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650B1 -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650B1
KR100973650B1 KR1020080019629A KR20080019629A KR100973650B1 KR 100973650 B1 KR100973650 B1 KR 100973650B1 KR 1020080019629 A KR1020080019629 A KR 1020080019629A KR 20080019629 A KR20080019629 A KR 20080019629A KR 100973650 B1 KR100973650 B1 KR 10097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er
horizontal rail
exercis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588A (ko
Inventor
안창식
신현진
Original Assignee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에스앤에스 filed Critical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6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치료 및 운동을 겸용하는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100)는 양측에 수직되는 지주(11)의 길이방향에 경사진 장공(11a)이 마련되고, 장공(11a)을 통해 연결대(12) 및 장공(11a)으로부터 연결대(12)를 고정하는 고정핸들(13)이 구비되며, 수직되는 지주(11)의 길이방향에 고정용 제1도르래(14)와 상하 조정용 제2도르래(15)가 각각 대응되게 마련된 제1받침대(10)와; 상기 제1받침대(10)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되며, 상면에 양단이 회동가능한 지지대(21)가 대응되게 설치된 제2받침대(20)와; 일측은 상기 제1받침대(10)측 연결대(12)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2받침대(20)상에 마련되는 지지대(21)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레일(30)선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평레일의 단부로부터 탄력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고무 스트렙(41)이 연결 설치되는 슬라이더(40)와; 상기 슬라이더(40)상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를 착석시키기 위해 등받이(50-1)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매트(50)와; 상기 매트(50)로부터 제1받침대(10)의 지주(11)에 설치된 제1도르래(14)와 제2도르래(15)에 로프가 걸쳐지고 단부에 걸고리가 구비되어 슬라이더(4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구현하는 텐셔너(60)와; 상기 슬라이더(40)의 상면에 대응 설치되어 매트(50)의 등받이(50-1)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실린더(C1)(C2)와; 상기 수평레일(30) 양측으로부터 브라켓트(B)에 연결되어 수직 설치되며, 전면에 발걸이대(71)가 구비되고, 양측에 레벨표시부(72)가 마련되며, 상부에 사용횟수를 표시하는 숫자표시부(73)가 구비된 발판(70)과; 상기 제1받침대(10)와 수평레일(3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40)와 수평레일(30)의 각도를 조정하는 레일조정부재(80)와; 상기 레일조정부재(80)의 일측과 수평레일(30) 및 제2받침대(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레일(30)을 지지하는 제1링크(L1) 및 제2링크(L2)와; 상기 슬라이더(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이동거리에 대하여 수평레일(30)의 하부측에 마련되는 고정판(31)을 기준으로 감지하여 상기 레벨표시부(72)에 거리측정에 대한 표시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감지센서(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각 부의 조정으로서 필요로 하는 운동효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레벨표시부와 숫자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행하고 있는 운동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부여하고, 안정감이 있는 고유수용성 운동으로 재활치료 또는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포머, 수평레일, 슬라이더, 매트, 발판, 레벨표시부, 숫자표시부

Description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Rehabilitation sporting goods that improve visual effect}
본 발명은 하지재활 운동기구를 이용한 시각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하지 및 상지를 위한 재활치료 목적은 물론, 리포머 운동, 시각적 운동을 동반하여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부여하고, 안정감이 있는 고유수용성 운동으로서 재활과 즐기는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여러 가지 운동이 붐이 일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은 재활을 위한 치료목적의 요가를 포함하여 필라테스, 플라이오메트릭(plyometric) 운동 등이 그 대표적이다.
