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439B1 -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439B1
KR100975439B1 KR1020047016071A KR20047016071A KR100975439B1 KR 100975439 B1 KR100975439 B1 KR 100975439B1 KR 1020047016071 A KR1020047016071 A KR 1020047016071A KR 20047016071 A KR20047016071 A KR 20047016071A KR 100975439 B1 KR100975439 B1 KR 100975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data
message
ind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065A (ko
Inventor
랄프 프렌첼
안드레아스 슈미트
마르쿠스 트라우베르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9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22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for recording tex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10, 20, 30, 40;110, 112, 114)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지는 데이터를 제 1 통신 유닛(10;110)으로부터 제 2 통신 유닛(40;114)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데이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는 상기 제 1 통신 유닛(10;110)에 전송된다. 데이터가 제 2 통신 유닛(40;114)로 전달될 수 없는 경우에,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과 관련된 정보 아이템은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내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RTICULARLY HAVING MULTIMEDIA CONTENTS,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가지는 데이터를 제 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 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데이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태 메시지가 제 1 통신 유닛에 전송된다.
GSM 표준(GSM: 이동통신용 범용 시스템)에 따라 동작하는 네트워크들과 같은 현재의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은 텍스츄얼(textual)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단지 제한된 가능성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컨대 160개까지의 캐릭터들로 구성된 텍스트 메시지들은 SMS(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형태의 텍스트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비용은 데이터의 송신자에게 부과된다.
향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오디오가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들 또는 필름들의 전송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GSM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본질적으로 음성/텍스트-기반의 원격 통신 시스템에 대한 후속 시스템(successor)들은 UMTS 표준(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멀티미디어-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서 보여진다. UMTS 또는 GPRS 표준은 예컨대, 현재의 SMS 외에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메시지들"(MMs)이라 참조되는 이른바 MMS(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예상하고 있다. 오디오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포맷화된 텍스트, 이미지들, 비디오들, 및 필름들은 상기 수단들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SMS에서 제공되는 160 개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메시지 길이로의 제한은 적용되지 않는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 따라, MMS는 예컨대, WAP(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응하는 이동 전화기와 같이 MMS-인에이블된 단말과 네트워크 측 상의 "WAP 게이트웨이"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브릿지하기 위해, [2]에 따라 WAP-WSP(WSP: 무선 세션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MMS-over-WAP 전송의 내부적인 관리를 위해, 이른바 '헤더 필드들', 즉 예컨대 발신지, 전송 시간, 파일 크기, 및 다른 세부사항들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며 실제 멀티미디어 메시지(MM) 앞에 위치된 필드들이 사용된다.
만약 MMS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WAP에 의해 구현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MMS 접속 유닛 또는 MM 스위칭 장치가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의 MM들을 조종하는 네트워크 내에 제공된다. 이는 예컨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MM들의 스위칭 및 MM들의 중간 저장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송신자는 먼저 MMS 접속 유닛에 메시지(MM)를 전송하며, 따라서 송신자 또는 MMS 접속 유닛은 메시지를 통해 유효 기간을 제공하고, 그 유효 기간이 만료된 이후에는 상응하는 MM이 수신자에 의해 MMS 접속 유닛으로부터 더 이상 다운로드 될 수 없다. 수신자는 MM과 함께 MMS 접속 유닛에 의해 수신자 또는 MMS 수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 전송되는 MMS 수신 통지의 종료까지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을 수신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MM)의 전송 상태를 설명하는 다수의 상태들은 MMS 명세서[2, 5]로부터 공지된다. 다양한 상태들은 예컨대, MM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상태: "리트리브(retrieved)"), MM이 수신자에 의해 거절되었는지의 여부(상태: "거절"), 수신자가 메일박스 내에서 MM의 도착에 관한 통지를 수신하고 이후에 상기 메시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지의 여부(상태: "지연"), 수신자가 MM을 인식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상태: "비인식"), 및 수신자가 정해질 수 있는 유효 기간 내에 MM을 다운로드하지 않아서 MM을 전부 수신하지 않았는지 여부(상태:"만료")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들은 전송 상태 메시지에 대한 요구에 응답하여 스위칭 장치에 의해 제 1 원격 통신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들은 긍정응답된(acknowledged) 수신 통지 메시지 이후에, 또는 MM의 성공적인 전송 이후에, 또는 MM의 유효 기간의 종료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만약 MM의 송신자가 자신이 전송한 메시지에 관하여 요구된 MMS 전송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송신자는, 수신된 상태가 "만료"인 경우에는, 예컨대 수신자가 MMS 접속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MM을 고의로 다운로드하지 않았는지의 여부 또는 수신자가 MM의 유효 기간 내에 사용불가능하여 MM이 전송될 수 없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송신자는 상응하는 MM이 수신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쩌면 상기 MM을 증가된 유효기간에 다시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또는 데이터, 특히 멀티미디어 메시지(MM)의 송신기 또는 송신자에게 그들이 전송한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하여 더 상세한 정보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 및 청구항 제 12항에 의해 정의되는 스위칭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가지는 데이터를 제 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 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서, 데이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태 메시지는 예컨대 데이터 전송의 송신 이후에 제 1 통신 유닛에 전송된다. 또한, 데이터가 제 2 통신 유닛에 전달될 수 없는 경우에, 전송된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이 전송 상태 메시지를 통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 1 통신 유닛 또는 데이터 송신자가 자신이 전송한 데이터가 제 2 통신 유닛 또는 예상한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한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 공지된 방법들에 따르면, 데이터의 송신자는 지금까지는 예컨대, 데이터가 부정확한 수신 어드레스로 인해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없는지의 여부 또는 수신자가 데이터를 수신하기를 희망하지 않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없다. 제 1 경우에 데이터 송신자는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도록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정보 아이템은 데이터 송신자에게 중요하고, 제 2 경우에는 수신자가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기로 이미 의도적으로 결정하였기 때문에 상기 반복 전송이 불필요하다.
