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875B1 -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875B1
KR100971875B1 KR1020090095628A KR20090095628A KR100971875B1 KR 100971875 B1 KR100971875 B1 KR 100971875B1 KR 1020090095628 A KR1020090095628 A KR 1020090095628A KR 20090095628 A KR20090095628 A KR 20090095628A KR 100971875 B1 KR100971875 B1 KR 10097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participant
bid
perio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김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철 filed Critical 김동철
Priority to KR102009009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87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062 priority patent/WO201104354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통신망을 통해 경매참가기간 동안 호가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특정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경매절차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면 각 경매 참가자들에게 입찰 시간 순서에 따라 부가 기간을 할당하여 각 경매 참가자들이 자신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 동안 해당 경매절차에 더 참가하는 것을 허용한다.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은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되도록 할당되기 때문에 경매에 빨리 참가하면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입찰가를 확인한 후 자신의 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한 지위를 얻기 위해 사용자들은 관심있는 경매에 신속히 참가하게 되고, 경매대상물건을 처분하려는 사용자는 자신이 내 건 경매조건이 합리적인 것인지를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기 전에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 최저 입찰가를 변경하는 등 경매진행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통신망, 경매, 부가 기간, 참가 순위, 최저 입찰가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Method for On-Line Auction Service using Communication Network }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선/무선 인터넷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경매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관심있는 경매대상물건에 관해 입찰가를 높여가면서 경매에 참가하도록 한 후 최고가를 제시한 사용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온라인 경매 서비스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을 통해 경쟁체결 방식의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경매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통신망을 통해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정보와 최저 입찰가, 경매 참가 방법에 관한 안내 등 각종 경매정보를 제공하고, 기 설정된 경매참가기간 동안 각 사용자들이 점차 입찰가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경매에 참가하도록 한 후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면 최고 입찰가를 제시한 사용자를 낙찰자로 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매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서로 상대방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빠른 참가를 주저하고, 경매참가기간의 종료 시점이 다가왔을 때 갑자기 한꺼번에 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온라인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고부하가 걸리고 정상적인 경매절차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사용자들이 경매참가기간의 종료 시점이 다가왔을 때 한꺼번에 참가하는 상황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면, 경매가 시작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경매 에 참가하지 않는 경우 경매대상물건을 처분하려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현재 경매 참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최저 입찰가가 너무 높게 설정되었기 때문인지 등의 이유를 파악하기 어렵다.
이것은 경매대상물건을 처분하려는 사용자가 경매 진행 상황에 맞추어 적절히 대응할 수 없도록 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매에 빨리 참가한 사용자일수록 보다 유리한 지위에서 해당 경매절차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들의 신속한 경매 참가를 유도하고, 또한 경매를 통해 물건을 처분하려는 사용자도 경매 참가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경매대상물건의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주는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은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라인 경매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에서 운영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들과 인터페이스하여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어느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경매절차가 시작되면, 기 설정된 경매참가기간 동안 각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입력하여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참가정보(최소한 사용자 식별정보, 참가일시, 입찰가를 포함함)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참가정보를 기초로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한 부가 기간을 할당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각 경매 참가자에게 부가 기간을 알려주는 단계(부가 기간은 먼저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나중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되도록 결정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가 기간 정보를 기초로 각 경매 참가자가 자신의 부가 기간 동안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입력하여 상기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참가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각 경매 참가자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이 모두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참가정보를 조사하여 최고 입찰가를 입력한 경매 참가자를 확인하고, 해당 경매 참가자에게 낙찰자로 선정되었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부가 기간은 먼저 경매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나중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되도록 결정된다.
