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028B1 -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028B1
KR100956028B1 KR1020080100682A KR20080100682A KR100956028B1 KR 100956028 B1 KR100956028 B1 KR 100956028B1 KR 1020080100682 A KR1020080100682 A KR 1020080100682A KR 20080100682 A KR20080100682 A KR 20080100682A KR 100956028 B1 KR100956028 B1 KR 10095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sical instrument
instrument
performance
midi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6741A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102008010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028B1/en
Publication of KR2008009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0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연주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악기들의 연주 연습을 위한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볼륨조절, 음향조절, 특정악기의 선택을 포함하는 각종 선택신호 및 제어신호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노래반주나 악기별 연주를 위한 미디(MIDI)파일, 및 연주를 위한 음악코드가 표시된 악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일렉트릭기타, 베이스기타, 및 색소폰을 포함하는 전자악기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로부터 연주음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와 믹싱하여 믹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믹싱신호에서 특정 악기의 신호를 빼거나 선택하여 외부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세싱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악보를 TV 화면으로 출력하고, 외부 미디악기에서 제공되는 미디파일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미디파일을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로 제공하며,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마추어 연주가나 학생이 쉽게 악기 연주 연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공간적 제약이 적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80100682

악기 연주, 악보, 노래, 반주, 밴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for the practice of playing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olume control, sound control, a plurality of selection signals and control signals for input including the selec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A key input unit having keys of; A memory unit for storing a MIDI file for song accompaniment 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musical score for displaying a music code for performance; Receives a performance sound from at least one electronic instrument selected from among electronic instruments including an electric guitar, a bass guitar, and a saxophone, generates a mixing signal by mixing with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memory unit, and in the mixing signal An audio processing unit which subtracts or selects a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and provides it to an external speaker or a headphone;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music scor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output to a TV screen, and a MIDI file provided from an external MIDI instrument or a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provided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mateur player or a student can easily perform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use less space constraints.

Figure R1020080100682

Musical Instruments, Sheet Music, Singing

Description

악기연주 연습장치{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본 발명은 악기연주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소규모의 밴드(band)나 개인이 악기를 배우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한 악기연주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practic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practice apparatus useful when a small band or an individual wants to learn a musical instrument.

최근 들어 기타, 키보드, 색소폰 등 한 두 가지 악기를 배우려는 요구가 점점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예술 분야와 같이 전문가가 직접 교육하는 방법밖에 없어, 음악 학원을 다니거나 또는 개인지도를 받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이 없었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demand to learn one or two instruments such as guitars, keyboards and saxophones. However, to meet these demands, there was only a method of direct education by experts, as in other arts fields, and there was no other way than to go to a music school or to receive tutoring.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을 뿐만 아니라 그 효율성도 매우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훌륭한 선생님으로부터 레슨을 받고 싶어도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많지 않았고,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conventional method not only has a lot of time and space constraints but also has a very low efficiency. And even though I wanted to take a lesson from a good teacher, I didn't have many opportunities to get an education, and it was too expensive.

또한 상당한 수준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라 할지라도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연주자 또는 다른 성악가와 함께 호흡을 맞추며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때마 다 상대 연주자(성악가)와 시간을 맞추기도 어려워 자기 혼자서 연습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습은 주로 악보에 의존한 솔로 연주가 대부분이며 실제 공연에 있어서는 피아노, 실내관현단, 교향관현악단 등과의 협연을 통한 연주가 이루어지므로 피교습자 즉 연주자가 연습한 환경과 실제 공연환경에 큰 차이가 발생하여 연주자가 연주환경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professional has a considerable level, it is necessary to practice breathing with other performers or other singers as needed, but it is difficult to make time with other players (vocalists) at that time. There was no. In addition, most of these exercises are solo performances that rely on music scores. In actual performances, performances are performed through concerts with piano, chamber orchestra, symphony orchestra,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layer adapts to the playing environment.