전송될 데이터가 최신의 데이터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송신자는 데이터가 수신자에게 전달되어야만 하는 유효 기간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에 관한 정보 아이템이 데이터가 한정된 유효 기간 내에 제 2 통신 유닛에 전달되지 않았다면 전송 상태 메시지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에, 데이터의 송신자는,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이 제공되는 경우, 데이터를 제 2 송신 유닛(수신자)에 다시 전송할 지의 여부 또는 데이터가 더 이상은 최신의 데이터가 아니어서 더 이상은 사용되지 않아야만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을 인식하는 한가지 방법은 제 1 및 제 2 통신 유닛들 사이의 데이터의 전송시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내에서 이른바 확인 메시지들을 구현하는데 있다. 상기 확인 메시지들에 의해, 데이터 또는 메시지들의 수신자는, 송신자 또는 임의의 환경들에서는 데이터 전송 경로에 제공된 가능한 교환국들에게, 데이터 또는 메시지들을 정확히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통지한다. 특히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정확히 수신된"이라는 용어는 수신자 또는 제 2 통신 유닛이 전송된 데이터 또는 메시지들의 컨텐츠를 완전히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는, 전송된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 및/또는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될 데이터에 대한 수신 통지 메시지의 수신이 개별 연관된 확인 메시지를 사용하여 제 2 통신 유닛에 의해 긍정응답되지 않는 경우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이 적용되는 것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신 통지 메시지는 상기 제 2 통신 유닛에 데이터가 전송될 것임을 상기 제 2 통신 유닛에 통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될 메시지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원격 통신 시스템들은 결과적으로 송신자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자에게 직접 전송되지 않지만, 수신자가 자신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는 통지를 먼저 수신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통지 메시지의 수신 다음에, 수신자는 데이터를 수신할 것인지의 여부 또는 데이터가 즉시 또는 이후에 전달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거절하기로 선택할 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통신 유닛들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데이터가 제 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 2 통신 유닛으로 전송되게 하는 추가의 유리한 구성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은 스위칭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위칭 장치는 예컨대, 확인 메시지들을 질문하거나 캡처링함으로써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스위칭 장치가 제 1 통신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위칭 장치는 전술된 수신 통지 메시지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제 2 통신 유닛에 알릴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장치의 태스크는 제 1 통신 유닛에 전송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송될 데이터의 상태를 제 1 통신 유닛에 알릴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 내의 상기 스위칭 장치는 예컨대 네트워크의 스위칭 노드에 제공될 수 있지만, 예컨대, 스위칭 장치는 다수의 스위칭 노드에 분포될 수 있거나 어떤 스위칭 노드 특성들도 가지지 않지만 여전히 원격 네트워크 내에 통합되어 있는 유닛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가지는 대부분의 다양한 데이터는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MMs:멀티미디어 메시지들)[1,2]를 가지는 데이터 및 메시지들을 포맷화시키고 전송하기 위한 정의된 표준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MMS)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전송된다. MMS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3,4,5,6]을 사용함으로써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다. WAP는 예컨대 텍스트들, 이미지들, 비디오들 및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대부분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데이터가 WAP를 통해 MMS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방법의 더 정확한 설명은 본 명세서와 관련된 참조 문헌들[3,4,5]에 개시되어 있다.
