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38B1 -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38B1
KR100967338B1 KR1020090120023A KR20090120023A KR100967338B1 KR 100967338 B1 KR100967338 B1 KR 100967338B1 KR 1020090120023 A KR1020090120023 A KR 1020090120023A KR 20090120023 A KR20090120023 A KR 20090120023A KR 100967338 B1 KR100967338 B1 KR 10096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con
input window
user
addres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
김정철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Priority to KR102009012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3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for selecting a function from a menu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is provided to changeably display an address input window and a menu area and use wider screen, thereby more easily selecting a various menus in a touch screen space of narrow area. CONSTITUTION: An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is expanded if the address input window vies icon is touched(S2,S3). According to the relevant button touch, the relevant function is performed(S4). If a menu open icon is touched, a basic menu is displayed(S9,S10). According to the touch of a relevant button, a relevant is performed(S11). If the menu open icon is touched continuously more than predetermined time, a screen expansion and reduction button close to menu open icon is displayed(S13).

Description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인터페이싱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간단한 제스쳐에 대응하여 인터페이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a user to interface more conveniently when a web browser is execu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and in particular, a gesture method for performing an interface in response to a simple gesture of the user. It relates to a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이 장착된 휴대폰 등의 이통통신 단말기에서 웹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복잡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왜냐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시 장치가 일반 컴퓨터에 비해 매우 작고, 기능도 일반 컴퓨터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이다. In general, when using a web brow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e user has a lot of difficulties to enter a complex command through the touch screen. This is because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very small compared to a general computer, and its function is also inferior to that of a general computer.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모바일 웹브라우저의 유저인터페이스는 일반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모사하였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터치기구(이하, '터치기구’라 칭함)에 비하여 작은 메뉴 아이콘을 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하여 실수가 많이 발생되었다. Nevertheless, since the user interface of the conventional mobile web browser mimics the interface of a general computer, it is difficult to touch a small menu icon compared to a finger or a touch mechan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mechanism'). Has occurred a lot.

휴대폰과 같은 소형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어 운용되는 종래 웹 브라우저 의 유저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익스플로어, 오페라 모바일과 같이 데스크탑 컴퓨터의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와 같은 팝업 메뉴 방식을 사용하였다. The user interface of a conventional web browser installed in a sm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uses a pop-up menu method such as Microsoft Windows of a desktop computer such as Internet Explorer and Opera Mobile.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터치기구의 크기에 비해 메뉴 아이콘이 작아 터치기구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특정 메뉴에 따른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기존의 메뉴 전체를 계속해서 디스플레이하므로, 서브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system, the menu icon is small compared to the size of the touch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select the menu icon by the touch mechanism. In addition, since the entire existing menu is continuously displayed even when the submenu according to the specific menu is being displayed, it is difficult to secure enough space to display the submenu.

또한, 주소입력창이나 메뉴 부분이 항상 화면내의 일정 영역을 고정적으로 점유하여 사용자의 인터페이싱에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dress input window or the menu portion always occupies a certain area in the screen fixedly,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interface.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표적인 종래의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애플사의 “아이폰 사파리”가 있다. 상기 아이폰 사파리에 있어서는 화면의 대부분을 사용하여 팝업 메뉴를 보여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팝업 메뉴를 보다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As a representativ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to compensate for such drawbacks, there is Apple's "iPhone Safari". In the iPhone Safari, most of the screen is used to display pop-up menus.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the pop-up menu more conveniently.

하지만, 상기 아이폰 사파리에서는 서브메뉴를 지원하지 않아 복잡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However, the iPhone Safari does not support submenu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complex or various commands.

또한, 상기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에서의 메뉴 아이콘의 선택 동작은 터치기구를 눌렀다가 떼는 동작(클릭 동작)만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터치기구의 1차원적인 움직임은 페이지 내의 보이는 영역으로 제한하고, 2차원적인 움직임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In addition, the selection operation of the menu icon in the user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recognizes only the operation of pressing and releasing the touch mechanism (click operation). In addition, the one-dimensional motion of the touch mechanism is limited to the visible area in the page, and the two-dimensional motion is not considered at all.

