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566B1 -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566B1
KR100966566B1 KR1020090115861A KR20090115861A KR100966566B1 KR 100966566 B1 KR100966566 B1 KR 100966566B1 KR 1020090115861 A KR1020090115861 A KR 1020090115861A KR 20090115861 A KR20090115861 A KR 20090115861A KR 100966566 B1 KR100966566 B1 KR 10096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information
terminal
transmission
base station
d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이승준
천성덕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MX201100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MX2011007261A/es
Priority to AU2010208807A priority patent/AU2010208807B2/en
Priority to CN201080005931.0A priority patent/CN102301633B/zh
Priority to RU2011127458/08A priority patent/RU2464715C1/ru
Priority to PCT/KR2010/000187 priority patent/WO2010087590A2/en
Priority to JP2011544385A priority patent/JP5531026B2/ja
Priority to CA2749600A priority patent/CA2749600C/en
Priority to AT10151478T priority patent/ATE514311T1/de
Priority to EP10151478A priority patent/EP2214446B1/en
Priority to US12/695,785 priority patent/US785595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566B1/ko
Priority to JP2013256628A priority patent/JP595743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이하의 설명은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에 대한 것이다. 휴지 모드/CELL_FACH 상태 단말이 제한된 시간 동안 사용하는 공용 E-DCH의 경우 제한된 시간 내에서도 단말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경우 TEBS=0으로 설정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알릴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 실패시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함에 있어, 상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및 단말의 베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ommon E-DCH, Scheduling Information, TEBS

Description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DCH}
이하의 설명은 이동통신 기술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효율적으로 공용 E-DCH(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관리하기 위해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을 설정하는 기법에 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UMTS의 망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UMTS는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UTMS 무선접속망(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 및 핵심망(Core Network; CN)으로 이루어져 있다. UTRAN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 부시스템(Radio Network Sub-systems; RNS)으로 구성되며, 각 RNS는 하나의 무선망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와 이 RNC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Node B)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Cell)이 존재한다.
도 2는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은 단말과 UTRAN에 쌍(pair)으로 존재하여, 무선 구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각각의 무선 프로토콜 계층들에 대해 설명하자면, 먼저 제 1 계층인 PHY 계층(또는 물리 계층)은 다양한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무선 구간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HY 계층은 무선 구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PHY 계층과 상위 계층인 MAC 계층은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송채널은 크게 채널의 공유 여부에 따라 전용(Dedicated)전송채널과 공용(Common)전송채널로 나뉜다.
제 2 계층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및 BMC(Broadcast/Multicase Control) 계층이 존재한다. 먼저 MAC 계층은 다양한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다양한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여러 논리채널을 하나의 전송채널에 매핑시키는 논리채널 다중화(Multiplexing)의 역할도 수행한다. MAC 계층은 상위계층인 RLC 계층과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 연결되어 있으며, 논리채널은 크게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평면(Control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과 사용자평면(User Plane)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로 나뉜다.
MAC 계층은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전송채널의 종류에 따라 MAC-b 부계층(Sublayer), MAC-d 부계층, MAC-c/sh 부계층, MAC-hs/ehs 부계층, 및 MAC-e/es 또는 MAC-i/is 부계층으로 구분된다. MAC-b 부계층은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의 방송을 담당하는 전송채널인 BCH(Broadcast Channel)의 관리를 담 당하고, MAC-c/sh 부계층은 다른 단말들과 공유되는 FACH(Forward Access Channel)등의 공용전송채널을 관리하며, MAC-d 부계층은 특정 단말에 대한 전용전송채널인 DCH(Dedicated Channel) 또는 전용 E-DCH(Enhanced Dedicated Channel)의 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하향 및 상향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MAC-hs/ehs 부계층은 고속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채널인 HS-DSCH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를 관리하며, MAC-e/es 또는 MAC-i/is 부계층은 고속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채널인 E-DCH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관리한다.
