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336B1 -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336B1
KR100982336B1 KR1020100017554A KR20100017554A KR100982336B1 KR 100982336 B1 KR100982336 B1 KR 100982336B1 KR 1020100017554 A KR1020100017554 A KR 1020100017554A KR 20100017554 A KR20100017554 A KR 20100017554A KR 100982336 B1 KR100982336 B1 KR 10098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demand
product
broadcast
viewer 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휘부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광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광고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광고공사
Priority to KR102010001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7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broadcast information, e.g. scenes or extracting programme ID
    • H04H60/375Commerc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광고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송 광고 서비스는, 광고주가 언제/얼마만큼의 예산을 어떤 매체에 집행하는지가 파악되지 않으며, 판매 재고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시장의 수요가 많은 성수기에 재고가 부족하게 되기도 한다. 광고주의 수요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따라 변동이 발생하는데, 잘못된 시청률 예측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판매를 하게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광고 상품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확한 수요 예측 및 시청률 예측, 고객 세그먼트, 시장 수요에 맞는 적절한 요금 정책을 고려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 상품 판매자 입장에서는 수익을 극대화하며, 광고 상품 구매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광고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ADVERTIZEMENT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광고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광고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적합한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지상파 방송 광고 판매는, 제한된 광고 판매 재고와 고정된 요금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장의 수요를 반영하지 않고 항상 고정된 요금으로 판매되고 있다. 즉, 시청률이 높은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에 시장의 수요가 많다 하더라도 광고 요금이 고정되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없으며, 시청률이 낮은 방송 프로그램인데도 불구하고 광고 요금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 광고주(광고 회사)의 수요가 없어 판매가 되지 않는 광고 슬롯(slot)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어 재고는 있지만 수익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광고주가 언제, 얼마만큼의 예산을 어떤 매체에 집행하는지가 파악되지 않으며, 판매 재고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시장의 수요가 많은 성수기에 재고가 부족하게 되기도 한다. 광고주의 수요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따라 변동이 발생하는데, 잘못된 시청률 예측으로 인해 비효율적인 판매를 하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지상파 방송 광고 판매 시장을 점점 축소시키게 되고, 지상파의 매체 인지도 또한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광고 상품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확한 수요 예측 및 시청률 예측, 고객 세그먼트, 시장 수요에 맞는 적절한 요금 정책을 고려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광고 서비스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상품 판매자 입장에서는 수익을 극대화하고, 광고 상품 구매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광고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과, 임의의 광고 상품에 대한 수요 및 시청률을 예측하여 광고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광고 요금에 따라 광고 상품을 등록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상품이 의뢰된 후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여 타겟 광고 시청률(Target Rating Point)을 관리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클라이언트 정보가 저장되는 클라이언트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을 통해 의뢰되는 상기 광고 상품이 저장되는 광고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은, 광고 등록을 요청하는 광고주 단말 그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는, 광고주별, 판매 시장별 관점에서의 광고 수요를 예측하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향후 편성별 광고 시청률을 예측하는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와, 상기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에서 예측된 수요 및 시청률에 따라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광고 요금 결정부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광고 상품을 모니터링하는 광고 모니터링부와, 상기 광고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부와, 상기 광고 효과 분석부를 통한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타겟 광고 시청률을 관리하는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수요의 예측은, 시장에서의 광고비 총예산을 과거 비용집행 결과를 바탕으로 월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기초 정보로 하여 해당 광고주의 예상 비용 집행 및 요구 정보를 결합하여 년/반기/월 단위 신탁액을 예측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시청률의 예측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전의 제작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후의 기 설정 기간의 평균 시청률 정보를 예측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작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유형, 방송 프로그램 작가 정보, 방송 프로그램 PD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 시청률 정보는, 초기 반복 시청률, 시청자 구성의 동질성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는, 상기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도달하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는, 