WAP를 통해 MMS의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및 메시지 전송들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참조문헌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WAP 프로토콜 내에서, 상기 전송 형태들의 각각은 메시지 내의 데이터 필드 "X-Mms-Message-Type"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내에서, 수신 통지 메시지는 카테고리 "m-notification.ind" 내의 MMS-over-WAP 메시지가 될 수 있다[5].
WA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의 전송은 "Mms-Relay/Server"로 지칭되는 교환국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처리 및 직접 저장을 제공한다. 이로부터 전송될 데이터가 수신자에게 전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내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자로의 전송은 바람직하게 참조문헌 [5]에 개시된 것과 같은 WAP 카테고리 "m-retrieve.conf"를 갖는다.
전송될 데이터의 송신자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상태 메시지는 WAP 프로토콜에 따라 카테고리 "m-delivery.ind"에 할당될 수 있다.
WAP 프로토콜 내에서, 목적지 "X-Mms-Status"를 가지는 필드는 형태 "m-delivery.ind"의 전송 상태 메시지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전송될 데이터의 전송 상태가 기록된다. "비전달가능성"에 할당된 번호 또는 디지트 조합은 제 2 통신 유닛으로의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이 적용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필드 내에 기록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파라미터들에 관해서, 값 "<Octet 133>"이 특히 이를 위해 사용된다.
이동 통신 모듈을 가지는 원격 통신 장치들은 본 발명에서 통신 유닛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이동 전화기들 또는 예컨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로컬 네트워크(예컨대, 블루투스, 적외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이동 전화기에 접속되거나 또는 무선 원격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전화기들 또는 심지어 PC들(개인용 컴퓨터들), 랩탑(laptop)들, 팜탑(palmtop)들, 오거나이저(organizer)들 또는 PDA들(PDA: 개인 디지털 보조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영역들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서 실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 유닛들은 예컨대, GSM 표준, GPRS 표준, EDGE 표준, UMTS 표준 또는 다양한 CDMA 표준들 중 하나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표준들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가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로서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은 제 1 통신 유닛과 제 2 통신 유닛 사이의 전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 통신 네트워크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 전송 경로의 다른 부분은 예컨대, 데이터 네트워크들 및/또는 고정된 원격 통신 네트워크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인터넷 통해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전적으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양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의 조합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추가 양상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이, 스위칭 장치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제 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 2 통신 유닛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생성되며, 따라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될 데이터에 할당된 전송 상태 메시지를 생성 또는 발생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또한 데이터가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될 수 없는 경우에 전송될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과 관련된 정보 아이템을 전송 상태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송신자 또는 제 1 통신 유닛에게 그들이 수신자 또는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자에게 전혀 전달될 수 없는 경우에 메시지를 통지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가 가능하다. 송신자는 그 후에 예컨대 상응하는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현재의 공지된 기술과 비교하여, 송신자에게는 수신자가 자신에게 제공된 데이터를 호출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수신자의 비사용가능성을 구별하는 기회가 제공되며, 이는 송신자가 메시지를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거나 단지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금지되기 때문이다(예컨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전송될 데이터가 가능한 가장 최신의 상태를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만약 데이터가 한정할 수 있는 유효 기간 내에 제 2 통신 유닛에 전달될 수 없다면, 스위칭 장치의 전송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전송 상태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과 관련된 정보 아이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효 기간은 예컨대, 데이터의 송신자에 의해 또는 심지어 원격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한정될 수 있다(예컨대, 디폴트(default) 세팅에 의해). 유효 기간은 예컨대 데이터의 계획된 수신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전송될 데이터가 수신자에게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전달되지 않는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것은 최신의 데이터만이 전송을 위해 대기중인지를 확인한다. 이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그들의 스위칭 장치들이 더 이상 최신의 메시지들이 아닌 기존 메시지들에 의해 부담되거나 과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수신자가 수신 통지 메시지 또는 메시지 전송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했다면, 수신자는 자신이 메시지를(정확히) 수신하였음을 스위칭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정확히'라는 용어는 수신자가 개별 메시지들의 컨텐츠를 완전히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사용자가 전체 기간에 걸쳐서 원격 통신 장치를 스위칭하지 않았거나 아직 동작하지 않고 있다면, 스위칭 장치는 제 2 통신 유닛에 상응하는 전송들과 관련된 임의의 확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을 것이다.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이 적용되는 시각의 설정은, 스위칭 장치와 관련하여 만약 제 2 통신 유닛에 전송될 데이터에 관한 수신 통지 메시지 또는 전송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이 각각의 연관된 확인 메시지에 의해 긍정응답되지 않는다면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에서는, 예컨대 전송될 데이터가 스위칭 장치 내의 중간 저장 장치 내에 배치되고 계획된 수신은 예컨대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가지는 메시지가 이미 준비되었음을 나타내는 통지(수신 통지 메시지)에 의해 통보된다.