RLC 계층은 각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의 QoS에 대한 보장과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한다. RLC는 RB 고유의 QoS를 보장하기 위해 RB 마다 한 개 또는 두 개의 독립된 RLC 엔터티(Entity)를 두고 있으며, 다양한 QoS를 지원하기 위해 TM (Transparent Mode, 투명모드), UM (Unacknowledged Mode, 무응답모드) 및 AM (Acknowledged Mode, 응답모드)의 세가지 RLC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RLC는 하위계층이 무선 구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데이터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위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할 및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PDCP 계층은 RLC 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구간에서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PDCP 계층은 헤더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데이터의 헤더(Header) 부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무선 구간의 전송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PDCP 계층은 헤 더 압축이 기본 기능이기 때문에 주로 PS domain에 존재하며, 각 PS 서비스에 대해 효과적인 헤더압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RB 당 한 개의 PDCP 엔터티가 존재한다. 또한 PDCP 계층이 CS domain에 존재하는 경우 헤더압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제 2 계층에는 BMC (Broadcast/Multicast Control) 계층이 RLC 계층의 상위에 존재하여, 셀 방송 메시지(Cell Broadcast Message)를 스케줄링하고, 특정 셀에 위치한 단말들에게 방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가장 하부에 위치한 RRC (Radio Resource Control, 무선자원제어)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되며, RB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제 1 및 제 2 계층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고, 또한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RB는 단말과 UTRAN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1 및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path)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하 E-DCH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E-DCH는 하나의 단말이 UTRAN의 기지국에게 상향으로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송채널이다. E-DCH는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HARQ(Hybrid ARQ)와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Node B Controlled Scheduling) 등의 기술을 사용한다.
E-DCH를 위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단말의 E-DCH 전송을 제어하는 하향제어정보를 전송한다. 하향제어정보는 HARQ를 위한 응답정보(ACK/NACK)와 AMC를 위한 채널상태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을 위한 E-DCH 전송 전력 할당정보 등을 포함한다. 한편, 단말은 기지국에게 상향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상향제어정보는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을 위한 E-DCH 단말버퍼상태정보(UE Buffer Status Information), 단말전력상태정보(UE Power Status Information), E-TFCI를 통한 페이로드(Payload) 크기, 재전송 횟수, 단말 전력 잉여 상황보고 등을 포함한다.
단말의 E-DCH 전송은 기지국(Node B)에 의해 제어된다. 기지국의 E-DCH 제어는 스케줄러가 수행하며, 단말 각각에게 최적의 무선자원 할당을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무선채널 상황이 좋은 단말에게는 무선자원할당을 많이 하여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는 무선자원할당을 적게 하여 상향무선채널에 많은 간섭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스케줄러는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할 때, 단말의 무선채널 상황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단말이 E-DCH를 위해서 쓸 수 있는 가용 전력량 또는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양 같은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즉, 스케줄러는 E-DCH를 위한 여분의 전력이 있고 또한 상향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단말에게 무선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무선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은 E-D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먼저 자신의 가용 전 력량 및 데이터 양 정보를 기지국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단말의 가용 전력량 및 데이터 양 정보는 스케줄링 정보 (Scheduling Information, SI)를 통해 전달되며, 도 3에 그 자세한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 3은 스케줄링 정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라미터들 (UPH, TEBS, HLBS, HLID)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UPH(UE Power Headroom)는 단말이 최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 대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력량을 나타내며, 이는 곧 단말이 E-DCH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전력량을 알려준다.
TEBS(Total E-DCH Buffer Status)는 단말이 RLC와 MAC 계층에서 전송 대기 중인 데이터의 총 량을 byte 단위로 알려준다. TEBS는 아래 표 1과 같이 인덱스 형태로 알려주며 0부터 31의 인덱스로 나타낸다.
인덱스 TEBS 값 ( bytes )
0 TEBS = 0
1 0 < TEBS = 10
2 10 < TEBS = 14
3 14 < TEBS = 18
4 18 < TEBS = 24
... ...
30 28339 < TEBS = 37642
31 37642 < TEBS
예를 들면, 전송 대기 중인 데이터의 총 량이 0 byte이면 TEBS = 0으로 표기되고, 22 kbyte이면 TEBS = 29 로 표기된다.
HLBS(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Buffer Status)는 단말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총 량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논리채널의 데이터 양이 얼마나 되는지 알려준다. 즉,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논리채널의 데이터의 양 / 단말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의 총 량) * 100 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알려준다.
HLID(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ID)는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 논리 채널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논리채널을 알려준다.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은 스케줄링 정보를 매번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무선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특정 상황에서만 전송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3GPP에서는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
- 단말에 새롭게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때
- 전송 대기 중인 데이터가 있는 논리채널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논리채널에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할 때
- 데이터와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의 HARQ 전송이 실패할 때
- 주기적으로 정해진 시간이 되었을 때
단말은 상술한 바와 같은 트리거 조건을 통해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면, 이를 MAC PDU(Medium Access Control Packet Data Unit)에 포함시켜 기지국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MAC PDU는 상위 데이터와 스케줄링 정보로 구성되는데, 상위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스케줄링 정보만으로 MAC PDU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생성된 MAC PDU는 MAC 계층에 있는 HARQ 프로세서를 통해 기지국로 전송된다.