상기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은 순발력을 강화하기 위한 트레이닝으로서, 근육의 신장반사를 불러일으키는 등척근 운동에 과부하를 주는 것으로, 근조직학적 또는 근신경 생리학적 구조 및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훈련 방법이다.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을 통해 바운드(bound), 홉(hop), 점프(jump), 도 약(leap), 스킵(skip) 등과 같은 동작들을 활용해서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점프력을 요하는 각종 기술을 위한 독특한 훈련 방법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운동방식에서 재활치료를 목적하에서 기구를 공용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보통 재활치료나 상기와 같은 운동방식은 코어(Core)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몸통에 있는 근육들을 교정시켜 주는 여러 가지의 교정 운동법을 통해 복횡근 호흡을 기본으로 우리 몸에서 사용하지 않는 여러 근육들(심층근육, 퇴화 된 근육)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몸통에 균형을 맞추어 주는 재활 또는 운동과 기구들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리포머(Reformer)라 칭함)는 다재다능한 저항성 운동이 가능한 기구로서 스프링 또는 고무 스트렙의 탄력을 이용하여 근육의 이완으로 근력의 향상, 유연성의 증가, 균형의 강조, 등 목적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된 것이다.
상기 리포머는 레그 프레스 운동기구와 관련하여 연결 설치된 이완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가 조합된 기구로서, 이들의 상호 유기적인 동작으로서 사용자의 하지, 상지, 몸통 등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한 재활치료 또는 근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기구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레그프레스, 리포머를 이용한 각종 운동은, 사용자가 각종 다양한 자세를 취하면서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신체를 단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동작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있어, 사용자는 같은 힘으로 움직여 이 에 맞는 운동효과나 재활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힘을 가하는 정도가 점점 다르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리듬을 떨어뜨리게 한다.
상기와 같은 레그프레스를 이용한 운동 및 재활치료에서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자신감 있게 운동을 행할 때와 그러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운동효과는 현실적으로 차이가 크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레그프레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의 지속적인 운동효과의 기대가 어렵게 되며, 힘을 가하여 운동되는 범위의 측정이 현실적으로 어렵게 때문에 자신감 저조 및 심지어는 운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지 및 상지를 위한 재활치료목적은 물론, 리포머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레그 프레스를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인 운동효과와 함께 시각적인 운동을 동반하여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부여하고, 안정감이 있는 고유수용성 운동으로서 재활과 즐기는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치료 및 운동을 겸용하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는 양측에 수직되는 지주의 길이방향에 경사진 장공이 마련되고, 장공을 통해 연결대 및 장공으로부터 연결대를 고정하는 고정핸들이 구비되며, 수직되는 지주의 길이방향에 고정용 제1도르래와 상하 조정용 제2도르래가 각각 대응되게 마련된 제1받침대와; 상기 제1받침대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되며, 상면에 양단이 회동가능한 지지대가 대응되게 설치된 제2받침대와; 일측은 상기 제1받침대측 연결대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2받침대상에 마련되는 지지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레일과; 상기 수평레일선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평레일의 단부로부터 탄력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고무 스트렙이 연결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감지대가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상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를 착석시키기 위해 등받이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매트와; 상기 매트로부터 제1받침대의 지주에 설치된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에 로프가 걸쳐지고 단부에 걸고리가 구비되어 슬라이더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구현하는 리포머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면에 대응 설치되어 매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실린더와; 상기 수평레일 양측으로부터 브라켓트에 연결되어 수직 설치되며, 전면에 발걸이대가 구비되고, 양측에 레벨표시부가 마련되며, 상부에 사용횟수를 표시하는 숫자표시부가 구비된 발판과; 상기 제1받침대와 수평레일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와 수평레일의 각도를 조정하는 레일조정부재와; 상기 레일조정부재의 일측과 수평레일 및 제2받침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레일을 지지하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와; 상기 수평레일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상부에 설치된 감지대를 기준으로 상기 레벨표시부에 거리측정에 대한 표시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포머에 있어, 각 부의 조정으로서 필요로 하는 운동효과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레벨표시부와 숫자표시부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행하고 있는 운동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부여하고, 안정감이 있는 고유수용성 운동으로 재활치료 또는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인 시각적 운동기구를 전반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의 시트 등받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예시한 일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의 구성 중 슬라이딩 레일의 각도 조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재활치료 및 운동을 겸용하는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100)는 양측에 수직되는 지주(11)의 길이방향에 경사진 장공(11a)이 마련되고, 장공(11a)을 통해 연결대(12) 및 장공(11a)으로부터 연결대(12)를 고정하는 고정핸들(13)이 구비되며, 수직되는 지주(11)의 길이방향에 고정용 제1도르래(14)와 상하 조정용 제2도르래(15)가 각각 대응되게 마련된 제1받침대(1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받침대(10)의 지주(11)에 설치된 상기 제2도르래(15)는 지주(11)에 다수개 형성되는 높이 조절공(11b)을 통해 그 위치를 결합볼트로서 위치를 사용자에 맞게 세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면에 양단이 회동가능한 지지대(21)가 대응되게 설치된 제2받침대(20)가 상기 제1받침대(10)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된다.