특히 수신 통지 메시지의 전송 이후에 수신자가 할당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면, 수신 통지 메시지의 정확한 수신은 실제로 제 2 통신 유닛에 의해 확인되지만, 그 결과 실제 메시지의 전송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송될 메시지들 또는 데이터에 관하여 제 2 통신 유닛의 통지에도 불구하고 전달이 수행되지 않는다.
송신자(제 1 통신 유닛)가 전송한 데이터의 개별 전송 상태에 관하여 송신자에게 알리기 위해, 스위칭 장치가 제 1 통신 유닛에 전송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스위칭 장치는 관련된 데이터의 송신자에게 또는 심지어는 또 다른 스위칭 장치에 의해 직접 전송 상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송 상태 메시지는 예컨대 데이터의 송신자의 메시지 저장 장치(이른바 "메일박스")에 전송될 수 있고, 그 메시지 저장장치로부터 송신자는 전송 상태 메시지를 호출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지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포함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들(MMs)을 전송하기 위한 원격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WAP내에서 MM의 전송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WAP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전송 확인 메시지 "m-delivery.ind"의 X-Mms-Status의 가능한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4는 WAP를 통한 MMS 메시지에 대한 "m-delivery.ind" 전송 확인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3GPP(ref.[1,2])에 의해 규정되는 것과 같은 최신 기술에 따른 MMS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제 1 MMS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A(MMS 사용자 에이전트 A: 10)로서, 예컨대 제 1 통신 유닛과 상응하는 이동 통신 장치 또는 MMS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장치(예컨대, 랩탑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에 접속된 장치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도시된다. 또한, 제 1 MMS 접속 유닛(20)은 예컨대 MMS 서비스 제공자 A의 책임범위 MMSE(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환경: 22)의 영역 내의 MMS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가능한 MMS 기능을 수행하는 이른바 "MMS-릴레이/서버"의 형태로 도시된다. 현재 기술에 따라, 각 경우에는 MMSE(22)당 오직 하나의 MMS 접속 유닛(20)만이 존재한다. 서비스 제공자 A의 MMS 접속 유닛(20)은 서비스 제공자 B의 추가 MMS 접속 유닛(30)에 접속되어 차례로 수신자(40)와 접촉한다. 상기 수신자(40)는 예컨대 제 2 통신 유닛에 상응하는 이동 통신 장치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마찬가지로 나타내는 제 2 MMS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B(MMS 사용자 에이전트 B)(40)로 나타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송신자(10)로부터 그의 서비스 제공자 A(22)의 상응하는 접속 유닛(20)으로 전송된다. 메시지의 수신이 제 2 서비스 제공자 B의 책임범위(32)의 영역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책임범위(32)의 제 2 영역에 대하여 책임이 있는 접속 유닛(30)으로 전달된다. 그 후에 메시지는 상기 스위칭 유닛에 의해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수신자(40)에게 전송된다.
송신자(10), MMS 접속 유닛 A(20), MMS 접속 유닛 B(30) 및 수신자(40) 사이의 접속은 도 1에서 각 경우에 인입 및 인출 화살표를 사용하여 도시되며,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수신 확인 메시지는 개별 송신자들(송신자(10), MMS 접속 유닛 A(20), 및 MMS 접속 유닛(30))에게 다시 전송된다. MMS 접속 유닛들(20 및 30)이 하나의 스위칭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MMS 스위칭 유닛(112, 예컨대 도 1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유닛들(20, 30) 모두에 상응하는)에 의해 송신자(110: 예컨대 도 1의 송신자(10)에 해당)로부터 수신자(114: 예컨대 도 1의 수신자(40)에 해당)로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의 진행 예가 도 2에 상세히 도시된다. 도 2는 [4]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최신 기술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를 도시하며, 따라서 3개의 참여 객체들-MMS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A(M-UA-A:110), MMS 스위칭 유닛(M-SR:112), 및 MMS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B(M-UA-B:114) 사이의 WAP 메시지들 또는 WAP 정보 아이템들의 교환이 MM의 송신 또는 수신의 경우로 도시된다. 데이터의 송신자(110)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유사하게 수신자는 하나의 원격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 통신 장치들은 예컨대, 종래의 핸드셋들로서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갖춘 랩탑들과 같이 추가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가지는 장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예컨대 UMTS(범용 이동 통신 표준)에서 이미지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포맷화된 텍스트 데이터의 전송시 사용되는 것과 같이 WAP 표준을 사용함으로써 MM들의 전송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GSM 또는 DECT(디지털 유럽식 무선 전화기)와 같은 다른 원격 통신 표준들에서 사용가능하다.