단말이 스케줄링 정보를 통해 단말의 전력 및 데이터 상황을 기지국에게 알려주면,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단말 상황 및 셀 전체의 무선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단말이 E-DCH 전송에 사용 가능한 전력량을 결정하고, 이를 하향 제어신호를 통하여 알려준다. 이때, 단말의 전력량을 알려주는 하향 제어신호에는, 단말이 사용 가능한 전력량을 절대값으로 알려주는 AG (Absolute Grant)와 단말이 기존에 사용하던 전력량 대비 높거나 낮은 값을 사용하라고 알려주는 RG (Relative Grant)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단말은 상기 AG 또는 RG의 하향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단말이 E-DCH 전송에 사용할 전력량을 결정하고 이에 맞춰 전송해야 할 MAC PDU의 크기를 결정한다.
한편, 최근 3GPP 표준에서는 공용 E-DCH(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을 규정하여, 여러 단말이 기지국 제어하에 공용으로 E-DCH를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용 E-DCH를 위한 스케줄링 정보 전송 시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및 단말의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특정 단말이 기지국에 HARQ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스케줄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 SI)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PDU(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MAC PDU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Total E-DCH Buffer Statu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트리거링된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상기 특정 단말은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사용하는 단말이며,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은 CELL_FACH 상태 및 휴지 모드 상태인 복수의 단말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AC PDU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임의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았거나,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도 휴지 모드 상태도 아닌 경우,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AC PDU 전송이 실패하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에 HARQ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HARQ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상기 기지국으로의 HARQ 방식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HARQ 엔터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HARQ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제 1 스케줄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 SI)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PDU(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HARQ 프로세스가 상기 MAC PDU 전송에 실패한 경우,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Total E-DCH Buffer Statu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고, 트리거링된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전송 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안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단말은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은 CELL_FACH 상태 및 휴지 모드 상태인 복수의 단말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HARQ 프로세스가 상기 MAC PDU 전송에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에 임의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았거나,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도 휴지 모드 상태도 아닌 경우,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특정 HARQ 프로세스가 상기 MAC PDU 전송에 실패하고,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를 경우 HARQ 전송 실패가 발생하였을 때, 이미 해제된 무선자원의 해제를 요구하는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불필요한 스케줄링 정보 전송 및 네트워크의 불필요한 자원 할당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3GPP 시스템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3GPP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ase Station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용 E-DCH에 대하여 설명한다.
E-DCH는 하나의 UE가 특정한 하나의 E-DCH를 점유하고 있는 전용(Dedicated) E-DCH와 여러 UE가 공통의 E-DCH를 공유하고 있는 공용 E-DCH로 나뉜다. 전용 E-DCH가 특정 UE에게 전용으로 할당된 전송채널인 것과 달리, 공용 E-DCH는 기지국의 제어 하에 여러 UE들에 공용으로 할당된 전송채널이다.
이러한 공용 E-DCH 무선 자원의 사용은 휴지(IDLE)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 단말에 한정된다. IDLE 모드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CELL_FACH 상태는 네트워크에 접속은 되어 있지만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작아 전용채널을 할당받지 않은 상태이다. 두 상태 모두 단말이 전용채널을 할당받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의 단말들에게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공용 E-DCH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공용 E-DCH는 여러 단말이 동시에 사용하려고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공용 E-DCH 무선 자원 할당 요청 시 일반적인 임의접속(Random Access)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는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 공용 E-DCH 무선 자원 할당을 할 때, 일정 시간만 사용하도록 시간 정보도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은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할당받으면 정해진 시간 동안에만 사용하며, 시간이 만료되면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하여 다른 단말이 해제된 무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일정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단말이 데이터 전송을 완료하면 단말은 공용 E-DCH 무선 자원의 해제를 기지국에 알려줄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로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데, TEBS=0은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다는 의미이므로,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정해진 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단말의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통해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이 정해진 시간 이전에 무선 자원을 해제할 경우,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1). 구체적으로, TEBS는 RLC 버퍼의 전송/재전송 또는 MAC 버퍼에 남은 데이터를 알려준다. 따라서 TEBS=0인 SI가 트리거링되면, TEBS=0인 SI와 같이 전송되는 MAC PDU는 해당 단말의 버퍼에 존재하는 마지막 데이터이다.이와 같이, 해당 MAC PDU를 전송하면 단말의 모든 버퍼가 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스케줄링 정보는 전송해야 할 단말 버퍼에 존재하는 마지막 데이터와 함께 MAC PDU로 구성하여 기지국로 전송할 수 있다(S402). MAC PDU의 전송은 HARQ 엔터티에 의해 관리되는 특정 HARQ 프로세스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단말은 생성된 MAC PDU가 HARQ 전송이 완료되어 HARQ 버퍼에서 삭제될 때까지 기다린 후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된 MAC PDU는 기지국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S403). 단말로부터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수신한 기지국은 이에 따라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S404). 그 후,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MAC PDU에 대한 긍정 응답(ACK)을 전송할 수 있다(S405).
