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524B1 -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 Google Patents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524B1
KR100974524B1 KR1020080063518A KR20080063518A KR100974524B1 KR 100974524 B1 KR100974524 B1 KR 100974524B1 KR 1020080063518 A KR1020080063518 A KR 1020080063518A KR 20080063518 A KR20080063518 A KR 20080063518A KR 100974524 B1 KR100974524 B1 KR 10097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sub
speaker devic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3562A (en
Inventor
김창용
김형복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6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524B1/en
Publication of KR2010000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각 공간에 음성 방송이 필요한 곳 예를 들면, 아파트나 학교 혹은 병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peaker devices and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speaker devices and systems that can be used in places where voice broadcasting is required, for example, in apartments, schools, or hospital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eak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eaker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wire with a central broadcasting device and outputs a voice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rough the wire, a power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o the speaker part; An on / off unit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A state for controlling the on / off unit and informing the state of the speaker device based on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스피커, 음성, 방송, 쌍방향, 경보, 메인, 서브 Speaker, Voice, Broadcast, Interactive, Alarm, Main, Sub

Description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speaker apparatus and system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각 공간에 음성 방송이 필요한 곳 예를 들면, 아파트나 학교 혹은 병원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peaker devices and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to speaker devices and systems that can be used in places where voice broadcasting is required, for example, in apartments, schools, or hospitals.

보통, 아파트나 학교 등과 같은 곳에는 해당 지역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음성 방송을 하기 위한 스피커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건물의 어느 한 곳에 방송실이 위하고 있고 방송실 내에 설치되는 중앙방송장치에서 방송을 하면, 이 방송은 건물 내의 각 방과 복도 혹은 건물의 외곽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장치를 통해 출력된다.Usually, such as apartments or schools, there is a speaker system for voice broadcasting to people in the area. If the broadcasting room is located in one of the buildings and broadcasts in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broadcasting room, the broadcasting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devices installed in each room and the corridor of the building or the outside of the building.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은 중앙방송장치에서 스피커장치로의 단방향 통신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 곧, 종래 스피커 시스템으로는 방송실에서 각 스피커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is constructed by a one-way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o the speaker apparatus. That is,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has a problem that can not determine whether or not each speaker device in the broadcasting room.

또한,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에 의해 통합 제어되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 곧,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스피커장치는 구내 방송용으로만 국한이 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each speaker device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it is integratedly controlled by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In other words, the speaker device in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is used only for the premises broadcasting.

또한, 종래의 스피커 시스템에 따르면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는 중앙방송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방식으로 구축되어 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피커장치에 식별번호(ID)가 부여된다. 그럼으로써, 다수의 스피커장치에서 일부분만이 중앙방송장치의 제어에 의해 구내 방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모든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가 중앙방송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즉, 다수의 스피커장치는 용도별(예, 라디오방송용/재난방송용) 혹은 지역별(예, 아파트에서의 동별)로 그룹화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또한, 그룹화함에 있어서도 하나의 그룹을 여러 소그룹을 나눌 필요가 생기게 된다. 아파트를 예를 들면, 101동에서 각 층별로 그룹화할 수 있다. 이렇다고 한다면,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를 한 곳(방송실)에서 보다는 여러 곳에서 결정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peaker system, the driving of the speaker device is constructed in a manner determined by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o this end, an identification number ID is assigned to each speaker device. As a result,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speaker devices can broadcast the premises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However, it is inefficient to determine whether all the speaker devices are driven by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in this way. That is, a plurality of speaker devices need to be grouped by use (for example, for radio / disaster broadcasting) or by region (for example, in an apartment). In addition, in grouping, one group needs to be divided into several small groups. Apartments, for example, can be grouped by floor in 101. If this is the case, it may be more efficient to determine whether the loudspeaker is driven in more places than in on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앙방송장치가 스피커장치에 응답하라는 명령을 보내게 되면 스피커장치가 이를 인지하여 회답하도록 회신하도록 함으로써, 방송실에서 각각의 스피커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알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hen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sends a command to respond to the speaker device by causing the speaker device to recognize and reply to it, whether or not each speaker device in the broadcasting room has failed or the lik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aker device and a system so as to know.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를 중앙방송장치에 비상 사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전송하는 경보 발생 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방송실에서 각 스피커장치의 주변에 비상 사태가 일어났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speaker device as an alarm generating means for transmitting a status signal for informing the emergency to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e speaker to recognize that the emergency occurred in the vicinity of each speaker device in the broadcasting room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장치를 외부 오디오 기기의 음성 출력 수단으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구내 방송용으로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device and a system tha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not limited to the internal broadcasting, by using the speaker device as a voice output means of an external audio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스피커장치를 메인과 서브단으로 구분하되 서브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가 아닌, 해당되는 메인스피커장치에 의해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device and a system that divides a plurality of speaker devices into the main and sub-stage, but the sub-speaker device is driven by the corresponding main speaker device, not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ere is thi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는 중앙방송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 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peak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wire with a central broadcasting device and a speaker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rough the wire, amplifying the voice signal to the speaker An output power amplifier unit; An on / off unit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A state for controlling the on / off unit and informing the state of the speaker device based on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이외에도, 상기 스피커 장치는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ea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larm detecting means, the control unit is to generate a status signal for notifying the alarm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alarm detecting means to output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desirable.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되,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 및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eaker device is supplied with a DC power through the wire, the voltage adjusting unit for supplying the speaker device by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and the power component and signal components coming through the wire to separate the power component is Preferably,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voltage adjusting unit and output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는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ak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elect one of an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output the selected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uni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b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 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while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switching uni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so that the rece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unit.

