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96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960B1
KR100968960B1 KR1020080120976A KR20080120976A KR100968960B1 KR 100968960 B1 KR100968960 B1 KR 100968960B1 KR 1020080120976 A KR1020080120976 A KR 1020080120976A KR 20080120976 A KR20080120976 A KR 20080120976A KR 100968960 B1 KR100968960 B1 KR 10096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r
mobile terminal
support nod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2367A (en
Inventor
양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2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960B1/en
Publication of KR2010006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화된 GLR을 포함하는 로밍 서비스 구성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ateway location register are disclos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er of a mobile terminal and a gateway location register (GLR) identifier from a home cellular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comprising: Switching station identifier request sending unit for deliver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And an exchanger identifier receiver for receiving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from a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can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n a roaming ser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multiplexed GLR.

로밍, 측위, 위치 측정, Roaming, Location Determination Roaming, Positioning, Location Measurement, Roaming, Location Determination

Description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본 발명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최근 휴대 전화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With the recent widespread use of mobile phones, most people use them.

또한, 교통 수단의 발달로 국경을 넘나들면서 휴대 전화를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하여 로밍(Roaming)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외국으로 휴대 전화를 가지고 나가는 아웃바운드 로밍(Outbound Roaming)뿐 아니라 외국에서 한국으로 휴대폰을 가지고 들어오는 인바운드 로밍(Inbound Roaming)도 이용이 크게 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 case of roaming service is increasing in order to continue to use the mobile phone while crossing the border. In particular, inbound roaming, which takes mobile phones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inbound roaming, which takes mobile phones from Korea to foreign countries, is increasing.

또한, 로밍 서비스를 받는 중에 측위(測位, Location Determination) 서비스도 계속해서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users to continue receiving location location services while receiving roaming services.

최근 로밍 가입자의 증가로 인하여 GLR(Gateway Location Register, 게이트웨이 로케이션 레지스터)의 중요도가 높아짐으로써 GLR을 다중화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로밍 가입자의 측위를 위해서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홈 위치 레지스터)에 등록된 정보만을 이용해서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roaming subscribers, the importance of 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has increased, so GLR is configured as multiplexing. Therefore, in order to locate roaming subscribers, it is registered in HLR (Home Location Regist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performed using only the information obtain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중화된 GLR을 포함하는 로밍 서비스 구성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n a roaming ser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multiplexed GL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 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dentifier and a gateway location register (GLR) of the mobile terminal from a home cellular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and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for deliver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obtained by using a request originating unit,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To extract It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ing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GLR 식별자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 GLR identifier request sender for transmitt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a home location register, a GLR identifier receiver for receiving a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Switching station identifier request originator for transmitting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To receive And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ceiving unit and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 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performed in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oc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from a home cellular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a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forward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and moving the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Receiving an identifier of a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an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a home location register, receiving a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thir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Forwarding the provision request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receiving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ing Of support nodes It may include the step of extra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character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화된 GLR을 포함하는 로밍 서비스 구성에서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in a roaming service configuration including a multiplexed GL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제1 통신망(100) 및 제2 통신망(101)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이하에서 편의상 제1 통신망(100)을 한국의 통신망이라고 가정하고, 제2 통신망(101)을 일본의 통신망이라고 가정하고, 제1 통신망(1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a communication network in Kore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is assumed to be a communication network in Japan,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즉, 인바운드 로밍(Inbound Roaming)된 단말은 원래 일본의 제2 통신망(101)에 속하는 단말로, 로밍 절차를 거쳐 한국의 제1 통신망(100)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을 말한다.That is, the inbound roaming terminal is a terminal originally belong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in Japan, and refers to a terminal receiving a servic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Korea through a roaming procedure.

아웃바운드 로밍(Outbound Roaming)된 단말은 원래 한국의 제1 통신망(100) 에 속하는 단말로, 로밍 절차를 거쳐 일본의 제2 통신망(101)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는 단말을 말한다.The outbound roaming terminal is a terminal originally belong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Korea, and refers to a terminal receiving a service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in Japan through a roaming procedure.

제1 통신망(100)은 GMLC(110, 게이트웨이 이동 위치 센터,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HLR(120, 홈 위치 레지스터, Home Location Register), GLR(130,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Gateway Location Register), MSC(이동 교환국, Mobile switching center)/SGSN(패킷 교환 지원 노드, Serving GPRS Support Node)(140) 및 PG(150, 위치 게이트웨이, Positioning Gateway)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include a GMLC 110, a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an HLR 120, a home location register, a GLR 130, a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an MSC. Mobile switching center) / SGSN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140 and PG 150 (positioning gateway).