기지국로부터 ACK을 수신(S406)한 단말은 ACK 수신에 따라 단계 S402에서 MAC PDU 전송에 이용된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HARQ 버퍼의 데이터를 삭제(flush)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S407).
한편, 단말이 MAC PDU를 HARQ 버퍼에서 삭제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다. 도 4와 같이 MAC PDU의 전송이 성공해서 기지국로부터 ACK을 받는 경우에 상기 MAC PDU를 버퍼에서 삭제하지만, 이와 달리 단말이 최대 재전송 횟수만큼 상기 MAC PDU를 전송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면 (즉, 기지국로 부터 ACK을 수신하지 못하면) 단말은 상기 MAC PDU의 HARQ 전송이 실패했다고 판단하고 상기 MAC PDU를 HARQ 버퍼에서 삭제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하기 위해 TEBS=0인 스케줄링 정보 및 단말 버퍼에 존재하는 마지막 데이터를 포함한 MAC PDU를 전송한 후, HARQ 전송이 실패하면, 단말은 상술한 MAC PDU의 전송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MAC PDU가 HARQ 버퍼에서 삭제될 때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실제로 상술한 MAC PDU를 수신하였을 수도 있고(ACK이 유실된 경우),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MAC PDU 전송이 실패한 경우), 무선 자원의 낭비를 줄이는 차 원에서 단말은 더 이상의 전송 없이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표 2와 관련하여 설명한 현재 스케줄링 정보의 트리거링 조건에 의하여 만약 데이터와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 MAC PDU의 HARQ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단말은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해야 한다. 이는 공용 E-DCH 무선 자원의 해제를 알리는 TEBS=0이 포함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이 경우에는 더 이상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말은 새롭게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도 5와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공용 E-DCH와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를 사용하는 휴지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의 단말은 해당 RLC 전송 또는 재전송 버퍼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 또는 MAC 분할 전송 버퍼에 데이터가 없는 경우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기지국에 알리기 위해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S501). 이에 따라 단말은 상위 계층 데이터 및 TEBS=O인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S502). 단말이 전송한 MAC PDU를 수신한 기지국은(S503), 이에 따라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S504). 또한 기지국은 MAC PDU 수신 성공을 단말에 알리기 위해 단말에 ACK을 전송할 수 있다(S505).
한편, 단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전송한 ACK 수신에 실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CK 수신에 실패한 단말은 HARQ 최대 전송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해당 MAC PDU를 재전송할 수 있다(S506, S507). 다만, S5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전송한 MAC PDU가 기지국에 전달되지 않거나, S5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이 MAC PDU 수신에 성공하였으나, 이에 대해 전송한 ACK(S508)을 단말이 수신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단말의 HARQ 최대 재전송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단말은 해당 HARQ 전송을 실패로 간주하고, HARQ 버퍼를 지우게 된다(S509). 이와 같이 HARQ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공용 E-DCH 무선자원을 해제하게 된다(S510). 다만, 상기 표 2와 관련하여 상술한 현재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에 따르면 데이터와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에 해당하여 단말은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해야한다(S520). 또한, 이미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한 이후이기 때문에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 전송을 위해 새로운 임의접속을 수행해야 하지만, 실제 전송할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단말의 베터리 소모, 기지국의 불필요한 공용 E-DCH 무선 자원 할당을 야기하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의 문제점은 단말이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알리는 TEBS=0을 포함한 MAC PDU의 HARQ 전송이 실패했을 때,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는 데 있다. 이 경우 이미 공용 E-DCH 무선 자원은 해제되었기 때문에 단말은 단지 TEBS=0을 전송하기 위해 새롭게 임의접속 과정을 수행하여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할당받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바로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는 것이 아니라, HARQ 전송이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정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단말이 기지국에 스케줄링 정보를 HARQ 방식으로 전송한 경우, 기지국 수신 실패 또는 기지국이 전송한 ACK 수신 실패에 따라 MAC PDU 전송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S601). 이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 전송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로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를 검토하여 TEBS=0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는 것을 제안한다(S602). 이와 같이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인 경우에 단말은 더 이상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지 않게 된다(S605).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은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을 고려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해당 스케줄링 정보가 데이터와 함께 MAC PDU로 전송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603). 만일, 스케줄링 정보가 데이터 없이 스케줄링 정보만을 포함한 MAC PDU 형태로 전송된 경우(stand alone type MAC PDU), 단말은 더이상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지 않을 수 있다(S605). 이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만을 포함한 MAC PDU의 전송에 실패한 경우는 단말은 주기적 스케줄링에 의존하여, 다음 스케줄링 정보 전송 주기에 필요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03의 판정 결과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가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경우, 단말은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게 된다(S604). 이에 따라 단말은 해당 데이터와 새로이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MAC PDU 형태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안된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을 이용하여 공용 E-DCH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기존 스케줄링 방식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공용 E-DCH를 이용하는 단말(휴지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일반적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7의 (b)는 상기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를 사용하는 휴지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 단말이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 경우, 마지막 데이터와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이와 같은 단말의 MAC PDU 전송이 실패한 경우를 가정한다(S701). 