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342B1 -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342B1
KR100962342B1 KR1020090064491A KR20090064491A KR100962342B1 KR 100962342 B1 KR100962342 B1 KR 100962342B1 KR 1020090064491 A KR1020090064491 A KR 1020090064491A KR 20090064491 A KR20090064491 A KR 20090064491A KR 100962342 B1 KR100962342 B1 KR 10096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page
inform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provider
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3697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623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패드
Priority to KR102009006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342B1/ko
Priority to CN2009801289444A priority patent/CN102105875B/zh
Priority to US13/203,942 priority patent/US8892537B2/en
Priority to PCT/KR2009/006427 priority patent/WO2011007935A1/ko
Priority to JP2011522921A priority patent/JP509661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기기용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된 홈페이지를 웹 서버에 등록하여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생성된 홈페이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정보 검색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정보기기에 홈페이지와 관련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정보제공자 정보기기와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 수단;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홈페이지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로부터 추출되고 분류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용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EATIO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ERVICE OF HOMEPAGE}
본 발명은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정보기기에 홈페이지와 관련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휴대용 단말기는 아주 빠른 속도로 그 기능이 향상되어 단순히 카메라나, 전화기, MP3 플레이어 등의 개별적인 기능을 넘어서 타 전자기기의 영역을 넘나드는 멀티미디어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휴대폰 등과 같이 무선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데이터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활성화될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제공되었던 인터넷 을 활용한 각종 정보 서비스들을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도 이용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들이 필요하다.
상세히 하면, 휴대용 정보기기들은 모니터뿐 아니라, 입력 장치 또한 소형으로 형성되고,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용량도 제한적이어서, 서비스의 활용 환경이 기존의 컴퓨터와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휴대용 정보기기에 기존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활 밀착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휴대용 정보기기 자체에 갖추어져야만 하고, 휴대용 정보기기에 적합한 웹 구성 기술 및 구조 정보 적용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휴대용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지식 수준의 사용자들이 휴대용 정보기기에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자신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를 게시할 수 있도록 하고, 정보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검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기술이 필요하다.
즉, 개방된 정보기기의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자신의 정보기기에 적합한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고, 생성된 홈페이지의 등록,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통합형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도 휴대용 정보기기를 위한 다양한 홈페이지 서비스 제공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다.
한국 공개특허 2007-0019374호는 홈페이지 제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페이지에 사용되는 각종 디자인을 유형별, 업종별로 구분하여 디자인 컨셉을 미리 대량으로 제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디자인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디자인을 주제로 하여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1-0070753호는 홈페이지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홈페이지를 개설 또는 변경하려는 사용자가 적정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이나 구조에 대해 간단히 원하는 색이나 이미지를 클릭하도록 하여 각 사용자의 신상정보와 디자인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이미지는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로 관리함으로서 사용자가 홈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4-0028830호는 테이블 구조를 이용한 홈페이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홈페이지 마법사 수단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홈페이지 구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3-0095546호는 웹모듈을 이용한 웹페이지 및 웹사이트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모듈의 구현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웹페이지 구성시 디자인과 기능의 변경, 추가, 삭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웹모듈로 구현된 웹페이지들의 선택을 통하여 원하는 웹사이트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2-0076647호는 메타언어를 기반으로 한 홈페이지 자동제작 및 자동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타 구조로 홈페이지를 제작하거나, 기존에 제작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메타구조의 홈페이지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6-0014233호는 웹디자인 자동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웹디자인 작업 툴이 내장된 웹디자인 자동생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력된 자료를 바탕으로 웹디자인을 자동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6-0100491호는 웹사이트 구축 시 레이아웃 및 컨텐츠 자동생성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웹사이트를 관리함에 있어서 레이아웃의 자동생성 및 메뉴의 모듈별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변경 수정 생성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1-0094912호는 모바일 홈페이지 제작 및 구현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하고 입력한 내용을 저장하여, 휴대 단말기를 통해 저장된 내용에 대한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호출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환경에 맞도록 내용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손쉽게 모바일 홈페이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2-0010227호는 무선 인터넷 폰페이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폰페이지 등록 내용을 작성하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작성된 내용을 웹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포바일 폰으로 폰페이지를 쉽게 작성, 수정,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2-0029256호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웹 제작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웹 아이템에 대한 내용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용이하고 빠르게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2-0004906호는 퍼스널 인트라넷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폰페이지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폰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모바일과 인터넷 홈페이지의 평생 주소를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네트워크상의 다양한 정보를 홈페이지에 공지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와 공급자간에 쌍방 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3-0048710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페이지 수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폰페이지를 오프라인상에서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수정시 온라인 접속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10-0447633호는 무선 컨텐츠/사이트 저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컨텐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저작 및 