GMLC(110)는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HLR(120) 및 GLR(130)을 조회하여 MSC/SGSN(140)의 식별자 얻어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GMLC(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GMLC 110 receives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nquires the HLR 120 and the GLR 130 to obtain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and extract the location informa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MLC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HLR(120)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이동 단말이 위치한 MSC/SGSN(140)의 식별자 또는 GLR(130)의 식별자를 반환한다. HLR(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HLR 120 receives the mobile station's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return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or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L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GLR(130)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아 이동 단말이 위치한 MSC/SGSN(140)의 식별자를 반환한다. GLR(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GLR 130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returns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LR 1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MSC/SGSN(140)은 이동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통신망(100)에 MSC가 포함될 수도 있고, SGSN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MSC와 SGSN 모두가 포함될 수도 있다.The MSC / SGSN 140 manages the mo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SC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SGSN may be included, or both the MSC and SGSN may be included.

이하에서 MSC/SGSN 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경우 실제 구현되는 시스템에서는 MSC 만을 포함하거나, SGSN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MSC 및 SGSN을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case, when the expression MSC / SGSN is used, the actual system may include only MSC, only SGSN, or both MSC and SGSN.

MSC는 고정망과 연동하여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를 말한다. 이동 통신망과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이동 전화 교환국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자동 시스템이다. 부가적 기능으로는 이동 전화 가입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항상 이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장소가 바뀌더라도 통신 서비스를 지속시켜 주는 통화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MSC refers to an exchange that provides circuit switching services to mobile subscribers in conjunction with a fixed network. An automated system that configures access points for user traffic between a mobile network and a public telephone network, or other mobile switching centers in the same or different mobile networks. Additional features include a call channel hand-off feature that tracks the location of mobile subscribers to provide mobile phone service at all times and to maintain communication services even when locations change.

SGSN은 서비스 지역 내에서 이동국(휴대 전화, PDA 등)과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이다.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가지며,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의 위치 레지스터는 SGSN에 등록된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사용자의 위치 정보(셀,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등), 사용자 프로파일(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MSI) 등을 저장한다. SGSN is a node in charge of data packet delivery with mobile stations (mobile phones, PDAs, etc.) in the service area. It has functions such as packet routing and transmission, mobility management, logical link management, authentication, and charging, and the location register of the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SGSN) is the location information (cell , Visitor location register, etc.), user profile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fication number: IMSI), and the like.

PG(150)는 제2 통신망(101)과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또는 위치 정보를 주고받는 통로 역할을 한다.The PG 150 serves as a path for exchanging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r exchang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제2 통신망(101)은 GMLC(160), HLR(170), MSC/SGSN(180) 및 PG(19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include a GMLC 160, an HLR 170, an MSC / SGSN 180, and a PG 190.

제2 통신망(101)은 제1 통신망(100)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통신망(101)의 각 구성요소는 제1 통신망(100)의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역 할을 할 수 있다. 다만,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내용에 반하지 않는다면 제2 통신망(101)은 제1 통신망(100)과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제2 통신망(101)도 GLR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GLR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b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play a role similar to that of a component of the same name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However,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unless the contents ar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also include a GLR, but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does not include the GLR.

제2 통신망(101)의 PG(190)는 제1 통신망(100)의 PG(150)와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또는 위치 정보를 주고받는다. 제2 통신망(101)의 PG(190)와 제1 통신망(100)의 PG(150) 사이의 통신은 3GPP 규약의 RLP(로밍 위치 등록 프로토콜, Roaming Location register protocol) 또는 기타 약속된 프로토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통신망(101)의 PG(190)와 제1 통신망(100)의 PG(15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사항을 만족하는 프로토콜이어야 한다.The PG 19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exchange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or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PG 15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Communication between the PG 19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nd the PG 15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performed by a Roaming Location Register protocol (RPL) or other promised protocol of 3GPP protocol. Can be. However,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PG 19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nd the PG 15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should be a protocol satisfying the following matters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이하에서 편의상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와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사이의 PG(150,19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두 GMLC(110, 160)가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the description of the PGs 150 and 190 between the GMLC 1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will be omitted, and the two GMLCs 110 and 160 communicate directly. Explain.

이하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2 to 4,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inbound roaming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2 is a call processing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210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이동 단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 제2 통신 망(101)에 속하는 것이고, 제1 통신망(100)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단말이다.In step S210,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200 originally belong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nd is a terminal inbound roamed into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단계 S210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의 사용자가 위치 정보 제공 메뉴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In step S210,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a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select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nu.

