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442B1 -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442B1
KR100967442B1 KR1020070124886A KR20070124886A KR100967442B1 KR 100967442 B1 KR100967442 B1 KR 100967442B1 KR 1020070124886 A KR1020070124886 A KR 1020070124886A KR 20070124886 A KR20070124886 A KR 20070124886A KR 100967442 B1 KR100967442 B1 KR 10096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enerated
attribute
servic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208A (ko
Inventor
박대연
김병범
김기범
박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맥스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7012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442B1/ko
Priority to PCT/KR2008/007164 priority patent/WO2009072818A2/en
Publication of KR2009005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involving significant data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고, 상품 속성과 상품 롤의 조합을 통해 상품을 정의하여 상품 개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상품 모델링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은, 상품의 개발, 출시 및 관리를 자동화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품 구조, 상품 속성 및 상품에 종속되어 상품을 구성하는 서비스 등 상품에 대한 정형정보를 저장하는 정형정보 저장부와, 사업영역, 상품 그룹, 상품/서비스, 상품 속성의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정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형정보와 상기 비정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정형정보를 저의/조합하여 상품을 모델링하는 상품 모델링부와, 상기 비정형정보의 소스를 생성하는 룰 엔진, 및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 관리되는 상품 정보를 업무 처리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디플로이(Deploy) 매니저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Description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Total Product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 상품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고,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의 조합을 통해 상품을 정의하여 상품 개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극대화하며, 트리 형태의 직관적인 상품 계층 구조와 상품 모델링 환경 및 고성능 아키텍쳐를 제공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상품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 상품 모델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고객과 시장의 요구 사항에 따라 보험 상품, 금융 상품 등의 상품 및 서비스의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고,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비즈니스의 핵심적인 성공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복잡하고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신속하게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개발 및 관리와 관련된 전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상품 개발 및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최근 금융권에서는 종래의 단순한 상품 개발 또는 관리 시스템에서 벗어나 통합적으로 상품을 관리하고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인 프로덕트 팩토리(Product Factory) 시스템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프로덕트 팩토리 시스템이란 다양한 신규 상품 및 복합 상품의 개발과 출시, 관리를 모두 자동화하여 상품 관련 비즈니스를 생산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게 해주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으로서,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금융기관 사이의 업무 장벽 없이 경쟁적으로 신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면서 은행권은 물론 증권, 보험사들도 모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프로덕트 팩토리 시스템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 변화에서 비교경쟁우위의 중심에 위치하여 차세대 시스템 구현 시 필수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최근 보험사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 제안 요청에 프로덕트 팩토리 시스템이 포함된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은행권뿐만 아니라 보험 분야에서도 프로덕트 팩토리 시스템의 사용이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프로덕트 팩토리 시스템은 프로그래밍 방식, 파라미터 방식, 비즈니스 룰 방식 순으로 발전해 왔다.
프로그래밍 방식은 기존에 일반적인 회사에서 채택하고 있던 상품 개발 시스템으로 상품 속성 및 룰 요소를 직접 프로그래밍하는 방식이며, 고객사 업무 및 상품 구조에 비즈 로직(biz logic)의 최적화가 쉽다는 것이 특징이나, 상품/시스템 별로 상품 관련 비즈 로직이 중복되며, 상품 정보의 일관성 유지가 어려우며, IT 운영 효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프로그래밍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개발된 파라미터 방식은, 정형적인 상 품 정보를 구조화한 방식으로서, 파라미터 값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상품 속성 및 룰 파라미터 값의 변경에 대해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다양한 상품 유형을 수용할 수 있는 DB 설계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요구되며, DB 변경에 따른 시스템 영향의 범위가 클 뿐만 아니라, 기존 상품 범주를 벗어나지 못해 상품 정보의 확장성이 제약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근간에 제안된 비즈니스 룰 방식은 비정형 상품 정보를 룰(Rule)화한 것으로서, 룰 기반으로 상품을 관리하기 때문에 상품 변경의 유연성 및 유지 보수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식이기는 하나, 상품 형상 관리가 어렵고, 상품 정의를 위한 속성이나 서비스 등의 개념 지원이 없고, UI 편의 기능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다양한 상품 처리 로직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즈니스 룰 방식은 기존 사업의 산출물을 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전사적인 상품 개발과 변경, 조합의 표준화에는 한계가 있고, 성능 면에서도 우려가 있는 편이다.
