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257B1 -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257B1
KR100984257B1 KR1020067000764A KR20067000764A KR100984257B1 KR 100984257 B1 KR100984257 B1 KR 100984257B1 KR 1020067000764 A KR1020067000764 A KR 1020067000764A KR 20067000764 A KR20067000764 A KR 20067000764A KR 100984257 B1 KR100984257 B1 KR 10098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thentication
music
program
lis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4291A (ko
Inventor
히로유키 킥코지
노조무 오쿠자와
준 모리야
신스케 야마시타
야스히로 무라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3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7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accumul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송 콘텐츠에 관한 리스트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시킬 경우에, 복잡한 키 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정보 서버(2)는 단말장치(1)로부터의 일자ㆍ시간대 등의 검색 키에 의거하여, 그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를 단말장치(1)에 송신한다. 단말장치(1)는 수신한 악곡 리스트를 표시부(1a)에 표시시킨다. 이때, 악곡 리스트와 함께, 그 전후의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 리스트를 각각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을 표시해 둔다. 사용자는 악곡 리스트 내의 악곡에 대한 선택 조작으로부터 일련의 조작으로 지시 항목을 선택할 뿐, 다른 화면으로 돌아가는, 혹은 검색 조건을 재지정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전 또는 후의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를 표시시킬 수 있다.
표시장치, 리스트 정보, 검색 키, 지시 항목, 악곡 리스트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취득하는 통신장치, 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방법 및 표시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의 검색을 요구해서 취득하고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장치, 표시방법 및 표시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FM 방송 등의 방송국은, 일반적인 방송과 함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Web사이트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혹은 방송 예정인 악곡의 곡명이나 아티스트명의 리스트를 Web사이트 상에서 공개하는 서비스가 알려져 있다. 방송을 시청한 사용자는, 방송된 악곡 중에서 마음에 드는 악곡이 있었을 때에, 이러한 Web사이트에 액세스하여, 방송된 일시나 프로그램명 등을 지정함으로써, 그 악곡의 곡명이나 아티스트명 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CD 샵 등에서 그 악곡이 들어간 음악 CD(Compact Disc)를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라디오방송의 수신이 가능한 가정 내의 오디오기기나 휴대형 정보처리단말 등에,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액세스하여 악곡정보를 취득하고 표시하는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고안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오디오기기에서 수신중인 라디오방송에서 방송되고 있는 악곡이 마음에 들었을 경우, 오디오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 오디오기기가 서버에 액세스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기기는 그 악곡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과거에 방송된 악곡의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등에, 사용자가 오디오기기 상에서 일자나 시간대를 지정하고, 이 지정에 따라 서버 측에서 검색된 악곡이나 그 리스트 등의 정보를 오디오기기가 수신하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도 고안되고 있다.
또, 종래의 관련기술로서, 검색 조작을 간단하게 하고, 검색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한 이하와 같은 검색장치가 있었다. 이 검색장치는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설명문을 검색수단에 의해 기억매체로부터 검색하여, 해당 검색어의 일람표를 표시한다. 그리고, 그 일람표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설명문을 검색하여, 그 설명문을 표시한다. 이 설명문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가 특정 입력부에 대하여 입력 조작을 하였을 때는, 표시수단의 표시를 설명문의 표시로부터, 검색어의 입력을 위한 표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10-105569호 공보(단락번호[0021]∼[0026], 도 1)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서버에 대하여, 일자나 시간대를 지정하여 악 곡이나 그 리스트를 검색시킬 경우에는, 검색 결과로서 해당하는 악곡의 정보가 얻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송된 시간대를 사용자가 잘못 기억하고 있었을 경우 등에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만, 그때에는 당연히, 시간대나 일자 등의 검색 키를 변경해서 다시 서버에 송신한다. 이러한 조작은, PC에서는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디오기기나 휴대형의 정보단말 등에서는, 보통 PC 등과 비교하여 입력 키의 수가 적고, 문자입력 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는 점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방송 콘텐츠에 관한 리스트 정보를 검색해서 표시시킬 경우에, 복잡한 키 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콘텐츠에 관한 리스트 정보를 검색해서 표시시킬 경우에, 복잡한 키 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콘텐츠에 관한 리스트 정보를 검색해서 표시시킬 경우에, 복잡한 키 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한 표시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회선을 통해서 취득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로부터 이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특정하는 검색 키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검색 키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일부의 리스트 정보와, 이 일부의 리스트 정보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송신수단은, 예컨대 외부의 정보 서버에 대하여,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로부터 이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특정하는 검색 키를 송신한다. 수신수단은, 검색 키의 송신처로부터, 이 검색 키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검색 키와 합치하는 프로그램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더하여, 이 프로그램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여도 좋다. 그리고, 표시수단은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검색 키에 따른 리스트 정보를 표시한다. 이와 함께, 이 리스트 정보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 항목을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수단에 표시된 리스트 정보를 선택하는 조작과 일련의 조작으로 지시 항목을 선택하고, 표시되고 있는 리스트 정보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서는, 송신한 검색 키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리스트 정보와, 이 일부의 리스트 정보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 항목을 표시수단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된 리스트 정보를 선택하는 조작과 일련의 조작으로 지시 항목을 선택하고, 표시되어 있는 리스트 정보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지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시장치는, 사용자에 대하여, 예컨대 검색 키를 재지정하기 위한 스텝으로 돌아가기 위한 등의 복잡한 키 조작을 행하지 않고, 그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방송국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프로그램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은 방송국 서버를 검색해서 클립하는 처리시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에서의 화면표시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검색 개시로부터 검색 방법이 선택될 때까지의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시간대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프로그램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단말장치에 있어서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시간대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와 방송국 서버 사이의 정보검색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12는 프로그램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와 방송국 서버 사이의 정보검색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제1순서도이고,
도 13은 프로그램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단말장치와 방송국 서버 사이의 정보검색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제2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5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6은 디렉토리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7은 포털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8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19는 판매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0은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1은 클라이언트 단말 및 포털 서버 사이의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고,
도 22는 클라이언트 단말 및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 사이의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고,
도 23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고,
도 24는 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고,
도 25는 라디오 방송정보(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1)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고,
도 26은 라디오 방송정보(나우 온에어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2)를 도시하는 시퀀스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원리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우선, 이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말장치(1)와, 정보 서버(2)가 네트워크(3)를 통해서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단말장치(1)는 정보 서버(2)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a)나, 표시부(1a)에 있어서의 표시 항목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장치(1)는 예를 들어, FM 라디오 등의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1c) 등을 구비해도 좋다. 이 단말장치(1)로서는, 예를 들어, 오디오기기 혹은 PDA 등의 휴대형 정보처리기기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단말장치(1)는 튜너(1c)에 의해 방송을 수신해서 음성이나 화상 등을 출력하는 기능과, 방송의 일자나 시간대 등의 검색 조건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지정하여 정보 서버(2)에 대하여 검색을 요구하고, 검색 결과의 정보를 수신해서 표시부(1a)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정보 서버(2)는 소정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된 악곡에 관한 정보나, 방송된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등이 축적된 데이터베이스(DB)(2a)와, 이 DB(2a)를 검색하는 검색 엔진(2b)을 구비한다. 정보 서버(2)는 단말장치(1)로부터 송신된 검색 조건을 이용하여, DB(2a)로부터 소정의 악곡이나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나 그 리스트를 추출하고, 단말장치(1)에 송신한다. 또, 단말장치(1) 및 정보 서버(2)는 네트워크(3)를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통신 인터페이스(I/F)를 공통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는 단말장치(1)를 이용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방송된 악곡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이 있으면, 방송된 일자나 시간대 등을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해서 검색하고, 정보 서버(2)로부터의 검색 결과를 표시부(1a)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의도하지 않은 검색 결과가 얻어졌을 경우, (예를 들어, 방송된 일자나 시간대 등을 사용자가 잘못 기억하고 있어서, 목적한 것으로 생각되는 악곡의 정보가 얻어지지 않았을 경우 등), 검색 조건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다.
여기서, 정보 서버(2)로부터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단말장치(1)에 있어서의 화면(1d)에는, 검색에 의해 얻어진 정보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 리스트로서는, 예를 들어, 지정된 일자에 방송된 프로그램의 리스트나, 각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말장치(1)는 화면(1d)에 대하여,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된 범위보다 시간적으로 이전의 리스트 및 이후의 리스트의 표시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지시 항목을 동시에 표시한다. 단말장치(1)는, 예를 들어, 지정한 시간대의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악곡 리스트를 표시하였을 경우, 지정된 시간대보다 하나 이전 및 하나 이후의 시간대의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 혹은, 지정된 시간대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그 전회에 방송된 악곡 및 다음 회에 방송되는 악곡의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을, 지정된 시 간대에 있어서의 악곡 리스트와 함께 표시해 둔다. 또한, 단말장치(1)는, 지정된 일자에 방송된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표시하였을 경우, 그 일자의 전일 및 후일의 방송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항목을 표시해 둔다.
사용자는 표시된 악곡이나 프로그램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부(1b)의 예컨대 상하 2개의 방향 키를 조작함에 의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확정함으로써, 단말장치(1)에 대하여 예컨대 더욱 상세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장치(1)는 이 정보를 예컨대 정보 서버(2)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사용자는, 표시된 악곡이나 프로그램의 리스트에 원하는 것이 없었을 경우, 단말장치(1)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키를 사용한 일련의 조작에 의해, 이전의 리스트 또는 이후의 리스트의 표시를 위한 지시 항목을 선택하고 확정함으로써, 선택한 지시 항목에 따른 이전의 리스트 또는 이후의 리스트를 다시 표시시킬 수 있다.
단말장치(1)는, 이전의 리스트 또는 이후의 리스트의 표시를 위한 지시 항목이 선택되어 확정되었을 때, 정보 서버(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일자나 시간대 등의 검색 조건을, 전회보다 하나 이전 또는 이후의 것으로 다시 고쳐 지정해서 재검색을 요구하고, 이 정보 서버(2)로부터 새로운 검색 결과를 판독하여 표시하면 좋다.
혹은, 단말장치(1)는, 검색 결과를 수신할 때에, 그때의 검색 조건으로부터 시간적으로 이전 및 이후의 조건을 사용한 검색 결과를 항상 동시에 수신해 두고, 이때의 검색 조건과 합치하는 정보만 표시부(1a)에 표시하고, 이전 및 이후의 조건을 사용한 검색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해 둔다. 그리고, 단말장치(1)는, 이전의 리스트 또는 이후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 항목이 선택되어 확정되면, 그 지시 항목에 따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해 둔 정보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1a)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단말장치(1)는 이전의 리스트 및 이후의 리스트의 표시를 위한 항목을 검색 결과의 리스트와 함께 표시하고, 예를 들어, 이 리스트의 선택으로부터의 일련의 동작으로 사용자에 대하여 항목을 선택 가능한 상태로 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시스템은, 오디오기기나 휴대형 정보처리기기 등, 문자입력이 불가능하고 적은 입력 키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은 기기에 있어서도, 단말장치(1)와 마찬가지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용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1실시예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악곡 또는 악곡집합에 관한 정보를 2차 기억장치에 보존(보관)하는 처리를 클립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클립에 의해 보존된 정보를 클립 정보라고 부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장치(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각종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30)는 예컨대 인터넷이다. 서버로서는,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 버(32), 음악분배 서버(33), CD 샵 서버(34), 인터넷 라디오 서버(35), 통합 서비스 서버(36) 등이 있다.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는 시판되고 있는 음악 CD에 수록되어 있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앨범 타이틀 등을 분배하는 서비스를 행한다.
방송국 서버(32)는 FM 방송이나 텔레비전(TV) 방송 등의 방송국(37)이 관리하는 서버이며, 방송되는 악곡이나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의 제공 서비스(나우 온에어)를 행한다.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제공되는 관련정보에는, 각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또는 방송 예정인 악곡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방송국 서버(32)는 예컨대 원하는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또는 방송 예정인 악곡의 리스트나, 각 악곡에 관한 악곡명, 아티스트명, 이 악곡이 수록된 CD 앨범의 명칭이나 식별 ID 등의 정보를 검색해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방송된 혹은 방송 예정인 악곡의 리스트를 온에어 리스트라고 부르기로 한다.
음악분배 서버(33)는 악곡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악곡 데이터)를 분배하는 서비스를 행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음악분배 서버(33)는 악곡의 구입 수속을 행한 사용자의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악곡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음악분배 서버(33)는 분배할 악곡의 관련정보나, 시험 청취용의 음성 데이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CD 샵 서버(34)는 음악 CD의 통신 판매를 위한 주문 접수 등을 행하는 서버이다. CD 샵 서버(34)는 시험 청취용의 음성 데이터 등의 분배 서비스나, 판매하고 있는 CD에 수록된 악곡의 관련정보의 제공 서비스도 행한다.