이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되었지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위치 확인을 하려는 경우 웹 사이트나 기타 관리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편의상 이동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but 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location on the web site,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may be delivered from the web site or other management devi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이 실시 예에서 이동 단말(200)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직접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제1 통신망(100)과 제2 통신망(101) 간의 매개 장치를 통해서 통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PG(150, 190)를 통해서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도 있고,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다른 장치를 통해서 전달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s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in practic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n intermediary device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Done. For example, it may be assumed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PGs 150 and 190, or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other device having a similar role.

단계 S220에서 제2 통신망(101)이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In operation S220,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ransmits a request for provi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MLC 1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단계 S210 및 단계 S220에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제2 통신망(101)을 통해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전달된다. 이러한 전달을 위해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나 PG(190)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step S210 and step S220, the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GMLC 1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For this transfer, the GMLC 160 or the PG 19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be used.

상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MSID, IMSI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which may be one or more of MSID and IMSI)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 GLR identifier managing an MSC / SGSN identifi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GLR 식별자는 이동 단말(200)의 로밍 등록 시에, 또는 그 뒤에 변경이 있다면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전달되며, 제2 통신망(101)은 이동 단말(200)에 대응하는 GLR 식별자를 보관하고 있다가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발송할 때 이를 포함해서 전송한다.The GLR identifier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t the time of roaming regist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if there is a change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he GL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200 is stored and transmitted when the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제1 통신 시스템(100)에 GLR(130)은 복수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GLR 식별자를 GLR(130)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GLR(130)이 단수인 경우 GLR 식별자는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 식별자를 GLR(130)이 관리한다는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GLRs 130 in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100, in which case the GLR identifiers may be used to identify the GLRs 130. When the GLR 130 is singular, the GLR identifier may be used as information that the GLR 130 manages the MSC / SGSN identifi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단계 S230에서 GMLC(110)가 수신한 GLR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In operation S230,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GLR 130 corresponding to the GLR identifier received by the GMLC 110.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단계 S240에서 GLR(130)은 위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MSC/SGSN 식별자를 추출하여 GMLC(110)에 전송한다.In step S240, the GLR 130 extracts the MSC / SGS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it to the GMLC 110.

이동 단말(200)의 이동으로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이 변경되는 경우 그 정보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GLR(13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GLR(130)은 현재 이동 단말(200)이 위치하는 MSC/SGSN(14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를 GMLC(110)에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MSC / SGS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GLR 13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so that the GLR 130 is currently in the mobile terminal.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where the 200 is located may be stored and transmitted to the GMLC 110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단계 S250 내지 단계 S270에서 MSC/SGSN(140) 식별자를 전달받은 GMLC(110)는 이 MSC/SGSN(140) 식별자를 이용해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GMLC 110, which has received the MSC / SGSN 140 identifier in steps S250 to S270, may extrac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using the MSC / SGSN 140 identifier.

