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361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361B1
KR100965361B1 KR1020080011952A KR20080011952A KR100965361B1 KR 100965361 B1 KR100965361 B1 KR 100965361B1 KR 1020080011952 A KR1020080011952 A KR 1020080011952A KR 20080011952 A KR20080011952 A KR 20080011952A KR 100965361 B1 KR100965361 B1 KR 100965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ice storage
volume control
guide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5974A (en
Inventor
강병규
이재열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361B1/en
Priority to US12/865,916 priority patent/US20110005262A1/en
Priority to EP16197191.6A priority patent/EP3153803B1/en
Priority to ES08872167.5T priority patent/ES2611078T3/en
Priority to CN200880125460XA priority patent/CN101925789B/en
Priority to PCT/KR2008/007520 priority patent/WO2009099270A2/en
Priority to EP08872167.5A priority patent/EP2235456B1/en
Publication of KR2009008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냉장고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 상기 도어의 배면 측에서 얼음조각이 저장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출납가능하게 구비되는 얼음저장용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출납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부피조절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얼음저장용기의 용적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변된다. 따라서 필요한 얼음조각의 양이 많은 여름철과 같은 상황에서 여러 번 제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A refrigerator is disclosed. The disclosed refrigerator includes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Ice storage container is stored on the back side of the door,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to be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Guide unit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a volume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stages. According to this,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vari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ice several times in a situation such as summer when the amount of ice pieces is large.

냉장고, 얼음저장용기, 가이드유닛, 부피조절유닛 Refrigerator, ice container, guide unit, volume control unit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얼음조각을 저장하는 냉장고의 얼음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storage container of a refrigerator for storing ice cubes.

냉장고는 식품을 냉동 또는 냉장하여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Refrigerators are home appliances for storing food in a fresh state for a long time by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구획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그 일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본체의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In general, a freezer compartment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body.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reezer compartment door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 freezing chamber door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tip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of the main body.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 또는 냉장실도어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도어 또는 냉장실도어의 개방없이 간편하게 저장물을 보관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보조저장실(이하, "홈바"라 한다.)이 각각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torage cha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me bar") so that the storage can be easily stored and withdrawn without opening the freezing chamber doo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상기 홈바는 상기 냉동실도어 또는 냉장실도어의 이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저장공간을 이루는 홈바하우징과,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홈바도어로 각각 구성된다. The home bar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and comprises a home bar housing forming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and a home ba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는 상기 홈바하우징에 대응하는 상기 냉동실도어 또는 냉장실도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홈바도어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And the home bar door serve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reezer door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corresponding to the home bar housing. The groove bar door is installed so that its tip is rotated up and down about its lower end.

한편, 상기 냉동실에는 얼음조각을 제빙하는 제빙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제빙장치에서 제빙된 얼음조각을 저장하는 얼음저장용기가 구비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reezing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n ice making device for making ice pieces, ice storage containers for storing the ice pieces iced in the ice making device may be provid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얼음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ice storage contain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제빙장치에서 제조된 얼음조각이 저장되는 상기 얼음저장용기를 상기 냉동실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동실도어를 회동시켜서 상기 냉동실을 개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출납이 번거로워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First, in order to take out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ice pieces manufactured by the ice making device are stored to the outside of the freezing compartment, the freezing compartment door should be rotated to open the freezing compartment. Therefore, a disadvantage arises that the putting in and out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becomes cumbersome.

둘째, 상기 얼음저장용기를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냉동실을 개방시키면, 냉동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동실의 냉기가 불필요하게 외부로 유출되어 냉장고의 소모전력이 증가하게 된다.Second, when the freezer compartment is opened to withdraw the ice storage container, the cold air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flows outward.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the ice storage container, cold air of the freezer compartment is unnecessarily leaked to the outside to increase power consumption of the refrigerator.

셋째, 상기 얼음저장용기는 상기 냉동실의 내부에 수납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저장된 얼음에 상기 냉동실에 저장된 다른 음식물의 냄새가 배는 단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ird,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a disadvantage may occur in that the smell of other food stor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is stored in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넷째, 상기 얼음저장용기는 그 용적이 정해진 상태로 냉장실에 구비된다. 따라서 여름철과 같이 많은 양의 얼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여러 번 제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Fourth,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in a predetermined volume.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ice is required, such as summ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be iced several time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게 얼음을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얼음저장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easily withdraw the ice, and to provide a refrigerator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ice storag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 상기 도어의 배면 측에서 얼음조각이 저장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출납가능하게 구비되는 얼음저장용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출납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부피조절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Ice storage container is stored on the back side of the door,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to be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Guide unit for guiding the withdrawal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a volume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stages.

상기 얼음저장용기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확장용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ice storage container, the body portion of the hexahedron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pen; And an expansion container which is inser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o form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upper surface is opened.

상기 부피조절유닛은, 상기 몸체부 양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의 양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에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으로 형성되는 부피조절홈; 상기 부피조절홈에 대응되게 타방에 형성되는 부피조절돌기; 및 상기 부피조절홈과 상기 부피조절돌기의 상대운동을 단계적으로 구속시키는 구속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ume control unit, the volume control groove is form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on any one of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corresponding thereto; A volume control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 correspond to the volume control groove; And a restraining unit for restrain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olume adjusting groove and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in stages.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부피조절홈과 상기 부피조절돌기 중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구속홈; 및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에 단계적으로 구속되는 구속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restraint unit includes: a restraint groove formed in one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and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and provided along a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a restrai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restrained step by step in the restraint groove.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개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를 상기 개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개구의 내외부로 출납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가 출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part fixed inside the opening and guid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opening; And a second guide part which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and withdrawn into and out of the opening, and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seated to be retractabl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얼음저장용기의 용적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변된다. 따라서 필요한 얼음조각의 양이 많은 여름철과 같은 상황에서 여러 번 제빙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First, the volume of the ice container varies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ake ice several times in a situation such as summer when the amount of ice pieces is large.