구축시 WYSIWYG 환경하에서 사용자들이 무선 인터넷 마크업 언어에 대한 지식 없이도 손쉽게 무선 컨텐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를 저작 및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4-0077354호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홈페이지 편집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 간단한 홈페이지의 편집/확인 및 파일 전송 기능을 가지는 편집기를 부가하여, 홈페이지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통해 모바일 홈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5-0016829호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템플릿 페이지를 통해 홈페이지를 구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사용하여 홈페이지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5-0068322호는 VM 또는 모바일 플랫폼 WIPI를 이용한 폰페이지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이 쉽게 연동 가능한 홈페이지와 폰페이지를 웹에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5-0100794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개인 홈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인 홈피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 받아 개인 홈피 데이터페이스에 기록된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6-0058878호는 휴대폰 단말기에서 폰 페이지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된 홈페이지 에디터를 사용하여 홈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를 웹 서버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6-0067434호는 모바일용 홈페이지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사이트를 모바일 사이트와 연동하여 구성함으로써 유무선의 통합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공개특허 2007-0003418호는 동적 템플릿을 이용한 무선 웹페이지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템플릿의 속성을 동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하나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다양한 UI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837076호는 모바일 홈페이지에서의 스킨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홈페이지상에서 사용자에게 스킨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탕화면을 적용 및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532711호는 표준 스키마에 기반한 데이터스킨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XSD 기반의 XML 문서를 웹 환경에서 다양한 관점에서 볼 수 있는 표준 스키마에 기반한 데이터 스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770799호는 자동 홈페이지 제작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업종에 대해 업종별 홈페이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홈페이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 등록특허 523512호는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위지위그 편집이 가능한, 조립식 홈페이지와 개인 포탈 사이트의 제작과 거래 방법 및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전문 디자이너에 의해 미리 제작된 구성요소의 HTML 코드를 사용하여 홈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직접 위지위그 방식으로 홈페이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단순히 휴대용 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되는 홈페이지 제작/편집 기술에 국한되어 있을 뿐, 휴대용 정보기기에서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홈페이지를 전용 웹 서버에 등록하여 보관 및 관리하며,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검색에 대응하여 웹 구조 및 컨 텐츠 정보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아울러, 이러한 휴대용 정보기기뿐만 아니라, 현재 보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의 새로운 정보기기 환경에도, 상기와 같이 인터넷을 활용한 웹 정보 기반의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기기용 홈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생성된 홈페이지를 웹 서버에 등록하여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생성된 홈페이지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정보 검색에 적용될 수 있도록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정보기기에 홈페이지와 관련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정보제공자 정보기기와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 수단;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홈페이지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로부터 추출되고 분류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 나의 정보 검색용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은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독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를 추출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페이지 생성 수단은 복수의 홈페이지 견본과 복수의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홈페이지 견본 각각에 대응함 - 을 저장하는 홈페이지 생성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홈페이지 견본 중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 견본을 추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중 상기 정보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홈페이지 견본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독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 상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는 상기 홈페이지에 수록되는 데이터임 - 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홈 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은 HTML, XML, XHTML, PHP, JAVA, Flash 및 FLEX 스크립트 언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성된다.
상기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은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저장하는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가 등록되는 홈페이지 등록 서버; 상기 홈페이지에 URL을 부여하고,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홈페이지 URL과 추출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재하는 홈페이지 등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은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또는 상기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를 추출된 상기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관리하는 홈페이지 인덱스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키워드는 크롤러를 통해 자동 추출된다.
상기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는 통합되어 형성 가능하다.
상기 홈페이지 등록부는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저장된 홈페이지들에 관한 정보를 수정, 갱신 또는 관리한다.
상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레이아웃 프레임상에 통합되어 형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정보제공자 정보기기와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정보제공자 등록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 단계;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파일을 저장하고,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상기 홈페이지를 등록하는 홈페이지 등록 단계;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 키워드 추출 및 분류 단계; 및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 검색용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는 인덱스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 단계는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를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를 추출하는 단 계를 포함한다.
상기 홈페이지 생성 단계는 추출된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 견본을 홈페이지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한 상기 홈페이지 견본 중 상기 정보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홈페이지 견본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홈페이지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한 상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홈페이지 제작 용도별 홈페이지 견본 및 상기 홈페이지 견본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홈페이지 등록 단계는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URL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홈페이지 URL과 추출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URL은 도메인 계층 및/또는 분류마다 부여된 식별 숫자를 통해 수치화되어 부여 가능하다.