상기 제1받침대(10)와 제2받침대(20)에 대해 수평레일(30)이 설치되며, 이 수평레일(30)의 일측은 상기 제1받침대(10)측 연결대(12)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2받침대(20)상에 마련되는 지지대(21)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레일(30)선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평레일의 단부로부터 탄력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고무 스트렙(41)이 연결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감지대(42)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40)의 양측은 수평레일의 길이방향에 마련되는 안내홈에 안내되는 구조이다.
상기 슬라이더(40)의 상면에는 사용자를 착석시키거나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매트(50)가 설치되며, 이 매트(50)는 일측에 회동가능한 등받이(50-1)가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 양측에는 사용자의 취급 편의를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50)로부터 제1받침대(10)의 지주(11)에 설치된 제1도르래(14)와 제2도르래(15)에 로프가 걸쳐지고 단부에 걸고리가 구비되어 슬라이더(4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구현하는 리포머(6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40)의 상면에는 매트(50)의 등받이(50-1)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실린더(C1)(C2)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레일(30)의 양측으로부터 전면에 발걸이대(71)가 구비되고, 양측에 레벨표시부(72)가 마련되며, 상부에 사용횟수를 표시하는 숫자표시부(73)가 구비된 발판(70)이 브라켓트(B)에 의해 상기 수평레일(30)의 일측 선상으로부터 수직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70)은 브라켓트(B)에 대해 상하 조정가능하게 설치되고, 발걸이대(71)는 사용자의 발등 두께에 따라 전후 조정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지하다. 상기 레벨표시부(72)는 색상을 갖는 엘이디 소자를 일렬로 적용한 것으로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다.
한편, 상기 제1받침대(10)와 수평레일(30)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더(40)와 수평레일(30)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기 위한 레일조정부재(8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레일조정부재(80)는, 일측에 수직되는 고정대(81)가 부착 설치된 베이스(82)가 상기 제1받침대(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수평레일(30)의 저면 일측과 제1받침대(10)상에 일측이 회동가능한 한 쌍의 리프트바(83)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바(83)와 고정대(81)에 연결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출몰작용으로 리프트바(83)의 회절되는 각도를 조정하여 제1받침대(10)의 지주(10)로부터 연결대(12)에 의해 연결 설치된 수평레일(30)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84)로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84)로부터는 딥스위치(DS)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레일조정부재(80)와 관련하여 레일조정부재(80)의 고정대(81)측과 수평레일(30)의 저면으로부터는 제1링크(L1)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L1)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제2받침대(20)에는 제2링크(L2)가 연결 설치되어 경사각도가 조정되는 수평레일(30)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링크(L1)와 제2링크(L2)의 연결부분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평레일(30)의 경사지는 각도에 따라 요구되는 만큼 회동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레일(30)의 상부 일측에는 슬라이더(40)의 상부에 설치된 감지대(42)를 기준으로 상기 레벨표시부(72)에 거리측정에 대한 표시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감지센서(9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레일(30)선상에는 