상기 각 경매 참가자에게 부가 기간을 할당하는 일 실시예로서, 부가 기간은 모두 동시에 시작되고, 먼저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은 나중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종료된 후 종료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상기 각 경매 참가자에게 부가 기간을 할당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부가 기간은 나중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종료된 후 먼저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시작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 시스템은 상기 경매참가기간에 각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입찰가를 입력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 시스템은 상기 경매참가기간 동안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첫번째 입찰가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경매대상물건을 경매 대상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경매를 통해 물건을 처분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경매가 진행되는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여 경매대상물건의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경매조건은 최저 입찰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순위 경매 참가자는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경매참가상황을 확인한 후 자신의 경매 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해당 경매절차에서 유리한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경매절차에 먼저 참가한 사용자일수록 경매참가기간 종료 후 부가 기간 동안 추가적으로 진행되는 경매에서 후순위 경매 참가자들의 최종 입찰가를 모두 확인한 후 자신의 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타인과 서로 경쟁하는 거래에서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으므로 경매 대상물건을 매수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한 사용자일수록 그 참가를 주저하지 않고 신속하게 경매에 참가하게 되어 경매절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후순위 경매 참가자는 부가 기간 동안 진행되는 경매절차에서 선순위 경매 참가자가 어떤 입찰가를 제시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한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가격에 근접한 입찰가를 제시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의 내심의 의사가 보다 정확하게 경매에 반영되어 매도인의 매도 희망 가격과 매수인의 매수 희망 가격 사이의 괴리가 좁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주저하지 않고 신속하게 경매에 참가하게 되면 경매대상물건을 처분하려는 사용자는 경매 진행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여 경매대상물건의 거래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경매가 시작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경매 참가자가 없는 경우 이것이 최저 입찰가가 너무 높게 설정되었기 때문인지, 아니면 서로 눈치를 보느라고 경매 참가를 미루고 있기 것인지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경매참가기간이 시작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의 기간(예: 2일)이 경과할 때까지 경매 참가자가 전혀 없다면, 최저 입찰가가 너무 높게 설정되는 등 경매조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경매대상물건을 처분하려는 사용자는 첫번째 참가가 있기 전이라면 최저 입찰가를 낮추는 등 적극적으로 대처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어 경매를 통한 거래 성공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경매대상물건을 급하게 처분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통신망(13)을 통해 각 사용자들에게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사용자들은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에 접속하여 경매 서비스를 이용한다.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각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방법은 통신망(13)의 종류나 경매 서비스의 내용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유선 인터넷망이나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운영하기 위한 웹 서버(15-1),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15-2) 등 인터넷을 통해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필요로 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는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상에서 제공하여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한다.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경매 서비스와 관련한 각각의 과정에서 사용자들에게 경매 관련 정보를 알려주고, 또한 해당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로부터 경매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11)는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사용자들과 인터페이스하는 구조에 따라 데스크 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뿐 아니라 휴대폰이나 개인휴대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종류와 성능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경매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각 사용자들은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에 접속하고,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제공하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매 서비스를 이용한다.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경매에 참가하려는 사용자들이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구매 의사 가격(이하, 입찰가라 한다)을 점차 높여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는 통신망(13)을 통해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정보와 경매 조건(예: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 최저 입찰가,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기간, 입찰가의 최소 단위 등) 등 경매정보를 알려주고, 이러한 경매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들이 통신망(13)을 통해 서로 경쟁적으로 현재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제시하여 경매에 참가하도록 한 후,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기간이 모두 종료되면 최고 입찰가를 제시한 사용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경매 서비스의 형태를 만족하는 한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이 제공하는 경매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은 제한없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경매대상물건은 온라인 경매 시스템의 운영자가 스스로 설정하여 경매 대상으로 등록할 수도 있고, 각 사용자들이 타 사용자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물건을 직접 등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경매로 판매하고자 하는 경매대상물건을 등록할 수 있는 자격, 경매에 참가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보증금을 납부하도록 할 것인지의 여부, 불성실한 경매 참가에 대한 벌칙의 종류 등 경매 서비스와 관련된 여러 세부적인 사항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경매대상물건은 거래가 허용되는 일체의 동산뿐 아니라 보험 등의 서비스 또는 대지나 건물 등의 부동산일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어느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경매절차가 시작되면(S21), 각 사용자들이 소정의 경매참가기간 동안 통신망(13)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현재의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S22,S23).
단계 S22에서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각 사용자들이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경매와 관련된 정보를 살펴보고 자신이 원하는 입찰가를 제시하여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신망(13)을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웹 페이지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웹 페이지에 표시되는 현재 최고 입찰가 등의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웹 페이지에 구비되어 있는 입찰가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이 제시하고자 하는 입찰가를 입력함으로써 경매에 참가하게 된다.
