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336B1 - 리모트 액세스 - Google Patents

리모트 액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36B1
KR100978336B1 KR1020087026048A KR20087026048A KR100978336B1 KR 100978336 B1 KR100978336 B1 KR 100978336B1 KR 1020087026048 A KR1020087026048 A KR 1020087026048A KR 20087026048 A KR20087026048 A KR 20087026048A KR 100978336 B1 KR100978336 B1 KR 10097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user identifier
unique user
remote
description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045A (ko
Inventor
블라드 스티르부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10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12/00Encapsulation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4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network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한 UPnP 기기가 다른 UPnP 기기를 대신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지널 서비스 기기들로부터 요청되는 모든 서비스들이 섀도우 기기로 재지정되지만, 오리지널 기기는 이 재지정에 대해 알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리모트 UPnP 기기는 그 서비스가 섀도우 기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액세스{Remote acces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유니버설 플러그 앤 플레이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리모트 액세스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말해, 본 발명은 한 UPnP 장치가 다른 UPnP 장치를 대신해, 리모트 액세스를 요청한 장치들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발명의 배경기술 또는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의 내용은, 추구될 수 있는 개념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앞서 인지되었거나 추구되었던 것들은 아니다. 따라서, 여기서 달리 지시되지 않는다면, 이 섹션에 기술되는 것들은 본 출원의 상세 설명 및 청구항들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됨으로써 선행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이 아니다.
UPnP 기술은 지능형 가전, 무선 기기들, 및 모든 형태의 퍼스널 컴퓨터들의 널리 보급된 피어-투-피어 (peer-to-peer)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아키텍처를 정의한다. UPnP 기술은 집에서건, 작은 사업장에서건, 공공 장소에서건, 아니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건 상관없이 애드 호크 네트워크 또는 다루기 어려운 네트워크에 대해, 사용하기 쉽고, 융통성 있으며, 규격에 기반한 연결능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UPnP 기술은 네트워크 장치들 사이에서의 제어 및 데이터 전송 외에, 심리스 프록시미티 네트워킹 (seamless proximity networking)을 행하도록 TCP/IP 및 Web 기술들에 영향을 미치는 분산형 오픈 네트워킹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UPnP 디바이스 아키텍처 (UPnP Device Architecture, UDA)는 제로-컨피규레이션 (zero-configuration), "인비저블 (invisible)" 네트워킹, 및 광범위한 제조자들로부터 일정 폭의 장치 카테고리들에 대한 자동 디스커버리를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UDA를 가지고, 장치는 네트워크에 다이내믹하게 참여할 수 있고, IP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고, 자신의 사양을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장치들의 참가 및 사양들에 대해 알 수 있다.
리모트 액세스는 리모트 UPnP 장치들이 홈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UPnP 장치들과 대화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그 장치들이 물리적으로 홈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리모트 기기는 IP 시큐리티 (IPsec)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터널처럼, 보안 터널을 사용해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홈 네트워크의 간단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simple service dicovery protocol, SSDP) 프록시가 리모트 기기와 대화하고, 홈 네트워크 기기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디스커버리 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SSDP 프록시는 발견될 수 있는 로컬 기기들/서비스들의 리스트를 보유하고, 서치/통지 요청들을 전송하고, 멀티캐스트 메시지들을 필터링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버추얼 기기들"의 생성을 수반하는 여러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왔지만, 그 각각마다 결함을 지니고 있다. 그러한 시스템 중 하나는, 한 네트워크 안의 한 버추얼 기기를 다른 네트워크 내 각 기기에 대해 생성하여 두 개의 UPnP 네트워크들 을 연결한다는 (bridging) 아이디어에 기초하는 UPnP 릴레이 툴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매우 복잡하고 또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한다. 이 시스템은 규모가변적 (scalable)이지 못한데, 그것은 새로운 서비스들/기능들이 UPnP 스택에 더해질 때, 그 릴레이 툴이 UPnP 네트워크 양 측에서 모두 업데이트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미국 출원 공개번호 2004/0233904는 상술한 버추얼 기기와 유사한 미러링 에이전트 (mirroring agent)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미러링 에이전트 역시 버추얼 에이전트와 같은 단점을 보유한다.
