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661B1 -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 Google Patents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661B1
KR100980661B1 KR1020080065453A KR20080065453A KR100980661B1 KR 100980661 B1 KR100980661 B1 KR 100980661B1 KR 1020080065453 A KR1020080065453 A KR 1020080065453A KR 20080065453 A KR20080065453 A KR 20080065453A KR 100980661 B1 KR100980661 B1 KR 10098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tag
cont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5424A (en
Inventor
윤승식
한태규
이치훈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주)유비더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더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유비더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65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661B1/en
Publication of KR2010000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4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단말기의 위치, 시간 및 주변에 링크된 단말기를 인식하여 개별 정보 또는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that provides individual information or interwork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terminal linked to a location, time and surroundings of a terminal in a network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또는 홍보 표지를 위한 시스템에서 동영상, 플래시, PPT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구비하는 단말기가 제공되어 광고 및 홍보를 위한 콘텐츠의 양적인 측면에서 다양해져 종래 광고 표지의 번거로운 교체의 문제가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having a display display uni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such as video, flash, PPT, etc. in the system for advertising or promotional signs is diversified in terms of content for advertising and promo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blem of the cumbersome re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sign is solved.

단말기, 근접 센서, 전자 태그 Terminals, proximity sensors, electronic tags

Description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Mobi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단말기의 위치, 시간 및 주변에 링크된 단말기를 인식하여 개별 정보 또는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that provides individual information or interwork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terminal linked to a location, time and surroundings of a terminal in a network environment.

옥내외의 광고나 홍보 영상을 표지하는 장치의 경우 표지(signage)의 부분을 교체할 것이 많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일 예는 식당 및 식품점에서 보통 볼 수 있는 표지의 형태일 것이다. 이러한 표지들은 추천 재료와 오늘의 특별 메뉴로 구성된다. 표지상에 표현된 재료는 주기적으로 변경될 것이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수작업으로 표지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주문 제작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the case of indoor or outdoor devices that display advertisements or promotional videos, a large portion of the signage is required to be replaced. One representative example would be in the form of signs commonly found in restaurants and food stores. These signs consist of recommended ingredients and a special menu of the day. The material represented on the label is required to be changed periodically. Therefore, it was a hassle to manually change the contents of the cover or make a custom ord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지의 구성을 전문적인 표지 설치의 비용을 지불하는 대신에 표지의 개별적인 부분들이 용이하고 교체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제공되는 콘텐츠의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stead of paying for the installation of the cover, the individual parts of the cover were easily sought and replaced. However, there was still a problem with the limitation of the provided content.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광고 및 홍보를 하기 위하여 건물의 내부에 여러 개의 LED로 이루어진 광고 표시판을 설치하고, 그 LED에 전류가 흐르는 순서를 지정하여 프로그램한 후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LED에 불이 켜지게 하여 광고하고자 하는 내용을 나타내게 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하지만, 일부 네온 또는 전구를 이용한 sequence control system이나 전광판 등의 장치가 있으나 극히 한정된 이미지나 문자밖에는 표현해내지 못하는 문제가 여전하였다. 또한, 특히 제한된 특정 장소에서만 단독으로 설치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장소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To compensate for this, an advertisement display pane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Ds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for advertisement and promotion, and after designing the order in which the currents flow through the LEDs, the current is applied to cause the LEDs to light up. A way to show the content of advertising was sought. However, there is a device such as a sequence control system or a display board using some neon or light bulbs, but it is still a problem that can only express extremely limited images or characters. In addition, in particular, since only a limited place is installed and operated alon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ovide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the pl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단말기 또는 공간의 식별을 위한 전자 태그를 태그 리더기가 리드(read)하여 태그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서비스 서버가 단말기에 제공하여, 단말기의 위치와 링크된 단말기 및 시간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를 단말기에서 재생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a tag reader reads an electronic tag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or space, transmits tag inform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tag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that provides a corresponding content service to a terminal, and reproduces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the terminal and time and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 또는 공간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전자 태그(22)와;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태그 리더기(24)와; 상기 태그 리더기(24)에서 수신되는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10)에서 수신된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단말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one or more electronic tags 22 for transmitting the tag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or space; One or more tag readers 24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The service server for manag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24 or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30); One or more terminals (10) for play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by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3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태그 리더기(24)와; 상기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 로 전송하는 리더기 관리 서버(26)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와;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는 미들웨어(14)와;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플레이어(1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의 내역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리더기 관리 서버(26)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를 분석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과;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기 위치에 따른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서버 매니저(36)와; 상기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상태 및 상기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기 매니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includes: the tag reader 24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A reader management server (26) for collecting the ta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ice server (30); The terminal 10 includes: the electronic tag 22 for transmitting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outside; Middleware (1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A content player (18) for play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Further, the service server 30, the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details of the content service; A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which transmits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26) to the server manager (36); A server manager 36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to the terminal 10 in response to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 terminal manager (3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status and hardware status of the terminal (10) provided to the terminal (1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 상기 리더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인식 단계와; 상기 위치 인식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지 분석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에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includes: a location recognition step of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at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An analyzing step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in the location recognizing step; Deliver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in the analyzing step;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서버 매니저(36)는,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에서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전달받은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Analyzing the received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zing step to the terminal (10);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태그 리더기(24)와;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는 미들웨어(14)와; 상기 태그 리더기(24)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를 분석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과;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플레이어(18)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기 위치에 따른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서버 매니저(36)와; 상기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상태 및 상기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기 매니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includes: the electronic tag (22)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to transmit tag information stored outside for identification of the space; The terminal 10 includes: the tag reader 24; Middleware (1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A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for transmitt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 reader (24)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24) to the server manager (36); A content player (18) for play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service; A server manager 36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to the terminal 10 in response to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 terminal manager (3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status and hardware status of the terminal (10) provided to the terminal (1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은, 상기 태그 리더기에서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인식 단계와; 상기 위치 인식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지 분석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에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includes: a location recognition step of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at the tag reader; An analyzing step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in the location recognizing step; Deliver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in the analyzing step;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서버 매니저(36)는,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에서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전달받은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데 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Analyzing the received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zing step to the terminal (10);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는 미들웨어(14)와; 근접하는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20a,20b)와; 상기 근접 센서(20a,20b)에서 상기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전송하는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과;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플레이어(18)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30)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의 내역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전송된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분석한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과;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링크된 단말기들에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서버 매니저(36)와; 상기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상태 및 상기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기 매니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10 includes: middleware 14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30;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for sensing other terminals in proximity; A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for transmitting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the middleware 14 when the proximity sensor 20a or 20b detects the other terminal; A content player (18) for play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database unit for storing details of the content service; A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for transmitt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to the server manager 36; A server manager (36)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status to the terminal (10) to reproduce a plurality of content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contents in the linked terminals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A terminal manager (3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status and hardware status of the terminal (10) provided to the terminal (1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전송된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통해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 및 순서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 과에 대응하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includes: receiving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Analyzing the quantity and order of the linked terminals through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liver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to the server manager (36);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서버 매니저(36)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전달받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Analyz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zing step to the terminal (10);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상기 콘텐츠 서비스는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매니저는 상기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service further includes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ime information, and the server manager further performs an analysis step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자 태그(22)의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상기 하나 또는 2 이상의 태그 리더기(24)와; 상기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하는 리더기 관리 서버(26)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단말기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상기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includes: one or more tag readers 24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to read the ta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22; A reader management server (26) for collecting the ta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ice server (30); The terminal 10 further includes the electronic tag 22 which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outside.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상기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말기(10)는,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상기 태그 리더기(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includes: the electronic tag (22)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to transmit the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space to the outside; Further, the terminal 10, the tag reader 24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상기 전자 태그의 인식 범위 외의 상기 링크된 단말기는, 상기 링크된 단말 기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ed terminal outside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electronic tag may play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state of playing a plurality of contents configu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또는 홍보 표지를 위한 시스템에서 동영상, 플래시, PPT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시부를 구비하는 단말기가 제공되어 광고 및 홍보를 위한 콘텐츠의 양적인 측면에서 다양해져 종래 광고 표지의 번거로운 교체의 문제가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having a display display unit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such as video, flash, PPT, etc. in the system for advertising or promotional signs is diversified in terms of content for advertising and promo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blem of the cumbersome replacement of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sign is solved.