또한, 상기 스피커장치는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및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eak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ler for adjusting a volume of the voice signal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and a remote controller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is wirelessly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the signal.

아울러,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전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스피커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peak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rough the wire and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o output the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an on / off unit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a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to an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main speaker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the on / off unit and generate a state signal for informing the state of the speaker device,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in spea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larm detecting means,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tatus signal for notifying the alarm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alarm detecting means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t is preferable to output to.

또한,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상기 메 인스피커장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와,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the main speaker apparatus through the wire. Accordingly, the main speaker device is to adjust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to the voltage control unit for supplying the main speaker device,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coming through the wire and output the power componen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lter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또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speaker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select one of an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output the same to the power amplifier unit.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while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switching unit. Preferably, the receiver controls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unit.

또한,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spea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the control unit is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receiv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the radio signal.

또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은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와 상기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앙방송장 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스피커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peaker system is connected to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and the main speaker device through the wire, a plurality of sub-speakers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o th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speaker devic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device.

또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서브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서브측 전압조정부,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서브측 파워앰프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서브측 온/오프부,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상기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서브측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온/오프부를 제어하는 서브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speaker device is a sub-side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to the sub-speaker device, a sub-power to amplify the audio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rough the wire and output to the speaker An amplifier section, a sub-side on / off section for turning on / off power supply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section, a signal receiving section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the main speaker apparatus, a power component and a signal component at the wire The power component is outputted to the sub side voltage adjusting unit, and the sub side on / off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speaker device through the filter unit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outputting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the sub-side control part which controls an off part.

또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서브측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peaker apparatus may select one of a sub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ub external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nd output the selected subwoofer to the sub power amplifier unit.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ub-side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수신부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 control unit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speaker device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while the sub power switch unit and the sub external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sub switching uni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ub-side switching unit so that the signal rece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또한,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서브측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peaker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b-side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volume of an audio signal output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and a sub-side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a remote controller. Preferably, the side controller controls the sub-sid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sub-side remote control receiver.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방송장치와 스피커장치 간의 쌍방향 통신에 의해 방송실에서 각각의 스피커장치의 고장 여부 등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or not each speaker device is broken in the broadcasting room by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and the speaker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보감지수단을 구비한 스피커장치를 통해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모든 곳에서 비상 사태를 즉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peaker device having an alarm detecting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emergency in any place where the speaker is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장치를 구내 방송용으로만 국한하지 않고 외부 오디오 기기의 음성 출력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peaker device can be used for voice output of an external audio device, without being limited to an internal broadcas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스피커장치를 메인과 서브단으로 구분하되 서브스피커장치는 중앙방송장치가 아닌, 해당되는 메인스피커장치에 의해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스피커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peaker devices are divided into main and sub-stages, but the sub-speaker devices are operated not by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but by the corresponding main speaker devices so that each speaker device is efficiently operated. It can work.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speaker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방송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main spea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sub spea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중앙방송장치(100), 다수의 메인스피커장치(200) 및 다수의 서브스피커장치(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들은 전원을 얻고 상호 간의 통신을 위해 전선을 통해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speak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a plurality of main speaker devices 200, and a plurality of sub speaker devices 300, which obtain power and mutually. It is connected via wir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m.

