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593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593B1
KR100962593B1 KR1020100013882A KR20100013882A KR100962593B1 KR 100962593 B1 KR100962593 B1 KR 100962593B1 KR 1020100013882 A KR1020100013882 A KR 1020100013882A KR 20100013882 A KR20100013882 A KR 20100013882A KR 100962593 B1 KR100962593 B1 KR 10096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leaner
region
mov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경은
엄기현
성연식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1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5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5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rea based clean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re provid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a cleaner based on an area to be cleaned by considering user preference and indoor environment without a complex operation or preference input. CONSTITUTION: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method is as follows. The moving area of a cleaner according on user operation is confirmed and the moving area information is created(S510,S520). 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during a predetermined tim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 is calculated by compiling statistics of moving area information(S530,S540). A weighted value of an important area is adjusted based on th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S550). The weighted value is applied to th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 and priority by areas is determined(S550,S560). The moving rou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iority(S570). The cleaner mov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ing route (S580).

Description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및 장치, 그 기록 매체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rea based cleaner, recording medium thereof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청소기의 이동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및 장치, 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vement control of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thereof.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가사노동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중 청소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다 할지라도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해야 하므로 다른 가사에 비해 비교적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housework is to be done in the home, even if you use a vacuum cleaner, even if you have to carry it daily, it can be said that it is a relatively laborious task compared to other household chores.

이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 : 이하 '리모콘'이라 함)를 이용하여 청소작업 수행명령만 주면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로봇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청소로봇에 집 안의 방재기능을 더한 복합기능을 갖는 모빌로봇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cleaning robot that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autonomously by giving a command to perform cleaning work using a remote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mote controller) is being carried out. Research on mobile robots that have complex functions plus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is ongoing.

도 1은 종래 청소로봇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leaning robot.

청소로봇은 몸체의 이동을 구현하는 주행부(40)와, 이동경로상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감지부(30)와, 자신의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 는 자기위치인식부(20)와, 플로어를 청소하기 위한 진공청소부(50)와, 각부에 필요한 전원을 저장 및 충전하는 전원부(70) 및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또한, 청소로봇은 기동/정지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콘 수신부(10)를 갖는다.The cleaning robot includes a driving unit 40 for moving the body, an obstacle detecting unit 30 for detecting an obstacle on the moving path, a magnetic position recognition unit 20 for recognizing its current position, The vacuum cleaner 50 for cleaning a floor, the power supply part 70 which stores and charges the power required for each part, and the control part 60 which controls each part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has a remote control receiver 10 to control the start / stop remotely.

자기위치인식부(20) 및 장애물감지부(40)는 자기위치인식 및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각각 영상처리보드(22)(32)및 카메라(21)(31)를 구비한다.The magnetic position recognition unit 20 and the obstacle detecting unit 40 include image processing boards 22 and 32 and a camera 21 and 31, respectively, to detect magnetic position recognition and obstacles.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청소로봇은 리모콘 수신부(10)를 통해 청소작업이 지시되면, 제어부(10)에서 초기화를 실행한 후 자기위치인식부(20)의 카메라(21)를 작동시켜 현재위치가 촬영되도록 하고, 촬영을 통해 생성된 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보드(22)에 전달되도록 하여 신호처리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어부(60)는 영상처리보드로(22)부터 전달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분석한다. 그 후, 제어부(60)는 주행부(40)의 좌우측 바퀴(43a)(43b)용 모터(42a)(42b)의 모터구동부(41a)(4b)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몸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60)는 장애물감지부(30)의 카메라(31)를 작동시키고, 영상처리보드(32)에서 신호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장애물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행부(40)를 제어한다. 그리고 청소로봇이 해당장소로 이동되면, 진공청소부(5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위치에서 청소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행부(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몸체를 회전 및 이동시킨다.When the cleaning robo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instructed to clean through the remote control receiver 10, the controller 10 performs initialization and then operates the camera 21 of the magnetic position recognition unit 20 to shoot the current position. In addition, the image data generated through photographing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ing board 22 to be signal processed. Then, the controller 60 analyzes its current position by analyzing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board 22. Thereafter, the control unit 6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driving units 41a and 4b of the motors 42a and 42b for the left and right wheels 43a and 43b of the driving unit 40 to move the body. Make sur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60 operates the camera 31 of the obstacle detecting unit 30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40 to receiv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board 32 so as to respond to the obstacle. . When the cleaning robot is moved to the corresponding place,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vacuum cleaner 50 so that the clean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 driving unit 40 may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along the set path.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rotate and move the body.