이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에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알리기 위해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도, 상기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S702).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방식에 따를 경우,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이 실패한 경우 단말은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게 되며, 이를 전송하기 위한 MAC PDU를 구성하게 된다(S703). 다만, 단말은 이미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해제한 상태이므로,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무선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에 임의접속 과정을 수행하여(S704),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확보한 후 생성된 MAC PDU를 전송하게 된다(S705). 다만, 단말이 재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는 기지국에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알리기 위한 것이므로 불필요한 무선 자원 할당, 단말의 베터리 소모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7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은 단계 S706과 같이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이 실패한 경우, 해당 스케줄링 정보의 TEBS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정하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은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상술한 단계 S703 내지 S705에 따라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 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며,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인 경우 더 이상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지 않는 것을 제안한다.
도 7의 (b)의 단계 S706에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E-DCH를 이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공용 E-DCH의 사용은 휴지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 단말에 제한되는바, 단말이 휴지 모드도 CELL_FACH 상태도 아닌 경우에는 단계 S703 내지 S705과 같이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 전송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도 5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방식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공용 E-DCH를 사용하는 단말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일반적인 스케줄링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며, 도 8의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다.
도 8의 (a)는 도 7의 (a)의 동작과 동일하다. 즉,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를 사용하는 휴지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 단말이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 경우, 마지막 데이터와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으며, 도 8은 이와 같은 단말의 MAC PDU 전송이 실패한 경우를 가정한다(S801). 이와 같이 단말이 기지국에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알리기 위해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 경우에도, 상기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S802).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방식에 따를 경우, 데이터와 함께 전송된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이 실패한 경우 단말은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게 되며, 이를 전송하기 위한 MAC PDU를 구성하게 된다(S803). 다만, 단말은 이미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해제한 상태이므로,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할 무선 자원을 가지고 있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단말은 기지국에 임의접속 과정을 수행하여(S804),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무선 자원을 확보한 후 생성된 MAC PDU를 전송하게 된다(S805). 다만, 단말이 재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는 기지국에 공용 E-DCH 무선 자원 해제를 알리기 위한 것이므로 불필요한 무선 자원 할당, 단말의 베터리 소모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은 단계 S80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이 실패하는 경우 일반적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알고리즘을 유지하여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이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무조건 MAC PDU를 구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를 검토하여 TEBS=0인지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S506). 만일,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인 경우,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은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제안한다. 반대로,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0이 아닌 경우, 단계 S803-1에서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MAC PDU를 구성하며(S803-2), 이를 전송하기 위한 이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04 및 S805).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단말은 공용 E-DCH를 이용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자원 낭비/동작을 막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단말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신호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와 더불어 입력 수단,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단말의 실질적인 신호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프로세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의 프로세서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토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중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물리 계층(910), MAC 계층(920) 및 RLC 계층(930)과 주로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MAC 계층 모듈(920)은 HARQ 엔터티(921), 하나 이상의 HARQ 프로세스(922), 각 HARQ 프로세스(922)에 대응하는 HARQ 버퍼(923), 새로운 MAC PDU 전송 시 MAC PDU 크기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E-TFC 선택 엔터티(924) 및 각 MAC-d 플로우마다 전송하는 상위 RLC 계층 전송 버퍼(931)의 데이터와 스케줄링 정보를 멀티플렉싱 해주는 멀티플렉싱 엔터티(925)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하나의 HARQ 엔터티(921)를 포함하며, HARQ 엔터티(921)는 하나 이상 의 HARQ 프로세스(922)를 관리하며, 단말의 HARQ 방식 신호 전송을 관리한다.