여기서, 중앙방송장치(100)는 스피커장치(200, 300)에 음성신호를 보내주고, 메인스피커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중앙방송장치(100)는 통신이 이루어지는 전선을 통해 스피커장치(200, 30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피커장치(200, 300)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필요한 전원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Here,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speaker apparatuses 200 and 300 an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ain speaker apparatus 200. In addition,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preferably supplies DC power to the speaker devices 200 and 300 through a wire through which communication is performed. Of course, the speaker devices 200 and 30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to solve the necessary power by itself.

메인스피커장치(200)는 중앙방송장치(100)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면 즉,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오는 제어신호에 자신의 식별정보(ID)가 포함되어 있게 되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메인스피커장치(200)는 중앙방송장치(100)가 제어신호를 보내게 되면, 이에 답하는 신호를 회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방송실에서는 메인스피커장치(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ain speaker apparatus 200 commands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o output a voice, that is, when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 is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udio signal received from) is output to the speaker. In addition, when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sends a control signal, the main speaker apparatus 200 return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herefore, the broadcasting room can check the state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서브스피커장치(300)는 메인스피커장치(200)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명령하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이다.When the sub speaker device 300 commands the main speaker device 200 to output voice, the sub speaker device 300 output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o the speaker.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방송장치(100)의 바람직한 구성은 마이크(115); 마이크(115)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의 출력을 온/오프하기 위한 마이크 스위치(120); 마이크(115)에서 발생된 음성신호의 신호 레벨을 높이기 위한 전치 증폭부(pre-amplifier; 125);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보음 발생부(130);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135); 마이크신호, 경보음신호 및 제어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140);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150); 데이터(제어신호)와 오디오(음성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부(145);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 및 스피커장치(200, 300)에 직류 전원(예, 24V)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5); 전원공급부(185)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중앙방송장치(100)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voltage requlator; 175);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전원 성분은 전압조정부(175)로 출력하고 신호 성분은 신호 송/수신부(145)로 출력하는 필터부(170); 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반사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180); 중앙방송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키입력부(155); 중앙방송장치(100) 및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0); 각각의 메인스피커장치(200)의 식별정보 및 운영프로그램 등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65); 및 중앙방송장치(10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2,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phone 115; A microphone switch 120 for turning on / off the output of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phone 115; A pre-amplifier 125 for increasing the signal level of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microphone 115; An alarm sound generator 130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135 for converting an input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A switching unit 140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a microphone signal, an alarm sound signal, and a control signal;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50 for converting an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A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145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f data (control signal) and audio (voice signal); A power supply unit 185 for supplying DC power (eg, 24V) to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nd the speaker apparatuses 200 and 300 through a wire; A voltage adjuster 175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85 and supplying the voltage to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 filter unit 170 separating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from the wire and outputting the power componen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175 and outputting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45; An impedance matching unit 180 for preventing reflection loss of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wire; A key input unit 155 for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 display unit 160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nd the main speaker apparatus 200; A storage unit 165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programs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gram of each main speaker device 200; And a controller 110 that collectively controls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바람직한 구성은 중앙방송장치(100)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15)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power amplifier; 225); 파워앰프부(225)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220); 중앙방송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245) 및 신호 송/수신부(245)를 통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220)를 제어하고 메인스피커장치(200)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신호 송/수신부(245)로 출력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3,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and the wire and the audio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through the wire A speaker device for outputting a signal, comprising: a power amplifier (225)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speaker (215); An on / off unit 220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225; On / off unit 220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5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5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It may be made to include a control unit 210 for controlling and generating a status signal for informing the state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5.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경보발생스위치(255a) 및 이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보부(2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경보부(255)로부터 전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신호 송/수신부(245)로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신호 송/수신부(245)는 이러한 상태 신호를 중앙방송장치(100)로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larm generating switch 255a and an alarm unit 255 for generating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reof. Accordingly, when the electric signal is input from the alarm unit 255, the control unit 210 generates a state signal for notifying the alarm and outputs it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45. Then,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45 transmits this state signal to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는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이러한 직류전원을 이용하기 위해,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메인스피커장치(200)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275) 및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전원 성분은 전압조정부(275)로 출력하고 신호 성 분은 신호 송/수신부(245)로 출력하는 필터부(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ied