이상과 같이 작동되는 청소로봇은 이동중에 설정된 샘플링 주기마다 장애물 파악 동작을 수행하여 전방의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설정된 샘플링 주기마다 자기위치 인식 동작을 수행하여 요구된 위치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cleaning robot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avoid obstacles in front of each other by performing the obstacle grasping operation at each sampling cycle set during the movement, and can move to the required position accurately by performing the magnetic position recognition operation at each sampling cycle set. .

또한, 청소로봇은 위와 같이 자기위치를 인식하고 주행 경로상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를 이용하는데, 이때, 촬영된 영상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영상데이터를 별도로 신호처리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처리용 프로세서를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robot use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to recognize the magnetic posi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detect obstacles in the driving path. In this case, since the size of the captured image data is very large, the image data is separately processed. Processors for processing image data are generally us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선호, 실내 환경, 청소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청소 영역을 기반으로 청소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tha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cleaner based on the cleaning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indoor environment, ease of cleaning and the lik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이 적용된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device to which the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is appli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세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as a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in a computer system is recor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 moving area information by checking a moving area of a cleaner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Calculating a statistical value for each moving area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moving area information when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based on the moving area statistics; Determining priority of each area by applying the important area weights to the moving area statistics; Planning a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And moving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lanned movement path.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이동 영역 저장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하는 영역 분석부;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중요도 계산부;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산출부;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하는 경로 계획부; 및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rea-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ving area storage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moving area information by checking the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An area analyzer configur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moving area information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when the user operation is not performed for a preset time; An importance calculator for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based on the statistics of each moving region; A priority calculat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each area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to th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A route planning unit that plans a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And a motor controller for moving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lanned movement path.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까다로운 조작이나 선호도 입력에 대한 절차 없이도, 사용자의 선호, 실내 환경, 청소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청소 영역을 기반으로 청소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실내 환경 및 지형 정보를 청소기가 쉽게 구출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of the cleaner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cleaning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s, indoor environment, and ease of cleaning, without a difficult operation or a procedure for inputting preferences, and indoor environment and terrain information. Make it easy for the cleaner to rescue.

도 1은 종래 청소로봇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청소기 외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청소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leaning robot.
2A is a block diagram of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B is a block diagram of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eaner external appearance to which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4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er to which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2A is a block diagram of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동 영역 저장부(210)는 사용자 조작(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이나 기타 버튼 입력)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The moving area storage unit 210 generates and stores moving area information by identifying a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operating a remote control of a user or inputting other buttons).

여기서, 이동 영역 정보는 이동 경로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이 미숙하여 청소기를 청소를 원하는 영역에 최단거리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이동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이는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할 때,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경로는 이동 영역 구분 시에 무시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청소기를 일정한 경로를 무의미하게 왕복하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경우에도, 이동 영역 정보는 이동 경로를 반영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을 걸러낼 수 있다. 물론 불필요한 왕복 경로를 포함하는 이동 영역에서 높은 통계치가 산출될 수도 있지만, 이후의 중요영역 가중치 조정 단계를 거치면서 통계치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movement area information may not reflect the movement path. In this case, there is no problem in calculating the moving area informa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move the cleaner in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area to be cleaned because the operation is immature. This is because, when generating the movement area information, a path unnecessarily moved by the user is ignored when the movement area is divided. For example, even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cleaner to make a round trip through a certain path, the moving area information does not reflect the moving path, so that unnecessary manipulation of the user may be filtered out. Of course, high statistics may be calculated in the moving region including unnecessary round trip paths, but the statistics may be optimized through the subsequent step of adjusting the weight of the critical region.

영역 분석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이동 영역 저장부(210)의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한다. 여기서, 통계 분석에는 빈도수(Frequency)에 기반한 고전적 통계 기법, 베이지안 통계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전적 통계 기법은 표본(Likelihood)을 이용하여 모집단을 추정하는데, 모수를 수치적인 개념으로 가정한다. 고전적 통계학에서는 사전 정보를 보지 않기 때문에 임의의 실험 n개에 대하여 그 확률이 같다면 n개의 실험 모두 같다고 본다. 베이지안 통계 기법은 표본에 사전 정보(prior)의 개념을 넣어서 모집단 추정(postorior)을 추정한다. 이때 모수를 확률 변소의 개념으로 가정한다. 기본 상식(정보)을 고려하므로, 실험과 상관없이 모수가 추정된다. 베이지안의 통계에서는 사전 정보를 보기 때문에 임의의 실험 n개의 대하여 그 확률이 같다 할지라도 n개의 실험 모두 같다고 보지 않는다. 새로운 관측을 함으로써, 이전에 파라미터들에 대해 가지고 있던 확률(prior)을 개선한 새로운 확률을 갖게 되는 것이다. 다음번에 새로운 관측을 할 때에는 이전 관측에서 얻은 모집단 추정을 사전 정보로 사용하고, 새로운 관측 데이터를 통해서 새로운 확률을 얻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그 파라메터에 대해 갖고 있는 지식들을 계속 개선해 나가는 것이다. 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area analyzer 220 statistically analyzes moving area information of the moving area storage unit 210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Here, the statistical analysis may be used, such as classical statistical techniques, Bayesian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the frequency (Frequency). Classical statistical techniques use a Likelihood to estimate the population, assuming the parameters as numerical concepts. Classical statistics do not look at prior information, so if the probability is the same for any of n experiments, it is assumed that all n experiments are equal. Bayesian statistical techniques estimate the population postorior by putting the concept of prior information in the sample. The parameter is assumed to be a concept of probability variation. Since basic common sense (information) is taken into account, the parameters are estimated regardless of the experiment. Bayesian statistics show prior information, so even if the probability is the same for any n experiments, they are not considered equal. By making new observations, you have a new probability that improves the priorities you had for the parameters. The next time you make a new observation, you use the population estimates from the previous observations as preliminary information and get new probabilities through the new observation data. And by repeating this process, we continue to improve our knowledge of the parameters.