한편,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경매참가기간 동안 각 사용자가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한명의 사용자는 경매참가기간 동안 한번의 참가만을 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본 발명에 따라 경매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절차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사용자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어느 사용자가 일단 경매참가기간 내에 경매에 참가하면 자신보다 후순위 경매 참가자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후 부가 기간을 이용하여 후순위 경매 참가자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다시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된다.
그러므로 어느 사용자가 일단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에 참가한 후 후순위 경매 참가자가 나타난 다음 입찰가를 높여 또 참가하는 것은 실익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사용자 보호를 위해 경매참가기간 동안 참가 횟수는 1회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상황은 본 발명에 따라 경매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이므로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횟수는 각 사용자의 판단에 맡기고 그 참가 횟수를 제한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22에서 경매참가기간 동안 진행되는 경매절차가 일단 종료되면,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하여 부가 기간을 할당한다(S24).
여기서 부가 기간이란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된 후 추가적으로 경매가 더 진행되는 기간을 말한다.
부가 기간은 경매참가기간과 같이 모든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간이 아니라 각 경매 참가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되는 기간이며, 특히 부가 기간은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되도록 할당된다.
부가 기간과 관련된 각 경매 참가자의 순위는 입찰가의 높고 낮음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누가 먼저 해당 경매에 참가하였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부가 기간은 선순위 경매 참가자가 후순위 경매 참가자보다 유리한 상황에서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사용자가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기간은 "경매참가기간 + 자신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 이다.
부가 기간은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된다는 조건 하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할당될 수 있다.
부가 기간을 할당하는 하나의 실시예는 각 경매 참가자에게 할당되는 부가 기간이 모두 동시에 시작되고,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은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종료된 후 종료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자면, 경매참가기간 동안 3명의 사용자(경매 참가자 #1 내지 #3)가 각각 그 순서에 따라 경매에 참가하였으며,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최후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 #3의 부가 기간은 부가 기간의 시작 시점인 t0부터 t1까지, 두번째 참가한 경매 참가자 #2의 부가 기간은 t0부터 t2까지, 가장 먼저 참가한 경매 참가자 #1의 부가 기간은 t0부터 t3까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t0 < t1 < t2 < t3 이다.
부가 기간을 할당하는 또 다른 실시예는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은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종료된 후 시작되도록 할당하는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자면, 경매참가기간 동안 3명의 사용자(경매 참가자 #1 내지 #3)가 각각 그 순서에 따라 경매에 참가하였으며,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최후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 #3의 부가 기간은 부가 기간의 시작 시점인 t0부터 t1까지, 두번째 참가한 경매 참가자 #2의 부가 기간은 t1부터 t2까지, 가장 먼저 참가한 경매 참가자 #1의 부가 기간은 t2부터 t3까지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t0 < t1 < t2 < t3 이다.
단계 S24를 통해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한 부가 기간이 할당되면,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인터넷 홈페이지나 이메일, 휴대폰 문자 메시지 등 다양한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각 경매 참가자에게 부가 기간을 알려주고,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해 할당된 부가기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해 놓는다.
그리고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기간 정보를 기초로 각 경매 참가자들이 자신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 동안 해당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S25,S26).
단계 S25는 단계 S22와 마찬가지로 각 사용자들이 통신망(13)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현재의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지만, 모든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경매참가기간이 아니라 각 경매 참가자들이 자신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 동안에만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각 경매 참가자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이 모두 종료된 후 최고가를 제시한 경매 참가자를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낙찰자로 선정한다(S27).
단계 S27에서 해당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낙찰자가 선정되면 낙찰상황을 알려주고 경매대상물건을 등록한 사용자와 낙찰자 사이에서 사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 필요한 후속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후속절차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은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부다 나중에 종료되기 때문에 선순위 경매 참가자는 후순위 경매 참가자들의 참가 여부 및 제시된 입찰가를 모두 확인한 후 경매에 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순위 경매 참가자는 후순위 경매 참가자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경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선순위 경매 참가자는 후순위 경매 참가자들의 경매참가상황을 모두 확인하고, 후순위 경매 참가자가 제시한 입찰가가 자신이 용인할 수 있는 구매 의사 가격보다 낮으면 후순위 경매 참가자가 제시한 입찰가보다 높여 경매대상물건의 낙찰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선순위 경매 참가자는 후순위 경매 참가자가 제시한 입찰가가 자신이 용인할 수 있는 구매 의사 가격보다 높으면 더 이상의 경매 참가를 하지 않고 포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뿐만 아니라, 후순위 경매 참가자는 자신보다 선순위인 경매 참가자가 존재하는 경우 선순위 경매 참가자가 제시할 입찰가를 알 수 없으므로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낙찰을 원하는 경우 자신이 용인할 수 있는 최대의 입찰가를 제시할 수 밖에 없어 정상적인 낙찰가 형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단계 S22를 통해 경매가 진행되는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첫번째 경매 참가가 이루어지기 전이라면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가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변경할 수 있는 경매조건의 예로는 최저 입찰가를 들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자면,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특정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경매절차가 시작된 후(S41), 경매참가기간 내이고 첫번째 경매 참가가 이루어지기 전이면(S42,S43),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가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S44).