물리 계층 모듈(910)은 간단하게 전송 모듈(911) 및 수신 모듈(912)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전송 모듈(911)은 MAC 계층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MAC PDU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수신 모듈(912)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MAC PDU 전송에 대응하는 HARQ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단말의 HARQ 엔터티(921)는 하나 이상의 HARQ 프로세스(922) 중 어느 하나의 특정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스케줄링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PDU를 물리 계층 모듈(910)의 전송 모듈(911)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HARQ 프로세스가 MAC PDU 전송에 실패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의 HARQ 엔터티(921), 좀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는 SI 보고 엔터티(924)는 전송된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HARQ 전송에 실패한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트리거링하고, 트리거링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 모듈(911)을 통해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의 HARQ 엔터티(921)는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단말이 휴지 모드 상태 또는 CELL_FACH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이 휴지 모드 상태도, CELL_FACH 상태도 아닌 경우 스케줄링 정보의 HARQ 전송 실패에 대응하여 트리거링된 새로운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 송수신 기술 및 이를 위한 단말 구조는 3GPP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시스템 이외에도 유사한 과정을 가지는 다른 다양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UMTS의 망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UMTS에서 사용하는 무선 프로토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스케줄링 정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TEBS=0인 스케줄링 정보를 통해 공용 E-DCH 무선 자원을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공용 E-DCH와 관련된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조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케줄링 정보 트리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공용 E-DCH를 이용하는 단말(휴지 모드 또는 CELL_FACH 상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라 공용 E-DCH를 사용하는 단말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프로세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4)

  1. 특정 단말이 기지국에 HARQ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스케줄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 SI)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PDU(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MAC PDU 전송이 실패한 경우,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Total E-DCH Buffer Statu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제 2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은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사용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은 CELL_FACH 상태 및 휴지 모드 상태인 복수의 단말들에 의해 공유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MAC PDU 전송 후 상기 MAC PDU 전송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의 HARQ 버퍼가 빈 경우,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임의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았거나,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도 휴지 모드 상태도 아닌 경우,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은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방법.
  8. 기지국에 HARQ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HARQ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상기 기지국으로의 HARQ 방식 신호 전송을 제어하는 HARQ 엔터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HARQ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HARQ 프로세스에 대응하여 제 1 스케줄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 SI)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PDU(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특정 HARQ 프로세스가 상기 MAC PDU 전송에 실패한 경우,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Total E-DCH Buffer Statu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제 2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개시하고,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전송 모듈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한된 시간 동안 공용 E-DCH(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은 CELL_FACH 상태 및 휴지 모드 상태인 복수의 단말들에 의해 공유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MAC PDU를 전송하고, 상기 MAC PDU 전송에 대응하는 HARQ 프로세스의 HARQ 버퍼가 빈 경우, 상기 특정 HARQ 프로세스가 상기 MAC PDU 전송에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공용 E-DCH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에 임의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정하며,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지 않았거나, 상기 특정 단말이 CELL_FACH 상태도 휴지 모드 상태도 아닌 경우,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케줄링 정보의 TEBS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으며, 상기 단말이 CELL_FACH 상태 또는 휴지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HARQ 엔터티는 상기 제 2 스케줄링 정보의 전송을 개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090115861A 2009-01-29 2009-11-27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 KR10096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0208807A AU2010208807B2 (en) 2009-01-29 2010-01-12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CN201080005931.0A CN102301633B (zh) 2009-01-29 2010-01-12 用于公共增强专用信道的有效管理的信号传输方案
RU2011127458/08A RU2464715C1 (ru) 2009-01-29 2010-01-12 Схема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общим расширенным выделенным каналом
PCT/KR2010/000187 WO2010087590A2 (en) 2009-01-29 2010-01-12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MX2011007261A MX2011007261A (es) 2009-01-29 2010-01-12 Esquema de transmision de señales para el manejo eficiente de canal dedicado mejorado comun.