단계 S250에서 GMLC(110)는 전달받은 MSC/SGSN(140) 식별자에 상응하는 MSC/SGSN(14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step S250 GMLC 110 transmits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MSC / SGSN 140 corresponding to the MSC / SGSN 140 identifier received.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단계 S260에서 MSC/SGSN(140)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In step S260, the MSC / SGSN 14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추출 방법은 네트워크 방식과 단말기 방식,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등 여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의 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 방식은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이나 시간 등을 이용하여 망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나 정확도가 좀 떨어진다. GPS를 사용하는 단말기 방식은 단말기에 GPS 모듈을 내장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방식에 비해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지만, 부품 비용이 비싸고, 빌딩 내부 및 지하에서는 GPS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은 각각의 단점을 어느 정도 개선한다. 네트워크 방식으로는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서비스 셀 ID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Cell ID, Cell ID 방식에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 정보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개선한 Enhanced Cell ID,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3개의 기지국에서 신호 수신 각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AOA (Angle Of Arrival), 한 개의 기지국과 2개의 주변 기지국들 사이의 신호 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는 TOA (Time Of Arrival), 기지국 신호를 기준으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지연을 측정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등이 있다. 단말기 방식으로는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 정보를 단말기가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 GPS (Assisted-GPS),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등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으로는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파를 보내 다시 이 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E-OTD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가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a network method, a terminal method, and a hybrid method of these. In the network method using a channel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method and accuracy of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network using the direction and time of a signal from the terminal are somewhat inferior. In the terminal method using GPS, the GPS module is embedded in the terminal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oweve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track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compared to the network method. . Hybrid approaches alleviate some of the shortcomings. In the network method, Cell ID for identifying the user's location through the service cell ID of the base station to which the user belongs, Receive Enhanced Cell ID and the signal of the terminal by adding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o the Cell ID method. Angle of Arrival (AOA) using the difference in signal reception angles at one of three base stations, Time of Arrival (TOA) using the difference in signal arrival time between one base station and two neighboring base stations,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signal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for measuring the signal delay of the base stations. In the terminal method, A-GPS (Assisted-GPS) that the terminal reads the position information sent from the satellite and informs the base station, and DGPS (Differential GPS) corrects the error of the posi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atellite by receiving a correction signal from a reference receiver on the ground. ). The hybrid method includes E-OTD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which transmits a radio wave from two or more base stations to a terminal to measure a difference in time when the radio wave returns.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될 때마다 측위를 수행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측위를 수행하고,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이미 측위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received, the positioning may be performed, the positioning may be periodically performed, and when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already-loc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단계 S270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GMLC(110)로 전달된다.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위도, 경도 정보 또는 주소 정보 등이 될 수 있다.In step S27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extracted in the above manner is transferred to the GMLC 1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latitude, longitude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단계 S280에서 GMLC(110)는 전달받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제2 통신망(101)에 전달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를 요청한 다른 장치나 이동 단말(200)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In step S280 GMLC 110 transfer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2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or the mobile terminal 200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도 2의 실시 예에서 단계 S250 내지 단계 S270의 과정이 수행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의 위치 정보 자체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MSC/SGSN(140)의 위치 정보는 GMLC(110)가 직접 저장하고 있거나 다른 서버에 저장해 두고 조회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 단말(110)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이동 교환국의 범위에 해당하는 대략적인 정보가 되지만 측위 절차는 크게 간결해 진다.Although the process of steps S250 to S270 is perform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location information itself of the MSC / SGSN 140 may be extracted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SC / SGSN 140 should be directly stored by the GMLC 110 or stored in another server and inquired.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10 provided to the user becomes an approximate information whose error corresponds to the range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but the positioning procedure is greatly simplified.

단계 S290에서 제2 통신망(101)은 전달받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를 요청한 이동 단말(2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사용자는 현재 이동 단말(200)의 위치를 주소 또는 지도 화면 등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통신망(101)은 단계 S280에서 획득한 위치 정보를 웹 또는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S290,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mobile terminal 200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s an address or a map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S280 to the web or another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과정은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방문 셀룰러 시스템(Visited Cellular System)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과정이다.3 is a proces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200 inbound roamed from a home cellular system to a visited cellular system.

홈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 단말(200)이 원래 속하는 통신망으로, 도 2의 제2 통신망(101)이 여기에 해당하며, 방문 셀룰러 시스템은 현재 이동 단말이 속하는 통신망으로 도 2의 제1 통신망(100)이 여기에 해당한다.The home cellular system is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originally belong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of FIG. 2 corresponds to this, and the visited cellular system is a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currently belongs, and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of FIG. 2. This is the case here.

도 3의 과정은 위치 정보 제공 장치, 예를 들어 GMLC(1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3 may be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GMLC 110.

이하 편의상 도 3의 과정이 GMLC(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it is assumed that the process of FIG. 3 is performed by the GMLC 110.

단계 S310에서 GMLC(110)는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In step S310 GMLC 110 receives a request to provid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cellular system.

홈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 단말(200)이나 웹 서비스,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고 이에 따라 GMLC(100)에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The home cellular system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 web service, or other device, and thus transmit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GMLC 100.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 및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저장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n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stor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GLR(130)의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HLR(120)을 참조하여 MSC/SGSN(140)식별자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MSC/SGSN(140)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면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은 생략된다.Wh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does not include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e MSC / SGSN 140 identifier may be extracted with reference to the HLR 120. I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has the MSC / SGSN 140 identifier, steps S320 to S330 are omitted.

상기 GLR(130)의 식별자는 이동 단말(200)의 로밍 등록 시, 또는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에 전달되고 그 정보를 반영하여 제2 통신망(101)은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저장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유지한다.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t the time of roaming regist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or when there is a change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and reflects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stores the MSC / SGSN 140 identifier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s maintained.

단계 S320에서 상기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operation S320,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GLR 13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단계 S330에서 상기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수신한다.In step S330, the MSC / SGSN 140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s received from the GLR 130.