슬라이더(40)의 이동구간에 따른 수평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S1)(S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S1)(S2)는 수평레일(30)로부터 설치되는 위치를 이동시켜 슬라이더(40)의 수평 동작되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S1)(S2)를 통해 수평 이동구간의 거리가 감지되는 신호는 상기 발판에 설치되는 숫자표시부(73)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의 수평으로 이동하는 왕복 또는 편도의 횟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시각적 운동기구(100)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활치료시설이나 운동시설이 갖추어진 장소에 거치시켜 사용되는 레그 프레스는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나, 일반인이 운동을 겸하여 신체의 필요부분 훈련을 통해 회복, 단련시킬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100)에 있어, 사용자는 슬라이더(40) 상부에 설치된 매트(50)에 착석하거나,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등받이(50-1)의 각도를 필요로 하는 자세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50-1)는 등받이의 배면과 상기 슬라이더(40)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실린더(C1)(C2)를 조정함으로써, 매트(50)로부터 필요로 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는 직각, 경사각도, 매트(50)와 거의 동일하게 수평으 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이를 통해 완전히 누운 자세를 취하거나, 허리를 받치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매트(50)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발 등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발판(70)의 조정은 수평레일(30)의 선상으로부터 직각 되는 브라켓트(B)로부터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맞는 높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70)의 중앙에 마련된 발걸이대(71)는 후방에서 조정핸들을 통해 발걸이대를 전방으로 더 진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세팅한 상태에서 보통 매트(50)에 착석하게 되는 사용자는 두 발을 모으는 자세로 상기 발판(70)의 발걸이대(71)에 양측 발등을 걸은 상태에서 다리를 오므리거나 펴는 동작으로서 매트(50)와 함께 슬라이더(40)를 수평레일(30)로부터 수평으로 왕복하는 동작시키는 동작을 취해 줌으로써 특정 신체부위의 재활치료나 운동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취함에 있어, 사용자는 양손으로 리포머(60)를 이용하여 양팔을 서로 모으거나 펴는 동작으로서 로프는 제1받침대(10)상에 설치된 제1도르래(14)와 제2도르레(15)를 통해 사용자 팔 근육의 이완운동을 더 겸하면서 실시하여도 좋다.
각종 동작은 등받이(50-1)의 각도, 발판(70)의 높이에 따라 더 강도높은 재활치료나 운동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수평으로 동작되는 슬라이더(40)는 수평레일(30)의 일측으로부터 걸려 탄성을 주는 고무 스트렙(41)의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으로써 힘을 더하는 운동을 하거나 부담감이 없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슬라이더(40)와 수평레일(30)측에 걸려 지지되는 고무 스트렙(41)의 갯수와 또는 고무 스트렙의 직경에 따라 고탄력성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평레일(30) 상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의 수평동작은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받침대(10)와 연계되어 설치된 레일조정부재(80)를 통해 수평레일을 수평에서 경사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먼저, 바닥에 설치된 딥스위치(DS)를 이용하여 레일조정부재(80)의 구성을 이루는 엑츄에이터(84)를 가동한다. 이때 베이스(82)상의 고정대(81)와 수평레일(30)의 저부에 설치된 리프트바(83)는 액츄에이터(84)의 작동로드의 전진동작에 의해 리프트바(83)를 넓은 각도로 벌리면서 전진시키고, 이에 따라 수평레일(30)은 제1받침대(10)의 지주(11)측에 연결대(12)에 양측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주(11)에 형성된 장공(11a)을 통해 소정의 높이로 일측이 상승하게 된다.