with a DC power supply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through a wire. Accordingly,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in order to use the DC power supply in the voltage adjusting unit 275 and the wire to the main speaker device 200 The power component may be separated from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and the power component may be outpu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275 and the signal compon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lter unit 270 for outputting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4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 및 신호 송/수신부(24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파워앰프부(225)로 출력하는 스위칭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210)는 스위칭부(240)에 의해 파워앰프부(225)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호 송/수신부(245)를 통해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신호 송/수신부(245)가 파워앰프부(225)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2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or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285 and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45 and the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285 It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240 to select any one of the audio signal to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225. In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broadcasting unit (240) via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245 in a state where the power amplifier unit 225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285 are connected by the switching unit 240.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100,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witching unit 240 so that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45 is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unit 22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파워앰프부(225)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불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중앙방송장치(100)에서 보내주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방송실에서 원격으로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230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225. Accordingly,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volume adjusting unit 230 based on a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hat is, the volume of the speaker can be adjusted remotely in the broadcasting ro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리모컨의 무선신호(예, 적외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리모컨 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23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10)는 리모컨 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자신에게 해당되는 서브스피커장치들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리모컨 수신부(2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receiver 260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eg, infrared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Accordingly, the controller 210 preferably controls the volume controller 230 based on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may determine whether to drive the sub-speaker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based on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may control the on / off unit 220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260.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바람직한 구성은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서브스피커장치(300)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375); 전선을 통해 중앙방송장치(100)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315)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325); 파워앰프부(325)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320); 중앙방송장치(100) 및 메인스피커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345);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전원 성분은 전압조정부(375)로 출력하고 신호 성분을 신호 수신부(345)로 출력하는 필터부(370); 및 신호 수신부(345)를 통해 메인스피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320)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 4,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sub-speak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i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through the wire to the sub-speaker device 300 A voltage adjusting unit 375 to be supplied to the battery; A power amplifier unit 325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hrough a wire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315; An on / off unit 320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325; A signal receiver 345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nd the main speaker apparatus 200; A filter unit 370 that separates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from the wire and outputs the power componen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375 and outputs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345; And a controller 310 that controls the on / off unit 320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speaker device 200 through the signal receiver 345.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385) 및 신호 수신부(34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38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파워앰프부(325)로 출력하는 스위칭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어부(310)는 스위칭부(340)에 의해 파워앰프부(325)와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385)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호 수신부(345)를 통해 메인스피커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신호 수신부(345)가 파워앰프부(325)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34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sub-speak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385 and the signal receiving unit 345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385. It may include a switching unit 340 to select any one of the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325. In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310 is the main speaker device 200 through the signal receiver 345 in a state where the power amplifier 325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385 is connected by the switching unit 340.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340 is preferably controlled so that the signal receiver 345 is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32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파워앰프 부(325)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불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메인스피커장치(200)에서 보내주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서브스피커장치(300)의 볼륨 조절은 중앙방송장치(100)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sub-speak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330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325. Accordingly, the controller 310 may control the volume adjusting unit 330 based on a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main speaker device 200. Of course, the volume control of the sub-speaker apparatus 300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300)의 더 바람직한 구성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10)는 리모컨 수신부(3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볼륨조절부(33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310)는 리모컨 수신부(360)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re preferable configuration of the main speak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receiver 360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Accordingly, the controller 310 preferably controls the volume controller 330 based on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3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10 may control the on / off unit 320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receiver 360.