따라서 파라미터 방식과 룰 엔진 기반 방식의 장점을 취하면서, 상품 개발 속도를 보다 높이고, 시스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프로덕트 팩토리 시스템의 제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상품 관리 시스템들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면서, 상품 개발과 관리를 목표로 최적화된 아키텍쳐를 갖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상품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사적으로 일관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고,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의 조합을 통해 상품을 정의하여 상품 개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극대화하며, 트리 형태의 직관적인 상품 계층 구조와 상품 모델링 환경 및 고성능 아키텍쳐를 제공하여 편리하고 신속한 상품 개발이 가능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상품 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편리한 UI 제공 및 객체 지향 개념으로 상품 정의의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품 룰 및 메타 기반 상품 변경 시 프로그램 수정 없이 시스템에 즉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며, 상품 정보를 메모리에 적재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고성능을 보장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품의 개발, 출시 및 관리를 자동화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품 구조, 상품 속성 및 상품에 종속되어 상품을 구성하는 서비스 등 상품에 대한 정형정보를 저장하는 정형정보 저장부와, 상품 규칙, 조건 규칙, 처리 규칙 등 상품에 대한 규칙을 의미하는 비정형정보(룰: Rule)를 저장하는 비정형정보 저장부와, 사업영역, 상품그룹, 상품/서비스, 상품 속성의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정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형정보와 상기 비정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정형정보를 정의/조합하여 상품을 모델링하는 상품 모델링부와, 상기 비정형정보의 소스를 생성하는 룰 엔진 및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 의해 생성, 관리되는 상품 정보를 업무 처리 시스템에 전달 내지 적용하기 위한 디플로이(Deploy) 매니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품 모델링부는,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여 상품을 생성하는 상품 노드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속성을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의 속성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상속된 속성값의 변경 및 새로운 속성의 추가를 지원하는 상품 속성 지정부와,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함수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함수를 통해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상품에 매핑시키는 함수 지정부와,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서비스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는 서비스 지정부 및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 함수 지정부, 서비스 지정부에서의 각 처리 결과를 상기 생성된 상품 정보로서 저장하는 상품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 노드 생성부는, 상품 노드 생성 요구에 따라, 생성할 상품의 부모 노드명과, 생성할 상품 노드명, 노드 타입을 포함하는 상품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생성할 상품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상품 구조를 저장하는 상품 테이블에 생성할 상품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상기 상품 노드를 생성한다.
삭제
또한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는, 기 정의된 속성들이 저장된 속성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속성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속성을 상기 생성된 상품에 추가하고, 기 정의된 속성 풀에 없는 새로운 속성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속성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속성 테이블에 생성할 속성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는, 기 정의된 속성들이 저장된 속성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속성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속성을 상기 생성된 상품에 추가하고, 기 정의된 속성 풀에 없는 새로운 속성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속성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속성 테이블에 생성할 속성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속성 정보를 저장한다.
삭제
상기 함수 지정부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대해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함수를 상속시켜 해당 상품에 대한 함수를 자동 등록할 수 있다.
삭제
상기 함수 지정부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함수를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에 함수를 자동 등록하고, 기 정의된 함수들이 저장된 함수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함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함수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기 정의된 함수 풀에 없는 새로운 함수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함수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함수 테이블에 생성할 함수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함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지정부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서비스를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에 서비스를 자동 등록하고, 기 정의된 서비스들이 저장된 서비스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기 정의된 서비스 풀에 없는 새로운 서비스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서비스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서비스 테이블에 생성할 서비스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서비스 지정부는, 새로운 서비스 생성 시, 생성된 서비스에 속성을 추가하고,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함수를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함수를 통해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매핑시킨다.