인터넷 라디오 서버(35)는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통합 서비스 서버(36)는 네트워크(30)를 통한 서비스의 제공 창구(포털 사이트)로서 기능하고, 상기 각 서버 등을 사용한 각종 통합 서비스의 제공을 중개한다. 예를 들어, 통합 서비스 서버(36)는 방송되고 있는 악곡의 관련정보의 분배원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어,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를 단말장치(10)에 분배한다. 또한 통합 서비스 서버(36)는 수신지역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방송국의 콜 사인을 단말장치(10)에 분배한다. 또한, 통합 서비스 서버(36)는 상기한 각종 통합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등록 수속이나, 이용시의 인증 수속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30)상의 악곡 또는 악곡집합에 관한 정보의 제공 서비스를 행하고 있다. 즉, 각 서버가 네트워크(30)상의 악곡 또는 악곡집합의 소스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음악분배 서버(33)와 CD 샵 서버(34)는 악곡구입 가능 서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장치(10)를 조작해서 악곡구입 가능 서버에 액세스하면, 네트워크(30)를 통해서 실제로 악곡이나 악곡의 집합을 구입할 수 있다. 단말장치(10)의 사용자는 음악분배 서버(33)에 대하여 구입 수속을 행함으로써, 음악분배 서버(33)로부터 악곡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의 사용자는 CD 샵 서버(34)에 대하여 구입 수속을 행함으로써, 음악 CD를 자택에 택배로 받을 수 있 다.
단말장치(10)는 CD(29a), MD(Mini Disc)(29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21) 등의 기록매체에 로컬상의 악곡 또는 악곡의 집합의 소스를 보유하고 있다. 또, CD(29a)와 MD(29b)는 가반형의 기록매체이며,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어떤 로컬 소스가 준비될지는, 단말장치(10)의 종류, 목적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안테나(26)를 통해 방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로컬상의 악곡 또는 악곡집합의 소스는 일례이다. 즉, 단말장치(10)는, 이 단말장치(10)의 로컬에 존재하는 기록매체이면, 이러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악곡 또는 악곡집합을 기록함으로써, 그 기록매체를 로컬 상의 악곡 또는 악곡의 집합의 소스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클립한 관련정보(클립 정보)를 기억하는 클립 정보 기억장치(21a)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 정보 기억장치(21a)는 단말장치(10)의 2차 기억장치이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는 HDD(21) 등의 기억영역의 일부를 클립 정보 기억장치(21a)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 단말장치(10)는 클립을 악곡에 대해서도 악곡집합에 대해서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음에 드는 악곡이 다수 포함된 FM 프로그램, CD 앨범 등에 대해서는 통째로 클립함으로써, 1회의 클립 동작으로 마음에 드는 악곡집합의 관련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3은 방송국 서버(32)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방송국 서버(3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2a)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32a)에는, 버스(32g)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32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32c), 그래픽 처리부(32d), 입력 인터페이스(I/F)(32e), 및 통신 인터페이스(I/F)(32f)가 접속되어 있다.
RAM(32b)에는, CPU(32a)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의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32b)에는, CPU(32a)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HDD(32c)에는, OS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HDD(32c)에는, 단말장치(10)에 대하여 제공하는 음성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그래픽 처리부(32d)에는, 디스플레이(32h)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처리부(32d)는 CPU(32a)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화상을 디스플레이(32h)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입력 인터페이스(32e)에는, 키보드(32i)와 마우스(32j)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2e)는 키보드(32i)나 마우스(32j)로부터 보내져 오는 신호를 버스(32g)를 통해 CPU(32a)에 송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2f)는 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32f)는 네트워크(30)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상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처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3에는, 방송국 서버(32)의 하드웨어 구성을 대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서버도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장치(10)는 악곡의 재생 기능을 가지는 오디오기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도 4는 단말장치(1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과 같은 외관을 하고 있다. 단말장치(10)는 장치 본체(10a), 스피커(25a, 25b) 및 리모트 콘트롤러(40)로 구성된다. 장치 본체(10a)에는, CD의 재생기능, MD의 녹음재생기능, 및 FM 방송이나 TV 방송의 수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10a)에서 생성한 음성신호가 스피커(25a, 25b)에 보내짐으로써, 스피커(25a, 25b)로부터 소리가 출력된다.
또한, 장치 본체(10a)에는, 디스플레이(17)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7)에는, 재생중인 악곡의 악곡정보나, 클립에 의해 보존된 클립 정보 등이 표시된다.
리모트 콘트롤러(40)는 장치 본체(10a)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입력장치이다. 리모트 콘트롤러(40)에는 복수의 조작 키가 설치된다. 리모트 콘트롤러(4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키가 눌러지면,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수단에 의해, 눌러진 조작 키에 따른 신호를 장치 본체(10a)에 송신한다.
조작 키로서는, 방향 키(41a∼41d), 결정 키(42), 펑션 선택 키(43a∼43c), 툴 키(44), 되돌림 키(45) 등이 있다.
방향 키(41a∼41d)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7)에 표시된 커서나, 포커스가 맞춰지는 장소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4개의 방향 키(41a∼41d)는 각각 상, 하, 좌, 우 각각의 방향에 대응하고 있고, 눌러진 방향 키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커서 등이 이동한다.
결정 키(4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7)에 표시된 내용을 확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펑션 선택 키(43a∼43c)는 기능의 선택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3개의 펑션 선택 키(43a∼43c)는 각각 통합 서비스 이용 기능, 튜너 기능, 로컬 컨텐츠 관리 기능에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펑션 선택 키가 눌러지면, 장치 본체(10a)는 눌러진 펑션 선택 키에 대응하는 기능의 동작 모드가 된다.
툴 키(44)는 디스플레이(17) 상에 툴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툴 메뉴 내에는, 디스플레이(17)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에 따른 커맨드가 표시된다. 단말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방향 키(41a∼41d)를 조작하여 임의의 커맨드가 선택되고, 또한 결정 키(42)가 눌러지면, 선택된 커맨드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되돌림 키(45)는 디스플레이(17)의 표시 내용을 직전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버튼이다.
또, 리모트 콘트롤러(40)에는, 도 4에 도시한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조작 키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조작 키로서는, 음량조절 키, CD나 MD의 재생 키, 정지 키 등이 있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단말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단말장치(10)에 의해, 악곡 등의 여러 가지 소스를 관리, 기록,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은 기동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단말장치 (10)의 전체의 제어, 연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30)를 통한 통신 동작,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 동작, 미디어로부터의 콘텐츠 재생이나 클립 조작, HDD(21)에의 콘텐츠 기억이나 그것을 위한 관리, 클립 정보 등에 의거한 네트워크(30)를 통한 정보 검색 등을 행한다. 또, 본 실시예의 단말장치(10)가 대응하여 기록재생 가능한 컨텐츠 데이터로서는, 오디오의 콘텐츠 데이터나 동영상의 콘텐츠 데이터이다. CPU(11)는 버스(12)를 통해 각 회로부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ROM(Read Only Memory)(13)은 CPU(11)가 실행해야 할 동작 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나, 각종 연산 계수,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또한, RAM(Random Access Memory)(20)에는, CPU(11)가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이 전개된다. 또한, RAM(20)은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15)는 단말장치(10)의 케이스에 설치된 조작 키나 조그 다이얼, 터치 패널 등의 각종 조작자 등을 가진다. 또, 단말장치(10)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조작을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가 조작 입력부(15)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조작 입력부(15)에서 입력된 정보는 입력 처리부(1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고, CPU(11)에 대하여 조작 커맨드로서 전송된다. CPU(11)는 입력된 조작 커맨드에 응답한 기기로서의 동작이 얻어지도록, 소정의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표시 처리부(16)에는, 디스플레이(17)로서, 예컨대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가 접속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7)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CPU(11)가 각종 동작 상태나 입력 상태, 통신 상태에 따라 표시 정보를 표시 처리부(16)에 공급하면, 표시 처리부(16)는 공급된 표시 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17)에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7)에는, 서버 등으로부터 분배된 악곡정보의 내용이나, 클립 정보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7)에는, 네트워크(30)를 통한 악곡의 검색이 행해졌을 경우, 검색 결과가 표시된다.
미디어 드라이브(19c 및 19d)는 가반형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악곡 등의 콘텐츠를 기록, 재생(기록매체에 의해 재생만 하는 경우도 있다)할 수 있는 드라이브이다. 또, 미디어 드라이브(19c 및 19d)의 각각이 기록 또는 재생가능한 기록매체의 종류는 1종류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미디어 드라이브(19c 및 19d)는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디어 드라이브(19c)가 CD, DVD(Digital Versatile Disc)의 재생을 행하고, 미디어 드라이브(19d)가 MD의 기록재생을 행한다.
또, 악곡 등의 콘텐츠를 기록하는 가반형의 기록매체로서는, CD, DVD 등의 광학적인 기록매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록매체로서는, 콘텐츠를 저장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 기록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플래시 메모리의 리더라이터가 버스(12)에 접속된다.
사용자는 미디어 드라이브(19c, 19d)에, 임의의 콘텐츠가 기록된 기록매체(CD, DVD, MD 등)를 삽입하고, 리모트 콘트롤러(40)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악곡을 감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40)를 조작 하고, 미디어 드라이브(19c)에 의한 재생 지시를 행하면, CPU(11)는 미디어 드라이브(19c)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 드라이브(19c)는 장전되어 있는 기록매체로부터, 지정된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판독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판독된 콘텐츠가 오디오 콘텐츠일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CPU(11)의 처리에 의해 디코드 처리 등이 실행된 후, 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 전송된다. 오디오 출력 처리부(24)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이퀄라이징 등의 음장 처리나 음량조정, D/A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스피커부(25)로부터 출력한다. 또, 스피커부(25)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복수의 스피커(25a, 25b)로 구성되어, 스테레오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드라이브(19c 및 19d)에서 재생된 콘텐츠는 CPU(11)의 제어에 의해, HDD(21)에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서 축적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 이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형식으로서는, CD 포맷에 있어서의 샘플링 주파수 44.1 KHz, 16 비트 양자화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콘텐츠는 HDD(21)의 용량을 절약하기 위하여, 소정 방식에 따라 압축 처리가 실행된 형식의 압축 오디오 데이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압축 방식은 어떻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ATRAC(Advanced TRansform Acoustic Coding, 상표) 방식이나 MP3(MPEG Audio Layer-3)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튜너부(27)는 예를 들어, AM·FM 라디오 튜너로 하고, CPU(11)의 제어에 의거하여 안테나(26)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복조한다. 물론, 튜너부(27)는 텔레비전 튜너나 위성방송 튜너, 디지털 방송 튜너 등으로서의 튜너이어도 좋다. 복조된 방송 음성신호는 오디오 출력 처리부(24)에 있어서 필요한 처리가 실행되어, 스피커부(25)로부터 방송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통신 처리부(22)는 CPU(11)의 제어에 의거하여 송신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는 통신 처리부(22)에서 인코드된 송신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외부 네트워크 대응 기기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 대응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통신 처리부(22)에 인도한다. 통신 처리부(22)는 수신한 정보를 CPU(11)에 전송한다. 네트워크(30)를 통해 수신하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FM 방송 등으로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악곡정보나, CD 등의 타이틀에 포함되는 악곡의 정보 등이 있다.
적외선 통신부(28)는 리모트 콘트롤러(40)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수단으로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적외선 통신부(28)는 리모트 콘트롤러(40)로부터 보내진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고, CPU(11)에 대하여 조작 커맨드로서 전송한다. CPU(11)는 입력된 조작 커맨드에 응답한 기기로서의 동작을 얻을 수 있도록,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또, 단말장치(10)의 구성은 이 도 5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양하게 고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1394, Bluetooth 등의 통신방식에 의한 주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에 의해 네트워크(30)를 통해 다 운로드한 오디오의 콘텐츠나, 상기 USB, IEEE1394 등의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되어 온 오디오의 콘텐츠에 관해서도, HDD(21)에 대하여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에는, 마이크로폰이나 외부의 헤드폰의 접속에 사용할 수 있는 단자나, DVD 재생시에 대응하는 비디오 출력단자, 라인 접속단자, 광디지털 접속단자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단말장치(10)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슬롯, 메모리카드 슬롯 등이 형성되어,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나 오디오기기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모듈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프로그램 모듈은 단말장치(10)에 실행시키는 처리를 기술한 정보이며, 프로그램 모듈에 의거하여 단말장치(10)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을 그 프로그램 모듈의 명칭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6은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은 OS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말장치(10)는 각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에 의해,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음악분배 서버(33), CD 샵 서버(34), 통합 서비스 서버(36), 인터넷 라디오 서버(35), 그 밖의 각종 서버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메시지 프로그램(111)은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CD 샵 서버(34) 및 통합 서비스 서버(36) 등의 각종 서버와의 사이의 교환을 HTTP 통신으로 행하는 것이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은 통합 서비스 서버(36) 등과 각종 통신을 행하는 통신 모듈이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의 상위(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가까운 기능)에는, 콘텐츠의 코덱을 해석해서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모듈(113), 저작권 보호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저작권 보호정보 관리 모듈(114)이 위치한다. 콘텐츠 재생 모듈(113)의 상위에는, 인터넷 라디오의 선국 및 재생을 행하는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118)이 설치된다. 저작권 보호정보 관리 모듈(114)의 상위에는, 악곡구입 및 시험 청취 곡의 재생을 주관하는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이 설치된다.