또한, 단말기의 위치, 시간 및 링크되는 다른 단말기를 인식하여 개별 정보 또는 연동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전자 태그와 태그 리더기 및 서버를 통한 네트워크 구성이 간단하고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위치의 인식이 전자 태그와 태그 리더기에 의해 인식되므로 단말기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므로, 서비스 서버에 의해 단말기가 위치하는 장소와 시간에 맞는 광고 또는 홍보 콘텐츠를 단말기를 통해 자동으로 재생할 수 있어 광고 또는 홍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individual information or interworking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location, time and other linked terminal. That is, since the network configuration through the electronic tag, the tag reader and the server is simp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is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tag and the tag read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easy to understand. Advertisement or promotion content suitable for a place and time can be automatically played through the terminal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or promotion.

나아가, 근접 센서를 통해 다수의 단말기가 링크된 상태가 자동으로 서비스 서버에 전달되고, 서비스 서버는 링크된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분할 재생할 수 있어 콘텐츠 재생에 있어 표시부의 다양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link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can recognize the linked terminal automatically and divide and play a single content to obtain a variety of display units in content reproduction. It can be effective.

또한, 상기와 같이 링크된 단말기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 표시부가 큰 단말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단말기 표시부의 확장이 가능하여 단말기에서 재생할 콘텐츠에 따라 단말기의 다양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linked terminal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isplay unit may be expanded without having a separate terminal having a large display display unit, and thus the terminal may be variously used according to content to be played in th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Lt; Example 1 >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에서 위치를 인식하는 전자 태그(22)와 태그 리더기(24)를 단말기(10) 또는 공간의 어디에 부착하느냐에 따라 2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먼저, 단말기(10)에 전자 태그(22)가 부착되고 공간에 태그 리더기(24)를 부착하는 방식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embodiments are possible depending on where the electronic tag 22 and the tag reader 24 which recognize the position are attached to the terminal 10 or the space.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ystem in which the electronic tag 22 is attached to the terminal 10 and the tag reader 24 is attached to the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표시부(2)가 전면에 형성되고, 전자 태그(22)가 상단에 부착되어 공간에 설치되는 태그 리더기(24)에 의해 리드되어 단말기(10)의 위치가 식별된다. 근접 센서(20a,20b)가 단말기(10)의 좌, 우측에 부착되어 단말기(10)의 좌우측에서 근접하는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10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10 has a display unit 2 capable of playing contents and is form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n electronic tag 22 is attach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is led by a tag reader 24 installed in a spac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 is identified.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10 to detect other terminals approach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1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정보 및 콘텐츠 처리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 무선 AP를 구비하는 이더넷을 통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구축된다. 또한, 이더넷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IEEE 802.11의 기술을 구비하고 이를 이더넷 네트워크의 말단에 위치해 필요 없는 배선 작업과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한다. 2 is a flowchart of information and content processing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is constructed in a network environment over Ethernet with a wireless AP.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the technology of IEEE 802.11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Ethernet, and it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Ethernet network to minimize unnecessary wiring work and maintenance costs.

이하 실시예 1에 의할 경우 단말기의 위치 인식에 따른 콘텐츠 재생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1, content playback based on location recognition of a terminal will be described.

전자 태그(22)가 하나 또는 2 이상의 단말기(10)에 각각 구비되고, 태그 리더기(24)가 하나 또는 2 이상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태그 리더기(24)가 리드한 전자 태그(22)의 태그 정보는 리더기 관리 서버(26)로 수집되고, 서비스 서버(30)와 무선 통신하는 리더기 관리 서버(26)가 서비스 서버(30)로 태그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수신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단말기(10)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상기 실시예 1에 이용되는 전자 태그(22)는 RF 신호가 들어오면 위상이나 진폭 등을 변조하여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더로 되돌려 주는 RFID 태그가 될 수 있다. 또한, 태그 리더기(24)는 RFID 태그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ID 리더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일정 범위 내에서 감지 역할을 수행하는 센서와 센서의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센서와 송수신하는 기기가 응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electronic tag 22 is provided in one or two or more terminals 10, respectively, and the tag reader 24 is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spaces, respectively. The ta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22 led by the tag reader 24 is collected by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26, and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26, which is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is tagged with the service server 30. Send the information. And the service server 30 is built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10 to 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The electronic tag 22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n RFID tag that modulates a phase or an amplitude when an RF signal is input to return data stored in the tag to a reader. In addition, the tag reader 24 may be an RFID read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sensor that performs a sensing role within a certain range and a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sensor to read information of the sensor may be applied.

