오 모드에 이어 오디오 모드를 안내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 예컨대 "중지"라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오디오 모드의 직전에 안내한 라디오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을 전자장치(200)에서 동작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guide unit 20 receives a selected voice signal, for example, a voice signal "Stop", which is promised by the user while guiding the audio mode following the radio mode, the controller 5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audio mode. Operate.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guide unit 20 receives a selected voice signal, for example, a voice signal of "stop", from the user while the guide unit 20 guides the audio mode following the radio mode, the controller 50 immediately before the audio mode. The electronic device 200 opera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o mode guided to.

여기서 상기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모드의 중간지점의 묵음 시점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음성신호 예컨대 "중지"라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어부(50)는 라디오 모드에 해당하는 기능을 동작시킨다.Herein, when the user selects a voice signal such as "stop" from the user at the time of silence between the radio mode and the audio mode, the controller 50 opera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adio mode.

한편 우선순위 설정부(60)는 상기 제어부(50)가 검색한 기능들의 순서를 설정 기간 별로 집계하여 많이 검색된(검색 빈도) 순서대로 상기 설정 순서를 데이터베이스(10)에 자동으로 재설정한다.Meanwhile, the priority setting unit 60 automatically resets the order of the functions searched by the controller 50 for each setting period and automatically resets the setting order to the database 10 in the order of frequent search (search frequency).

한편 통신부(70)는 이동통신모듈 등으로 구비되어, 음성인식에 실패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와,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음성인식 시스템(100)이 설치된 차량번호 등을 정보센터(300)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70 is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tc., the output order of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failed in voice recognition and the database stored in the database 10,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The installed vehicle number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300.

이에 상기 정보센터(미도시)는 상기 전달받은 실패한 사용자의 음성신호,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를 재설계 즉 인식 로직을 개선하거나 기능들의 출력순서를 재배치하여 다시 상기 통신부(70)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formation center (not shown) redesigns the database 10 according to the received audio signal of the failed user and the output order of the stored functions, that is, improves the recognition logic or rearranges the output order of the functions. By transmitting to 70), the user's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can be upgraded.

이하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동작을 실시예1과 실시예2로 나누어 설명한다. 실시예1은 일반적인 음성인식에 실패한 경우 보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First, the ope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Embodiment 1 shows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uxiliary means when the general voice recognition fails.

한편 실시예2는 음성인식에 실패한 경우가 아니라 초기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또는 별도의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버튼을 입력받은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the case that the voice recognition has failed, but the case of receiving the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from the user initially or a separat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button It shows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실시예1에 따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1)Example 1

우선 순서 선택부(3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들의 출력 순서를 미리 입력받는다(S100).First, the order selector 30 receives an output order of functions from a user in advance (S100).

음성신호 처리부(4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분석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이 데이터베이스(10)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S102).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receives and analyzes a specific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searches whethe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exists in the database 10 (S102).

이어서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신호가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되면 해당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를 동작시킨다(S103).Subsequently, when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is searched in the database 10,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searches f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function in the database 10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200 (S103). .

이어서 음성신호 처리부(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신호가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신호가 불명확 하여 처리 불능일 경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생성한다(S104).Subsequently,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generates a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when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is not retrieved from the database 10 or when the voice signal input by the user is unclear and cannot be processed (S104).

이어서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에 구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 중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106).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receives a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and outputs a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among voice signals of functions constructed in the database 10 (S106).

이어서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108).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has received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first voice signal (S108).

여기서 상기 S108에서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으면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S110).In operation S108, when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the electronic device may search f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in the database 10.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200 is operated (S110).

그러나 상기 여기서 상기 S108에서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지 않았다면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에 구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 중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112).However, if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in S108, the guide unit 20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and receives a database ( The voice signal of the second order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constructed in step 10) is output (S112).

이어서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114).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receives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second voice signal (S114).

여기서 상기 S108에서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으면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S116). In operation S108, when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second voice signal, the electronic device may search f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oice signal in the database 10.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200 is operated (S116).

그러나 상기 여기서 상기 S114에서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지 않았다면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에 구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 중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118).However, if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second voice signal in step S114, the guide unit 20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and receives a database ( A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constructed in step 10) is output (S118).