그들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118),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의 상위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브라우저(151)가 설치된다. XML 브라우저(151)는 각종 서버로부터 보내지는 XML 파일의 내용을 해석하고, 디스플레이(17)에 대하여 화면표시를 행한다. 또한, 단말장치(10)가 통합 서비스 이용 모드인 때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에 대해 행한 입력 내용은 XML 브라우저(151)에서 해석된다. 그리고, XML 브라우저(151)로부터 다른 모듈에, 입력 내용에 따른 처리 요구 등이 건네진다. 예를 들어, XML 브라우저(15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은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에서 구입되고,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를 통해 HDD(21)에 기록된다.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에는, 라이브러리(130)의 인증 라이브러리(131)가 접속되어 있다. 인증 라이브러리(131)는 통합 서비스 서버(36)나 그 밖의 각종 서버의 인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의 상위에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 및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가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은 HDD(21)에 구축된 각종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한다.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은 HDD(21)에 저장된 콘텐츠에 액세스한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는 HDD(21)에 저장된 콘텐츠를 관리한다.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의 상위에는,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 및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이 설치된다.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은 라디오국이 방송한 악곡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명 등을 디스플레이(17)에 표시한다.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은 라디오국을 선국하거나, 이 라디오국에서 수신한 악곡의 콘텐츠를 HDD(21)에 녹음하거나 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AudioUI)(152)를 통해 선국된 라디오국에서 수신한 악곡은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을 통해 HDD(21)에 기록된다.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은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에 의해 현재 라디오국이 방송하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이나 아티스트명 등을 관련정보로서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 방송국 서버(32) 등으로부터 HTTP 메시지 프로그램(111)을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것을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152)를 통해 디스플레이(17)에 표시한다.
또,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152)를 통해 디스플레이(17)에 표시한 관련정 보는 라이브러리(130)의 클립 라이브러리(132)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관련정보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을 통해 HDD(21)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로서는, CD를 재생하기 위한 CD 재생 모듈(141)과, HDD(21)를 재생하기 위한 HDD 재생 모듈(142)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CD 재생 모듈(141)이나 HDD 재생 모듈(142)은 CD나 HDD로부터의 재생 결과를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24) 및 스피커부(25)를 통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단말장치(10)를 사용한 클립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말장치(10)에서는, 단말장치(10) 내의 각 기억매체나, 네트워크(30) 상에 존재하는 악곡이나 악곡집합에 대해서, 그들에 관한 정보를 클립하고 클립 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클립의 처리는, FM 방송 등의 방송 수신중에, 방송되고 있는 악곡에 관한 관련정보를 대응하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취득하는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는 30초라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중인 방송국에 대응하는 방송국 서버(32)에 액세스하고, 최신의 관련정보(이미 방송된 또는 방송예정인 악곡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클립 조작을 검출하면, 그 시점에서 수신하고 있었던 관련정보를 클립 정보로서 보존한다.
클립한 관련정보에는, 그 악곡의 곡명, 아티스트명 이외에, 예를 들어, 그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명이나, 그 앨범의 식별 ID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를 이용하여 음악분배 서버(33)나 CD 샵 서버(34) 에 액세스하고, 클립 정보 중의 앨범의 식별 ID를 이들 서버에 통지함으로써, 그 앨범의 구입 수속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클립 처리에서는, 악곡단위 외에, 악곡집합의 단위로 그들에 관한 정보를 클립 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중인 클립 처리에서는, 클립시에 방송중인 프로그램에서 방송되는 악곡의 리스트(온에어 리스트)를 단위로 하여, 하나의 클립 정보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송국 서버(32)로부터의 정보를 사용한 클립 처리에서 취득하고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는 현재 방송중인 것을 포함하는 악곡 또는 악곡집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단말장치(10)에서 일자나 시간대 등을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하고, 방송국 서버(32)에 송신하여, 검색 결과로서 악곡이나 악곡집합을 취득한다. 그리고, 취득한 정보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클립하고, 클립 정보로서 보존한다.
이하, 방송국 서버(32)를 검색해서 클립하는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이 처리 전체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방송국 서버(32)를 검색해서 클립하는 처리시에 있어서의 단말장치(10)에서의 화면표시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장치(10)에서는, 리모트 콘트롤러(40)의 예를 들어, 펑션 선택 키(43c)가 눌러짐으로써, 방송국 서버(32)를 검색하는 펑션으로 설정된다. 여기서는 예로서, FM 방송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하면, 이때, 디스플레이(17)에는, FM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71)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17)에는, 화면(171)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FM국이 선택되면, 다음으로, 검색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72)이 표시된다. 검색 방법으로서는, 일자와 시간대를 지정하고, 그 시간대에 방송되고 있었던 악곡을 검색하는 방법과, 일자를 지정해서 그 날짜에 방송된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악곡을 검색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전자의 방법을 「시간대 검색」, 후자의 방법을 「프로그램 검색 」이라고 칭한다.
디스플레이(17)에는, 화면(172)에 있어서 시간대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 다음으로, 일자와 시간대를 지정하는 화면(173)이 표시된다. 그리고, CPU(11)는 이 화면(173)에 있어서 지정된 일자와 시간대를 검색 키로서 방송국 서버(32)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화면(174)에 일람 표시시킨다. 이 화면(174)에는, 지정된 일자 및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의 일람(온에어 리스트)이 표시된다.
CPU(11)는 화면(174)에 표시시키고 있는 하나의 악곡을 선택(클립)하여, 그 악곡에 관한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CPU(11)는 표시된 악곡의 리스트 전체, 즉, 온에어 리스트 자체를 클립하여, 각 악곡에 관한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CPU(11)는, 클립을 행하면, 보존한 클립 정보를 화면(175)에 표시시킨다.
한편, CPU(11)는 디스플레이(17)에 대하여, 화면(172)에 있어서 프로그램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 다음으로, 일자를 지정하는 화면(176)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CPU(11)는 이 화면(176)에 있어서 지정된 일자를 검색 키로서 방송국 서버(32)를 검색하고, 그 일자에 있어서 방송된 프로그램의 리스트가 화면(177)을 표시시킨다.
또한, CPU(11)는, 사용자가 화면(177) 상의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또한 방송국 서버(32)를 검색하고, 그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를 화면(178)에 표시시킨다. 이 화면(178)에서는, 화면(174)과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표시되고 있던 어느 하나의 악곡, 또는 온에어 리스트 자체를 클립할 수 있고, 클립 정보가 화면(175)에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한 각 화면의 구체적인 화면표시예를 도시한다. 우선, 도 8은 검색 개시로부터 검색 방법이 선택될 때까지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FM국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71)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화면(171)에는, 선택부(171a)에 있어서 FM 방송의 국명이 일람 표시된다.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40)의 예를 들어, 방향 키(41a 및 41b)를 이용하여, 선택부(171a)로부터 원하는 방송국명의 항목을 선택하고, 결정 키(42)를 누름으로써 확정한다.
또한, 도 8(B)는 검색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72)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 화면(172)의 선택부(172a)에 있어서, 시간대 검색, 프로그램 검색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방향 키(41a 및 41b)와 결정 키(42)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도 9는 시간대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일자 및 시간대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173)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 화면(173)의 입력부(173a)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방향 키(41a 및 41b)에 의하여 커서를 맞춘 후, 풀다운 화면에 표시된 숫자를 방향 키(41c 및 41d)로 선택하여 결정 키(42)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일자를 지정한다. 또, 입력부 (173a)에는, 초기 표시로서 현재의 일자가 표시된 상태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CPU(11)는 사용자에 의해 일자의 지정 후에, 또한, 시간대가 일람 표시된 선택부(173b)로부터, 원하는 시간대의 항목이 선택·확정되면, 검색을 실행한다. 또, 시간대의 지정 방법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수치를 입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지정가능한 시간대는 1시간 단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색 결과는,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표시된다. CPU(11)는 사용자에 의해 이 화면(174)에 있어서, 지시 항목(174a)이 선택·확정되면, 표시시킨 온에어 리스트 자체를 클립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74b)에는, 온에어 리스트로서, 지정된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선택부(174b)의 어느 하나의 악곡의 항목을 선택·확정함으로써, 그 악곡을 클립하여, 그것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보존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검색시에는, 검색 대상인 악곡이 방송된 일자나 시간대에 대한 사용자의 기억이 부정확할 경우가 충분하게 있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화면(173)에 있어서 일자나 시간대의 입력을 사용자가 잘못하여, 화면(174)에, 목적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악곡이 표시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할 확률은 비교적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방송을 빠뜨리고 들은 사용자가, 빠뜨리고 들은 시간대에 방송된 악곡을 그 시간대를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면서 확인한다고 하는 행위도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화면(174)으로부터 화면(173)에 되돌아와서, 일자나 시간대를 다시 고쳐서 지정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검색 조건의 재지정은 예를 들어, 숫자 키를 구비하는 PC 등에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단말장치(10)는 한정된 입력 키밖에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검색 조건을 재지정하는 조작은 용이하지 않다.
그래서, CPU(11)는 검색 결과(여기서는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킨 화면(174)에 있어서, 지정된 시간대보다 이전의 시간대, 및 이후의 시간대에 관한 표시를 각각 요구하기 위한 지시 항목(174c 및 174d)을 검색 결과와 함께 표시시킨다. CPU(11)는 이들 지시 항목(174c 및 174d)을 선택부(174b) 내의 각 악곡의 선택조작으로부터 일련의 조작으로 선택가능한 상태로 하여 둔다. 즉, 사용자는 동일한 방향 키(41a 및 41b)만을 이용하여, 선택부(174b)의 각 항목과 지시 항목(174c 및 174d)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PU(11)는 사용자가 이들의 지시 항목(174c 및 174d)을 선택·확정 함으로써, 이때 지정된 시간대보다 전 또는 후의 시간대에 대응하는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킬 수 있다.
검색 조건의 재지정은, 이와 같이 전후의 시간대에 관한 정보를 요구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검색을 행할 장치는, 지시 항목(174c 및 174d)을 표시해 둠으로써, 한정된 입력 키만 구비할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성을 저해하지 않고, 검색 조건을 재지정하여 새로운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0은 프로그램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화면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자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176)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 화면(176)에서, 예를 들어, 상기한 화면(173)에 있어서의 입력부(173a)와 마 찬가지로, 입력부(176a)에 있어서, 방향 키(41a∼41d) 및 결정 키(42)를 이용하여, 원하는 일자를 지정한다. 그리고, CPU(11)는 지시 항목(176)이 선택·확정됨으로써 검색을 실행한다.