또한, 연주자가 피아노, 관현악단 등과의 협연 연습을 위한 시간과 장소의 제한적 사용과, 이로 인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교습자의 곡 해석 차이에 따라 미세하게 변형된 곡을 연주하는 연주자와 협연 연주자들의 음악적 조율 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yer has limited use of time and place for practicing the piano, orchestra, and the like, and the cost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can not tune their music.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악기연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that can overcom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밴드 없이도 기타나 색소폰 등을 배우고자 하는 아마추어 연주가나 학생을 위한 악기연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for amateur musicians or students who want to learn the guitar or saxophone without a ba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보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특정악기의 연주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악기연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displaying musical scores and performing a performance practice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래반주가 가능한 악기연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capable of accompani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공간적 제약이 적은 악기연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rument playing practice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has little space constrai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간편한 악기연주 연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trument playing practice device that is easy to use.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악기들의 연주 연습을 위한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볼륨조절, 음향조절, 특정악기의 선택을 포함하는 각종 선택신호 및 제어신호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노래반주나 악기별 연주를 위한 미디(MIDI)파일, 및 연주를 위한 음악코드가 표시된 악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 일렉트릭기타, 베이스기타, 및 색소폰을 포함하는 전자악기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로부터 연주음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와 믹싱하여 믹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믹싱신호에서 특정 악기의 신호를 빼거나 선택하여 외부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세싱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악보를 TV 화면으로 출력하고, 외부 미디악기에서 제공되는 미디파일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미디파일을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로 제공하며,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ome of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practic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election signals including volume control, sound control, the selec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and A key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A memory unit for storing a MIDI file for song accompaniment 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musical score for displaying a music code for performance; Receives a performance sound from at least one electronic instrument selected from among electronic instruments including an electric guitar, a bass guitar, and a saxophone, generates a mixing signal by mixing with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memory unit, and in the mixing signal An audio processing unit which subtracts or selects a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to provide to an external speaker or a headphone;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music scor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output to a TV screen, and a MIDI file provided from an external MIDI instrument or a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provided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 contro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미디파일의 해석 및 변환을 위한 사 운드엔진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sound engine for interpreting and converting a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는, 일렉트릭기타, 베이스기타, 및 색소폰을 포함하는 전자악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에서 발생되는 연주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변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의 출력신호를 이퀄라이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를 상기 연주신호와 샘플링 레이트를 일치시켜 상기 믹서로 제공하기 위한 리샘플러(Re-sampl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를 통해 하나의 연주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연주신호와 상기 리샘플러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를 통해 두 종류 이상의 연주신호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두 종류이상의 연주신호들과 상기 리샘플러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를 통해 출력되는 믹싱신호에서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를 제거하거나,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선택기와; 상기 신호선택기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변환하여 외부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DA컨버터와; 상기 신호선택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앰프 또는 디지털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PWM 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AD converter for receiving and digitally converting a performance signal generated from at least one electronic instrument among electronic instruments including an electric guitar, a bass guitar, and a saxophone; At least one equalizer for equalizing an output signal of the AD converter; A re-sampler for providing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controller to the mixer by matching a sampling rate with the playing signal; When one performan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t least one equalizer, the one performance signal and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resampler are mixed and output, and two or more kinds of performances are performed through the at least one equalizer. A mixer for mixing and outputting two or more kinds of performance signals and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resampler when the signals are output; A signal selector for removing a playing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from the mixing signal output through the mixer, 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ly a playing signal of the specific instrument; At least one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or a headphone; A PWM generator for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to a digital amplifier or a digital speaker may be provided.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에서 발생되는 연주신호에 디스토션, 코러스, 오버드라이브, 리벌브, 딜레이, 플렌져를 포함하는 음향효과를 부가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에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펙터(effector)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at least one for adding a sound effect including a distortion, chorus, overdrive, reverb, delay, a flanger to the playing signal generated in the at least one electronic instrument to provide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It may further comprise an effector (effector) of.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TV화면으로 출력되는 악보의 페이지 넘김 기능을 위해 사용자의 발을 통해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풋페달과; 상기 풋페달을 통해 제공되는 커맨드를 컨트롤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풋페달 컨트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the foot pedal for inputting a command through the user's foot for the page turning function of the sheet music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TV screen; A foot pedal controller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trol a command provided through the foot pedal and transmit the command to the controller.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미디파일신호와 믹싱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에 제공함에 의해, 노래반주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musical instrument pla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which receives a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and mixes the voice signal with the MIDI file signal to provide the audio processor. By this, a song accompaniment function can be provided.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MP3파일로 엔코딩하여 MP3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MP3엔코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MP3 encoder for generating an MP3 file by encoding an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unit into an MP3 file and storing the MP3 file through the control unit.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송팩이나 메모리 카드 연결을 위한 외부메모리연결부와; 컴퓨터나 휴대폰과의 통신을 위한 외부기기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and an external memory connection for connecting a song pack or a memory card;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본 발명에 따르면, 아마추어 연주가나 학생이 쉽게 악기 연주 연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노래반주가 가능하여 노래연습을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고 공간적 제약이 적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mateur musician or student can easily perform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nd the song accompaniment can be performed along with the song practi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 less space constrain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any other intention than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연주 연습장치(100)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practi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연주 연습장치(100)는, 키입력부(135), 메모리부(130), 오디오 프로세싱부(120), 제어부(110)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사용자의 악기 연주 연습을 위한 악기로써 일렉트릭 기타(Elec. Guitar)(240), 베이스기타(Bass Guitar)(250), 및 색소폰(Saxophone)(250) 이 예로서 나타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전자악기들이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usical instrument pla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input unit 135, a memory unit 130, an audio processing unit 120, and a controller 110. do. In FIG. 1, an electric guitar (Elec. Guitar) 240, a bass guitar 250, and a saxophone 250 are illustrated as examples for the user to practice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Electronic instruments may be included.