둘째, 얼음저장용기에 저장된 얼음조각이 홈바를 통하여 출납된다. 따라서 도어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를 냉장고의 내외부로 출납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간단하게 얼음조각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Second, the ice pieces stor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withdrawn through the home bar. Therefore, since the ice storage container can be withdrawn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efrigerator without the door open, the ice cube can be taken out and used more simply.

셋째, 얼음저장용기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홈바를 통하여 출납되므로,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의하여 홈바에 저장되는 식품의 출납이 방해받거나 아이스뱅크에 저장된 얼음에 의하여 상기 아이스뱅크의 출납이 방해받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ird, since the ice storage container moves downward inclined and withdraws through the home bar,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or exiting the food stored in the home bar, or the withdrawal of the ice bank is interrupted by the ice stored in the ice bank. It can be minimized.

넷째, 얼음저장용기가 냉동실도어의 이면에 설치되는 소정의 설치공간에 설 치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에 저장된 얼음조각에 상기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식품의 냄새가 배는 현상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위생적이고 쾌적하게 얼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Fourth,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pace that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eezer door. Therefore, the phenomenon that the smell of foo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is minimized by the ice pieces stor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ice more hygienically and comfortab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의 내부에는 냉동실(11)과 냉장실(13)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가 각각의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는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3)을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1 and 2, the freezer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are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body 10. The freezing compartment 11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 are divided left and right inside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freezing chamber door 11a and a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so that the other end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around each end.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eezing chamber 11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13, respectively.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 양측단부에는 지지측벽(11b)(13b)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supporting side walls 11b and 13b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상기 지지측벽(11b)(13b)은 상기 냉동실도어(11a) 및 냉장실도어(13a)의 이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 일부가 후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supporting side walls 11b and 13b are formed by protruding a portion of the door liner forming the rear surface appearan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by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지지측벽(11b)(13b)의 마주보는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돌기(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not shown)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opposite surfaces of the support side walls 11b and 13b.

상기 지지측벽(11b)(13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는 다수개의 도어바스켓(14)이 구비된다. A plurality of door baskets 14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reezing chamber doors 11a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s 13a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side walls 11b and 13b.

상기 도어바스켓(14)의 내부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바스켓(14)은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The interior of the door basket 14 i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food. The door basket 14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s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1a)와 냉장실도어(13a)에는 각각 홈바(15)(17)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15)(17)는 상기 냉장실도어(13a)와 냉동실도어(11a)를 열지 않고 음료수와 같은 식품을 출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홈바(15)(17)는 홈바하우징(15a)(17a)과 홈바도어(15b)(17b)로 각각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and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is provided with groove bars (15, 17), respectively. The home bars 15 and 17 are for dispensing food such as beverages without opening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The home bars 15 and 17 are respectively composed of home bar housings 15a and 17a and home bar doors 15b and 17b.

상기 홈바하우징(15a)(17a)은 상면과 상기 냉동실도어(11a) 또는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 밀착되는 후면이 개구되는 대략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바하우징(15a)(17a)은 상기 지지측벽(11b)(13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11a) 또는 냉장실도어(13a)의 이면에 구비된다. 상기 홈바하우징(15a)(17a)의 내부에는 음료수 등이 저장되는 저장공간(15s)(17s)이 구비된다.The groove housings 15a and 17a are formed in an approximately polyhedral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and a rear surface closely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are opened. The home bag housings 15a and 17a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side walls 11b and 13b. Inside the home housing (15a) (17a) is provided with storage space (15s) (17s) for storing the beverage and the like.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11a) 또는 냉장실도어(13a)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구(15c)(17c)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15c)(17c) 중 상기 냉동실도어(11a)에 형성되는 개구(15c)는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과 연통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is cut to form the openings 15c and 17c. The opening 15c form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1a among the openings 15c and 17c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따라서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의 내외부로 식품이 출납되거나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에 설치되는 얼음저장 용기(100)(도 3 참조)가 출납된다.Therefore, the food container is placed in or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or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FIG. 3). Are withdrawn.

상기 개구(15c)(17c) 중 상기 냉장실도어(13a)에 형성되는 개구(17c)는 상기 홈바하우징(17a)의 저장공간(17s)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17c)를 통하여 홈바하우징(17a)의 저장공간(17s) 내외부로 식품이 출납된다.The opening 17c form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among the openings 15c and 17c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space 17s of the home housing 17a. Therefore, the food is fed into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7s of the home bag housing 17a through the opening 17c.

상기 홈바도어(15b)(17b)는 상기 냉동실도어(11a) 또는 냉장실도어(13a)의 전면에 각각 그 하단을 중심으로 선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홈바도어(15b)(17b)는 상기 개구(15c)(17c)를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grooved bar doors 15b and 17b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ont end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or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13a about their lower ends. The groove bar doors 15b and 17b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penings 15c and 17c, respectively.

특히, 상기 냉동실도어(11a)에 설치되는 상기 홈바도어(15b)에 의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In particular,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home bar door 15b install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1a.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냉동실도어(11a)의 이면에는 얼음조각을 제빙하는 제빙기(22)가 구비될 수 있다.An ice maker 2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home housing 15a to make ice chips.

상기 제빙기(22)의 상측에는 상기 제빙기(22)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21)이 장착될 수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ice maker 22 may be equipped with a bucket 21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er 22.

이때, 상기 제빙기(22)에서 제빙된 얼음조각은 상기 홈바하우징(15a)으로 전달되며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에 설치되는 얼음저장용기(100)(도 3 참조)에 저장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ice pieces iced in the ice maker 22 are transferred to the home bag housing 15a and stor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see FIG. 3)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Will be.