전자 태그(22)는 단말기(10)의 식별을 위한 태그 정보를 저장하며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한다. 송출된 태그 정보는 태그 리더기(24)에서 리드(read) 되고, 태그 리더기의 정보를 수집한 리더기 관리 서버가 태그 정보를 서비스 서버(3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30)에서 각각의 단말기(10)는 전자 태그(22)에 저 장된 태그 정보에 의해 식별된다.The electronic tag 22 stores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10 and transmits tag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sent tag information is read by the tag reader 24, and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which collects the tag reader information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In this case, each terminal 10 in the service server 30 is identified by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tag 22.

단말기(10)는 미들웨어(14) 및 콘텐츠 플레이어(18)로 구성되어 서비스 서버(30)와 무선 통신 되면서 서비스 서버(30)에서 수신한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RFID와 같은 위치 인식 센서를 통해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설정한 동영상, 플래시, PPT 등과 같은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한다.The terminal 10 may be composed of the middleware 14 and the content player 18 to play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30 while be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The terminal 10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a location recognition sensor such as RFID, and automatically plays back the contents such as a set video, flash, PPT, and the like.

미들웨어(14)는 서비스 서버(30)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며 서비스 서버(30)의 서비스를 수신하고 단말기(10)의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모듈이다. 실시예에서의 미들웨어(14)는 RFID 미들웨어(14)를 포함하며, RFID 리더에서 계속 발생하는 식별코드 데이터를 수집, 제어,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모든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계층적으로 조직화되고 분산된 구조의 미들웨어(14)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서로 통신한다.The middleware 14 is a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a network, receives a service of the service server 30,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The middleware 14 in the embodiment includes the RFID middleware 14, and functions to collect, control, and manage identification code data continuously occurring in the RFID reader, and is hierarchically organized and distributed in connection with all components. A middleware 14 network having a structured structur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콘텐츠 플레이어(18)는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서버(30)의 서버 매니저(36)의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The content player 18 play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server manager 36 of the service server 30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서비스 서버(30)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 서버 매니저(36) 및 단말기 매니저(38)로 구성되어, 태그 리더기(24)에서 수신되는 태그 정보와 단말기(10)에서 수신된 단말기(10)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를 판단하고 시간, 공간에 따라 재생할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한다.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a server manager 36, and a terminal manager 38, and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24 and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10)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 through the information and manages the content service to be played according to time and space.

상기 콘텐츠 서비스는 단말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10) 위치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와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ent service may include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information.

도 4a는 단말기의 위치 인식 및 위치 변경의 단말기 위치 정보에 따른 회로 흐름도이고, 도 4b는 단말기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 변경에 따른 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기존 위치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다가 단말기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에 전자 태그(22)의 태그 정보가 태그 리더기(24)에 의해 리드 되고 상기 태그 정보가 리더기 관리 서버(26)를 통해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로 전달된다. 4A is a circuit flow diagram illustrat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change of a terminal according to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FIG. 4B illustrates a content reproduction state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change. Referring to FIG. 4A, when the terminal plays content corresponding to an existing loc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changes, ta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22 is read by the tag reader 24 and the tag information is read. It is communicated to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via the management server 26.

즉, 단말기가 태그 리더기(24)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 있으면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에서 단말기의 위치인식을 불가하다는 단말기 위치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고 서버 매니저는 단말기가 기본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단말기가 태그 리더기(24)의 감지 범위 내에서 위치 인식되고 기존 태그 리더기에서 감지되는 경우에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 이에 해당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여, 서버 매니저는 단말기가 기존 위치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단말기가 다른 태그 리더기의 감지 범위 내로 진입하면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 이에 해당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서버 매니저로 전달하여 해당 콘텐츠 서비스를 단말기에 제공되게 하여 단말기는 변경된 위치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That is, if the terminal is outside the range that the tag reader 24 can detect,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transmits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cannot be recognized. The terminal provides a content service to play basic content. Next, when the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tag reader 24 and is detected by the existing tag reader,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transmits correspond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Thus, the server manager provides a content service for the terminal to 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location. Finally, when the terminal enters the detection range of the other tag reader,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delivers the correspond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to provide the corresponding content service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is changed to the changed locatio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played.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기 위치 정보가 "로비"이고 시간 정보가 "AM 09:30"인 상태에서 "환영인사" 콘텐츠를 로비에서 재생하다가 시간 정보만이 "AM 10:00" 로 변경되면 "홍보영상" 콘텐츠를 로비에서 재생하도록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한다. 또한, 단말기 위치 정보가 "식당 앞"이고 시간 정보가 "AM 11:50"이면 "식단정보" 콘텐츠를 식당 앞에서 재생하도록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4B, when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lobby" and the time information is "AM 09:30", the "welcome greeting" content is played in the lobby while only the time information is changed to "AM 10:00". Promote the content service to play the promotional video content in the lobby.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in front of the restaurant" and the time information is "AM 11:50", the content service is managed to reproduce the "food information" content in front of the restaurant.

상기와 같은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 리더기 관리 서버(26)에서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인식 단계와, 상기 위치 인식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지 분석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에서 상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may include a location recognition step of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at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26 and an analysis step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at the location recognition step; And in the analyzing step, deliver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서버 매니저(36)는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와 전달받은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단말기(10)별로 위치, 시간 조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10)에 재생할 콘텐츠의 관리 및 배포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es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alyzes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and analyzes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sis step.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10; Configured to perform. Thus, each terminal 1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ervice including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content to be played to each terminal 10 according to a location and a time condition.

단말기 매니저(38)는 단말기(10)의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manager 38 monitors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of the terminal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이하 실시예 1에 의할 경우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에 대해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ontent playback according to a linked terminal state will be described.