단계 S340에서 상기 MSC/SGSN(14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MSC/SGSN(14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operation S34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MSC / SGSN 14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단계 S350에서 MSC/SGSN(140)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MSC/SGSN(14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네트워크 방식, 단말기 방 식, 하이브리드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In step S35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received from the MSC / SGSN 140. The MSC / SGSN 14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using a network method, a terminal method, a hybrid method, and the lik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3의 실시 예에서 MSC/SGSN(140)이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의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MSC/SGSN(140)의 관리 범위에 해당하는 큰 오차범위를 가지지만, 측위 과정은 매우 간결해진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MSC / SGSN 14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SC / SGSN 140 is extracted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Can be.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has a large error range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range of the MSC / SGSN 140, but the positioning process becomes very concise.

단계 S360에서 홈 셀룰러 시스템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홈 셀룰러 시스템은 이동 단말(200) 또는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형식 또는 주소 형식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step S36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the home cellular system. The home cellular system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other device, and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in a map format, a coordinate format, or an address format.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GMLC(110)는 직접 이동 단말(200)이나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GMLC 110 may directl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other devi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400)의 블록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장치는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방문 셀룰러 시스템(Visited Cellular System)으로 인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이다.4 is a devi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200 inbound roamed from a home cellular system to a visited cellular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제공 장치(40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410),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420),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430), 위치 정보 추출부(440) 및 위치 정보 발신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er 410,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quest transmitter 420,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ceiving unit 430,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440, and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or. The bride 470 may be included.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410)는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 및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 식별자를 저장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ing unit 410 receives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from a home cellular system.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n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stor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A description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420)는 상기 GLR(13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The exchange identifier identifier originator 420 forward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sion request to the GLR 130.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 description of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430)는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200)이 위치한 MSC/SGSN(14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The switching center identifier receiving unit 430 receives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from the GLR 130.

위치 정보 추출부(440)는 상기 MSC/SGSN(14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44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using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40.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추출부(44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440) 및 위치 정보 수신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440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sender 440 and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60.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440)는 상기 MSC/SGSN(14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2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sender 440 transmits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MSC / SGSN 14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MSC/SGSN(140)는 네트워크 방식, 단말기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 등을 이용해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 다.Upon receiving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he MSC / SGSN 14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using a network method, a terminal method, or a hybrid method.

위치 정보 수신부(460)는 MSC/SGSN(140)로부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6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SC / SGSN 140.

도 4의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40)의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MSC/SGSN(140)의 관리 범위에 해당하는 큰 오차범위를 가지지만 측위 과정은 간결해진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the MSC / SGSN 140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SC / SGSN 140 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Can be extracted.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has a large error range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range of the MSC / SGSN 140, but the positioning process is simplified.

위치 정보 발신부(470)는 추출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홈 셀룰러 시스템이나 이동 단말(200) 또는 기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r 470 may transmit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home cellular system, the mobile terminal 200, or another device.

이하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500 outbound roaming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5 is a call processing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510에서 이동 단말(500)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In operation S510, a request for provi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GMLC 1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실시 예에 따라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웹 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may be delivered from a web site or another device.

요금부과, 인증, 측위 명령을 담당하는 서버가 이동 단말(500)과 GMLC(110)사이의 통신을 매개할 수 있다.A server in charge of charging, authentication, and positioning commands may 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500 and the GMLC 110.

단계 S520에서 GMLC(110)는 HLR(12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In step S520, the GMLC 110 transmits a request for provid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HLR 120.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HLR(120)은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결정되어 HLR(120)에 저장된다.The HLR 120 stores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outbound roaming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is determined when the mobile terminal 500 roams and is stored in the HLR 120.

여기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은 제2 통신망(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SC/SGSN(180)를 말한다.The MSC / SGSN 18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refers to the MSC / SGSN 180 that i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nd manages mobility of the outbound roaming mobile terminal 500.

단계 S525에서 HLR(120)으로부터 GMLC(110)에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가 전달된다.In step S525,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is transferred from the HLR 120 to the GMLC 110.

단계 S530에서 GMLC(110)로부터 상기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이 전달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step S53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GMLC 110 to the GLR 13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단계 S535에서 GLR(130)은 GMLC(110)에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의 식별자를 전달한다.In step S535, the GLR 130 deliver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GMLC 110.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그리고 이동에 의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LR(130)에 전달된다. GLR(130)은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를 제공한다.The MSC / SGSN 180 identifier information that manages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determin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500 is roaming registered and when there is a change due to movement. It is delivered to the GLR 130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GLR 130 stores this information and provides MSC / SGSN 180 identifier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단계 S540에서 제1 통신망(100)의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In operation S540, the GMLC 1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ransmits a request for providing fourth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와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our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and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두 GMLC(110, 160) 간의 통신은 PG(150, 190)를 통해서 RL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MLCs 110 and 160 may be performed using the RLP through the PGs 150 and 190.