버추얼 기기들의 개념은 소비 가전, 모바일 및 퍼스널 컴퓨터 산업계에서의 선도적 회사들의 동맹인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의해 기술되고 있다. 버추얼 기기들은 모바일 핸드헬드 도메인 및 고정 네트워크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이라고 기술된다. 버추얼 기기들의 역할은 그 두 도메인들이 공통 코덱들을 공유하고 있지 않을 때 이들 사이에서의 서비스 트랜스코딩, 트랜스케일링 (transcaling), 트랜스레이팅 (transrating)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의 UPnP 스택에서 그러한 지원은 현재 존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한 UPnP 기기가 다른 UPnP 기기를 대신해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면서 그 다른 UPnP 기기는 그러한 재지정 (re-direction)에 대해 알지 못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기기를 여기서 "버추얼 기기" 또는 "섀도우 기기 (shadow device)"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지널 서빙 기기들로부터 요청되는 모든 서비스들은 섀도우 기기로 재지정되며, 그 오리지널 기기는 이러한 재지정에 대해 알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리모트 UPnP 기기가 그 서비스가 섀도우 기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UPnP 기기들은 액세스를 요청한 리모트 기기들을 위한 홈 UPnP 기기의 섀도우 기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SSDP 프록시에 등록할 수 있다. SSDP 프록시는 홈 네트워크와 리모트 UPnP 기기 사이에서 SSDP 정보의 동기를 유지한다. 섀도우 기기가 SSDP 프록시에 등록할 때, 그 프록시는 실제 홈 기기를 노출하지 않고 그 섀도우 기기를 리모트 엔티티들에 노출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시스템들에 비해 여러 이점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그 내용이 가볍고, 간단한 기기 (가령, 인터넷 게이트웨이 기기들)로 하여금 UPnP 네트워크 아키텍처로의 리모트 액세스 (RA)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퍼스널 컴퓨터가 필요로 되지 않는다. 또, SSDP 프록시는 섀도우 되는 (shadowed) 특정 서비스와 별개이다. 또, 섀도우 서비스 사양들이 쉽게 업그레이드/개선될 수 있는데, 이는 그것들이 RA 아키텍서에서 플러그-인들로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은 리모트 기기와 섀도우 기기 사이의 통신을 이행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SSDP 프록시 기기, 섀도우 기기 및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홈 네트워크 내에 자리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집합하는 (aggregate) 동작을 수반하는데, 그렇게 집합된 기기 정보는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한 기기 서술 문서를 포함한다. 섀도우 기기로부터 섀도우 기기로 등록하겠다는 요청이 수신되고, 그 섀도우 기기는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에 응하여, 기기 서술 문서 URL이 재작성 또는 변경되어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 대신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하고, 그런 후에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된다. 리모트 기기에 의해 일단 수신되면, 리모트 기기는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해 실제 기기 대신 섀도우 기기와 직접 통신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기타 이점들과 특징들과 함께 그 구성 및 동작 방식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서술되는 이하의 상세 설명으로 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 기술될 도면들 전체를 통해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부호를 가지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섀도 기기 등록 프로세스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표준 UPnP 기기, UPnP 기기 집합기, 및 개선된 UPnP 기기 사이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을 표현한 것이다.
도 4는 UPnP 집합기가 표준 UPnP 기기로부터 SSDP 트래픽을 모니터하고, 그 모니터 된 정보를 RSS (really simply sindication)/ATOM 피드로서 집합시키는 프로세스를 보인다.
도 5는 기기 집합기가 기기들로부터 ATOM POST 메시지들을 수용함으로써 리 모트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보인다.
도 6은 기기 집합을 위한 피드 구조를 나타낸다.
도 7은 리모트 서치 프로세스의 표현이다.
도 8은 리모트 공지 프로세스의 표현이다.