검색 결과는 예를 들어, 도 10(B)와 같이 표시된다. 이 도10(B)는 지정된 일자에 있어서 방송된 프로그램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화면(177)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프로그램명의 일람이 표시된 선택부(177a)로부터, 원하는 프로그램명의 항목을 선택·확정 함으로써, 그 프로그램 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온에어 리스트)의 표시를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이 화면(177)에 있어서도, 상기한 화면(17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이전의 화면(176)에 있어서 입력된 일자가 틀릴 수 있다. 이 때문에, CPU(11)는 화면(177)에 대하여, 전일 및 익일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각각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177b 및 177c)을 프로그램 리스트와 함께 표시시키고, 선택부(177a) 내의 각 프로그램명의 선택조작으로부터 일련의 조작으로, 지시 항목(177b 및 177c)을 선택 가능한 상태로 하여 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와서 일자를 다시 고쳐서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고, 검색하는 일자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CPU(11)는 선택부(177a) 내의 어느 하나의 프로그램명의 항목이 선택·확정되었을 경우, 표시해야 할 화면을 도 10(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프로그램에 관한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178)으로 이행시킨다. CPU(11)는 화면(178)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시 항목(178a)이 선택·확정되면, 표시시킨 온에어 리스트 자체를 클립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178b)에는, 온에어 리스트로서, 지정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선택부(178b)의 어느 하나의 악곡의 항목을 선택·확정함으로써, 그 악곡을 클립시켜서, 그것에 관한 정보의 표시 및 보존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CPU(11)는 검색된 온에어 리스트와 함께, 그 프로그램에 대해서, 전회의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악곡 리스트, 및 다음 회의 프로그램에서 방송 예정인 악곡 리스트를 각각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178c 및 178d)을 표시시킨다. CPU(11)는 이들의 지시 항목(178c 및 178d)을 선택부(178b) 내의 각 악곡의 선택조작으로부터 일련의 조작으로 선택가능한 상태로 하여 둔다. 이에 따라, CPU(11)는 사용자에 대하여, 화면을 바꾸어서 일자의 변경이나 프로그램의 선택조작을 다시 고쳐서 행하게 하지 않고, 동 프로그램의 전회 혹은 다음 회의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키고 클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검색 방법이 선택되고나서, 온에어 리스트의 클립이 가능해질 때까지의 구체적인 처리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시간대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단말장치(10)와 방송국 서버(32) 사이의 정보검색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의 흐름도는 검색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72)을 단말장치(10)의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켰을 때에, 시간대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에 개시하게 된다. 스텝 S11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일자·시간대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173)을 표시시키고, 리모트 콘트롤러(40)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일자·시간대의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입력된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방송국 서버(32)에 대하여 송신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검색 조건을 수신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된 일자·시간대와 합치하는 온에어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또한, 스텝 S13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된 시간대 전후의 각 시간대와 합치하는 온에어 리스트를 검색한다. 그리고, 방송국 서버(32)는 스텝 S14에 있어서, 지정된 시간대와 합치하는 온에어 리스트와, 그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지정한 시간대와 합치하는 온에어 리스트와, 그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을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화면(174)에 상당). 또한,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예를 들어, RAM(20) 내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16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 에 의하여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스텝 S15에서 RAM(2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 온에어 리스트 중, 스텝 S16에서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에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스텝 S16에서 선택된 시간대를 새롭게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하고, 방송국 서버(3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10)는 지정한 시간대와 합치하는 온에어 리스트와 함께, 그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수신해서 일시적으로 기억해 둠으로써,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의 표시 요구가 행해졌을 때에, 기억해 둔 온에어 리스트를 일시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송국 서버(32)는 스텝 S17에서 새롭게 지정된 시간대의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스텝 S13 및 스텝 S14에 대응). 단말장치(10)는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를 RAM(2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스텝 S15에 대응). 이때, 표시되고 있는 온에어 리스트는 변경되지 않는다.
또, 스텝 S16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온에어 리스트 내의 악곡의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즉 클립을 행하였을 경우,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에 대하여, 지정된 악곡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이 정보를 수신해서 클립 정보로서 HDD(21)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화면을 바꾸어서 일자나 시간대의 변경 조작을 다시 고쳐 행하지 않고, 전후의 시간대의 온에어 리스트를 일시적으로 표시시켜서 클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프로그램 검색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단말장치(10)와 방송국 서버(32) 사이의 정보검색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의 순서도는 검색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172)을 단말장치(10)의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켰을 때에, 프로그램 검색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에 개시된다. 스텝 S21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일자를 지정하기 위한 화면(176)을 표시시킨다. 단말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일자가 입력되면, 입력 정보를 검색 조건으로서, 방송국 서버(32)에 대하여 송신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검색 조건을 수신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된 날짜에 방송된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또한, 스텝 S23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일의 전일, 후일에 각각 방송된 프로그램을 검색한다. 그리고, 스텝 S24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일과 그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
스텝 S25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지정일의 프로그램 리스트와, 그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을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화면(177)에 상당). 또한,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RAM(20) 내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26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스텝 S27로 진행한다. 스텝 S27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스텝 S25에서 RAM(2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 프로그램 리스트 중, 스텝 S26에서의 선택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스텝 S26에서 선택된 시간 대를 새롭게 검색 조건으로서 지정하고, 방송국 서버(3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10)는 지정한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와 함께, 그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를 수신해서 일시적으로 기억해 둠으로써,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의 표시 요구가 행해졌을 때에, 기억해 둔 프로그램 리스트를 일시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송국 서버(32)는 스텝 S27에서 새롭게 지정된 날짜의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스텝 S23 및 스텝 S24에 대응). 단말장치(10)는 수신한 프로그램 리스트를 RAM(2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또한, 스텝 S26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프로그램 리스트 안에서 프로그램의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 프로그램을 검색 키로서 방송국 서버(32)에 검색을 요구하고, 도 13의 스텝 S28으로 진행한다. 스텝 S28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2)는 새롭게 지정된 프로그램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즉 지정된 날짜의 지정된 프로그램과 합치하는 온에어 리스트를 검색한다. 또한, 스텝 S29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그 전회의 방송의 온에어 리스트를 검색한다. 또한, 방송국 서버(32)는, 같은 프로그램에 대해서, 다음 회의 방송에서 예정되는 온에어 리스트가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어 있을 경우, 이 온에어 리스트도 검색한다. 스텝 S30에 있어서, 방송국 서버(32)는 지정된 프로그램의 온에어 리스트와, 전회 및 다음 회의 온에어 리스트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
스텝 S31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지정한 프로그램의 온에어 리스트와, 그 전회 및 다음 회의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을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화면(178)에 상당). 또한,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전회 및 다음 회의 각 온에어 리스트를 RAM(20) 내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
그리고, 스텝 S32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표시된 화면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전회 또는 다음 회의 온에어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스텝 S32에서 RAM(2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 온에어 리스트 중, 스텝 S32에서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에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예를 들어, 플래그 정보 등의 제어 정보를 방송국 서버(32)에 송신하고, 스텝 S32에서의 선택에 상응한 회의 프로그램의 온에어 리스트를 요구한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10)는 지정한 날짜의 프로그램의 온에어 리스트와 함께, 그 전회 및 다음 회의 온에어 리스트를 수신해서 일시적으로 기억해 둠으로써, 같은 프로그램의 전회 및 다음 회의 온에어 리스트의 표시 요구가 행해졌을 때에, 기억해 둔 온에어 리스트를 일시적으로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방송국 서버(32)는 스텝 S33에서 지정된 회에 대하여, 그 전후의 회에 있어서의 프로그램의 온에어 리스트를 검색하고, 이 검색 결과를 단말장치(10)에 송신한다(스텝 S29 및 스텝 S30에 대응). 단말장치(10)는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를 RAM(20)에 일시적으로 기억시킨다(스텝 S31에 대응).
또, 스텝 S32에 있어서, 단말장치(10)는, 온에어 리스트 내의 악곡이 클립되 었을 경우, 검색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방송국 서버(32)에 대하여, 지정된 악곡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고, 이 정보를 수신해서 클립 정보로서 HDD(21)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화면을 바꾸어서 일자나 프로그램명의 변경 조작을 다시 고쳐서 행하지 않고, 전후의 날짜의 프로그램 리스트나, 같은 프로그램의 전회, 다음 회에 관한 온에어 리스트를 일시적으로 표시시켜서 선택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의 각 순서도에서는, 방송국 서버(32)에 대하여 검색을 요구하였을 때에, 검색 조건과 합치하는 리스트와 함께, 그 전후에 해당하는 리스트를 동시에 단말장치(10)에서 수신하도록 하였지만, 당연히, 검색 조건과 합치하는 리스트만을 수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단말장치(10)는, 리스트와 함께 표시시킨, 그 전후에 해당하는 리스트를 표시시키기 위한 지시 항목이 선택되었을 경우, 선택 에 따라 변경된 검색 조건과 합치하는 리스트를 다시 방송국 서버(32)에 요구한다. 따라서, 단말장치(10)는, 지시 항목이 선택되어 해당하는 리스트를 방송국 서버(32)로부터 수신한 후에, 그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7)에 표시시킨다. 따라서, 단말장치(10)의 처리에는, 네트워크(30)나 방송국 서버(32)의 상태에 따라, 지시 항목의 선택으로부터 리스트의 표시까지의 사이에 지연이 생길 경우가 있다.
또, 상기한 단말장치(10)의 처리 기능은, 이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이 단말장치(10) 내의 CPU(11)에서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같은 프로그램이 컴퓨터의 CPU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단말장치(10)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로서는, 자기기록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기록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이 있다. 자기기록장치에는, HDD, 플렉시블 디스크(FD), 자기테이프 등이 있다. 광디스크에는, DVD, DVD-RAM, CD-ROM, CD-R(Recordable)/RW(ReWritable) 등이 있다. 광자기 기록매체에는, MO(Magneto-Optical disk) 등이 있다.
프로그램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예를 들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가반형 기록매체가 판매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저장해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에 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도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말장치(10)나 컴퓨터는, 예를 들어, 가반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기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단말장치(10)의 경우, 예를 들어, HDD(21) 등에 저장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나 컴퓨터는 자기의 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또, 단말장치(10)나 컴퓨터는 가반형 기록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차차, 받은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3) 제2실시예
다음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방송국 서버(32)에 의한 프로그램 리스트나 온에어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복수의 서비스 서버 중 하나의 서버에 의해 실현되는 것과 같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서비스 시스템은 싱글 사인온 기능을 가지고 있다.
(3-1)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도 14에 있어서, 1000은 전체로서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고, 이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 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관리하는 포털 서버(1003)와,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음악에 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서버 1004 내지 1008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는, ATRAC3(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3), AAC(Advanced Audio Coding), WMA(Windows 미디어 Audio), RealAUDIO G2 Music Codec, MP3(MPEG Audio Layer-3) 형식 등으로 이루어진 음악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분배하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판매서버(1005)는,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을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거쳐서 사용자에 판매하는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는, 라디오국를 거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이나 음악 등에 관한 라디오 방송 정보를 클라이 언트 단말(1002)에 분배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서버(1007)는, 인터넷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NT1000을 거쳐서 라디오 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분배의 형태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향해서 방송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과금 서버(1008)는, 포털 서버(1003)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다양한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과금처리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3-2)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기능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그것의 케이스 표면이나 리모트 콘트롤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설치된 각종 조작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102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해당 조작 입력부(1020)에서 이것을 인식하고, 해당 조작에 따른 조작 입력 신호를 입력 처리부(1021)에 송출한다.
입력 처리부(1021)는, 조작 입력부(1020)로부터 주어지는 조작 입력 신호를 특정한 조작 커맨드로 변환해 버스(1022)를 거쳐서 제어부(1023)에 송출한다.
제어부(1023)는, 버스(1022)를 거쳐서 접속된 각 회로로부터 주어지는 조작 커맨드나 제어신호에 근거해서 이들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024)는, 버스(1022)를 거쳐서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1025)에 송출한다.
표시부(1025)는,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디바이스이며, 케이스 표면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나 외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표시부(1025)는, 제어부(1023)에 의한 처리 결과나 각종 영상 데이터가 표시 제어부(1024)를 거쳐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서 공급되면, 해당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음성제어부(1026)는, 버스(1022)를 거쳐서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스피커(1027)에 송출한다. 스피커(1027)는, 음성제어부(1026)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에 근거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는, CD나, 플래시메모리가 외장 케이스에 내포된 메모리 스틱(등록상표) 등의 외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해서 재생하고, 또는 해당 외부 기록매체에 대하여 기록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재생부이다.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때, 해당 판독한 영상 데이터를 버스(1022)를 거쳐서 표시 제어부(1024)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024)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신호 로 변환해서 표시부(1025)에 공급한다.
또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때, 해당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1022)를 거쳐서 음성제어부(1026)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음성제어부(1026)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판독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1027)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023)는,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버스(1022)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 내부의 기억매체(1029)에 송출하고, 그 기억매체(1029)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할 수(이하, 이렇게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매체(1029)에 기억하는 것을 립핑이라고 부른다) 있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기억매체(10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때에는, 해당 판독한 영상 데이터를 버스(1022)를 거쳐서 표시 제어부(1024)에 공급한다.
또 제어부(1023)는, 기억매체(1029)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로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였을 때에는, 해당 판독한 음성 데이터를 버스(1022)를 거쳐서 음성제어부(1026)에 공급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023)는, 기억매체(1029)로부터 음악 데이터를 판독해서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 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에 대하여 그 음악 데이터를 기록시킬 수도 있다.
방송 신호 수신부(1030)는, 각 라디오국에서 송신되는 라디오 방송파를 수신하고, 튜너부(1031)에 공급한다.
튜너부(1031)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방송 신호 수신부(1030)를 거쳐서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예를 들어, 조작 입력부(1020)를 거쳐서 지정된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해서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버스(1022)를 거쳐서 음성제어부(1026)에 송출한다.