중요도 계산부(230)는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중요도 계산부(230)는 청소기의 청소 횟수가 제1임계값보다 많은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 계산부(230)는 나머지 다른 영역 대비 청소 횟수의 비율이 제2임계값보다 큰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일 수 있다. 제1임계값 및 제2임계값은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정해질 수 있는 값이다.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adjusts the weights of the important areas based on th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 For examp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reduc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where the number of cleaning of the cleaner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reduc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in whi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cleaning to the other region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are values that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우선순위 산출부(240)는 중요영역 가중치를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우선순위 산출부(240)에서는 청소기가 가장 먼저 또는 자주 도달해야 하는 영역부터 가장 중요도가 떨어지는 영역까지 전체 청소 영역을 우선 순위에 따라 나눌수 있다.The priority calculator 240 determines the priority of each region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to the statistical value for each movement region. The priority calculator 240 may divide the entire cleaning area according to the priority from the area that the cleaner needs to reach first or frequently to the area of the least importance.

경로 계획부(250)는 우선순위 산출부(240)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한다. 이동 경로를 계획하기 위해, 전순서 계획(Total-Order Planning) 기법이나 부분순서 계획(Partial-Order Planning)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순서 계획 기법은 목표들(예를 들어, 청소기의 이동 경로 또는 이동 영역)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달성해가면서 계획 속에 새로운 스텝(예를 들어, 청소기의 이동 경로 또는 이동 영역)이 삽입될 때마다 기존의 스텝들(예를 들어, 청소기의 이동 경로 또는 이동 영역)과의 선형적 전순서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부분순서 계획 기법은 한 계획을 이루는 모든 스텝들과 그들 간의 순서와 바인딩 조건들에 따라 계획 내의 모든 스텝들이 전조건들이 참(true)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계획을 변형시키는 기법이다. 따라서, 부분순서 계획 기법에서는 완전한 하나의 계획을 얻기 위하여 부분순서 계획들의 공간을 탐색할 수 있다. 많은 부분순서 계획 기법에서는 이미 달성해놓은 목표들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인과링크를 두고 어느 목표가 어느 스텝에 의해 달성되었는지 또는 달성되지 않았는지 추적한다. 또한, 이동 경로 계획에는 사례 기반 계획(Cased-based Planning) 기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사례 기반 계획 기법은 새로운 계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사한 과거 사례 계획들을 재사용한다. 사례 기반 계획 기법은 생성적 계획 시스템과는 달리 매번 처름부터 계획 수립 전체 과정을 되풀이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계획 수립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고, 실시간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사례 기반 계획은 일반적인 사례 기반 추론 방식에서와 같이 사례 검색, 사례 적응 및 재사용 그리고 사례 저장의 단계를 거친다. 사례 검색은 해결할 새로운 계획 문제와 가장 유사한 과거의 사례 문제(예를 들어, 이동 영역별 가중치가 적용된 통계치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설계하는 문제) 및 계획(예를 들어, 과거에 설계된 이동 경로)을 검색하는 단계이다. 사례 적응 및 재사용은 검색된 과거의 사례 계획을 새로운 계획 문제에 적합하게 수정한 뒤 이용하는 단계이다. 사례 저장은 해결된 새로운 계획 문제와 결과 계획을 향후 재사용하기 위하여 일반화 등의 처리를 거친 다음 하나의 과거 사례로 저장하는 단계이다.The route planner 250 plans the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priority calculator 240. In order to plan the movement path, a total-order planning technique or a partial-order planning technique may be used. The pre-order planning technique involves inserting new steps (eg, the cleaner's movement path or movement area) into the plan while sequentially achieving goals (eg, the cleaner's movement path or movement area) in a certain order. It is a technique of determining a linear order with existing steps (for example, a moving path or a moving area of a cleaner) every time. The partial order planning technique is a technique in which every step in a plan continues to transform the plan until all the conditions in the plan become true, depending on the order and binding conditions between them. Therefore, in the partial order planning technique, the space of the partial order plans can be searched to obtain a complete plan. Many subsequence planning techniques use causal links as a means to protect goals that have already been achieved and track which goals have been achieved by which steps or have not been achieved. In addition, a case-based planning technique may be used for the movement path planning. Case-based planning techniques reuse similar historical case plans to solve new planning problems. Unlike a generative planning system, case-based planning techniques do not have to repeat the planning process from start to finish each time, reducing planning effort and responding to real-time needs quickly. Case-based planning goes through the steps of case retrieval, case adaptation and reuse, and case storage, as in the usual case-based reasoning approach. Case searches can help you identify past case problems (for example, designing a travel route using weighted statistics for each travel area) and plans (for example, previously designed travel paths) that are most similar to the new planning problem you are trying to solve. Searching. Case adaptation and reuse are the steps used to modify the retrieved past case plans to suit new planning issues. Case storage is the step of storing a new plan problem and the resultant plan that have been generalized and then stored as a past case for future reuse.