상기 키입력부(135)는, 볼륨조절, 음향조절, 특정악기의 선택을 포함하는 각종 선택신호 및 제어신호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키입력부(135)를 통하여 사용자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연주신호의 볼륨조절이나 음향조절 등의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연주 연습을 하고자 하는 특정악기의 연주음을 제거하고자 하는 커맨드(K)나, 합주를 하고자 하는 특정악기의 선택등을 위한 커맨드(K)의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맨드(K)의 입력은 리모콘으로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The key input unit 135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various selection signals and control signals including volume control, sound control, and selection of specific instruments. Through the key input unit 135, the user can perform a control operation such as volume control or sound control of the performance signal output to the speaker.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K for removing a performance sound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to practice playing, or a command K f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for ensemble. The input of the command K has a structure that can also be used by a remote controller.

상기 메모리부(130)는 노래반주나 악기별 연주를 위한 미디(MIDI)파일, 및 연주를 위한 음악코드가 표시된 악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도, 노래반주를 위한 노래가사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파일은 반주음 음원(연주 용 음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와,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30 is for storing a MIDI file for song accompaniment 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musical score for musical performance. In addition, song lyrics for song accompaniment may be stored. The MIDI file is a concept including an accompaniment sound source (sound source for playing). To this end, a main memory having at least one RAM, a storage memory having at least one ROM including a flash memory, and a backup memory for data backup may be provided.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는, 일렉트릭기타, 베이스기타, 및 색소폰을 포함하는 전자악기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로부터 연주음신호(E,B,S)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M_1)와 믹싱하여 믹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믹싱신호에서 특정 악기의 신호를 빼거나 선택하여 외부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의 구체적 구성은 도 2를 통해 다시 설명한다. The audio processor 120 receives the play sound signals E, B, and S from at least one electronic instrument selected from among electronic instruments including an electric guitar, a bass guitar, and a saxophone, and the memory unit 130. Mixing with the MIDI file signal (M_1) provided through the to generate a mixing signal, and subtracts or selects a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from the mixing signal to provide to the external speakers or headphone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again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키입력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커맨드(K)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악보를 TV 화면(270)으로 출력하고, 외부 미디악기(230)에서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EM) 또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미디파일을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로 제공하며,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10 outputs the music score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to the TV screen 270 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K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35, and an external midi instrument 230. The MIDI file signal EM or the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is provided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and the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100 is performed.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부(135)에 저장된 미디파일이나 외부에서 제공되는 미디파일의 해석 및 변환을 위한 사운드엔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엔진은 음성이나 오디오 신호의 제어를 총괄하며, 일반적인 동작제어는 별도의 CPU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sound engine for interpreting and converting a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135 or a MIDI file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sound engine is in charge of controlling voice or audio signals, and general operation control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CPU.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는,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펙터(effector)(150), 풋페달(145), 풋페달 컨트롤러(140), MP3엔코더(190), 상태표 시부(180), 마이크(220), 외부메모리 연결부(160), 외부기기연결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100, in addition, at least one effector (150), foot pedal 145, foot pedal controller 140, MP3 encoder 190, status display unit 180, microphone 220, an external memory connector 160, and an external device connector 170 may be provid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펙터(15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240,250,260)에서 발생되는 연주신호(E,B)에 디스토션(distortion), 코러스(chorus), 오버드라이브(overdrive), 리벌브(reverb), 딜레이(delay), 플렌져(flanger), 에코(echo)를 포함하는 음향효과를 부가한 연주신호(E_1,B_1)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펙터(150)는 사용되는 악기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이펙터(150)로 다수의 악기의 신호를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이펙터(150)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악기의 경우(예를 들면, 색소폰)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at least one effector 150 may include distortion, chorus, overdrive, and reverb to the playing signals E and B generated by the at least on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240, 250, and 260. In order to provide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with the performance signals E_1 and B_1 to which the sound effects including a delay, a flanger, and an echo are added. The effector 150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used, or may control the signals of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effector 150. However, in the case of a musical instrument that does not need to use the effector 150 (for example, saxophone) may not be connected.