삭제
상기 룰 엔진은, 상기 상품 저장부의 상기 생성된 상품 정보 저장 시, 상기 등록된 함수의 소스 생성 및 컴파일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은, 상품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상품의 개발, 출시 및 관리를 자동화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모델링 방법으로서,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여 상품을 생성하는 상품 노드 생성 단계와,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속성을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의 속성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상속된 속성값의 변경 및 새로운 속성의 추가를 지원하는 상품 속성 지정 단계와,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함수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함수를 통해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상품에 매핑시키는 함수 지정 단계와,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서비스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는 서비스 지정 단계와, 상기 상품 속성 지정 단계, 함수 지정 단계, 서비스 지정 단계에서의 각 처리 결과를 상기 생성된 상품 정보로서 저장하는 상품 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 노드 생성 단계는, 사용자의 상품 노드 생성 요구에 따라, 생성할 상품의 부모 노드명과, 해당 상품 노드명, 노드 타입을 포함하는 상품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상품 구조를 저장하는 상품 테이블에 해당 상품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상품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상품 속성 지정 단계는, 기 정의된 속성들이 저장된 속성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속성이 선택되면, 해당 속성을 상기 상품에 대한 속성으로서 추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속성 지정 단계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속성이 그룹화되어 있는 속성그룹들이 저장된 속성그룹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속성그룹이 선택되면, 해당 속성그룹 내에 포함된 모든 속성을 상기 상품에 대한 속성으로서 추가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속성 지정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속성을 생성하고, 기 정의된 속성들이 저장된 속성 풀(Pool)에 상기 생성된 속성을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속성 지정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속성을 그룹화하여 새로운 속성그룹을 생성하고, 속성그룹들이 저장된 속성그룹 풀(Pool)에 상기 생성된 속성그룹을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수 지정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대해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함수를 상속시켜 해당 상품에 대한 함수를 자동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수 지정 단계는, 기 정의된 함수들이 저장된 함수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함수가 선택되면, 해당 함수를 해당 상품에 사용할 함수로서 등록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함수 지정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함수를 생성하고, 기 정의된 함수들이 저장된 함수 풀(Pool)에 상기 생성된 함수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지정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대해,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 상품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상속시켜 해당 상품을 구성할 서비스를 자동 지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지정 단계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서비스를 생성하고, 기 정의된 서비스들이 저장된 서비스 풀(Pool)에 상기 생성된 서비스를 추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를 추가하는 과정은,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대해 속성을 추가하고,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함수를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대해 등록하며, 해당 함수를 통해 상기 서비스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매핑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상품 저장 단계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된 함수의 소스 생성 및 컴파일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품 속성 지정 단계, 함수 지정 단계, 서비스 지정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상품 모델링 방법에 의하면,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을 통합 관리하기 때문에 전사적으로 일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품 속성과 상품 룰의 조합을 통해 상품을 정의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위 상품의 속성과 룰을 상속받을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품 개발의 유연성 및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리 형태의 직관적인 상품 계층 구조와 상품 모델링 환경 및 고성능 아키텍쳐를 제공하기 때문에 편리하고 신속한 상품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상품 변경이 용이하며 직관적으로 상품의 형상을 표현할 수 있어 관리/운용이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편리한 UI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객체 지향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상품 정의의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고, 상품 룰 및 메타 기반 상품 변경 시 프로그램 수정 없이 시스템에 즉시 반영될 수 있으며, DB 액세스를 최소화하여 고성능이 보장되고, 상품 룰의 소스 생성 방식 채택으로 인해 룰 실행 시 컴파일된 모듈에 대한 메쏘드 호출로 별도의 오버헤드가 발생되지 않아 시스템의 고성능 및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기존 상품 관리 시스템들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면서, 상품 개발과 관리를 목표로 최적화된 아키텍쳐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품 관리의 통합성 및 관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업무의 효율성 및 생산성 증대, 상품/서비스 고도화, 상품관련 시스템의 운영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Total Product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또는 Product Factory)이란 광의적으로 상품 기획, 개발, 판매, 분석이 통합적으로 연계되어 전사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협의적으로는 개발된 상품의 형상을 관리하고, 계약, 입출금, 변경, 해지, 영업 관리, 재무, 자산, 감사 등을 처리하는 업무 시스템에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시스템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UI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품의 형상을 입력받고 상품을 모델링하는 상품 모델링부(110), 상품 구조, 상품 속성, 상품에 종속되어 상품을 구성하는 서비스 등 상품과 관련된 정형적인 정보들을 저장하는 정형정보 저장부(120), 상품 규칙, 조건 규칙, 처리 규칙 등 룰(Rule)로 표현되는 비정형적인 정보들을 저장하는 비정형정보 저장부(130), 비정형정보의 소스를 생성하는 룰 엔진(140) 및 상품 정보를 업무 시스템에 전달 내지 적용하기 위한 디플로이(Deploy) 매니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품 모델링부(110)는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고, 상품의 조건, 범위, 리스트 등의 상품 속성과, 업무 로직의 구조, 계산식, 조건식 등의 룰을 정의/조합하여 상품을 모델링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블록으로서, 상품 노드 생성부(111), 상품 속성 지정부(112), 함수 지정부(113), 서비스 지정부(114), 상품 저장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품 구조는 사업영역, 상품그룹, 상품/서비스, 상품 속성으로 계층화되어 있으며, 먼저 상품그룹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상품 속성과 룰을 정의하고 이를 조합함으로써 상품을 구성한다.