모터 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경로 계획부(250)에서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청소기를 이동시킨다.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motor controller 260 moves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movement route planned by the route planning unit 250.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2B is a block diagram of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이동 영역 저장부(2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The moving area storage unit 210 checks the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generate and store moving area information.

영역 분석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이동 영역 저장부(210)의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한다. 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area analyzer 220 statistically analyzes moving area information of the moving area storage unit 210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중요도 계산부(230)는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 중요도 계산부(230)는 영역 분석부(220)의 영역별 통계치 뿐만 아니라,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 즉, 청소기의 이동 후의 반응을 피드백받아 영역별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경로 계획에 따라 청소기의 이동 후에 특정 영역에 벽이 존재하거나, 일정 높이 이상의 문턱, 웅덩이 등이 존재하는 경우, 기타 해당 영역이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는 경우 이를 중요영역 가중치 계산/조절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 계산부(230)는 각 이동 영역의 다른 바닥 재질 또는 청소 용이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영역마다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 계산부(230)는 청소기가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정도,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른 이동에 실패했는지 여부 등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재조정할 수 있다.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adjusts the weights of the important areas based on th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adjusts the important region weights by reflec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as well as the region-specific statistics of the region analyzer 220. That is, the weight of each region may be adjusted by receiving feedback after the movement of the cleaner. For example, if a wall exists in a certain area after moving the cleaner, or a threshold or a puddle of a certain height or more exists according to the moving path plan, if the corresponding area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not easy to mov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Can be reflected in calculations / adjustments. For examp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adjust the important region weights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different floor materials or ease of cleaning of each moving region. For examp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readjust the important region weights based on the degree to which the cleaner follows the planned movement path and whether the cleaner fails to move along the planned movement path.

이 밖에도 중요영역 가중치는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분석부(220)에서 이동 영역마다 장애물 발생 빈도를 산출하는 경우, 중요도 계산부(230)는 중요영역 가중치가 장애물 발생 빈도에 반비례하도록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청소기 이동시에 장애물을 자주 만나는 이동 영역에 대해서는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의 고장이나 사람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For example, when the area analyzer 220 calculates an obstacle occurrence frequency for each moving area,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adjust the important area weight so that the important area weigh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obstacle occurrence frequency. That is,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may be reduced for the moving region that frequently encounters obstacles when the cleaner moves. This will help you avoid breakdowns and collisions with people.

또는, 사람이 실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청소기를 부재중 모드 또는 재실 모드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데, 중요도 계산부(230)는 청소기가 부재중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재중 모드인 경우, 거실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재실 모드인 경우, 과거 동작시에 사람과의 충돌이 적었던 영역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leaner may be set to the missed mode or the occupancy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person is indoors.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adjusts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specific area according to whether the cleaner is set to the missed mode. It may be. For example, in the absence mod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living room may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in the occupancy mode, the weight of the area where the collision with the person in the past operation was small can be increased.

또는, 중요도 계산부(230)는 시간대별로 중요 영역이 달라지도록 가중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청소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청소기에 미리 입력받은 경우, 청소기는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시간에 따라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평소 청소기 조작 패턴에 따르되, 시간대에 따라 꼭 청소해야 하는 영역을 우선시하는 형태의 청소기 동작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adjust the weights so that important areas vary for each time zone. For example, when information about an area requiring cleaning for each time zone is previously input to the cleaner, the cleaner may adjust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the clean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usual cleaner operation pattern, it is possible to prioritize the area that must be cleaned according to the time zone.