상기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상기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ADU(Audience Deficiency Unit)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임의의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시청률을 예측하는 과정과, 예측되는 상기 수요 및 시청률에 따라 상기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되는 상기 광고 요금을 반영한 광고 상품 패키지를 시뮬레이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방송 광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은, 시장에서의 광고비 총예산을 과거 비용집행 결과를 바탕으로 월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기초 정보로 하여 해당 광고주의 예상 비용 집행 및 요구 정보를 결합하여 년/반기/월 단위 신탁액을 예측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청률을 예측하는 과정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전의 제작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후의 기 설정 기간의 평균 시청률 정보를 예측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은, 상기 광고 상품 패키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되는 상기 광고 효과에 따른 타겟 광고 시청률을 관리하는 과정과, 관리되는 상기 타겟 광고 시청률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ADU로 보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도달하는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하는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추가적인 광고 방송을 제공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해주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고 상품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확한 수요 예측 및 시청률 예측, 고객 세그먼트, 시장 수요에 맞는 적절한 요금 정책을 고려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 상품 판매자 입장에서는 수익을 극대화하고, 광고 상품 구매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광고 구매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광고 서비스 서버(300)의 상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구체적으로 광고 계획 및 광고 제공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구체적으로 광고 모니터링 및 광고 분석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방송 광고 상품 판매에 수익경영(Revenue Management)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광고 상품 판매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적화된 광고 상품 판매를 위해서는 수요에 대한 예측, 판매하고자 하는 광고 상품(또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예측, 광고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예컨대, 광고주)에 대한 세그먼트 분류 및 가치평가,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하여 시장에서 수용 가능한 요금정책 및 가격결정을 통해 상품을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상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판매 패키지를 만들고, 이러한 단위상품 및 판매 패키지 상품들을 광고주에게 제안하여 효율적인 광고 상품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광고주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을 조합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광고 판매는 기본적으로 타겟 광고 시청률(Target Rating Point, TRP)에 대한 관리(stewardship)가 보장되므로, 계약 내용에 맞는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가 송출된 이후에는 해당 광고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니터링을 통해 광고 효과가 계약 내용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광고 효과가 계약 내용에 미달되면, ADU(Audience Deficiency Unit) 보상을 통해 보너스 방송을 제공하거나, 구매 프로그램(광고 상품) 교체를 통해 효율을 보장해 주며, 이러한 결과들은 광고주별 광고 효과 분석 자료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광고주 또는 광고 회사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통해 구매한 광고에 대한 효율 분석을 하고, 그 분석을 통해 추후 광고판매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 네트워크(200), 광고 서비스 서버(300), 클라이언트 정보 DB(302), 광고 상품 정보 DB(304), 방송 서비스 서버(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은,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들(100/1~100/N)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은, 예를 들면 셀룰러폰, 영상전화폰, 스마트폰 등의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을 지칭하거나, 데스크톱, 랩톱 등의 유선 클라이언트 단말을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네트워크(200)와 무선 접속 또는 유선 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 또는 유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클라이언트 단말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지원하는 2세대뿐만 아니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3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4세대, 또는 그 이상의 이동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환경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실제 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는, 예컨대 광고주, 광고회사 등의 광고 요청 클라이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 특히 무선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그룹(100)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의 다른 클라이언트 그룹의 호 설정 및 자원 할당에 관여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는 클라이언트 그룹(10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며, 핸드 오버 및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등을 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기지국은 노드 B(Node B),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무선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CDMA망이 아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 및 향후 구현될 모든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 예의 구성을 갖는 기지국은 신호 채널 중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으로부터 호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호 시도 메시지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을 제어하며,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 및 기지국의 송신 출력 제어, 셀(cell)간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및 하드 핸드 오버(hard hand-over)의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클록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교환기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이동 클라이언트 그룹의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한다. 