이와 달리,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로 얼음조각이 전달되는 구조라면 상기 제빙기(22)와 상기 물통(21)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contrary, if the ice cube is delivered to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e positions of the ice maker 22 and the bucket 21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이하에서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에 있어서 I-I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보인 사시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storage container mounted in FIG. 3, and FIG. 5 shows an ice storage container and a second guide part in FIG. 4. Perspective view.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에는 얼음저장용기(100)가 설치된다.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3 to 5,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installed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을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이 개방된 얼음저장공간(100s)을 형성하는 확장용기(120)로 구성된다.And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hexahedron-shaped body portion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is possible It consists of an expansion container 120 to form the open ice storage space (100s).

여기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일면은 상기 얼음저장공간(100s)에 저장된 얼음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one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o identify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100s)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에는, 상기 확장용기(120)의 전면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후면쪽으로 함몰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과 상기 확장용기(12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01)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recessed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to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between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front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Handle portion 101 may be provid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냉동실도어(11a)의 전면에서 보이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일면, 즉 상기 홈바도어(15b)에 의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이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일면을 얼음저장용기(100)의 전면이라 칭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may be opened by one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at is, the home bar door 15b, which is see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1a. One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en when the front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그 출납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140,150)에 의해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에 설치된다.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by the guide units (140, 150) for guiding the withdrawal.

상기 가이드유닛(140,150)은, 상기 개구(15c)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를 상기 개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140)와 상기 제1가이드부(14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개구(15c)의 내외부로 출납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출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가이드부(150)를 포함한다.The guide units 140 and 150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15c and guid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opening, and the first guide part 140 and the first guide part. It is guided by the 140 and withdrawn into and out of the opening (15c),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ncludes a second guide portion 150 is seated releasably.

먼저, 상기 제1가이드부(140)와 제2가이드부(150)의 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First, the coupling of the first guide part 140 and the second guide part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1가이드부(140)은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를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개구된 전면, 즉 상기 개구(15c)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first guide part 140 downwards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toward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first guide part 140, that is, the opening 15c. Guide them to move at an angle.

이는 상기 개구(15c)를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얼음저장공간(100s)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개구(15c)에 인접하는 상기 냉동실도어(11a)의 이면에 걸림으로써 얼음저장용기(100)의 출납시 방해받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150 are withdrawn into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in which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100s is disturbed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dismounted by being cau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adjacent to the opening 15c.

이를 위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를 상기 개구(15c)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에는 각각 한쌍의 가이드슬롯(141)이 구비된다. To this end, in order to guid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pening 15c, a pair of guide slots 141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guide portion 140, respectively. Is provided.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양측면 외측에는 각각 한쌍의 가이드돌 기(151)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protrusions 151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respectively.

상기 가이드돌기(151)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The guide protrusion 151 may be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in a state wher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To guide you.

상기 가이드돌기(151)는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상기 가이드슬롯(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슬롯(141)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The guide protrusion 151 slides along the guide slot 141 in a state where the guide protrusion 151 is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141 of the first guide part 140.

상기 가이드돌기(151)는 제1가이드돌기(152)와 제2가이드돌기(153)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양측면 외측 중앙부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The guide protrusion 151 includes a first guide protrusion 152 and a second guide protrusion 153.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protrudes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both side outer center portions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153)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양측면 외측 후단부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와 제2가이드돌기(153)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되는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protrudes outward from the center of both side outer rear ends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That is, in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are storage space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15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f entering and exiting in and out.

이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150 to be horizontal in a state of being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한편,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를 안내하기 위하여 제1가이드부(14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guide portion 140 to guide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t is provided.

상기 제1가이드부(140)은 전후면 및 하부가 개구되는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전방으로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guide part 14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front and rear surfaces and a lower part thereof are opened, and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thereof so that the first guide part 140 is retractable forward.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상면에는 얼음이송개구(144)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이송개구(144)는 상기 제빙기(22)에서 제조된 얼음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얼음저장공간(100s)으로 공급되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얼음이송개구(144)는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얼음이송개구(144)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개구된 상부, 즉 상기 얼음저장공간(100s)의 입구와 동일 또는 그 이하의 크기인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ice transfer opening 144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part 140.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22 is supplied to the ice storage space 100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is formed by opening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part 140.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size equal to or less than an opening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at is, an inlet of the ice storage space 100s.

그리고, 상기 얼음이송개구(144)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상면에는 얼음이송안내부(145)가 구비된다. 상기 얼음이송안내부(145)는 그 양측면이 상기 얼음이송개구(144)를 향하여 하향경사지는 호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얼음이송안내부(145)는 상기 제빙기(22)에서 제조된 얼음이 상기 얼음이송개구(144)를 통하여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얼음저장공간(100s)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n ice transfer guide 145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portion 140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The ice transfer guide 145 is formed in a hopper shape in which both sides thereof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The ice transfer guide unit 145 serves to guide the ice produced by the ice maker 22 to the ice storage space 100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rough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외측에는 고정홈(14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47)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홈(147)에는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으로 돌출되는 상기 냉동실도어(11a)의 지지측벽(11b)에 구비되는 고정돌기(미도시)가 삽입된다.In addition, fixing grooves 147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guide part 140, respectively. The fixing groove 147 is for fixing the first guide part 140. A fixing protrus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supporting side wall 11b of the freezing chamber door 11a protruding into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47.

한편, 상기 가이드슬롯(141)은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1가이드슬롯(142)과, 상기 제2가이드돌기(15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가이드슬롯(143)으로 구성된다.The guide slot 141 includes a first guide slot 142 in which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is inserted and slides, and a second guide slot 143 in which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is inserted and sliding. It is composed of

상기 제1가이드슬롯(142)에는 제1수평구간(142a)과 경사구간(142b), 그리고 제2수평구간(142c)이 구비된다. The first guide slot 142 is provided with a first horizontal section 142a, an inclined section 142b, and a second horizontal section 142c.