한편,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250은 ADC이고, 235는 DAC이며, 265는 각각의 서브스피커장치(300)의 식별정보 및 운영프로그램 등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이며, 280은 임피던스 매칭부이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250 denotes an ADC, 235 denotes a DAC, 265 denot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programs such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operation program of each sub-speaker apparatus 300, and 280 denotes impedance matching. It is wealth.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350은 ADC이고, 380은 임피던스 매칭부이다.In FIG. 4, reference numeral 350 denotes an ADC, and 380 denotes an impedance matching unit.

신호 송/수신부(145, 245) 및 신호 수신부(345)는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출력 신호의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테면, 자동이득제어회로는 출력신호의 피크 대 피크값(peak-to-peak value)이 5V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s 145 and 245 and the signal receiver 345 include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detecting the amplitude variation of the input signal so that the amplitude of the output signal is always maintained. It is preferable. For example, the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is such that the peak-to-peak value of the output signal is maintained at 5V.

도 2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중앙방송장치(100)에도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방송장치(100)는 외부 기기 예를 들면, 라디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장치(200, 300)로 출력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an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may output voice signals input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radio, to the speaker apparatuses 200 and 300.

이하에서는 이상으로 살펴본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서 여러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xamples of the operation of the speaker device and the system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중앙방송장치(100)의 키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구동시키고 싶은 스피커장치(200, 300)를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구내 방송을 위해 마이크스위치(120)를 켜게 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스피커장치(200, 300)를 구동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자동적으로 출력하는데, 이 신호는 DAC(135)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각각의 메인스피커장치(200)로 전달된다. 그러면, 각각의 메인스피커장치(200)에서 제어부(210)는 중앙방송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자신의 ID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 다음, 그 결과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태신호를 출력하고 자신의 서브스피커장치(300)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파워앰프부(225)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온/오프부(220)을 제어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방송실에서의 사용자 음성이 건물 곳곳으로 안내된다.First, a user selects a speaker device 200 or 300 to be driven by manipulating a key button (not shown) of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100. Then, when the user turns on the microphone switch 120 for the premises broadcasting, the control unit 110 automatically outputs a control signal to drive the speaker device 200, 300 selected by the user, the signal is a DAC ( 135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ed to each main speaker device 200. Then, in each main speaker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10 checks whether the I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nd if the result is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for In response, a status signal is output and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ub speaker device 300 is output. In addition, the controller 210 controls the on / off unit 220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amplifier unit 225. As a result, the user's voice in the broadcasting room is guided throughout the building through this process.

한편, 아파트형 공장을 예를 들어, 층마다 한 업체씩 입주하여 있고 각 층의 모든 호실 및 복도에 스피커장치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음성 안내가 공장 내의 모든 스피커장치에서 행해진다면, 지역에 따라서는 이 구내 방송이 소음이 될 수 있다. 물론, 방송실에서 각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공장에 입주하여 있는 업체 사정에 따라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는 각 호 실별로 달리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송실에서 모든 업체의 사정을 감안하여 스피커장치의 구동 여부를 통합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곳에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 및 서브스피커장치(300)를 설치하게 된다면, 업체마다 서브스피커장치(300)의 구동 여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uppose that an apartment-type factory is occupied by one company per floor, and that speaker devices are installed in all rooms and hallways of each floor. If voice announcements are made at all loudspeaker units in the factory, depending on the area, the broadcast may be noisy. Of cour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drive each speaker device in the broadcasting room. However, depending on the company's situation in the factory, whether or not to drive the speaker device can be set differently for each room, it is not easy to manage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speaker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all companies in the broadcasting room. Therefore, if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nd the sub speaker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such a place,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the sub speaker device 300 is driven differently for each company.