단계 S550에서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는 수신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MSC/SGSN(180)에 제5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In step S550,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ransmits a request for providing fifth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SC / SGSN 18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received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do.

제5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if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단계 S560에서 MSC/SGSN(180)은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추출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S26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방식, 단말기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 등의 방식으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을 때마다 측위가 수행될 수도 있고, 측위는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받을 경우 이전에 측위된 정보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step S560, the MSC / SGSN 18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the proces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step S260 with reference to FIG. 2.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is extracted by a network method, a terminal method, or a hybrid method.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may be performed, or the location may be periodically performed, and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previously-located informa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80) 또는 GMLC(110)는 MSC/SGSN(180)의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의 오차 범위는 넓어지지만 측위 과정은 간단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MSC / SGSN 180 or the GMLC 110 may extra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SC / SGSN 180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In this case, the error ran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is widened, but the positioning process is simplified.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좌표 정보, 주소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provided in a manner such as coordinate information and an address.

단계 S570에서 MSC/SGSN(180)은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전달한다.In step S570, the MSC / SGSN 18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단계 S580에서 제2 통신망(101)의 GMLC(160)는 제1 통신망(100)의 GMLC(110)에 이동 단말(500)의 MSC/SGSN(18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In step S580,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SC / SGSN 180 of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GMLC 110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단계 S590에서 GMLC(110)는 이동 단말(500)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방식 또는 주소의 형태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step S590, the GMLC 1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mobile terminal 500. Accordingly,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in the form of a map, a coordinate method, or an address.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GMLC(110)는 웹 사이트 또는 다른 장치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GMLC 110 may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o a website or another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와 같이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process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500 outbound roam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s shown in FIG. 5.

도 6의 과정은 예를 들어 GMLC(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process of FIG. 6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GMLC 110.

이하 도 6의 과정이 GMLC(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process of FIG. 6 is performed in the GMLC 100.

단계 S610에서 GMLC(110)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In step S610, the GMLC 110 receives a request for provi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 웹사이트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500, a website, or another device.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단계 S620에서 GMLC(120)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HLR(120)에 전달한다.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step S620, the GMLC 120 transmits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HLR 120.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HLR(120)은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결정되어 HLR(120)에 저장된다.The HLR 120 stores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outbound roaming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is determined when the mobile terminal 500 roams and is stored in the HLR 120.

여기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은 제2 통신망(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SC/SGSN(180)를 말한다.The MSC / SGSN 18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refers to the MSC / SGSN 180 that i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nd manages mobility of the outbound roaming mobile terminal 500.

단계 S630에서 GMLC(110)는 HLR(120)으로부터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In step S630, the GMLC 110 receives an identifier of the GLR 130 managing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from the HLR 120.

단계 S640에서 GMLC(110)는 상기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In step S640, the GMLC 110 transmits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GLR 13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단계 S650에서 GMLC(110)는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In step S650 GMLC 110 receiv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that manages the mobile terminal 500 from the GLR (130).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그리고 이동에 의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LR(130)에 전달된다. GLR(130)은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를 제공한다.The MSC / SGSN 180 identifier information that manages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determin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500 is roaming registered and when there is a change due to movement. It is delivered to the GLR 130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GLR 130 stores this information and provides MSC / SGSN 180 identifier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단계 S660에서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In step S660, the GMLC 110 transmits a request for providing fourth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For example, the GMLC 110 may transmit a request for providing fourth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와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our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and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두 GMLC(110, 160) 간의 통신은 PG(150, 190)를 통해서 RL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MLCs 110 and 160 may be performed using the RLP through the PGs 150 and 190.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제2 통신망(101)은 도 5의 S550 내지 S570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좌표 형식 또는 주소 형식 등이 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hat receives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fourth location information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hrough a process such as S550 to S570 of FIG. 5.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in a coordinate format or an address format.

단계 S670에서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In step S670, the GMLC 11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도 6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S660내지 S670에서 MSC/SGSN(180)이 위치 정 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80)의 위치 정보가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큰 정보가 되지만 측위 과정은 간결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 the MSC / SGSN 180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steps S660 to S670,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SC / SGSN 180 is extract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Can be.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becomes a large error information, but the positioning process is concise.