상기 제1수평구간(142a)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중앙부 상단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되는 방향, 즉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전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The first horizontal section 142a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pulled from the upper end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guide part 140, that is, the first guide part. It extends horizontally toward a front end of both sides of the part 140 by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고 상기 경사구간(142b)은 상기 제1수평구간(142a)의 전단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The inclined section 142b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drawn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ection 142a. do.

상기 제2수평구간(142c)은 상기 경사구간(142b)의 전단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2수평구간(142c)의 전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전단부 중앙에 위치된다.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2c extends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drawn from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ection 142b.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2c is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front end parts of the first guide part 140.

한편, 상기 제2가이드슬롯(143)에도 제1수평구간(143a)과 경사구간(143b), 그리고 제2수평구간(143c)이 구비된다. The second guide slot 143 also includes a first horizontal section 143a, an inclined section 143b, and a second horizontal section 143c.

상기 제1수평구간(143a)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후단부 중앙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되는 방향, 즉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전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The first horizontal section 143a is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art 150 i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drawn out from the center of the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guide part 140. It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end of the guide portion 140 by a predetermined length.

그리고 상기 경사구간(143b)은 상기 제1수평구간(143a)의 전단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The inclined section 143b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drawn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ection 143a. do.

상기 제2수평구간(143c)은 상기 경사구간(143b)의 전단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2수평구간(143c)의 전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전단부 하단에 위치된다.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3c extends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pulled out at the front end of the inclined section 143b.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3c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 front ends of the first guide part 140.

이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 즉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와 제2가이드돌기(153)가 각각 상기 제1가이드슬롯(142)의 제1수평구간(142a) 후단과 상기 제2가이드슬롯(143)의 제1수평구간(143a) 후단에 위치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is positioned inside the first guide part 140, 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located in the home housing.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15a,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are respectively the first horizontal section 142a of the first guide slot 142. It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ection 143a of the second guide slot 143.

이때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는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그 상면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얼음이송개구(144) 및 상기 개구(15c)의 상단에 인접되게 위치된다.In this cas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150 are horizontally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and the opening 15c of the first guide part 140. Is located.

다음으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개구(15c)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와 제2가이드돌기(153)는 각각 상기 제1가이드슬롯(142)의 경사구간(142b)과 상기 제2가이드슬롯(143)의 경사구간(143b)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Next, when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moves toward the opening 15c,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are respectively It slides along the inclined section 142b of the first guide slot 142 and the inclined section 143b of the second guide slot 143.

따라서 상기 제2가이드부(150)는 상기 개구(15c)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 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의 상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얼음이송개구(144) 및 상기 개구(15c)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된다.Accordingly, the second guide part 150 moves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opening 15c.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ice transfer opening 144 and the opening 15c of the first guide portion 1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o.

한편,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되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개구(15c)를 향하여 계속하여 이동하면,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와 제2가이드돌기(153)는 각각 상기 제1가이드슬롯(142)의 제2수평구간(142c)과 상기 제2가이드슬롯(143)의 제2수평구간(142c)을 따라서 슬라이딩한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continues to move toward the opening 15c, 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may be Each slides along 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2c of the first guide slot 142 and 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2c of the second guide slot 143.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152)와 제2가이드돌기(153)가 각각 상기 제1가이드슬롯(142)의 제2수평구간(142c) 전단과 상기 제2가이드슬롯(143)의 제2수평구간(142c) 전단에 위치되면, 상기 제2가이드부(150) 및 이에 안착되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선단 일부가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된다.The first guide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guide protrusion 153 respectively have a front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ection 142c of the first guide slot 142 and a second horizontal section of the second guide slot 143. When it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the second guide part 150 and a portion of the tip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seated thereon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It is drawn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제2가이드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14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140 in a state i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on the second guide part 150.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생략되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제1가이드부(140)에 의하여 직접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second guide part 150 may be omitted so that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may be directly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140.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을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하여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제1가이드부(140)에 형성되는 가이드슬롯(141)의 전단, 즉 제2수평구간(142c,143c)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양측면 전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guide slot 141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140 in order to withdraw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s, that is, the second horizontal sections 142c and 143c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both front ends of the first guide part 140 to be opened to the outside.

다음으로, 상기 제2가이드부(150)와 얼음저장용기(100)의 결합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Next,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and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의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을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이 개방된 얼음저장공간(100s)을 형성하는 확장용기(120)로 구성된다.5, as described abov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110 of the hexahedra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The expansion container 120 is inserted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inner surface to form an ice storage space (100s) of the upper surface is opened.

한편, 상기 제2가이드부(150)는 상기 몸체부에 대응되며, 상하면과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corresponds to the body portion, and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ront open.

이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150)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140)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개구부(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상기 제2가이드부(15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140 in a state wher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to store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In and out of the space 15s,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guided by the second guide part 150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Are withdrawn.

이를 위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전면에는 걸림리브(1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양측면 상단 후단부에는 연동돌기(113)가 각각 구비된다. To this end, a locking rib 115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interlocking protrusions 113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150)에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지지를 위해 그 양측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55)가 구비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양측면 상단 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양측면 상단 전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 부(110)의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연동리브(154)가 각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155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from the lower end of both sides for the support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t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two guide portion 150, and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0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in the upper end of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Interlocking ribs 154 are provided.

상기 걸림리브(115)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전면 하단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전면 좌우측단에서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locking rib 115 extends dow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s left and right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연동돌기(113)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양측면 상단 후단부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된다.The interlocking protrusion 113 protrudes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걸림리브(115)와 연동돌기(113)는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외부로 출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에 연동하여 제2가이드부(150)가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locking ribs 115 and the interlocking protrusions 113 interlock wit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at moves in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r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The second guide unit 150 serves to move.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리브(115)와 연동돌기(113)는 각각 제2가이드부(150)의 양측면 전단과 제2가이드부(150)의 연동리브(154)의 후단에 선택적으로 밀착된다.To this end, the locking ribs 115 and the interlocking protrusions 113 are selectiv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both front ends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and the rear end of the interlocking rib 154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respectively.