음성제어부(1026)는, 튜너부(1031)로부터 주어진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1027)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스피커(1027)로부터 라디오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출력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청취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1023)는, 튜너부(1031)에서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기억매체(1029)에 송출해서 기억함으로써,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음성을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네트워크 NT1000에 접속하고, 해당 네트워크 NT1000 상의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 1004 내지 1007에 액세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 1004 내지 1007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코더/디코더부(1034)는, 네트워크 NT1000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 혹은 기억매체(1029)나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하여 표시 제어부(1024)나 음성제어부(1026)에 송출한다.
또한, 인코더/디코더부(1034)는,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압축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나, 튜너부(10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등을 압축 부호화하고, 해당 압축 부호화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매체(1029)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코더/디코더부(1034)에서 압축 부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기억매체(1029)에 기억된다.
저작권 관리부(1035)는, 네트워크 NT1000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나, 외부 기록매체 기록 재생부(1028)에 의해 외부 기록매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저작권 관리부(1035)에서 생성된 저작권 관리 정보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콘텐츠 데이터와 대응되어 기억매체(1029)에 등록된다.
또한, 저작권 관리부(1035)는, 기억매체(1029)와 특정한 외부 기록매체 사이에서 저작권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 아웃할 때나, 해당 특정한 외부 기록매체와 기억매체(1029)와의 사이에서 해당 저작권 관리 정보를 대응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첵크인 할 때에,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작권 관리 정보의 내용을 적절하게 갱신함으로써,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한 다.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네트워크 NT1000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혹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파일 등의 페이지 정보를 해석해서 표시부(1025)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거쳐서 접속되는 네트워크 NT1000 상의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 1004 내지 1007에 대하여 인증 정보를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송신하는 등의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인증 정보 기억부(1038)는, 인증 처리부(1037)가 포털 서버(1003)나 기타 서버 1004 내지 1007에 대하여 액세스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인증 정보를 기억한다.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현재, 사용자에 의한 청취용으로 수신중인 라디오 방송에 관한 라디오 방송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요구 신호를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거쳐, 해당 수신중인 라디오 방송을 방송하고 있는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송신한다.
그 결과,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네트워크 NT1000 상의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방송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는 동시에, 해당 수신한 라 디오 방송 정보를 표시 제어부(1024)에 송출함으로써 표시부(10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나, 해당 수신중인 악곡의 타이틀 및 아티스트명 등으로 이루어진 라디오 방송 정보를 표시시킨다.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기억매체(1029)에 대하여 기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도 37에 도시하는 디렉토리 구성으로 관리한다. 우선 「root」 디렉토리의 하층에 대해서만, 규정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수의 「folder」 디렉토리가 작성된다. 이 「folder」 디렉토리는, 예를 들어, 콘텐츠가 속하는 장르, 또는 소유 사용자 등에 대응해서 작성된다.
이 「folder」 디렉토리의 하층에는, 규정 범위 내에서의 임의의 수의 「album」 디렉토리가 작성되고, 해당 「album」 디렉토리는 예를 들어, 1개의 앨범 타이틀마다 대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album」 디렉토리의 하층에 있어서는, 그 「album」 디렉토리에 속하게 되는 1 이상의 「track」 파일이 저장되고, 이 「track」 파일이 1개의 악곡 즉 콘텐츠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디렉토리 관리는, 기억매체(1029)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의해 행해진다.
(3-3) 포털 서버(1003)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에, 도 17을 이용하여 포털 서버(1003)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포털 서버(1003) 내의 제어부(1050)는, 버스(105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052)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기타 서버 1004 내지 1008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는,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ID(Identification)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에는,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 업자가 관리하는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고 있고,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 및 인터넷 라디오 서버(1007) 등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 해당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사용자 인증 처리를 종료하면, 해당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세션 ID 정보)를 발행하고, 해당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 한다.
이때 제어부(1050)는, 인증처리부(1056)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에 기억되어 있는 계약자용의 페이지 정보를 포털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또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도시하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인증 처리부(1056)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인증 처리가 실행된 결과, 해당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취득해서 송신되는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통해 순차적으로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와,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로서, 정규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확인 처 리를 실행하고, 그 확인 결과를 도시하는 확인 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해당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 회신한다.
주파수 정보 기억부(1058)에는, 지역을 특정가능한 우편번호 등의 지역 코드와, 그 지역 코드가 도시하는 지역에서 수신가능한 라디오 방송의 방송 주파수를 도시하는 주파수 정보, 해당 라디오 방송을 방송하는 라디오국의 명칭(이하, 이것을 라디오국명이라고 부른다) 및 해당 라디오국마다 유니크한 식별 정보인 콜 사인이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URL 기억부(1059)에는, 라디오 방송용의 라디오국마다의 콜 사인과, 해당 콜 사인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제공하는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해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이나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흘려지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등으로 이루어진 라디오 방송 정보(이하, 이것을 특히 나우 온에어 정보라고 부른다)를 취득가능한 URL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3-4)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에, 도 18을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내의 제어부(1070)는, 버스(107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072)는, 제어부(1070)의 제어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포털 서버(1003) 등과 각종 정보나, 콘텐츠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74)에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 처리부(1075)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74)를 만들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가 관리하는,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 데이터를 소개하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고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다운로드를 희망하는 음악 데이터를 선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 기억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인증 처리부(107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클라이 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 해당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7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75)는,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와는 다른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75)는, 포털 서버(1003)로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의 송신에 따라,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상기한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075)는, 사용자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그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도시하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 정보 기억부(1077)에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 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해당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각종 인증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에는, 상기한 ATRAC3 형식이나 MP3 형식 등으로 압축 부호화된 복수의 음악 데이터가 각각의 콘텐츠 ID 정보 등의 검색 키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1079)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검색용의 검색 키가 저장되고 그 다운로드를 원하는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되면, 해당 수신된 다운로드 요구 신호로부터 그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079)는, 이러한 검색 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도시하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70)는, 그 검색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또 제어부(1070)는,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의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따르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용의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과금 서버(1008)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서버(1008)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따른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3-5) 판매서버(1005)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에, 도 19를 이용하여 판매서버(1005)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판매서버(1005) 내의 제어부(1090)는, 버스(109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092)는, 제어부(1090)의 제어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포털 서버(1003) 등과 각종 정보를 송 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94)에는, 판매서버(1005)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 처리부(1095)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94)를 만들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는, 판매서버(1005)가 관리하는, 판매 대상의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소개하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있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구입을 희망하는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를 선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 기억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인증 처리부(109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 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 해당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9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95)는,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와는 다른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95)는, 포털 서버(1003)에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의 송신에 따라,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상기한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095)는, 사용자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그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 계약자용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09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도시하는 인증 실패 통지 페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그런데, 인증 정보 기억부(1097)에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 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해당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각종 인증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1098)에는, 판매 대상의 CD나 DVD 등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정보(이하, 이것을 패키지 미디어 정보라고 부른다)가 각각의 패키지 미디어 ID 정보 등의 검색 키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검색부(1099)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가 송신된 결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특정한 CD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어 정보 요구 신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되면, 해당 수신된 미디어 정보 요구 신호로부터 해당 특정의 패키지 미디어 검색용의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099)는, 이러한 검색 키에 의거하여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10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도시하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90)는, 그 검색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하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제시한다.
그 결과,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상기한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의 해당 특정의 패키지 미디어의 인도 수속 등의 구입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1090)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르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용의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과금 서버(1008)에 송신함으로써, 과금 서버(1008)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른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1090)는, 과금 서버(1008)에 의한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가 완료하면,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처리가 완료한 것을 도시하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 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3-6)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기능 회로 블록 구성
다음으로, 도 20을 이용하여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 내의 제어부(1110)는, 버스(1111)를 거쳐서 접속되는 각 회로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제어부(1112)는, 제어부(1110)의 제어하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거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나 포털 서버(1003)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14)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ID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가 대응되어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다. 단, 인증 처리부(1115)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14)를 만들지 않아도 좋다.
페이지 정보 기억부(1116)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관리하고, 해당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 의해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라디오 방송 정보(이하, 이것을 특히 온에어 리스트 정보라고 부른다)의 취득에 이용하도록 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는, XML 등의 언어에 의해 기술되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라디오 프로그램의 방송 일시 정보나 프로그램명 등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에 대한 검색 키로서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 박스 등이 설치된다.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이미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방송 개시 시각 및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간 등과,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흘려진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명, 악곡 방송 개시 시각 등을 리스트화해서 생성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1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에 따라, 페이지 정보 기억부(1116)에 기억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그 결과, 검색부(1118)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상에서 입력된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검색용의 검색 키가 저장되어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가 송신됨으로써, 그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해당 수신한 온에어 리 스트 정보 요구 신호로부터 검색 키를 추출한다.
그리고 검색부(1118)는, 이러한 검색 키에 의거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 내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해당 검색 키가 도시하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 범위 부분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10)는, 그 검색된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또한, 나우 온에어 정보 기억부(1119)에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대응하는 라디오국에서 현재 방송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방송 개시 시각,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간, 해당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시점에 흘려지고 있는 악곡에 대한 타이틀, 아티스트명, 악곡 방송 개시 시각 등으로 이루어진 나우 온에어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11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와 함께 송신되는,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 해당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114)에 고객정보로서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또 인증 처리부(1115)는,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와는 다른 사용자 인증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 신되는, 포털 서버(1003)에서 발행된 포털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인증 티켓)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115)는, 포털 서버(1003)에의 포털 인증 결과 정보의 송신에 따라,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그 포털 인증 결과 정보에 대한 인증 처리(즉, 상기한 확인 처리)가 실행된 결과 회신되는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 업자와 이미 계약을 완료하고 있는 정규 사용자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이렇게 하여 인증 처리부(1115)는, 사용자 인증 처리가 종료하면, 그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를 나타낸 서버 인증 결과 정보(후술하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를 발행한다.
이때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나우 온에어 정보 기억부(1119)에 기억되어 있는 나우 온에어 정보를 서버 인증 결과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한 사용자 인증 처리의 결과,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았을 때에는, 인증 에러 정보를 페이지 정보 기억부(1116)에 기억되어 있는 인증의 실패를 도시하는 인증 실패 통지 페 이지 정보와 함께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110)는, 사용자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이 요구되었을 때, 해당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였을 때에는, 나우 온에어 정보를 분배하지만,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없었을 때에는, 그 사용자에 대하여 나우 온에어 정보의 분배 서비스와 같은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인증 정보 기억부(1120)에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발행된 서버 인증 결과 정보가 일시 기억됨과 동시에, 해당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인증 처리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각종 인증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3-7) 각 서버의 처리 개요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6에 도시한 시퀀스 도면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와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그 밖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와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3-7-1) 클라이언트 단말(1002) 및 포털 서버(1003) 사이의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
우선 도 21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 사이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전원을 투입하는 조작이 행해지고, 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1020)의 특정한 조작 버튼이 눌러진 것에 따라 그 조작 입력부(1020)에서 인식된 조작 입력 신호가 입력 처리부(1021)에서 조작 커맨드로 변환되어서 주어지면, 인증 요구 처리를 시작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 인증 요구 처리를 시작하면, 스텝 SP1000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미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저장한 접속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접속 요구 신호를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증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가 사용자 인증 처리 등의 각종 처리의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개개의 통신 접속 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 정보이다.
또 이러한 인증 세션 ID 정보에 대해서는, 사용자 인증 처리 등에 이용한 다음, 포털 서버(1003)에 의한 발행 시점을 기준이라고 한 소정의 유효 기한(예를 들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인증 세션 ID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 (1002)은, 그 인증 세션 ID 정보를 유효 기한 이내에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을 경우, 포털 서버(1003)에 의하여, 해당 인증 세션 ID 정보로 특정되는 통신 접속 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포털 서버(1003)는, 과거에 발행한 인증 세션 ID 정보가,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증 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가 이전에 사용자 인증 처리 등의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하였을 때, 그 포털 서버(1003)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가 송신되면, 이것에 따라 스텝 SP1001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서 그 접속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접속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접속 요구 신호로서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에 의거하여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이 벗어나는 것 등으로,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할 수 없었을 때에는, 인증 에러를 도시하는 인증 에러 정보를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0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이것에 따라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03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와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발행하는 동시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 행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0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그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된 그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05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 및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 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상기한 스텝 SP100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스텝 SP1006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고,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0)는, 페이지 정보 기억부(1055)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취득 요구된 페이지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효 기한의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0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와, 유효 기한의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하는 동시에, 그 유효 기한의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페이지 정보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의 링크가 매립된 페이지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024)는,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로부터 주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포털 서버(1003)의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또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 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한 스텝 SP1004에 있어서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3-7-2) 클라이언트 단말(1002) 및 각 서버 1004 내지 1006 사이의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 사이에서 실행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경우, 이러한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도 21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포털 서버(1003)로부터 페이지 정보를 일단 취득하고, 계속해서 그 페이지 정보에 매립된 링크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 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액세스해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증 처리(이하, 이것을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라고 부른다)가 있다.
