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326B1 -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326B1
KR100970326B1 KR1020080045450A KR20080045450A KR100970326B1 KR 100970326 B1 KR100970326 B1 KR 100970326B1 KR 1020080045450 A KR1020080045450 A KR 1020080045450A KR 20080045450 A KR20080045450 A KR 20080045450A KR 100970326 B1 KR100970326 B1 KR 10097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vertisement
exposure
advertisement content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416A (ko
Inventor
김병학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326B1/ko
Priority to US12/466,455 priority patent/US8775240B2/en
Priority to JP2009118901A priority patent/JP5586167B2/ja
Publication of KR2009011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2Chanc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Figure R1020080045450
디지털 방송, IPTV, 광고 컨텐츠. CPC, CPM, CTR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입찰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른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방송과 광고를 결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의 보급화로 인해 시청자와 디지털 방송 사업자 간의 쌍방향성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인터넷망을 통해 시청자와 디지털 방송 사업자간 쌍방향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IPTV 서비스가 부각되면서, 이러한 쌍방향성 특징을 이용하여 방송과 광고를 결합하는 시도가 급증하고 있다.
방송과 광고를 결합하는 경우, 광고주가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통해 시청자에게 효과적으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광고주의 광고 제 공에 따른 중개 수입을 획득하는 방법이 문제된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특정 화면에 나타난 제품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입수하여 구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드라마, 영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경우, 상기 컨텐츠에 대해 시청자의 인기가 높은 경우 상기 예는 보다 자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화면에 나타난 제품에 대해 광고를 하려는 다수의 광고주가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광고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시청자에게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통해 광고주가 시청자에게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중개하는 경우, 상기 광고 제공에 따른 중개 수입을 어떠한 방법으로 획득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와 결합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품질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시청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증가시키고,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주의 광고 품질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후품질정보인 CTR과 사전품질정보인 품질요소를 반영한 품질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때 시청자의 관심과 광고 컨텐츠 자체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해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함으로써, 광고 제공에 따른 중개 수입을 획득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은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입찰 요청 수신부,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노출 순위 결정부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은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노출 영역 설정부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함으로써, 광고와 결합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품질 정보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시청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증가시키고,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광고주의 광고 품질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후품질정보인 CTR과 사전품질정보인 품질요소를 반영한 품질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때 시청자의 관심과 광고 컨텐츠 자체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함으로써,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노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해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함으로써, 광고 제공에 따른 중개 수입을 획득할 수 있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은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노출하는 전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의 디지털 방송은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및 IPTV(Internet Protocol TV)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본 발명은 IPTV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디지털 방송을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시청자 측의 방송 수신 단말(예를 들면, 셋탑 박스를 구비하는 TV)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광고주(103-1~103-n)로부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입찰 요청은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이 서비스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일 수 있다. 일례로, 광고 컨텐츠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특정 장면과 연관된 광고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입찰 요청된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은 CPC(Cost Per Click) 방식, CPM(Cost Per Mill)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CPC 과금 방식은 광고 컨텐츠가 노출되는 횟수에 상관없이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시청자가 클릭 했을 때만 광고의 비용이 지불되는 방식을 말한다. 즉, 시청자가 광고 컨텐츠를 클릭하여 광고 컨텐츠와 연결된 페이지를 방문하는 경우, 광고주가 미리 설정한 일정 금액에서 클릭당 비용을 차감시키는 방식을 의미한다.
CPM 과금 방식은 지정 기간 동안 노출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해 시청자의 클릭과 무관하게 미리 설정한 고정 금액만큼만 부과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CPC 과금 방식, CPM 과금 방식을 디지털 방송에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사업자는 광고 컨텐츠 제공에 따른 중개 수입을 획득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 및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 털 방송 사업자가 시청자에게 디지털 방송을 전송할 때,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IPG(Interactive Program Guide)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영역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의 일부 영역을 의미한다.
그러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노출된 광고 컨텐츠를 클릭(예를 들면, 리모컨 등으로 선택)하면,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광고주(103-1~103-n)에게 광고 컨텐츠의 클릭 정보에 따른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주(103-1~103-n)로부터 입찰 받아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를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노출함으로써, 시청자에 대한 광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광고 컨텐츠의 클릭 정보를 수집하 여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제공하고,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클릭 정보에 따라 광고주(103-1~103-n)에게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광고 제공에 따른 중개 수입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201).