한편,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 하단 후단부에는 경사부(111)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clined portion 111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상기 경사부(111)는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 하단 후단부가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하향경사짐으로써 형성된다. The inclined portion 111 is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rear end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110 are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It is formed by tilting downward toward it.

상기 경사부(111)는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를 제2가이드부(1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향경사지게 이동시켜서 제2가이드부(150)에서 탈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The inclined portion 111 has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on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It is to be removed from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by moving upwardly inclined.

이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리브(115)가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바닥면 선단을 밀어줌으로써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에 연동하여 수납된다.As a result,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received into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the locking ribs 115 are bottomed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By pushing the tip,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다음으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개구부(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연동돌기(113)가 상기 연동리브(154)의 후단에 밀착되어 연동리브(154)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에 연동하여 인출된다.Next,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be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the opening 15c, the interlocking protrusion 113 is the interlocking rib (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pulled out by interlocking wit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by pushing the interlocking rib 154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154.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걸림리브(115)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에 연동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140)를 타고 수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received into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moved by the locking ribs 115. It is interlocked wit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is accommodated on the first guide part 140.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후면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후면에 밀려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Unlike this, however,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accommodated into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is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t may be configured to be pushed in the rear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부피조절유닛(13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olume control unit 130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step by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FIG. 5.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부피조절유닛(130)은, 상기 몸체부(110)에 대한 상기 확장용기(120)의 운동을 단계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부피를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6, the volum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by stepwise con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10.

상기 부피조절유닛(130)은, 상기 몸체부(110) 양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120)의 양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과 이에 대응되는 타방에 각각 형성되는 부피조절홈(131)과 부피조절돌기(132)을 포함하며, 상기 부피조절홈(131)과 상기 부피조절돌기(132)의 상대운동을 단계적으로 구속시키는 구속유닛(133,134)을 포함한다.The volume control unit 130,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and the volume respectively formed in any one of the both sides of the outer side and th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and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110, respectively It includes a control projection 132, and includes a restriction unit (133, 134) for restrain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and the volume control projection (132) step by step.

도 6에서는, 상기 부피조절홈(131)이 상기 확장용기(120)에 형성되고, 상기 부피조절돌기(132)가 상기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6, the volume adjusting groove 131 is formed in the expansion container 120, and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132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can be interchanged.

상기 부피조절홈(131)은 상기 확장용기(120)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확장용기(12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부피조절방향으로 형성된다.The volume control grooves 1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respectively, and are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That is, it is form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부피조절홈(131)은, 상기 확장용기(120)의 양측면 일부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저온의 환경에서 보관되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특성상 강도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확장용기(120)의 양측면 일부가 상기 확장용기(12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may be form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in order to prevent the weakening of strengt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stored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is preferably bent to the inside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한편,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부피를 최대로 확장시킬 때, 상기 부피조절홈(131)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부피조절돌기(132)가 상기 확장용기(120)의 상단으 로 이탈되어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확장용기(12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부피조절홈(131)의 상단은 막혀 있는 상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expand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o the maximum,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132 moved along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is separated to the upper end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body 110 and the expansion container 120, the upper end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is preferably formed in a blocked state.

상기 부피조절돌기(132)는, 상기 부피조절홈(131)에 대응되게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다.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132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110 to correspond to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이때, 상기 부피조절돌기(132)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최대용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면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132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inner side lower ends of the body portion 110 to maximize the maximum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상기 구속유닛(133,134)은, 상기 부피조절홈(131)과 상기 부피조절돌기(132) 중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구속홈(133)과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133)에 단계적으로 구속되는 구속돌기(134)를 포함한다.The restraining units 133 and 134 are formed in one of the volume adjusting groove 131 and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132 and the other restraining groove 133 provided along the volume adjusting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t is formed in the constraint groove 133 includes a restriction projection 134 is stepped.

도 6에는, 상기 구속홈(133)이 상기 부피조절홈(131)에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구속돌기(134)가 상기 부피조절돌기(132)에 형성되는 것이 일 예로 도시되었다.6, the restriction groove 133 is provided in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spaced apart along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restriction projection 134 is the volume control projection 132 It is shown as an example that is formed in.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구속홈(133)과 상기 구속돌기(134)의 위치는 상호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s of the restricting groove 133 and the restricting protrusion 134 may be changed.

한편, 상기 구속홈(133)은 상기 부피조절홈(131)을 형성하는 내면과 양측면 중 양측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출납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straint groove 133 is formed on any one of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and both sides forming the volume control groove 131, is formed to open in the cashier container 100 in the cashier direction.

또한, 상기 구속돌기(134)는, 상기 구속홈(133)에 대응되게 상기 부피조절돌 기(132)의 측면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straining protrusion 134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132 to correspond to the restraining groove 133.

여기서, 상기 구속돌기(134)는,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부피조절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형성된다.Here, the restraining protrusion 134 is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134)는, 상기 부피조절돌기(132)의 내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축스프링 등에 의해 지지되는 구속돌기(134)의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raining protrusion 134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13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straint protrusion 134 supported by the compression spring may be formed.

한편, 상기 구속홈(133)은, 그 내측 양측면이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구속돌기(13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straint groove 133,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This i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straint protrusion 134.

따라서, 상기 구속홈(133)의 상측은 상기 확장용기(120)의 상면 쪽으로 상향경사지게, 상기 구속홈(133)의 하측은 상기 확장용기(120)의 하면 쪽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Accordingly, the upper side of the constraining groove 133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straining groove 133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expansion container 1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출납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ithdrawal proces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의 출납과정 및 부피조절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7 to 9 is a view showing the withdrawal process and volume control proces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얼음저장공간(100s)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홈바(15)의 홈바도어(15b)를 열어서 개구(15c)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를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의 외부, 즉 인출방향으로 잡아당긴다.As shown in FIG. 7, in order to use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100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e opening 15c is opened by first opening the home bar door 15b of the home bar 15. . T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pulled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housing 15a, that i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안착된 제2가이드부(150)도 양자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인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와 제2가이드부(150)의 이동은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가이드돌기(151)와 상기 제1가이드부(140)의 가이드슬롯(141)에 의하여 안내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guide part 150 o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ated also moves in the extraction direction by friction between the two guide parts 150.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guide part 150 are moved by the guide protrusion 151 of the second guide part 150 and the guide slot 141 of the first guide part 140. You are guided.