또 이러한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포털 서버(1003)의 페이지 정보를 취득하지 않고, 미리 북 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L 정보 등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직접 액세스해서 실행되는 사용자 인증 처리(이하, 이것을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라고 부른다)도 있다.
단,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 대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어떤 조합이라도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 관해서도,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어떤 조합이라도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의 액세스에 사용하는 URL 정보의 취득의 방법만이 다를 뿐으로, 해당 URL 정보의 취득 이후에는,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의 양쪽 모두에서 같은 순서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액세스처로서, 설명을 간략화한 후에,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를 대표로서 사용하고, 또한, 간접 액세스 인증 처리 및 직접 액세스 인증 처리를 모아서 1개의 사용자 인증 처리로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P101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페이지 정보에 링크로서 매립된 URL 정보, 또는 이미 북 마크로서 등록하고 있는 URL 정보 등에 따라,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다른 판매서버(1005)나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서는,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나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 등이 된다)를 취득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와 함께, 인증 정보 기억부(1038)로부터 판독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송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사용자 인증 처리 등의 각종 처리의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할 때마다, 개개의 통신 접속 상태(즉, 세션)의 식별용으로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액세스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의해 발행되는 식별 정보이다.
또 이러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에 대해서는, 전술한 인증 세션 ID 정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증 처리 등에 이용한 후에,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의한 발행 시점을 기준이라고 한 소정의 유효 기한(예를 들어, 1분 정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서버 1004 내지 1006으로부터 서비스 세션 ID 정보를 취득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그 서비스 세션 ID 정보를 유효 기한 이내에 발행원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대하여 제시할 수 없는 경우, 이들 발행원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의해, 해당 서비스 세션 ID 정보로 특정되는 통신 접속 상태가 절단되었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는, 과거에 발행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가,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운영업자와 계약하지 않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인증 처리 등에 대하여 부당하게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이전에 사용자 인증 처리 등의 실행용으로 통신 접속하였을 때, 그 액세스처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의해 발행된 것이다.
스텝 SP101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7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서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7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75)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의 유효 기한이 이미 끝난 것에 의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는 인증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 에러를 도시하는 인증 에러 정보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를 식별하는 샵 코드를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1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 및 샵 코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에러 정보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로서 인증되지 않은 것을 인식하는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샵 코드를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티켓을 발행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샵 코드, 및 이미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13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 샵 코드 및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 하에서,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의 유효 기한이 이미 끝나,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는 인증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지 않으면, 인증 에러를 도시하는 인증 에러 정보를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인증 처리부(105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의 유효 기한이 아직 끝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후술하는 스텝 SP1018로 이동한다.
스텝 SP101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에러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15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이, 고객 데이터베이스 부(1054)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포털 인증 결과 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 외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발행하는 동시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1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의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다시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인증 티켓을 발행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해당 생성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를,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샵 코드, 및 이 때 일시 기억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있어서 인증 정보 기억부 (1038)에 대하여 샵 코드를 일시 기억해 두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 사이에서 스텝 SP1012 내지 스텝 SP1016의 처리를 실행할 때에 샵 코드를 순차적으로 송수신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있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샵 코드를 일시 기억하지 않아도 스텝 SP1016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샵 코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P1017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 샵 코드 및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이것들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이 아직 끝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인증 티켓의 발행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18로 이동한다.
스텝 SP1018에 있어서,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상기한 스텝 SP1017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샵 코드 및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신호에 의거하여 포털 인증 결과 정보로서, 해당 샵 코드가 도시하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 티켓 등을 발행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그 발행한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하는 동시에,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0)는,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1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등과,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를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송신한다.
또한, 인증 처리부(1037)는, 이 때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에 덮 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한 스텝 SP1016에 있어서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스텝 SP1020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인증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을 해당 인증 티켓 등의 확인을 요구하는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21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 및 인증 티켓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그리고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인증 티켓 확인 요구 신호에 따라,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된 인증 티켓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티켓 등을 비교하도록 하여, 해당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에 대한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 버(1004)로부터 수신한 인증 티켓 등이 정규인 인증 티켓 등이라고 확인되면, 해당 인증 티켓 등을 정규의 인증 티켓 등이라고 확인한 것을 도시하는 확인 결과 정보를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송신한다.
스텝 SP1022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확인 결과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확인 결과 정보를 인증 처리부(10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하에서 그것의 확인 결과 정보에 따라, 서버 인증 결과 정보로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발행하는 동시에, 해당 발행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77)에 일시 기억한다.
또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2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의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요구하는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시킨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송신한다.
스텝 SP1024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정보 취득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상기한 스텝 SP1022에 있어서 이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77)에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75)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이 아직 끝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25로 이동한다.
스텝 SP1025에 있어서, 제어부(1070)는,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취득 요구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그 페이지 정보 기억부(1076)로부터 판독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26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하는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상기한 스텝 SP1023에 있어서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으로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표시 제어부(1024)는,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로부터 주어진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그것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3-7-3)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처리
계속해서 도 23 내지 도 26에 있어서, 도 22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 사이에서 실행된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의 종료후에, 해당 사용자 인증 처리 순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 판매서버(1005)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취득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 정보 및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정보 등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판매 서비스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음악 관련 서비스 제공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3-7-3-1)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우선 도 23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103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된 음악 데이터 분배용의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다운로드 요구 신호를, 이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서 발행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에 송신한다.
스텝 SP1031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의 제어부(107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 및 통신 제어부(107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처리부(107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75)는, 제어부(107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7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 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70)는,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해서 음악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32로 이동한다.
스텝 SP1032에 있어서, 검색부(1079)는, 다운로드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 내의 복수의 음악 데이터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도시하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070)는, 검색부(1079)에 의해 음악 데이터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켜서, 다음 스텝 SP1033으로 이동한다.
스텝 SP1033에 있어서 제어부(1070)는, 음악 데이터 기억부(1078)로부터, 검색부(1079)에 의해 검색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를, 인증 처리부(107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7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3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송신된 다운로드 희망의 음악 데이터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음악 데이터를 기억매체(1029)에 기억하는 동시에, 그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가 제공하고 있는 음악 데이터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취득이 희망된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3-7-3-2) 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4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판매서버(1005)로부터 판매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판매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P104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된 패키지 미디어 판매용의 페이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른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하는 미디어 정보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미디어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판매서버(1005)에서 발행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판매서버(1005)에 송신한다.
스텝 SP1041에 있어서, 판매서버(1005)의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미디어 정보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0)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9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95)는, 제어부(109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해서 패키지 미디어에 관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42로 이동한다.
스텝 SP1042에 있어서, 검색부(1099)는, 미디어 정보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1098) 내의 복수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 중에서 해당 검색 키가 도시하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한 패키지 미디어의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090)는, 검색부(1099)에 의해 패키지 미디어 정보가 검색되 면,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키고, 다음 스텝 SP1043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1043에 있어서 제어부(1090)는, 패키지 미디어 정보 기억부(1098)로부터, 검색부(1099)에 의해 검색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4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판매서버(1005)로부터 송신된 패키지 미디어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하는 동시에, 그 판매서버(100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판매서버(1005)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패키지 미디 어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1025)에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패키지 미디어 정보를 표시시키면, 다음 스텝 SP1045로 이동한다.
스텝 SP1045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패키지 미디어 정보에 대응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그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 요구하는 구입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구입 요구 신호를, 이미 판매서버(1005)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즉,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판매서버(1005)에 송신한다.
스텝 SP1046에 있어서, 판매서버(1005)의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구입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 및 통신제어부(109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9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95)는, 제어부(109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9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해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을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47로 이동한다.
스텝 SP1047에 있어서, 제어부(109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구입 요구된 패키지 미디어를 넘겨주기 위한 수속 등의 구입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해당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르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처리용의 과금정보를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과금 서버(1008)에 송신함으로써, 그 과금 서버(1008)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에 따른 과금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어부(1090)는,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다.
스텝 SP1048에 있어서, 제어부(1090)는, 과금처리 종료후,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처리가 완료한 것을 도시하는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인증 처리부(109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9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9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4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판매서버(1005)로부터 송신된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에 송출 하는 동시에, 그 판매서버(100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판매서버(1005)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구입 완료 페이지 정보에 근거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102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구입 완료 페이지를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판매서버(1005)가 제공하고 있는 판매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시킬 수 있다.
(3-7-3-3)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5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로서 특히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 SP106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표시부(1025)에 영상으로서 표시시킨 온에어 리스트 정보 분배용의 페이지 상에서 입력 박스에 대하여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검색용의 검색 키가 입력되고, 해당 입력된 검색 키를 도시하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어 커맨드가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입력된 제어 커맨드에 따라,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다운로드 요구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23)는, 그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서 발행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송신한다.
스텝 SP1061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제어부(1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115)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115)는, 제어부(111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해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요구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62로 이동한다.
스텝 SP1062에 있어서, 검색부(1118)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요구 신호에 저장되어 있는 검색 키에 의거하여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 내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 전체에 대하여, 해당 검색 키가 도시하는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소정 범위 부분을 취득 희망의 온에어 리스트 정보로서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110)는, 검색부(1118)에 의해 온에어 리스트 정보가 검색되면,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키고, 다음 스텝 SP1063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텝 SP1063에 있어서 제어부(1110)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 기억부(1117)로부터, 검색부(1118)에 의해 검색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6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송신된 온에어 리스트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페이지 정보 생성부 (1036)에 송출하는 동시에, 그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온에어 리스트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024)에 의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근거하는 영상으로서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렇게 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제공하고 있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소망하는 온에어 리스트 정보를 취득시킬 수 있다.
(3-7-3-4) 나우 온에어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
다음으로, 도 26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로서 특히 나우 온에어 정보 분배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때의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관 하여 설명한다.
단, 나우 온에어 정보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는, 라디오국(콜 사인)마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각 라디오국에 대응하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URL 정보가 기억되지 않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 대해서는, 각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URL 정보를 라디오국의 콜 사인마다 포털 서버(1003)가 관리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라디오국마다의 방송 주파수를 자동 프리셋하기 위해서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해당 방송 주파수를 도시하는 주파수 정보를 요구할 때에,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일시 기억하고 있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포털 서버(1003)에 대하여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송신하게 된다.
스텝 SP107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각 라디오국의 방송 주파수를 자동 프리셋하도록 요구하는 조작 커맨드가 입력되면, 이것에 따라 각 라디오국의 수신가능한 방송 주파수의 주파수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주파수 정보 요구 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역 코드와,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71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정보 요구 신호, 지역 코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ID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과, 고객 데이터베이스부(1054)에 등록하고 있는 고객정보를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056)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고,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주파수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하면,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현시점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포털 서버(1003)와의 통신 접속 상태에 대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발행하고, 해당 발행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이렇게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72로 이동한다.
스텝 SP1072에 있어서,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지역 코드에 의거하여 주파수 정보 기억부(1058) 내의 복수의 주파수 정보, 라 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 중에서 해당 지역 코드에 대응하는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검색해서 리스트화해 판독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50)는, 주파수 정보 기억부(1058)로부터 리스트화해서 판독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상기한 스텝 SP1071에서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73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와,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하는 동시에,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표시 제어부(1024)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일시 기억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24)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의 리스트를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대하여 그 리스트를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023)는, 이 때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커맨 드에 근거하여, 선택된 주파수 정보, 라디오국명 및 콜 사인을 기억매체(1029)에 프리셋트로서 기억하고, 다음 스텝 SP1074로 이동한다.
스텝 SP1074에 있어서, 제어부(1023)는, 입력 처리부(1021)로부터 입력되는 튜닝 제어 커맨드에 따라, 튜너부(1031)를,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튜닝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튜너부(1031)는, 방송 신호 수신부(30)에 의해 수신된 라디오 방송파 중에서, 그 방송 주파수에서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 방송신호를 추출해서 복호 등의 소정의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이 결과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음성제어부(1026)에 송출한다.
따라서 음성제어부(1026)는, 튜너부(1031)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스피커(1027)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스피커(1027)로부터, 선택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음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스텝 SP1075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기억매체(1029)로부터, 상기한 튜닝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는 방송 주파수를 도시하는 주파수 정보에 대응해서 기억되어 있는 콜 사인을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된 콜 사인을,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포털 서버(1003)에 송신한다.
스텝 SP1076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의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 (1002)로부터 송신된 콜 사인 및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 및 통신제어부(105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56)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56)는, 제어부(105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057)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이 유효 기한 내의 것으로,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해서 콜 사인을 송신한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다음 스텝 SP1077로 이동한다.