단말기(10)는 근접 센서(20a,20b),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 미들웨어(14) 및 콘텐츠 플레이어(18)로 구성되어 서비스 서버(30)와 무선 통신 되면서 서비스 서버(30)에서 수신한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RFID와 같은 위치 인식 센서를 통해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설정한 동영상, 플래시, PPT 등과 같은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한다. 미들웨어(14)와 콘텐츠 플레이어(18)의 구성, 작동은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The terminal 1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20a, 20b, a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a middleware 14, and a content player 18,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30 in the service server 30. The received content service can be played back. The terminal 10 recognizes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a location recognition sensor such as RFID, and automatically plays back the contents such as a set video, flash, PPT, and the lik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iddleware 14 and the content player 18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근접 센서(20a,20b)는 단말기(10)의 좌,우에서 링크되는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고, 근접 센서(20a,20b)에서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면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는 서비스 서버(30)로 전송되어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분석된다. IR, BLUETOOTH와 같은 근접 센서(20a,20b)를 통해 현재 재생 중인 단말기(10)에 N개의 단말기(10)를 연결하면 링크된 단말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N분할 화면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서비스는 본래 하나의 콘텐츠를 늘려서 부분별로 N분할하고, N개로 분할된 콘텐츠를 N개의 단말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방식 또는 본래 하나의 제1콘텐츠와 N개 제2콘텐츠를 각각 구비하고 N개의 제2콘텐츠가 합쳐지면 상기 제1콘텐츠가 완성되게 하여 N개의 단말기가 링크되면 상기 제2콘텐츠를 재생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detect other terminals link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10, and when the other sensors are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the linked terminals are linked by the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 and analyzed by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When N terminals 10 are connected to the currently playing terminal 10 through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such as IR and BLUETOOTH, the linked terminal may be automatically recognized to play contents composed of N split screens. At this time, the content service originally expands one piece of content and divides the content into parts, and divides the N-divided content into N terminals or has one first content and N second contents, respectively, and each of N pieces of content. When the two contents are combined, the first content is completed, and when N terminals are linked, various methods such as playing the second content may be applied.

도 3a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른 회로 흐름을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링크된 단말기가 콘텐츠를 분할하여 재생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바, 개별 단말기(10b)에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다가 4개의 단말기(10a,10b,10c,10d)가 링크되면 서비스 서버(30)의 서버 매니저(36)는 상기 콘텐츠가 4분할 화면으로 구성되게 하여 링크된 4개의 단말기(10a,10b,10c,10d)가 하나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콘 텐츠 서비스를 4개의 단말기(10a,10b,10c,10d)에 제공한다. 즉, 근접 센서가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면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단말기 간의 링크 여부를 판독하는데, 단말기 간의 링크기 되지 않으면 개별 단말기 콘텐츠를 재생한다. 하지만, 단말기의 링크가 인식되면, 링크된 단말기 인식정보가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14)에 전송된다.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14)에서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 및 순서를 파악하여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한다. 서버 매니저(36)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링크된 단말기 설정 내역에 합당하는 콘텐츠 서비스가 있는지 작동한다. 설정 내역에 합당하는 콘텐츠 서버가 존재하면 단말기로 콘텐츠 서비스를 전송하여 단말기에서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기는 개별 콘텐츠를 재생한다.FIG. 3A illustrates a circuit flow according to linked terminal information, and FIG. 3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linked terminal divides and plays the content, and the individual terminal 10b reproduces the content. When the ten terminals 10a, 10b, 10c, and 10d are linked, the server manager 36 of the service server 30 causes the contents to be divided into four divided screens, and thus linked four terminals 10a, 10b, 10c, and 10d. Provides a content service capable of playing one piece of content to the four terminals 10a, 10b, 10c, and 10d. That is, 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nother terminal,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reads whether the link is between the terminals. If the proximity sensor does not link between the terminals, individual terminal contents are played. However, if the link of the terminal is recognized,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14.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14 detects the quantity and order of the linked terminals and transmit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The server manager 36 analyze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to operate whether there is a cont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linked terminal setting details. If there is a content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tting details, the content servic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o 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If not, the terminal plays the individual content.

서비스 서버(30)는 상기와 같이 서버 매니저(36)와 단말기 매니저(38)를 구비하고,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 및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을 더 포함하여 단말기(10)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고 시간, 공간 및 링크된 단말기의 조건에 따라 재생할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한다.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server manager 36 and a terminal manager 38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includes a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and a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Determines the deployment status of and manages the content service to play according to the time, space and conditions of the linked terminal.

상기 콘텐츠 서비스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와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ent service may include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a linked terminal state corresponding to linked terminal information and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ime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전송된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통해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 및 순서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receives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and the quantity of terminals linked through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alyzing the order and deliver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to the server manager 36.

서버 매니저(36)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와 전달받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각각의 단말기(10)별로 시간 및 링크된 단말기의 조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10)에 재생할 콘텐츠의 관리 및 배포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e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and analyzes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and the content serv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nalysis step.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10); Configured to perform. Thus, each terminal 1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service including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content to be played to each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condition of the linked terminal.

단말기 매니저(38)는 단말기(10)의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manager 38 monitors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of the terminal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단말기(10) 1대가 기존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를 이하 설명한다. A case in which one terminal 10 enters another space from an existing space will be described below.

서버 매니저(36)에서 단말기(10)에 미리 지정된 기본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 공간에 설치된 태그 리더기(24)가 주기적으로 태그 인지 범위 내에 있는 단말기(10) 식별 전자 태그(22)를 리드한다.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이 기존에 인식되었던 태그 정보와 현재 인식된 태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정보의 변동이 없으면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지만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새로 인식된 태그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The server manager 36 causes the terminal 10 to play the predetermined basic content. The tag reader 24 installed in the space periodically reads the terminal 10 identification electronic tag 22 within the tag recognition range.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compares the previous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with the current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information,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does nothing. However, if there is a change, the new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anager 36.

이때 서버 매니저(36)에서는 재생할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부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정하고, 공간에 하나의 단말기(10)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단말기(10)에 콘텐츠 서비스를 전송한다. 이 경우 공간에 진입한 단말기(10)는 전송받은 콘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활성화한다.At this time, the server manager 36 modifies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of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and transmits the content service to the terminal 10 to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one terminal 10 exists in the space. In this case, the terminal 10 entering the space activat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service.

단말기(10) 1대가 공간에 추가 진입한 경우의 흐름을 이하 설명한다.The flow in the case where one terminal 10 further enters the space will be described below.