상기 풋페달(145)은 사용자의 TV화면(270)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악보의 페이지 넘김 기능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TV(27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악보의 페이지를 넘기기 위해서는 손을 이용하여 버튼이나 키를 눌러줘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악기는 손을 사용하여 연주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악보를 넘기고자 한다면 연주를 중단하고 버튼이나 키를 눌러줘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발을 이용한 커맨드(P) 입력을 통하여 악보의 페이지 넘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foot pedal 145 may be provided for the page turning function of the music score displayed on the TV screen 270 of the user. In order to turn the page of the sheet music displayed through the TV 270, a button or a key must be pressed using a hand. Most instruments, however, are designed to be played using hands, so if you want to pass the score you must stop playing and press a button or key.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page turning function of the score through the command (P) input using the foot.

물론 상기 키입력부(135)를 통한 커맨드 입력을 통해 자동페이지 넘김기능을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TV(270)화면의 악보를 일정시간간격으로 자동으로 페이지 넘김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에는 자동페이지 넘김 기능이 오히려 연주에 방해가 될 여지가 있으므로, 상기 풋페달(145)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Of course, if the automatic page turning function is set through the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35, the controller 110 may implement to automatically turn the page music on the TV 270 scree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is possible. However, in the case of beginners, since the automatic page turning function may rather hinder performance, it will be convenient to use the foot pedal 145.

상기 풋페달 컨트롤러(140)는 상기 풋페달(145)을 통해 제공되는 커맨드(P)를 컨트롤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The foot pedal controller 140 controls the command P provided through the foot pedal 145 and transmits the command P to the controller 110.

상기 MP3엔코더(190)는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MP3파일로 엔코딩하여 MP3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10)로 전송된 MP3파일은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다. 상기 MP3 파일은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170)를 통해 별도의 MP3플레이어나 컴퓨터 등으로 전송될 수 있고, 이들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어, 악기연습이나 기타 휴대폰 벨소리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MP3 encoder 190 encodes an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into an MP3 file, generates an MP3 fi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MP3 file to the controller 110. The MP3 fil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The MP3 file may be transmitted to a separate MP3 player or a compute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170 and may be played on these devices, so that the MP3 file may be used as an instrument practice or other mobile phone ringing.

상기 상태표시부(180)는 엘시디(LCD)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의 동작상태나 볼륨상태, 연주되는 악기의 명칭이나 노래(음악)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The status display unit 180 is provided with an LCD (LCD) and the like, and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and volume state of the instrument playing practice apparatus 100, the name of a musical instrument to be played, and the name of a song (music).

상기 마이크(220)는, 노래반주 기능의 구현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를 제공되는 악기연주음을 바탕으로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microphone 220 is for implementing a song accompaniment function. In other words, it is to be able to sing a song based on the instrument playing sound provided by the instrument playing practice device (100).

상기 마이크(2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MIC)는 상기 제어부(110)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음성신호(MIC)를 상기 미디파일신호와 믹싱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 제공하면, 이를 출력함에 의해 노래반주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The user's voice signal MIC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20 is input to the controller 110, and the controller 110 mixes the voice signal MIC with the MIDI file signal to the audio processor. If provided to 120, the song accompaniment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outputting it.