상품 노드 생성부(111)는 상품 노드 생성 요구에 따라,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는 블록으로서,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명과, 해당 상품 노드명, 노드 타입 등을 포함하는 상품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상품 구조를 저장하는 상품 테이블에 해당 상품에 대한 열을 추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품 테이블은 상품 구조 저장 테이블로서, 상품 이름, 상품 ID, 상품 설명, 부모 상품 ID, 노드명, 상품그룹코드 등의 칼럼을 가질 수 있다.
상품 속성 지정부(112)는 상품 노드 생성부(111)에 의해 상품 노드가 생성되면, 해당 상품에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속성을 상속시켜 해당 상품의 속성을 자동 생성하며, 부모 노드로부터 상속된 속성값의 변경 및 상속된 속성값 이외의 새로운 속성의 추가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새로운 속성의 추가 시, 상품 속성 지정부(112)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속성이 그룹화되어 있는 속성그룹들이 저장된 속성그룹 풀(Pool) 또는 기 정의된 속성들이 저장된 속성 풀(Pool)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속성그룹 풀에서 특정 속성그룹을 선택하여 그룹화된 다수의 속성들을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상품에 일괄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속성 풀에서 개별 속성을 선택하여 상품에 추가할 수 있다.
만약 기 정의된 속성그룹 풀 또는 속성 풀에 없는 새로운 속성그룹 또는 속성의 생성이 요구되면, 상품 속성 지정부(112)는 생성할 속성그룹/속성에 대한 아이디, 타입, 설명 등을 포함하는 속성그룹/속성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해당 속성그룹/속성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속성그룹/속성 테이블에 해당 속성그룹/속성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해당 속성그룹/속성 정보를 저장하여야 한다.
속성그룹/속성 테이블은 속성그룹/속성 구조를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이름, ID, 설명, 생성 날짜, 업데이트 날짜 등의 칼럼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112)는 상품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속성그룹/속성을 정의/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각의 속성은 속성 풀에서 생성/삭제되며 속성그룹에서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속성 풀에 있는 모든 속성들은 필요에 따라 속성그룹에서 사용되며, 추가/수정/생성된 속성그룹은 상품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된다.
함수 지정부(113)는 상품에 함수를 등록하고, 해당 함수를 통해 상품에 사용 할 룰을 호출하여 상품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블록이다. 여기서 함수는,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즉, 상품에 룰을 매핑시키기 위해서는 함수라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며,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룰을 호출하여 상품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속성의 상속과 마찬가지로, 함수 지정부(113)는 생성된 상품에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함수를 상속시켜 해당 상품에 함수를 자동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함수 풀(Pool)에 기 정의되어 있는 함수 중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함수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함수 지정부(113)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새로운 함수를 생성하고, 기 정의된 함수들이 저장된 함수 풀에 상기 생성된 새로운 함수를 추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새로운 함수의 생성이 요구되면, 함수 지정부(113)는 생성할 함수에 대한 함수명, 함수타입, 입출력파라미터 등을 포함하는 함수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해당 함수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함수 테이블에 해당 함수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해당 함수 정보를 저장하여야 한다.
함수 테이블은 함수 구조를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함수 이름, 함수 ID, 설명, 부모상품 ID, 노드명, 상품그룹코드 등의 칼럼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지정부(114)는 상품 속성 지정부(112) 및 함수 지정부(113)와 마찬가지로 생성된 상품에 해당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서비스를 상속시켜 해당 상품에 서비스를 자동 등록하고, 서비스 풀(Pool)에 기 정의되어 있는 서비스 중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서비스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는 블록으로서, 새로운 서비스의 생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생성할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ID, 서비스 타입, 서비스에 대한 설명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해당 서비스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서비스 테이블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해당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 테이블은 서비스 추가 시 필요한 정보를 속성 및 함수에서 가져와 저장하는 테이블이며, 서비스 이름, 서비스 ID, 설명, 서비스 생성 날짜, 업데이트 날짜 등의 칼럼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상품과 동일한 트리 구조를 가지며, 오직 상품에 종속되어 사용된다. 즉, 서비스는 상품을 구성하기 위한 서브 상품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각각의 서비스는 상품과 마찬가지로 속성과 함수를 가지지만, 상품의 구성요소로서만 존재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서비스는 상품과 마찬가지로 속성과 함수를 가지므로, 서비스 지정부(114)는 새로운 서비스의 생성 시, 생성된 서비스에 속성을 추가하고,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함수를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등록하며, 해당 함수를 통해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상품 생성에 대한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112), 함수 지정부(113), 서비스 지정부(114)의 각 처리 결과 데이터는 상품이 완성되어 저장되기 전까지 UI 내부적으로 유지되며, 상품 모델링이 완성되면 상품 저장부(115)는 상품 속성 지정부(112), 함수 지정부(113), 서비스 지정부(114)에서의 각 처리 결과를 해당 상품 정보로서 저장한다.