상기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들을 수정, 갱신 또는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 생성 단계는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또는 상기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를 추출된 상기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홈페이지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들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 단계는 크롤러를 통해 자동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세대 유망 기술 서비스로 떠오르고 있는 모바일 웹 또는 IPTV의 웹 등의 정보기기 웹 서비스 기술 분야에 있어서 정보기기에 홈페이지와 관련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에 필요한 지식이 없는 정보제공자이거나, 소규모 자영업자 또는 개인이라 하더라도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의 제작 용도에 적합한 홈페이지를 자동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2. 자동 제작된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가 별도 서버의 도입 없이 웹 서버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위탁 관리할 수 있다.
3. 홈페이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여 테이블 구조의 홈페이지 인덱스 DB를 구축함으로써, 홈페이지에 등재된 정보의 검색에 대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 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정보기기들(100 : 100-1, 100-2, 100-3, … 100-N)과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정보기기들(100)에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란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유지/관리 등의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정보기기(100)는 사용자들이 본 발명의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홈페이지 관련 통합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로서, 휴대용은 물론이고, 휴대용이 아니라 하더라도 네트워크를 통해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정보기기(100)로는 휴대폰, PDA, 넷북, 랩탑 컴퓨터, 네비게이션, PMP,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기기를 비롯하여, 데스크탑 컴퓨터, IPTV 등 다양한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정보기기(100)와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어떠한 네트워크 연결 방식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그 방식 및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제한이 없다. 따라서, 정보기기들(100) 및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네트워크에 유선 또는 무선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이후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본 발명의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을 정보제공자와 정보이용자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정보제공자"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하는 사용자를 의미하며, "정보이용자"는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로부터 정보를 수집, 획득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210), 홈페이지 생성 수단(220),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230), 및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240)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210)은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211) 및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DB)(212)를 포함하고, 홈페이지 생 성 수단(220)은 홈페이지 생성부(221) 및 홈페이지 생성 DB(222)를 포함한다. 한편,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230)은 홈페이지 등록부(231),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 및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를 포함하고,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240)은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241) 및 홈페이지 인덱스 DB(242)를 포함한다.
먼저,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211)는, 홈페이지를 생성하여 소유하고자 하는 정보제공자를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다음으로,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홈페이지 생성 DB(222)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에 저장하며, 홈페이지 등록부(231)는 홈페이지 생성부(221)에 의해 생성된 홈페이지를 내부 웹 서버인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에 등록한다.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241)는 홈페이지 생성 과정에서 발생되는 키워드를 통해 정보 검색 서비스를 위한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여 홈페이지 인덱스 DB(242)에 저장하며, 홈페이지 인덱스 DB(242)는 저장된 홈페이지 인덱스를 관리한다.
도 3은 상술한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통한 홈페이지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홈페이지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 과정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다른 도면들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과정을 설명 하도록 한다.
먼저 정보제공자가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하여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홈페이지 제작을 시작한다(S301). 여기서, 정보제공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휴대형 또는 거치형 정보기기(100)를 통하여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할 수 있다.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211)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에 저장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독출하여, 접속한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로 전송한다(S302).
도 4는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정보제공자를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항목들로 구성되며, 홈페이지의 제작 용도, 홈페이지 신청인의 이름·주소·전화번호,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 UA), 특징 등의 입력 폼을 포함한다.
정보제공자는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항목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입력한다(S303). 이때, 정보제공자는 키보드, 키패드 등 정보기기(100)에서 제공하는 입력 수단을 통해 문자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프레임 항목들 중 "용도" 입력은 정보제공자가 직접 주관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고, 홈페이지의 분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메뉴 제시를 통한 선택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용도" 항목에 "선택" 아이콘을 배치하고, 정보제공자가 홈페이지 용도를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 아이콘을 클 릭하는 경우, 트리 구조의 용도 메뉴를 제시하여, 정보제공자가 제시된 용도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현 가능하다. 이는 굳이 "용도" 항목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메뉴 제시가 가능한 다른 항목에도 이러한 선택 입력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용도 메뉴의 트리 구조는 상위-하위 구조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위 용도로서 "비지니스용", "개인용", "단체용", "문제은행 올리기" 등을 마련하고, "비지니스용"의 하위 용도로서 "음식점", "자동차", "학원", "스포츠&레포츠" 등을 마련하며, 다시 "음식점"에 대한 하위 용도로서 "중국요리", "한식", "일식", "이태리요리" 등을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개인용", "단체용" 등의 상위 용도 메뉴에도 다양한 하위 용도가 마련될 수 있음은 도 4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며, 이외에도 홈페이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 메뉴가 마련되어 정보제공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이때, 정보제공자는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제시되는 다양한 용도 메뉴들을 참조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홈페이지에 부합하는 용도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의정활동" 등에 관한 정보를 홈페이지에 제공하고, 홈페이지를 유권자들과의 소통의 장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정보제공자는 홈페이지의 제작 용도로서 "선거홍보"를 선택할 수 있고, 개인적인 블로그로서 홈페이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정보제공자는 "○○블로그"를 제작 용도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용도 선택시 정보제공자는 제공된 선택 메뉴 중 반드시 최하위 용도 항목만을 선택하지 않아도 됨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자는 "음식점" 메뉴의 하위 용도를 반드시 선택할 필요가 없으며, 중간 단계 용도인 "음식점"을 용도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항목들이 정보제공자에 의해 모두 입력되면(S303), 입력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들이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송된다(S304).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211)는 수신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를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에 저장하여 정보제공자를 등록하고,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로부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를 추출한다(S305).