스텝 SP1077에 있어서, 제어부(105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수신한 콜 사인에 의거하여 URL 기억부(1059) 내의 복수의 URL 정보 중에서 해당 콜 사인에 대응된 URL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제어부(1050)는,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050)는, URL 기억부(1059)로부터, 그 검색한 URL 정보를 판독하는 동시에, 해당 판독한 URL 정보를, 인증 처리부(1056)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5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포털 서버(1003)로부터 송신된 URL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하는 동시에, URL 정보를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에 송출한다.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포털 서버(1003)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인증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 쓰도록 해서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해당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URL 정보를, 기억매체(1029)에 기억하고 있는 콜 사인에 대응시켜 기억매체(1029) 등에 일시 기억한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기억매체(1029) 등에 일시 기억된 URL 정보에 따라, 나우 온에어 정보를 취득 요구하는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수신되어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스텝 SP1078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 및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송신하는 처리가, 도31에 대해서 전술한 스텝 SP1010의 처리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스텝 SP1078의 처리에 이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 및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와 함께 포털 서버(1003)에 있어서, 도31에 대해서 전술한 스텝 SP1011 내지 스텝 SP1013 및 스텝 SP1018 내지 스텝 SP1022와 동일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 후, 이어지는 스텝 SP1079로 이동한다.
스텝 SP1079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다시, 기억매체(1029) 등에 일시 기억하고 있었던 URL 정보에 따라서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를, 이미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수신해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일시 기억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0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3)를 순차적으로 통해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에 송신한다.
스텝 SP1080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의 제어부(111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에어 정보 요구 신호와,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 및 통신제어부(11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인증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115)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115)는, 제어부(1110)의 제어하에서, 클라이언트 단 말(1002)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인증 정보 기억부(1120)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비교하도록 해서 사용자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인증 처리부(1115)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의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가 정당한 요구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10)는,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라고 인증되면, 해당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그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대하여 발행하고 있었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유효 기한을 연장시키고, 다음 스텝 SP1081로 이동한다.
스텝 SP1081에 있어서, 제어부(1110)는, 나우 온에어 정보 기억부(1119)로부터 나우 온에어 정보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인증 처리부(1115)에 의해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과 함께 통신제어부(1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13)를 순차적으로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송신한다.
스텝 SP108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는,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송신된 나우 온에어 정보와, 유효 기한이 연장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O33 및 통신제어부(103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신하고, 해당 수신한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인증 처리부(1037)에 송출하는 동시에, 나우 온에어 정보를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인증 처리부(1037)는, 제어부(1023)의 제어하에서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있어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로부터 수신된 유효 기한이 연장되어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을 그 유효 기한이 연장되기 전의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에 덮어쓰도록 하여 일시 기억함으로써, 해당 인증 정보 기억부(1038)에 대하여 이미 일시 기억하고 있는 서비스 세션 ID 정보 등의 내용을 갱신한다.
또한,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는, 제어부(1023)로부터 주어진 나우 온에어 정보를 표시 제어부(1024)를 거쳐서 표시부(1025)에 송출함으로써, 해당 표시부(1025)에 대하여,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프로그램에 관한 나우 온에어 정보를 표시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비스 제공 처리 순서에서는,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스텝 SP1079에 있어서의 나우 온에어 정보의 취득 요구를 정기적으로 반복 실행하는 동시에,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1006)가 클라이언트 단말(1002)로부터 그 취득 요구를 받아서 스텝 SP1080 및 스텝 SP1081의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서는, 현재 수신중인 라디오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명, 프로그램 방송 개시 시각, 프로그램 방송 종료 시각, 그 라디오 프로그램 내에서 현재 흐르고 있는 악곡의 타이틀, 아티스트명, 악곡 방송 개시 시각 등을 나우 온에어 정보로서 시시각각 갱신하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표시부(1025)에 표시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의 경우, 도 25에 도시한 시퀀스 도면이,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방송국 서버(32)에 의한 프로그램 리스트, 즉, 온에어 리스트의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시퀀스 도면에 있어서, 스텝 SP1O78 내지 스텝 SP1O82가 본원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대응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서는, 관련된 시스템(1000)이 제공하는 음악관련 서비스를 받도록 등록한 사용자를 확실하게 인증한 다음, 해당 사용자가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단말(2)에 대하여, 라디오 방송 등의 방송 정보에 포함되는 악곡 등의 콘텐츠에 관한 관련정보(나우 온에어 정보나 온에어 리스트 정보 등)를 취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음악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서는, 제3자가 이러한 관련정보를 취득하여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거의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실시예의 경우,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본 발명의 정보기록장치(1) 및 제1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 대해서 전술한 포털 서버(1003)는 제1실시예에 의한 통합 서비스 서버(36)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20에 대해서 전술한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1006)는 제1실시예에 의한 방송국 서버(32)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도 18에 대해서 전술한 음악 데이터 분배 서버(1004)는 제1실시예에 의한 음악분배 서버(3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 대해서 전술한 판매 서버(1005)는 제1실시예에 의한 CD 샵 서버(34)에 대응하고 있다.
그런데, 도 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에서 HTTP 메시지 프로그램(111) 및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112)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통신제어부(1032)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콘텐츠 재생 모듈(113)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엔코더/디코더부(1034)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저작권 보호정보 관리 모듈(114)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저작권 관리부(1035)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인터넷 라디오 선국 재생 모듈(118)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제어부(102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악곡구입 재생 모듈(119)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제어부(102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XML 브라우저(151)는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입력 처리부(1021) 및 페이지 정보 생성부(103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하드디스크 콘텐츠 콘트롤러(117) 및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모듈(115) 및 콘텐츠 데이터 액세스 모듈(116)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130)의 인증 라이브러리(131)는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인증 처리부(1037) 및 인증정보 기억부(1038)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라이브러리(130)의 클립 라이브러리(132)는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관련정보 표시 모듈(120)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라디오 방송 표시 제어부(1039)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튜너 선국 재생/녹음 모듈(121)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제어부(1026) 및 튜너부(1031)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오디오 사용자 인터페이스(152)는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입력 처리부(1021) 및 제어부(1023) 및 표시 제어부(1024)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CD 재생 모듈(141)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음성제어부(1026) 및 외부 기록매체 기록재생부(1028)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또한 HDD 재생 모듈(142)은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음성제어부(1026)와 같은 기능을 실현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따라서, 도 5에 대해서 전술한 하드웨어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단말장치(10)에서는, CPU(11)가 상기 각종 프로그램 모듈에 따라, 도 15에 대해서 전술한 기능 회로 블록에 의한 하드웨어 구성의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같은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은, 각 기능 블록이 각각 단말장치(10)의 프로그램 모듈에서 실현 가능한 기능을 망라하고 있음으로써,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수신가능한 방송으로서 라디오국에서 방송되는 라디오방송을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1002)이 인터넷 라디오방송이나 위성 라디오방송을 수신하여, 그 관련정보 및 라디오 방송정보를 취득하도록 하거나, 또는 텔레비전용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되는 텔레비전 방송을 수신하여, 그 텔레비전 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관한 각종 방송정보 등을 네트워크 NT1000 상의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를 단말장치(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게임기기 등의 정보처리장치, 텔레비전 수상기, 라디오방송 수신기,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 하드디스크 레코더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표시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 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을 단말장치(10)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에 실장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을 휴대전화기나 퍼스널 컴퓨터 등, 단말장치(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02) 이외의 각종 단말에 실장하도록 하여도 좋고, 이들 하드웨어 회로 블록, 기능 회로 블록 및 프로그램 모듈을 실장한 단말이면, 전술한 단말장치(1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02)과 같은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제어 프로그램을 도 6에 대해서 전술한 프로그램 모듈에 적용하도록 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 각종 구성의 표시제어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회선을 통해 취득한, 방송 콘텐츠에 관한 정보로서, 온에어 리스트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나우 온에어나, 텔레비전 방송용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정보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 정보로부터 이 리스트 정보의 일부를 특정하는 검색 키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 서술한 단말장치(10)의 통신처리부(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통신제어부(1032)를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장치가 이용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이 밖 에 각종 송신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검색 키에 따른 적어도 일부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통신처리부(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통신제어부(1032)를 적용하도록 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통신방식에 따라, 이 밖에 각종 수신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일부의 리스트 정보와, 이 일부의 리스트 정보 전후에 방송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표시 처리부(16) 및 디스플레이(17)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표시 제어부(1024) 및 표시부(1025)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극선관 및 이것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 등과 같이, 이 밖에 각종 표시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수단 상의 표시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조작 입력부(15) 및 리모트 콘트롤러(40)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조작 입력부(1020)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패드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선택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CPU(11)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21)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제어부(1023) 및 기억매체(1029)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콘텐츠의 관련 정보를 광자기 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각종 기록매체에 일시 기억하는, 이 밖의 각종 일시 기억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시수단 상의 표시정보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조작 입력부(15) 및 리모트 콘트롤러(40)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조작 입력부(1020)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패드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선택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튜너(27)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튜너부(1031)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방송이나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수신가능한 수신회로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방송 수신수단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방송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출력하는 방송 출력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단말장치(10)의 표시 처리부(16) 및 디스플레이(17)나, 클라이언트 단말(1002)의 표시 제어부(1024) 및 표시부(1025)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극선관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방송 출력수단을 널리 적 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증 기능을 가지는 인증 서버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통합 서비스 서버(36) 및 포털 서버(1003)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증기능만을 가지는 서버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인증 서버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방송국 서버(32) 및 라디오 방송정보 분배 서버(1006)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스트 정보를 제공가능하면, CD 타이틀 정보제공 서버(31)나, 텔레비전 방송국이 운영하는 서버 등과 같이, 이 밖의 각종 리스트 정보제공 서버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스트 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단말장치에 대하여 송신하는 이 리스트 정보제공 서버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 정보로서, 도 1 내지 도 26에 대해서 전술한 샵 코드를 적용하도록 했을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를 식별가능하면, 이 밖의 각종 서비스 식별 정보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전화기 등의 표시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도면의 부호의 설명]
1, 10 : 단말장치 1a : 표시부 1b : 선택부
1c : 튜너 1d : 화면 2 : 정보 서버
2a : 데이터베이스 2b : 검색 엔진 3, NT1000 : 네트워크
11 : CPU 16 : 표시처리부 17 : 디스플레이
21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22 : 통신처리부
2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7 : 튜너
31 : CD 타이틀 정보 제공 서버 32 : 방송국 서버
36 : 통합 서비스 서버 1002 : 클라이언트 단말
1003 : 포털 서버 1006 : 라디오 방송 정보 분배 서버
1023 : 제어부 1024 : 표시제어부
1025 : 표시부 1031 : 튜너부
1032 : 통신제어부 1029 : 기억매체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라디오 방송의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일자와, 시각 또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검색 키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와 해당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시간의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일시 기억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 항목과 함께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된 상기 지시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을 통하여 상기 지시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일시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지시항목과 함께 표시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선택수단을 통하여 상기 지시항목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상기 지시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을 검색 조건으로서 악곡의 리스트 정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 요구정보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고,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검색 요구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회신된, 상기 선택 수단을 통하여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의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일시 기억수단은,
    상기 검색 요구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상기 검색 키로서 일자가 지정되었을 때, 그 검색 결과로서, 지정된 상기 일자에 있어서 방송된 프로그램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프로그램의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방송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수단과,
    상기 방송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악곡을 출력하는 방송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라디오 방송의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일자와, 시각 또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검색 키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검색 키 송신 스텝과,
    상기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와 해당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시간의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항목과 함께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스텝과,
    상기 동일 화면상에 표시한 상기 지시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선택수단을 통하여 상기 지시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던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지시항목과 함께 상기 동일 화면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을 검색 조건으로서 악곡의 리스트 정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 요구정보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요구 정보 송신 스텝과,
    상기 검색 요구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회신된, 상기 선택수단을 통하여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의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해당 수신한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수신 기억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 송신 스텝은,
    인증 기능을 갖는 인증 서버, 및 리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 가능하고, 또한 상기 방송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가,
    상기 검색 키를,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간의 세션 ID인 서비스 세션 ID와 함께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와 해당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를 식별하는 서비스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인증 티켓의 발행을 요구하는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인증 서버간의 세션 ID인 인증 세션 ID와 함께 상기 인증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인증서버에 의해 인증 허가되었을 때, 상기 인증서버에 의해 발행된 상기 인증 티켓을 수신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에 대해서 인증 요구 정보를 상기 인증 티켓과 함께 송신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인증 허가되었을 때,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간의 세션 ID인 서비스 세션 ID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 키를, 상기 수신한 상기 서비스 세션 ID와 함께,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리스트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인증 허가되었을 때, 상기 검색 키에 따른 상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 송신 스텝은,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인증이 에러일 때, 인증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여,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상기 인증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한 상기 유저 ID와 패스워드의 인증이 허가되었을 때,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인증 서버간의 세션 ID인 인증 세션 ID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티켓 발행 요구 정보를, 상기 인증 세션 ID와 함께 상기 인증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현재 수신중인 상기 악곡의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소정간격 마다 송신하는 요구 정보송신 스텝과,
    상기 요구 정보에 따른 상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관련 정보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한 상기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관련 정보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9. 컴퓨터에 대해, 라디오 방송의 프로그램을 특정하기 위한 일자와, 시각 또는 시간대를 나타내는 검색 키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고,
    상기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와, 해당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시간의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검색 키로 특정된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지시항목과 함께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동일 화면상에 표시한 상기 지시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선택 수단을 통하여 상기 지시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있던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 중, 상기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상기 지시항목과 함께 상기 동일 화면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을 검색 조건으로서 악곡의 리스트 정보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 요구 정보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송신하고,
    상기 검색 요구 정보의 송신에 따라 상기 통신회선을 통해서 회신된, 상기 선택수단을 통하여 선택된 상기 지시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전 또는 후의 시간의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수신함과 동시에, 해당 수신한 상기 전 및 후의 시간의 프로그램내에서 방송된 상기 악곡의 리스트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표시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67000764A 2003-07-14 2004-05-18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0984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4302 2003-07-14
JP2003274302 2003-07-14
JPJP-P-2003-00291741 2003-08-11
JP2003291741 2003-08-11
JP2003313167 2003-09-04
JPJP-P-2003-00313167 2003-09-04
JPJP-P-2003-00337220 2003-09-29
JP2003337220 2003-09-29
PCT/JP2004/007020 WO2005006610A1 (ja) 2003-07-14 2004-05-18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291A KR20060034291A (ko) 2006-04-21
KR100984257B1 true KR100984257B1 (ko) 2010-09-30

Family

ID=3406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764A KR100984257B1 (ko) 2003-07-14 2004-05-18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73898B2 (ko)
JP (1) JP4135112B2 (ko)
KR (1) KR100984257B1 (ko)
WO (1) WO2005006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0470A1 (en) * 2003-05-06 2004-11-18 Massone Mobile Advertising Systems Limited Messaging system and service
NL1023423C2 (nl) * 2003-05-14 2004-11-16 Nicolaas Theunis Rudie Van As Systeem en methode voor onderbreking van, en koppeling van een boodschap aan, alle vormen van digitaal berichtenverkeer (zoals SMS en MMS), met toestemming van de verzender.