일정높이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12) 일측에 설치된 고정핸들(13)을 통해 지주(11)로부터 수평레일(30)의 일측을 고정함으로써 수평레일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도 조정된 수평레일(30)은 슬라이더(40), 매트(50)와 같이 전반적인 경사조절이 이루어져 사용자는 수평레일(30)이 수평상태를 이룰 때보다 큰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40)를 동작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운동효과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정되는 수평레일(30)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고정대와 수평레 일 저부에 연결된 제1링크(L1)와 상기 수평레일(30)의 저부와 제2받침대(20)측에 연결된 제2링크(L2)의 각 연결부분은 수평레일(30)이 이루는 경사각도에 따른 만큼 수평레일 저면을 지지시켜 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레그 프레스(100)의 사용방법과 구동에 있어, 슬라이더(40)의 수평동작에 따라 수평레일(30)을 왕복하는 동작은 슬라이더(40)의 하부에 마련된 적외선 감지센서(90)와 슬라이더(40)의 상부에 마련된 감지대(42)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정도에 따라 사용자 자신이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40)를 움직이는 레벨 정도를 직접 보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발판(70) 양측에 마련된 레벨표시부(72)를 통해 점등되는 정도에 따라 운동의 강약 정도를 알 수 있으며, 또 수평레일(30)에 마련된 감지센서(S1)(S2)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40)의 수평동작 구간을 감지하여 편도 또는 왕복되는 횟수를 직접 보면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횟수는 발판(70)에 설치되어 있는 숫자표시부(73)를 통해 사용자가 수평으로 움직인 횟수를 직접 볼 수 있어 운동횟수에 대한 운동량을 자신이 체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는 사용자는 시각적인 운동을 동반하여 심리적으로 자신감을 부여하고, 안정감이 있는 고유수용성 운동으로 재활치료 또는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시각적 운동기구를 전반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의 시트 등받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예시한 일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의 구성 중 슬라이딩 레일의 각도 조정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를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시각적 운동기구에 적용 설치되는 고무 스트렙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운동기구의 발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에서의 발판의 조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제1받침대 20: 제2받침대
30: 수평레일 40: 슬라이더
50: 매트 60: 리포머
70: 발판 72: 레벨표시부
73: 숫자표시부 80: 레일조정부재
83: 리프트바 84: 엑츄에이터
90: 적외선 감지센서

Claims (4)

  1. 재활치료 및 운동을 겸용하는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운동기구(100)는, 양측에 수직되는 지주(11)의 길이방향에 경사진 장공(11a)이 마련되고, 장공(11a)을 통해 연결대(12) 및 장공(11a)으로부터 연결대(12)를 고정하는 고정핸들(13)이 구비되며, 수직되는 지주(11)의 길이방향에 고정용 제1도르래(14)와 상하 조정용 제2도르래(15)가 각각 대응되게 마련된 제1받침대(10)와;
    상기 제1받침대(10)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격 설치되며, 상면에 양단이 회동가능한 지지대(21)가 대응되게 설치된 제2받침대(20)와;
    일측은 상기 제1받침대(10)측 연결대(12)가 관통되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2받침대(20)상에 마련되는 지지대(21)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레일(30)과;
    상기 수평레일(30)선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평레일의 단부로부터 탄력을 부여하는 다수개의 고무 스트렙(41)이 연결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감지대(42)가 설치된 슬라이더(40)와;
    상기 슬라이더(40)상에 부착 설치되어 사용자를 착석시키기 위해 등받이(50-1)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매트(50)와;
    상기 매트(50)로부터 제1받침대(10)의 지주(11)에 설치된 제1도르래(14)와 제2도르래(15)에 로프가 걸쳐지고 단부에 걸고리가 구비되어 슬라이더(40)를 밀고 당기는 동작을 구현하는 리포머(60)와;
    상기 슬라이더(40)의 상면에 대응 설치되어 매트(50)의 등받이(50-1) 각도를 조정하는 한 쌍의 실린더(C1)(C2)와;
    상기 수평레일(30) 양측으로부터 브라켓트(B)에 연결되어 수직 설치되며, 전면에 발걸이대(71)가 구비되고, 양측에 레벨표시부(72)가 마련되며, 상부에 사용횟수를 표시하는 숫자표시부(73)가 구비된 발판(70)과;
    상기 제1받침대(10)와 수평레일(3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더(40)와 수평레일(30)의 각도를 조정하는 레일조정부재(80)와;
    상기 레일조정부재(80)의 일측과 수평레일(30) 및 제2받침대(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레일(30)을 지지하는 제1링크(L1) 및 제2링크(L2)와;