이후,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추출된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에 부합하는 홈페이지 견본들을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로 전송한다(S306). 홈페이지 견본들은 홈페이지 생성 DB(222)에 각 용도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이러한 홈페이지 생성 DB(222)에 저장되어 있는 홈페이지 견본들 중에서 정보제공자의 용도에 부합하는 홈페이지 견본들을 검색한 뒤 독출하여 전송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제작 용도가 "음식점"에 해당하는 경우, 정보제공자에게 제시되는 홈페이지 견본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다양한 형태의 초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홈페이지에 대한 세부 페이지들을 나태는 도면이다. 즉, 도 7의 홈페이지에서 "메뉴소개" 항목을 선택하면 도 8의 화면이 제시되고, "방문후기" 항 목을 선택하면 도 9의 화면에 제시되며, "오시는길" 항목을 선택하면 도 10의 화면이 제시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홈페이지 견본들이 전송되면, 정보제공자는 제시된 견본들 중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게 되고(S307),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정보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홈페이지 견본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과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로 전송한다(S308).
레이아웃 프레임은 텍스트, 사진, 탭 등이 홈페이지상에 배치되는 형태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가 입력되는 프레임이다.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란 레이아웃 프레임 각각에 수록되어 홈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레이아웃 프레임과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홈페이지 생성 DB(222)에 홈페이지 견본들과 함께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홈페이지 생성 DB(222)로부터 레이아웃 프레임과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독출하여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레이아웃 프레임(a)과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b)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레이아웃 프레임(a)은 텍스트 및 사진 등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제시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의 레이아웃 프레임(a)에는 텍스트나 사진 외에도 상호 관련 프레임이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른 항목들이 포함되도록 레이아웃 프레임(a)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b)은 각 레이아웃 프레임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시된다.
정보제공자는 선택한 홈페이지 견본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확인하고, 프레임의 각 항목에 메타데이터를 입력하여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이를 전송함(S309)으로써, 홈페이지를 작성하는 과정을 마친다.
한편,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정보제공자로부터 입력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한다(S310).
도 13 내지 도 21은 레이아웃 프레임의 예(a)와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레이아웃 프레임의 형태에 따라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 또한 각각 다르게 생성되어야 하며, 이때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은 HTML, XML, XHTML, PHP, JAVA, Flash 및 FLEX 스크립트 언어 등은 물론이고, 이 외에도 홈페이지 구현을 위하여 다양하게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있는 언어 파일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21에 도시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b)은 홈페이지가 휴대폰용으로 제작되는 예로서, HTML을 사용한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홈페이지 레이아웃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홈페이지 견본마다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즉, 홈페이지 견본마다 각각의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이 존재하게 된다. 다만, 홈페이지 견본의 레이아웃 파일에는 메타데이터들이 입력될 장소가 공란으로 되어 있으며, 정보제공자가 메타데이터를 입력하여 공란을 채운 이후에 최종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이 완성된다.
또한, 홈페이지 견본 각각의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은 언어별로도 존재한다. 즉, 하나의 홈페이지 견본에 대하여, HTML, XML, XHTML, PHP, JAVA, Flash 및 FLEX 스크립트 언어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되어 있는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최종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 또한 다양한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각 언어별로 생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정보기기가 어떠한 정보기기든지 해당 정보기기에 적합한 언어를 통해 생성되어 있는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보기기에 홈페이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2는 실제 제작된 홈페이지의 예(a)와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HTML로 작성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이 생성되면(S310),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생성된 홈페이지를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로 전송한다(S311).
정보제공자는 정보제공자의 정보기기(100)로 수신된 홈페이지를 확인하고, 수락 여부를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312). 이때, 정보제공자에 의해 홈페이지가 최종 수락되면(S312-Y),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생성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에 저장하고(S313), 홈 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통해 홈페이지를 생성함으로써 홈페이지 자동 생성 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여기서, 필요한 경우 홈페이지 생성부(221)는 홈페이지의 사이트맵을 생성할 수 있고, 홈페이지 생성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과 사이트맵 정보를 결합하게 된다.