즉 상기 제2가이드부(150)가 인출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다가 하향경사지게 이동한 후에 다시 수평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얼음저장공간(100s)에 얼음이 과다하게 저장되어 얼음저장용기(100)의 상방으로 얼음의 일부가 돌출되더라도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출납이 상기 냉동실도어(11a)에 의하여 갑섭받지 않게 된다.That is, the second guide part 150 moves horizontally in the drawing direction and then moves downward inclined downward and then moves horizontally again. Therefore, even if the ice is excessively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100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protrudes a portion of the ice abov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the withdrawal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It is not harassed by (11a).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151)가 상기 가이드슬롯(141)의 전단에 위치되면, 상기 제2가이드부(150)는 더 이상 인출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When the guide protrusion 151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guide slot 141, the second guide part 150 no longer moves in the drawing direc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를 인출방향으로 계속해서 잡아당기면,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만 인출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된다.In such a state, as shown in FIG. 9,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continuously pulled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nly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moves in the extraction direction, and through the opening 15c. It is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이때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연동돌기(113)가 상기 제2가이드부(150)의 연동리브(154) 후단에 밀착될 때까지 인출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돌기(113)가 상기 연동리브(154)의 후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는 그 선단 일부만 상기 개구(15c)를 통하여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인출된다.At this tim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moves in the withdrawal direction until the interlocking protrusion 1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interlocking rib 154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50. And the interlocking protrusion 1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interlocking rib 154,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the storage space of the home housing (15a) through only the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opening (15c) 15s) is drawn ou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를 그 선단이 인출방향을 향하여 상향경사지도록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제2가이드부(150)에서 탈거됨과 동시에 상기 홈바하우징(15a)의 저장공간(15s) 외부로 완전하게 인출된다. 이때 상기 얼음저장용기(100)의 경사부(111)에 의하여 얼음저장용기(100)가 상기 제2가이드부(15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양자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In this stat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moved so that its tip is inclined upwar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Accordingly,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removed from the second guide part 150 and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storage space 15s of the home bag housing 15a. At this time,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guide part 150 by the inclined portion 111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100 so that both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scription, a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그 구성에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부피조절유닛(230)을 구성하는 상기 구속유닛(233,234)의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constitution units 233 and 234 constituting the volume control unit 230 are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피조절유닛(230)은, 상기 몸체부(210) 양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220)의 양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과 이에 대응되는 타방에 각각 형성되는 부피조절홈(231)과 부피조절돌기(232)을 포함하며, 상기 부피조절홈(231)과 상기 부피조절돌기(232)의 상대운동을 단계적으로 구속시키는 구속유닛(233,234)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ume control unit 230 may include any one of the inn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outer sides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220 corresponding thereto. And a volume adjusting groove 231 and a volume adjusting protrusion 232 respectively formed in the restraining units 233 and 234 for restrain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olume adjusting groove 231 and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232 stepwise. Include.

상기 부피조절홈(231)은 상기 확장용기(220)의 양측면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확장용기(22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얼음저장용기(200)의 부피조절방향으로 형성된다.The volume control grooves 231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expansion vessel 220, and are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expansion vessel 220. That is, it is form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200.

상기 부피조절홈(231)은, 상기 확장용기(220)의 양측면 일부가 상기 확장용기(22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volume control groove 231 is formed by bending part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220 into the expansion container 220.

상기 부피조절돌기(232)는, 상기 부피조절홈(231)에 대응되게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면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부피조절돌기(232)는, 상기 얼음저장용기(200)의 최대용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210)의 양측면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232 i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210 to correspond to the volume adjusting groove 231. At this time,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232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inner side lower ends of the body portion 210 in order to maximize the maximum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200).

한편, 상기 구속유닛(233,234)은, 상기 부피조절홈(231)과 상기 부피조절돌기(232) 중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200)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사인파(sine wave)로 구비되는 구속홈(233)과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233)에 대응되게 그 단면이 사인파로 구비되는 구속돌기(234)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straining units 233, 234, is formed in one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231 and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232, the cross section along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200 (sine wave (sine) and a constraining groove 233 provided as a wave and a constraining protrusion 234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sinusoid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training groove 233.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233)은, 상기 확장용기(220)의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얼음저장용기(200)의 용적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raint groove 233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pansion container 220. Therefore,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20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234)는, 연속적인 사인파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구속홈(233)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확장용기(220)가 결합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raining protrusion 234 is provided in plurality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training groove 233 formed in a continuous sinusoidal shape. Therefore, the force to which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expansion container 220 are coupled increases.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234)는,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얼음저장용기(200)의 부피조절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raining protrusion 234,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ice storage container 200 is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scription, a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피조절유닛(330)은, 상기 몸체부(310) 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320)의 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300)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사인파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조절부(331)와 상기 제1조절부(331)에 형합되게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300)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사인파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조절부(33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ume control unit 330 is formed at any one of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outer side of the side of the expansion container 320 corresponding thereto. A cross section is formed along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300 to the first control unit 331 and the first control unit 331 provided in a sinusoidal shape, the ice storage container 300 A second control unit 332 is formed in a sinusoidal cross-section along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부피조절유닛(330)은 서로 대응되는 상기 몸체부(310)의 측면 내측과 상기 확장용기(3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 단면 형상은 상기 얼음저장용기(300)의 부피조절방향으로 사인파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volume control unit 3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outer side of the expansion container 32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to have a sinusoidal wave shape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300).