그러나,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경매참가기간이 이미 경과하였거나 첫번째 경매 참가가 이루어진 후이면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없도록 처리한다(S45).
여기서 경매대상물건의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란 해당 경매대상물건을 등록한 사용자를 들 수 있다.
즉, 특정 경매대상물건에 대하여 경매가 시작되었는데도 한동안(예: 2일) 한 명의 참가자도 없는 경우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최저 입찰가가 너무 높게 설정되었기 때문일 확률이 높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서비스는 부가 기간의 부여라는 특징을 갖고 있어 낙찰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입장에서는 경매 참가를 미루지 않고 가능한 빨리 참가해야 하는데 경매 참가를 주저하고 있다면 경매조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해당 경매대상물건을 경매에 내놓은 사용자가 급한 사정이 있거나 기타 이유로 낮은 가격에라도 빨리 처분하고자 한다면, 경매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따라 최저 입찰가를 더 낮추는 방법으로 즉각 대응할 수 있어 경매에 의한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에 관한 일 예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경매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더라도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은 통신망(13)을 통해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예로서 각 사용자로부터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등의 인적정보와 인증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 등 회원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가입기능, 각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기능, 각 사용자가 직접 경매로 판매하려는 물건과 경매조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경매 대상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경매물건 등록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52-1)는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정보, 경매참가기간, 최저 입찰가, 입찰가격단위, 경매절차에 관한 안내정보 등 각종 경매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해당 경매대상물건을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한 여러 형태의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가정보 데이터베이스(52-2)는 경매절차 진행부(51-2)를 통해 경매참가기간과 부가 기간에 걸쳐 진행된 각 경매에 대하여 경매참가정보(예: 경매 참가자의 식별정보, 참가일시, 입찰가 등)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경매정보 제공부(51-1)는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되어 있는 경매정보를 통신망(13)을 통해 각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로서 경매정보 제공부(51-1)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경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해당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언제든지 경매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되어 있는 경매대상물건에 대하여 해당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절차를 진행한다.
이를 위하여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통신망(13)을 통해 사용자들이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사용자들은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매에 참가할 수 있다.
이때 경매절차는 각 사용자들이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입찰가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경매절차 진행부(51-2)를 통해 진행되는 경매 절차는 입찰가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매에 참가하는 사용자들은 최근의 입찰가보다 높은 입찰가를 제시하여 경매에 참가해야 한다.
경매에 처음으로 참가하는 사용자는 경매가 최저 입찰가가 없는 경우라면 임의의 입찰가를 제시할 수 있고, 최저 입찰가가 있는 경우라면 최저 입찰가 이상의 입찰가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경매 시작시 최저 입찰가가 10,000원 이고 입찰가격단위가 100원이라면, 처음 참가하는 사용자는 최소한 10,000원 이상의 입찰가를 제시해야 하며, 두번째 참가자는 첫번째 참가자의 입찰가을 초과하는 입찰가를 100원 단위로 제시하여 참가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경매절차 진행부(51-2)에서의 처리과정에 관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특정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경매 참가를 요청하면(S61),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이 사용자가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62).
경매에 참가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자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자면 로그인에 성공한 사용자인지의 여부, 경매에 참가하기 위해 보증금의 납부가 필요한 경우라면 해당 보증금을 납부한 사용자인지의 여부 등을 통해 자격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2에서의 확인 결과 경매 참가를 요청한 사용자가 경매 참가 자격이 없는 경우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경매 참가 자격을 알리는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경매 참가 요청을 거부한다(S62-1).