반면, 정보제공자에 의해 홈페이지가 최종 수락되지 않으면(S312-N), 홈페이지를 수정하기 위하여, 견본 제시 단계(S306) 또는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전송 단계(S308)부터 다시 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 데이터 프레임을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할 때 동시에 홈페이지에 대한 견본과 이에 해당하는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용도에 따라 다수개의 홈페이지 견본을 제시하고, 제시된 견본들 중 어느 하나를 정보제공자가 선택하는 방식이 아니라, 각 용도별로 홈페이지 견본을 하나씩 지정하여 정보제공자에게 바로 제시함으로써, 견본 제시 단계(S306) 및 견본 선택 단계(S307)를 생략할 수 있어, 과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전송 단계(S302)와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전송 단계(S308)를 통합하고,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입력 단계(S303)와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입력 단계(S309)를 통합할 수 있어, 홈페이지 생성 과정이 더욱더 단순될 수 있다.
또한, 용도별로 홈페이지가 하나씩만 제공되는 경우, 동일한 용도의 홈페이 지들을 일관성 있게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홈페이지 구성이 통일화되어 정보이용자들의 입장에서 홈페이지의 이용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으며, 홈페이지 사용법 또한 통일화되어 홈페이지 사용법을 익히기 위한 절차가 불필요하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정보제공자가 선택한 홈페이지 견본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함께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하여, 정보제공자가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메타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 구현하였으나, 이 역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자가 선택한 홈페이지 견본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만을 정보제공자에게 제공하고, 레이아웃 프레임 자체에 정보제공자가 메타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자체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레이아웃 프레임상에 통합되는 형태로도 변형 가능하다.
이에 대한 실시 예가 도 23a 내지 도 23g에 도시되어 있다. 도 23a 내지 도 23g를 참조하면, 레이아웃 프레임 각각에 입력란이 마련되고, 정보제공자가 입력란을 채우는 방식으로 메타데이터 입력이 이루어진다. 도 23g에 도시된 "탭" 메뉴는 홈페이지내의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메타데이터 입력 단계에서 정보제공자가 "탭"을 선택하면, 선택된 탭에 링크될 페이지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이 제공된다.
도 24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성된 개인용 홈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메인 페이지의 구성 요건에 따라 전체 페이지 수가 결정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메인 페이지인 "ooo 블로그"에 "나", "일기" 및 "예정"이라는 구성 요건이 마련됨에 따라, "나" 항목에 대한 페이지, "일기" 항목에 대한 페이지, "예정" 항목에 대한 페이지가 각각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정보제공자가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정보기기와 정보이용자에 의해 홈페이지가 이용되는 정보기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에 이용되는 홈페이지라 하더라도, 홈페이지의 생성 과정은 반드시 휴대폰에서 진행될 필요없이 데스크탑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의 입장에서 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홈페이지 생성부(221)에 의해 생성되어,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에 저장된 홈페이지를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통한 홈페이지 등록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홈페이지 등록은 생성된 홈페이지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부여하고,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에 등재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하면, 먼저 홈페이지 등록부(231)는 홈페이지 생성부(221)에 의해 생성되어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에 저장된 홈페이지에 URL을 부여한다(S401). 이때, 부여되는 URL은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또는 IP 주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URL 부여 방법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6에는 하나의 도메인 네임을 기본으로, 각각의 홈페이지에 하위 URL을 부여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6에 따르면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기본 URL을 "www.infobee.net"라 할 때, 다른 홈페이지들의 URL을 "www.infobee.net/한정식", "www.infobee.net/통닭", "www.infobee.net/통닭/페리카나", "www.infobee.net/통닭/교촌", "www.infobee.net/통닭/BBQ" 등으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도 27에는 홈페이지의 URL을 서브 도메인 네임으로 부여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7에 따르면 상위 항목을 서브 도메인 네임으로 하여, "한정식.infobee.net", "중고차.infobee.net" 등으로 부여하고, 다시 하위 항목들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하위 URL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한정식.infobee.net'에 종속된 홈페이지들의 URL을 '한정식.infobee.net/우리집', '한정식.infobee.net/경주' 등으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각 도메인 네임에 숫자를 부여하여 수치화함으로써, 홈페이지 관리에 있어 IP 어드레스로 활용 가능하다. 도 2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www.infobee.net/한정식"은 "111"로, "www.infobee.net/통닭/교촌"은 "112122"로 각각 표현 가능하다.