정형정보 저장부(120)는 상품 구조, 상품 속성 및 상품에 종속되는 상품 서비스 등 상품에 대한 정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Repository)이며, 비정형정보 저장부(130)는 상품 규칙, 조건 규칙, 처리 규칙 등 상품에 대한 규칙(Rule)을 의미하는 비정형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정형정보 저장부(120)와 비정형정보 저장부(130)를 모두 포함하여, 정형정보와 비정형정보의 통합 정의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룰 엔진(140)은 룰로 표현되는 비정형정보의 소스를 생성하는 엔진이며, 상품 정보 저장 시 함수의 소스 생성 및 컴파일을 수행한다.
디플로이 매니저(150)는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생성, 관리되는 상품 정보를 업무 처리 시스템(신 계약 시스템, 수급 시스템, 영업지원 시스템 등)에 전달하는 블록으로서, 상품의 모델링이 완료된 후 상품을 정의하는 속성들과 룰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시뮬레이션 및 구현 완료된 상품에 대한 판매 여부를 결정하는 승인 등의 절차가 수행되면 운영 서버 또는 업무 처리 시스템으로 해당 상품을 디플로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 의한 상품 모델링 과정을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모델링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노드 생성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속성그룹 추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함수 추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함수 사용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함수 매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추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서 상품은 객체 기반 아키텍쳐에서 트리 노드로 구성되며, 가시적 모델링이 지원된다. 그리고 각 풀(Pool)에 상품의 속성, 함수, 서비스를 정의하여 풀에 기 정의된 속성, 함수, 서비스 등을 재사용하여 상품을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한다.
상품 모델링 과정은 먼저 상품 노드를 생성하는 것에서 시작된다(S11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노드(상품 노드 또는 상품그룹 노드)에서 새로운 상품의 생성이 요구되면,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상품의 타입, 이름, 코드, 설명, 부모 노드 정보 등 생성할 상품의 정보가 입력되는 창을 출력한다.
이 때 부모 노드의 정보는 자동으로 입력되며, 필요한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부모 노드명, 자기노드명, 노드 타입(상품, 상품그룹) 등의 상품 생성 정보가 발생되어 노드가 생성되며, 해당 노드는 상기 부모 노드의 하위 노드로서 존재하게 되고, 트리구조로서 가시화된다.
상품 노드의 생성이 완료되면, 다음으로는 상품의 속성, 함수, 서비스를 지정하는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상품의 속성은 기본적으로 부모 노드로부터 상속된다. 그러나, 도 4와 같은 화면의 UI를 통해 사용자는 상속된 속성값을 변경할 수 있고, 새로운 속성그룹 또는 속성을 추가할 수 있다(S112). 이 때, 사용자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속성이 그룹화되어 있는 속성그룹을 선택하여 추가하면, 해당 속성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속성들이 일괄적으로 해당 상품에 추가된다.
한편, 상품에 사용하고자 하는 속성그룹/속성이 속성그룹/속성 풀에 기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속성그룹/속성을 정의할 수 있다.
속성 지정이 완료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상품에 함수 추가 절차를 수행하여야 한다(S113). 상품에 사용되는 함수는 함수 풀에 기 정의되어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함수 풀에 있는 함수들 중 해당 상품에 사용할 함수를 선택하여 함수를 추가할 수 있고, 새 함수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새 함수의 정의 시 함수 테이블에 해당 함수 열이 추가되며, 함수의 고유키도 자동 생성된다.