상기 아이폰 사파리의 경우 주소입력창과 메뉴 영역이 항상 고정적으로 화면의 일부를 점유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보다 더 좁은 화면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징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iPhone Safari, the address input window and the menu area always occupy a portion of the screen fixedly. As a result, the user has to inconvenience browsing the web using a narrower screen.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메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user cannot select a menu icon in a more convenient and various manner due to the above reas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a high level user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의 화면상에서 주소입력창과 메뉴영역을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 보다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스쳐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다 쉽고 편하게 웹브라우징을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address input window and the menu area variably on the screen of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wider screen as much as possible, and can easily and conveniently browse the web through the gesture type interface. To make it 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스쳐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이용 단계를 간소화 하고, 컨텍스트메뉴의 쉬운 이용을 가능케 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menu use step through the gesture-type interface, and to enable easy use of the context menu.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앞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과 메뉴열기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Displaying an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and a menu open icon on a touch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이를 확대하여 새로고침버튼, 페이지가기버튼, 정지버튼, 주소입력창 및 창닫기버튼, 검색하기버튼을 함께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If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is touched, it is enlarged to display a refresh button, a page go button, a stop button, an address input window and a window close button, and a search button, and then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Wow;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주변에 홈 버튼, 즐겨찾기 버튼, 설정 버튼, 방문기록 버튼 및 도움말 버튼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해당 웹 브라우저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displaying a home button, a favorite button, a setting button, a history button, and a help button in the vicinity when the menu opening icon is touched, and then performing a corresponding web browser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It is done.

본 발명은 주소입력창과 메뉴영역을 화면내에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시켜 보다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좁은 면적의 터치스크린 공간에서 다양한 메뉴들을 보다 손쉽게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고, 웹페이지를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input window and the menu area are variably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a wider screen can be used, so that various menus can be easily selected and executed in a touch screen space of a small area when viewed from a user's point of view.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more widely.

또한, 제스쳐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다 쉽고 편하며 직관적인 웹브라우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esture-based interface has the effect of making web browsing easier, more convenient, and more intuitive.

또한, 제스쳐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뉴이용 단계가 간소화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을 보다 빠르게 실행할 수 있고, 컨텍스트 메뉴의 쉬운 활용을 가능케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menu use step through the gesture-type interface,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user's web browsing faster, and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context menu,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터치스크린)상의 일측에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상,하단에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과 메뉴열기 아이콘(2)을 디스플레이한다.(S1) First, an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1 and a menu open icon 2 are displayed on one side of a screen (touch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S1).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은 평상시 화면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가능한 한 작은 사이즈로 디스플레이되며,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새로고침버튼(3A), 페이지가기버튼(3B), 정지버튼(3C), 주소입력창(4), 정지버튼(5A), 검색하기버튼(5B)으로 이루어진다.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1 is displayed as small as possible in size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minimize inconvenience in using a normal screen, which is a refresh button 3A and a page go button as shown in FIG. 3B, stop button 3C, address input window 4, stop button 5A, and search button 5B.

하지만, 사용자가 페이지 이동을 위해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을 터치하면 도 2에서와 같이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새로고침버튼(3A), 페이지가기버튼(3B), 정지버튼(3C), 주소입력창(4), 창닫기버튼(5A), 검색하기버튼(5B)을 터치하는 것을 확인하여 주소입력 기능이나 멀티탭 기능을 수행한다.(S2-S4) However, when the user touches the view of the address input window 1 to move the page, the display is enlarged and displayed as shown in FIG. Confirm that the stop button 3C, the address input window 4, the window close button 5A, and the search button 5B are touched to perform the address input function or the multi-tap function. (S2-S4)

이때, 사용자가 상기 주소입력창(4)을 터치하면 도 3에서와 같이 화면상의 일측에 터치패드 형태의 키보드(6)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웹페이지 주소나 검색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5) In this case, when the user touches the address input window 4, as shown in FIG. 3, the touch pad type keyboard 6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input a web page address or search word. (S5)

이후, 도 4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6)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입력창(4)에 검색어(예: Dorothy)를 입력하고 입력키(7)를 터치하거나 검색하기버튼(5B)을 터치하면, 검색엔진(예: Google, NAVER 등)을 이용하여 관련정보를 검색한 후 그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S6) Then, as shown in FIG. 4, the user inputs a search word (eg, Dorothy) in the address input window 4 using the keyboard 6 and touches an input key 7 or touches a search button 5B. If the relevant information is searched using a search engine (eg, Google, NAVER, etc.), the search result is displayed.