또한, 아파트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200)가 각 호실마다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1층 10호에서 화재(혹은 주거 침입)가 났다고 한다면 해당 거주자는 경보발생스위치(255a)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이에 따른 경보신호가 중앙방송장치(100)로 전달되고, 이를 인지한 중앙방송장치(10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보음을 모든 메인스피커장치(200)로 출력하게 되어 경비실, 관리실 및 아파트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이 화재(혹은 주거 침입)를 즉시,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경보감지수단으로서 위 실시예에서는 경보발생스위치(225a) 및 경보부(225)로 설명하였으나, 불꽃 등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main speaker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each room. If the fire (or invasion of the house) occurred in the first floor 10, the resident presses the alarm generation switch (255a). Then,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and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100 that recognizes the alarm signal is outputted to all the main speaker apparatus 200 in advance. Anyone living in can immediately perceive a fire (or home invasion). Here, as the alarm detecting mean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the alarm generating switch 225a and the alarm unit 225, it may be a sensor for detecting a flame or the lik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 장치나 mp3 플레이어 등의 외부 오디오 기기를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285, 385)에 연결하여 스피커장치(200, 300)를 외부음성의 출력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n external audio device such as a home network device or an mp3 player to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s 285 and 385, the speaker devices 200 and 300 may be used for outputting external voice.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 및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speaker device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 speak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방송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ㅇ이다.2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3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main spea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스피커장치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4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sub-speak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중앙방송장치100: central broadcasting device

200: 메인스피커장치200: main speaker device

300: 서브스피커장치300: subspeaker unit

Claims (17)

중앙방송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에 있어서,In the speaker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and the wire and outputs a voice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rough the wire,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되,The speaker device is supplied with DC power through the wire, 상기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A power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the voice signal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voice signal to a speaker;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An on / off unit for turning on / off a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A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n / off unit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generating a state signal for notifying a state of the speaker device and outputting the state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스피커 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 및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and supplying the speaker device;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And a filter unit for separating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com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and outputting the power componen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and outputting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t further comprises an alarm detecting mea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tatus signal for informing the alarm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alarm detecting means, and outputs the status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nd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And a switching unit which selects one of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while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switching unit, the signal transmitter / receiver is the power amplifier.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 및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The control unit is a speak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receiver. 마이크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전선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중앙방송장치 및Central broadcasting device that outputs the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 and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파워앰프부와, 상기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부와,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오프부를 제어하고 메인스피커장치의 상태를 알리기 위한 상태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 power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sent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wire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to a speaker, an on / off unit for turning on / off power supply to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a signal with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s the signal by generating a status signal for controlling the on / off unit and informing the state of the main speaker device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 Including the main speaker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output to the receiver, 상기 중앙방송장치는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와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the main speaker apparatus through the wire,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전압조정부와, 상기 전선에서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The main speaker device is a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to the main speaker device, and separates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from the wire, and outputs the power component to the voltage adjusting unit and outputs the signal component. Speak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lter for outputting to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경보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The main spea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n alarm detecting mea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경보를 알리기 위한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tatus signal for informing an alarm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alarm detecting means, and outputs the status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삭제delet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The main speaker device,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nd 상기 신호 송/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a switch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ignal to the power amplifier unit.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파워앰프부와 상기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 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상기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while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th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switching unit, the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is the power.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an amplifier unit.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는 상기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The main spea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power amplifier unit, and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The control unit is a speake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 receiver. 제 7항, 제 8항, 제 10항 제 11항 및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8, 10, 11 and 12,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와 상기 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메인스피커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다수의 서브스피커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a plurality of sub-speaker devices connected to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and the main speaker device through the wires,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device to a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speaker device. Speaker system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The sub speaker device, 상기 직류전원의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서브스피커장치에 공급하는 서브측 전압조정부,A sub-side voltag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voltage of the DC power supply and supplying the sub-speaker apparatus;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중앙방송장치에서 보내주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서브측 파워앰프부,A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through the wire;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하는 서브측 온/오프부,A sub-side on / off unit for turning on / off power supply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상기 중앙방송장치 및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A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apparatus and the main speaker apparatus; 상기 전선을 통해서 오는 전원 성분과 신호 성분을 분리하여 상기 전원 성분은 상기 서브측 전압조정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성분을 상기 신호 수신부로 출력하는 필터부 및A filter unit for separating the power component and the signal component coming through the electric wire and outputting the power component to the sub side voltage adjusting unit and outputting the signal component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온/오프부를 제어하는 서브측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a sub side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ub side on / off unit based on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ain speaker apparatus through the signal receiver.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The sub speaker device,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 및Sub-sid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nd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하는 서브측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a sub-side switching unit which selects one of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sub-side external voice signal input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system.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The sub-side control unit,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에 의해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와 상기 서브측 외부음성신호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 수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스피커장치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수신부가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측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speaker device through the signal receiver in a state where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and the sub-side external audio signal input terminal are connected by the sub-side switching unit, the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ub-side switching unit to be connected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서브스피커장치는 상기 서브측 파워앰프부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서브측 볼륨조절부와, 리모컨의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The sub-speaker device further comprises a sub-side volum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output to the sub-side power amplifier unit, and a sub-side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of the remote control, 상기 서브측 제어부는 상기 서브측 리모컨 수신부로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서브측 볼륨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the sub-sid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b-side volume control unit based on a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sub-side remote control receiver.
KR1020080063518A 2008-07-01 2008-07-01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KR100974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18A KR100974524B1 (en) 2008-07-01 2008-07-01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18A KR100974524B1 (en) 2008-07-01 2008-07-01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62A KR20100003562A (en) 2010-01-11
KR100974524B1 true KR100974524B1 (en) 2010-08-10