도 9는 로컬 서치 프로세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로컬 공지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현시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모바일 전화기의 전화기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한 UPnP로 하여금 다른 UPnP 기기를 대신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그 다른 UPnP 기기는 이러한 재지정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를 여기서는 "버추얼 기기 (virtual device)" 또는 "섀도우 기기 (shadow device)"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리지털 서비스 기기들로부터 요청되는 모든 서비스들이 섀도우 기기로 재지정되고 (re-directed), 오리지털 기기는 이러한 재지정에 대해 아무런 지식도 가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를 요청한 한 원격 UPnP 기기는 서비스가 섀도우 기기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본 발명에서, UPnP 기기들은 SSDP 프록시에 등록하여, 이들이 액세스를 요청하는 리모트 기기들에 대한 홈 UPnP 기기의 섀도우 기기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SSDP 프록시의 주요 기능은 홈 네트워크와 리모트 UPnP 기기 사이에서 SSDP 정보가 동기되게 유지시키 는 데 있다. 섀도우 기기가 SSDP 프록시에 등록할 때, 그 프록시는 실제 홈 기기를 드러내는 대신 섀도우 기기를 리모트 엔티티들에게 드러낼 것이다.
시청각 (AV) 기기들 같은 일부 서비스들은 이들이 콘텐츠의 일부 변환 및 홈 기기의 일부 기능들에 대한 필터링 액세스를 수행할 때 리모트 기기들에 대해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통, 그러한 변환은 리모트 기기들과의 인터랙션이 요구될 때 실제 기기들을 대역하는 (impersonate) 섀도우 UPnP 기기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전체 프로세스는 자동이어야 하고 사용자를 개입시켜서는 안된다. 이것은 UPnP 기기들의 사용자들이, 섀도우 기기가 실제 기기를 어떻게 대역해 내는지와, 그런 다음 실제 기기가 통신하고 있는 리모트 기기에 보여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한다고 기대되지 않는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실제 기기 대신 "섀도우"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된 한 기기가 홈 네트워크에 더해질 때마다, 그 의도한 섀도우 기기는 SSDP 프록시를 찾고, 실제 기기의 섀도우 기기로서의 등록을 요청할 것이다. 이러한 요청에는 섀도우 될 기기의 UUID (universal unique identifier)가 포함된다. SSDP 프록시는 등록을 허용하고, 실제 기기의 기기 서술 문서 (DDD, device description document)를 섀도우 기기의 DDD URL로 대체함으로써 집합된 정보 (aggregated information)을 업데이트한다. SSDP 프록시는 새 공지를 통해 리모트 기기를 업데이트한다. 리모트 기기가 이 정보를 수신할 때, 그 리모트 기기는 섀도우 기기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리모트 기기는 자신이 실제 기기가 아닌 섀도우 기기와 통신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 못하는데, 이는 통신이 평이하게 (transparently)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1은 통상적 리모트 액세스 시나리오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리모트 UPnP 기기(100)는 IPsec 터널(120)을 거쳐 홈 네트워크(110)와 연결되어 있다. 도 1의 홈 네트워크(110) 안에, SSDP 프록시(130), 미디어 서버(140) 및 퍼스널 컴퓨터(150)가 존재한다. 퍼스널 컴퓨터(150)는 제약을 가진 기기들에 대해 최적화된 미디어 서버 사양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가령, 스케일링, 트랜스코딩, 등등)를 실행한다. 맞춤 (custom) 미디어 서버로서 동작하는 퍼스널 컴퓨터(150)는, 리모트 UPnP 기기(100)와의 인터랙션을 위해 실제 미디어 서버(140)의 "섀도우"로서 역할한다. 따라서, 이 예와 관련해, 퍼스널 컴퓨터(150) 및 섀도우 기기는 동일한 기기에 해당한다. SSDP 프록시(130)는 SSDP 트래픽을 모니터하고 홈 네트워크(110) 안에서 이용가능한 다양한 기기들 및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집합 시킨다. 이 정보는 보통, 홈 네트워크(110) 내에서 전송되는 SSDP 질의들 (queries) 및 광고들 안에서 발견된다.