JP4609723B2 (ja) * 2003-07-14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0321337D0 (en) * 2003-09-11 2003-10-15 Massone Mobile Advertising Sy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s
GB2415860B (en) * 2004-06-30 2007-04-18 Nokia Corp A method of providing a radio service at a remote terminal
US7877387B2 (en) 2005-09-30 2011-01-25 Strand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onal media item selection and promotional program unit generation
CN101341748A (zh) * 2005-12-19 2009-0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管理系统
JP2007324756A (ja) * 2006-05-30 2007-12-13 Softbank Mobile Corp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サーバ
GB2435565B (en) * 2006-08-09 2008-02-20 Cvon Services Oy Messaging system
JP2008090552A (ja) * 2006-09-29 2008-04-17 Brother Ind Ltd 携帯端末
WO2008049955A1 (en) 2006-10-27 2008-05-02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ubscriber connection
GB2435730B (en) * 2006-11-02 2008-02-20 Cvon Innovations Ltd Interactive communications system
GB2436412A (en) 2006-11-27 2007-09-26 Cvon Innovations Ltd Authentication of network usage for use with message modifying apparatus
GB2440990B (en) 2007-01-09 2008-08-06 Cvon Innovations Ltd Message scheduling system
WO2008107510A1 (en) * 2007-03-07 2008-09-12 Cvon Innovations Ltd An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GB2438475A (en) 2007-03-07 2007-11-28 Cvon Innovations Ltd A method for ranking search results
GB2445630B (en) * 2007-03-12 2008-11-12 Cvon Innovations Ltd Dynamic messag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GB2441399B (en) 2007-04-03 2009-02-18 Cvon Innovations Ltd Network invitation arrangement and method
GB2448190A (en) * 2007-04-05 2008-10-08 Cvon Innovations Ltd Data delivery evaluation system
US8671000B2 (en) 2007-04-24 2014-03-11 Apple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GB2440408B (en) * 2007-05-16 2008-06-25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of messages
US20080288310A1 (en) * 2007-05-16 2008-11-20 Cvon Innovation Services Oy Methodologies and systems for mobile marketing and advertising
GB2440015B (en) * 2007-05-18 2008-07-09 Cvon Innovations Ltd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US8935718B2 (en) 2007-05-22 2015-01-13 Apple Inc. Advertis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GB2450193A (en) * 2007-06-12 2008-12-17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redits via a mobile device
GB2450144A (en) * 2007-06-14 2008-12-17 Cvon Innovations Ltd System for managing the delivery of messages
GB2448957B (en) * 2007-06-20 2009-06-17 Cvon Innovations Ltd Meht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content items to mobile terminals
GB2436993B (en) * 2007-06-25 2008-07-16 Cvon Innovations Ltd Messaging system for managing
GB2452789A (en) * 2007-09-05 2009-03-18 Cvon Innovations Ltd Selecting information content for transmission by identifying a keyword in a previous message
US20090099931A1 (en) * 2007-10-04 2009-04-16 Cvon Innovations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ssocating advertisements with web or wap pages
US20090099932A1 (en) * 2007-10-11 2009-04-16 Cvon Innovations Ltd.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network users
GB2453810A (en) * 2007-10-15 2009-04-22 Cvon Innovations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odifying Communications by Insertion of a Targeted Media Content or Advertisement
GB2455763A (en) * 2007-12-21 2009-06-24 Blyk Services Oy Method and arrangement for adding targeted advertising data to messages
GB2456184A (en) * 2008-01-07 2009-07-08 Cvon Innovations Ltd System for selecting an information provider or service provider
US7898396B2 (en) * 2008-01-24 2011-03-01 Immersion Corporation Actuating a tactile sensation in response to a sensed event
GB2461262A (en) * 2008-06-23 2009-12-30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ustomized data to user terminals
US8856879B2 (en) 2009-05-14 2014-10-07 Microsoft Corporation Social authentication for account recovery
US9124431B2 (en) 2009-05-14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vidence-based dynamic scoring to limit guesses in knowledge-based authentication
US8560583B2 (en) 2010-04-01 2013-10-1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dia fingerprinting for social networking
US9264785B2 (en) 2010-04-01 2016-02-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dia fingerprinting for content determination and retrieval
US8898217B2 (en) 2010-05-06 2014-11-25 Apple Inc. Content delivery based on user terminal events
US8504419B2 (en) 2010-05-28 2013-08-06 Apple Inc. Network-based targeted content delivery based on queue adjustment factors calculated using the weighted combination of overall rank, context, and covariance scores for an invitational content item
US9367847B2 (en) 2010-05-28 2016-06-14 Apple Inc. Presenting content packages based on audience retargeting
US9814977B2 (en) 2010-07-13 2017-11-14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upplemental 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8730354B2 (en) 2010-07-13 2014-05-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verlay 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9143699B2 (en) 2010-07-13 2015-09-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Overlay non-video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9159165B2 (en) 2010-07-13 2015-10-1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Position-dependent gaming, 3-D controller, and handheld as a remote
US9832441B2 (en) 2010-07-13 2017-11-2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Supplemental content on a mobile device
US8996402B2 (en) 2010-08-02 2015-03-31 Apple Inc. Forecasting and booking of inventory atoms in content delivery systems
US8990103B2 (en) 2010-08-02 2015-03-24 Apple Inc. Booking and management of inventory atoms in content delivery systems
US8510658B2 (en) 2010-08-11 2013-08-13 Apple Inc. Population segmentation
US8983978B2 (en) 2010-08-31 2015-03-17 Apple Inc. Location-intention context for content delivery
US8751513B2 (en) 2010-08-31 2014-06-10 Apple Inc. Indexing and tag generation of content for optimal delivery of invitational content
US8510309B2 (en) 2010-08-31 2013-08-13 Apple Inc. Selection and delivery of invitational content based on prediction of user interest
US8640032B2 (en) 2010-08-31 2014-01-28 Apple Inc. Selection and delivery of invitational content based on prediction of user intent
CN202523068U (zh) * 2012-04-11 2012-11-07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信息防护功能的成像装置
US9141504B2 (en) 2012-06-28 2015-09-22 Apple Inc. Presenting status data received from multiple devices
KR102144763B1 (ko) * 2013-05-22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부가 장치를 통한 스케줄 표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3415B2 (ja) 1992-02-04 1998-03-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認証方法
US5822123A (en) * 1993-09-09 1998-10-13 Davis; Bruce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pop-up hints
US5410698A (en) 1993-10-12 1995-04-2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loading of software libraries
US5557724A (en) * 1993-10-12 1996-09-17 Intel Corporation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selecting and playing channels having video, audio, and/or text streams
CA2140850C (en) * 1994-02-24 1999-09-21 Howard Paul Katseff Networked system for display of multimedia presentations
JPH08214282A (ja) * 1995-02-02 1996-08-20 Seiko Epson Corp 番組ガイド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番組予約システム
GB9526304D0 (en) * 1995-05-22 1996-02-21 British Sky Broadcasting Ltd Interactive services interface
JP3360495B2 (ja) 1995-08-09 2002-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端末
US6240555B1 (en) * 1996-03-29 2001-05-29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entertainment system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teractive content together with continuous video programs
US6324267B1 (en) * 1997-01-17 2001-11-27 Scientific-Atlanta, Inc. Two-tiered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for a cable data delivery system
JP3595109B2 (ja) 1997-05-28 2004-12-02 日本ユニシス株式会社 認証装置、端末装置、および、それら装置における認証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6317784B1 (en) * 1998-09-29 2001-11-13 Radiowave.Com, Inc.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for material currently and previously broadcast by a radio station
JP2000222360A (ja) * 1999-02-01 2000-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207912C (zh) 1999-04-26 2005-06-22 索尼株式会社 图像记录系统
CA2377941A1 (en) 1999-06-28 2001-01-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niche hubs
JP2001320645A (ja) 2000-05-08 2001-11-16 Sony Corp 画面選択方法及び画面選択装置
US20010037360A1 (en) * 2000-05-12 2001-11-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service at a transit terminal
US20020013950A1 (en) * 2000-07-25 2002-01-31 Tomsen Mai-Lan Method and system to save context for deferred transaction via interactive television
US7100184B1 (en) 2000-08-03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access of program guide information
JP2002077075A (ja) 2000-08-24 2002-03-15 Nippon Hoso Kyokai <Nhk> 放送番組関連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相対指定の方法、サーバ及び媒体
US7454166B2 (en) * 2003-04-25 2008-11-18 Xm Satellite Radi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rding and playback of digital media content
US8352988B2 (en) * 2000-11-27 2013-01-08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 shifting the delivery of video information
US7340761B2 (en) * 2001-02-20 2008-03-04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radio programs and related schedule information
US20020157100A1 (en) 2001-04-23 2002-10-24 Sony Corporation Electronic program guide including virtual channels for interactive television
JP2002358283A (ja) * 2001-06-01 2002-12-13 Nec Corp 利用者認証連携方法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2369094A (ja) 2001-06-12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情報取得システム、および取得方法
JP3870733B2 (ja) 2001-07-26 2007-01-24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可能な携帯通信端末、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2003046459A (ja) 2001-08-02 2003-02-14 K Laboratory Co Ltd 時刻ブックマークシステム
US7159174B2 (en) * 2002-01-16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Data preparation for media browsing
US20030172108A1 (en) * 2002-03-05 2003-09-11 Joshua Paul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file
US20040138910A1 (en) * 2002-10-30 2004-07-15 Yohichiroh Matsuno Service providing apparatu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518768B2 (ja) 2003-09-16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クライアント機器
JP2005092477A (ja) 2003-09-17 2005-04-07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取得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366461B1 (en) * 2004-05-17 2008-04-29 Wendell Brow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 recorded broadcast audio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291A (ko) 2006-04-21
JP4135112B2 (ja) 2008-08-20
WO2005006610A1 (ja) 2005-01-20
US8073898B2 (en) 2011-12-06
US20070074262A1 (en) 2007-03-29
JPWO2005006610A1 (ja) 200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257B1 (ko)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0991172B1 (ko) 정보기록장치 및 정보기록방법
KR101036588B1 (ko)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US20100175095A1 (en) Data-processing apparatus, data-processing method and data-processing program
JP4569828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11948B1 (ko) 재생장치, 정보 설정 방법, 통신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052746B1 (ko) 정보처리장치 및 통신 방법
KR100991983B1 (ko) 기록장치 및 기록 방법
KR100988578B1 (ko)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443199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067691B1 (ko)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통신방법
JP437087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