도 2의 흐름도에서 화살표들로 도시된 정보 아이템들 또는 메시지들이 3개의 참여 객체들(110, 112, 114) 사이에서 교환된다. 멀티미디어 메시지(MM)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헤더 및 선택적으로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의 바디를 포함한다.
송신자(110)의 원격 통신 장치에 포함되거나 송신자(110)의 원격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될 멀티미디어 메시지(MM)는 예컨대, 개별 이미지들, 필름 시퀀스들, 텍스트들 또는 이와 유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닛들 또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은 먼저 제공자/스위칭 유닛(112)에 요구 전송(이는 WAP 프로토콜에서 "M-Send.req"이라 명명됨)으로서 송신된다. 이로부터, 수신된 MM은 복귀 전송 "M-Send.conf"를 통해 송신자(110)에서 긍정응답된다.
그 후에,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가 스위칭 유닛(112)에 의해 계획된 수신자(114)에게 전송되며, 상기 수신자는 MM이 이미 스위칭 유닛(112)에서 다운로딩할 준비가 되어있음을 통지받는다. 이와 관련하여, 스위칭 유닛(112)은 확인 응답 메시지 또는 수신 통지 메시지 "M-NotifyResp.ind"를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114)로부터, 예컨대 상기 수신자가 수신 통지 메시지를 정확히 수신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수신한다.
요구 메시지 "WSPGET.req"를 가지는 수신자(114)에 의한 요구가 존재하면, MM은 MM 전송 "M-Retrieve.conf"와 함께 스위칭 유닛(112)에 의해 수신자에게 전송된다.
추가의 수신 확인 메시지 "M-Acknowledge.ind"는 MM의 수신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만약 송신자(110)가 희망하는 경우에, 스위칭 유닛(112)은 MM의 전달 상태와 관련된 메시지 "M-Delivery.ind"를 상기 송신자(110)에게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전송 상태 메시지는 스위칭 유닛(112)의 제 1 장치(미도시)에 의해 생성되어 제공되고 그 후에 제 2 장치(미도시)에 의해 전송되어 스위칭 유닛(112)으로부터 송신자(110)에게 제공됨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예가 참조하는 WAP 프로토콜 내의 메시지 "M-Delivery.ind"는 상태 메시지 "M-Delivery.ind"의 전송시 MM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 3의 상태 필드("X-Mms-Status":210)를 포함한다.
도 3은 일반적으로 도 4에 상세히 설명된 "M-Delivery.ind" 타입의 메시지 내의 상태 필드 "X-Mms-Status"(210)의 가능한 상태들(212)을 도시한다. 현재 MMS 명세서 [2,5]에 정의된 다수의 상태들은 MMS 전달 상태 통지 또는 전송 상태 메시지들 "M-Delivery.ind"를 통해 전송된다. 다양한 상태들은 MM이 수신자에게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상태: "리트리브"), MM이 수신자에 의해 거절되었는지의 여부(상태: "거절"), 수신자가 메일박스 내의 MM의 도달에 관한 통지를 수신하고 이를 이후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지의 여부(상태: "지연"), 수신자가 MM을 인식하지 않았는지의 여부(상태: "비인식") 및 수신자가 유효 기간 내에 MM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따라서 이를 완전히 수신할 수 없었는지의 여부(상태: "만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상태 필드 "X-Mms-Status"는 상태 "비전달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새로운 상태("비전달가능성")는, MM이 유효기간 내에 전송될 수 없는 경우, 즉, 접속 유닛이 수신자로부터의 MM 전송을 위해 (제 1) 수신 확인 메시지 "M-NotifyResp.ind" 또는 제 2 수신 확인 메시지 "M-Acknowledge.ind" 중 하나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MMS 접속 유닛(112: 도 2에 도시)에 의해서 요구된 전송 상태 메시지 "M-Delivery.ind" 내에 위치된다. 이는 MMS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 또는 MM 전송 (M-retrieve.conf) 중 어느 것도 수신자에게 정확히 도달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X-Mms-Status" 레지스터의 상응하는 상태들이 시스템 내에서 인코딩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따라서, 값들 "<Octet 128>" 내지 "<Octet 132>"은 공지된 상태들 "만료" 내지 "비인식"에 할당되며, 이때 상태 "비전달가능"은 시스템 내의 값 "<Octet 133>"으로 표시된다.