교환기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200), 특히 유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인터넷(Internet)으로서,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이 후술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접속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게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고 서비스는, 광고 계획 서비스, 광고 제공 서비스, 광고 모니터링 서비스, 광고 분석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광고 계획 서비스
광고 계획 서비스는 최적의 광고 상품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상품 예측은 광고 수요 예측 과정과 광고 시청률 예측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광고 수요 예측은 매체 점유율, 계량모형, 설문조사 등의 방식을 활용하여 전체 신탁액에 대해서 수요 예측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보다 세부적인 수요 예측, 예컨대 광고주별, 판매 시장별 등 다양한 관점의 수요 예측을 통해 광고 재고 관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수요 예측은, 시장에서의 광고비 총 예산을 과거 비용집행 결과를 바탕으로 월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기초 정보로 하여 각 영업 담당자가 해당 광고주의 예상 비용 집행 및 요구(Needs) 정보를 결합하여 년/반기/월 단위 신탁액을 예측하는 절차이며, 예측된 비용과 실제 달성된 광고비를 기준으로 팀별 영업목표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수요 예측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 시계열(Arima) 및 과거 데이터 평균 분석을 통한 수요 예측
- 영업사원의 광고주별 신탁액 예상치 입력
- 입력된 영업사원의 광고주별 신탁액 예상치의 분석과 광고주별 요구(Needs) 정보 습득
- 광고 신탁액이 높은 주요 광고주별 수요 예측
- 주요 광고주별 결과를 활용한 전체 광고주 수요 예측
- 예측된 신탁액을 바탕으로 요금/할인 정책 및 영업목표 수립
신탁액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KAI(Korea Advertising Index, 광고경기 예측 지수)를 통한 예측, 시계열 통계분석을 통한 예측, 과거 평균 데이터를 통한 예측, 경제성률을 통한 예측 및 대형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가중치 적용을 통해 제공되며, 이러한 예측 데이터 외에 영업 사원의 담당 광고회사, 광고주에 대한 지속적인 접촉을 통해 월별 예상 신탁액을 확인하여 영업사원의 경험적 의견(Insight)이 포함된 예측값을 입력하여 관리되고, 이에 따라 영업목표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수요예측 모델의 지속적인 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오차율을 추적하여 보완하는 선 순환 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시청률 예측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편성별 시청률을 예측하고, 월별 시청률의 추이 및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각종 변수들의 영향도를 고려하여 보정하며, 이후 최종 예측된 시청률의 크기와 변동을 고려하여 요금/할인율을 결정하는데 활용된다. 이와 같은 광고 시청률을 예측함으로써, 가용 시청률(GRP)의 재고 수준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편성별 요금을 미리 산정할 수 있고, 가장 합리적인 수준의 타겟 광고 시청률 보장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 보장을 위해 ADU 필요시 최적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시청률 예측에 적용되는 모델은 다음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 ARIMA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 및 과거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기초 시청률 데이터 수집
- 월별 시청률 패턴을 반영한 1차 보정
- 특정 이벤트의 임팩트(Impact)를 반영한 2차 보정
- 전문가 의견(Insight)를 반영한 3차 보정
- 예측된 시청률을 바탕으로 요금/할인 정책 수립
시청률 예측은 광고 시청률의 종류 중에서 광고 회사 및 광고주의 효과 측정 기준인 '타겟별 광고 개인 시청률(TRP)'을 예측하여 판매시장(업프런트, 정기물, 임시물)에서의 판매 요금을 산정한다. 또한, 최근 4주 평균 광고 시청률을 기초 시청률 예측치로 활용하며, 프로그램 장르 중 가장 시청률의 변동성이 높은 드라마의 시청률 예측을 포커스(Focus)한다. 드라마 시청률의 예측을 위해서는 드라마 시작 전 제작 정보(예를 들어, 스타/작가/PD의 영향력, 채널 영향력, 드라마 유형 등)를 이용한 정성적 판단과, 드라마 시장 후의 일정 기간(최근 4주간) 평균 시청률 정보(예를 들어, 초기 반복 시청률, 시청자 구성의 동질성 등)를 이용한 예측에 정성적 판단을 고려하여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타겟별 예상 시청률을 기반으로 요금 및 할인율 조정에 활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광고 요금 결정 과정은, 현재의 단일 고정요금 체계를 광고주 군 세그먼트(segment)별 상이한 수요 수준에 의거하여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첫째로, 광고주의 선호 타겟 시청자(시청자층)로 광고주 군을 구분하고, 광고주 군 간 상이한 시장 수요 수준을 고려하여 요금을 결정하며, 둘째로, 시청률이 높은 광고의 CTRP 수준을 증가시켜 단위 광고의 시청률과 임팩트를 중시하는 광고주 군과 효율을 중시하는 광고주 군이 분리되어 각자 최적 광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우수물에 집중되어 있는 수요를 전체 광고로 확장시킬 수 있으며, 높은 지불의사가 있는 광고주에게는 높은 요금을, 낮은 지불의사가 있는 광고주에게는 낮은 요금을 책정할 수 있는 결과를 획득하여 수익을 최적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요금 결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기본적으로 예상 시청률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광고 요금 결정
- 광고 시장 수요의 크기와 공급 재고량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광고 요금 결정
- 시기에 따라 변동하는 시장가치를 광고 요금에 적시 반영
2. 광고 제공 서비스
광고 제공 서비스는 광고 상품을 광고주에게 판매하는 것을 말하며, 이 광고 제공 서비스에서는 광고 계획 서비스에서 구성된 광고 상품 및 해당 상품의 가격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주의 요구(Needs)에 맞는 광고 상품을 구성해서 제안을 할 수 있다. 제안을 할 때는 광고주의 타겟, 예산, 원하는 광고 효과 수준 등을 고려하여 광고주별 맞춤상품을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광고 구매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광고주별 맞춤 상품을 구성할 때는 각 상품별 여러 가지 조합을 통한 광고 구매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예상해 볼 수 있다.