태그 리더기(24)가 주기적으로 태그 인지 범위 내에 있는 전자 태그(22) 리드한다.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이 기존에 인식되었던 태그 정보와 현재 인식된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변동이 있는지 확인한다. 변동사항이 없는 경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인식된 태그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 매니저(36)는 재생할 콘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부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정한다. 서버 매니저(36)는 진입된 공간에 하나의 단말기(10)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추가로 진입한 단말기(10)에 전송하고, 추가로 진입한 단말기(10)는 콘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The tag reader 24 periodically reads the electronic tag 22 within the tag recognition range.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compares the previous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with the current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hange. If there is no change,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does nothing. However, if there is a change,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anager 36. At this time, the server manager 36 modifies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played. The server manager 36 transmits a cont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one terminal 10 exists in the entered space to the additionally entered terminal 10, and the additionally entered terminal 10 transmits to the content service. 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각각의 단말기(10)는 좌, 우측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20a,20b)는 통해 각각의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신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다른 단말기가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호링크되면 근접 센서(20a,20b)는 다른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이 감지된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서비스 서버(30)의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로 전송하고,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은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과 순서를 분석한 링크된 단말기 분석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한다. 서버 매니저(36)는 전달받은 링크된 단말기 분석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수정하고, 해당 공간에 진입한 단말기(10)의 개수에 해당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각각의 단말기(10)에 전송하면 각각의 단말기(10)는 지정된 콘텐츠를 재생한다.Each terminal 10 periodically transmits unique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10 through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performs a reception standby state. When other terminals are located in close proximity and are interlinked, the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sense uniqu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s. At this time,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transmits the detected uniqu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to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of the service server 30,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is linked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quantity and order of the terminal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anager 36. The server manager 36 modifie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linked terminal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s a cont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10 entering the corresponding space to each terminal 10. Each terminal 10 then plays the designated content.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제2단말기(10b)의 근접 센서(20a)가 근접하는 제3단말기(10c)를 감지하고 근접 센서(20b)에서 제1단말기(10a)를 감지한다. 그리고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좌측의 제1단말기(10a)와 우측의 제3단말기(10c)를 인식하고, 제1단말기(10a)의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는 우측에 제2단말기(10b)를 인식하고, 제3단말기(10c)의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는 좌측에 제2단말기(10b)를 인식한다.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들은 서비스 서버(30)의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수신되어 링크된 단말기 개수를 3개로 분석된다. 그리고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중앙에는 제2단말기(10b)가 배치되고, 좌측에는 제1단말기(10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제3단말기(10c)가 배치되는 상태로 분석한다. 따라서, 제1공간에 위치하는 3개의 단말기(10a,10b,10c)는 상호 연동하는 링크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first, the proximity sensor 20a of the second terminal 10b detects the third terminal 10c in proximity, and the proximity sensor 20b detects the first terminal 10a. . In addition,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recognizes the first terminal 10a on the left side and the third terminal 10c on the right side, and in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of the first terminal 10a, The second terminal 10b is recognized, and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of the third terminal 10c recognizes the second terminal 10b on the left side.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of the service server 30 and analyzed as the number of linked terminals. In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the second terminal 10b is disposed at the center, the first terminal 10a is disposed at the left side, and the third terminal 10c is disposed at the right side. Therefore, the three terminals 10a, 10b, and 10c located in the first space play the linked content which is interoperable with each other.

상기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는 상기 전자 태그의 인식 범위를 외의 상기 링크된 단말기도 상기 콘텐츠를 분할 재생하는바, 제3단말기(10c)의 제 3 전자 태그(22c)가 인식 범위를 벗어나 제 1 태그 리더기(24a)가 위치 정보를 알지 못하지만, 링크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3단말기(10c)가 제2단말기(10b)의 우 측에 링크되어 위치한다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3단말기(10c)는 제1공간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In the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state, the linked terminal other than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electronic tag divides and reproduces the content, so that the third electronic tag 22c of the third terminal 10c is out of the recognition range. Although the first tag reader 24a does not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third terminal 10c using the information that the third terminal 10c is located linked to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terminal 10b using the linked information. ) Can be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실시예 2><Example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표시부(2)가 전면에 형성되고, 태그 리더기(24)가 상단에 부착되어 공간에 설치되는 전자 태그(22)에 의해 리드되어 단말기(10)의 위치가 식별된다. 근접 센서(20a,20b)가 단말기(10)의 좌, 우측에 부착되어 단말기(10)의 좌우측에서 근접하는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10 of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terminal 10 has a display unit 2 capable of playing content, and a tag reader 24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and is led by an electronic tag 22 installed in a spac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 is identified.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are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10 to detect other terminals approach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1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정보 및 콘텐츠 처리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태그 리더기(24)가 하나 또는 2 이상의 단말기(10)에 각각 구비되고, 전자 태그(22)가 하나 또는 2 이상의 공간에 각각 설치된다. 태그 리더기(24)가 리드한 전자 태그(22)의 태그 정보는 서비스 서버(30)와 무선 통신하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이 서비스 서버(30)로 태그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30)는 수신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단말기(10)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7 is a flowchart of information and content processing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 tag reader 24 is provided in one or two or more terminals 10, respectively, and an electronic tag 22 is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spaces, respectively. The ta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22 read by the tag reader 24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by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which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service server 30. And the service server 30 is built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10 to 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이하 실시예 2에 의할 경우 단말기의 위치 인식에 따른 콘텐츠 재생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tent playback according to location recognition of a terminal will be described.

전자 태그(22)는 단말기(10)의 식별을 위한 태그 정보를 저장하며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한다. 송출된 태그 정보는 태그 리더기(24)에서 리드(READ) 되고, 태그 리더기(24)가 태그 정보를 서비스 서버(30)에 전송한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30)에서 각각의 단말기(10)는 전자 태그(22)에 저장된 태그 정보에 의해 식별된다.The electronic tag 22 stores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10 and transmits tag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e sent tag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tag reader 24, and the tag reader 24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In this case, each terminal 10 in the service server 30 is identified by tag inform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tag 22.

단말기(10)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 미들웨어(14) 및 콘텐츠 플레이어(18)로 구성되어 서비스 서버(30)와 무선 통신 되면서 서비스 서버(30)에서 수신한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한다. The terminal 10 is composed of a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middleware 14, and a content player 18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30 to play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30. .

미들웨어(14)는 서비스 서버(30)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며 서비스 서버(30)의 서비스를 수신하고 단말기(10)의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모듈이다.The middleware 14 is a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a network, receives a service of the service server 30,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콘텐츠 플레이어(18)는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서버(30)의 서버 매니저(36)의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The content player 18 play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server manager 36 of the service server 30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서비스 서버(30)는 서버 매니저(36) 및 단말기 매니저(38)로 구성되어, 태그 리더기(24)에서 수신되는 태그 정보와 단말기(10)에서 수신된 단말기(10)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위치상태를 판단하고 시간, 공간의 조건에 따라 재생할 콘텐츠를 관리한다.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server manager 36 and a terminal manager 38. The service server 30 includes a terminal 10 through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24 and terminal 10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Determines the state of the location and manages the content to be play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ime and space.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은 리더기 관리 서버(26)에서 수신한 태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생성되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한다.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analyzes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26 and transmit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o the server manager 36.