이때, 참가 자격을 갖추기 위해 로그인이 필요하다면 로그인 화면을 출력하여 로그인을 시도하도록 하거나, 보증금 납부가 필요하다면 보증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화면을 출력하는 등 경매 참가 요청을 한 사용자가 해당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62에서의 확인 결과 경매 참가를 요청한 사용자가 경매 참가 자격이 있는 경우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사용자에게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입찰가를 입력받는다(S63).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해당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정보, 경매참가기간, 최저 입찰가, 입찰가격단위, 경매참가상황, 현재 최고 입찰가 등 관련 정보를 안내하고 사용자가 제시할 입찰가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단계 S63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입찰가가 올바른 것인지를 확인한다(S64).
즉, 단계 S63을 통해 입력된 입찰가가 최고 입찰가보다 높고 입찰가격단위에 맞는지 등을 확인한다.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단계 S64에서의 확인 결과 사용자가 입찰가를 올바로 입력하지 못하였다면 그 이유를 안내하고 단계 S63으로 되돌아가 입찰가를 다시 입력하도록 한다(S64).
그러나,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단계 S64에서의 확인 결과 사용자가 입찰가를 올바로 입력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식별정보, 참가일시, 입찰가 등 경매참가정보를 참가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한다(S65).
부가기간 할당부(51-3)는 일단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면, 해당 경매에 참가한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하여 부가 기간을 할당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가 기간이란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된 후 추가적으로 경매가 더 진행되는 기간을 말한다.
즉, 부가기간 할당부(51-3)는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면 참가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기록된 해당 경매의 경매참가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각 경매 참가자들에 대한 부가 기간을 할당하고, 할당된 부가 기간을 통신망(13)을 통해 각 경매 참가자에게 알려준다.
부가기간 할당부(51-3)에서 부가 기간이 할당되면, 경매절차 진행부(51-2)는 각 경매 참가자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이 모두 종료할 때까지 경매절차를 더 진행하여 각 경매 참가자가 자신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 동안 경매 절차에 더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낙찰자 선정부(51-4)는 각 경매 참가자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이 모두 종료된 후 해당 경매절차에서 가장 높은 입찰가를 제시한 경매 참가자를 낙찰자로 선정한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예와 같이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가 진행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경매참가기간은 2009년 9월 1일 9시부터 2009년 9월 15일 15시까지 이고, 최저 입찰가는 10,000원, 입찰가격단위는 100원 이었으며, 경매절차 진행부(51-2)가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를 진행한 결과 총 5명이 경매에 참가하였다.
경매에 참가한 순서는 사용자 A, 사용자 B, 사용자 C, 사용자 D, 사용자 E의 순서이며, 사용자 A 내지 사용자 E는 각각 10,100원, 10,500원, 11,000원, 11,200원, 12,000원을 입찰가로 제시하였다.
이때, 사용자 A 내지 사용자 E가 각각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입찰가로 제시할 수 있는 가격에 대한 내심의 의사가 각각 14,000원, 12,800원, 13,000원, 12,300원, 12,500원 이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가기간 할당부(51-3)는 2009년 9월 15일 15시가 되어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된 후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한 부가 기간을 할당하였다.
즉, 경매 참가자 E에게 2009년 9월 15일 15시 30분부터 15시 40분 까지, 경매 참가자 D에게 2009년 9월 15일 15시 40분부터 15시 50분까지, 경매 참가자 C에게 2009년 9월 15일 15시 50분부터 16시까지, 경매 참가자 B에게 2009년 9월 15일 16시부터 16시 10분까지, 경매 참가자 A에게 2009년 9월 15일 16시 10분부터 16시 20분 까지의 부가 기간을 할당하였다.
부가기간 할당부(51-3)가 상기와 같이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한 부가 기간을 할당한 후 각 부가 기간 동안 경매절차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경매 참가자 E는 2009년 9원 15일 15시 30분부터 15시 40분까지의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다.
현재 최고 입찰가는 경매참가기간에 자신이 제시하였던 12,000원인데 내심으로는 12,500원까지는 구매할 의사가 있으므로 12,500원의 입찰가를 제시하여 경매에 참가한다. 경매 참가자 E는 12,000원보다 높은 12,100원만을 제시해도 되지만, 자신보다 선순위 경매 참가자들이 어떤 입찰가를 제시할지 알 수 없으므로 자신의 내심의 의사가 용인하는 최대가인 12,500원을 제시할 확률이 높다. 이러한 상황은 최선 순위 경매 참가자를 제외한 모든 경매 참가자에게 나타난다.