Family

ID=4181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518A KR100974524B1 (en) 2008-07-01 2008-07-01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5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397B1 (en) * 2011-10-12 2012-01-02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Power amplifier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32021B1 (en) * 2014-02-18 2014-08-21 정성길 the unbroken status propag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parallel multi communication
KR102368094B1 (en) * 2020-08-27 2022-02-25 주식회사 원캐스트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status monitoring method using speaker line of broadcast sound equipment
KR102308945B1 (en) * 2020-12-18 2021-10-05 (주)미디어디바이스 Tunnel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using directional sound output speak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734A (en) * 2002-06-05 2003-12-11 삼성코닝 주식회사 Multi-layer thin film structure of pdp filter
KR200393734Y1 (en) * 2005-06-14 2005-08-30 (주)디택 The Control System for a numerous Speaker
KR100542560B1 (en) 2003-08-09 2006-01-11 한국스프라이트 주식회사 Total control network speaker system
KR100587966B1 (en) * 2006-03-14 2006-06-08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Centralized public address power amplification apparatus for real-time access and the method therefor
KR100613417B1 (en) 2004-01-09 2006-08-25 홍기헌 Combination broadcas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3734A (en) * 2002-06-05 2003-12-11 삼성코닝 주식회사 Multi-layer thin film structure of pdp filter
KR100542560B1 (en) 2003-08-09 2006-01-11 한국스프라이트 주식회사 Total control network speaker system
KR100613417B1 (en) 2004-01-09 2006-08-25 홍기헌 Combination broadcasting system
KR200393734Y1 (en) * 2005-06-14 2005-08-30 (주)디택 The Control System for a numerous Speaker
KR100587966B1 (en) * 2006-03-14 2006-06-08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Centralized public address power amplification apparatus for real-time access and the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62A (en)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0975B1 (en) Interactiv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system for hands-free building control
EP22865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interconnection and control of audio components of an home automation system
JP3935840B2 (en) Automatic mute by baby monitoring device
US9083443B2 (en) Intelligent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and system
US20070188307A1 (en)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CN111033584A (en) Auxiliary detector base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to smoke detector or other detector
KR101563361B1 (en) System for wireless digital town broadcasting
EP2642673A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a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974524B1 (en) speaker apparatus and system
JP7373500B2 (en) Sensor-based lighting system with integrated wireless signal repeater
KR20210040525A (en) Public address system enable to control speaker system using smartphone
US7742069B2 (en) Telephone ring activation of a wireless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EP314521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0602270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ed remote control
KR100417495B1 (en) Broadcasting system using matrix type connection structure amp and speaker
US9905125B2 (en) Remote control with microphone used for pairing the remote control to a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017681B1 (en) Digital network broadcasting system
KR101363542B1 (en) Voice guiding device of environment
KR101619296B1 (en) Multiple input auto selecting speaker system
JP2016005208A (en) Sound transmission system and illumination system
KR20210147744A (en) A announcement broadcast output control circuit for apartment
KR102571860B1 (en) Public address system using bi-directional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588483B1 (en) Single line speaker system
KR100418698B1 (en) Individual control method of speaker
CN210781303U (en) Sound system and electroni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