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50B1 -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 Google Patents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50B1
KR100969450B1 KR1020080069252A KR20080069252A KR100969450B1 KR 100969450 B1 KR100969450 B1 KR 100969450B1 KR 1020080069252 A KR1020080069252 A KR 1020080069252A KR 20080069252 A KR20080069252 A KR 20080069252A KR 100969450 B1 KR100969450 B1 KR 10096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ever
trunk lid
housing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8670A (en
Inventor
서창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50B1/en
Publication of KR201000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6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28Linearly reciproca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차체에 배치된 스트라이커와, 트렁크 리드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래치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에 상기 래치를 밀어내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 후에는 상기 트렁크 리드를 적은 힘으로 닫을 수 있도록 원위치로 복귀되는 팝업수단이 포함되어,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ker disposed on a vehicle body, a latch disposed on a trunk lid, a latch locked or released from the striker, and a side of the strike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triker. A pop-up means for pushing out the latch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o close the trunk lid with a small force after the trunk lid is opened,

승객이 트렁크 리드를 쉽게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쉽게 닫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Not only can the passengers easily open the trunk lid, but the effect is that they can be easily closed without applying too much force.

트렁크, 트렁크 리드, 래치, 스트라이커, 팝업수단 Trunk, Trunk Lead, Latch, Striker, Pop-Up Means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trunk switchgear of vehicles}Trunk switchgear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 리드의 열림 시 상승력을 가해 초기 열림 양을 증가시키고, 트렁크 리드의 닫힘 시 승객이 용이하게 트렁크 리드를 닫을 수 있도록 닫힘 기능이 개선된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initial opening amount by applying a lifting force when the trunk lid is opened, and to improve the closing function so that the passenger can easily close the trunk lid when the trunk lid is closed. It relates to a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 부위로 형성되는 트렁크는 통상, 스페어타이어를 구비하면서 개인용 짐을 실을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형성하면서 전용키나 운전석부근에 구비된 조작스위치를 매개로 열 수 있는 잠금 장치인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진다.In general, the trunk formed by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is a locking device that can be opened via a dedicated key or an operation switch provided near the driver's seat while forming a large space for carrying personal luggage while having a spare tire. The device is provid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트렁크 리드(미도시)의 잠금·해제기능을 작용하는 래치어셈블리(미도시)와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스트라이커(1)가 구비되어 차체부위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의 일측 부위로 형성된 연결부(2a)에 보스(2b)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스(2b)에 트렁크 리드를 상승시켜주는 회동레버(3)가 구비되되, 상기 회동레버(3)와 상기 보스(2b)에는 회동레버(3)의 팝업력을 주기 위해 핀(5)을 매개로 토셔널스프링(4)이 구비되어진다.As shown in FIG. 1, a tru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striker 1 mechanically coupled to a latch assembly (not shown) that functions to lock and release a trunk lid (not shown). And a base plate 2 fixed to the vehicle body portion. A boss 2b protrudes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a formed as one side portion of the base plate 2, and a pivot lever 3 is provided to raise the trunk lid to the boss 2b, wherein the pivot lever 3 is provided. ) And the boss (2b)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4) via the pin (5) to give a pop-up force of the pivoting lever (3).

여기서, 상기 토셔널스프링(4)은 장착 시 탄성력을 매개로 회동레버(3)를 회동시키도록 미리 설정된 회전 변위각을 준 상태로 조립하게됨은 물론이다.Here, the torsion spring 4 is 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rotational displacement angle is provided to rotate the pivoting lever 3 through the elastic force during mounting.

그리고, 상기 회동레버(3)에는 회동 시 트렁크 리드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폰지나 고무 또는 우레탄재질의 완충부재(3a)가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ivoting lever 3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member 3a made of sponge, rubber or urethane to prevent damage due to contact with the trunk lid during the pivoting.