이어서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120).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receives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third voice signal (S120).

여기서 상기 S114에서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으면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S122).In operation S114, when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the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is searched in the database 10 for the electronic device.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200 is operated (S122).

그러나 상기 여기서 상기 S114에서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지 않았다면 상기 안내부(20)는 사용자에게 더 이상의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음성신호는 존재하지 않음을 안내한다(S123).However, if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in S114, the guide unit 20 informs the user that there are no voice signals of further operable functions. (S123).

이어서 우선순위 설정부(60)는 상기 제어부(50)가 검색한 기능들의 순서를 설정 기간 별로 집계하여 많이 검색된 순서대로 상기 설정 순서를 데이터베이스(10)에 재배치하여 이를 이후 상기 안내부(20)의 출력 시 참조하도록 한다(S124).Subsequently, the priority setting unit 60 aggregates the order of the functions searched by the control unit 50 for each setting period and rearranges the setting order in the database 10 in the order of a large number of searching. Reference to the output (S124).

(실시예2)Example 2

도 3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100)의 실시예2에 따른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순서 선택부(3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들의 출력 순서를 입력받는다(S200).First, the order selector 30 receives an output order of functions from a user (S200).

이어서 안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를 전달받거나, 또는 별도의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버튼을 입력받아(S201), 데이터베이스(10)에 구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 중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202).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receives a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from the user, or receives a separat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button (S201), which is built in the database 10.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is output (S202).

이어서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204).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has received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first voice signal (S204).

여기서 상기 S108에서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으면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S206).In operation S108, when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the electronic device may search f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in the database 10.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200 is operated (S206).

그러나 상기 여기서 상기 S204에서 상기 첫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지 않았다면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에 구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 중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208).However, if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has not been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first order in S204, the guide unit 20 receives the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and the database ( A voice signal of the second order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constructed in step 10) is output (S208).

이어서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210).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has received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second voice signal (S210).

여기서 상기 S204에서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으면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S212).In operation S204, when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second order, the electronic device may search f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of the second order in the database 10.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200 is operated (S212).

그러나 상기 여기서 상기 S210에서 상기 두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지 않았다면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로부터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0)에 구축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 중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214).However, if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second voice signal in step S210, the guide unit 20 receives a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from the voice signal processor 40 and receives a database ( A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among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constructed in step 10) is output (S214).

이어서 상기 안내부(20)는 음성신호 처리부(40)가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216).Subsequently, the guide unit 20 determines whether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40 has received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third voice signal (S216).

여기서 상기 S210에서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았으면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에 해당 하는 기능에 따른 동작명령신호를 데이터베이스(10)에서 검색하여 전자장치(200)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S218).In operation S210, when the selected voice signal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is searched in the database 10 for the electronic device.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200 is operated (S218).

그러나 상기 여기서 상기 S210에서 상기 세 번째 순서의 음성신호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약속된 선택 음성신호를 입력받지 않았다면 상기 안내부(20)는 사용자에게 더 이상의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음성신호는 존재하지 않음을 안내한다(S219).However, in this case, if the selected voice signal promised by the user is not inputted during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of the third order in S210, the guide unit 20 informs the user that there are no voice signals of further operable functions. (S219).