단계 S680에서 GMLC(110)는 이동 단말(500), 웹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방식 또는 주소의 형태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operation S680, the GMLC 110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mobile terminal 500, a website, or another device, and the user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map format, a coordinate method, or an address. hav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장치(700)의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제1 통신망(100)으로부터 제2 통신망(101)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500 outbound roaming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s shown in FIG. 5 or FIG.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70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710),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720), GLR 식별자 수신부(730),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740),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750), 위치 정보 추출부(760) 및 위치 정보 발신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apparatus 700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er 710, a GLR identifier request transmitter 720, a GLR identifier receiver 730, and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quest. It may include a transmitter 740, 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ceiver 750,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760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r 790.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710)는 이동 단말(500), 웹 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로부터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ing unit 710 receiv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500, a web site, or another device.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720)는 HLR(120)에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 한다.The GLR identifier request sender 720 transmits a request for provid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HLR 120.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HLR(120)은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다.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결정되어 HLR(120)에 저장된다.The HLR 120 stores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outbound roaming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The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is determined when the mobile terminal 500 roams and is stored in the HLR 120.

여기서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은 제2 통신망(101)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웃바운드 로밍된 이동 단말(5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SC/SGSN(180)를 말한다.The MSC / SGSN 180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refers to the MSC / SGSN 180 that is includ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and manages mobility of the outbound roaming mobile terminal 500.

GLR 식별자 수신부(730)는 HLR(120)로부터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관리하는 GLR(13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The GLR identifier receiver 730 receives an identifier of the GLR 130 that manages the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from the HLR 120.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740)는 GLR(130)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GLR(130)에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switching center identifier request sender 740 transmits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GLR 13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GLR 130.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750)는 GLR(130)로부터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The switching center identifier receiving unit 750 receives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that manages the mobile terminal 500 from the GLR 130.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는 이동 단말(500)이 로밍 등록될 때, 그리고 이동에 의하여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제1 통신망(100)의 GLR(130)에 전달된다. GLR(130)은 이 정보를 저장하고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500)을 관리하 는 MSC/SGSN(180) 식별자 정보를 제공한다.The MSC / SGSN 180 identifier information that manages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determined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when the mobile terminal 500 is roaming registered and when there is a change due to movement. It is delivered to the GLR 130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The GLR 130 stores thi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MSC / SGSN 180 identifier information for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위치 정보 추출부(760)는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760 extra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도 7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추출부(760)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770) 및 위치 정보 수신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760 may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sender 770 and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780.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770)는 제2 통신망(101)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GMLC(110)는 제2 통신망(101)의 GMLC(160)에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ransmitter 770 transmits a four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to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For example, the GMLC 110 may transmit a request for providing fourth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MLC 160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은 이동 단말(500)의 식별자와 이동 단말(500)이 위치한 MSC/SGSN(18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The four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es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500 and an identifier of the MSC / SGSN 180 where the mobile terminal 500 is located.

두 GMLC(110, 160) 간의 통신은 PG(150, 190)를 통해서 RLP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MLCs 110 and 160 may be performed using the RLP through the PGs 150 and 190.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제2 통신망(101)은 도 5의 S550 내지 S570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좌표 형식 또는 주소 형식 등이 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that receives the request for providing the fourth location information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hrough a process such as S550 to S570 of FIG. 5.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may be in a coordinate format or an address format.

위치 정보 수신부(780)는 제2 통신망(101)으로부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78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도 7의 실시 예에 따르면 MSC/SGSN(180)이 위치 정보를 추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추출부(760)는 MSC/SGSN(180)의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는 오차가 큰 정보가 되지만 측위 과정은 간결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the MSC / SGSN 180 extracts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or 760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SC / SGSN 180 to locate the mobile terminal 500. It can be extracted as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becomes a large error information, but the positioning process is concise.

위치 정보 발신부(790)는 이동 단말(500), 웹사이트 또는 기타 장치에 이동 단말(50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지도 형식, 좌표 방식 또는 주소의 형태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r 79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500 to the mobile terminal 500, a website, or other device, and the user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 map format, a coordinate method, or an address. hav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includes." Or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adding these in adva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또한, 도 4 또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반드시 하드웨어 구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일부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은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or 7 do not necessarily have a hardware configuration, and som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combined or separat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실시 예 외의 많은 실시 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therefore,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의 망 구성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2 is a call processing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400)의 블록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의 호 처리도이다.5 is a call processing diagram of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위치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제공 장치(700)의 블록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1 통신망100: first network