따라서, 운전자가 트렁크 개·폐 스위치나 키를 이용하여 래치어셈블리와 스트라이커(1)의 잠금을 해제하면 트렁크 리드에 의해 눌려져있던 회동레버(3)가 토셔널스프링(4)의 복원력에 의해 화살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레버(3)의 완충부재(3a)가 트렁크 리드를 밀어 위쪽으로 올려 즉, 팝업 시켜 주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er releases the latch assembly and the striker 1 by using the trunk opening / closing switch or the key, the pivoting lever 3 pressed by the trunk lid is connected to the arrow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 As shown, the buffer member 3a of the pivoting lever 3 pushes the trunk lid upward, that is, pops up.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회동레버(3)가 래치어셈블리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서 트렁크 리드가 쉽게 열리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승객이 트렁크 리드를 다시 닫기 위해서는 래치어셈블리를 밀어내는 회동레버(3)의 토셔널스프링(4)의 복원력보다 더 큰 힘을 가하여야만 트렁크를 닫을 수 있게 되므로 승객이 트렁크를 개방시킨 후 다시 닫을 때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function that the trunk lid is easily opened by the force of the pivot lever 3 pushing the latch assembly, but the passenger pushes the latch assembly to close the trunk lid again. Since the trunk can be closed only by applying a force greater than the resilience of the torsion spring 4 of 3), a problem arises that the passengers have difficulty closing and then closing the trun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새로운 구조의 팝업수단을 구비하여 승객이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팝업력을 가해 보다 쉽게 트렁크 리드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트렁크 리드를 개방 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팝업수단이 초기위치로 복원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 리드를 닫을 경우 작은 힘으로도 트렁크 리드를 닫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a passenger wants to open the trunk lid with a new structure pop-up means so that the trunk lid can be opened more easily by applying a pop-up force. The purpose of this is to allow the pop-up means to restore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a certain time has passed after opening the trunk lid so that the trunk lid can be closed even with a small force.

상기의 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차체에 배치된 스트라이커와, 트렁크 리드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래치와,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에 상기 래치를 밀어내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 후에는 상기 트렁크 리드를 적은 힘으로 닫을 수 있도록 원위치로 복귀되는 팝업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iker disposed on a vehicle body, a latch disposed on a trunk lid, a latch locked or released from the striker, and a trunk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iker. And a pop-up means for pushing the latch in opening the lid and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trunk lid can be closed with less force after the trunk lid is opened.

상기 팝업수단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레버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석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력을 상기 슬라이딩 레버로 전달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트렁크 리드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석의 극을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op-up means includes a housing, a sliding le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for reciprocating motion, an electromagne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fer to the sliding lever. Permanent magnet and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pole of the electromagnet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unk lid.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 후 멈출 수 있도록 멈춤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of the sliding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 member to stop after the sliding lever mov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레버를 멈출 수 있도록 상기 멈춤부재가 걸리는 레버 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 홀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 lever hole to stop the sliding member to stop the sliding lever, the lever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et by the user.

상기 멈춤부재는 상기 레버 홀에 걸림 가능토록 걸림 볼과, 상기 걸림 볼이 상기 레버 홀에 위치할 시 상기 걸림 볼을 밀어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ball so as to be locked to the lever hole, and an elastic member for pushing the locking ball when the locking ball is located in the lever hol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제어부와 자성부재, 슬라이딩 레버로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팝업수단을 구비하여 제어부와 자성부재로 슬라이딩 레버를 작동시켜 승객이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자성부재로 슬라이딩 레버를 밀어 트렁크 리드가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자성부재로 슬라이딩 레버를 초기위치로 복원시켜 승객이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트렁크 리드가 쉽게 닫힐 수 있도록 하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op-up means having a new structur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a magnetic member, and a sliding lever to operate a sliding lever with the control unit and the magnetic member to open the trunk lid. In this case, push the sliding lever with the magnetic member so that the trunk lid can be easily opened.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since the trunk lid is opened, the sliding lever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with the magnetic member so that the trunk does not have to be applied to the trunk A big effect is that the lid can be easily clos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수단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수단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의 작동 순서가 도시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p-up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pop-up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트렁크 리드(미도시)의 잠금, 해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렁크 리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래치(1)와, 상기 래치(1)와 기구적으로 결합 할 수 있도록 차체에 구비되어 있는 스트라이커(2)와, 상기 스트라이커(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트렁크 리드의 초기 열림 양을 증가시켜 개방을 도울 수 있도록 상기 래치(1)를 밀어 올리는 팝업수단(10)이 포함되어 있다.2 to 5,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unk lid to enable the locking, unlocking function of the trunk lid (not shown) The latch 1, the striker 2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so as to be mechanically coupled to the latch 1, an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iker 2 increase the initial opening amount of the trunk lid. And a pop-up means 10 for pushing up the latch 1 so as to assist the opening.