이 때, 광고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일례로, 과금 방식은 CPC 과금 방식 또는 CPM 과금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1)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디지털 방송 컨텐츠는 다수의 장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1)는 다수의 장면 각각과 관련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드라마"인 경우, 상기 드라마의 특정 장면을 통해 주인공이 입고 있는 옷이나 주인공이 착용하고 있는 목걸이가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옷이나 상기 목걸이에 관심을 가지는 시청자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된 옷이나 목걸이를 판매하거나 이와 관련된 제품을 판매하는 광고주는 상기 특정 장면에 대해 자신의 광고 컨텐츠를 입찰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다만,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1)는 적어도 하나의 제품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거나, 부각될 수 있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장면 별로 입찰되는 광고 컨텐츠의 개수도 제한이 없다.
일례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1)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1)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은 특정 장면에 대해, 해당 장면이 재생되는 시점부터 최대한의 광고 효과가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시간(광고 시간)까지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시간의 길이는 제한되지 않는다.
결국,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일시적인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장면 별 입찰과 비교적 장기간의 광고 효과를 나타내는 광고 시간 별 입찰이 광고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202).
일례로, 본 발명은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두 가지의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02)는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Click-Through Rate)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정렬된 순서 에 따라 노출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CTR은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CTR은 광고 컨텐츠의 노출 횟수 대비 클릭 횟수를 의미한다. 즉, CTR은 광고 컨텐츠가 노출된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사후적인 품질 정보를 의미한다.
둘째,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02)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과금 방식은 CPC 방식 및 CPM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02)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순위 지수는 최대클릭비용과 품질 지수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품질 지수는 사전평가 요소인 광고 컨텐츠의 품질 요소 및 사후평가 요소인 광고 컨텐츠의 CTR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요소는 광고 컨텐츠의 제목 및 설명 문구인 T&D(Title & Description) 또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인기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에 따라 품질 지수의 편차가 클 수 있으므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보정된 품질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품질 지수는 최대 품질지수 및 최소 품질지수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컨텐츠의 품질 지수에 대해 최대 품질지수가 최소 품질지수의 미리 선정된 배수(multiple)를 초과하는 경우, 최소 품질지수를 기준으로 광고 컨텐츠의 모든 품질지수가 상기 배수 이하가 되도록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품질 지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품질지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 a에 대하여 10일 동안의 품질 요소 및 CTR을 추출하여 일별 품질 지수를 계산하고, 광고 a의 품질 지수는 일별 품질 지수를 평균하여 보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기간 내에 광고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CTR이 급상승할 수 있으므로,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보정된 CTR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CTR은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별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CTR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이 때, CTR의 평균값과 매우 큰 차이가 있는 CTR은 아웃라이어(outlier)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CTR의 평균값을 통해 CTR이 보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S202)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를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S203). 즉,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은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디지털 방 송과 상기 디지털 방송과 연관된 광고를 함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S204).
도 1에서 이미 살펴보았듯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이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에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면,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재생할 때,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방송 시청자가 광고 컨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시청자의 클릭 횟수를 포함하는 클릭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과금 방식이 CPM인 경우, 클릭 횟수와 무관하게 정액으로 과금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제1 입찰 요청(301)을 광고주(103-1~103-n)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컨텐츠가 장면 1, 장면 2, 장면 3 및 장면 4로 구성되는 경우, 광고주(103-1~103-n)들은 장면 1, 장면 2, 장면 3 및 장면 4 각각에 연관된 광고 컨텐츠들에 대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입찰 요청할 수 있다. 장면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고,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장면 간의 간격도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제2 입찰 요청(302)을 광고주(103-1~103-n)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사업자가 재생 시간이 10:00에서 12:00사이인 디지털 방송 컨텐츠에 대해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a, 장면 b, 장면 c이 각각 10:20, 10:45, 11:35에 나타나는 경우, 해당 장면의 광고 효과가 유지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각 장면 마다 광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광고주(103-1~103-n)들은 원하는 광고 시간을 선택하여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제2 입찰 요청(302)을 할 수 있다. 광고 시간은 장면의 성격 및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면 별 입찰 요청이나 광고 시간 별 입찰 요청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지털 방송 컨텐츠에 대해 입찰 요청된 광고 컨텐츠들의 리스팅이 나타난다.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앞에서 이 미 언급했듯이, 본 발명은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2가지의 방법을 제시한다.
첫째,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에 무관하게 CTR에 따라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 노출 순위 결정 방법에 따르면, CPC 과금 방식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광고 a, 광고 b, 광고 c, 광고 d의 순으로 노출 순위가 결정된다. 그리고, CPM 과금 방식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광고 1, 광고 2, 광고 3, 광고 4의 순으로 노출 순위가 결정된다.