여기서 상기 마이크(220)의 음성신호는 상기 제어부(110)에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되는 상기 마이크(220)의 음성신호는 점수체크나 음정체크 등으로 이용되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로 제공된 상기 마이크(120)의 음성신호는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서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M_1)와 전자악기들(240,250,260)의 연주신호와 함께 믹싱되어 출력되게 된다.The audio signal of the microphone 220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0 and also to the audio processor 120. In this case, the voice signal of the microphone 220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0 is used as a score check or a pitch check, and the voice signal of the microphone 120 provided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is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is mixed with the MIDI file signal M_1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and the performance signals of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240, 250, and 260 to be output.

상기 외부메모리 연결부(160)는 노래반주용 음원이나 반주파일, 악기연주파일을 저장한 송팩(song pack)이나 메모리 카드(SD 카드) 등의 연결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external memory connection unit 160 may be provided for connecting a song pack or a memory card (SD card) storing a song accompaniment sound source file, an accompaniment file, or an instrument playing file.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170)는 컴퓨터나 휴대폰과의 통신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 연결부(170)는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USB 메모리 스틱에 저장된 노래 반주용 음원이나 악기연주 파일을 제공받거나 제공하기 위해 USB 호스트(host), USB 디바이스(device), USB 허브(hub) 등이 채용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170 is for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external device connection unit 170 may be used for the upgrade of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100, USB host (host) to receive or provide a song accompaniment sound or musical instrument files stored in the USB memory stick , A USB device, a USB hub, or the like may be employed.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는 외부스피커가 디지털 스피커 인 경우에,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의 출력을 디지털 증폭하기 위한 디지털 앰프(195)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digital amplifier 195 for digitally amplifying the output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when the external speaker is a digital speaker.

도 2는 도 1의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의 내부구성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of FIG.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AD컨버터(124),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126), 리샘플러(re-sampler) 믹서(127), 신호선택기(128), 적어도 하나의 DA컨버터(129a,129b), PWM 발생기(12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AD converter 124, at least one equalizer 126, a re-sampler mixer 127, and a signal selector 128. At least one DA converter 129a and 129b and a PWM generator 125.

상기 적어도 하나의 AD 컨버터(124)는 일렉트릭기타(240), 베이스기타(250), 및 색소폰(260)을 포함하는 전자악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에서 발생되는 연주신호(E-1,B_1,S)를 수신하여 디지털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AD컨버터(124)는 상기 전자악기들(240,250,260) 각각에 대하여 별도로 개별적인 AD컨버터(124a,124b,124c)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전자악기들(240,250,260)의 신호를 한꺼번에 처리하기 위한 하나의 AD컨버터(124)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at least one AD converter 124 is a performance signal (E-1, B_1)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instruments including the electric guitar 240, the bass guitar 250, and the saxophone 260 And S) for digital conversion. The at least one AD converter 124 may be provided with separate AD converters 124a, 124b, and 124c for each of the electronic instruments 240, 250, and 260, and simultaneously process signals of the electronic instruments 240, 250, and 260. It may be provided with one AD converter 124 for.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126)는 상기 AD컨버터(124)의 출력신호를 이퀄라이징한 출력신호(E_2,B_2,S_2)위한 것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126) 또한 상기 전자악기들의 개수에 대응하여 일정개수의 이퀄라이저들(126a,126b,126c)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이퀄라이저(126)가 이들 신호 모두를 총괄할 수도 있다.The at least one equalizer 126 is for output signals E_2, B_2, and S_2 that equalize the output signal of the AD converter 124. The at least one equalizer 126 may also be provided with a certain number of equalizers 126a, 126b, and 126c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electronic instruments, and one equalizer 126 may control all of these signals.

상기 리샘플러(122)는 상기 제어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M_1)를 상기 전자악기들의 연주신호(E_2,B_2,S_2)와의 샘플링 레이트를 일치시킨 미디파일 신호(M_2)를 출력한다.The resampler 122 outputs a MIDI file signal M_2 obtained by matching a sampling rate of the MIDI file signal M_1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unit 110 with the performance signals E_2, B_2, and S_2 of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do.

상기 믹서(12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126)를 통해 하나의 연주신호(E_2,B_2,S_2)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연주신호(E_2,B_2,S_2)와 상기 리샘플러(122)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M_2)를 믹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126)를 통해 두 종류 이상의 연주신호들(E_2,B_2,S_2)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두 종류 이상의 연주신호들(E_2,B_2,S_2)과 상기 리샘플러(122)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M_1)를 믹싱하여 출력하게 된다.When the mixer 127 outputs one performance signal E_2, B_2, S_2 through the at least one equalizer 126, the mixer 127 and the resampler When the MIDI file signal M_2 provided through 122 is mixed and output, and two or more types of performance signals E_2, B_2, and S_2 are output through the at least one equalizer 126, the two or more kinds of performance signals are output. The performance signals E_2, B_2, and S_2 are mixed with the MIDI file signal M_1 provided through the resampler 122 to be output.