또는, 중요도 계산부(230)는 가중치가 높은 인접 영역이 많은 경우에 해당 영역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짧은 이동거리를 가지는 이동 경로가 계획될 수 있으므로, 한번의 충전으로 로봇 청소기가 청소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지게 된다.Alternatively,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increase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area when there are many adjacent areas having a high weight. According to this, since a movement route having a short movement distance can be planned, the area that can be cleaned by the robot cleaner in one charge increases.

우선순위 산출부(240)는 중요영역 가중치를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The priority calculator 240 determines the priority of each region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to the statistical value for each movement region.

경로 계획부(250)는 우선순위 산출부(240)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한다.The route planner 250 plans the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priority calculator 240.

모터 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경로 계획부(250)에서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청소기를 이동시킨다.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motor controller 260 moves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movement route planned by the route planning unit 25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청소기(300) 외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appearance of a cleaner 300 to which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청소기(400)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leaner 400 to which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apparatus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이동 영역 저장부(2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400)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한다. 리모콘 수신부(401)는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 영역 저장부(210)에 이를 전달하여 이동 영역 산출에 기여한다. 거리측정 센서(402)는 청소기(400)가 이동할 때, 청소기(400)의 이동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고, 이를 이동 영역 저장부(210)에 전달하여 이동 영역 산출에 기여한다. 거리측정 센서(402)에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마찰력 측정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moving area storage unit 210 checks the moving area of the cleaner 40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o generate and store moving area information. The remote control receiver 401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user's remote control oper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oving area storage 210 to contribute to the moving area calculation. When the cleaner 400 moves,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402 measures a moving distance, a direction, and the like of the cleaner 400, and transfers it to the moving area storage 210 to contribute to the moving area calculation.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friction force measuring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402.

GPS 수신부(403)는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안테나(미도시)가 연결되는데, 주기적인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청소기(400)의 현재 위치를 추정한다. GPS 수신부(403)는 추정된 현재 위치를 이동 영역 저장부(210)에 전달하여 이동 영역 산출에 기여한다. 디지털 카메라(404)로 촬영된 화상 이미지는 청소기(400)의 이동시에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로서 영상 처리부(405)의 처리를 거쳐 이동 영역 저장부(210)가 이동 영역을 산출하는 데에 기여한다.The GPS receiver 403 is connected to a GPS antenna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satellite signals. The GPS receiver 403 estimates a current position of the cleaner 400 using periodic satellite signals. The GPS receiver 403 transmits the estimated current position to the movement area storage 210 to contribute to the movement area calculation. The image image photographed by the digital camera 404 is an image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when the cleaner 400 moves and contributes to the movement area storage unit 210 to calculate the movement area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image processor 405. .

영역 분석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이동 영역 저장부(210)의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한다. If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area analyzer 220 statistically analyzes moving area information of the moving area storage unit 210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중요도 계산부(230)는 영역 분석부(220)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중요도 계산부(230)는 청소기(400)의 청소 횟수가 제1임계값보다 많은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 계산부(230)는 나머지 다른 영역 대비 청소 횟수의 비율이 제2임계값보다 큰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일 수 있다.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adjusts the weights of the important areas based on the statistical values for the moving areas of the area analyzer 220. For examp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reduc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where the number of cleaning of the cleaner 400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For examp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reduc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in whi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cleaning to the other region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중요도 계산부(230)는 영상 처리부(405), 장애물 감지용 센서(406) 및 속고측정 센서(407)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 장애물 감지용 센서(406) 및 속고측정 센서(407)에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마찰력 측정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adjusts the critical region weight by reflecting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mage processor 405,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406, and the fast-speed measuring sensor 407.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friction force measuring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406 and the fast measuring sensor 407.

영상 처리부(405)에서 처리된 이미지들은 중요도 계산부(230)가 각 이동 영역의 다른 바닥 재질, 청소 용이성 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속도 측정 센서(407)에서 측정된 청소기(400)의 속도 관련 정보는 바닥의 미끄러운 정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중요도 계산부(230)가 영역별로 청소 용이성을 판단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용 센서(406)로 검출된 장애물 정보는 중요도 계산부(230)가 영역별로 청소 용이성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중요도 계산부(230) 영역별 바닥 재질, 청소 용이성 등을 반영하여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The images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405 may be used by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to determine different floor materials and ease of cleaning of each moving area. The speed-related information of the cleaner 400 measured by the speed measuring sensor 407 may be used to estimate the slipperiness of the floor. By using this,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may determine the ease of cleaning for each region. The obstacl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406 may be used by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to determine the ease of cleaning for each region.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230 adjusts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by reflecting the floor material and the ease of cleaning for each region.