SSDP 프록시(130)에서 SSDP 정보를 집합시키는 프로세스는 SSDP 공지사항들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수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이 프로세스가 디스커버리 질의들을 홈 네트워크(110) 안에 전송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이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동적 집합하기가 어떻게 일어날 수 있는지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리모트 UPnP 기기(100), SSDP 프록시(130), "실제 기기" 또는 미디어 서버(140), 및 리모트 섀도우 기기(150) 사이의 인터랙션을 보인다. 도 2의 200에서, "ssdp:alive" 메시지가 실제 기기(140)로부터 SSDP 프록시(130)로 전송된다. 그러면 SSDP 프록시(130)는 210에서 기기 정보를 집합하도록 진행한다. 220에서, 섀도우 기기(150)가 실제 기기(140)의 UUID를 포함하는 "registerShadowDevice" 메시지를 전송하여 SSDP 프록시(130)에 등록한다. 225에서, SSDP 프록시(130)는 기기 UUID의 DDD URL을 재작성하여, 그 URL이 실제 기기(140)의 UUID 대신 섀도우 기기(150)의 UUID를 가리키도록 한다. 230에서, ATOM(ssdp:alive) 공지문 형식의 웹 신디케이션 (web syndication) 메시지가 SSDP 프록시(130)로부터 리모트 UPnP 기기(100)로 전송된다. 그 공지시, DDD URL은 섀도우 기기(150)를 가리킨다. 결과적으로, 이어지는 UPnP 메시지들은 240에서 리모트 UPnP 기기(100)와 섀도우 기기(150) 사이에서 전송된다.
더 능동적인 집합하기가 요망될 때, SSDP 프록시(130)는 홈 네트워크(110) 안에서 다양한 디스커버리 요청들을 전송할 수 있고, 그런 다음 그 홈 네트워크 내 다양한 기기들에 의해 응답을 받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새 공지를 통해 리모트 UPnP 기기(100)를 업데이트하는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범위한 SSDP 프록시들과 함께 작동하며, ATOM 포맷이나 어떤 다른 특정 포맷에 기초한 SSDP 프록시들에 한정되어 있다고 의도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UPnP 기기 집합기 (즉, SSDP 프록시(130))는 표준 SSDP 기기 광고들에 주의를 기울여 네트워크에서 이용가능한 UPnP 기기들 및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런 다음 그 정보가 RSS/ATOM 피드들(feeds)에서 집합된다.
개선된 UPnP 기기는, 대역밖 (out-of-band) 디스커버리 메커니즘들로 하여금 UPnP와 호환가능한 포맷 (가령, SSDP 포맷)으로 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구현한다. 서비스 광고들에 있어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비스를 호스트하는 전자 기기가 서비스 광고를 포함한 "Service Advertisement (서비스 광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Service Advertisement" 메시지의 페이로드는 표준 UPnP SSDP 메시지의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08073857800-pct00001
제어 포인트를 호스트하는 제어 포인트 기기가 "Service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하고, 표준 UPnP 메시지들을 이용해 교류를 계속한다. 예를 들어, 제어 포인트 기기는 "Get Descrip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그런 후에 전자 기기가 "XML Description"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다. UPnP 메시지들이 전자 기기 및 제어 포인트 기기 사이에서 이어질 (flow) 수도 있다.
서비스 질의에 있어서, UPnP 제어 포인트를 호스트하는 제어 포인트 기기가 서비스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메시지의 페이로드는 표준 UPnP SSDP 메시지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
Figure 112008073857800-pct00002
UPnP 서비스를 호스트하는 전자 기기는, 표준 UPnP SSDP 메시지와 동일한 페이로드를 가진 서비스 응답 메시지를 가지고 위치-한정형 채널을 역시 지나서 응답한다:
Figure 112008073857800-pct00003
서비스 응답 메시지 뒤에, 기기들은 표준 UPnP 메시지들을 이용해 교류를 계속한다. 예를 들어, 제어 포인트 기기가 "Get Description"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그런 후에 전자 기기가 "XML Description" 메시지를 가지고 응답할 수 있다. UPnP 메시지들은 전자 기기와 제어 포인트 기기 사이에서 이어질 수도 있다. 컴퓨 터 소프트웨어 코드가 사용되어 이러한 단계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표준 UPnP 기기(330), UPnP 기기 집합기(340), 및 개량형 UPnP 기기(350) 사이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것이다. UPnP 기기 집합기(340)의 주요 기능은 UPnP SSDP 트래픽을 모니터 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UPnP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RSS/ATOM 피드로 집합시키는 데 있다. 도 4는 UPnP 기기 집합기(340)가 표준 UPnP 기기(330)로부터 ssdp:alive 및 ssdp:byebye 메시지들을 모니터하고, 각각 관련 정보를 RSS/ATOM 피드들에 부가하거나, 그로부터 그 정보를 제거하는 기기 집합에 대해 보인다. UPnP 기기 집합기(340)는 또한 기기들로부터 ATOM POST 메시지들을 받아들임으로써 개량형 UPnP 기기들(350) 같은 리모트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도 5에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OM POST (ssdp:alive) 메시지가 개량형 UPnP 기기(350)로부터 전송될 때, UPnP 기기 집합기(340)는 그 기기를 네트워크 내 RSS/ATOM 피드에 부가한다. 그 기기는, UPnP 기기 집합기(340)가 개량형 UPnP 기기(350)로부터 ATOM POST (ssdp:byebye)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제거된다.