상기 신호선택기(128)는 상기 믹서(126)를 통해 출력되는 믹싱신호에서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를 제거하거나,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제어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에 의하거나 상기 제어부(110)를 통한 제어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신호선택기(128)는 상기 전자악기들(240,250,260)이 복수로 연주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악기만을 선택하거나, 어느 하나의 악기연주음을 제거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signal selector 128 removes a performance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from the mixing signal output through the mixer 126 or selects and outputs only a performance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Control of this may be possible through a preset default value or control through the controller 110. The signal selector 128 is for selectively outputting one musical instrument or removing one musical instrument sound when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240, 250 and 260 are played in plur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DA컨버터(129a,129b)는 상기 신호선택기(128)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변환하여 외부스피커(S)나 헤드폰(H)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at least one DA converter 129a and 129b 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128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external speaker S or the headphone H.

디지털 스피커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선택기(128)의 출력신호를 상기 디지털 앰프(125) 또는 디지털 스피커(D)로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선택기(128)의 신호를 PWM 변환하기 위한 PWM 발생기(125)가 필요할 수 있다.When the signal is output to the digital speaker,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128 is output to the digital amplifier 125 or the digital speaker D. For this purpose, a PWM generator 125 for PWM converting the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128 may be required.

이하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100)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가 연주할 악기 및 연주할 곡을 상기 키입력부(130)를 통해 선택한다. 여기서는 일렉트릭 기타(240), 베이스 기타(250), 색소폰(260)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First, the user selects an instrument to play and a song to play through the key input unit 130. In this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electric guitar 240, the bass guitar 250, and the saxophone 260 are selected.

상기 제어부(110)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미디파일신호 또는 외 부에서 입력된 미디파일 신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자악기 연주음을 제거한 상태로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 미디파일신호(M_1)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220)를 통해 음성신호(MIC)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0)에서 상기 미디파일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220)의 음성신호(MIC) 자체가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 별도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신호(MIC)와 상기 미디파일 신호(M_1)의 믹싱은 상기 믹서(127)를 통해 수행되게 된다.The control unit 110 in the midi fil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unit 130 or the MIDI fil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MIDI file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with the electronic instrument playing sound selected by the user is removed The signal M_1 is output. In this case, when the voice signal MIC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20, the controller 110 may mix and output the MIDI fil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Alternatively, when the voice signal MIC of the microphone 220 is input to the audio processor 120 separately, mixing of the voice signal MIC and the MIDI file signal M_1 may be performed by the mixer 127. Will be performed.

또한 상기 제어부(110)에서는 상기 메모리 부에 저장된 해당 악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인 TV화면(270)으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악보에는 일반적인 음표 이외에도 기타나 색소폰 연주를 위한 음악코드가 부가되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기타의 손가락 위치를 표시하는 운지악보(tablature)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악보에는 기타 또는 색소폰용 악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별도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outputs the music score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the TV screen 270 which is an external device as shown in FIG. 3. In addition to the general notes, the music score is added with a music code for playing a guitar or saxophone. And a fingertip (tablatur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other finger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display or separately display guitar or saxophone sheet music.

사용자가 상기 악보를 보면서 상기 전자악기들(240,250,260)을 연주하게 되면, 상기 연주신호들(E,B,S)은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로 제공되게 된다. 이때 이펙터(150)를 이용하여 상기 연주신호들(E,B,S)에 효과를 줄 수 있다.When the user plays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240, 250, and 260 while watching the sheet music, the playing signals E, B, and S are provided to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In this case, the effector 150 may be used to effect the performance signals E, B, and S.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120)에서는 상기 전자악기들(240,250,260)의 연주신호들(E,B,S)를 디지털 변환하고 이퀄라이징하여, 상기 리샘플러(122)에 의해 리샘플링된 미디파일신호(M_2)와 믹서(127)를 통해 믹싱한다. 또한 상기 믹서(127)의 출력신호를 상기 신호선택기(128)를 통해 취사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출력신호는 아날로그변환 출력되거나, PWM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digitally converts and equalizes the playing signals E, B, and S of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240, 250, and 260, and re-samples the MIDI file signal M_2 resampled by the resampler 122. Mix through mixer 127. 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mixer 127 is selected and output through the signal selector 128. At this time, the output signal is output by analog conversion or PWM conversion.