우선 상기 팝업수단(10)은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결합이 되어 있으며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레버(12)와,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구비 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1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자성부재(13)와, 상기 트렁크 리드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자성부재(1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부(14)를 포함하고 있다.First, the pop-up means 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 the housing 11, the sliding lever 12 for reciprocating motion, and the sliding lever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 A magnetic member 13 capable of moving the 12 and a control unit 14 to operate the magnetic member 13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unk lid.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레버(12)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을 한 후 멈출 수 있도록 멈춤부재(15)를 포함하고 있다. Here, one side of the sliding lever 12 includes a stop member 15 so that the sliding lever 12 can be stopped after mov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슬라이딩 레버(12)를 멈출 수 있도록 상기 멈춤부재(15)가 걸리는 레버 홀(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 홀(11a)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이 되어 복수 개 형성이 된다.The housing 11 is formed with a lever hole 11a through which the stop member 15 is caught so as to stop the sliding lever 12, and the lever hole 11a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et by the user. This results in a plurality of formations.

한편, 상기 멈춤부재(15)는 상기 레버 홀(11a)에 걸림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는 걸림 볼(15a)과, 상기 걸림 볼(15a)이 상기 레버 홀(11a)에 위치할 경우 상기 걸림 볼(15a)을 밀어주도록 구비되어 있는 탄성부재(15b)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p member 15 is a locking ball (15a) provided to be caught in the lever hole (11a), and the locking ball when the locking ball (15a) is located in the lever hole (11a) And an elastic member 15b provided to push the 15a.

그리고 상기 자성부재(13)는 코일(13a')에 감싸져 있어 상기 제어부(14)의 신호에 따라서 극이 변환이 되는 전자석(13a)과, 상기 전자석(13a)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력을 상기 슬라이딩 레버(12)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영구자석(13b)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member 13 is wrapped in the coil 13a ',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13a and the electromagnet 13a whose poles are convert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14 are slid to the magnetic force. It includes a permanent magnet (13b) provided to be delivered to the lever (12).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트렁크 리드의 일측에는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래치(1)가 배치되어 있고, 트렁크 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1)와 기구적으로 결합이 되는 스트라이커(2)가 구비되어 있다.First, a latch 1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runk lid to lock and release the trunk lid, and a striker mechanically coupled to the latch 1 at one side of a vehicle body forming the trunk room. 2)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커(2)의 일측에는 상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될 때 상기 트렁크 리드의 초기 열림 양을 증가시켜 개방을 도울 수 있도록 상기 래치(1)를 밀어 올려주는 팝업수단(10)이 구비가 된다.And one side of the striker (2) is provided with a pop-up means (10) for pushing up the latch (1) to help open by increasing the initial opening amount of the trunk lid when the trunk lid is opened.

상기 팝업수단(10)은 하우징(11), 슬라이딩 레버(12), 자성부재(13) 및 제어부(14)로 구성되고, 제일 먼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일측에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된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후 멈출 수 있도록 멈춤부재(15)가 구비되어 있다.The pop-up means 10 is composed of a housing 11, a sliding lever 12, a magnetic member 13 and the control unit 14, first of all the sliding lever 12 on one side inside the housing 11; Is fitted to reciprocate. The stop member 1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liding lever 12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to stop after the sliding lever 12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상기 멈춤부재(15)에 의해서 멈출될 때 상기 멈춤부재(15)가 걸림될 수 있도록 레버 홀(1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버 홀(11a)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 홀(11a)은 동일 중심 축 상에 두 개의 레버 홀(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 홀(11a)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총 4 개의 레버 홀(11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lever hole 11a is formed in the housing 11 so that the stop member 15 can be caught when the sliding lever 12 is stopped by the stop member 15. )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s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r hole 11a is formed with two lever holes 11a on the same central axis, and the lever holes 11a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a total of four lever holes 11a are formed. have.

한편 상기 멈춤부재(15)는 상기 레버 홀(11a)에 걸림되는 걸림 볼(15a)과, 상기 걸림 볼(15a)과 결합되는 탄성부재(15b)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탄성부재(15b)는 상기 걸림 볼(15a)이 상기 레버 홀(11a)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5b)의 복원력이 상기 걸림 볼(15a)을 밀어주어 상기 레버 홀(11a)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op member 15 is provided with a locking ball (15a) that is engaged in the lever hole (11a), and an elastic member (15b) coupled to the locking ball (15a) is the elastic member (15b) is When the catching ball 15a is positioned in the lever hole 11a,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b may push the catching ball 15a to be caught in the lever hole 11a.

그리고 상기 자성부재(13)는 전자석(13a)과, 영구자석(13b)으로 구비되어 있 어 상기 전자석(13a)은 코일(13a')에 감싸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완전 삽입되어 있고, 상기 영구자석(13b)은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상기 하우징(11)에 삽입된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And the magnetic member 13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13a) and a permanent magnet (13b) so that the electromagnet (13a) is wrapped in a coil (13a ')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 The permanent magnet 13b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liding lever 12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and inserted into the housing 11.