3. 광고 모니터링 서비스
광고 모니터링 서비스는 판매된 광고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광고 모니터링 서비스에 의해 모니터링된 결과는 추후 광고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
4. 광고 분석 서비스
광고 분석 서비스는 광고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모니터링된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분석 서비스는, 예컨대 타겟 광고 시청률(TRP)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 대비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어떻게 획득되어 가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만일, 보장 타겟 비유 포인트보다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부족하게 되면, ADU 보상을 통해 추가적인 광고 방송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거나,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해 줌으로써 보장 TRP를 맞춰줄 수 있다. 또한, 광고주별, 상품별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 효과 분석을 통해 향후 광고 판매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서비스 서버(300)는 도 2에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광고 서비스 서버(300)는,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30), 광고 요금 결정부(32),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34), 광고 모니터링부(36), 광고 효과 분석부(38),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3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30)는 광고주별, 판매 시장별 등 다양한 관점의 광고 수요 예측과,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향후 편성별 시청률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30)는, 시장에서의 광고비 총 예산을 과거 비용집행 결과를 바탕으로 월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기초 정보로 하여 각 영업 담당자가 해당 광고주의 예상 비용 집행 및 요구(Needs) 정보를 결합하여 년/반기/월 단위 신탁액을 예측하여 광고 수요를 예측하고, 월별 시청률의 추이 및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각종 변수들의 영향도를 고려하여 광고 시청률을 예측할 수 있다.
광고 요금 결정부(32)는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30)를 통해 예측되는 광고 수요 및 광고 시청률을 토대로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34)는 이와 같이 광고 요금이 결정된 해당 광고 상품에 대해 광고 판매 상품 패키지를 시뮬레이션하여 후술하는 광고 상품 정보 DB(304)에 등록하고, 해당 광고 판매 상품을 광고 구매 상품 패키지로 시뮬레이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게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고 모니터링부(36)는 임의의 광고 상품이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 의해 결정되고 난 후, 방송 서비스 서버(400)에 의뢰된 광고 상품을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부(38)는 광고 모니터링부(36)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과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을 비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39)는 광고 효과 분석부(38)를 통해 제공되는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미달되는지를 판단하고, 미달될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ADU 보상, 예컨대 추가적인 광고 방송을 보내주거나,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이 원하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해 주는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이언트 정보 DB(302)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클라이언트 정보, 예를 들면 로그인 정보, 과거 데이터, 클라이언트별 광고 상품 구매 성향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 광고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광고 상품 정보 DB(304)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의해 구매된 광고 상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광고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취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DB들(302)(304)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방송 서비스 서버(400)는, 광고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요청되는 방송 광고 상품을 수신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송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송 서비스 서버(400)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광고 상품은 공중파, 또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구체적으로 광고 계획 및 광고 제공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광고 서비스 서버(300)의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30)는 본 실시예에 따라 방송광고 수익경영 정책을 설정하여 임의의 광고 상품에 대한 방송 광고의 수요 및 시청률을 예측한다(S310)(S312).