장애물 감지용 센서(406)는 청소기(300)가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데에 실패했는지 여부를 중요도 계산부(230)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속도 측정 센서(407)에서 측정된 청소기(400)의 속도 관련 정보는 청소기(400)가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정도,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른 이동에 실패했는지 여부 등을 중요도 계산부(230)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중요도 계산부(230)는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정도,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른 이동에 실패했는지 여부 등을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재조정한다.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406 allows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to determine whether the cleaner 300 has failed to follow the planned movement path. The speed related information of the speed of the cleaner 400 measured by the speed measuring sensor 407 is determined by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the cleaner 400 follows the planned movement path, whether or not the movement along the planned movement path has failed. To make it possible. The importance calculator 230 readjusts the critical region weights based on the degree of following the planned movement path and whether the movement has failed along the planned movement path.

우선순위 산출부(240)는 중요영역 가중치를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The priority calculator 240 determines the priority of each region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to the statistical value for each movement region.

경로 계획부(250)는 우선순위 산출부(240)의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한다.The route planner 250 plans the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priority calculator 240.

모터 제어부(26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경로 계획부(250)에서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바퀴용 모터(408)를 동작시켜 청소기(400)를 이동시킨다. 모터 제어부(260)는 경로 계획부(250)에서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먼지 흡입용 모터(409)를 동작시켜 영역별로 다른 청소 패턴을 구현할 수도 있다.The motor controller 260 moves the cleaner 400 by operating the wheel motor 408 according to the movement route planned by the route planner 250 when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motor controller 260 may implement a different cleaning pattern for each region by operating the dust suction motor 409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planned by the path planning unit 2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rea based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먼저, 청소기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S510),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S520). 이 과정(S520)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 청소기의 모터 동작에 대한 청소기의 실제 이동 거리 비율, 청소기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청소기의 현재 위치, 청소기에 내장된 GPS 안테나를 통해 측정된 청소기의 현재 위치 등에 기반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irst, when there is a user operation on the cleaner (S510), the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is checked to generate moving area information (S520). In this process (S520),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actual moving distance ratio of the cleaner to the motor operation of the clean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leaner measured using the infrared sensor built in the cleaner, and the GPS antenna built into the cleaner The moving area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measured current position of the cleaner.

이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S530),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한다(S540). 이 과정(S540)의 통계 분석에 베이지안 통계 기법, 빈도수에 기반한 고전적 통계 기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반면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조작이 있게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갱신한다(S520).Subsequently, when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S530), the moving area information is statistically analyzed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S540). Bayesian statistical techniques, classical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frequency, etc. may be applied t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process (S540).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a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the moving area information is updated by checking the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S520).

다음,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한다(S550). 이 과정(S550)은 청소 횟수가 제1임계값보다 많은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S550)은 나머지 다른 영역 대비 청소 횟수의 비율이 제2임계값보다 큰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S550)은 각 이동 영역의 다른 바닥 재질 또는 청소 용이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영역마다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중요영역 가중치는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영역별 통계치 산출 과정(S540)에서 이동 영역마다 장애물 발생 빈도를 산출하는 경우, 중요영역 가중치가 장애물 발생 빈도에 반비례하도록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청소기 이동시에 장애물을 자주 만나는 이동 영역에 대해서는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기의 고장이나 사람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Next,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is adjusted based on th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 (S550). This process (S550) may include a process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where the number of cleaning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This process (S550) may include a process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in whi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cleaning to the other region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is process (S550) may include adjusting a critical region weight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different floor materials or easy cleaning of each moving region. 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For example, when the obstacle occurrence frequency is calculated for each moving region in the calculation of the statistical value for each moving region (S540), the important region weight may be adjusted such that the important region weigh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obstacle. That is,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may be reduced for the moving region that frequently encounters obstacles when the cleaner moves. This will help you avoid breakdowns and collisions with people.

또는, 사람이 실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청소기를 부재중 모드 또는 재실 모드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는데, 청소기가 부재중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재중 모드인 경우, 거실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재실 모드인 경우, 과거 동작시에 사람과의 충돌이 적었던 영역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leaner may be set to the missed mode or the occupancy mode according to whether a person is indoors, and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a specific area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whether the cleaner is set to the missed mode. For example, in the absence mod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living room may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in the occupancy mode, the weight of the area where the collision with the person in the past operation was small can be increased.

또는, 시간대별로 중요 영역이 달라지도록 가중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청소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청소기에 미리 입력받은 경우, 청소기는 이러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시간에 따라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 평소 청소기 조작 패턴에 따르되, 시간대에 따라 꼭 청소해야 하는 영역을 우선시하는 형태의 청소기 동작이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weight may be adjusted so that important areas vary according to time zones. For example, when information about an area requiring cleaning for each time zone is previously input to the cleaner, the cleaner may adjust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based on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is, the clean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usual cleaner operation pattern, it is possible to prioritize the area that must be cleaned according to the time zone.