이에 의해, 상기 제1조절부(331)와 상기 제2조절부(332)가 형합됨으로써 상기 몸체부(310)와 상기 확장용기(320)가 결합되며, 사인파단면을 따라 상기 몸체부(310)와 상기 확장용기(320)의 상대운동이 가능해진다.As a result, the first control part 331 and the second control part 332 are combined to form the body part 310 and the expansion container 320, and the body part 310 along a sinusoidal fracture surface. 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expansion vessel 320 becomes possible.

이때, 상기 몸체부(310)와 상기 확장용기(320)의 상대운동을 위해 상기 몸체부(310)의 측면 내측과 상기 확장용기(320)의 외측 사이에는 소정을 간극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outer side of the expansion vessel 320 for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ody portion 310 and the expansion vessel 3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scription, a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below.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1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피조절유닛(430)은 상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ume control unit 430 may be applied as i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피조절유닛(430)은, 상기 몸체부(410) 양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420)의 양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과 이에 대응되는 타방에 각각 형성되는 부피조절홈(431)과 부피조절돌기(432)을 포함하며, 상기 부피조절홈(431)과 상기 부피조절돌기(432)의 상대운동을 단계적으로 구속시키는 구속유닛(433,434)을 포함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ume control unit 430 is formed on any one of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410 and the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420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other corresponding thereto, respectively. It includes a volume control groove 431 and the volume control projection 432, and includes a restriction unit (433, 434) for restrain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431 and the volume control projection (432) step by step.

다만,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10)의 양측면 내측에는 상기 얼음저장용기(400)의 부피조절방향으로 가이드리브(435)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확장용기(420)의 양측면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리브(435)가 타고 이동되는 가이드홈(436)이 형성된다.However, referring to FIG.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guide ribs 435 are form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400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part 410, and the expansion container corresponding thereto. Guide grooves 436 through which the guide ribs 435 are moved are formed at both outer sides of the 420.

이는, 상기 몸체부(410)의 내면과 상기 확장용기(420)의 외면 사이에 공차 등에 의해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얼음저장용기(400)의 용적을 변화시킬 때, 상기 몸체부(410)와 상기 확장용기(420) 사이에 유동으로 인해 상기 부피조절돌기(432)가 상기 부피조절홈(431)에 끼어 움직이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when a gap occur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xpansion container 420, such as a tolerance, when chang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400, the body portion 410 This is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432 is stuck in the volume control groove 431 due to the flow between the expansion container and 420.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사상과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further described above. Even if embodiments are not listed one by one in the description, they should be construed broadly within the spirit and scope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보인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있어서 I-I의 단면을 보인 도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 in Figure 1,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mounted in Figure 3,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in Figure 4,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FIG. 5;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의 출납과정 및 부피조절과정을 나타낸 도면,7 to 9 is a view showing a cashier and the volume control process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와 제2가이드부를 분해하여 보인 도면이다.1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cond guide par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상기 도어의 배면 측에서 얼음조각이 저장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출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확장용기를 갖는 얼음저장용기; 및A piece of ice is stored at the rear side of the door, and is provided to be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and the upper and lower storage bodies are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insert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inner surface. Ice storage container having an expansion container to form; And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부피조절유닛;을 포함하고,And a volume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stages. 상기 부피조절유닛은, The volume control unit, 상기 몸체부 양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의 양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에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으로 형성되는 부피조절홈;Volume control grooves form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any one of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uter side of both sides of the expansion container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부피조절홈에 대응되게 타방에 형성되는 부피조절돌기; 및A volume control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to correspond to the volume control groove; And 상기 부피조절홈과 상기 부피조절돌기의 상대운동을 단계적으로 구속시키는 구속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restraining unit for restrain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volume adjusting groove and the volume adjusting protrusion in stag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straint unit, 상기 부피조절홈과 상기 부피조절돌기 중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구속홈; 및A restriction groove formed in one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and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and provided along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에 단계적으로 구속되는 구속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restrai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restrained stepwise to the restraint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straint unit, 상기 부피조절홈과 상기 부피조절돌기 중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사인파(sine wave)로 구비되는 구속홈; 및A confinement groove formed in one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and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and having a sine wave in cross section along a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구속돌기;를 포함함을 특 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restraint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restraint groov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구속홈은,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출납방향으로 개방되게 상기 부피조절홈의 양측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며, The restraint groove is formed on any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volume control groove to b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구속홈에 대응되게 상기 부피조절돌기의 측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straint protrusion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volume control protrusion to correspond to the restraint groove.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돌기는, The method of claim 6 or 7, wherein the restraining projection,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은,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straint groove, 그 내측 양측면이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Both sides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formed in the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도어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상기 도어의 배면 측에서 얼음조각이 저장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출납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이 개방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확장용기를 갖는 얼음저장용기; 및A piece of ice is stored at the rear side of the door, and is provided to be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and the upper and lower storage bodies are opened and the upper and lower storage spaces are inserted to enabl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inner surface. Ice storage container having an expansion container to form; And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용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부피조절유닛;을 포함하고,And a volume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volume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in stages. 상기 부피조절유닛은, The volume control unit, 상기 몸체부 측면 내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확장용기의 측면 외측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조절부; 및A first adjusting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side and an outer side of the expansion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body part and provided along a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상기 제1조절부에 형합되게 타방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부피조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second control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in conformity with the first control part and formed along a volume contro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제 5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출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유닛이 더 구비되고, According to claim 5 or 11, The guide unit is further provided to guide the withdrawal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상기 가이드유닛은, The guide unit, 상기 개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를 상기 개구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A first guide part fixed in the opening and guiding the ice storage container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opening; And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개구의 내외부로 출납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가 출납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second guide part which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part and withdrawn into and out of the opening, and wherei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receivably seated therein.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가이드부의 양측면 외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1가이드부의 양측면 내측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가 타방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pair of guide protrusions formed at either one of the outer sid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guide portion are sli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ir of guide slots formed at the other si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guide portion, 상기 몸체부에 대응되며, 상하면과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얼음저장용기가 상기 개구의 내외부로 출납되게 가이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corresponds to the body part, and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front surface open, and guides the ice storage container to be drawn in and out of the opening.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지지를 위해 그 양측면 하단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The second guide portion, the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from the lower end of both sides for the support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And 상기 제2가이드부의 양측면 상단 전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두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쌍의 연동리브;를 포함하며,And a pair of interlocking ribs formed at upper end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extending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 상단 후단부에는,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가 연동되어 인출되게 한쌍의 연동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inter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at both rear upper ends of the body to draw out the guide when the ice storage container is pulled out. 제 5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 하단 후단부는, According to claim 5 or 11, Both side lower end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인출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downwar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ice storage contain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는,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서로 형합될 수 있는 사인파(sine wav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ine wave shape that can be matched with each other.
KR1020080011952A 2008-02-05 2008-02-05 Refrigerator KR100965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52A KR100965361B1 (en) 2008-02-05 2008-02-05 Refrigerator
US12/865,916 US20110005262A1 (en) 2008-02-05 2008-12-18 Refrigerator
EP16197191.6A EP3153803B1 (en) 2008-02-05 2008-12-18 Refrigerator
ES08872167.5T ES2611078T3 (en) 2008-02-05 2008-12-18 Fridge
CN200880125460XA CN101925789B (en) 2008-02-05 2008-12-18 Refrigerator
PCT/KR2008/007520 WO2009099270A2 (en) 2008-02-05 2008-12-18 Refrigerator
EP08872167.5A EP2235456B1 (en) 2008-02-05 2008-12-1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952A KR100965361B1 (en) 2008-02-05 2008-02-05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974A KR20090085974A (en) 2009-08-10
KR100965361B1 true KR100965361B1 (en) 2010-06-22