도 4는 W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신자(10, 110)에게 전송된 것과 같은 카테고리 내의 전송 상태 메시지 "M-delivery.ind"를 도시한다. 헤더는 메시지가 스위칭 유닛(20, 30, 112)으로부터 송신자(10,110)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다. 제 1 데이터 필드 "X-Mms-Message-Type"는 메시지의 형태가 무엇인지를 도시한다. 상기 경우에, MM 메시지의 전송상태와 관련하여 MM의 송신자의 상기 통지는 WAP 프로토콜 내에서 "m-delivery.ind"를 사용하여 카테고리화된다. "X-Mms-version"이라 지정된 다음 데이터 필드는 MMS WAP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버전을 도시한다. "X-Mms-Message-ID"라 지정된 후속 필드는 전송 상태 메시지가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의 내부 번호를 기록한다. "To"라 지정된 필드는 수신자를 포함하지만, "Date"라 지정된 데이터 필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마지막으로 처리된 날짜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필드는 수신자로의 전송일자, 거절 일자, 또는 수신자로의 전송의 유효기간의 만료 일자가 될 수 있다. "X-Mms-Status"라 지정된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 내의 최종 필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실제 전송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MM은 수신자에게 전송될 수 없거나 전달 불가능하며, 즉, 수신자는 예컨대 원격 통신 장치가 스위칭-온 되지않거나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수신 통지 메시지 또는 심지어 다수의 수신 통지 메시지들을 확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들을 가지는 데이터를 송신자로부터 수신자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며, 수신자로의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은 상기 송신자가 전송한 메시지가 전달불가능한 경우에 송신자에게 통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송신자는 메시지를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메시지가 비전달가능성의 경우에 두 번 전송되고 수신자가 전달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효율적인 처리를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분은 현재 기술에서 불가능했다.
참조문헌들
(Refs.[3], [4], [5], [6]는 예컨대 "http://www.wapforum.org/"에서 획득할 수 있다.
[1] 3G TS 22.140 version 4.1.0, Release 4;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terminal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MMS); Service Aspects; Stage 1, March 2001.
[2] 3G TS 22.140 version 4.2.0, Release 4;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terminal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MMS); Functional description; Stage 2, March 2001.
[3] WAP-205-MMS Architecture Overview, Draft Specification; Wireless Wpplication Protocol,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Architecture Overview Specification, 25 April 2001.
[4] WAP-206-MMS Client Transactions, Draft Specification; Wireless Wpplication Protocol, WAP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lient Transactions, 12 April 2001.
[5] WAP-209-MMS Encapsulation, Draft Specification Change Document; Wireless Wpplication Protocol,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 Encapsulation, 5 January, 2002.
[6] WAP-203-MMS Specification, Approved Version, Wireless Wpplication ProtocolP: Wireless Session Protocol; 4 May 2002.
약어 목록
GSM 이동통신용 범용 시스템
SMS 단문 메시지 서비스
UMT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WAP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WSP 무선 세션 프로토콜
DECT 디지털 유럽 무선전화기
MMS용 약어
MM 멀티미디어 메시지
MMS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M-UA MMS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M-SR MMS 릴레이/서버
M-Send.req MMS 전송 요구
M-Send.conf MMS 전송 확인
M-Notification.ind MMS 수신 통지
M-NotifyResq.ind MMS 수신 통지 확인
W-WAP GET.req MMS 전달 요구
M-retrieve.conf MMS 전달 메시지
M-Acknowledge.ind MMS 전달 확인
M-Delivery.ind MMS 전달 상태 통지

Claims (16)

  1. 원격 통신 네트워크(10, 20, 30, 40; 110, 112, 114)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갖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10; 110)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40; 114)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데이터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가 상기 제1 통신 유닛(10; 110)에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달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송될 상기 데이터에 관한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 또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이 각각의 관련된 확인 메시지(M-NotifyResp.ind, M-Acknowledge.ind)에 의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의해 긍정응답(acknowledge)되지 않으면,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non-deliverability)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이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정의가능한 유효 기간 내에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달될 수 없으면,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상기 비전달가능성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이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송될 상기 데이터에 관한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 및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이 각각의 관련된 확인 메시지(M-NotifyResp.ind, M-Acknowledge.ind)에 의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의해 긍정응답되지 않으면,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이 적용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통신 네트워크(10, 20, 30, 40; 110, 112, 114)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1 통신 유닛(10; 110)으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으로 전송하는 스위칭 어레인지먼트(20, 30; 112)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어레인지먼트(20, 