경매 참가자 D는 2009년 9원 15일 15시 40분부터 15시 50분까지의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다.
현재 최고 입찰가는 경매 참가자 E가 새로 제시한 12,500원인데 경매 참가자 D는 12,300원까지만 구매할 의사가 있었으므로 더 이상의 경매 참가를 포기한다. 즉, 자신에게 주어진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참가하지 않는다.
경매 참가자 C는 2009년 9원 15일 15시 50분부터 16시까지의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다.
현재 최고 입찰가는 경매 참가자 E가 제시한 12,500원인데 내심으로는 13,000원까지는 구매할 의사가 있으므로 13,000원의 입찰가를 제시하여 경매에 참가한다.
경매 참가자 B는 2009년 9원 15일 16시부터 16시 10분까지의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다.
현재 최고 입찰가는 경매 참가자 C가 새로 제시한 13,000원인데 경매 참가자 B는 12,800원까지만 구매할 의사가 있었으므로 더 이상의 경매 참가를 포기한다. 즉, 자신에게 주어진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참가하지 않는다.
경매참가자 A는 최선 순위 경매 참가자로서, 2009년 9원 15일 16시 10분부터 16시 20분의 부가 기간 동안 경매에 참가할 수 있다.
현재 최고 입찰가는 경매 참가자 C가 제시한 13,000원인데 경매 참가자 A는 14,000원까지는 구매할 의사가 있었다.
이때, 경매 참가자 A는 자신보다 선순위의 경매 참가자가 없으므로 현재 최고 입찰가인 13,000원보다 높은 가격만 제시하면 무조건 낙찰자로 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경매 참가자 A는 13,100원을 제시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선순위 경매 참가자는 후순위 경매 참가자의 참가 상황을 모두 확인한 후 자신의 입장을 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리한 상황에서 경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매조건 변경부(51-5)는 경매절차 진행부(51-2)가 경매참가기간 동안 경매절자를 진행하는 동안 경매대상물건에 관한 첫번째 경매 참가가 이루어지기 전이라면 해당 경매대상물건의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가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경매조건 변경부(51-5)는 특정 경매에 관한 경매조건을 변경하려는 요청이 있으면, 해당 사용자가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의 예로는 해당 경매대상물건을 경매 대상으로 등록한 자 또는 온라인 경매 시스템(15)의 관리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인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경매조건 변경부(51-5)는 확인 결과 경매조건을 변경할 권한이 있는 자인 경우 경매참가기간이 진행되는 중이고 최초 참가가 이루어지기 전이라면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후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52-1)의 해당 경매에 관한 경매정보를 변경시킨다.
변경 대상 경매조건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그 하나의 예로는 최저 입찰가를 들 수 있다.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52-1)의 해당 경매에 관한 경매정보가 변경되면, 경매정보 제공부(51-1)나 경매절차 진행부(51-2)에서 제공하는 경매정보도 변경되고, 각 사용자는 변경된 최저 입찰가를 기준으로 경매에 참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매조건이 변경된 해당 경매의 경매참가기간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될 수도 있고, 경매조건이 변경되기 전에 이미 시작된 기간이 그대로 계속 진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경매대상물건을 경매에 내놓은 사용자가 급한 사정이 있거나 기타 이유로 낮은 가격에라도 빨리 처분하고자 한다면, 경매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따라 최저 입찰가를 더 낮추는 방법으로 경매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 경매에 의한 거래 성사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통신망을 통해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
도 3은 부가 기간을 할당하는 방법의 예,
도 4는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온라인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경매 시스템의 일 실시예,
도 6은 경매절차 진행부의 처리 과정에 관한 예,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경매가 진행되는 구체적인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사용자 컴퓨터 13: 통신망
15: 온라인 경매 시스템 15-1: 웹 서버
15-2: 데이터베이스 51-1: 경매정보 제공부
51-2: 경매절차 진행부 51-3: 부가기간 할당부
51-4: 낙찰자 선정부 51-5: 경매조건 변경부
52-1: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 52-2: 참가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라인 경매 시스템이 상기 웹 서버에서 운영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들과 인터페이스하여 경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어느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경매절차가 시작되면, 기 설정된 경매참가기간 동안 각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입력하여 경매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참가정보(최소한 사용자 식별정보, 참가일시, 입찰가를 포함함)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매참가기간이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참가정보를 기초로 각 경매 참가자에 대한 부가 기간을 할당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각 경매 참가자에게 부가 기간을 알려주는 단계(부가 기간은 먼저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이 나중에 참가한 경매 참가자의 부가 기간보다 나중에 종료되도록 할당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가 기간 정보를 기초로 각 경매 참가자가 자신의 부가 기간 동안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 최고 입찰가를 초과하는 입찰가를 입력하여 상기 경매대상물건에 대한 경매에 더 참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참가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각 