둘째,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에 따라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때, CPC 과금 방식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최대클릭비용과 품질지수(QI: Quality Index)로 계산된 순위 지수에 따라 노출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순위 지수는 최대클릭비용과 품질지수의 곱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CPM 과금 방식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CTR에 따라 노출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노출 순위 결정 방법에 따르면, CPC 과금 방식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광고 b, 광고 a, 광고 d, 광고 d의 순으로 노출 순위가 결정된다. 그리고, CPM 과금 방식에 따른 광고 컨텐츠는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하게 광고 1, 광고 2, 광고 3, 광고 4의 순으로 노출 순위가 결정된다.
CPC, CPM, CTR, 품질지수(QI)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은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501).
이 때, 광고 컨텐츠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과 무관하게 CTR의 크기 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순위는 과금 방식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입찰 요청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노출 순위는 상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입찰 요청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광고 컨텐츠의 CT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은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S502).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502)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에 대해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노출 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의 경우, 노출 영역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설정될 수 있다.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는 광고 제목과 광고 문구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다소 넓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의 경우, 리스트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의 하단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CPM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의 경우, 노출 영역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정될 수 있다. CPM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는 이미지 형태의 배너 형태가 많기 때문에, 리스트 형태의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보다 비교적 좁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노출 영역의 설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S503).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단계(S503)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장면이 재생되는 동안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즉, 장면 별로 입찰된 광고 컨텐츠는 입찰 요청의 대상이 된 장면이 시작되고, 다른 장면으로 전환될 때까지 비교적 짧은 시간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단계(S503)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광고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이 상기 광고 시간의 시작 시점과 마무리 시점 사이에 비교적 긴 시간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해 노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S504).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시청자가 노출된 광고 컨텐츠를 클릭하여 선택하면,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해당 광고 컨텐츠의 과금 처리를 위해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과금 처리를 위한 클릭 정보는 정액제로 운영되는 CPM 과금 방식보다는 클릭 횟수에 영향을 받는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횟수일 수 있다. 실제로, 디지털 방송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시청자가 리모컨이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를 움직여서 노출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600)에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601)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601)의 우측에 CPM 과금 방식의 노출 영역(602)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601)의 하단에 CPC 과금 방식의 노출 영역(603)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 면(601)에 표시된 남자의 옷과 연관된 광고 컨텐츠를 다수의 광고주로부터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입찰된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과금 방식은 CPC 과금 방식 또는 CPM 과금 방식일 수 있다.
그러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101)은 입찰 요청을 수신한 광고 컨텐츠에 대해 노출 순위를 결정하여,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를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에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노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의 제목과 설명 문구(T&D)를 포함하는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는 리스팅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리스팅 형태의 CPC 과금 방식의 노출 영역(603)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601)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광고 효과가 높을 수 있다.
그리고, 배경과 문자를 포함하는 CPM 과금 방식의 컨텐츠는 배너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배너 형태의 CPM 과금 방식의 노출 영역(602)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601)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이 광고 효과가 높을 수 있다.
이 때,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나 CPM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는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노출될 수 있다. 다만, 노출 영역의 인벤토리가 입찰 요청된 광고 컨텐츠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인벤토리 개수 이하의 노출 순위로 결정된 광고 컨텐츠는 노출되지 않는다.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102)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시킬 수 있다. 도 6의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601)이 디스플레이 되면, 해당 장면에 입찰 요청된 광고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가 노출되는 시간은 장면 별 입찰이나 광고 시간 별 입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700)은 입찰 요청 수신부(701), 노출 순위 결정부(702), 컨텐츠 제공부(703) 및 과금 수행부(704)를 포함할 수 있다.
입찰 요청 수신부(701)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과금 방식은 CPC 과금 방식 또는 CPM 과금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입찰 요청 수신부(701)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찰 요청 수신부(701)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과금 방식에 관계없이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Click-Through Rate)을 이용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을 고려하 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상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품질 지수는 사전평가 요소인 광고 컨텐츠의 품질 요소 및 사후평가 요소인 광고 컨텐츠의 CTR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품질 요소는 광고 컨텐츠의 T&D(Title & Description) 또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인기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품질 지수는 광고 컨텐츠에 따라 편차가 날 수 있다. 편차가 큰 경우, 결정된 노출 순위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보정된 품질 지수를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품질 지수는 광고 컨텐츠의 최대 품질지수 및 최소 품질지수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또한 품질 지수는 광고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품질지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노출 횟수 대비 클릭 횟수를 의미하는 CTR은 다양한 원인으로 특정 시점에서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TR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계절, 날씨, 최근 이슈 등에 따라 변동폭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순위 결정부(702)는 보정된 CTR을 이용하여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할 수 있 다.