UPnP 기기 집합기(340)에 의해 생성된 RSS/ATOM 피드는 계속해서 어떻게 특정 기기 정보가 얻어졌는지를 추적한다. SSDP 공지문들을 통해 발견되었던 기기들은 로컬 브랜치에 보관되고, 한편 ATOM 피드들로부터 발견되었던 기기들은 리모트 브랜치에 보관된다. 그러한 기기 집합을 위한 피드 구조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리모트 기기(700) 및 홈 네트워크(710)의 리모트 서치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트 기기 (즉, 개량형 UPnP 기 기(350))로부터의 개량형 UPnP 기기 아키텍처 스택(360)이, 베어러 (bearer) 특징 힌트들 (가령, GPRS/WCDMA, WLAN 핫스팟)을 이용하거나 홈으로의 보안 리모트 연결의 존재를 통해 자신이 리모트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ATOM 플러그인 이용을 시작한다. ATOM 플러그인의 이용이 도 7에 나타내어져 있다. 서비스 기기를 찾기 위해, 리모트 기기는 홈 UPnP 기기 집합기(340)로부터 ATOM 피드를 가져온다. 이것은 개량형 UPnP 기기 스택(360)이 ATOM GET (ssdp:search) 메시지(730)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면 UPnP 기기 집합기(340)가 740에서 서치 기준과 매치하는 로컬 브랜치에 대한 RSS/ATOM 피드를 준비하고, 그런 다음 750에서 ATOM 피드가 개량형 UPnP 스택(360)에서 이용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개량형 UPnP 스택(360)이 그 피드를 분석하고, 위치 URI를 추출하고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하는 UPnP 기기로부터 직접 기기 서술 문서를 다운로드한다. 나머지 UPnP 통신은 이제 리모트 기기 및 홈 네트워크 기기 사이에서 바로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리모트 공지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리모트 기기(700)가 한 서비스를 광고하고 싶어할 때, 개량형 UPnP 스택(360)이 ssdp:alive 정보를 포함하는 ATOM POST 메시지를 가지고 홈 네트워크(710) 내 홈 UPnP 기기 집합기(340)를 업데이트한다. 이것이 도 8의 800에 나타내어져 있다. UPnP 기기 집합기(340)가 그 업데이트를 수신할 때, 집합기는 리모트 기기로분터 수신되었던 정보와 함께 홈 네트워크 안에서 UPnP ssdp:alive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것이 도 8의 810에 표현되어 있다. UPnP ssdp:alive 메시지가 홈 네트워크 내 임의의 UPnP 제어 포인트들(820)에 의해 수신되었으면, 이들은 리모트 기기(700)와 바로 통신할 수 있게 되 며, 이것이 830 및 840에 표시되어 있다.
도 9는 로컬 서치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로컬 기기 (UPnP 제어 포인트(820))가 ssdp:search 멀티케스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관련 서비스들을 찾는다(900). UPnP 기기 집합기(340)가 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치 기준에 매치하는 리모트 브랜치에 대한 SSDP 응답을 준비한 후, UPnP 제어 포인트(820)로 ssdp:search:response 메시지(920)를 전송한다. 이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리모트 기기(700)는 홈 네트워크(710) 내 UPnP 제어 포인트(820)에게 "UPnP" 비저블 (visible)하게 된다. UPnP 기기 집합기 (340)로부터 ssdp:search: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한 후, UPnP 제어 포인트(820)는 930 및 940에 표시한 것과 같이, 리모트 기기(700)로부터 리모트 기기 서술자를 직접 가져올 수 있다.