함수의 사용 또는 매핑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수 풀을 참조하여 수행되며, 함수 풀에 해당 상품에 추가하려는 함수가 정의되어 있을 경우 해당 함수를 상품에 등록하고, 상품과 함수를 연계 정의하며, 룰과 함수의 입출력 매핑을 수행한다. 만약, 추가하려는 함수가 기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함수 풀에 새로운 함수를 생성, 등록한 후 상품에 함수를 등록하여야 한다.
다음, 함수 정의 및 추가가 완료되면, 도 8과 같은 화면을 통해 상품에 서비스를 추가하는 절차가 진행된다(S114).
상품에 사용되는 서비스 역시 속성이나 함수와 마찬가지로 서비스 풀에 기 정의되어 있다. 만약 해당 상품에 사용할 서비스가 기 정의되어 있지 않다면 새로운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비스 테이블에 새로 정의된 서비스 열이 추가되고, 고유의 키도 자동 생성된다. 이 때,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상품과 동일한 트리구조를 가지게 되며, 오직 상품에만 종속된다.
한편, 생성한 상품에 지정된 속성, 함수, 서비스 등의 결과 데이터는 상품이 저장되기 전까지 모두 UI 내부적으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상품의 모델링을 완료하고 상품 저장을 요구하면, UI 가 가지고 있는 정보들이 해당 상품의 정보로서 저장 되고, 속성, 함수, 서비스 각각의 테이블에 열이 추가된다(S115). 상품 저장 과정에서, 함수의 경우에는 소스 생성 후 컴파일 및 등록 절차가 수행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계층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통합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속성 및 서비스 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룰 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서 상품 구조는 사업영역, 상품그룹, 상품/서비스, 상품 속성으로 계층화되어 있으며, 상품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상품 속성과 룰을 정의하고 이를 조합함으로써 상품을 구성하게 된다.
사업영역은 해당 기업 및 자회사를 통해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거나 앞으로 수행될 비즈니스 영역을 의미하며, 은행의 경우 도 9b에서와 같이 '뱅킹'이 사업영역이 될 수 있다.
상품그룹은 각 사업영역에 종속되며, 상품의 구성 요소 차이에 의해 구별되는 상품 유형을 의미하고, 상품을 등록하기 위한 템플릿 구성 단위이다. '뱅킹'이라는 사업영역에 종속될 수 있는 상품그룹으로는 도 9b에서와 같이 '예금'이 있을 수 있고, 이외에도 '적금', '펀드' 등이 상품그룹으로 지정될 수 있다.
상품/서비스는 각 상품 그룹에 종속되며, 상거래를 목적으로 생성되는 유형/무형의 재화를 의미하고, 고객의 선택/구매 행위가 일어나는 기본 단위이다. 이 때 단일 상품, 복합 상품, 패키지 상품도 모두 상품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상품 속성은 상품을 구성하는 정형적 정보로서 상품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가 되며, 상품 룰은 상품 속성 간의 관계 및 규칙을 표현한 비정형적 정보를 의미한다. 도 9b에서와 같이 '장기주택마련저축'이라는 상품에 대한 상품 속 성은 가입 대상, 가입 기간, 월부금, 금리 등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속성들 간의 관계 및 규칙이 정해지면 상품이 완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품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는 편리한 통합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상품의 상속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트리구조인 상품트리를 제공하고, 각 노드는 상품그룹/상품으로 구분되고, 유사 특징을 갖는 상품은 상품그룹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의 경우 상품에 종속되는 것으로, 복합 상품 표현을 위한 서브 상품 개념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서비스 역시 상품과 마찬가지로 트리구조를 가져 상속 관계를 정의할 수 있고,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상품 편집창에 추가될 수 있다.
상품 편집창은 서비스, 속성그룹, 룰의 조합으로 상품을 정의할 수 있는 창으로서, 상속받은 속성그룹과 재정의하는 속성그룹이 UI 상에서 구분이 가능하여 상품 트리와 함께 상품 구조에 대한 직관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된 속성그룹을 구성하는 속성들의 실질적인 속성값 세팅을 지원한다.