이어서 우선순위 설정부(60)는 상기 제어부(50)가 검색한 기능들의 순서를 설정 기간 별로 집계하여 많이 검색된 순서대로 상기 설정 순서를 데이터베이스(10)에 재배치하여 이를 이후 상기 안내부(20)의 출력 시 참조하도록 한다(S220).Subsequently, the priority setting unit 60 aggregates the order of the functions searched by the control unit 50 for each setting period and rearranges the setting order in the database 10 in the order of a large number of searching. Reference to the output (S220).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a limited configuration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peech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의 실시예1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 시스템의 실시예2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음성인식 시스템으로서,As a voice recognition system, 동작 가능한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스피커를 통해서 설정 순서대로 출력하는 안내부;A guide unit for outputting voice signals of operable functions in a setting order through a speaker; 상기 음성신호들의 출력 중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분석하는 음성신호 처리부; 및A voice signal processor which receives a selected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analyzes the voice signal during output of the voice signals; And 상기 선택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 음성인식 시스템.And a controller for opera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oice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에 안내되고 있는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 또는 상기 선택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이전에 안내된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음성인식 시스템.And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being guided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voi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or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previously guided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voice signal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는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동작제어신호 목록 및 상기 기능들에 각각 대응되는 음성신호들이 함께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 음성인식 시스템.And a database in which a list of motion control signals corresponding to functions capable of receiving and operating the voice signals and a database in which voic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are constructe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요청 음성신호 또는 이에 따른 동작명령신호가 더 구축되며,The database further includes a request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a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or an operation command signal according thereto. 상기 안내부는 The guide portion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에 해당하는 음성신호를 전달받은 경우,When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별도의 기능음성신호 출력개시요청버튼을 입력받은 경우, 또는 When a separate function voice signal output start request button is input, or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특정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생성되는 음성인식 실패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기능들의 음성신호들을 설정 순서대로 출력하는 음성인식 시스템.When a user receives a specific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searches a database and receives a voice recognition failure signal generated when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voice signal does not exist, the voice signals of the functions are set in the order of setting. Voice recognition system to output.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설정 순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순서 선택부를 더 포함한 음성인식 시스템.And a sequence selector which receives the setting sequence from a user and stores the set sequence in a database.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음성인식에 실패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정보센터로 전달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능들의 출력순서와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반영된 업그레이드된 데이터베이스를 전달받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 음성인식 시스템.The order of output of the function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who has failed the voice recognition, and transmit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output order of the functions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from the information center Voice recognition system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n upgraded database reflecting personal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제어부가 검색한 기능들의 순서를 설정 기간 별로 집계하여 많이 검색된 순서대로 상기 설정 순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우선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한 음성인식 시스템.And a priority setting unit for accumulating the order of the functions searched by the control unit by setting periods and storing the setting order in the database in the order of searching.
KR1020080080817A 2008-08-19 2008-08-19 A voice recognition system KR100986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17A KR100986506B1 (en) 2008-08-19 2008-08-19 A voice recogni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817A KR100986506B1 (en) 2008-08-19 2008-08-19 A voice recogni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41A KR20100022241A (en) 2010-03-02
KR100986506B1 true KR100986506B1 (en) 2010-10-07

Family

ID=4217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817A KR100986506B1 (en) 2008-08-19 2008-08-19 A voice recogni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5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15B1 (en) * 2013-07-03 2014-08-26 주식회사 싸이들 Apparatus for registering/executing voice command using user voice database and method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694A (en) * 2000-08-11 2002-02-20 Mitsubishi Motors Corp Device for voice manipulation operation by voice
KR20050017885A (en) * 2003-08-11 2005-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voice command recognize apparatus of speaker adaptability and method thereof
KR20060109865A (en) * 2006-10-11 2006-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694A (en) * 2000-08-11 2002-02-20 Mitsubishi Motors Corp Device for voice manipulation operation by voice
KR20050017885A (en) * 2003-08-11 2005-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voice command recognize apparatus of speaker adaptability and method thereof
KR20060109865A (en) * 2006-10-11 2006-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241A (en)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01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ybrid speech recognition processing
JP6811758B2 (en) Voice interaction methods, devices, devices and storage media
US20190027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multi-modal, multi-device natural language voice services environment
KR102108500B1 (en)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22834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grated, multi-device natural language voice services system
US11373645B1 (en) Updating personalized data on a speech interface device
KR10122117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tending the voice vocabulary of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8019606B2 (en)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a software application via speech
KR20170103801A (en) Headless task completion within digital personal assistants
EP2587478A2 (en) Speech recognition repair using contextual information
KR2019004290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oice signal
US8224656B2 (en) Speech recognition disambiguation on mobile devices
US815527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ne hav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US9570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voice recognition employing multiple voice-recognition techniques
EP154471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method
KR201300823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ser function by voice recognition
KR10182029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device in vehicle
WO2009114035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active speech recognition
US11176934B1 (en) Language switching on a speech interface device
KR102060775B1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voice input
KR20140112364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69303B1 (en) Modifying spoken commands
JP2014513828A (en) Automatic conversation support
CN111048091B (en) Voice recognition method, voice recognition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126087A1 (en) Method and systems for information retrieval during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