JP2011544385A JP5531026B2 (ja) 2009-01-29 2010-01-12 効率的な共用e−dch管理のための信号伝送方式
CA2749600A CA2749600C (en) 2009-01-29 2010-01-12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AT10151478T ATE514311T1 (de) 2009-01-29 2010-01-22 Signalübertragungsschema zur effizienten verwaltung eines gemeinsamen, verstärkten, dedizierten kanals
EP10151478A EP2214446B1 (en) 2009-01-29 2010-01-22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US12/695,785 US7855951B2 (en) 2009-01-29 2010-01-28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ommon enhanced dedicated channel
JP2013256628A JP5957435B2 (ja) 2009-01-29 2013-12-12 効率的な共用e−dch管理のための信号伝送方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37009P 2009-01-29 2009-01-29
US61/148,370 2009-01-29
US14900709P 2009-02-01 2009-02-01
US61/149,007 2009-02-01
US14931309P 2009-02-02 2009-02-02
US61/149,313 2009-02-02
US15119609P 2009-02-10 2009-02-10
US61/151,196 2009-02-10
US15151009P 2009-02-11 2009-02-11
US61/151,510 2009-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566B1 true KR100966566B1 (ko) 2010-06-29

Family

ID=4237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861A KR100966566B1 (ko) 2009-01-29 2009-11-27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55951B2 (ko)
EP (1) EP2214446B1 (ko)
JP (2) JP5531026B2 (ko)
KR (1) KR100966566B1 (ko)
CN (1) CN102301633B (ko)
AT (1) ATE514311T1 (ko)
AU (1) AU2010208807B2 (ko)
BR (1) BRPI1007388A2 (ko)
CA (1) CA2749600C (ko)
MX (1) MX2011007261A (ko)
WO (1) WO201008759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50A3 (ko) * 2011-02-14 2012-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 생성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4272B2 (en) 2005-01-12 2016-08-23 Wandisco, Inc. 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consensus nodes
US8364633B2 (en) * 2005-01-12 2013-01-29 Wandisco, Inc.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and system components thereof
US9361311B2 (en) 2005-01-12 2016-06-07 Wandisco, Inc. 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consensus nodes
US9495381B2 (en) 2005-01-12 2016-11-15 Wandisco, Inc. Geographically-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coordinated namespace replication over a wide area network
US9332069B2 (en) * 2012-12-28 2016-05-03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initiating, forming and joining memberships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KR101276853B1 (ko) * 2010-08-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리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리포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744367B2 (en) * 2010-08-31 2014-06-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ail optimization protocol for cellular radio resource allocation
US8755753B2 (en) 2010-10-29 201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measurement in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network
US8527627B2 (en) 2010-12-14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telligent mobility application profiling with respect to identified communication bursts
US9264872B2 (en) 2011-06-20 2016-0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rolling traffic transmissions to manage cellular radio resource utilization
US9220066B2 (en) 2011-06-20 2015-12-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undling data transfers and employing tail optimization protocol to manage cellular radio resource utilization
MX2014007975A (es) * 2012-01-25 2014-08-21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 y aparato para liberacion de recursos en una red de comunicacion inalambrica.
CN103476069B (zh) * 2012-06-08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小区重选方法、资源释放方法、用户设备和基站
WO2014020828A1 (ja) 2012-08-03 2014-0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基地局装置及びcsi生成方法
CN104782203B (zh) * 2012-08-13 2018-10-3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释放e-dch资源的方法、基站及无线电网络控制器
US9264516B2 (en) 2012-12-28 2016-02-16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enabling a secure and authorized induction of a node into a group of nod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EP3429258B1 (en) 2013-02-14 2020-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orting mbms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US9009215B2 (en) 2013-03-15 2015-04-14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managing memberships in replicated state machines with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CN105075323B (zh) * 2013-03-29 2019-02-05 Vid拓展公司 早期分组丢失检测和反馈
WO2014189416A1 (en) * 2013-05-21 2014-11-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sharing resources using individual harq processes
US9414407B2 (en) * 2013-09-27 2016-08-09 Broadcom Corporation Enhanced schedu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20150181618A1 (en) * 2013-12-23 2015-06-25 Qualcomm Incorporated Early abort of scheduling information (si) retransmission
AU2015241457B2 (en) 2014-03-31 2019-10-10 Cirata, Inc. Geographically-distributed file system using coordinated namespace replication
WO2016089261A1 (en) * 2014-12-02 2016-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on of sleeping cel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5935000A (zh) * 2014-12-31 2016-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释放的方法、装置及系统
ES2950473T3 (es) * 2016-07-05 2023-10-10 Asustek Comp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transmisiones mediante haces múltiples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11360942B2 (en) 2017-03-13 2022-06-14 Wandisco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aintaining consistency of metadata and data across data centers