101: 제2 통신망101: second network

110: 제1 통신망(100)의 GMLC(게이트웨이 이동 위치 센터,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110: GMLC (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120: 제1 통신망(100)의 HLR(홈 위치 레지스터, Home Location Register)120: HLR (Home Location Regis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130: 제1 통신망(100)의 GLR(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Gateway Location Register)130: 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140: 제1 통신망(100)의 MSC(이동 교환국, Mobile switching center)//SGSN(패킷 교환 지원 노드, Serving GPRS Support Node)140: MSC (Mobile switching center) // SGSN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150: 제1 통신망(100)의 PG(위치 게이트웨이, Positioning Gateway)150: PG (positioning gateway) of the first communication network 100

160: 제2 통신망(101)의 GMLC160: GMLC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170: 제2 통신망(101)의 HLR170: HLR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180: 제2 통신망(101)의 MSC/SGSN180: MSC / SGS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190: 제2 통신망(101)의 PG190: PG of the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101

Claims (12)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Home Cellular System)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GLR, Gateway Location Register)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ing unit receiv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a mobile terminal and a gateway location register (GLR) identifier from a home cellular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quest sender which forwards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station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And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And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 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 및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sender which forwards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And 상기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And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that has received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the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the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위치 정보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performed by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상기 이동 단말의 홈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from a home cellular system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 계; Transmitt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이 위치한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Receiving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where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And 상기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한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that has received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corresponding to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로밍(Roaming)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수신부;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receiving unit receiving a fir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GLR 식별자 요청 발신부;A GLR identifier reque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GLR 식별자 수신부;A GLR identifier receiver for receiving a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교환국 식별자 요청 발신부;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quest sender which transmits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교환국 식별자 수신부; 및An exchange station identifier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And a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위치 정보 제공 요청 발신부; 및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sender which forwards a four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to a visited cellular system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And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a visited cellular system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위치 정보 추출부는,The loc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the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the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roaming mobile terminal perform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request for providing firs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Delivering a seco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home location register;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를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a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 식별자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에 전달하는 단계;Forwarding a third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to a gateway location register corresponding to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identifier; 상기 게이트웨이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an identifier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gateway location register; And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에 상기 이동 단말의 식별자 및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4 위치 정보 제공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Forwarding a fourth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request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terminal and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to a visited cellular system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And 상기 이동 단말을 관리하는 방문 셀룰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a visited cellular system managing the mobile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ed support node, 상기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식별자에 상응하는 이동 교환국 또는 패킷 교환 지원 노드의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로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제공 방법.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corresponding to an identifier of the mobile switching center or a packet switching support node a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080120976A 2008-12-02 2008-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KR100968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976A KR100968960B1 (en) 2008-12-02 2008-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976A KR100968960B1 (en) 2008-12-02 2008-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367A KR20100062367A (en) 2010-06-10
KR100968960B1 true KR100968960B1 (en) 2010-07-14

Family

ID=4236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976A KR100968960B1 (en) 2008-12-02 2008-12-02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9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163A (en) * 2004-01-31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locating mobile terminals
KR20060036164A (en)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roaming overseas
KR100766605B1 (en) 2006-05-24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system between roaming service platforms
KR100775536B1 (en) 2006-06-09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roaming gatew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163A (en) * 2004-01-31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locating mobile terminals
KR20060036164A (en) * 2004-10-25 2006-04-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of locating a mobile terminal roaming overseas
KR100766605B1 (en) 2006-05-24 2007-10-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system between roaming service platforms
KR100775536B1 (en) 2006-06-09 2007-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roaming gate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367A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6150C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KR100545351B1 (en) Location Tracking Method in Dual Stack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2620249C (en) Two stage mobile device geographic location determination
CN101232700B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usiness
US8744409B2 (en) Lo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user plane location enabled terminal
JP2007518327A (en)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visited network
JP2010288162A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server device and radio base station
KR20100024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location services for a roaming mobile station
EP1617603B1 (en) Location based servic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201002734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Positioning Operations
KR201300698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ntifying mobile stations associated with a geographical area
WO2010127589A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51977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d assistant locating in PHS network
KR1007666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system between roaming service platforms
KR1009689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ateway Location Register
CN101651705A (en) Method and device for negotiating positioning capability
KR2006002851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lo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34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the lbs(location based service) roaming
KR2007006628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gray area
KR2010006052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unregistered in visitor location register
KR1007544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specific location by using icon
EP1141742A1 (en) Locating system for mobile stations
KR1011403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Transmission Condition Sett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20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th service
KR101383609B1 (en) Method for Collecting Location Factor in Build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