속성 풀은 상품그룹을 구성하는 속성을 정의하는 풀로서, Int, String, Boolean, date 등의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하고, 열거형, 범위형, 메타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 표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속성그룹 풀은 상품 구성 요소 중의 하나인 속성그룹을 정의하는 곳으로, 기 정의된 속성들의 조합으로 속성그룹을 정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드래그앤드롭 방식을 지원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객체 지향 기반으로 상속 및 재설정을 통해 상품을 유연하게 정의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신규 상품의 개발 시, 상위 상품의 속성과 룰들을 그대로 상속받기 때문에 상품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2에는 상품 룰을 정의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품의 모델링 시 해당 상품의 비정형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룰을 정의하여야 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에 대한 비즈 로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해당 룰을 연동하여 상품을 정의하여야 하며, 기 정의된 룰과 상품 정보의 연동으로 상품 데이터 간의 연산이 수행되고, 상품/속성/서비스/룰 간의 관계 설정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쉽게 상품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의된 상품에 대해, 정의된 상품의 데이터와 룰이 정상적으로 구성이 되었는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상품 개발자는 이 검증 기능을 활용하여 상품 구성 요소 간의 관계 여부 및 속성의 오류 여부를 파악하여 상품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품 개발을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발 완료된 상품은 승인부서의 의사 결정을 통해 판매 여부가 결정되게 되며, 최종 승인이 난 후에 운영 서버 또는 업무 처리 시스템으로 디플로이된다.
본 발명의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100)에서 정의된 상품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세가지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품 속성의 경우 API를 통해 접근하고, 상품 룰의 경우 소스로 생성되어 API를 통해 접근하며, 전체 상품 트리 및 속성은 XML로 생성되어 XQuery 기반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의 모델링 시 상품 노드를 생성하고, 상품 속성그룹/속성, 함수, 서비스를 차례로 지정한 후, 상품을 저장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순서이다. 즉, 속성그룹/속성 지정, 함수 지정, 서비스 지정의 세가지 단계는 임의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모델링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노드 생성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속성그룹 추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함수 추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함수 사용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함수 매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추가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계층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통합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의 상품 속성 및 서비스 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서의 상품 룰 정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9)

  1. 상품의 개발 및 관리를 자동화한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품에 대한 정형정보를 저장하는 정형정보 저장부와,
    상품에 대한 규칙을 의미하는 비정형정보(룰: Rule)를 저장하는 비정형정보 저장부와,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정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정형정보와 상기 비정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정형정보를 정의/조합하여 상품을 모델링하는 상품 모델링부와,
    상기 비정형정보의 소스를 생성하는 룰 엔진과,
    상기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에 의해 개발, 관리되는 상품의 정보를 업무 처리 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한 디플로이(Deploy) 매니저를 포함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모델링부는,
    계층 구조로 상품 노드를 생성하여 상품을 생성하는 상품 노드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속성을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의 속성을 자동 생성하고, 상기 상속된 속성값의 변경 및 새로운 속성의 추가를 지원하는 상품 속성 지정부와,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함수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함수를 통해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상품에 매핑시키는 함수 지정부와,
    상기 생성된 상품에 사용할 서비스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는 서비스 지정부와,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 함수 지정부, 서비스 지정부에서의 각 처리 결과를 상기 생성된 상품 정보로서 저장하는 상품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노드 생성부는,
    상품 노드 생성 요구에 따라, 생성할 상품의 부모 노드명과, 생성할 상품 노드명, 노드 타입을 포함하는 상품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생성할 상품에 대한 고유의 키를 생성하여, 상품 구조를 저장하는 상품 테이블에 생성할 상품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상기 상품 노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정보는 상품 구조, 상품 속성 및 상품에 종속되어 상품을 구성하는 서비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는,
    기 정의된 하나 이상의 속성이 그룹화되어 있는 속성그룹들이 저장된 속성그룹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속성그룹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속성그룹 내에 포함된 모든 속성을 상기 생성된 상품에 추가하고,
    기 정의된 속성그룹 풀에 없는 새로운 속성그룹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속성그룹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속성그룹 테이블에 생성할 속성그룹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속성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형정보는 상품 규칙, 조건 규칙, 처리 규칙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속성 지정부는,
    기 정의된 속성들이 저장된 속성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속성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속성을 상기 생성된 상품에 추가하고,
    기 정의된 속성 풀에 없는 새로운 속성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속성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속성 테이블에 생성할 속성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지정부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함수를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에 함수를 자동 등록하고,
    기 정의된 함수들이 저장된 함수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함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함수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기 정의된 함수 풀에 없는 새로운 함수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함수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함수 테이블에 생성할 함수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함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구조는 사업영역, 상품그룹, 상품/서비스, 상품 속성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정부는,