일례로, CTR은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별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CTR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될 수 있다. 이 때, CTR의 평균값과 매우 큰 차이가 있는 CTR은 아웃라이어(outlier)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CTR의 평균값을 통해 CTR이 보정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703)는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과금 수행부(704)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여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800)은 컨텐츠 수신부(801), 노출 영역 설정부(802), 광고 컨텐츠 노출부(803) 및 클릭 정보 수집부(80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801)는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컨텐츠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광고 컨텐츠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에 따라 결정될 수 있 다. 즉,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관계없이 CTR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는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는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노출 영역 설정부(802)는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노출 영역 설정부(802)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에 대해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노출 영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의 경우, 노출 영역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CPM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의 경우, 노출 영역은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노출 영역의 설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노출부(803)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노출 영역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 노출부(803)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장면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부(803)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광고 시간 동안 광고 컨텐츠를 노출할 수 있다.
클릭 정보 수집부(804)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노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과금 처리를 위한 클릭 정보는 정액제로 운영되는 CPM 과금 방식보다는 클릭 횟수에 영향을 받는 CPC 과금 방식의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횟수일 수 있다. 실제로, 디지털 방송이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시청자가 리모컨이나 터치스크린을 통해 표시를 움직여서 노출된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6에 설명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노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 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노출하는 전체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2: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103-1~103-n: 광고주

Claims (39)

  1.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Click-Through Rate)을 이용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과금 방식은,
    CPC(Cost Per Click) 방식 및 CPM(Cost Per Mill) 방식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상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는,
    사전평가 요소인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요소 및 사후평가 요소인 상기 광고 컨텐츠의 CTR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요소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T&D(Title & Description) 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인기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최대 품질지수 및 최소 품질지수에 기초하여 보정된 품질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품질지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된 품질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TR은,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별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CTR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된 CT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13.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상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에 대해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노출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장면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광고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노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20.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1.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입찰 요청 수신부;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노출 순위 결정부; 및
    상기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상기 광고 컨텐츠를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함께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과금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입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입찰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Click-Through Rate)을 이용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과금 방식은,
    CPC(Cost Per Click) 방식 및 CPM(Cost Per Mill) 방식을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 결정부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상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노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는,
    사전평가 요소인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요소 및 사후평가 요소인 상기 광고 컨텐츠의 CTR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요소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T&D(Title & Description) 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인기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최대 품질지수 및 최소 품질지수에 기초하여 보정된 품질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지수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품질지수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된 품질 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31. 제26항 또는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TR은,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순위별로 미리 설정한 기간 동안의 CTR 평균값에 기초하여 보정된 CT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과금을 수행하는 과금 수행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제공 시스템.
  33. 노출 순위에 따라 정렬된 광고 컨텐츠와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 상기 광고 컨텐츠의 노출 영역을 설정하는 노출 영역 설정부;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여 상기 노출 영역에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 컨텐츠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34. 삭제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는,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CTR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순위는,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C 방식인 경우, 상기 입찰 요청에 포함된 최대클릭비용 및 상기 광고 컨텐츠의 품질 정보인 품질 지수에 따른 순위 지수를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방식이 CPM 방식인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의 CTR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영역 설정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화면에 대해 상기 광고 컨텐츠의 과금 방식에 따라 노출 영역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노출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장면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장면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컨텐츠의 재생 시간 중 미리 설정한 광고 시간 별로 입찰 요청한 광고 컨텐츠의 경우, 상기 광고 시간 동안 상기 광고 컨텐츠를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해 상기 노출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클릭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클릭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컨텐츠 노출 시스템.