한 페이지에 대한 악보연주가 완료되면, 상기 풋페달(145)를 이용한 커맨드 입력에 의해 악보의 다음페이지가 출력되도록 하여 연주를 계속하게 된다.When the sheet music performance for one page is completed, the next page of the sheet music is output by the command input using the foot pedal 145 to continue the performance.

상술한 악기 연주 연습에 있어서, 특정 소절을 집중적으로 반복연습하기 위한 구간반복기능, 음악의 템포를 조절하는 메트로놈(metronome) 기능, 반음(계)적 음정의 튜닝을 기계적으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크로메틱 튜너(chromatic tuner)기능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악기연주의 제어가 가능하다. In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described above, a chromatic tuner that mechanically determines and displays the interval repeat function for intensively repetition of specific measures, the metronome function for adjusting the tempo of music, and the tuning of semitones (chromatic tuner) func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is merely given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연주 연습장치의 블록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오디오 프로세싱부의 내부구성블록도이고,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of FIG. 1;

도 3은 도 1에 의해 출력되는 악보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3 illustrates a display screen of musical scores output by FIG.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제어부 120 : 오디오 프로세싱부110 control unit 120 audio processing unit

130 ; 메모리부 135 : 키 입력부130; Memory 135: Key Input

Claims (8)

전자악기들의 연주 연습을 위한 악기연주 연습장치에 있어서: In a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for practicing the playing of electronic instruments: 볼륨조절, 음향조절, 특정악기의 선택을 포함하는 각종 선택신호 및 제어신호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various selection signals and control signals including volume control, sound control, and selection of a specific instrument; 노래반주나 악기별 연주를 위한 미디(MIDI)파일, 및 연주를 위한 음악코드가 표시된 악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for storing a MIDI file for song accompaniment 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musical score for displaying a music code for performance;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악보를 TV 화면으로 출력하고, 외부 미디악기에서 제공되는 미디파일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미디파일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악기 연주음을 제거한 미디파일신호를 제공하며,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In response to an external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the music scor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output to a TV screen, and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selected by a user from a MIDI file provided from an external MIDI instrument or a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played. A controller for providing a MIDI file signal from which sound is removed and performing overall operation control; 일렉트릭기타, 베이스기타, 및 색소폰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악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악기로부터 연주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와 믹싱하여 믹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믹싱신호에서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를 제거하거나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만을 선택하여, 외부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제공하는 오디오 프로세싱부를 구비하되,Receives a performance signal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instruments, including electric guitar, bass guitar, and saxophone, and mixes with the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a mixing signal, the mixing signal Equipped with an audio processing unit to remove the play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or to select only the play signal of a specific instrument, to provide to the external speakers or headphones,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는, The audio processing unit, 일렉트릭기타, 베이스기타, 및 색소폰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악기들에서 발생되는 연주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변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AD컨버터와; At least one AD converter for receiving and digitally converting a performance signal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an electric guitar, a bass guitar, and a saxophone; 상기 적어도 하나의 AD컨버터의 출력신호를 이퀄라이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와;At least one equalizer for equalizing an output signal of the at least one AD converter;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를 상기 연주신호와 샘플링레이트를 일치시켜 제공하기 위한 리샘플러(Re-sampler)와;A re-sampler for providing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control unit to match the sampling rate with the playing signal;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를 통해 하나의 연주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연주신호와 상기 리샘플러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퀄라이저를 통해 두 종류 이상의 연주신호들이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두 종류 이상의 연주신호들과 상기 리샘플러를 통해 제공되는 미디파일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와;When one performanc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at least one equalizer, the one performance signal and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resampler are mixed and output, and two or more kinds of performances are performed through the at least one equalizer. A mixer for mixing and outputting two or more kinds of performance signals and a MIDI fil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resampler when the signals are output; 상기 믹서를 통해 출력되는 믹싱신호에서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를 제거하거나 특정악기의 연주신호만을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신호선택기와;A signal selector for removing a performance signal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or selecting and outputting only a performance signal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from the mixing signal output through the mixer; 상기 신호선택기의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변환하여 외부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DA컨버터와;At least one DA converter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analog signal to an external speaker or a headphone; 상기 신호선택기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앰프 또는 디지털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PWM 발생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And a PWM generator for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ignal selector to a digital amplifier or a digital speak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미디파일의 해석 및 변환을 위한 사운드엔진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The control unit is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ound engine for interpretation and conversion of the MIDI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상기 복수의 전자악기들에서 발생되는 연주신호에 디스토션, 코러스, 오버드라이브, 리벌브, 딜레이, 플렌져를 포함하는 음향효과를 부가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에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펙터(effector)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At least one effector for providing the audio processing unit by adding sound effects including distortion, chorus, overdrive, reverb, delay, and plunger to the performance signal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electronic instruments Instrument playing practice device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TV화면으로 출력되는 악보의 페이지 넘김 기능을 위해 사용자의 발을 통해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풋페달과;A foot pedal for inputting a command through the user's foot for the page turning function of the music score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the TV screen; 상기 풋페달을 통해 제공되는 커맨드를 컨트롤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풋페달 컨트롤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 And a foot ped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ommand provided through the foot pedal and transmitting the command to the controll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미디파일신호와 믹싱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에 제공하며,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에서는 상기 음성신호와 상기 미디파일신호의 믹싱신호와, 상기 연주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방식으로, 노래반주기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icrophone, receiving a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controller, and mixing the voice signal with the MIDI file signal to provide the audio processor to the audio processor.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provides a song accompaniment function by mixing and outputting a mixing signal of the voice signal and the MIDI file signal and the performance signal.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상기 오디오 프로세싱부를 통해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MP3파일로 엔코딩하여 MP3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MP3엔코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 The musical instrument play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MP3 encoder for generating an MP3 file by encoding an output signal output through the audio processing unit into an MP3 file and storing the MP3 file through the control unit. Exercise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악기연주 연습장치는, 송팩이나 메모리 카드 연결을 위한 외부메모리연결부와;The musical instrument practice apparatus, and an external memory connection for connecting a song pack or a memory card; 컴퓨터나 휴대폰과의 통신을 위한 외부기기 연결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연주 연습장치.Instrument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to the external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or a mobile phone.
KR1020080100682A 2008-10-14 2008-10-14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KR1009560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82A KR100956028B1 (en) 2008-10-14 2008-10-14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82A KR100956028B1 (en) 2008-10-14 2008-10-14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741A KR20080096741A (en) 2008-11-03
KR100956028B1 true KR100956028B1 (en) 2010-05-06