도 10은 로컬 공지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 새 로컬 기기가 홈 네트워크(710)에 참여할 때, 그 기기는 홈 네트워크(710)에 ssdp:alive 메시지(1000)를 전송한다. UPnP 기기 집합기(340)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가, ssdp:alive 메시지(1000)를 일단 수신하면, ATOM PUSH (ssdp:alive)메시지(1010)를 이용해 리모트 기기(700)로 기기 정보를 밀어낸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한 모바일 전화기(12)의 예를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한 특정 타입의 모바일 전화기(12)나 다른 전자 기기에 국한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모바일 전화기(12)의 특징들 중 일부나 전부가 도 11 및 12에 도시된 전자 기기에 실질적으로 병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1 및 12의 모바일 전화기(12)는 하우징(30), 액 정 디스플레이 형식의 디스플레이(32), 키패드(34), 마이크로폰(36), 이어 피스 (38), 배터리(40), 적외선 포트(42), 안테나(4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CC 형태의 스마트 카드(46), 카드 리더(48), 라디오 인터페이스 회로(52), 코덱 회로(54), 컨트롤러(56) 및 메모리(58)를 포함한다. 각각의 회로 및 구성요소들은 모두, 이 기술 분야, 이를테면 노키아 모바일 전화기들의 범위 안에서 잘 알려져 있는 타입의 것들이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 또는 전 양태들을 포함하는 통신 기기들은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SMS (Short Messaging Service),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메일, IMS (Instant Messaging Service), 블루투스, IEEE 802.11 등등을 포함하나,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전송 기술들을 이용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 기기는 라디오, 적외선, 레이저, 케이블 접속 등등을 포함하나, 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네트워킹 환경하의 컴퓨터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일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의 단계들의 일반적인 맥락하에서 기술되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에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한 추상 데이터 타입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등등이 포함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 관련 데이터 구조들,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여기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실행가능 명령들이나 관련 데이터 구조들의 특정 시퀀스는 그러한 단계들로서 기술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해당 동작들의 예들을 나탄낸다.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 및 웹 구성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서칭 단계들, 상관 단계들, 비교 단계들 및 결정 단계들을 행하기 위한 규칙 기반 로직 및 기타 로직과 함께 표준 프로그래밍 기술들을 통해 이행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컴포넌트" 및 "모듈"이라는 말들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코드 라인들,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들, 및/또는 수동 입력을 수취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는 구성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 역시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기 내용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그것이 전부라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식으로 한정하고자 하려는 것이 아니고, 상기 가르침에 비춰 발명의 변형들 및 수정들이 가능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 및 숙고된 특정 용도에 알맞는 다양한 변형을 통해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어플리케이션의 원리들을 설명하고자 실시예들이 선택 및 설명되었다.

Claims (33)

  1. 리모트 기기와 섀도우 (shadow) 기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집합시키는 단계로서, 그 집합된 기기 정보에는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한 기기 서술 문서 URL이 포함되는 단계;
    대안적 기기로부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섀도우 기기로서 등록하겠다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 대신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리모트 기기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상기 리모트 기기가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해 상기 섀도우 기기와 직접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ssdp:alive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실제 기기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 술 문서 URL은 RSS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ATOM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IPsec 터널을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전송된 디스커버리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리모트 기기와 섀도우 (shadow) 기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집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집합된 기기 정보에는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한 기기 서술 문서 URL이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코드;
    대안적 기기로부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섀도우 기기로서 등록하겠다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 대신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상기 리모트 기기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상기 리모트 기기가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해 상기 섀도우 기기와 직접 통신하게 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ssdp:alive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실제 기기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RSS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ATOM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IPsec 터널을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전송된 디스커버리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홈 네트워크 기기와 적어도 한 리모트 기기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SSDP 프록시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집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집합된 기기 정보에는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한 기기 서술 문서 URL이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코드;
    대안적 기기로부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섀도우 기기로서 등록하겠다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 대신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상기 리모트 기기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상기 리모트 기기가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해 상기 섀도우 기기와 직접 통신하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SSDP 프록시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ssdp:alive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실제 기기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SSDP 프록시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ATOM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SSDP 프록시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IPsec 터널을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SSDP 프록시 기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전송된 디스커버리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SSDP 프록시 기기.