서버 매니저(36)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에서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각각의 단말기(10)별로 위치, 시간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10)에 재생할 콘텐츠의 관리 및 배포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e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and includes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content to be played on each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ime for each terminal 10. Perform a function to provide a service.

단말기 매니저(38)는 단말기(10)의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manager 38 monitors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of the terminal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이하 실시예 2에 의할 경우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재생에 대해 설명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content reproduction according to a linked terminal state will be described.

전자 태그가 설치된 단말기(10)는 근접 센서(20a,20b),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 미들웨어(14) 및 콘텐츠 플레이어(18)로 구성되어 서비스 서버(30)와 무선 통신 되면서 서비스 서버(30)에서 수신한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한다. The terminal 10 equipped with the electronic tag is composed of a proximity sensor 20a, 20b, a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a middleware 14 and a content player 18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at 30 is played back.

근접 센서(20a,20b)는 단말기(10)의 좌,우에서 근접하는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고, 근접 센서(20a,20b)에서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면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서비스 서버(30)로 전송되어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분석된다.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detect other terminals near each other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erminal 10, and when the other sensors are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the linked terminals are linked by the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30 and analyzed by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미들웨어(14)는 서비스 서버(30)와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통신하며 서비스 서버(30)의 서비스를 수신하고 단말기(10)의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하는 모듈이다.The middleware 14 is a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a network, receives a service of the service server 30, and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콘텐츠 플레이어(18)는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서비스 서버(30)의 서버 매니저(36)의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The content player 18 play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server manager 36 of the service server 30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서비스 서버(30)는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 서버 매니저(36) 및 단말기 매니저(38)로 구성되어, 태그 리더기(24)에서 수신되는 태그 정보와 단말기(10)에서 수신된 단말기(10) 정보를 통해 단말기(10)의 배치상태를 판단하고 시간, 공간 및 링크된 단말기의 조건에 따라 재생할 콘텐츠를 관리한다.The service server 30 is composed of a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a server manager 36, and a terminal manager 38, and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ag reader 24 and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 ( 10)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erminal 10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to be played is managed according to time, space, and conditions of the linked terminal.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은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전송된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를 통해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 및 순서를 분석하고, 분석결과 생성된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한다.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analyzes the quantity and order of the linked terminals through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and analyze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server manager ( To 36).

서버 매니저(36)는 단말기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아 각각의 단말기(10)별로 시간 및 링크된 단말기의 조건에 따라 각각의 단말기(10)에 재생할 콘텐츠의 관리 및 배포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rver manager 36 receive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and manages contents to be played in each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time of each terminal 10 and the conditions of the linked terminal. And providing a service including distribution.

단말기 매니저(38)는 단말기(10)의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서비스 상태 및 하드웨어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terminal manager 38 monitors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of the terminal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service state and the hardware state.

단말기(10) 1대가 기존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진입하는 경우를 이하 설명한다. A case in which one terminal 10 enters another space from an existing space will be described below.

서버 매니저(36)에서 단말기(10)에 미리 지정된 기본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 단말기(10)에 설치된 태그 리더기(24)가 주기적으로 태그 인지 범위 내에 있는 공간 식별 전자 태그(22)를 리드한다.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이 기 존에 인식되었던 태그 정보와 현재 인식된 태그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정보의 변동이 없으면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은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지만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새로 인식된 태그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The server manager 36 causes the terminal 10 to play the predetermined basic content. The tag reader 24 installed in the terminal 10 periodically reads the spatial identification electronic tag 22 within the tag recognition range.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compares the previous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with the current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information,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performs no operation. If there is a change, however, the new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anager 36.

이때 서버 매니저(36)에서는 재생할 콘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부의 단말기 위치 정보를 수정하고, 공간에 하나의 단말기(10)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단말기(10)에 전송한다. 이 경우 공간에 진입한 단말기(10)는 전송받은 콘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활성화한다.At this time, the server manager 36 modifies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and transmits a cont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one terminal 10 exists in the space to the terminal 10. In this case, the terminal 10 entering the space activat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ent service.

단말기(10) 1대가 공간에 추가 진입한 경우의 흐름을 이하 설명한다.The flow in the case where one terminal 10 further enters the space will be described below.

태그 리더기(24)가 주기적으로 태그 인지 범위 내에 있는 전자 태그(22) 리드한다.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이 기존에 인식되었던 태그 정보와 현재 인식된 태그 정보를 비교하여 변동이 있는지 확인한다. 변동사항이 없는 경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은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다. 하지만,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인식된 태그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송한다. 이때 서버 매니저(36)는 재생할 콘텐츠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부의 단말기 위치 정보로 정보를 수정한다. 서버 매니저(36)는 진입된 공간에 하나의 단말기(10)가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추가로 진입한 단말기(10)에 전송하고, 추가로 진입한 단말기(10)는 콘텐츠 서비스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재생한다.The tag reader 24 periodically reads the electronic tag 22 within the tag recognition range.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compares the previous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with the currently recognized tag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hange. If there is no change,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does nothing. However, if there is a change, the recognized ta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anager 36. At this time, the server manager 36 modifies the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The server manager 36 transmits a cont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one terminal 10 exists in the entered space to the additionally entered terminal 10, and the additionally entered terminal 10 transmits to the content service. Play the corresponding content.