도 5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주소입력창(4)에 웹 페이지 주소를 입력한 후 상기 입력버튼(7)을 터치하거나 페이지가기버튼(3B)를 터치하면, 해당 웹 페이지를 로딩함과 아울러 그 주소입력창(4)에 로딩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S7) 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inputs a web page address in the address input window 4 and then touches the input button 7 or touches a page go button 3B, the user loads the corresponding web page. The loading process is displayed on the address input window 4. (S7)

사용자에 의해 하이퍼링크로 웹 페이지가 열리는 경우 도 6과 같이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을 통해 로딩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S8) When a web page is opened by a hyperlink by the user, a loading process is displayed through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1 as shown in FIG. 6 (S8).

상기와 같이 주소입력창(4)에 페이지 로딩 과정을 나타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문자를 이동시켜 가면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indicating a page loading process on the address input window 4. For example, there may be a method of using a progress bar, a method of moving and displaying a character, and the like.

사용자가 스크린 하단의 메뉴열기 아이콘(2)을 터치하면, 도 7에서와 같이 그 중심을 기점으로 환 형태로 배열된 기본메뉴 예를 들어, 홈 버튼(8), 즐겨찾기 버튼(9), 설정 버튼(10), 방문기록 버튼(11), 도움말 버튼(12)을 디스플레이한다.(S9,S10) When the user touches the menu open icon (2)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ure 7, the main menu arranged in a ring shape from the center, for example, home button (8), favorite button (9), settings A button 10, a visit history button 11, and a help button 12 are displayed (S9, S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8), 즐겨찾기 버튼(9), 설정 버튼(10), 방문기록 버튼(11), 도움말 버튼(12)들 중 임의의 버튼이 터치되는 것을 확인하여 자유로운 웹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한다.(S11) In this state, the home button (8), the favorite button (9), the setting button (10), the history button (11), the help button (12) by checking that any button is touched free web Perform a browsing function (S11).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홈버튼(8)이 터치되면, 브라우저 설정상의 홈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을 한다. That is, when the home button 8 is touched by the user, the home button 8 moves to the home page on the browser setting.

사용자에 의해 상기 즐겨찾기 버튼(9)이 터치되면, 즐겨찾기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즐겨찾기 목록을 추가하거나 리스트를 보거나 편집하는 메뉴를 상기 즐겨찾기 버튼(9)의 주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메뉴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다.When the favorite button 9 is touched by the user, the favorite function is executed. At this time, a menu for adding a favorite list, viewing or editing the list is displayed around the favorite button 9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menu.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설정 버튼(10)이 터치되면, 그 설정 버튼(10)의 주변에 주요 설정기능에 대한 하위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setting button 10 is touched by the user, submenus of the main setting functions are displayed around the setting button 10.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방문기록 버튼(11)이 터치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스크린 상에서 방문기록을 열어보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해당 버튼들을 주변에 디스플레이한다.When the visit history button 11 is touched by the user, the buttons are displayed around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open or delete the visit history on the touch screen.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움말 버튼(12)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 상에 도움말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고 필요시 브라우저 홈페이지로 연결한다.When the help button 12 is touched by the user, the help pa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connected to the browser homepage if necessary.

웹 페이지 로딩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2)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되면, 도 8에서와 같이 그 아이콘(2)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이전페이지가기 버튼(13)과 다음페이지가기 버튼(14)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2)을 상기와 같이 터치한 후 터치기구를 좌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S12) When the menu opening icon 2 is continuously touched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ile the web page is being loaded, the previous page go button 13 and the next page go button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con 2 as shown in FIG. 8. (14) is displayed. Therefore, after the user touches the menu opening icon 2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move to the previous page or to the next page by dragging the touch mechanism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S12).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2)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되면, 도 9 에서와 같이 그 아이콘(2)의 상단에 화면확대축소 버튼(15)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2)을 상기와 같이 터치한 후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터치기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하여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게 된다.(S13) When the menu open icon 2 is continuously touched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s shown in FIG. 9, the zoom-in button 15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icon 2. Therefore, the user can touch the menu open icon 2 as described above and then enlarge or reduce the screen by dragging the touch mechanism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S. 9 and 10. )

사용자가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을 우측으로 끌어서 드래그하면 현재 열려있는 웹 페이지의 단축 탭(16)을 그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드래그 동작을 반복하면 도 11에서와 같이 우측 상단부터 순서대로 현재 열려있는 웹 페이지의 단축 탭(16)이 나열이 된다.(S14)When the user drags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1 to the right and drags, the shortcut tab 16 of the currently opened web page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1. Therefore, when the user repeats the dra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hortcut tabs 16 of the web pages that are currently open are listed in order from the upper right as shown in FIG. 11 (S14).