30; 112)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을 확립하고,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를 상기 제1 통신 유닛(10; 110)으로 전송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을 이용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에 의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는 카테고리 "X-Mms-Message-Type:m-notification.ind"에서의 MMS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카테고리 "X-Mms-Message-Type:m-retrieve-conf"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MMS 메시지에 의해서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는 카테고리 "X-Mms-Message-Type:m-delivery-ind" 에서의 MMS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은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의 데이터 필드 "X-Mms-Status"에서 값 "<Octet 133>"으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유닛(10; 110) 및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통신 네트워크(10, 20, 30, 40; 110, 112, 114)는 적어도 영역들에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로서 실현되고, 상기 제1 통신 유닛(10; 110) 및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 중 적어도 하나는 GSM, GPRS, EDGE 및 UMTS 표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를 제1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 어레인지먼트(20, 30; 112).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10, 20, 30, 40; 110, 112, 114)에서 제1 통신 유닛(10; 110)으로부터 제2 통신 유닛(40; 114)으로 전송되고, 상기 스위칭 어레인지먼트(20, 30; 112)는 상기 제2 통신 유닛(40;114)에 전송될 데이터에 할당된 전송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송될 상기 데이터에 관한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 또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이 각각의 관련된 확인 메시지(M-NotifyResp.ind, M-Acknowledge.ind)에 의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의해 긍정응답되지 않으면,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스위칭 어레인지먼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데이터가 정의가능한 유효 기간 내에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달될 수 없으면,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M-Delivery.ind)에 상기 전송될 데이터의 상기 비전달가능성에 관한 정보의 아이템을 제공하는,
    스위칭 어레인지먼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전송될 데이터에 관한 수신 통지 메시지(M-Notification.ind) 및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정확한 수신이 각각의 관련된 확인 메시지(M-NotifyResp.ind, M-Acknowledge.ind)에 의해서 상기 제2 통신 유닛(40; 114)에 의해 긍정응답되지 않으면, 상기 전송된 데이터의 비전달가능성이 적용되는,
    스위칭 어레인지먼트.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어레인지먼트(20, 30; 112)는 상기 제1 통신 유닛(10; 110)에 상기 전송 상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어레인지먼트.
KR1020047016071A 2002-04-09 2003-04-01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KR100975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15567.4 2002-04-09
DE10215567A DE10215567A1 (de) 2002-04-09 2002-04-09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insbesondere mit multimedialen Inhalten, in einem Mobilfunknetz
PCT/DE2003/001064 WO2003085999A1 (de) 2002-04-09 2003-04-01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insbesondere mit multimedialen inhalten, in einem mobilfunkne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65A KR20040098065A (ko) 2004-11-18
KR100975439B1 true KR100975439B1 (ko) 2010-08-11

Family

ID=2845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071A KR100975439B1 (ko) 2002-04-09 2003-04-01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8532564B2 (ko)
EP (1) EP1493295B1 (ko)
JP (2) JP4510470B2 (ko)
KR (1) KR100975439B1 (ko)
CN (2) CN1647569B (ko)
AT (1) ATE301914T1 (ko)
AU (1) AU2003229504A1 (ko)
BR (1) BR0309137A (ko)
DE (2) DE10215567A1 (ko)
ES (1) ES2244935T3 (ko)
HK (1) HK1148159A1 (ko)
RU (1) RU2323543C2 (ko)
WO (1) WO2003085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472B2 (en) 2004-07-26 2014-02-04 Vringo Infrastructur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a sender of a message of content adaptation and message failure issues
KR101155335B1 (ko) * 2005-01-07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동작방법
EP1850892B2 (en) 2005-01-24 2023-04-19 Antares Pharma, Inc. Prefilled needle assisted syringe jet injector
KR100677497B1 (ko) * 2005-11-02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중복 통보 메시지 처리 방법
US8023971B2 (en) * 2005-11-21 2011-09-20 Syniverse Ic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deliver multimedia alerts to a mobile phone
GB2465799B (en) * 2008-12-01 2012-01-2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elivery of multimedia messages
KR101261260B1 (ko) * 2009-02-16 2013-05-07 알까뗄 루슨트 부재중 호들의 확인응답에 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410697A1 (en) * 2010-07-20 2012-01-25 ABB Research Ltd. Frame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171A1 (en) * 1999-10-08 2001-04-19 Nokia Corporation Location sensitive multimedia messaging (mms)
WO2001035622A1 (en) * 1999-11-08 2001-05-1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ultimedia servi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227B (de) * 1954-10-23 1957-08-22 Albert Schweizer Vorrichtung zur Bedienung von hochliegend angeordneten elektrischen Geraeten, insbesondere von Lampen, Strassenleuchten u. dgl.