KR1020080045450A 2008-05-16 2008-05-16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KR10097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50A KR100970326B1 (ko) 2008-05-16 2008-05-16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US12/466,455 US8775240B2 (en) 2008-05-16 2009-05-15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ing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computing system for exposing advertisement content
JP2009118901A JP5586167B2 (ja) 2008-05-16 2009-05-15 デジタル放送サービスにおける広告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または広告コンテンツ露出方法およ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450A KR100970326B1 (ko) 2008-05-16 2008-05-16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416A KR20090119416A (ko) 2009-11-19
KR100970326B1 true KR100970326B1 (ko) 2010-07-15

Family

ID=4131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450A KR100970326B1 (ko) 2008-05-16 2008-05-16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75240B2 (ko)
JP (1) JP5586167B2 (ko)
KR (1) KR100970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9903B2 (ja) * 2008-09-14 2014-07-16 雅英 田中 コンテンツの受信装置および配信装置
US10311448B2 (en) 2010-08-19 2019-06-04 William Eugene Urban Digital signage system
KR20120022011A (ko) * 2010-08-25 2012-03-09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트래픽 품질에 기초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101211053B1 (ko) * 2011-01-10 2012-12-12 (주)펄서스 테크놀러지 디지털 컨텐츠의 순위를 활용한 광고의 경매 시스템 및 방법
JP5914992B2 (ja) * 2011-06-02 2016-05-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90826B1 (ko) * 2013-01-28 2015-02-10 (주)인터랙티비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60042034A1 (en) * 2014-08-08 2016-02-11 Google Inc. Grouping and pricing low-competition content item requests
KR101694738B1 (ko) * 2014-12-09 2017-01-10 남기원 방송 광고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445997B (zh) * 2016-07-20 2021-02-05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服务器
WO2018014849A1 (zh) 2016-07-20 2018-0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媒体信息展示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07786347B (zh) * 2016-08-26 2020-10-13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对增值业务进行计费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968033B2 (ja) * 2018-06-14 2021-11-17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59486B1 (ko) 2018-07-20 2024-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를 중개하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7012679B2 (ja) * 2019-03-19 2022-01-28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配信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016947B (zh) * 2019-05-31 2023-08-1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广告位分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58411B1 (ko) * 2019-12-30 2023-07-24 주식회사 엔비티 콘텐츠 공유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729A (ko) * 2006-01-19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률에 따른 동적 광고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5608A (ko) * 2006-08-16 2008-02-20 엔에이치엔(주) 광고주를 차등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시스템
KR20080032512A (ko) * 2006-10-10 2008-04-15 엔에이치엔(주) 순위별 가중치 추출 방법 및 순위별 가중치 추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474A (ja) * 2000-08-22 2002-02-28 Sony Corp 広告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供給端末、広告提供装置、広告主端末、コンテンツ視聴装置、広告提供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50144069A1 (en) * 2003-12-23 2005-06-30 Wiseman Leora 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graphical advertisements
WO2008042812A2 (en) * 2006-09-29 2008-04-10 Google Inc. Advertisement campaign simulator
JP2008097546A (ja) * 2006-10-16 2008-04-24 Cirius Technologies Inc 広告方法、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プログラム
US8661464B2 (en) * 2007-06-27 2014-02-25 Google Inc. Targeting in-video adverti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6729A (ko) * 2006-01-19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률에 따른 동적 광고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5608A (ko) * 2006-08-16 2008-02-20 엔에이치엔(주) 광고주를 차등 관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시스템
US20080046323A1 (en) * 2006-08-16 2008-02-21 Kim Hyo Jeong Method of managing advertiser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KR20080032512A (ko) * 2006-10-10 2008-04-15 엔에이치엔(주) 순위별 가중치 추출 방법 및 순위별 가중치 추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6167B2 (ja) 2014-09-10
JP2009277231A (ja) 2009-11-26
KR20090119416A (ko) 2009-11-19
US20090287554A1 (en) 2009-11-19
US8775240B2 (en)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326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의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광고 컨텐츠 노출 방법 및 시스템
US8516515B2 (en) Impression based television advertising
US8255949B1 (en) Television program targeting for advertising
KR101709802B1 (ko) 광고의 암시적 평가
US8386304B2 (en) Methods for interactive television and mobile device
US11651389B1 (en) Programmatic advertising platform
US112776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questing electronic programming content through internet content
US10129604B2 (en) Analytic system for automatically combining advertising and content in media broadcasts
US20130191226A1 (en) Pricing and delivery of advertising based on exposure time
WO2009010821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and synchronizing data streams
US11012758B2 (en) Cross-channel digital and IOT advertising triggered by cable TV cue message
US20150264418A1 (en) Advertisement filtering and targeting through user-preferences
JP6563655B2 (ja) クロス媒体広告ネットワーク
US20050086119A1 (en) Content delivery apparatus and content creation method
US20140033248A1 (en) Including inserts in multimedia content
KR102618448B1 (ko) 간접 광고 제품 리타게팅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91419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best price for multimedia content
US20140289043A1 (en) Online advertisement provis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