또는, 가중치가 높은 인접 영역이 많은 경우에 해당 영역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짧은 이동거리를 가지는 이동 경로가 계획될 수 있으므로, 한번의 충전으로 로봇 청소기가 청소할 수 있는 영역이 많아지게 된다.Alternatively, when there are many adjacent areas having a high weight, the weight of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increased. According to this, since a movement route having a short movement distance can be planned, the area that can be cleaned by the robot cleaner in one charge increases.

상술한 가중치 조정 방법들은 한가지 이상이 조합될 수도 있다. 가중치 조정 방법들이 조합되어 적용되는 경우, 각각의 가중치 조정 방법에 따른 가중치 계산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weight adjustment methods may be combined. When weight adjustment methods are applied in combination, weight calculation according to each weight adjustment method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이후, 중요영역 가중치를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S560).Subsequently, the priority of each region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important region weights to the statistics for each movement region (S560).

영역별 우선 순위가 결정되면,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한다(S570).If the priority of each region is determined, the movement route is planned based on the priority (S570).

마지막으로, 이동 경로의 계획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완료되면,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청소기를 이동시킨다(S58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 과정(S580) 이후에 청소기가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정도 또는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른 이동에 실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과정을 수행 수도 있다.Finally, when the planning of the movement route is completed in whole or in part, the cleaner is moved according to the planned movement route (S5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this process (S580),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the cleaner following the planned movement path or whether the cleaner fails to move along the planned movement path. .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via software. Preferably, an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y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in a computer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work.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upled with a carrier on a transmission medium or network.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s include ROM, RAM, CD-ROM, DVD ± 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s, hard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device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herefrom. And,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하는 단계; 및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Identifying a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and generating moving area information;
Calculating a statistical value for each moving area by statistically analyzing the moving area information when there is no user operation for a preset time;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based on the moving area statistics;
Determining priority of each area by applying the important area weights to the moving area statistics;
Planning a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And
Moving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lanned movement path
Including, area-based cleaner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청소 횟수가 제1임계값보다 많은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where the number of cleaning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나머지 다른 영역 대비 청소 횟수의 비율이 제2임계값보다 큰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nd reduc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for the region in whi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imes of cleaning to the other regions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각 이동 영역의 다른 바닥 재질 또는 청소 용이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영역마다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nd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different floor materials or ease of cleaning of each moving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이동 영역마다 장애물 발생 빈도에 중요영역 가중치가 반비례하도록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nd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such that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obstacles in each moving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청소기가 부재중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nd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for a specific reg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leaner is set to the missed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시간대별로 청소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해 미리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시간에 따라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critical region weights
And adjust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according to a current time based on information input in advance for the region requiring cleaning for each time z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정도 또는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른 이동에 실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of the cleaner
And re-adjusting the important region weight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the cleaner following the planned movement path or whether the cleaner fails to move along the planned movement path.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통계 분석에 베이지안 통계 기법 또는 빈도수에 기반한 고전적 통계 기법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mputing the statistics for each moving area
And applying any one of Bayesian statistical techniques or classical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frequency to the statistical analys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 상기 청소기의 모터 동작에 대한 상기 청소기의 실제 이동 거리 비율, 상기 청소기에 내장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청소기의 현재 위치 또는 상기 청소기에 내장된 GPS 안테나를 통해 측정된 상기 청소기의 현재 위치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Generating the moving area information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the actual moving distance ratio of the cleaner to the motor operation of the cleaner,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leaner measured using the infrared sensor built in the cleaner or via the GPS antenna built into the cleaner And generating the moving area information based on any one of the measured current positions of the cleaners.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시스템이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청소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하여 이동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이동 영역 저장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조작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 영역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이동 영역별 통계치를 산출하는 영역 분석부;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기반하여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중요도 계산부;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상기 이동 영역별 통계치에 적용하여 영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산출부;
상기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이동 경로를 계획하는 경로 계획부; 및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에 따라 상기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모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A moving area storage unit which checks a moving area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 user manipulation and generates and stores moving area information;
An area analyzer configur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moving area information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when the user operation is not performed for a preset time;
An importance calculator for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based on the statistics of each moving region;
A priority calculato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each area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to the statistical values for each moving area;
A route planning unit that plans a movement route based on the priority; And
A motor controller for moving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lanned movement path
Included, area-based cleaner control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청소 횟수가 제1임계값보다 많은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The area-based clean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for the area where the number of cleaning is great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나머지 다른 영역 대비 청소 횟수의 비율이 제2임계값보다 큰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The area-based clean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important area for the area in whi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cleaning to the other area is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각 이동 영역의 다른 바닥 재질 또는 청소 용이성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영역마다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The area-based cleane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important region weight for each region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different floor material or ease of cleaning of each moving reg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이동 영역마다 장애물 발생 빈도에 중요영역 가중치가 반비례하도록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And adjusting the important region weight so that the important region weigh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occurrence frequency of obstacles in each moving reg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상기 청소기가 부재중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영역에 대한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And adjusting an important region weight for a specific region according to whether the cleaner is set to the missed mo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시간대별로 청소가 요구되는 영역에 대해 미리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시간에 따라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And adjusting the weight of the important region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based on information input in advance for the region requiring cleaning for each time zon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계산부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라가는 정도 또는 상기 계획된 이동 경로를 따른 이동에 실패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중요영역 가중치를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 기반의 청소기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importance calculation unit
And re-adjust the critical region weigh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egree of the cleaner following the planned movement path or whether the cleaner fails to move along the planned movement path.
KR1020100013882A 2010-02-16 2010-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09625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882A KR100962593B1 (en) 2010-02-16 2010-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882A KR100962593B1 (en) 2010-02-16 2010-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593B1 true KR100962593B1 (en) 2010-06-11