그리고 상기 전자석(13a)은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14)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트렁크 리드에서 전달받은 신호를 상기 제어부(14)에서 상기 전자석(13a)으로 전달하여 상기 전자석의 극이 변환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 13a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 provid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runk lead is transferred from the control unit 14 to the electromagnet 13a so that the pole of the electromagnet is converted. Can be.

상기와 같은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우선 운전자가 트렁크를 개방하기 위하여 트렁크 리드에 키(미도시)를 꼽아 개방을 하고자 신호(S10 단계)를 보내면 상기 신호에 의해서 차량의 트렁크 리드의 잠금, 해제를 판단(S11 단계)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를 개방하거나 개방하지 않게 된다.(S25 단계)First, when the driver inserts a key (not shown) in the trunk lid to open the trunk and sends a signal to open the trunk (step S10), the driver determines the lock and release of the trunk li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ignal (step S11). (Or step S25)

이때,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방 신호를 받게 되면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14)는 상기 팝업수단(10)의 전자석(13a)에 신호를 보낸다. 한편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영구자석(13b)은 항상 N극을 띄고 있는데 상기 전자석(13a)은 상기 제어부(14)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영구자석(13b)과 근접한 상기 전자석(13a)의 일측에 N극을 형성하게 된다.(S20 단계)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signal of the trunk lid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4 provided in the vehicle sends a signal to the electromagnet 13a of the pop-up means 10. On the other hand, the permanent magnet 13b provided in the housing 11 always has an N pole, and the electromagnet 13a is close to the permanent magnet 13b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14. An N pole is formed at one side of 13a (step S20).

따라서 상기 전자석(13a)과 상기 영구자석(13b)이 같은 극을 띄게되어 상기 영구자석(13b)이 밀리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이동을 하면서 상기 트렁크 리드의 래치(1)를 밀어 올려 상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다.Therefore, when the electromagnet 13a and the permanent magnet 13b have the same pole and the permanent magnet 13b is pushed, the sliding lever 12 moves, and the sliding lever 12 moves. While pushing up the latch 1 of the trunk lid, the trunk lid is opened.

한편 상기 슬라이딩 레버(12)는 일정 간격 이동을 한 후 상기 하우징(11)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 홀(11a)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레버(12)에 구비되어 있는 멈춤부재(15)에 의해서 멈추게 되는데, 상기 멈춤부재(15)의 탄성부재(15b)가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일정 간격 이동을 한 후 상기 하우징(11)의 레버 홀(11a)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15b)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림 볼(15a)이 밀려 상기 레버 홀(11a)에 걸리게 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멈춤게 된다.Meanwhile, the sliding lever 12 is stopped by the stop member 15 provided in the sliding lever 12 when the sliding lever 12 is positioned in the lever hole 11a formed in the housing 11 after a predetermined interval of movement. When the elastic member 15b of the stop member 15 is positioned in the lever hole 11a of the housing 11 after the sliding lever 12 moves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elastic member 15b The locking ball 15a is pushed by the restoring force to be caught by the lever hole 11a so that the sliding lever 12 is stopped.

그리고 1초의 시간이 지난 후 상기 트렁크 리드로부터 특별한 작동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4)가 상기 전자석(13a)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전자석(13a)에 형성되어 있는 극을 변환시키는데 S극이 형성되던 자리는 N극을 형성시키고, N극이 형성되어 있던 자리는 S극을 형성시켜 상기 영구자석(13b)이 상기 전자석(13a)의 극 변화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을 하게 된다.(S30 단계)If a special operation signal is not transmitted from the trunk lid after one second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14 sends a signal to the electromagnet 13a to convert a pole formed in the electromagnet 13a to form an S pole. The seat becomes the N pole, and the seat where the N pole is formed forms the S pole so that the permanent magnet 13b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pole change of the electromagnet 13a. )

따라서 상기와 같은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12)가 초기 위치로 이동을 하여 운전자가 상기 트렁크 리드를 개방한 후 다시 닫고자 할 때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트렁크 리드를 닫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sliding lever 12 to move to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driver can close the trunk lid without exerting a great force when the driver wants to close it again after opening the trunk lid.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를 적용하면, 트렁크 리드를 개방한 후 다시 닫고자 할 때 팝업수단이 초기 위치로 복원이 되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닫을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op-up means is clos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trunk lid is opened and then closed again, so that the vehicle can be closed without great for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팝업수단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op-up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팝업수단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p-up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의 작동 순서가 도시된 흐름도.5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래치 2: 스트라이커1: latch 2: striker