경매 참가자에게 할당된 부가 기간이 모두 종료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참가정보를 조사하여 최고 입찰가를 입력한 경매 참가자를 확인하고, 해당 경매 참가자에게 낙찰자로 선정되었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매참가기간 동안 상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첫번째 입찰가가 입력되기 전에는 상기 경매대상물건을 경매 대상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최저 입찰가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95628A 2009-10-08 2009-10-08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KR100971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28A KR100971875B1 (ko) 2009-10-08 2009-10-08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PCT/KR2010/006062 WO2011043543A2 (ko) 2009-10-08 2010-09-07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온라인 경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628A KR100971875B1 (ko) 2009-10-08 2009-10-08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445A Division KR101026904B1 (ko) 2010-03-22 2010-03-22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온라인 경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875B1 true KR100971875B1 (ko) 2010-07-22

Family

ID=4264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628A KR100971875B1 (ko) 2009-10-08 2009-10-08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1875B1 (ko)
WO (1) WO2011043543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681A (ko) * 1999-12-16 2001-07-04 오혁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한 경매 시스템에서 입찰기간 자동연장방법
KR20020062526A (ko) * 2001-01-22 2002-07-26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64244A (ko) * 2002-01-24 2003-07-31 고성민 입찰 순위를 실시간 표시하는 실시간 경매방법
KR20040030027A (ko) * 2004-03-03 2004-04-08 이형순 입찰보증금부 경매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681A (ko) * 1999-12-16 2001-07-04 오혁 컴퓨터 네트웍을 이용한 경매 시스템에서 입찰기간 자동연장방법
KR20020062526A (ko) * 2001-01-22 2002-07-26 코리아본드웹 주식회사 호가 부분공개를 통한 전자 채권경쟁입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64244A (ko) * 2002-01-24 2003-07-31 고성민 입찰 순위를 실시간 표시하는 실시간 경매방법
KR20040030027A (ko) * 2004-03-03 2004-04-08 이형순 입찰보증금부 경매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3543A2 (ko) 2011-04-14
WO2011043543A3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873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sources alloca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080303811A1 (en) Virtual Professional
JP2003122959A (ja) オンラインオークションの実施方法及びオンライン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用サーバー
AU20173397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sealed bid auctions
US20020120557A1 (en) Automatic loan administration system
US20180018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sealed bid auctions
KR20200070037A (ko) 실시간 중고차 경매 시스템 및 경매 참가 장치
JP202213644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79920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온라인 경매 시스템
KR10168939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경매방법 및 경매시스템
IES86659B2 (en) Computerised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reinsurance
KR10097187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KR101026904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온라인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온라인 경매 시스템
JP6832582B2 (ja) 座席割当システム
KR20010037348A (ko) 네트워크 상의 공개경쟁입찰시스템 및 그 방법
RU2020114416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онлайн-аукционов
KR100522007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임대경매 거래 방법
KR101086975B1 (ko) 온라인 부동산 경매 시스템
Ockenfels New Institutional Structures on the Internet: The Economic Design of Online Auktions
KR10073270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경매방법
JP2002109256A (ja) 入札管理サーバ、決済管理サーバ、アイデア運用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ehr et al. Horizontal and vertical spillovers in wage bargaining: A theoretical framework and experimental evidence
JP7292767B1 (ja) 情報処理装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1722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sealed bid auctions
WO2023170736A1 (ja) マーケティ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503

Effective date: 201006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