CN109429366B (zh) * 2017-07-14 2020-11-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pdu会话处理方法及设备
EP3629506A1 (en) * 2018-09-27 2020-04-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dat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559A (ko) * 2005-02-15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비 스케쥴링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70076374A (ko) * 2006-01-05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KR20070078331A (ko) * 2006-01-26 200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0884B2 (ja) 2000-02-15 2007-09-26 アイディー バイオメディ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オブ ケベック プロテオソーム・インフルエンザ・ワクチン
CN1225875C (zh) * 2001-09-29 2005-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在高速媒体接入控制层实现数据重传的方法
CN1612617A (zh) * 2003-10-30 2005-05-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Edch采用无软合并混合自动重复请求时的方法
WO2007000696A1 (en) * 2005-06-27 2007-0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0807946A (en) 2006-05-01 2008-02-01 Ntt Docomo Inc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057444B2 (ja) * 2006-07-28 2012-10-24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スケジューリング情報を設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80045255A1 (en) * 2006-08-21 2008-02-21 Motorola, Inc. Method of transmitting scheduling informa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1132260B (zh) * 2006-08-22 201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上行链路异步混合自动重传请求的重传控制方法
KR101336882B1 (ko) * 2007-03-09 2013-12-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TWI616082B (zh) * 2007-09-28 2018-02-21 無線創新信號信託公司 增強隨機存取頻道中終止信息傳輸方法及裝置
US8737383B2 (en) * 2008-07-07 2014-05-2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enhanced persistent scheduling with efficient link adaptation capability
US8402334B2 (en) * 2008-12-17 2013-03-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unctionality in a relay node
US20100166103A1 (en) * 2008-12-29 2010-07-01 Tom Harel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ing encoded message
US8385261B2 (en) * 2009-01-22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etting CID mask length of a HARQ-MAP/SUB-MAP pointer IE in WiMAX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559A (ko) * 2005-02-15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비 스케쥴링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070076374A (ko) * 2006-01-05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KR20070078331A (ko) * 2006-01-26 2007-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2 Meeting #60 R2-074812,'Clarification of TEBS and HLBS in Scheduling Information for TDD mode, 5-9 Nov. 200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1950A3 (ko) * 2011-02-14 2012-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 생성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US9258727B2 (en) 2011-02-14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porting channel measurement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31026B2 (ja) 2014-06-25
CA2749600A1 (en) 2010-08-05
JP5957435B2 (ja) 2016-07-27
JP2012514892A (ja) 2012-06-28
MX2011007261A (es) 2011-08-08
AU2010208807A1 (en) 2011-07-21
US20100188969A1 (en) 2010-07-29
ATE514311T1 (de) 2011-07-15
CA2749600C (en) 2014-11-25
AU2010208807B2 (en) 2014-03-13
CN102301633A (zh) 2011-12-28
EP2214446B1 (en) 2011-06-22
BRPI1007388A2 (pt) 2018-09-25
WO2010087590A3 (en) 2010-10-21
CN102301633B (zh) 2014-04-23
EP2214446A1 (en) 2010-08-04
JP2014078993A (ja) 2014-05-01
WO2010087590A2 (en) 2010-08-05
US7855951B2 (en)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566B1 (ko) 효율적인 공용 e-dch 관리를 위한 신호 전송 기법
US117230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ntention-based acc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219105A1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ES2368385T3 (es) Esquema de transmisión de señales para una gestión eficaz del canal dedicado mejorado común.
KR101137327B1 (ko) 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상향링크 채널 스케쥴링 방법
RU2413393C2 (ru) Выделение радиоресурсов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US1017867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ES2360307T3 (es) Método y dispositivo de transmisión/recepción de canal asociado a una red de acceso de paquetes de enlace descendente de alta velocidad.
US8223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cheduling information report
US9319320B2 (en) Traffic flow establishment method and device and traffic flow modification method and device
US9019848B2 (en) Method of maintaining a quality of service (Q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80007444A (ko)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하위계층 데이터 블록 생성방법
KR20080046679A (ko) 스케쥴링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방법
KR2011003647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harq 피드백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75264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50109098A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버퍼상태보고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1134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단말의 mac 계층에 의해 무선 자원을 구성하는 방법
RU2464715C1 (ru) Схема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для эффектив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общим расширенным выделенным каналом
KR20100116115A (ko) 논리채널 타입에 따른 스케줄링 정보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