이후, 홈페이지 등록부(231)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와 홈페이지 파 일 저장 DB(232)로부터 홈페이지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추출한다(S402). 정보 추출 단계(S402)에서 추출되는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들은 홈페이지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 자체에 대한 정보는 물론이고, 정보제공자에 의해 입력되어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에 수록된 메타데이터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홈페이지 등록부(231)는 추출한 홈페이지 정보들을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에 등재하여 DB화한다(S403).
도 28은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의 DB 구조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추출된 홈페이지 정보들을 테이블 구조의 관계형 모델로 DB화한 실시 예이다.
도 28에 도시된 테이블의 최상위 횡렬은 홈페이지 정보의 항목들을 나타내며, 각 항목에 대한 값들이 하위에 기록된다. 홈페이지 정보 항목들로는 예컨대, "홈페이지 No", "홈페이지 URL", "작성일", "수정일", "키워드1", "키워드2", "키워드3", "정보제공자 ID", "정보제공자 PW", "UA", "홈페이지 파일 No"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홈페이지 No"에는 상술한 URL의 수치화 정보가 수록된다. 이러한 "홈페이지 No"는 홈페이지의 업종, 업태, 용도 분류 및 검색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작성일", "수정일"은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이 작성 및 수정된 날짜가 기록되며, "홈페이지 파일 No"에는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에 대한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상의 엔트리 번호로,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로부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독출할 때 참조된다.
"정보제공자 ID", "정보제공자 PW", "UA"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로서, 이 정보들은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로부터 추출 가능하다. "UA"는 특정 웹 브라우저가 송출하는 식별 정보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해석하여 렌더링(Rendering)하는 웹 브라우저를 말한다. 만약, 홈페이지가 휴대폰에서 이용되는 것이라면, UA 항목에는 해당 휴대폰의 웹 브라우저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다. UA는 휴대폰에서 채용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가 상이할지라도, 휴대폰의 UA에 맞추어 홈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 정보로 사용된다.
한편, "키워드1", "키워드2", "키워드3"은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에 수록된 메타데이터들로부터 추출된 것들이다. 키워드 추출은 수동과 자동으로 가능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후,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에서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 수정 또는 갱신이 필요한 경우(S404-Y), 홈페이지 등록부(231)는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에서 정보 수정 및 갱신을 수행한다(S405).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함에 따라서,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와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를 통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홈페이지 등록부(231)를 통해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통한 홈페이지 키워드 추출 및 분류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키워드 추출(500)은 수동 추출(510) 또는 자동 추출(520) 이 가능하여, 둘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도 있다.
먼저, 수동 추출(510)은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관리자가 직접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에 수록된 메타데이터들을 참조하여, 적합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이런 점에서, 수동 추출 방법은 키워드의 정확한 추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자동 추출(520)은 크롤러에 의한 추출 방식으로, 크롤러(Crawler)를 이용하여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에 수록된 메타데이터들로부터 자동으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자동 추출(520) 방식은 홈페이지의 기술 언어인 HTML 파일의 메타데이터들 중 TAG 요소인 "Keyword" 또는 "Description" 등의 부분에 정의 또는 기술되어 있는 문자열을 추출하여 해석하는 소프트웨어인 크롤러를 통해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한편, 키워드는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에 저장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뿐만 아니라,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에 저장된 정보제공자 정보로부터도 추출될 수 있다.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제공자 등록용 프레임을 통해 정보제공자가 직접 입력한 메타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이 메타데이터에는 정보제공자의 인적 정보를 비롯하여 홈페이지의 제작 용도, UA, 특징 등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추출되어 키워드로 사용될 수 있다.
추출된 키워드에 대해서는 종류에 따른 분류 작업이 수행된다.
키워드 분류(600)로는 고유명사(610), 보통명사(620), 서비스명(630), 기능명(640), 카테고리명별 분류(650)가 가능하다.
고유명사별 분류(610)는 상호, 이름, 소재지 등과 같은 고유명사로 키워드를 분류하는 것이고, 보통명사별 분류(620)는 꽃가게, 자동차 등과 같은 보통명사로 키워드를 분류하는 것이며, 서비스명별 분류(630)는 대리운전, 무료배송 등과 같은 서비스명으로 키워드를 분류하는 것이다. 또한, 기능명별 분류(640)는 다이어트용, 건강용 등과 같은 기능명으로 키워드를 분류하는 것이고, 카테고리명별 분류(650)는 주류, 면류, 한식, 일식 등과 같은 카테고리명으로 키워드를 분류하는 것이다.
또한, 키워드 분류에 의해 분류된 키워드는 소분류로 재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고유명사별(610)로 분류된 키워드는 다시 그 안에서 상호(611), 이름(612), 소재지(613)별로 재분류될 수 있다.