각각의 단말기(10)는 좌, 우측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20a,20b)는 통해 각각 의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신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다른 단말기가 근접하여 위치하면 근접 센서(20a,20b)는 다른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감지한다. 이때,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이 감지된 단말기(10)의 고유 정보를 서비스 서버(30)의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로 전송하고,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은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과 순서를 분석한 링크된 단말기 분석 정보를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한다. 서버 매니저(36)는 전달받은 링크된 단말기 분석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의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수정하고, 해당 공간에 진입한 단말기(10)의 개수에 해당하는 콘텐츠 서비스를 각각의 단말기(10)에 전송하면 각각의 단말기(10)는 지정된 콘텐츠를 재생한다.Each terminal 10 periodically transmits unique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10 through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performs a reception standby state. When other terminals are located in proximity, the 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detect unique information of the other terminals. At this time,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transmits the detected uniqu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to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of the service server 30,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is linked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information analyzing the quantity and order of the terminals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manager 36. The server manager 36 modifie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of the database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linked terminal analysis information, and transmits a content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10 entering the corresponding space to each terminal 10. Each terminal 10 then plays the designated content.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말기(10b)의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좌측의 제1단말기(10a)와 우측의 제3단말기(10c)를 인식하고, 제1단말기(10a)의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는 우측에 제2단말기(10b)를 인식하고, 제3단말기(10c)의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는 좌측에 제2단말기(10b)를 인식한다. 링크된 단말기 인식 정보들은 서비스 서버(30)의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수신되어 링크된 단말기 개수를 3개로 분석된다. 그리고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에서 중앙에는 제2단말기(10b)가 배치되고, 좌측에는 제1단말기(10a)가 배치되고, 우측에는 제3단말기(10c)가 배치되는 상태로 분석한다. 따라서, 제1공간에 위치하는 3개의 단말기(10)는 상호 연동하는 링크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제3단말기(10c)의 제 3 전자 태그(22c)가 인식 범위를 벗어나 제 1 태그 리더기(24a)가 위치 정보를 알지 못하지만, 링크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3단말 기(10c)가 제2단말기(10b)의 우측에 링크되어 위치한다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3단말기(10c)는 제1공간에 위치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of the second terminal 10b recognizes the first terminal 10a on the left side and the third terminal 10c on the right side.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of the first terminal 10a recognizes the second terminal 10b on the right side, and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of the third terminal 10c recognizes the second terminal 10b on the left side. Recognize).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of the service server 30 and analyzed as the number of linked terminals. In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the second terminal 10b is disposed at the center, the first terminal 10a is disposed at the left side, and the third terminal 10c is disposed at the right side. Therefore, the three terminals 10 located in the first space play the linked content which is interoperabl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although the third tag 22c of the third terminal 10c is out of the recognition range and the first tag reader 24a does not know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third terminal 10c may use the linked information. The third terminal 10c may be determin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space by using information that the link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terminal 10b.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당해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rminal 10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정보 및 콘텐츠 처리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information and content processing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른 회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flow according to linked terminal information.

도 3b는 링크된 단말기가 콘텐츠를 분할하여 재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ed terminal divides and plays content.

도 4a는 단말기의 위치 인식 및 위치 변경의 단말기 위치 정보에 따른 회로 흐름도이다.4A is a circuit flowchart of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location recognition and location change of a terminal.

도 4b는 단말기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 변경에 따른 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reproduction state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change of terminal posi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단말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10 of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정보 및 콘텐츠 처리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information and content processing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단말기 12: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0: terminal 12: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4:미들웨어 20a,20b:근접 센서14: middleware 20a, 20b: proximity sensor

22:전자 태그 24:태그 리더기22: Electronic tag 24: Tag reader

26:리더기 관리 서버 30:서비스 서버26: reader management server 30: service server

16, 32: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 16, 32: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4: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 36:서버 매니저34: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6: server manager

36:단말기 매니저36: terminal manager

Claims (16)