Family

ID=4028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682A KR100956028B1 (en) 2008-10-14 2008-10-14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0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872B1 (en) 2021-08-23 2022-03-30 여단열 Chordophone with speaker function
KR102382601B1 (en) 2021-08-31 2022-04-04 주식회사 한성넥스 A Ventil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82Y1 (en) * 2001-08-21 2001-12-13 박은정 Karaoke apparatus for practice on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82Y1 (en) * 2001-08-21 2001-12-13 박은정 Karaoke apparatus for practice on the instrumental accompani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741A (en) 200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328B2 (en) Performance processing apparatus and performance processing program
US7678985B2 (en) Standalone electronic module for use with musical instruments
JP4934180B2 (en) Pluck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US20060159291A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audio sou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H0433388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education, accompaniment and training
KR100956029B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KR20170106889A (en) Musical instrument with intelligent interface
US20110017048A1 (en) Drop tune system
KR1014284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musical note
KR100956028B1 (en) Apparatus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7247785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JP5130348B2 (en) Karaoke collaboration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808997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14026213A (en) Musical sound playing device
JP5969421B2 (en) Musical instrument sound output device and musical instrument sound output program
JP6315677B2 (en) Performance device and program
JP6141737B2 (en) Karaoke device for singing in consideration of stretch tuning
JP5397637B2 (en) Karaoke equipment
JP2008187549A (en) Support system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
JP6582517B2 (en) Control device and program
JP2004326133A (en) Karaoke device having range-of-voice notifying function
JP3873914B2 (en) Performance practice device and program
JP2014149366A (en) Musical sound playing device
JPH1063175A (en) Classroomless music education system
JP3565065B2 (en) Karaok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0