Family

ID=4236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882A KR100962593B1 (en) 2010-02-16 2010-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593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200A (en) * 2011-09-02 2013-03-20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Window cleaning device and barrier avoiding method
KR101301005B1 (en) * 2011-11-30 2013-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user-oriented task
KR20160100311A (en) * 2013-12-19 2016-08-23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Prioritizing cleaning areas
WO2017048046A1 (en) * 2015-09-17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9004618A1 (en) * 2017-06-27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veling on basis of characteristics of traveling surface, and robot for implementing same
CN109891707A (en) * 2016-06-20 2019-06-14 蔚山科学技术院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1685659A (en) * 2019-03-15 2020-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12906B2 (en) 2019-07-05 2022-08-16 Lg Electronics Inc. Cleaning robot traveling using region-based human activity data and method of driving cleaning robot
US11457788B2 (en) 2018-05-1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leaning operation
WO2024043496A1 (en) * 2022-08-24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KR102668070B1 (en) * 2019-03-15 2024-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200A (en) * 2011-09-02 2013-03-20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Window cleaning device and barrier avoiding method
KR101301005B1 (en) * 2011-11-30 2013-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user-oriented task
KR20160100311A (en) * 2013-12-19 2016-08-23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Prioritizing cleaning areas
KR102393550B1 (en) * 2013-12-19 2022-05-04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Prioritizing cleaning areas
US11147424B2 (en) 2015-09-17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WO2017048046A1 (en) * 2015-09-17 2017-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11278174B2 (en) 2015-09-17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CN109891707A (en) * 2016-06-20 2019-06-14 蔚山科学技术院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9004618A1 (en) * 2017-06-27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veling on basis of characteristics of traveling surface, and robot for implementing same
US11493933B2 (en) 2017-06-27 2022-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veling on basis of characteristics of traveling surface, and robot for implementing same
US11457788B2 (en) 2018-05-11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leaning operation
WO2020189945A1 (en) * 2019-03-15 2020-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685659A (en) * 2019-03-15 2020-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42465B2 (en) 2019-03-15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68070B1 (en) * 2019-03-15 2024-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12906B2 (en) 2019-07-05 2022-08-16 Lg Electronics Inc. Cleaning robot traveling using region-based human activity data and method of driving cleaning robot
WO2024043496A1 (en) * 2022-08-24 2024-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ea based control of vacuum cleaner,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3508935B1 (en) System for spot cleaning by a mobile robot
JP7395229B2 (en) Mobile cleaning robot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ituational awareness
EP3787458B1 (en) A plurality of robot cleaners
US11072073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and using traffic analysis in a space with moving obstacles
JP6430944B2 (en) Robot and method for autonomously inspecting or processing floor surfaces
JP4241673B2 (en) Mobile path generation device
US11150668B2 (en) Plurality of robot cleaner and a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12739244A (en) Mobile robot cleaning system
CN112654471A (en) Multiple autonomous mobile robo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516816A (en) Tracking and following of moving objects by mobile robot
KR20100092807A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moving of mobile robot
KR20130037684A (en) Autonomous mobile body
WO2018107024A1 (en) Robotic cleaning device with operating speed variation based on environment
CN111103875B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avoiding
US11747819B1 (en) Robotic fire extinguisher
KR20190024467A (en) Method of generating local path by target orientation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EP3757714A1 (en) Machine learning method and mobile robot
US11686583B2 (en) Guidance robot and method for navigation service using the same
CN111343696A (en) Communication method of self-moving equipment, self-mov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2014705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operating an intelligent mobile robot
CN112214018A (en) Robot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US20240069566A1 (en) Mobile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