한편, 키워드 분류 및 재분류도 키워드 추출과 마찬가지로, 자동 또는 수동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추출 및 분류된 키워드는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을 위한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홈페이지 인덱스란 특정 키워드가 수록되어 있는 홈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로서, 홈페이지들의 정보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DB(212),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232), 홈페이지 등록 서버(233) 등을 참조하여 획득되어 홈페이지 인덱스 DB(242)에 저장되며, 홈페이지 인덱스는 다시 이 홈페이지 인덱스 DB(242)를 참조하여 재구성될 수도 있다.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241)는 키워드별로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여 홈페이지 인덱스 DB(242)에 저장하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 인덱스마다 각각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2에는 인덱스별 홈페이지 정보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0은 맛집 인덱스, 도 31은 개인 인덱스, 도 32는 서비스 인덱스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0에 도시된 맛집 인덱스는 보통명사로 분류된 "맛집"을 키워드로 가지고 있는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페이지 인덱스로서, 맛집에 대한 "상호", "소재지", "주요 메뉴", "홈페이지 저장장소", "갱신일자",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수록된다.
도 31에 도시된 개인 인덱스는 고유명사로 분류된 "이름"을 키워드로 가지고 있는 홈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페이지 인덱스로서, 개인에 대한 "이름", "직업",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저장장소" 및 "갱신일자" 등이 수록된다.
도 32에 도시된 서비스 인덱스는 서비스명을 키워드로 가지고 있는 홈페이지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홈페이지 인덱스로서, "서비스명", "서비스 지역", "상호", "전화번호", "홈페이지 저장장소" 및 "작성일자" 등이 수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홈페이지 정보들이 테이블 구조로 데이터베이스화 된 인덱스로 구축되며, 이러한 인덱스들은 추후 정보이용자가 홈페이지 검색을 이용할 때 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키워드 추출 및 분류 과정은 크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키워드 추출 및 분류부를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내에 마련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241)에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생성, 등록 및 관리)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생성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10은 제작 용도가 "음식점"에 해당하는 경우, 정보제공자에게 제시되는 홈페이지 견본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레이아웃 프레임(a)과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b)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21은 레이아웃 프레임의 예(a)와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b)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실제 제작된 홈페이지의 예(a)와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HTML로 작성된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a 내지 도 23g는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이 통합된 레이아웃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성된 개인용 홈페이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등록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6 및 도 27은 URL 부여 방법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홈페이지 등록 서버의 DB 구조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페이지 키워드 추출 및 분류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0 내지 도 32는 인덱스별 홈페이지 정보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정보기기
200 :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
211 :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 212 :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220 : 홈페이지 생성 수단 221 : 홈페이지 생성부
222 : 홈페이지 생성 DB 230 :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
231 : 홈페이지 등록부 232 : 홈페이지 파일 저장 DB
233 : 홈페이지 등록 서버 240 :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
241 :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 242 : 홈페이지 인덱스 DB

Claims (20)

  1.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정보제공자 정보기기와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 수단;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홈페이지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로부터 추출되고 분류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 검색용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생성 수단은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생성하며,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작성되어, 상기 홈페이지가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또는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적합한 언어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은,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 이터베이스; 및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독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를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를 추출하는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부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생성 수단은,
    복수의 홈페이지 견본과 복수의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홈페이지 견본 각각에 대응함 - 을 저장하는 홈페이지 생성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홈페이지 견본 중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 견본을 추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 중 상기 정보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홈페이지 견본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독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 상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는 상기 홈페이지에 수록되는 데이터임 - 를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부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은 HTML, XML, XHTML, PHP, JAVA, Flash 및 FLEX 스크립트 언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은,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저장하는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가 등록되는 홈페이지 등록 서버;
    상기 홈페이지에 URL을 부여하고,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홈페이지 URL과 추출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재하는 홈페이지 등록부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은,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또는 상기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를 추출된 상기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는 홈페이지 인덱스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관리하는 홈페이지 인덱스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크롤러를 통해 자동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는 통합되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등록부는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저장된 홈페이지들에 관한 정보를 수정, 갱신 또는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레이아웃 프레임상에 통합되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정보제공자 정보기기와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홈페이지 관련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를 사용하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정보제공자 등록 단계;