10: 팝업수단 11: 하우징10: pop-up means 11: housing

12: 슬라이딩 레버 13: 자성부재12: sliding lever 13: magnetic member

14: 제어부 15: 멈춤부재14: control unit 15: stop member

Claims (6)

차체에 배치된 스트라이커;A striker disposed on the vehicle body; 트렁크 리드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래치; 및A latch disposed on a trunk lid and locked to or released from the striker; And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렁크 리드의 개방시에 상기 래치를 밀어내고, 상기 트렁크 리드가 개방된 후에는 상기 트렁크 리드를 적은 힘으로 닫을 수 있도록 원위치로 복귀되는 팝업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A pop-up mean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riker to push the latch at the time of opening the trunk lid an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o close the trunk lid with a small force after the trunk lid is opened; Trunk switchg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팝업수단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p-up means, 하우징과,A housing,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레버와,A sliding lev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to reciprocate;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석과,An electromagne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에 의해 발생된 자력을 상기 슬라이딩 레버로 전달하는 영구자석과,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transmit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to the sliding lever; 상기 트렁크 리드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석의 극을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And a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pole of the electromagnet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unk lid.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 후 멈출 수 있도록 멈춤부재가 포함된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One side of the sliding lever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including a stop member to stop after the sliding lever move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레버를 멈출 수 있도록 상기 멈춤부재가 걸리는 레버 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 홀은 사용자가 기 설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The housing has a lever hole to which the stop member is caught so as to stop the sliding lever is formed, the lever hole is a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vehicle forme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et by the user.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멈춤부재는 상기 레버 홀에 걸림 가능토록 걸림 볼과,The stop member and the locking ball to be caught in the lever hole, 상기 걸림 볼이 상기 레버 홀에 위치할 시 상기 걸림 볼을 밀어주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의 트렁크 개폐장치.And a resilient member for pushing the locking ball when the locking ball is located in the lever hole. 삭제delete
KR1020080069252A 2008-07-16 2008-07-16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KR100969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52A KR100969450B1 (en) 2008-07-16 2008-07-16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252A KR100969450B1 (en) 2008-07-16 2008-07-16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70A KR20100008670A (en) 2010-01-26
KR100969450B1 true KR100969450B1 (en) 2010-07-14

Family

ID=4181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252A KR100969450B1 (en) 2008-07-16 2008-07-16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3976B (en) * 2020-04-27 2022-01-18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Automobile-used tail door lock and c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209U (en)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Vehicle switchgear
KR200213844Y1 (en) * 1997-12-19 2001-03-02 정몽규 Door opening device when opening the trunk
KR20020013844A (en) * 1999-03-30 2002-02-21 히가시 데쓰로 Plasma treatment device, its maintenance method and its install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209U (en) * 1996-11-29 1998-08-17 박병재 Vehicle switchgear
KR200213844Y1 (en) * 1997-12-19 2001-03-02 정몽규 Door opening device when opening the trunk
KR20020013844A (en) * 1999-03-30 2002-02-21 히가시 데쓰로 Plasma treatment device, its maintenance method and its install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670A (en)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0709B (en) Handle for vehicle door
US6789825B2 (en) Latch mechanism
US20170159333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US11391073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WO2009036419A3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JP2012087473A (en) Door handle device of vehicle
US10920463B2 (en) Side door occupant latch with manual release and power lock
KR100969450B1 (en) trunk switchgear of vehicles
KR101716814B1 (en) Wing loading area or gate opener of freight vehicles using electromagnetic force
WO2014195928A1 (en) Inside door handle with locking function using single cable
JP2006297968A (en) Locking device for bicycle parking machine
JP3635290B2 (en) Car tailgate latch
KR20170019540A (en) Locking structure of door-latch for vehicle
KR20100134474A (en) Locking device of glove box
KR20060004177A (en) Hood latch of automobile
JP2004238972A (en) Latch-bolt lock
KR101240179B1 (en) Door latch assembly
CN112177455B (en) Electronic handle for a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KR100387851B1 (en) An automotive open·close device having a pop-up means
KR101024986B1 (en) Latch apparatus for automotive trunk lid
CN114673413A (en) Retractable outside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KR100456947B1 (en) Device having pop up function of Tail gate
JP3721835B2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lid
CN115773039A (en) Latch device for vehicle door
KR20110058597A (en) Reduction apparatus for tail gate latch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