Family

ID=4095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952A KR100965361B1 (en) 2008-02-05 2008-02-05 Refrigerato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05262A1 (en)
EP (2) EP2235456B1 (en)
KR (1) KR100965361B1 (en)
CN (1) CN101925789B (en)
ES (1) ES2611078T3 (en)
WO (1) WO2009099270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0891A (en)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373219B1 (en) * 2015-12-10 2022-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N113571894B (en) * 2021-09-26 2021-11-26 南通安荣智能科技有限公司 Marine antenna housing convenient to mainta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598A (en) * 2005-09-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Storage container of refrigerator ice making machine
KR20070082748A (en) * 2006-02-17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039A (en) * 1979-09-13 1981-05-26 Whirlpool Corporation Ice receptacle support
US4735470A (en) * 1986-03-28 1988-04-05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a secondary food storage arrangement
WO1994024008A1 (en) * 1991-10-18 1994-10-27 Ab Cerbo-Hertila A telescopic package
US5641217A (en) * 1995-08-02 1997-06-24 Sub-Zero Freezer Company, Inc. Slide shelf system for a deli/crisper drawer
CN2531325Y (en) * 2002-02-21 2003-01-15 青岛市家用电器研究所 Ice-storing box of ice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ice capacity
CN2559295Y (en) * 2002-07-22 2003-07-09 青岛市家用电器研究所 Ice making machine for drinking water
KR101035032B1 (en) * 2003-12-11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Volume changeable ice storage box for refrigerator
JP2006214615A (en) * 2005-02-01 2006-08-17 Toshiba Corp Refrigerator
KR20070041011A (en) * 2005-10-13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torage container of refrigerator ice making machine
US7475562B2 (en) * 2005-12-29 2009-01-13 Maytag Corporation Ice storage drawer for a bottom mount refrigerator
EP1984682B1 (en) * 2006-02-17 2015-09-16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4857449B2 (en) * 2006-07-03 2012-01-18 発明テクノ株式会社 Telescopic joint box
KR100760403B1 (en) * 2006-09-07 200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rawing/accepting device of ice-bank for refrigerator
KR20080065418A (en) * 2007-01-0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ice bank for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598A (en) * 2005-09-16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Storage container of refrigerator ice making machine
KR20070082748A (en) * 2006-02-17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3803A1 (en) 2017-04-12
EP2235456A4 (en) 2016-02-24
CN101925789A (en) 2010-12-22
WO2009099270A3 (en) 2009-10-01
EP3153803B1 (en) 2018-08-15
EP2235456A2 (en) 2010-10-06
KR20090085974A (en) 2009-08-10
EP2235456B1 (en) 2016-12-14
US20110005262A1 (en) 2011-01-13
CN101925789B (en) 2012-01-25
ES2611078T3 (en) 2017-05-04
WO2009099270A2 (en)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184B2 (en) Refrigerator
US20220154991A1 (en) Refrigerator
US11624540B2 (en) Refrigerator
US11709007B2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en) Refrigerator
US8733122B2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EP3401620B1 (en) Refrigerator
KR20060081923A (en) Refrigerator
RU2421668C1 (en) Refrigerator
KR101646514B1 (en) Refrigerator
JP3895136B2 (en) Refrigerator drawer container
KR100965361B1 (en) Refrigerator
KR20100113193A (en) Refrigerator
KR20140017190A (en)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KR100717461B1 (en) Double-withdrawal structure of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101455863B1 (en) Refrigerator and homebar of refrigerator
JP2001349665A (en) Storage container of refrigerator
JP7284637B2 (en) refrigerator
KR101742828B1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assembly for refrigerator
CN209783082U (en)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KR20110083786A (en) Contain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20100113192A (en) Refrigerator
KR20060094586A (en) Double-withdrawal structure of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CN114719518A (en) Refrigerator
KR20060022429A (en) Double drawer for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