이후, 단계(S304)에서 광고 서비스 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측된 방송 광고 수요 및 시청률을 기반으로 광고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광고 요금이 결정되면, 광고 서비스 서버(300) 내의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34)는 광고 판매 상품 패키지를 시뮬레이션하여 광고 상품 정보 DB(304)에 등록하고(S306)(S308), 광고 구매 상품 패키지를 시뮬레이션하여 해당 방송 광고 상품을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후,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100)의 임의의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단말1(100/1)로부터 해당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구매가 결정되면, 광고 서비스 서버(300)는 방송 서비스 서버(400)로 방송 광고를 의뢰하고, 해당 광고가 방송사를 통해 송출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구체적으로 방송 광고 상품이 판매되고 난 후의 광고 모니터링 및 광고 분석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광고 서비스 서버(300)의 광고 모니터링부(26)는 해당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광고 모니터링을 수행하고(S400), 모니터링된 결과를 광고 효과 분석부(38)로 제공할 수 있다.
광고 효과 분석부(38)는 광고 모니터링부(36)를 통해 제공되는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과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을 비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S402)(S404).
이후, 광고 서비스 서버(300) 내의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39)는 광고 효과 분석부(38)를 통해 제공되는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미달되는지를 판단하고(S406), 미달될 경우에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 예컨대 클라이언트 단말1(100/1)에게 ADU 보상, 예컨대 추가적인 광고 방송을 보내주거나,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이 원하는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해 주는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S408).
이후, 광고 서비스 서버(300)는 이러한 광고 효과 분석 및 TRP 비교 결과를 클라이언트 정보 DB(302) 또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영역에 반영하여 추후 요청되는 광고 상품의 수요 예측 및 시청률 예측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광고 상품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정확한 수요 예측 및 시청률 예측, 고객 세그먼트, 시장 수요에 맞는 적절한 요금 정책을 고려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 광고 서비스 기술과, 광고 상품 판매자 입장에서 수익을 극대화하고, 광고 상품 구매자 입장에서 효율적인 광고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환경을 구현한 것이다.
100: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
200: 네트워크
300: 광고 서비스 서버
30: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
32: 광고 요금 결정부
34: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
36: 광고 모니터링부
38: 광고 효과 분석부
39: 타겟 광고 시청률(TRP) 관리부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과,
    임의의 광고 상품에 대한 수요 및 시청률을 예측하여 광고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광고 요금에 따라 광고 상품을 등록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상품이 의뢰된 후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여 타겟 광고 시청률(Target Rating Point)을 관리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는,
    광고주별, 판매 시장별 관점에서의 광고 수요를 예측하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향후 편성별 광고 시청률을 예측하는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와,
    상기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에서 예측된 수요 및 시청률에 따라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광고 요금 결정부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광고 상품을 모니터링하는 광고 모니터링부와,
    상기 광고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부와,
    상기 광고 효과 분석부를 통한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타겟 광고 시청률을 관리하는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수요의 예측은, 시장에서의 광고비 총예산을 과거 비용집행 결과를 바탕으로 월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기초 정보로 하여 해당 광고주의 예상 비용 집행 및 요구 정보를 결합하여 년/반기/월 단위 신탁액을 예측하여 구현되는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6.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과,
    임의의 광고 상품에 대한 수요 및 시청률을 예측하여 광고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광고 요금에 따라 광고 상품을 등록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상품이 의뢰된 후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여 타겟 광고 시청률(Target Rating Point)을 관리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는,
    광고주별, 판매 시장별 관점에서의 광고 수요를 예측하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향후 편성별 광고 시청률을 예측하는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와,
    상기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에서 예측된 수요 및 시청률에 따라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광고 요금 결정부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광고 상품을 모니터링하는 광고 모니터링부와,
    상기 광고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부와,
    상기 광고 효과 분석부를 통한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타겟 광고 시청률을 관리하는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시청률의 예측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전의 제작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후의 기 설정 기간의 평균 시청률 정보를 예측하여 구현되는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 유형, 방송 프로그램 작가 정보, 방송 프로그램 PD 정보인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시청률 정보는, 초기 반복 시청률, 시청자 구성의 동질성 정보인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9.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를 의뢰하는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과,
    임의의 광고 상품에 대한 수요 및 시청률을 예측하여 광고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되는 광고 요금에 따라 광고 상품을 등록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그룹의 제1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광고 상품이 의뢰된 후 방송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여 타겟 광고 시청률(Target Rating Point)을 관리하는 광고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서비스 서버는,
    광고주별, 판매 시장별 관점에서의 광고 수요를 예측하고,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향후 편성별 광고 시청률을 예측하는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와,
    상기 수요 및 시청률 예측부에서 예측된 수요 및 시청률에 따라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광고 요금 결정부와,
    상기 광고 상품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광고 상품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광고 상품을 모니터링하는 광고 모니터링부와,
    상기 광고 모니터링부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상기 광고 상품의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광고 효과 분석부와,
    상기 광고 효과 분석부를 통한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도달하는지를 관리하는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를 포함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광고 시청률 관리부는, 상기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상기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ADU(Audience Deficiency Unit) 보상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12.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장치.