이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축 탭(16)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가 터치되면, 그 터치된 단축 탭으로부터 해당 웹 페이지의 주소를 확장된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웹페이지의 주소를 확인 할 수 있다.(S15)Thereafter, when any one of the shortcut tabs 16 is touched by the user, the address of the web page is displayed in the expanded form from the touched shortcut tab.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address of the web page. (S15)

사용자가 상기 단축 탭(16)들 중 임의의 단축 탭을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터치 하고 있다가 그 터치 상태를 해제하면, 그 단축 탭이 있는 위치로부터 해당 웹페이지를 확장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S16)When the user continuously touches any of the shortcut tabs to some extent and releases the touch state, the web page is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the web page is expanded from the location of the shortcut tab. )

상기 도 11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의 단축 탭(16)들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새로운 단축 탭을 열 수 있는 단축탭 버튼(도면에 미표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상기 단축탭 버튼을 이용하여 이미 열려있는 웹 페이지 외에 새로 창을 열어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게 된다.(S17)As shown in FIG. 11, a shortcut tab button (not shown) for opening a new shortcut tab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hortcut tabs 16 of the displayed web page. In this case, the user can use the shortcut tab button to open a new window in addition to the already opened web page and perform web browsing.

한편, 사용자가 웹 페이지상에서 텍스트, 사진, 하이퍼링크 등의 콘텐츠를 길게 터치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해당 콘텐츠 주변에 컨텍스트 메뉴를 나열하고, 도 13에서 같이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2)을 향해 드래그하면 도 14에서와 같이 그 메뉴열기 아이콘(2)의 주변에 컨텍스트 메뉴를 나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텍스트 기능을 보다 쉽게 활용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touches the content such as text, photos, hyperlinks and the like on a web page, the context menu is listed around the content as shown in FIG. 12, and dragged toward the menu open icon 2 as shown in FIG. 14, the context menu is arranged around the menu open icon 2.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utilize the context function.

상기 내용에서 컨텍스트 메뉴는 열기(open), 저장(save), 보내기(send), 복사(copy)의 기본 메뉴로 확장되며 이들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In this context, the context menu is expanded to the basic menus of open, save, send and copy, and their respective functions are as follows.

'열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다른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열어 볼 수 있게 한다. 'Open' allows you to open and view content through other applications on your mobile device.

'저장하기'는 경우 저장이 되는 경로를 선택 할 수 있게 한다.'Save' allows you to select the path to save.

'보내기'는 이메일, SMS 그리고 트위터 등의 SNS로 바로 전송이 되는 기능을 지원한다.'Send' supports sending directly to SNS such as email, SMS and Twitter.

'복사'는 기본적으로 복사 기능을 지원하며 비어있는 입력창이나 폴더에서 컨텍스트 메뉴를 열어서 붙여넣기를 지원한다. 'Copy' basically supports copy function and supports to paste by opening the context menu in empty input window or fold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Such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과 메뉴열기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예시도.1 is a display example of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and the menu open ic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이 확대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is displayed in an enlarged form.

도 3은 화면상에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keyboard is displayed on a screen.

도 4는 주소입력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inputting a search word in an address input window.

도 5는 주소입력창에 입력된 웹 페이지를 로딩할 때 주소입력창을 통해 로딩과정을 나타내는 것을 보인 예시도.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loading process through an address input window when loading a web page input in the address input window.

도 6은 하이퍼링크로 웹 페이지가 열릴 때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을 통해 로딩과정을 나타내는 것을 보인 예시도.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loading process through an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when a web page is opened as a hyperlink.

도 7은 메뉴열기 아이콘을 중심을 환 형태로 배열된 기본메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 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basic menu arranged in a ring shape around a menu open icon is displayed.

도 8은 메뉴열기 아이콘을 중심으로 이전페이지가기 버튼과 다음페이지가기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내 예시도.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isplaying a previous page go button and a next page go button with a menu open icon as the center.