서비스 서버와 단말기가 네트워크 통신하여 서비스 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에 있어서,A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in which a service server and a terminal communicate with a network to play content on the terminal under control of a service server.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단말기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전자 태그(22)와;One or more electronic tags (22) installed in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outside;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태그 리더기(24)와;One or more tag readers 24 installed in the space and leading the tag information;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한 상기 태그 리더기(24)의 위치에 기초한 상기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단말기(10)가 인접한 단말기와 통신하여 수신한 인접한 단말기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30)와;To linked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ag reader 24 that read the tag information and adjac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10 in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terminal. The service server 30 managing content services accordingly;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단말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One or more terminals (10) for play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by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30); Removab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comprising a. 서비스 서버와 단말기가 네트워크 통신하여 서비스 서버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에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에 있어서,A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in which a service server and a terminal communicate with a network to play content on the terminal under control of a service server. 하나 또는 2 이상의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전자 태그(22)와;An electronic tag (22) installed in one or more spaces and transmitting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space to the outside; 상기 단말기(10)에 설치되고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태그 리더기(24)와;One or more tag readers 24 installed in the terminal 10 and leading the tag information; 상기 태그 리더기(24)가 리드한 상기 태그 정보에 기초한 상기 단말기(10)의 위치 정보 및 인접한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10)가 수신한 인접한 단말기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콘텐츠 서비스를 관리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30)와;Content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read by the tag reader 24 and adjac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erminal 10 in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terminal. The service server 30 managing a service;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여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단말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One or more terminals (10) for playing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by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server (30); Removab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태그 리더기(24)와;The tag reader 24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상기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하는 리더기 관리 서버(26)를; 구비하고,A reader management server (26) for collecting the ta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ice server (30); Respectively, 상기 단말기(10)는,The terminal 10, 상기 단말기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와;The electronic tag (22) for transmitting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outside;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는 미들웨어(14)와;Middleware (1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플레이어(18)를; 더 포함하고,A content player (18) for play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Including more, 상기 서비스 서버(30)는,The service server 30, 상기 콘텐츠 서비스의 내역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와;A database unit storing the details of the content service; 상기 리더기 관리 서버(26)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태그 리더기(24)의 감지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단말기(10)의 태그 정보로부터 상기 단말기(10)가 위치하는 공간을 나타내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과;The terminal location indicating the space where the terminal 10 is located from the tag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 located within the detection range of the tag reader 24 by analyzing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26. A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for extracting information; 단말기 위치에 따른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서버 매니저(36)와;A server manager 36 which transmits the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to the terminal 10; 상기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상태 및 상기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기 매니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 terminal manager (3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status and hardware status of the terminal (10) provided to the terminal (10); Removab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comprising a.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은,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상기 리더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at the reader management server; 상기 태그 리더기가 리드한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지 분석하는 단계와;Analyz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read by the tag reader;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Deliver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서버 매니저(36)는,The server manager 36,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32)에서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Receiv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32); 전달받은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Analyzing the received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zing step to the terminal (10);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를; 구비하고,An electronic tag (22)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for transmitting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space; Respectively, 상기 단말기(10)는,The terminal 10, 상기 태그 리더기(24)와;The tag reader 24;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는 미들웨어(14)와;Middleware (1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상기 태그 리더기(24)에서 수신한 상기 태그 정보로부터 상기 공간을 식별하여 상기 단말기(10)가 위치하는 공간을 나타내는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과;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for identifying the space from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ag reader 24 and transmitting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space where the terminal 10 is located to the server manager 36. )and;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플레이어(18)를; 포함하고,A content player (18) for play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Including, 상기 서비스 서버(30)는,The service server 30,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와;A database unit storing the content service;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기 위치에 따른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서버 매니저(36)와;A server manager 36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to the terminal 10 in response to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상태 및 상기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기 매니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 terminal manager (3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status and hardware status of the terminal (10) provided to the terminal (10); Removab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은,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상기 태그 리더기에서 상기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at the tag reader;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지 분석하는 분석 단계와;An analyzing step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상기 태그 정보의 변동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Deliver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manager 36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tag information;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서버 매니저(36)는,The server manager 36, 상기 단말기 위치 인식 및 분석 모듈(16)에서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Receiving th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and analysis module (16); 전달받은 상기 단말기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Analyzing the received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zing step to the terminal (10);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말기(10)는,The terminal 10, 상기 서비스 서버(30)와 상기 통신하는 미들웨어(14)와;Middleware (14) in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server (30); 근접하는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20a,20b)와;Proximity sensors 20a and 20b for sensing other terminals in proximity; 상기 근접 센서(20a,20b)에서 상기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는 경우 인접한 단말기 인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전송하는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과;A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for transmitting adjac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 through the middleware 14 when the proximity sensor 20a or 20b detects the other terminal; 상기 미들웨어(14)를 통해 수신한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플레이어(18)를; 포함하고,A content player (18) for playing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content service received through the middleware (14); Including, 상기 서비스 서버(30)는,The service server 30, 상기 콘텐츠 서비스의 내역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부와;A database unit storing the details of the content service;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전송된 인접한 단말기 인식 정보를 분석한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과;A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which delivers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obtained by analyzing the adjac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nked terminal recognition module 12 to the server manager 36;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인접한 단말기들에서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인접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에 전송하는 서버 매니저(36)와;A server manager (36)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to th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state of an adjacent terminal for reproducing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n adjacent terminals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상기 단말기(10)에 제공되는 상기 콘텐츠 서비스 상태 및 상기 단말기(10)의 하드웨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단말기 매니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 terminal manager (38)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content service status and hardware status of the terminal (10) provided to the terminal (10); Removab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링크된 단말기 분석 모듈(34)은, The linked terminal analysis module 34, 상기 링크된 단말기 인식 모듈(12)에서 전송된 상기 인접한 단말기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Receiving the adjac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inked terminal identification module (12); 상기 인접한 단말기 인식 정보를 통해 링크된 단말기의 수량 및 순서를 분석하는 단계와;Analyzing the quantity and order of the linked terminals through the adjacent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서버 매니저(36)로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Deliver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nalysis result to the server manager (36);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서버 매니저(36)는,The server manager 36,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Receiv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전달받은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와; Analyzing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상기 분석 단계를 거친 상기 콘텐츠 서비스를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Transmitting the content service passed through the analyzing step to the terminal (10); A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3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상기 콘텐츠 서비스는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더 포함하고,The content service further includes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ime information, 상기 서버 매니저는 상기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상기 콘텐츠 서비스에 대응하는 분석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nd the server manager further analyzes the ti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service of the database uni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자 태그(22)의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상기 하나 또는 2 이상의 태그 리더기(24)와;One or more tag readers 24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to read the tag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tag 22; 상기 태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로 전송하는 리더기 관리 서버(26)를; 구비하고,A reader management server (26) for collecting the ta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ice server (30); Respectively, 상기 단말기(10)는,The terminal 10, 상기 단말기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상기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nd the electronic tag (22) for transmitting the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terminal to the outsid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은,Th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하나 또는 2 이상의 상기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식별을 위해 미리 저장된 상기 태그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상기 전자 태그(22)를; 더 구비하고,An electronic tag (22) installed in one or two or more of the spaces, respectively, for transmitting the ta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for identification of the space to the outside; More equipped, 상기 단말기(10)는,The terminal 10, 상기 태그 정보를 리드하는 상기 태그 리더기(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The tag reader (24) fo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The mobile digital information sig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전자 태그의 인식 범위 외의 상기 링크된 단말기는,The linked terminal outside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electronic tag,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nd play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state to reproduce a plurality of contents configu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전자 태그의 인식 범위 외의 상기 링크된 단말기는,The linked terminal outside the recognition range of the electronic tag, 상기 링크된 단말기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상기 링크된 단말기 상태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정보 표지 시스템.And playing a content service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state to reproduce a plurality of contents configu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linked terminal information.
KR1020080065453A 2008-07-07 2008-07-07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0980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53A KR100980661B1 (en) 2008-07-07 2008-07-07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453A KR100980661B1 (en) 2008-07-07 2008-07-07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24A KR20100005424A (en) 2010-01-15
KR100980661B1 true KR100980661B1 (en) 2010-09-07

Family

ID=4181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53A KR100980661B1 (en) 2008-07-07 2008-07-07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6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579A (en)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솔루엠 Electronic information labe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16A (en) * 2003-08-09 2005-02-23 (주)서진씨엔씨테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the-spot Exhibition Object Guidance Service
KR20090061136A (en) * 2007-12-11 2009-06-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guide system using rf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16A (en) * 2003-08-09 2005-02-23 (주)서진씨엔씨테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the-spot Exhibition Object Guidance Service
KR20090061136A (en) * 2007-12-11 2009-06-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Wireless guide system using rf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424A (en)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4054A (en) Airport appl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N108364047B (en) Electronic price tag, electronic price ta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EP2662819A2 (en)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EP2275987A1 (en) Electronic inventory tag system
US20070027763A1 (en) Interactive advertisement board
CN103729923A (en) Campus security management system
KR20180052315A (en) Digital sign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08334298A (en) A kind of electronic label intellig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CN210222786U (en) Electronic price tag control system
CN111507433A (en) Electronic price tag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080145045A1 (en) Method of group guiding service in sensor network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6801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hop using lighting network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20080044056A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ourist place and method thereof
US20110291804A1 (en) Tactile paving pad, tactile system and method
JP2010505191A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RFID air protocol
KR100980661B1 (en) a movabl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system
CN110827724A (en) Intelligent signboard system
CN204688918U (en) RFID switch cabinet of intelligent measuring instrument week
CN111507741A (en) Commodity information display method,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2306075A (en) Intelligent mirror touch-control display system
KR20210122463A (en) Digital sign boar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174120A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EP2204767A1 (en) Electronic display medium and electronic display system
CN102831449B (en) A kind of bracelet button system be applied in venue
CN109658140A (en) The system and method that price is uniformly controll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