    상기 수평레일(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슬라이더(40)의 상부에 설치된 감지대(42)를 기준으로 상기 레벨표시부(72)에 거리측정에 대한 표시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감지센서(9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조정부재(80)는, 일측에 수직되는 고정대(81)가 부착 설치된 베이스(82)가 상기 제1받침대(1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수평레일(30)의 저면 일측과 제1받침대(10)상에 일측이 회동가능한 한 쌍의 리프트바(83)가 절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프트바(83)와 고정대(81)에 연결 설치되어 작동로드의 출몰작용으로 리프트바(83)의 회절되는 각도를 조정하여 제1받침대(10)의 지주(10)로부터 연결대(12)에 의해 연결 설치된 수평레일(30)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액츄에이터(8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30)선상에는 슬라이더(40)의 이동구간에 따른 수평 이동횟수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S1)(S2)가 수평 조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70)은 브라켓트(B)에 대해 상하 조정가능하게 설치되고, 발걸이대(71)는 사용자의 발등 두께에 따라 전후 조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KR1020080019629A 2008-03-03 2008-03-03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KR10097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29A KR100973650B1 (ko) 2008-03-03 2008-03-03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29A KR100973650B1 (ko) 2008-03-03 2008-03-03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88A KR20090094588A (ko) 2009-09-08
KR100973650B1 true KR100973650B1 (ko) 2010-08-02

Family

ID=4129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29A KR100973650B1 (ko) 2008-03-03 2008-03-03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2393B1 (en) * 2009-12-14 2017-09-13 Hill-Rom Services, Inc.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exercise functionalities
KR101297147B1 (ko) * 2012-05-14 2013-08-26 안용원 운동기구
US9038218B1 (en) 2014-01-15 2015-05-26 Hill-Rom Services, Inc.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selectively coupled foot sections
US9463126B2 (en) 2014-03-11 2016-10-11 Hill-Rom Services, Inc. Caregiver universal remote cart for patient bed control
KR101633884B1 (ko) * 2016-03-07 2016-07-08 주식회사 인투필라테스 필라테스 운동기구
CN109224384B (zh) * 2018-10-11 2020-08-11 台州市路桥高精模具厂 一种腿部恢复锻炼装置
CN110327594A (zh) * 2019-08-09 2019-10-15 盐城中威机械有限公司 一种安全性较高的压腿装置
CN115138047B (zh) * 2022-07-20 2023-06-16 燕岩岩 一种产科专用待产辅助锻炼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315A (en) 1990-12-21 1994-05-17 Core Outpatient Services Pneumatic variable resistance rehabilitation/therapy apparatus
KR20030010958A (ko) * 2001-07-27 2003-02-06 노상룡 척추 운동치료기
JP2007130190A (ja) 2005-11-09 2007-05-31 Akihiro Matake 下肢筋力測定装置
KR100742258B1 (ko) 2006-05-09 2007-07-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레그 프레스 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2315A (en) 1990-12-21 1994-05-17 Core Outpatient Services Pneumatic variable resistance rehabilitation/therapy apparatus
KR20030010958A (ko) * 2001-07-27 2003-02-06 노상룡 척추 운동치료기
JP2007130190A (ja) 2005-11-09 2007-05-31 Akihiro Matake 下肢筋力測定装置
KR100742258B1 (ko) 2006-05-09 2007-07-2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레그 프레스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88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650B1 (ko) 시각적 효과가 개선된 하지재활 운동기구
CN101181662B (zh) 俯卧式爬行健身器
US4844448A (en) Stand up exerciser
US7914428B2 (en) Multi-directional body swing, turn and twist trainer with interchangeable and adjustable attachments
US4198044A (en) Exercise board
CN201108700Y (zh) 俯卧式爬行健身器
US8529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US20020173412A1 (en) Exercise apparatus
US8858410B2 (en) Multi-directional body swing trainer with interchangeable and adjustable attachments
US20090176633A1 (en) Gluteus training device
AU2017272913A1 (en) Portable stretching equipment
US8105216B2 (en) Exercise device for stomach muscles
US9895574B2 (en) Exercise device for strengthening of abdominal muscles
US11331536B1 (en) Isokinetic rotational testing,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KR20130134802A (ko)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US8579772B2 (en) Dynamic lower-body contour trainer and exercise machine
KR100936619B1 (ko) 하지 재활을 위한 균형 진단 및 훈련 장치
EP3976209A1 (en) Pelvis training device
US7585261B2 (en) Apparatus for exercising deep abdominal and back muscles
KR200414290Y1 (ko) 재활치료 및 체력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US20230201657A1 (en) Exercise apparatus
US20240157194A1 (en) Exercise apparatus
RU177959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тренажер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зиновых жгутов
RU2628714C1 (ru) Стол-тренажер
KR20230000498U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