도 9는 및 도 10은 메뉴열기 아이콘의 주변에 화면확대축소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나타내 예시도.9 and 10 illustrate examples of displaying a zoom button around a menu open icon.

도 11은 웹 페이지의 단축 탭이 나열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hortcut tab of a web page listed.

도 12는 콘텐츠 주변에 컨텍스트 메뉴를 나열한 것을 나타낸 예시도.12 illustrates an example of arranging a context menu around content.

도 13 및 도 14는 컨텍스트 메뉴의 디스플레이 예시도. 13 and 14 illustrate display examples of a context menu.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 법의 제어 흐름도.15 is a control flowchart of a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1: Address input window icon

2 : 메뉴열기 아이콘2: Open Menu icon

3A : 새로고침 버튼3A: Refresh Button

3B : 페이기가기 버튼3B: Page Flag Button

3C : 정지버튼3C: Stop Button

4 : 주소입력창 4: Address input window

5A : 창닫기 버튼5A: Close button

5B : 검색하기 버튼5B: Search button

6 : 키보드6: keyboard

7 : 입력키7: Input key

8 : 홈 버튼8: home button

9 : 즐겨찾기 버튼9: Favorites button

10 : 설정 버튼10: setting button

11 : 방문기록 버튼11: History button

12 : 도움말 버튼12: Help button

13 : 이전페이지가기 버튼13: Go to previous page button

14 : 다음페이지가기 버튼14: Next page button

15 : 화면확대축소 버튼15: Zoom button

16 : 단축 탭16: shortcut tab

Claims (16)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과 메뉴열기 아이콘을 본 화면이나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하되, 위치를 확인하거나 터치하는데 지장이 없을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계와;A first step of displaying an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and a menu open icon on the screen or the desktop, but displaying the address input window on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mall size such that there is no problem in checking or touching the position;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이를 확대하여 새로고침버튼, 페이지가기버튼, 정지버튼, 주소입력창 및 창닫기버튼, 검색하기버튼을 함께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되, 주소입력창이 터치될 때 스크린상의 일측에 터치패드 형태의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웹페이지 주소나 검색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주소입력창에 검색어가 입력될 때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관련정보를 검색한 후 그 검색결과를 디스플레이하며, 주소입력창에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받아 로딩할 때 그 주소입력창에 로딩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와;When the icon of the address input window is touched, it is enlarged to display the refresh button, the page go button, the stop button, the address input window and the window close button, and the search button together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gesture. When the address input window is touched, a touch pad type keyboard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creen to allow a user to input a webpage address or search word, and a search engine is used when a search term is input in the address input window. Displaying a search result after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displaying a loading process in the address input window when loading the web page address in the address input window;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이 터치되면 주변에 홈 버튼, 즐겨찾기 버튼, 설정 버튼, 방문기록 버튼 및 도움말 버튼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제스쳐에 따라 해당 웹 브라우저 기능을 수행하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즐겨찾기 버튼이 터치될 때, 즐겨찾기 목록을 추가하거나 리스트를 보거나 편집하는 메뉴를 그 즐겨찾기 버튼의 주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설정 버튼이 터치될 때, 그 설정 버튼의 주변에 주요 설정기능에 대한 하위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When the menu open icon is touched, a home button, a favorite button, a setting button, a history button, and a help button are displayed in the vicinity, and a corresponding web browser fun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When touched, displays a menu for adding a favorite list, viewing or editing the list around the favorite button, and when the setting button is touched by the user, the main setting function is displayed around the setting button. The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sub-menu;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을 외측으로 끌어서 드래그할 때마다 현재 열려있는 웹 페이지의 단축 탭을 그 주소입력창보기 아이콘의 하단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tep is to sequentially display the shortcut tab of the currently open web page at the bottom of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whenever the user drags the address input window view icon to the outside.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단축 탭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가 터치되면, 그 터치된 단축 탭으로부터 해당 웹 페이지의 주소를 확장된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The gestur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n address of the web page in an expanded form when the user touches any one of the shortcut tabs.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단축 탭들 중 임의의 단축 탭을 어느 정도 지속적으로 터치하고 있다가 그 터치 상태를 해제할 때, 그 단축 탭이 있는 위치로부터 해당 웹페이지를 확장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user continuously touches any of the shortcut tabs to some extent and releases the touch state, the web page is displayed in an expanded form from the location of the shortcut tab.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웹 페이지 로딩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될 때, 그 아이콘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이전페이지가기 버튼과 다음페이지가기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 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displaying a previous page go button and a next page go button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con when the menu open icon is continuously touched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ile the web page is being loaded.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웹 페이지 로딩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뉴열기 아이콘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될 때, 그 아이콘의 상단에 화면확대축소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스쳐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includes displaying a zoom button on the top of the icon when the menu open icon is continuously touched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ile the web page is being loaded.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a gesture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20023A 2009-12-04 2009-12-04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KR100967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23A KR100967338B1 (en) 2009-12-04 2009-12-04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023A KR100967338B1 (en) 2009-12-04 2009-12-04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338B1 true KR100967338B1 (en) 2010-07-05