DK0505489T3 (da) * 1989-12-14 1998-07-27 Motorola Inc Satellitbaseret bekræftelses-bagud søgesystem
JPH0918483A (ja) * 1995-06-26 1997-01-17 Sharp Corp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070080A (en) * 1996-11-22 2000-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lled party availability announcement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3658896B2 (ja) * 1996-11-26 2005-06-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伝送システム、再生装置及び表示装置
FI108982B (fi) * 1998-06-15 2002-04-30 Nokia Corp Sanomapalvelu langattoma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DE69926807T2 (de) * 1999-04-19 2006-06-08 Nokia Corp. Verfahren zur ablieferung von nachrichten
US7194681B1 (en) * 1999-07-30 2007-03-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assigning priorities to documents and messages
FI110831B (fi) * 1999-12-31 2003-03-31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ron tehostamiseksi ja tiedonsiirtoprotokolla
FI113234B (fi) * 2000-02-01 2004-03-1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ominaisuustiedon välittämiseksi
US6938024B1 (en) * 2000-05-04 2005-08-30 Microsoft Corpora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given constrained resources
ATE266291T1 (de) * 2000-06-16 2004-05-15 Nokia Corp Nachrichtendienstsystem und in einem derartigen system durchgeführtes verfahren
JP4570741B2 (ja) 2000-06-26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DE10142270A1 (de) 2001-02-07 2002-08-08 Siemens Ag Verfahren zur Nachrichtenversendung aus einem MMS-System und Einrichtun hierfür
US7127264B2 (en) * 2001-02-27 2006-10-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originated interactive menus via short messaging services
US7054592B2 (en) * 2001-09-18 2006-05-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eption apparatus
US7185015B2 (en) * 2003-03-14 2007-02-27 Websense, Inc.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application files
US20070136215A1 (en) * 2005-12-12 2007-06-14 Fogel Thomas C Truncation of undeliverable mailpie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28171A1 (en) * 1999-10-08 2001-04-19 Nokia Corporation Location sensitive multimedia messaging (mms)
JP2003511977A (ja) 1999-10-08 2003-03-25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位置感知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ング(mms)
WO2001035622A1 (en) * 1999-11-08 2001-05-17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ultimedia servic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1781A (zh) 2010-09-22
EP1493295A1 (de) 2005-01-05
RU2323543C2 (ru) 2008-04-27
EP1493295B1 (de) 2005-08-10
DE50300970D1 (de) 2005-09-15
US8909129B2 (en) 2014-12-09
US8532564B2 (en) 2013-09-10
WO2003085999A1 (de) 2003-10-16
RU2004132830A (ru) 2005-06-27
CN101841781B (zh) 2013-01-02
ATE301914T1 (de) 2005-08-15
ES2244935T3 (es) 2005-12-16
CN1647569A (zh) 2005-07-27
KR20040098065A (ko) 2004-11-18
JP2009153173A (ja) 2009-07-09
JP2005528021A (ja) 2005-09-15
US20050165897A1 (en) 2005-07-28
HK1148159A1 (en) 2011-08-26
AU2003229504A1 (en) 2003-10-20
BR0309137A (pt) 2007-01-30
JP4510470B2 (ja) 2010-07-21
JP4991772B2 (ja) 2012-08-01
CN1647569B (zh) 2010-05-26
US20130303208A1 (en) 2013-11-14
DE10215567A1 (de)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3590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ail and a push mail server
US890912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articularly having multimedia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2290911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media messages to incompatible terminals
US80506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messaging service message adaptation
US7616739B2 (en) Method for forwarding multimedia messages between different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ers
US200502337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ort message service exchange and teleconferencing
US78179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messaging service message adaptation
US2009011143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EP2228954A1 (en) Storage of data messages for later retrieval by the recipient
JP2006191609A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これ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処理方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US83006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upplementary data, and communication terminal
RU2295831C2 (ru) Способ пересылк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центрами обработки мультимедийных сообщений
US200501817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ssages to mobile termin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a user selectable attainability status
JP2003179691A (ja) メッセージの伝送の際の情報流の拡張方法、拡張装置、および拡張のためのソフトウエア
JP2004532567A (ja) 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サービス(mms)におけるメッセージング
KR20020072921A (ko)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GB2439463A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methods and apparatus
JP2009296099A (ja) 電話通信処理方法、電話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5011208B2 (ja) メール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5011210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424599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기의 정보 처리 방법 및장치
JP5011209B2 (ja) メール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50067665A (ko) 복수개의 mms를 처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