  18. 홈 네트워크 기기와 리모트 기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집합하기 위한 것으 로, 그 집합된 기기 정보에는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한 기기 서술 문서 URL이 포함되어 있도록 구성된 SSDP 프록시 기기; 및
    섀도우 기기로서 SSDP 프록시에 등록하겠다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섀도우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SSDP 프록시는,
    상기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 대신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고,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상기 리모트 기기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상기 리모트 기기가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해 상기 섀도우 기기와 직접 통신하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ssdp:alive 메시지를 통해 상기 실제 기기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술 문서 URL은 ATOM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기기 서 술 문서 URL은 IPsec 터널을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전송된 디스커버리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홈 네트워크 기기와 리모트 기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모으고, 홈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다른 기기를 섀도우 기기로 등록하도록 구성된 SSDP 프록시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SSDP 프록시는, 홈 네트워크 내 기기들과 상기 리모트 기기 사이의 기능들을 동기시키도록 추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4.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유닛은,
    홈 네트워크 안에 위치한 실제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집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집합된 기기 정보에는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코드;
    대안적 기기로부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섀도우 기기로서 등록하겠다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실제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 대신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상기 집합된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리모트 기기로 전송하고, 그 이후에 상기 리모트 기기가 그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사용해 상기 섀도우 기기와 직접 통신하게 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는 ATOM 피드 (feed)를 통해 리모트 기기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는 IPsec 터널을 통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정보는 전송된 디스커버리 질의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리모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섀도우 기기로서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섀도우 기기로 등록하고자 하는,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된 요청을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게 되는 단계; 및
    리모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재작성된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수신한 후, 상기 리모트 기기와 직접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SSDP 프록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리모트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섀도우 기기로서 동작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섀도우 기기로 등록하고자 하는,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된 요청을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는 결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 및
    리모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재작성된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수신한 후, 상기 리모트 기기와 직접 통신하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SSDP 프록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섀도우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섀도우 기기로 등록하고자 하는,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된 요청을 네트워크 요소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네트워크 요소가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반영하도록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재작성하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 및
    리모트 기기가 상기 네트워크 요소로부터 상기 섀도우 기기 고유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재작성된 기기 서술 문서 URL을 수신한 후, 상기 리모트 기기와 직접 통신하도록 하는 컴퓨터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전자 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요소는 SSDP 프록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섀도우 전자 기기.
KR1020087026048A 2006-03-27 2007-03-27 리모트 액세스 KR100978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664706P 2006-03-27 2006-03-27
US60/786,647 2006-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045A KR20080109045A (ko) 2008-12-16
KR100978336B1 true KR100978336B1 (ko) 2010-08-30

Family

ID=3854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048A KR100978336B1 (ko) 2006-03-27 2007-03-27 리모트 액세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5566B2 (ko)
EP (1) EP2005653A2 (ko)
KR (1) KR100978336B1 (ko)
CN (1) CN101444044A (ko)
WO (1) WO20071107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40B1 (ko) * 2007-11-05 2014-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UPnP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95723B1 (ko) * 2008-01-15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원격 접속을 지원하는 UPnP(UniversalPlug and Play) RAS(Remote Access Server)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8621B1 (ko) * 2008-01-15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에 다중으로 원격 접속 서비스를제공하는 UPnP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22517A1 (en) * 2008-02-29 2009-09-03 Dimitris Kalofonos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using virtual devices with peer-to-peer groups
US7948887B2 (en) 2008-06-24 2011-05-24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bandwidth measurement
US8307093B2 (en) * 2008-06-25 2012-11-06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access between UPnP devices