Family

ID=4264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023A KR100967338B1 (en) 2009-12-04 2009-12-04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33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784A2 (en) * 2011-06-07 201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interface using gesture in device
KR101246620B1 (en) * 2011-12-06 2013-03-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ouch screen apparatus and touch screen menu control method
KR101606021B1 (en) * 2014-10-24 2016-03-24 주식회사 모비데이즈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earch of application
KR20160048656A (en) * 2015-10-15 2016-05-04 주식회사 모비데이즈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earch of application
KR20160089754A (en) * 2015-01-20 2016-07-28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contents on idle scre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646A (en) 2000-09-12 2002-03-29 Canon Inc Compac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and medium
KR20020078419A (en)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configuration of favorites in mobile station menu
JP2006139615A (en) 2004-11-12 2006-06-01 Access Co Ltd Display device, menu display program, and tab display program
KR20080061713A (en)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by touch on touch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646A (en) 2000-09-12 2002-03-29 Canon Inc Compac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and medium
KR20020078419A (en)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configuration of favorites in mobile station menu
JP2006139615A (en) 2004-11-12 2006-06-01 Access Co Ltd Display device, menu display program, and tab display program
KR20080061713A (en) * 2006-12-28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list by touch on touch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thereof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784A2 (en) * 2011-06-07 2012-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interface using gesture in device
CN102855081A (en) * 2011-06-07 2013-01-02 三星电子株式会社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interface using gesture in device
WO2012169784A3 (en) * 2011-06-07 201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interface using gesture in device
US9361019B2 (en) 2011-06-07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interface using gesture in device
KR101246620B1 (en) * 2011-12-06 2013-03-2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Touch screen apparatus and touch screen menu control method
KR101606021B1 (en) * 2014-10-24 2016-03-24 주식회사 모비데이즈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earch of application
WO2016064253A1 (en) * 2014-10-24 2016-04-28 주식회사 모비데이즈 In-application search method and system
KR20160089754A (en) * 2015-01-20 2016-07-28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contents on idle screen
KR101699059B1 (en) 2015-01-20 2017-01-23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quick menu and contents on idle screen
KR20160048656A (en) * 2015-10-15 2016-05-04 주식회사 모비데이즈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earch of application
KR101654186B1 (en) * 2015-10-15 2016-09-05 주식회사 모비데이즈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earch of appl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5191B2 (en) User interface for computing devices
US10102010B2 (en) Layer-based user interface
US20220382447A1 (en) Modeless augmentations to a virtual trackpad on a multiple screen computing device
KR100984817B1 (en) User interface method using touch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U2421777C2 (en) Improved pocket computer and associated method
KR101224588B1 (en) Method for providing UI to detect a multi-point stroke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AU2008100003A4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US9189500B2 (en) Graphical flash view of documents for data navigation on a touch-screen device
TWI482077B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viewing desktop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of
EP2284728A1 (en) Web browsing method and web browsing device
US20140310653A1 (en) Displaying history information for application
JP2008542868A (en) Improved pocket computer and related methods
MX2013003562A (en) Content preview.
KR102228335B1 (en) Method of selection of a por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2517630A (en) Information display
WO2014197745A1 (en) One handed gestures for navigating ui using touchscreen hover events
KR2015011913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on electronic devices
US20140033110A1 (en) Accessing Secondary Functions on Soft Keyboards Using Gestures
KR100967338B1 (en) Mobile web browser interface method using gesture method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EP2975508A1 (en) Display control
WO2016183912A1 (en) Menu layout arran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251021B1 (en) Methode for adjusting image of touch screen
KR20100041150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using multitouch
CN103577495A (en) Gesture operation method and gesture operation device of brow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