  13. 삭제
  14. 임의의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시청률을 예측하는 과정과,
    예측되는 상기 수요 및 시청률에 따라 상기 방송 광고 상품에 대한 광고 요금을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되는 상기 광고 요금을 반영한 광고 상품 패키지를 시뮬레이션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방송 광고를 서비스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수요를 예측하는 과정은, 시장에서의 광고비 총예산을 과거 비용집행 결과를 바탕으로 월 단위로 예측하고, 이를 기초 정보로 하여 해당 광고주의 예상 비용 집행 및 요구 정보를 결합하여 년/반기/월 단위 신탁액을 예측하여 구현되는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률을 예측하는 과정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전의 제작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후의 기 설정 기간의 평균 시청률 정보를 예측하여 구현되는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은,
    상기 광고 상품 패키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과,
    분석되는 상기 광고 효과에 따른 타겟 광고 시청률을 관리하는 과정과,
    관리되는 상기 타겟 광고 시청률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ADU로 보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효과 분석 결과에 따라 실측 타겟 광고 시청률이 보장 타겟 광고 시청률에 도달하는지를 관리하는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하는 과정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추가적인 광고 방송을 제공하거나 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해주는 과정인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KR1020100017554A 2010-02-26 2010-02-26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98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554A KR100982336B1 (ko) 2010-02-26 2010-02-26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554A KR100982336B1 (ko) 2010-02-26 2010-02-26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336B1 true KR100982336B1 (ko) 2010-09-15

Family

ID=4301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554A KR100982336B1 (ko) 2010-02-26 2010-02-26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3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1261B2 (en) 2012-10-16 2015-05-12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Broadcast advertisement volum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50113441A (ko) * 2014-03-28 2015-10-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주 roi 측정을 위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주 roi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12204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진광고 효율적 광고마케팅을 위한 광고 매체 추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85A (ko) * 2000-07-29 2000-11-06 최노림 복수개의 제품 광고를 위한 tv 프로그램 할당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0755703B1 (ko) * 2006-01-19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률에 따른 동적 광고 할당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85A (ko) * 2000-07-29 2000-11-06 최노림 복수개의 제품 광고를 위한 tv 프로그램 할당 방법 및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0755703B1 (ko) * 2006-01-19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률에 따른 동적 광고 할당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1261B2 (en) 2012-10-16 2015-05-12 Korea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Broadcast advertisement volum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20150113441A (ko) * 2014-03-28 2015-10-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주 roi 측정을 위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주 roi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58040B1 (ko) 2014-03-28 2021-05-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주 roi 측정을 위한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광고주 roi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12204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진광고 효율적 광고마케팅을 위한 광고 매체 추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84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compensate for server-generated errors in database proprietor impression data due to misattribution and/or non-coverage
US118540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impressions corresponding to market segments
US201201915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predictive advertising tool
US20210297739A1 (en) Optimization of broadcast event effectiveness
KR100982336B1 (ko) 방송 광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schita et al. Challenges for a broadband service strategy in rural areas: A Romanian case study
US11368752B2 (en) Optimization of broadcast event effectiveness
KR102663453B1 (ko) 데이터베이스 사업자에 의한 기인오류 및/또는 논-커버리지에 대해 노출 데이터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 Cadre et al. Competition for subscribers between mobile operators sharing a limited resource
US9641387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ncreasing revenue associated with a portion of a network
WO2022183032A1 (en) Optimization of broadcast event effectiveness
Autio Matkaviestimillä vastaanotettavat joukkoviestintäpalvelut Suomessa: teknistaloudellinen analyysi
Autio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