    홈페이지 생성 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 및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디스플레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자동 생성하는 홈페이지 생성 단계;
    홈페이지 등록 및 관리 수단을 통해,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파일을 저장하고,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상기 홈페이지를 등록하는 홈페이지 등록 단계;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을 통해,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 키워드 추출 및 분류 단계; 및
    상기 인덱스 생성 및 관리 수단을 통해, 상기 키워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보 검색용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는 인덱스 생성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홈페이지 생성 단계에서, 상기 홈페이지는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별로 작성되어, 상기 홈페이지가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 또는 상기 정보이용자 정보기기에 적합한 언어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 단계는,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를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생성 단계는,
    추출된 상기 정보제공자의 홈페이지 제작 용도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페이지 견본을 홈페이지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한 상기 홈페이지 견본 중 상기 정보제공자에 의해 선택된 홈페이지 견본에 대한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홈페이지 생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한 상기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기기로부터 수신된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은 홈페이지 제작 용도별 홈페이지 견본 및 상기 홈페이지 견본에 대응하는 레이아웃 프레임 및 레이아웃 입력용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등록 단계는,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을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에 URL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홈페이지 URL과 추출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URL은 도메인 계층 또는 분류마다 부여된 식별 숫자를 통해 수치화되어 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에 대한 정보들을 수정, 갱신 또는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생성 단계는,
    상기 정보제공자 정보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정보제공자 등록용 메타데이터 또는 상기 홈페이지 파일 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레이아웃 파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 단계;
    상기 홈페이지 등록 서버에 등록된 홈페이지 정보를 추출된 상기 키워드별로 분류하여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를 홈페이지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홈페이지 인덱스들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고 분류하는 단계는 크롤러를 통해 자동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90064491A 2009-07-15 2009-07-15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6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91A KR100962342B1 (ko) 2009-07-15 2009-07-15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2009801289444A CN102105875B (zh) 2009-07-15 2009-11-03 用于提供全面主页服务的系统和方法
US13/203,942 US8892537B2 (en) 2009-07-15 2009-11-03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tal homepage service
PCT/KR2009/006427 WO2011007935A1 (ko) 2009-07-15 2009-11-03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1522921A JP5096619B2 (ja) 2009-07-15 2009-11-03 ホームページ統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491A KR100962342B1 (ko) 2009-07-15 2009-07-15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2342B1 true KR100962342B1 (ko) 2010-06-10

Family

ID=4236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491A KR100962342B1 (ko) 2009-07-15 2009-07-15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090B1 (ko) 2020-06-16 2020-12-01 (주)켐녹 딥러닝 기반의 번역 모델을 이용한 웹사이트 관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324352B1 (ko) 2021-06-22 2021-11-12 수테크시스템즈 주식회사 Ai 기반 프로그램 자동 생성 시스템
KR20230036392A (ko) * 2021-09-07 2023-03-14 네이버 주식회사 위지위그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090B1 (ko) 2020-06-16 2020-12-01 (주)켐녹 딥러닝 기반의 번역 모델을 이용한 웹사이트 관리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324352B1 (ko) 2021-06-22 2021-11-12 수테크시스템즈 주식회사 Ai 기반 프로그램 자동 생성 시스템
KR20230036392A (ko) * 2021-09-07 2023-03-14 네이버 주식회사 위지위그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79484B1 (ko) * 2021-09-07 2023-09-15 네이버 주식회사 위지위그 편집 도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935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a website specific to an industry
JP6818050B2 (ja) ウェブサイト構築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889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or updating an application using website content
KR100656150B1 (ko) 커뮤니티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5096619B2 (ja) ホームページ統合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211364B (zh) 用于万维网页中暴露的资源的公共书签的方法和系统
Schwinger et al. A survey on web modeling approaches for ubiquitous web applications
JP4070643B2 (ja) 表示用データ生成装置、表示用データ生成システム、データ管理装置、表示用データ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05270B2 (ja) ユーザカスタマイズ型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239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blog Author-Defined, Weblog-Specific Search Scopes in Weblogs
US20080172608A1 (en) Site builder
CN101583938A (zh) 用于万维网络社区和万维网络应用的转换数据的系统和方法
US20170109442A1 (en) Customizing a website string content specific to an industry
KR100962342B1 (ko) 홈페이지 생성, 등록 및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5275488A (ja) 入力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430609A (zh) 针对企业环境的浏览器新标签页的生成
KR100929925B1 (ko) 홈페이지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522186B1 (ko) 동적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웹에서구현하는 장치
CN101539914A (zh) 对网页进行可读化定制转换的技术方案
Griffin Foundations of Popfly: rapid mashup development
JP2008046879A (ja) ページ表示装置、ページ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105692A (ko) 전문가 추천 검색결과 제작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105715A (ko) 전문가 추천 검색결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105500A (ko) 검색결과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20070110953A (ko) 개인화된 포털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07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0706

Effective date: 20161129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680;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68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71124

Effective date: 201804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4331; INVALIDATION OF CORREC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4331;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80518

Effective date: 201903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3000006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190402

Effective date: 2019060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