KR20100040658A (ko) * 2008-10-10 201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의 원격 접속 서비스에서 아이피 주소 충돌 해결 방법 및 장치
CN102342064B (zh) * 2009-03-03 2016-02-2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远程访问服务期间限制网络信息的公开的方法和装置
US10404485B2 (en) 2009-03-03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disclosure of network information during remote access service
WO2012036508A2 (en) * 2010-09-16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ontrol device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CN103262473A (zh) 2010-12-13 2013-08-21 摩托罗拉移动有限责任公司 在通用即插即用环境中在远程访问客户端之间共享媒体
US8964567B2 (en) * 2011-07-21 2015-02-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synchronization testing
US9218428B2 (en) * 2012-10-15 2015-12-22 Dell Products, L.P. Techniques for generating different sessions for multiple tabs of a single browser window
US11025627B2 (en) * 2017-07-10 2021-06-01 Intel Corporation Scalable and secure resource isolation and sharing for IoT networks
CN110753921B (zh) * 2019-01-11 2023-08-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查询请求的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3904A1 (en) 2003-05-19 2004-11-25 Ylian Saint-Hilaire Universal plug-and-play mirr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50096753A1 (en) 2003-11-04 2005-05-05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50111486A1 (en) 2003-11-26 200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s located within private networks
US20050132366A1 (en) 2003-12-16 2005-06-16 Weast John C. Creating virtual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5410B2 (en) * 2001-06-05 2009-07-21 Nokia Corporation Distributed network
US20050055352A1 (en) * 2003-09-08 2005-03-10 Sony Corporation Content directory and synchronization bridge
JP4354294B2 (ja) * 2004-02-25 2009-10-28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セグメントが互いに異なる複数の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ipパケットを転送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4337591B2 (ja) * 2004-03-19 2009-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154364B2 (ja) 2004-04-22 200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知方法
JP4041118B2 (ja) * 2004-11-24 2008-01-30 株式会社東芝 ゲートウェイ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US7640329B2 (en) * 2005-02-15 2009-12-29 Microsoft Corporation Scaling and extending UPnP v1.0 device discovery using peer groups
JP4901863B2 (ja) * 2005-07-04 2012-03-21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のための住居用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3904A1 (en) 2003-05-19 2004-11-25 Ylian Saint-Hilaire Universal plug-and-play mirr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50096753A1 (en) 2003-11-04 2005-05-05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50111486A1 (en) 2003-11-26 2005-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s located within private networks
US20050132366A1 (en) 2003-12-16 2005-06-16 Weast John C. Creating virtual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5653A2 (en) 2008-12-24
CN101444044A (zh) 2009-05-27
US7725566B2 (en) 2010-05-25
WO2007110754A2 (en) 2007-10-04
US20070244578A1 (en) 2007-10-18
KR20080109045A (ko) 2008-12-16
WO2007110754A3 (en)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336B1 (ko) 리모트 액세스
US11991255B2 (en) Interworking service for the restful internet of things
US20070162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EB SYNDICATION PROTOCOLS AS AN OUT-OF-BAND UPnP SERVICE DISCOVERY SYSTEM
US8023940B2 (en) Connecting ad hoc piconets to wide area networks and/or grid computing networks
US20050235048A1 (en) Exchanging multimedia data via a communications device
CN113411215B (zh) 基于opc ua的时间敏感网络集中用户配置方法及系统
US20090080453A1 (en) Context aware ipv6 connection activation in a upnp remote access environment
WO2008087374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CCESSING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NETWORKS
KR20190008595A (ko) Non-TCP/IP 기반의 네트워크상의 IoT 기기와 oneM2M 표준 기반의 IoT 서버 상호간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110771117B (zh) 一种采用面向id的网络的会话层通信
JP201315343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て移動端末間に通信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EP2454893B1 (en) Method to discover and subscribe to an enhanced syndicated feed, corresponding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achine-readable medium
CN108270756B (zh) 一种设备间通信的方法及系统
Yoneki Mobile applications with a middleware system in publish-subscribe paradigm
KR100694871B1 (ko) 무선 개방망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및 그 서비스 방법
EP2609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emo by using upnp telephony
JP2015201758A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orujo et al. Information-Centric Exchange Mechanisms for IoT Interoperable Deployment
Kavadias et al. A P2P technology middleware architecture enabling user-centric services deployment on low-cost embedded networked devices
CN113420001B (zh) 数据共享方法及边缘计算设备
Herwono et al. Provisioning and performance of mobility-aware personalized push services in wireless broadband hotspots
EP2223558A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s with multichannel wireless access
Raghavendran et al. Internet of Things–A big challenge in getting the right protocol
JP2004153782A (ja) デジタル・アイテム・アダプテーション(dia)に対するネゴシエー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