    상기 생성된 상품에 상기 생성된 상품의 부모 노드가 가진 서비스를 상속시켜 상기 생성된 상품에 서비스를 자동 등록하고,
    기 정의된 서비스들이 저장된 서비스 풀(Pool)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특정 서비스를 상기 생성된 상품에 등록하고,
    기 정의된 서비스 풀에 없는 새로운 서비스의 생성이 요구되면, 생성할 서비스 생성 정보를 발생시키고, 서비스 테이블에 생성할 서비스에 대한 열을 추가하여 생성할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지정부는,
    새로운 서비스 생성 시, 생성된 서비스에 속성을 추가하고, 룰을 상품에 매핑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인 함수를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등록하며, 상기 등록된 함수를 통해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사용할 룰을 호출하여 상기 생성된 서비스에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룰 엔진은,
    상기 상품 저장부의 상기 생성된 상품 정보 저장 시, 상기 등록된 함수의 소스 생성 및 컴파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은,
    상품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조합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070124886A 2007-12-04 2007-12-04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KR10096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86A KR100967442B1 (ko) 2007-12-04 2007-12-04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PCT/KR2008/007164 WO2009072818A2 (en) 2007-12-04 2008-12-04 Total product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 mode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86A KR100967442B1 (ko) 2007-12-04 2007-12-04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208A KR20090058208A (ko) 2009-06-09
KR100967442B1 true KR100967442B1 (ko) 2010-07-01

Family

ID=4071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886A KR100967442B1 (ko) 2007-12-04 2007-12-04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7442B1 (ko)
WO (1) WO200907281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68B1 (ko) * 2020-11-27 2022-05-24 주식회사 이노룰스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6971B (zh) * 2015-04-21 2020-04-14 菜鸟智能物流控股有限公司 物流资源协同关系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997578B1 (ko) * 2016-11-09 2019-10-01 박동화 인공지능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N112559644B (zh) * 2020-12-24 2022-11-15 上海浦东发展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产品部件动态组装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58A (ko) * 2000-08-09 2002-02-20 남궁석 상품/규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의 소스를기록한 기록매체
JP2003099589A (ja) 2002-07-29 2003-04-04 Tatsuji Hanekawa 最適商品・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最適商品・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060009622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대구은행 은행의 예금상품 개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3824A2 (en) * 1999-04-16 2000-10-26 Ge Financial Assurance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nd managing a financial services produ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958A (ko) * 2000-08-09 2002-02-20 남궁석 상품/규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의 소스를기록한 기록매체
JP2003099589A (ja) 2002-07-29 2003-04-04 Tatsuji Hanekawa 最適商品・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最適商品・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KR20060009622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대구은행 은행의 예금상품 개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068B1 (ko) * 2020-11-27 2022-05-24 주식회사 이노룰스 디지털 정보를 이용한 기준정보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818A3 (en) 2009-08-06
WO2009072818A2 (en) 2009-06-11
KR20090058208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2960B2 (en) User interface that integrates plural client portals in plural user interface portions through sharing of one or more log records
US7657777B2 (en) Common semantic model of management of a supply chain
US8340995B2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Scheer Business process engineering: reference models for industrial enterprises
US8020144B2 (en) Metadata-based application deployment
US20120116834A1 (en) Hybrid task board and critical path method based project application
US9558215B2 (en) Governing information
US2005006597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software
US20080172414A1 (en) Business Objects as a Service
US8645431B2 (en) Multi-level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CN104732306A (zh) 一种业务应用系统的快速开发系统及方法
US20080133589A1 (en) Management of an operations chain through customizable applications and components
KR100967442B1 (ko) 통합 상품 관리 시스템
US8234649B2 (en) Composite system to integrate process systems using secondarily created process objects for local database operations and inter process system communications
Vidoni et al. Towards a Reference Architecture for Advanced Planning Systems.
US7318200B2 (en) Master data framework
WO2016030664A1 (en) A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odelling a business operation
Vion Software asset management and cloud computing
US8863132B2 (en) Using abstraction layer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systems
US20140149186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Zheng et al. A personalized attribute determination process in a cloud-based adaptable product configurator
US2008018373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the creation and use of a unified dynamic information system
US201300467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etadata to facilitate the distribution of goods through a supply chain
Frenkel et al. Supporting information access rights and visibility levels in virtual enterprises
Sah et al. A software engineering perspective for development of enterpris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